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14/2025 화요일
혼자서는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JW는 등반하려는 마음을 굳게 먹고, 그의 친구 요시아는 기꺼이 그와 함께 하기로 했습니다. 요시야는 JW의 눈이 되어 어떤 미끄러운 바위를 피해야 하는지, 어디에 손과 발을 짚어야 하는지를 알려주었고, JW는 요시아의 마음이 되어 참된 용기가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우리의 삶도 그처럼 힘겨운 등반과 같습니다. 우리는 혼자 걸어가서는 안됩니다. 솔로몬 왕은 우리에게 그 진리를 가르쳐줍니다.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전도서 4:9). 요시야와 JW 는 둘 다 특별한 것을 시도했고 그것은 함께 해야만 해 낼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성경 말씀은 이어집니다. “혹시 그들이 넘어지면 하나가 그 동무를 붙들어 일으키려니와 홀로 있어 넘어지고 붙들어 일으킬 자가 없는 자에게는 화가 있으리라”(10절). 그들은 둘 다 넘어지거나 실패하지 않았습니다. 둘이 함께 목표를 이루었습니다.
솔로몬이 명확히 알려주었고 또 이 두 십대 소년이 생생히 보여준 것처럼, 하나님은 우리가 함께 일하도록 계획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맡기신 일들을 가장 잘 하는 방법은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각 사람이 하나님이 주신 기술과 감정을 모두 사용하여 하나님을 드러내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4:8-10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전도서 4:9]
다른 사람들과 함께 섬기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팀을 이루어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할 때 어떤 기분이 드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이 땅에서 하나님이 주신 일을 위해 주님과,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4/2025 Tuesday
IT TAKES TWO
But JW was determined to climb, and his friend Josiah was willing to team up with him. Josiah was JW’s eyes—telling him which slippery rocks to avoid and where to put his hands and feet. And JW was Josiah’s heart—showing him what courage looks like.
So much of life is like that daunting climb: We shouldn’t walk alone. King Solomon points us to that truth. “Two people are better than one, for they can help each other succeed” (Ecclesiastes 4:9 nlt). Both Josiah and JW were attempting something special—and they could do it only in tandem. The passage continues: “If either [person] falls down, one can help the other up” (V. 10). But neither fell and neither failed. Together, they reached their goals.
God’s design for people, presented clearly by Solomon and demonstrated vividly by these two teenagers, is that we work together. The tasks God calls us to do are best done with others—each using what skills and emotions God has given to bring an outcome that points to Him.
- DAVE BRANON
Today's Reading
ECCL E SI A S T E S 4:8-10 Two people are better off than one, for they can help each other succeed.
[ ECCLESIASTES 4:9 nlt ]
Why is it important to serve with others?
How does it feel when you team up to point people to God?
Dear God, please help me team up with You and others to accomplish Your mission on earth.
오늘의 말씀
10/20/2025 월요일
얼마든지 보살피시는 분
나는 하나님의 완전한 사랑이 어디까지 미칠 수 있는지 그 당시 아직 몰랐습니다. 성경의 선지자 요나도 이것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의 고국 이스라엘을 탄압했던 잔인한 앗수르 제국의 수도 니느웨를 향해 회개하라고 외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마침내 순종하면서도 요나는 하나님이 그들을 용서하는 것을 원치 않았습니다. 그러나 니느웨 사람들이 회개하여 하나님이 그들을 멸하시지 않자 요나는 화를 냈습니다. 하나님이 빠르게 자라는 박넝쿨로 요나에게 쉼터를 마련해 주셨다가 나중에 그 그늘을 없애 버리자 요나는 더욱 화가 났습니다. 요나의 불평에 하나님은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네가... 이 박넝쿨을 아꼈거든 하물며 이 큰 성읍 니느웨에는... 십이만여 명이... 있나니 내가 어찌 아끼지 아니하겠느냐”(요나 4:10-11).
