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27/2025     주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1-2; 누가복음 19:28-48
찬송가: 15(통55)

한량없는 하나님의 사랑

병들고 연로한 아버지가 함께 살게 되면서 조시는 매일 아버지를 돌봐야 하는 일이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구입해야 하는 약값도 비싸고, 온 종일 근무하는 직장 일에 더하여 간병하는 일과 아버지의 점점 악화되는 건강 상태에 따라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등이 그녀를 점점 지치게 만들었습니다. 조시는 말합니다. “어떻게 하면 지치지 않고 힘과 자원, 지혜와 사랑을 얻어 나누어줄 수 있을까?”

조시는 예레미야와 하나님의 백성이 느꼈던 슬픔을 기록한 책 예레미야 애가에서 희망을 찾았습니다. 예루살렘은 바벨론 사람들에 의해 파괴되었고, 유대인들은 불확실한 포로 생활을 앞두고 있었습니다. 그 고통은 굉장했지만 하나님은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아니함 이니이다”(예레미야애가 3:22)라고 약속하셨습니다. 그들은 비록 약속의 땅에 있지 않더라도 “긍휼이 무궁하시므로”(22절) 하나님이 약속하신 사랑은 그들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

그분의 자녀들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에는 한계가 없습니다. “여호와는 나의 기업이시니 그러므로 내가 그를 바라리라”고 한 24절 말씀을 통해 조시는 깨달았습니다. “한량없는 사랑을 베푸시는 하나님계서 내게 힘을 주시니, 나는 매일 필요한 것들을 얻어 나누어줄 수 있다.”

하나님께 순종하는 삶을 살 때 우리 앞에 어떤 일이 닥치더라도 희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완벽한 지혜의 하나님은 우리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아시고, 하나님이 보시기에 가장 좋은 것을 우리에게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애가 3:19-26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예레미야애가 3:22 ]

하나님의 완전한 사랑이 어떻게 당신에게 위로와 확신을 주나요? 당신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하시는 하나님의 지혜를 어떻게 하면 믿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나의 소망은 주님께 있습니다. 주님을 기다리겠습니다.

Daily Article

04/27/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1-2; LUKE 19:28-48
Hymn: 15(old55)

GOD’S LOVE NEVER RUNS OUT

When Josie’s ill and aging father moved in with her, she felt overwhelmed by the daily needs of caring for him. The medications she needed to buy were expensive. The caregiving tasks and the wisdom needed to guide her decision-making for his worsening health condition, aside from her other “full-time” job, were wearing her down. She said, “How could I keep gathering and giving out strength, practical resources, wisdom, and love?”

Josie found hope in Lamentations, a book about the grief Jeremiah and God’s people felt. Jerusalem had been destroyed by the Babylonians, and the Jews now faced the uncertain days of exile ahead. The suffering was overwhelming, but God promised that “because of [His] great love we are not consumed” (LAMENTATIONS 3:22). His covenant love would remain with them, even if they were no longer in the promised land: “for his mercies never cease” (V. 22 NLT).

God’s love for His children has no limits. “God is my portion, my personal source of everything,” Josie realized, echoing verse 24. “I can gather and give out what’s needed each day because I draw my strength from Him, whose love never runs out.”

As we live in obedience to God, we can have hope, no matter what lies ahead. In His perfect wisdom, He knows what we need and will provide for us as He sees best.

KAREN HUANG


Today's Reading

LAMENTATIONS 3:19-26
His mercies never cease. [ LAMENTATIONS 3:22 nlt ]

How does God’s perfect love give you comfort and confidence? How can you trust His wisdom in providing what you need?

Dear God, my hope is in You. I’ll wait for You.

오늘의 말씀

04/26/2025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23-24; 누가복음 19:1-27
찬송가: 440(통497)

산만함이 아닌 행동으로

어느 학교 버스 운전기사가 운전 중 기절하면서, 학생 60명을 태운 대형 버스가 통제를 잃었습니다. 7학년 학생인 딜론 리브스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버스 앞쪽으로 달려가 아슬아슬한 순간에 브레이크를 천천히 밟았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휴대폰으로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게임을 하는 동안 휴대폰이 없었던 딜론은 고개를 들어 앞을 보고 있다가 반응을 한 것 입니다. 그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천천히 밟는 것을 전에 여러 번 보았기 때문에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있었습니다. 그가 정신을 차리고 주의를 산만 하게 하지 않은 것이 탑승한 모든 사람과 나중에 깨어난 운전자의 생명까지 구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호수아는 그의 지도자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끄는 “운전석에서” 내려오자 용기 있게 나서야 했습니다. 하나님이 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내 종 모세가 죽었으니 이제 ... 가라”(여호수아 1:2). 더욱이 하나님은 “강하고 극히 담대하여 [율법책]에서 우로나 좌로나 치우치지 말라”(7절)고 가르치셨습니다.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주의를 산만하게 하지 말고 집중하여 하나님이 주신 지시 사항을 주목하여 “주야로” 묵상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8절).

