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13/2023 목요일
찬양의 눈물
다윗은 “성전 낙성가”라 불리는 이 시편에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자비하심을 경배했습니다(1-3절). 그는 다른 사람들에게 “그의 거룩한 이름을 찬양하라”(4절)고 격려했습니다. 그리고 다윗은 고난과 소망을 밀접히 연결시키시는 하나님을 깊이 생각했습니다(5절). 그는 슬픔과 기쁨의 시간, 안정과 낙담의 시간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으며(6-7절), 도움을 청하는 그의 부르짖음에도 하나님에 대한 확신이 있었습니다(7-10절). 다윗의 찬양의 메아리는 그의 통곡과 춤, 슬픔과 기쁨의 순간들을 하나로 엮은 것이었습니다 (11절). 다윗은 고난과 함께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대하는 이 신비한 복합성을 잘 알고 있는 듯, 하나님께 대한 그의 끝없는 헌신을 노래했습니다(12절).
우리도 다윗처럼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여 내가 주께 영원히 감사하리이다”(12절)라고 노래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행복할 때나 불행할 때나 하나님은 그분에 대한 신뢰를 선언하도록 우리를 도우시고, 기쁨의 외침과 찬양의 눈물로 그분을 예배하도록 인도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0주님을 믿는 성도들아, 주님을 찬양하여라. 그 거룩한 이름을 찬양하여라.
[시편 30:4, 새번역]
하나님께서 어떻게 당신의 복잡한 감정 속에서 그분을 신뢰하게 하셨습니까?
어떻게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복잡한 심정을 가눠야 할 때에도 주님을 신뢰하고 찬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3/2023 THURSDAY
TEARS OF PRAISE
In David’s song “for the dedication of the temple,” he worshiped God for His faithfulness and mercy (VV. 1–3). He encouraged others to “praise his holy name” (V. 4). Then David explored how intimately God entwines hardship and hope (V. 5). He acknowledged times of grief and rejoicing, times of feeling secure and being dismayed (VV. 6–7). His cries for help remained laced with confidence in God (VV. 7–10). The echo of his praise wove through David’s moments of wailing and dancing, grief and joy (V. 11). As if acknowledging the mystery and complexity of enduring affliction and anticipating God’s faithfulness, David proclaimed his endless devotion to God (V. 12).
Like David, we can sing, “Lord my God, I will praise you forever” (V. 12). Whether we’re happy or hurting, God can help us declare our trust in Him and lead us to worship Him with joyful shouts and tears of prais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30Sing the praises of the Lord, you his faithful people; praise his holy name.
[ PSALM 30:4 ]
How has God helped you trust Him with your mixed emotions?
How can you praise Him while still processing hardship?
Dear God, please help me trust You and praise You as I process my emotions.
오늘의 말씀
04/12/2023 수요일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하나님
나는 그 전화를 받고 나서 성경에 나오는 또 다른 “전화”가 생각났습니다. 한밤 중에 하나님께서 어린 사무엘을 부르셨습니다(사무엘상 3:4-10). 그 목소리를 세 번 듣는 동안 사무엘은 엘리 제사장이 부르는 줄 알았습니다. 마침내 사무엘은 엘리 제사장의 말대로 하나님께서 자기를 부르신다는 것을 깨닫고 “말씀하옵소서 주의 종이 듣겠나이다”(10절)라고 했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낮에나 밤에나 우리에게 말씀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전화가 오면 받아야” 합니다. 그것은 하나님 앞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그분의 음성을 듣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나는 “그 전화”에 대해 달리 이렇게 생각해 보았습니다. 만약 ‘우리’가 때때로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사람이 되면 어떨까? 다른 사람들을 도울 방법이 우리에게 전혀 없다고 느낄지도 모르겠지만,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오늘 너와 함께 잠깐 기도해도 되겠니?”하고 물어봐도 좋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3:3-10사무엘이 이르되 말씀하옵소서 주의 종이 듣겠나이다 하니
[사무엘상 3:10]
요즈음 누구로부터 어떤 격려의 메시지를 받아 보았습니까?
당신이 전화로 누구를 격려해 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지혜로 격려할 수 있는 사람들을 생각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2/2023 WEDNESDAY
GOD SPEAKING TO US
That call reminded me of another “call” in Scripture—God called out to the young boy Samuel in the middle of the night (1 SAMUEL 3:4–10). Three times Samuel heard the voice, thinking it was the elderly priest Eli. The final time, following Eli’s instruction, Samuel realized that God was calling him: “Speak, for your servant is listening” (V. 10). Likewise, through our days and nights, God may be speaking to us. We need to “pick up,” which might mean spending more time in His presence and listening for His voice.
I then thought of “the call” in another way. What if we sometimes are the messenger of God’s words to someone else? We might feel we have no way of helping others. But as God guides us, we could phone a friend and ask, “Would it be okay if I just prayed with you today?”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1 SAMUEL 3:3–10Then Samuel said, “Speak, for your servant is listening.”
[ 1 SAMUEL 3:10 ]
What message of encouragement did someone recently share with you?
Who might be encouraged by a phone call from you?
Dear God, prompt me to think of others whom I can encourage with Your wisdom.
오늘의 말씀
04/11/2023 화요일
기회를 잡으라
이신은 바울 사도가 디모데에게 권한 대로 “전도자의 일을 한”(디모데후서 4:5) 것입니다. 바울은 사람들이 ‘들어야 할’ 말을 전하는 선생이 아니라 ‘듣고 싶은’ 말을 전하는 선생을 찾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3-4절). 그럼에도 그는 디모데에게 용기를 갖고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항상 힘쓸” 것을 요구했습니다. 디모데는 “범사에 오래 참음과 가르침으로 경책하며 경계하며 권하는”(2절) 일에 힘썼습니다.