하나님은 그분에게서 멀어진 사람들까지도 깊이 보살필 정도로 아주 크신 분입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의 궁극적인 문제를 해결하시기 위해 예수님을 십자가에 죽게 하시고 부활하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위대함은 그분의 선하심으로 분명히 드러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께 가까이 이끄시기를 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나 4:5-11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이 큰 성읍 니느웨를... 내가 어찌 아끼지 아니하겠느냐 [요나 4:10-11]
하나님이 당신을 돌보신다는 것을 알 때 어떻게 위안이 됩니까?
하나님의 사랑에 어떻게 응답하시겠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저를 구원하기 위해 이 땅에 오시니 감사합니다. 저도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20/2025 MONDAY
GREAT ENOUGH TO CARE
I had yet to understand the broad reach of God’s perfect love. In Scripture, the prophet Jonah couldn’t fathom this either. When Jonah finally obeyed God’s call to preach repentance to the city of Nineveh, the capital of the brutal Assyrian Empire that had oppressed his native Israel, Jonah didn’t want God to forgive them. But the city did repent, and when God didn’t destroy them, Jonah was angry. God provided shelter for Jonah through a fast-growing plant but then took his shade away, which angered him all the more. Jonah complained, but God responded, “You have been concerned about this plant . . . . And should I not have concern for the great city of Nineveh, in which there are more than a hundred and twenty thousand people?” (JONAH 4:10-11).
God’s so great that He’s able to care deeply for those who are far from Him. His love goes to the lengths of the cross and empty tomb of Jesus to meet our ultimate need. His greatness manifests itself in goodness, and He longs to draw us near.
JAMES BANKS
Today's Reading
JONAH 4:5-11The Lord said, . . . “Should I not have concern for the great city of Nineveh?” [ JONAH 4:10-11 ]
How does it comfort you to know God cares for you?
How will you respond to His love?
Loving God, thank You for coming to save me. Please help me to love others like You do.
오늘의 말씀
10/19/2025 주일
염려를 맡기라
너무 늦지 않았나 걱정하며 서둘러 공항 와이파이에 컴퓨터를 연결했습니다. 와이파이로 연결하자 마자 이메일 하나가 와 있었습니다. 남편이 앱을 통해 공항에 있는 나에게 전화기가 없다는 것을 벌써 알고 이메일을 보낸 것입니다. 그의 이메일에는 “그 차량 업체 번호를 보내주면 내가 해결할게.”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편이 재빨리 나서주어 저는 곧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이 우리가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누리기 원하시는 평안이라 믿습니다. 베드로전서 5장 7절은 “[우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우리]를 돌보심이라”고 말합니다. 곧 하나님이 우리의 걱정과 염려를 해결해 주기를 원하신다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그만큼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모든 걱정을 스스로 해결하려고 머리를 싸매기보다, 하나님께 그것들을 맡기면 됩니다.
우리의 염려를 하나님께 맡기는 것은 하나님이 우리의 문제를 우리보다 더 잘 해결하실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겸손의 표현입니다(6절). 어떤 일로 우리에게 잠깐 고난이 있더라도(10절) 우리는 하나님의 보살핌과 예비하심 가운데 평안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5:6-9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
[베드로전서 5:7]
하나님께 맡겨드려야 할 당신의 염려는 무엇입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을 보살피신다는 것을 알 때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은혜로우신 하나님, 저의 걱정과 염려를 하나님의 신실하신 손에 맡길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19/2025 SUNDAY
CASTING CARES
As I scrambled to connect my laptop to the airport’s Wi-Fi, I worried it was too late. Utilizing an app, my husband noticed my phone wasn’t with me at the airport and had already sent me an email—waiting for me as soon as I connected to the Wi-Fi. His email said, “Send me the car service’s number and I’ll take care of it.” My husband had jumped in to take care of things— giving me an immediate sense of peace.