우리는 하나님과 성경에 있는 지혜(디모데후서 3:16-17)에서 눈을 떼게 만드는 화면이나 다른 것들로 인해 주의가 산만해질 수 있습니다. 그 대신 “예수님을 바라보며”(히브리서 12:2) 깨어 있으면 하나님께서 부르실 때 즉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여호수아 1:1-9
오직 강하고 극히 담대하여 나의 종 모세가 네게 명령한 그 율법을 다 지켜 행하고 [여호수아 1:7]

그리스도를 바라보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오늘 그분의 부르심을 어떻게 준비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제가 주님을 따를 때 주의가 산만해지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6/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23-24; LUKE 19:1-27
Hymn: 440(old497)

ACTION—NOT DISTRACTION

A school bus driver passed out at the wheel, and his large vehicle loaded with sixty students was careening out of control. Seventh grader Dillon Reeves burst from his seat, rushed to the front of the bus, and slowly stepped on the brake in the nick of time. While most students were busy texting or playing games on their phones, Dillon—who didn’t have a phone— had his head up and reacted. He knew to depress the brake slowly as he’d seen the driver do many times. Remaining alert and not distracted helped him save the lives of all aboard, including the driver who later revived.

Joshua had to step up courageously after his leader, Moses, was no longer “in the driver’s seat”—leading the people of Israel. God said to him, “Moses my servant is dead. Now . . . get ready” (JOSHUA 1:2). What’s more, He instructed, “Be strong and very courageous. Be careful to . . . not turn from [the Book of the Law] to the right or to the left” (V. 7). God was telling Joshua not to get distracted and to keep his focus, and to keep his eyes on the instructions He’d given—meditating on them “day and night” (V. 8).

We can be distracted by screens and other things that cause us to take our eyes off God and the wisdom found in Scripture (2 TIMOTHY 3:16-17). Instead, as we remain alert “by keeping our eyes on Jesus” (HEBREWS 12:2 NLT), we can spring into action when God calls.

TOM FELTEN

Today's Reading

JOSHUA 1:1-9
Be strong and very courageous. Be careful to obey all the law my servant Moses gave you. [ JOSHUA 1:7 ]

Why is it vital to keep your eyes on Christ?
How can you be ready for His call today?

Dear Jesus, please help me to avoid distractions
as I follow You.

오늘의 말씀

04/25/2025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21-22; 누가복음 18:24-43
찬송가: 342(통395)

믿음의 발걸음

우리는 넷이서 뉴욕의 아름다운 왓킨스 글렌 협곡을 산행했습니다. 때때로 경이로운 폭포와 200피트(약 61미터) 높이의 절벽을 바라보며 감탄에 차 함께 서 있었습니다. 또한 젖은 바위와 끝없는 계단을 오르면서 숨을 고르고 아픈 다리를 쉬려고 멈추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정상에 가까이 왔는데, 정상에 올랐다가 내려오던 한 등산객이 “10걸음만 더 가면 832 걸음이 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뒤처져 그 모든 아름다운 경치를 못 볼 수도 있었기에 그 가는 길이 얼마나 어려운지 몰랐던 것이 오히려 더 잘 된 것이었습니다.

인생의 여정에도 어려운 단계가 있습니다. 예수님과 바울은 믿는 사람 들에게 환난과 박해에 대해 경고했는데(요한복음 16:33; 디모데후서 3:12), 여기에는 좀 생각해 볼 점이 있습니다. 야고보는 “내 형제들아 너희가 여러가지 시험을 만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야고보서 1:2)고 했습니다. 왜 온전한 아픔이 아니고 온전한 기쁨으로 여기라고 했을까요? 하나님은 아십니다. 그리고 우리도 “[우리의] 믿음의 시련이 인내를 만들어 내는 줄” 압니다(3절). 그 목적은 우리가 “온전하고 구비하여 아무 부족함이 없게”(4절) 하려 함입니다.

우리에게 고통이 있을지라도 조용히 생각해보면 하나님께서 우리와 주변 사람들 내면에 아름답고 강한 성품을 만들어 주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언젠가 “주께서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생명의 면류관을 얻으리라”(12절)고 하신 진리의 말씀에 감사하게 될 것입니다. 끝까지 함께 등반하기로 합시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1-12
이는 너희 믿음의 시련이 인내를 만들어 내는 줄 너희가 앎이라 [야고보서 1:3]

당신은 지금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까? 아직은 모를 수도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어떤 성품이 자라나기를 원하실까요?