This is part of the peace I believe God wants us to enjoy in the relationship we can experience with Him through Christ. First Peter 5:7 reminds us to “cast all [our] anxiety on him because he cares for [us].” This verse says that God wants to take on our worries and concerns. Why? Because He cares that much for us. We can give our cares to God rather than allowing them to swim around in our heads as we try to figure things out.
Casting our anxiety on God is a form of humility that acknowledges that He’s much more capable of handling our concerns than we are (V. 6). Although something may pop up to cause us to suffer (V. 10), we can rest in His care and provision.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1 PETER 5:6-9Cast all your anxiety on him because he cares for you. [ 1 PETER 5:7 ]
What do you need to cast on God?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know He cares for you?
Gracious God, thank You for allowing me to place my worries and concerns in Your faithful hands.
오늘의 말씀
10/18/2025 토요일
기도하는 자세
유다 왕 여호사밧은 통증이 아닌 위협하는 적들과의 전쟁을 마주했습니다 (역대하 20:1-2). 왕은 “두려워하여 여호와께로 낯을 향하여 간구했습니다” (3절). 유다의 모든 백성들도 “여호와께 도우심을 구하려” 기도했습니다(4절). 하나님은 그들의 기도를 들으시고 하나님의 영이 레위 사람 야하시엘에게 임하여 이 같은 위로의 말씀을 왕에게 전하게 했습니다: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라... 여호와가 너희와 함께 하리라”(15, 17절). 여호사밧이 “몸을 굽혀 얼굴을 땅에 대니” 모두 “여호와 앞에 엎드려 여호와께 경배하였습니다”(18절).
우리는 고통스럽고 힘들 때에 종종 하나님의 임재를 더욱 강력하게 경험합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그분의 뜻에 순종하며 진심으로 기도하는 자세로 살아갈 때 우리는 주 안에서 위로와 평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하 20:5-12여호사밧이 몸을 굽혀 얼굴을 땅에 대니... 여호와 앞에 엎드려 여호와께 경배하고 [역대하 20:18]
당신이 기도할 때 하나님께서 어떻게 위로해 주셨습니까?
오늘 하나님 앞에 가져갈 고통스러운 일은 무엇입니까?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께 기도할 때 저를 만나 주시고 위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18/2025 SATURDAY
A PRAYERFUL POSTURE
Jehoshaphat, king of Judah, also faced a battle—not with pain but with threatening enemies (2 CHRONICLES 20:1-2). The king was “terrified by this news and begged the Lord for guidance” (V. 3 NLT). All the people of Judah sought “help from the Lord” as well (V. 4). God heard their prayers, and His Spirit came upon a Levite named Jahaziel, who delivered this comforting message to the king: “Do not be afraid or discouraged . . . . The Lord will be with you” (VV. 15, 17). Jehoshaphat “bowed down with his face to the ground” and everyone “fell down in worship before the Lord” (V. 18).
In painful and challenging times, we can often experience God’s nearness in a powerful way. As He helps us submit to His will and live out a prayerful posture in our hearts, we can find comfort and peace in Him.
TOM FELTEN
Today's Reading
2 CHRONICLES 20:5-12Jehoshaphat bowed down with his face to the ground . . . in worship before the Lord. [ 2 CHRONICLES 20:18 ]
How has God comforted you as you prayed to Him?
What painful thing will you bring to Him today?
Loving God, thank You for meeting and comforting me as I pray to You.
오늘의 말씀
10/17/2025 금요일
하나님의 길은 사랑입니다
동료 교인들은 바울이 로마에 있는 성도들에게 권면한 그대로(로마서 12) 나를 정성껏 도왔습니다. 바울은 그들에게 신실하게 사랑하고, 서로 우애하고 존경하며, 성도들의 필요를 공급하는 등, 여러 면으로 권면했습니다(9-13절). 바울은 그의 서신 전체를 통해 그들에게 교리를 가르쳤지만, 동시에 그리스도 안에 있는 생명은 추상적인 신학이 아니라 우리가 매일 살아가는 현실의 삶으로 나타난다는 것도 가르쳤습니다(12-16장). 하나님의 길은 사랑입니다.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표현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는 그분께 받은 사랑을 다시 다른 사람들에게 부어주는 것입니다.
우리가 매일 교회나 지역의 사람들을 도울 방법을 찾아 행할 때, 그들은 격려를 받고 우리는 축복을 받으며 하나님은 찬양을 받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16성도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로마서 12:13]
이번 주에 당신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누구입니까?
무엇을 하시겠습니까?
측량할 수 없이 은혜로우신 하나님, 하나님의 사랑을 받아들이고 그 사랑을 제 주위 사람들에게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7/2025 FRIDAY
GOD’S WAY IS LOVE
Fellow believers eagerly helped me in the ways Paul instructed the church members living in Rome to follow (ROMANS 12). He encouraged them in many ways, including to love sincerely, to be devoted to one another in love, to honor others, and to share with those in need (VV. 9-13). Paul taught them doctrine throughout his letter. But he also shared that life in Christ isn’t abstract theology—it’s shown in our practical daily living (CHS. 12-16). God’s way is love. Receiving and then pouring out His love on others is one of many ways to express His love for us.
As we look for and find everyday ways to serve people in our churches or communities, they’ll be encouraged, we’ll be blessed, and God will be praised.
ANNE CETAS
Today's Reading
ROMANS 12:9-16Share with the Lord’s people who are in need.
[ ROMANS 12:13 ]
Who needs your help this week? What will you do?
You’re kind beyond measure, God. Please help me to receive and give Your love to those around me.
오늘의 말씀
10/16/2025 목요일
나를 추적하시는 하나님
시편 기자도 이처럼 방향을 잃고 헤매고 있음을 느꼈습니다. “잃은 양 같이 내가 방황하오니 주의 종을 찾으소서 내가 주의 계명들을 잊지 아니함이니이다” (시편 119:176). 그는 자신을 길 잃은 양에 비유했습니다. 양은 값진 동물이기는 하지만, 매우 반항적이며 때때로 목자에게서 멀어져 길을 잃고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 처하기도 합니다. 시편 기자도 영적 내비게이션 기능이 무디어지고 영적 방향 감각이 흐려져 하나님께서 그를 찾아 말씀으로 “깨닫게”(169절) 해 주셔야 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보호에서 벗어날 때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은 우리를 찾아 다시 그분께로 이끌어 가십니다. 우리가 성경을 이해하고 “주의 모든 계명들”(172절)을 따르도록 하나님이 도와주실 때 우리는 영적으로 길을 잃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9:169-176잃은 양 같이 내가 방황하오니 주의 종을 찾으소서 내가 주의 계명들을 잊지 아니함이니이다 [시편 119:176]
당신은 어떻게 해서 하나님과 그분의 지혜로부터 멀어졌습니까?
오늘 어떻게 하나님의 계명을 기억할 수 있을까요?
은혜로우신 하나님, 저는 종종 길 잃은 양과 같아 쉽게 미혹되고 엇나갑니다. 하나님 곁으로 다시 저를 이끌어 주소서.
Daily Article
10/16/2025 THURSDAY
PURSUED BY GOD
The psalmist also felt the disorientation of lostness: “I have strayed like a lost sheep. Seek your servant, for I have not forgotten your commands” (PSALM 119:176). He compared himself to a wandering sheep. Although sheep can be valuable creatures, they’re also notoriously rebellious and will sometimes drift away from their shepherd—putting them in need of rescue. The psalmist’s spiritual navigation skills had deteriorated, and his spiritual sense of direction had faded, so he needed God to pursue him and give him a “discerning mind” (V. 169 NLT).