하나님, 제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이해하시고 저를 위한 좋은 계획을 가지고 계심을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4/25/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21-22; LUKE 18:24-43
Hymn: 342(old395)

STEPS OF FAITH

Four of us hiked through the beautiful Watkins Glen Gorge in New York. At times we stood together in awe as we gazed in wonder at waterfalls and two-hundred-foot cliffs. Other times, we had to stop to catch our breath and rest our hurting legs as we climbed wet rocks and endless steps. When we neared the top, a hiker heading back down said, “You’ve got only 10 steps to go of your 832.” Maybe it was best we hadn’t known how difficult the journey would be because we might have stayed back and missed the beauty of it all.

The journey of life has difficult steps too. Jesus and Paul warned believers about trouble and persecution (JOHN 16:33; 2 TIMOTHY 3:12), and this requires some perspective. James said, “Consider it pure joy . . . whenever you face trials of many kinds” (JAMES 1:2). Why pure joy instead of pure agony? God knows and we “know that the testing of [our] faith produces perseverance” (V. 3). But to what end? So that we may be “mature and complete, not lacking anything” (V. 4).

If we’ll stop and look, despite the pain, we may see the beautiful strength of character God is producing in us and those around us. And we’ll learn to appreciate the truth that one day we’ll “receive the crown of life that the Lord has promised to those who love him” (V. 12). Let’s keep climbing together.

ANNE CETAS

Today's Reading

JAMES 1:1-12
You know that the testing of your faith produces perseverance. [ JAMES 1:3 ]

What troubles are you facing? You might not see it yet, but which character traits could God want to grow in you?

Thank You, God, that You understand everything going on in my life and have good plans for me.

오늘의 말씀

04/24/2025     목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9-20; 누가복음 18:1-23
찬송가: 274(통332)

예수님께 드리는 고백

독성 물질을 남들 모르게 놔두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월 스트릿 저널’의 기사에 의하면 통신 회사들이 미국 전역에 2천개가 넘는 납을 입힌 케이블들을 방치해 왔다고 합니다. 유독성 납이 수중 케이블과 땅 속과 전봇대 같은 곳에 널려 있다는 것입니다. 납은 부식되면서 결국은 사람들이 “살고 일하고 노는” 곳에 까지 이르게 됩니다. 독성 물질의 노출 위험에 대해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던 통신회사들을 포함해 많은 회사들이 납이 외부 환경으로 스며들어가는 잠재적인 위험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나 혼자 가지고 해결하지 않은 죄의 독성도 우리 삶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사람은 죄를 지으면 자연히 그것을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이 모르게 덮어버리고 감추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과 하나님의 “율법”(잠언 28:9)에 거스르는 일에 탐닉하면서 그것을 놔두고 숨기고 변명하려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잠언은 이렇게 말합니다. “자기의 죄를 숨기는 자는 형통하지 못하나 죄를 자복하고 버리는 자는 불쌍히 여김을 받으리라”(13절).

성경은 우리가 자신의 죄를 하나님께 고백하면 하나님께서는 그 분의 풍성한 은혜로 우리를 죄로부터 깨끗케 하실 것이라고 말합니다.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요한1서 1:9). 그러므로 독소가 우리의 마음과 다른 사람의 삶에 스며들기 전에 하나님께 우리의 죄를 솔직하게 고백할 수 있게 도와달라고 간구합시다.

오늘의 성구

잠언 28:9-13
자기의 죄를 숨기는 자는 형통하지 못하나 죄를 자복하고 버리는 자는 불쌍히 여김을 받으리라 [잠언 28:13]

당신은 언제 자신의 죄를 감추고 싶은 마음이 듭니까? 죄를 감출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죄를 솔직하게 고백하고 완전히 버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4/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9-20; LUKE 18:1-23
Hymn: 274(old332)

CONFESSING TO CHRIST

Hidden and ignored sources of toxins can have severe consequences. According to a report in The Wall Street Journal, telecom companies have left behind more than two thousand lead-covered cables across the United States. The toxic lead runs underwater, “in the soil, and on poles overhead.” As the lead deteriorates, it ends up in places where people “live, work, and play.” Many telecom companies, some of which have known for years about the dangers of toxic exposure, are taking the potential risk of lead leaching into the environment very seriously.