When we wander away from God’s care, He loves us enough to seek us and lead us back to Himself. As He helps us understand the Scriptures and follow “all [His] commands” (V. 172), we can avoid getting spiritually lost.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SALM 119:169-176I have strayed like a lost sheep. Seek your servant, for I have not forgotten your commands. [ PSALM 119:176 ]
In what ways have you drifted away from God and His wisdom?
In what ways will you remember His instruction today?
Gracious God, I recognize that I’m often like a lost sheep—easily distracted and led astray. Please bring me back to Your side.
오늘의 말씀
10/15/2025 수요일
그리스도의 빛 가운데 걷기
요한 사도는 초대교회 신자들에게 쓴 서신에서 이와는 다른 종류의 어둠 속을 걷는 것을 이야기했습니다. 요한1서 1장 6절은 죄를 “어둠”이라고 말합니다. 어둠 가운데 걷는 것은 잠깐의 실수가 아니라 계속 잘못된 길을 선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요한은 “하나님은 빛이시라 그에게는 어두움이 조금도 없으시다”(5절)고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하나님과 사귐이 있다 하고 죄에 거하면 “거짓말을 하고 진리를 행하지 아니함”(6절)이라 했습니다. 예수님은 이 세상에 빛으로 오셔서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두움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요한복음 8:12)고 하셨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영적 어둠 속에서 방황하다가도 회개하여 하나님께 돌아갈 때에 다시 그분의 빛 가운데 걸으며 하나님의 길과 뜻을 따라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입니다(요한1서 1:9). 우리는 오직 하나님께 순종하며 살아갈 때에만 그분과, 그리고 다른 성도들과의 관계 가운데 풍성한 축복을 누릴 수 있습니다(7절).
오늘의 성구
요한1서 1:5-10만일 우리가 하나님과 사귐이 있다 하고 어둠에 행하면 거짓말을 하고 진리를 행하지 아니함이거니와 [요한1서 1:6]
“어두움에 거하기”를 선택했던 적이 있습니까? 그런 선택이 하나님과 다른 성도들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하나님, 주님의 용서와 도우심에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빛 가운데 걸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5/2025 WEDNESDAY
WALKING IN CHRIST’S LIGHT
In his letter to the early believers in Jesus, the apostle John talked about choosing to walk in a different kind of darkness. First John 1:6 refers to sin as “darkness.” Walking in darkness isn’t a momentary lapse but a choice to keep engaging in wrongdoing. John reminds us that our holy God “is light” and “in him there is no darkness” (V. 5). So when we claim a relationship with Him yet willfully continue sinning, “we lie and do not live out the truth” (V. 6). Jesus, the light of the world, came so that “whoever follows [Him] will never walk in darkness, but will have the light of life” (JOHN 8:12).
By God’s grace, after we’ve wandered in spiritual darkness and we turn to Him in repentance, we can walk in His light again— in His ways and purposes. He will “forgive us our sins and purify us from all unrighteousness” (1 JOHN 1:9). Only when we live in obedience to God can we enjoy the full blessing of relationship with Him and with other believers (V. 7).
KAREN HUANG
Today's Reading
1 JOHN 1:5-10If we claim to have fellowship with him and yet walk in the darkness, we lie and do not live out the truth. [ 1 JOHN 1:6 ]
When have you chosen to “walk in the darkness”? How did this choice impact your relationship with God and with other believers?
Thank You, God, for Your forgiveness and help. Please enable me to walk in Your light.