The toxin of unconfessed and unaddressed sin can also pose serious consequences in our lives. When a person sins, there’s a natural tendency to try to cover up or conceal it from God and others. But it’s foolish to indulge in things that go against Him and His “instruction” (PROVERBS 28:9)—attempting to ignore, hide, or excuse them. As the writer reveals, “Whoever conceals their sins does not prosper, but the one who confesses and renounces them finds mercy” (V. 13).

When we confess our sins to God, Scripture reveals that He will purify us from them in His abundant grace: “If we confess our sins, he is faithful and just and will forgive . . . and purify us” (1 JOHN 1:9). So let’s ask God to help us honestly confess our sins before the toxins leach into our hearts and into the lives of others.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ROVERBS 28:9-13
Whoever conceals their sins does not prosper, but the one who confesses and renounces them finds mercy. [ PROVERBS 28:13 ]

When are you tempted to conceal your sin?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doing so?

Dear God, please help me to confess my sins honestly and forsake them completely.

오늘의 말씀

04/23/2025     수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6-18; 누가복음 17:20-37
찬송가: 283(통183)

무한한 공간 너머로!

애니메이션 영화 토이 스토리에 나오는 장난감들은 아이가 방을 나가거나 잠이 들 때마다 살아 움직입니다. 그 중에 버즈 라이트이어라고 하는 우주 경비대 장남감은 그의 대표적인 구호 “무한한 공간 너머로!”를 외치면서 침실 여기저기를 날아다닙니다.

그런데 이 표현에 많은 사람들이 갸우뚱 합니다. 무한한 공간이 제일 먼 곳이 아닌가요? 어떻게 무한한 공간 “너머”에 무엇이 또 있을 수 있을까요? 수학자 이안 스튜어트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지혜를 빌려 무한대 너머에 있는 것은 더 큰 무한대이며 이것은 계속된다는 의견을 말합니다.

예수님은 용서의 영역에서도 그런 기하급수적인 노력을 기울이시는 것 같습니다. 베드로가 예수님께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것에 대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 번까지 하오리이까”라고 물었을 때, 예수님은 “네게 이르노니 일곱 번 뿐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할지니라” 고 대답하셨습니다(마태복음 18:21-22). 예수님은 계속해서 자비를 베푼 왕과 자비를 베풀지 않은 종을 비교하여 비유로 말씀하시면서, 어떤 사람이 자신의 잘못을 진심으로 뉘우치면 우리가 용서해주어야 하는 횟수에는 제한이 없다고 강조하십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용서하시는 것처럼 다른 사람을 용서해야 합니다(33절). 몇 번이고 한이 없는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들에겐 불가능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끊임없이 하나님의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우리는 오직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만 이것을 할 수 있습니다. 용서 받은 사람은 다른 사람을 용서합니다. 무한한 공간 너머까지!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8:21-35
내가 너를 불쌍히 여김과 같이 너도 네 동료를 불쌍히 여김이 마땅하지 아니하냐 [마태복음 18:33]

누가 당신의 용서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까? 그들과 하나님을 존중하여 다른 사람을 용서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도 주님처럼 관대하고 지혜롭게 용서할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4/23/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6-18; LUKE 17:20-37
Hymn: 283(old183)

TO INFINITY AND BEYOND!

In the animated movie Toy Story, a child’s toys come to life whenever he leaves the room or falls asleep. One character, a space ranger named Buzz Lightyear, shouts his signature catchphrase while flying about the bedroom: “To infinity and beyond!”

It’s a phrase that has confused many. Isn’t infinity as far as you can go? How can there be anything “beyond” infinity? Drawing on wisdom from ancient Greek philosophers, mathematician Ian Stewart suggests that what is beyond infinity are yet bigger infinities. On and on and on.

Jesus seems to employ such exponential effort in the realm of forgiveness. When Peter asked Jesus about forgiving another person, “How many times must I forgive him . . . seven times?” Jesus answered, “I tell you, you must forgive him more than seven times. You must forgive him even if he wrongs you seventy times seven” (MATTHEW 18:21-22 NCV). Jesus goes on to tell a parable comparing a merciful king and an unmerciful servant, making the point that when someone truly regrets their error,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times we’re to forgive. We’re to forgive others the way God forgives us (V. 33). Over and over, on and on.

That may seem impossible to us. That’s why we constantly need to ask God for His help.

Only in His strength can we do this. Forgiven people forgive people. To infinity and beyond!

ELISA MORGAN

Today's Reading

MAT THEW 18:21-35
Shouldn’t you have had mercy on your fellow servant just as I had on you? [ MATTHEW 18:33 ]

Who longs for your forgiveness? What does it mean to forgive another in a way that honors them and God?

Dear Father, please help me to be as generous and wise with forgiveness as You are.

오늘의 말씀

04/22/2025     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4-15; 누가복음 17:1-19
찬송가: 218(통369)

하나님의 사랑으로 사랑하기

프랑스 르 샹봉 지역의 주민들은 나치 점령 기간 동안 상당수 유대인 어린이들을 포함해 5천명이나 되는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온갖 위험을 감수했습니다. 고향을 떠나온 난민들은 그 지역의 집과 농장에 숨겨졌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너희는 나그네를 사랑하라 전에 너희도 애굽 땅에서 나그네 되었음이니라”는 신명기 10장 19절 말씀을 인용하며 회중에게 도움을 요청한 앙드레 트로크메 목사님에게 감명을 받았던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어진 이 명령은 온 땅이 “능하시며 두려우신”(17절) 하나님의 것임을 상기시키는 구절로 시작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사랑하기로 하셨습니다(15절). 또한 이스라엘에 속하지 않은 외국인들을 포함하여 취약하거나 낯선 상황에 있는 사람들을 돌보셨습니다(18절). 외국인으로서 겪는 어려움을 경험으로 알고 있었던 이스라엘 백성은 새 땅에 정착하면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과 보살핌을 본받아야 했던 것입니다(19절).

우리가 오랫동안 한 직장을 다녔거나 같은 집에서 몇 년을 살았다면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직장동료에게 유익한 도움이 되는 말을 해주거나 새로 이사온 가족에게 도움을 주어 “외국인”처럼 느낄 수 있는 사람들에게 친절을 베풀 기회를 주실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익숙하지 않고 어쩌면 취약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10:14-19
너희는 나그네를 사랑하라 전에 너희도 애굽 땅에서 나그네 되었음이니라 [신명기 10:19]

누군가가 당신에게 친절을 베풀었던 때는 언제였나요?
다른 사람을 어떻게 돌볼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주님의 사랑과 보살핌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2/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4-15; LUKE 17:1-19
Hymn: 218(old369)

LOVING OTHERS WITH GOD’S LOVE

The people of Le Chambon, France, risked everything to help save the lives of as many as five thousand individuals, many of them Jewish children, during the Nazi occupation. The refugees fleeing their homes were hidden in the community’s homes and farms. The townspeople were inspired by pastor André Trocmé, who called on his congregation to help by referencing the words of Deuteronomy 10:19, “You are to love those who are foreigners, for you yourselves were foreigners in Egypt.”

This command given to the Israelites comes in a passage that begins with the reminder that the whole earth belongs to God, who is “mighty and awesome” (V. 17). Yet God chose to love the Israelites (V. 15). He also cares for people in vulnerable or unfamiliar situations (V. 18), including foreigners who weren’t part of the nation of Israel. As the Israelites settled in their new home, they were to imitate God’s love and care for those needing help, especially because they knew the unique struggles of being a foreigner (V. 19).

If we’ve been at a job a long time or lived in the same home for several years, God may give us the opportunity to show kindness to someone who feels like a “foreigner,” perhaps by providing helpful advice to a new coworker or assistance to a recently relocated family. When we do, we demonstrate God’s love to those in unfamiliar, and often vulnerable, situations.

LISA M. SAMRA

Today's Reading

DEUTERONOMY 10:14-19
You are to love those who are foreigners, for you yourselves were foreigners in Egypt. [ DEUTERONOMY 10:19 ]

When did someone show you kindness?
How might you care for someone else?

Heavenly Father, please help me to extend Your love and care to others.

오늘의 말씀

04/21/2025     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2-13; 누가복음 16
찬송가: 252(통184)

대청소

11월의 추운 어느 날, 우리 교회에서는 노숙자들에게 나눠줄 배낭 200개를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배낭을 채우기 위해 기증받은 물품들을 분류하며 새 장갑이나 모자, 양말, 담요를 찾기를 기도 했습니다. 칠리 소스와 샌드위치도 있으면 선물로 나눌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다 나를 놀라게 한 물건이 나왔는데 바로 세수수건이었습니다. 나는 그동안 사람들이 따뜻하고 배고프지 않게 지내는 것만 생각했는데, 누군가가 선물을 받을 사람들에게 필요한 청결한 느낌을 생각했던 것입니다.