오늘의 말씀
10/11/2025 화요일
혼자서는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JW는 등반하려는 마음을 굳게 먹고, 그의 친구 요시아는 기꺼이 그와 함께 하기로 했습니다. 요시야는 JW의 눈이 되어 어떤 미끄러운 바위를 피해야 하는지, 어디에 손과 발을 짚어야 하는지를 알려주었고, JW는 요시아의 마음이 되어 참된 용기가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우리의 삶도 그처럼 힘겨운 등반과 같습니다. 우리는 혼자 걸어가서는 안 됩니다. 솔로몬 왕은 우리에게 그 진리를 가르쳐줍니다.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전도서 4:9). 요시야와 JW 는 둘 다 특별한 것을 시도했고 그것은 함께 해야만 해 낼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성경 말씀은 이어집니다. “혹시 그들이 넘어지면 하나가 그 동무를 붙들어 일으키려니와 홀로 있어 넘어지고 붙들어 일으킬 자가 없는 자에게는 화가 있으리라”(10절). 그들은 둘 다 넘어지거나 실패하지 않았습니다. 둘이 함께 목표를 이루었습니다.
솔로몬이 명확히 알려주었고 또 이 두 십대 소년이 생생히 보여준 것처럼, 하나님은 우리가 함께 일하도록 계획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맡기신 일들을 가장 잘 하는 방법은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각 사람이 하나님이 주신 기술과 감정을 모두 사용하여 하나님을 드러내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4:8-10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전도서 4:9]
다른 사람들과 함께 섬기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팀을 이루어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할 때 어떤 기분이 드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이 땅에서 하나님이 주신 일을 위해 주님과,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1/2025 TUESDAY
IT TAKES TWO
But JW was determined to climb, and his friend Josiah was willing to team up with him. Josiah was JW’s eyes—telling him which slippery rocks to avoid and where to put his hands and feet. And JW was Josiah’s heart—showing him what courage looks like.
So much of life is like that daunting climb: We shouldn’t walk alone. King Solomon points us to that truth. “Two people are better than one, for they can help each other succeed” (Ecclesiastes 4:9 nlt). Both Josiah and JW were attempting something special—and they could do it only in tandem. The passage continues: “If either [person] falls down, one can help the other up” (V. 10). But neither fell and neither failed. Together, they reached their goals.
God’s design for people, presented clearly by Solomon and demonstrated vividly by these two teenagers, is that we work together. The tasks God calls us to do are best done with others— each using what skills and emotions God has given to bring an outcome that points to Him.
DAVE BRANON
Today's Reading
ECCLESIASTES 4:8-10Two people are better off than one, for they can help each other succeed. [ ECCLESIASTES 4:9 nlt ]
Why is it important to serve with others? How does it feel when you team up to point people to God?
Dear God, please help me team up with You and others to accomplish Your mission on earth.
오늘의 말씀
10/13/2025 월요일
하나님께 감사하는 마음
국가적으로 감사를 표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것은 다윗 왕이 이스라엘 백성을 모아 하나님의 임재와 보호와 약속에 감사를 올려드렸던 모습에 나타나 있습니다. 이 축하 행사는 “하나님의 궤”가 돌아온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역대상 16:1). 사람들은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인 언약궤가 예루살렘에 있다는 것을 기뻐했습니다. 다윗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찬양으로 인도하면서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정복했을 때에 하나님이 보호해 주신 것을 상기하면서(18-22절) 약속을 이루신 하나님의 신실함을 기념했습니다(15절).
우리도 친구나 가족과 함께 추수감사절을 기념한다면, 모여서 함께 감사 드리며 지난 한 해 동안 경험한 하나님의 임재와 보호와 약속을 함께 돌아보고 나누는 기회로 삼으면 어떨까요. 공식적으로 추수감사절을 기념하는 나라에 살거나 아니거나, 우리는 누구나 “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그의 인자 하심이 영원함이로다”(34절)라고 고백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상 16:8-14, 19-24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그의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역대상 16:34]
당신은 어떤 방식으로 하나님의 임재하심이나 보호나 또는 약속을 경험했습니까? 어떻게 감사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주께서 행하신 모든 일을 기억하면서 제 안에 감사의 마음이 자라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13/2025 MONDAY
GRATITUDE TO GOD
There’s something powerful about a nation collectively expressing gratitude. It’s a picture we see when King David assembled the nation of Israel to give thanks to God for His presence, protection, and promises. The celebration marked the return of the “ark of God” (1 CHRONICLES 16:1). The people rejoiced that the ark, a symbol of God’s presence with them, was in Jerusalem. As David led Israel in praise, he reminded them of God’s protection as the nation conquered the land of Canaan (VV. 18-22) and celebrated His faithfulness to fulfill His promises (V. 15).