성경은 또 다른 “깨끗함”, 곧 마음과 영의 깨끗함에 대해 말합니다. 예수님은 율법학자들과 바리새인들의 위선을 질책하시며 이 점을 지적 하셨습니다. 그들은 율법의 가장 작은 규칙은 지키면서 “율법의 더 중한 바 정의와 긍휼과 믿음은 버렸도다”(마태복음 23:23)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그들에게 “잔과 대접의 겉은 깨끗이 하되 그 안에는 탐욕과 방탕으로 가득하게 하는도다 눈 먼 바리새인이여 너는 먼저 안을 깨끗이 하라 그리하면 겉도 깨끗하리라”(25-26절)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깨끗해지는 것을 구하지 않고 영적으로 흠이 없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단지 보여주기 위한 쇼일 뿐입니다. 옛 찬송가는 묻습니다. “무엇이 내 죄를 씻어 줄 수 있을까? 예수의 피 밖에 없네.” 세수수건은 우리의 겉을 씻어주는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내면을 깨끗게 하시고, 우리의 가장 큰 죄까지도 씻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3:23-26
먼저 안을 깨끗이 하라 [마태복음 23:26]

당신은 어느 부분에서 영적 대청소가 필요합니까? 오늘 어떻게 자신을 깨끗하게 해 달라고 예수님께 기도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의 내면을 영적으로 깨끗하게 씻어주소서.

Daily Article

04/21/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2-13; LUKE 16
Hymn: 252(old184)

DEEP CLEAN

On a frigid November day, our church hoped to fill two hundred backpacks for the homeless. Preparing to help fill them, I sorted through the items donated, praying to find new gloves, hats, socks, blankets. Bowls of chili and sandwiches would also be shared with those who were to receive the gifts. Then I noticed an item that surprised me: washcloths. I’d been focusing on helping people stay warm and fed. Someone had remembered to help our recipients feel clean.

The Bible speaks about another kind of “clean”—cleanliness of heart and spirit. Jesus pointed this out as He decried the hypocrisy of the teachers of the law and the Pharisees. They kept the smallest requirements of the law, but “neglected the more important matters of the law—justice, mercy and faithfulness” (MATTHEW 23:23). Christ told them, “You clean the outside of the cup and dish, but inside they are full of greed and selfindulgence. First clean the inside of the cup and dish, and then the outside also will be clean” (VV. 25-26).

Acting as if we are spiritually spotless is just a show if we don’t seek the cleansing found in Christ. “What can wash away my sin?” asks an old gospel song. “Nothing but the blood of Jesus.” A new washcloth can be a gift to wash us on the outside. Jesus cleans us on the inside, washing away even the worst of our sins.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MAT THEW 23:23-26
[Jesus said], “First clean the inside of the cup.” [ MATTHEW 23:26 ]

Where do you need spiritual deep-cleaning? How can you pray for Christ to cleanse you today?

Please clean me spiritually on the inside, dear Jesus.

오늘의 말씀

04/20/2025     주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9-11; 누가복음 15:11-32
찬송가: 162(통151)

최고의 증거

리는 하나님도, 예수님의 부활도 믿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분석적 사고를 하는 언론인이었습니다. 그의 아내가 예수님을 믿게 되자 그는 아내의 새로운 믿음에 대해 자기가 직접 공부해 보기로 했습니다. 2년 간의 연구 끝에 그는 하나님께 항복하며 부활도 믿고 예수님도 믿게 되었습니다.

그의 내면의 변화는 겉으로도 나타났습니다. 몇 달이 지나서 그들의 다섯 살 난 딸이 “엄마, 하나님이 나도 아빠처럼 바꾸어 주었으면 좋겠어요.” 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리 스토로벨의 딸도 예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이 부활을 믿으려 하지 않았지만, 신뢰할 만한 목격자들이 부활하신 예수님을 보았습니다. 그 목격자들 중 하나인 제자 베드로가 다윗 왕은 분명히 죽어서 묻혔다고 많은 군중에게 이야기 했습니다(사도행전 2:29). 이어서 베드로는 다윗이 말했던 예언을 들어 이야기했습니다. “(다윗이) 그리스도의 부활을 말하였다”(31절)라고 한 것입니다. 베드로의 결론은 이것이었습니다. “이 예수를 하나님이 살리신지라 우리가 다 이 일에 대해 증인이로다”(32절).

부활의 가장 확실한 증거는 베드로를 포함한 목격자들의 삶에 나타난 변화입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히실 때 제자들은 달아나 숨었습니다. 베드로는 심지어 예수님을 부인하기까지 했습니다(요한복음 18:15-17, 25-27). 그러나 부활하여 살아 계신 예수님을 보게 되자 모든 것이 바뀌었습니다. 용기 충만한 그들은 이 세상의 가장 위대한 소망인 부활하신 예수님을 증거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29-36
이 예수를 하나님이 살리신지라 우리가 다 이 일에 증인이로다 [사도행전 2:32]

예수님의 부활에 대해 어떤 것을 믿습니까?
그 믿음이 당신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나요?

하나님 아버지, 저의 삶을 변화시키고 진정한 소망을 주신 예수님의 부활하신 사실에 정말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4/20/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9-11; LUKE 15:11-32
Hymn: 162(old 151)

THE BEST EVIDENCE

Lee didn’t believe in God, and he didn’t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Jesus. But Lee was a journalist with an analytical mind. When his wife believed in Jesus, he decided to study her new faith for himself. After two years of research, he gave in—to God, to the resurrection, to faith in Christ.

The change in him was noticeable. After a few months, his five-year-old daughter said to his wife, “Mommy, I want God to do for me what he’s done for Daddy.” And the daughter of Lee Strobel put her faith in Jesus too.

Many people refuse to believe in the resurrection. But reputable eyewitnesses saw the risen Jesus. One of those eyewitnesses, the disciple Peter, told a large crowd that King David was certainly dead and buried (ACTS 2:29). Then Peter pointed to a prophecy David had made. “[David] spoke of the resurrection of the Messiah,” he said (V. 31). Peter concluded, “God has raised this Jesus to life, and we are all witnesses of it” (V. 32).

The best evidence for the resurrection is the changed lives of the eyewitnesses, including Peter. At the crucifixion, the disciples had gone into hiding. Peter actually denied Christ (JOHN 18:15-17, 25-27). Once they saw Jesus alive, everything changed. Filled with courage, they began to share the truth of the one great hope of the world—the risen Christ.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AC TS 2:29-36
God has raised this Jesus to life, and we are all witnesses of it. [ ACTS 2:32 ]

What do you believe about the resurrection of Jesus?
How does that belief affect your life?

Father, I’m so grateful for the reality of Jesus’ resurrection that changes my life and gives me real hope.

오늘의 말씀

04/19/2025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6-8; 누가복음 15:1-10
찬송가: 84(통96)

예수님으로 옷 입고

런던 패션 칼리지의 패션 심리학자 로즈 터너는 사람들이 입는 옷이 그들의 생각과 행동, 심지어 기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옷은 우리 몸에 가장 밀접한 것으로 “두번째 피부”라 할 수도 있고, 그날 그날의 일정에 맞추어 입을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무복을 입으면 일터에서 “동기부여와 집중에 도움이 되고,” 옛 향취가 깃든 고풍스런 옷을 입으면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마음을 편하게 해줍니다.

이런 심리적 현상은 예수님의 대속의 사건에 대한 이사야의 예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는 미래에 유대인들이 바빌론의 포로에서 구출될 것을 기록합니다. 그러면서 그들이 고향을 떠난 동안에 “오래 황폐하였던 곳을 다시 쌓을 것이며 옛부터 무너진 곳을 다시 일으킬 것”(이사야 61:4) 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 날에 그들은 “공의의 겉옷을”(10절) 입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사야의 예언은 첫째 이스라엘 백성들의 예루살렘 귀환으로 이루어졌고, 나중에는 “우리를 대신하여 (예수님을) 죄로 삼으신 것은... 우리로 하여금 그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심이라”(고린도후서 5:21)고 하신 말씀으로 완성되었습니다. 의는 우리가 예수님의 대속을 믿어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죄로 인해 수치와 불명예의 옷을 입은 모습으로 보지 않으십니다. 대신에 우리를 예수님의 영원한 의의 옷을 입은 모습으로 보십니다. 이 옷이 우리에게 “두번째 피부”이며, 오늘과 그리고 영원히 우리에게 기쁨의 옷이 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1:4-11
그가 구원의 옷을 내게 입히시며 공의의 겉옷을 내게 더하심이라 [이사야 61:10]

당신은 매일 어떤 부끄러움의 “옷을 입고” 지내십니까?
어떻게 하면 당신이 입은 공의의 옷을 더 잘 기억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당신의 의로운 옷을 저에게 입혀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4/19/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6-8; LUKE 15:1-10
Hymn: 84(old d96)

CLOTHED IN CHRIST

Rose Turner, a fashion psychologist at the London College of Fashion, studies the impact clothing has on how people think, how they behave, and even how clothes affect their mood. As the closest thing to our bodies, clothing forms a type of “second skin” and girds us for whatever the day might hold. For example, donning professional attire can “help with motivation and concentration” at work, and wearing vintage pieces with sentimental value can bring comfort during stressful situations.