If you celebrate a Thanksgiving holiday with friends and family, consider making it a gratitude gathering and reflecting together on the ways you’ve experienced God’s presence, protection, and promises over the past year. Whether or not you live in a country that officially celebrates Thanksgiving, each of us can take time to “give thanks to the Lord, for he is good; his love endures forever” (V. 34).
LISA M. SAMRA
Today's Reading
1 CHRONICL ES 16:8-14,19-24Give thanks to the Lord, for he is good; his love endures forever. [ 1 CHRONICLES 16:34 ]
How have you experienced God’s presence, protection, or promises? How can you express gratitude?
Dear God, please cultivate within me a spirit of gratitude as I remember all You’ve done.
오늘의 말씀
10/12/2025 주일
하나님과의 교제
시편 15편 1절에서는 어떤 유형의 사람에 대해 묻는 질문들이 있습니다. “여호와여 주의 장막에 머무를 자 누구오며 주의 성산에 사는 자 누구오니이까?” (1절). 그 답으로는 정직성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이 2절에 나오는 ‘정직하게 행하며’ 라는 말에 담겨 있습니다. “정직하게 행하며 공의를 실천하며 그의 마음에 진실을 말하는 자”(2절)입니다. 여기서 질문(1절)과 답변(2절)은 함께 하나님과의 교제를 말해줍니다. 시편 15편의 나머지 구절들은 하나님을 공경하는 삶을 긍정 화법과 부정 화법으로 요약해줍니다.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는 정직한 삶으로 나타나며, 이는 특히 성령의 도우심을 통해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에 나타납니다(마태복음 22:34- 40; 요한1서 3:16-18 참조). 이는 하나님 아버지와 온전한 교제를 누리며 사신 예수님을 우리가 믿고 따를 때 가지게 되는 우리 삶의 자세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5여호와여 주의 장막에 머무를 자 누구이오며 주의 성산에 사는 자 누구오니이까 [시편 15:1]
당신의 삶은 하나님과의 친밀함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습니까?
예수님과 더욱 친밀하게 되려면 어떤 영적 훈련을 해야 할까요?
하나님 아버지, 마음을 다해 주님을 사랑하고 그것을 삶 속에서 정직함으로 보여줄 수 있는 힘을 주시옵소서.
Daily Article
10/12/2025 SUNDAY
COMMUNION WITH GOD
In Psalm 15:1, we find questions asking after a certain kind of person: “Who may worship in your sanctuary, Lord? Who may enter your presence on your holy hill?” (V. 1 NLT). The answer involves integrity and is captured in the word blameless found in verse 2: “Those who lead blameless lives and do what is right, speaking the truth from sincere hearts” (V. 2 NLT). The question (V. 1) and answer (V. 2) combination refers to communion with God. The rest of the psalm summarizes—in positive and negative terms—what a God-honoring life looks like.
When we have intimate communion with God, it’s displayed in a life of integrity, particularly in how we treat others as the Spirit helps us (SEE MATTHEW 22:34-40; 1 JOHN 3:16-18). It’s the posture of life that we assume when we believe in and follow Jesus—the one who lived in perfect communion with His Father.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15Who may worship in your sanctuary, Lord? Who may enter your presence on your holy hill? [ PSALM 15:1 nlt ]
What does your life say about your closeness to God? What spiritual disciplines might you need to adopt to have a closer relationship with Jesus?
Father, please give me strength to love You with all my heart and to demonstrate this by integrity in m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