This psychological phenomenon offers an insight into Isaiah’s prophetic words about Jesus’ sacrificial act. He records the future deliverance of the Jews from their captivity in Babylon, assuring them they would one day “rebuild the ancient ruins and restore the places long devastated” in their absence (ISAIAH 61:4). In that day, they would wear “a robe of his righteousness” (V. 10).

Isaiah’s prophecy was fulfilled first in the nation’s return to Jerusalem and then fully when “God made [Jesus] . . . sin for us, so that in him we might become the righteousness of God” (2 CORINTHIANS 5:21). Righteousness describes our right relationship with God when we trust in Christ’s sacrifice. God doesn’t see us outfitted in shame or disgrace because of our sin; instead, He sees us clothed in Jesus’ enduring righteousness—a “second skin” that girds us with joy today and for eternity.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ISAIAH 61:4-11
He has clothed me with garments of salvation and arrayed me in a robe of his righteousness. [ ISAIAH 61:10 ]

What shame do you “put on” every day? How can you better remember your robe of righteousness?

Thank You, Jesus, for clothing me in Your righteousness.

오늘의 말씀

04/18/2025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3-5; 누가복음 14:25-35
찬송가: 483(통532)

애도에서 찬양으로

다섯 개의 예쁜 꽃잎을 가진 물망초의 이름에는 몇 가지 전설이 있습니다. 그 중 독일의 전설이 있는데, 이야기에 따르면 하나님이 모든 피조물의 이름을 지으실 때 어느 작은 꽃 하나가 자신을 못 볼까 봐 걱정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꽃이 “주님, 저를 잊지 말아 주세요.”라고 외쳤다고 합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그 꽃의 이름을 그렇게 지어 주셨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의 이야기일 뿐이지만 물망초는 사랑과 기억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잊혀진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경험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억된다는 것’, 특히 하나님께 기억되는 것은 우리 마음 속의 진정한 소망입니다. 우리는 그 이야기를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 속에서 발견합니다. 누가는 “또 다른 두 행악자도 사형을 받게 되어 예수와 함께 끌려 가니라”(23:32) 고 기록합니다. 그들이 십자가에서 못박힐 때 예수의 곁에 있던 한 죄수가 갑자기 깨달은 것이 있어 이렇게 말했습니다.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42절). 이에 대해 예수님은 우리가 늘 기억하는 이 대답을 하셨습니다.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43절).

참으로 놀라운 순간입니다! 그 죄인은 인생 최악의 시간에 하나님의 아들이 자기를 기억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았던 것입니다.

우리도 도움이 필요한 그 순간에 주님이 기억하실 것입니다.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를 위해 죽기까지 하신 하나님은 우리를 결코 잊지 않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32-34, 39-43
이르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 [누가복음 23:42]

당신은 잊혀졌다는 느낌이 언제 있었습니까? 오늘 어떻게 예수님께 슬픔을 찬양으로 바꾸어 달라고 맡겨드리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제가 잊힌 것 같다고 느낄 때에 제 삶 속에 사랑으로 함께 거하시는 하나님을 기억하게 하시고 주의 은혜로 저를 격려해 주소서.

Daily Article

04/18/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3-5; LUKE 14:25-35
Hymn: 483(old 532)

LAMENT TO PRAISE

Several legends surround the naming of the beautiful fivepetaled flower the forget-me-not. Among those stories is one from a German legend. According to the story, as God named all the plants He’d created, one little flower worried that it would be overlooked. So the flower called out “Forget-me-not, O Lord.” And that’s the name God gave to it.

Though this is only a story, the forget-me-not has become a symbol of love and remembrance. Yet all of us have experienced what it feels like to be forgotten. To be remembered—especially to be remembered by our God—is our heart’s true desire. We find just such a story in the account of the crucifixion of Jesus. Luke tells us, “Two other men, both criminals, were also led out with [Jesus] to be executed” (23:32). As they were being crucified, one criminal next to Christ suddenly understood. He said, “Jesus, remember me when you come into your kingdom” (V. 42). Christ’s response was unforgettable: “Truly I tell you, today you will be with me in paradise” (V. 43).

What an amazing moment! In his darkest hour, that criminal learned what it meant to be remembered by the Son of God.

We too are remembered in our hour of need. The God who loved us enough to die for us will never forget us.

BILL CROWDER

Today's Reading

LUKE 23:32-34, 39-43
He said, “Jesus, remember me when you come into your kingdom.” [ LUKE 23:42 ]

When have you felt forgotten? How will you turn to Jesus today and permit Him to turn your lament into praise?

Dear Father, in those moments when I may feel forgotten, please remind me of Your abiding, loving presence in my life and encourage me with Your grac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