우리 모두가 전도자나 설교자로 부름받은 것은 아니지만, 누구나 주변 사람들과 신앙을 나누는데 각자의 역할을 맡을 수 있습니다. 믿지 않는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몰라 죽어가고 있기에 믿는 사람들에게 힘과 용기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는 대로 하나님의 복음을 선포합시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4:1-5전도자의 일을 하라
[디모데후서 4:5]
무엇 때문에 당신의 믿음을 전하지 못하고 주저하고 있습니까?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것을 기억하면 두려움을 이기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기회가 있을 때마다 주님의 말씀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 그들도 주님 안에서 희망과 위안을 찾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1/2023 TUESDAY
SEIZE THE OPPORTUNITY
Shin Yi did what the apostle Paul encouraged Timothy to do: “Do the work of an evangelist” (2 TIMOTHY 4:5). Paul warned that people would find teachers who would tell them what they wanted to hear and not what they needed to hear (VV. 3–4). Yet Timothy was called to take courage and “be prepared in season and out of season.” He was to “correct, rebuke and encourage—with great patience and careful instruction” (V. 2).
Though not all of us are called to be evangelists or preachers, each one of us can play a part in sharing our faith with those around us. Unbelievers are perishing without Christ. Believers need strengthening and encouragement. With God’s help, let’s proclaim His good news whenever and wherever we can.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2 TIMOTHY 4:1–5Do the work of an evangelist.
[ 2 TIMOTHY 4:5 ]
What discourages you from sharing your faith?
How might remembering that Jesus is coming back help you to overcome your fear?
Dear Jesus, help me to seize every opportunity to share Your words with others that they may find hope and comfort in You.
오늘의 말씀
04/10/2023 월요일
약할 때 강함
하나님은 기드온 군대가 미디안과 맞서기 전 그들의 군사력을 의도적으로 줄이셨습니다. 먼저, 두려움에 떠는 이만 이천 명을 집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사사기 7:3). 그러고 나서 남은 만 명 중에서도 손으로 물을 떠서 마시는 사람들만 남게 했습니다. 결국 남은 사람은 삼백 명에 불과했고, 이 같은 열세로 그 이스라엘 사람들은 자신들의 힘을 의지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5-6 절). 그들은 “내 손이 나를 구원하였다”(2절)고 말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우리도 무력하고 무능하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나도 같은 일을 당하고서 하나님이 절실히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성령님을 통해 나의 내면을, 친구와 가족의 도움을 통해 나의 외적인 면을 보살펴 주셨습니다. 혼자 해내려는 방식을 한동안 내려놓게 되면서 온전히 하나님을 의지하는 법을 배우게 된 것입니다.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 짐이라” (고린도후서 12:9)고 하신 말씀처럼 우리는 스스로 할 수 없을 때 비로소 참 소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사기 7:1-9여호와께서 기드온에게 이르시되 너를 따르는 백성이 너무 많은즉
[사사기 7:2]
하나님의 능력으로 당신의 약함이 온전해진 경험이 있습니까?
당신은 약함 중에 있는 누군가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하나님, 제가 약할 때라도 제 삶으로 하나님의 능력을 드러내고 싶습니다.
매일 하나님을 더 의지하며 제가 힘들 때에 하나님의 능력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0/2023 MONDAY
STRENGTH IN WEAKNESS
would have on the rhythm of our lives.
God intentionally weakened Gideon’s forces before his troops confronted the Midianites. First, those who were afraid were allowed to leave—twenty-two thousand men went home (JUDGES 7:3). Then, of the ten thousand who remained, only those who scooped water into their hands to drink could stay. Just three hundred men were left, but this disadvantage prevented the Israelites from relying on themselves (VV. 5–6). They couldn’t say, “My own strength has saved me” (V. 2).
Many of us experience times when we feel drained and powerless. When this happened to me, I realized how much I needed God. He encouraged me inwardly through His Spirit and outwardly through the helpfulness of friends and family. I had to let go of my independence for a while, but this taught me how to lean more fully on God. Because “[His]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2 CORINTHIANS 12:9), we can have hope when we can’t meet our needs on our own.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JUDGES 7:1–9The Lord said to Gideon, “You have too many men.”
[ JUDGES 7:2 ]
How have you experienced God’s power made perfect in your weakness?
How could you help someone else who’s experiencing weakness?
God, I want my life to display Your power, even in weakness.
Help me to depend more on You each day, and to feel Your strength when I struggle.
오늘의 말씀
04/09/2023 주일
가장 필요한 치유
예수님은 이 땅에서의 사역 초기에 맹인 바디메오(마가복음 10:46-52), 나병환자(누가복음 5:12-16), 그리고 중풍병자(마태복음 9:1-8)와 같이 육체적으로 고통받는 많은 사람들을 고쳐주셨습니다. 예수님이 한 끼 식사를 가지고 배고픈 큰 무리를 먹이신 예에서 보는 것처럼, 주님은 그를 따르는 이들의 건강도 돌봐 주셨습니다(요한복음 6:1-13). 이런 기적들은 모두 예수님의 전능한 능력과 사람들을 향한 그분의 참된 사랑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가장 위대한 치유는 이사야 선지자가 예언한 대로 그의 죽으심과 부활을 통해서 왔습니다. 우리의 죄 때문에 하나님과 단절되는 가장 큰 절망 속에서 “[예수님이]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은”(이사야 53:5)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의 모든 건강 문제들을 다 고쳐 주시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치유를 행하시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그 치유는 바로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관계의 회복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3:4-6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이사야 53:5]
기적적인 하나님의 영적 치유를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예수님의 희생으로 회복된 관계가 육체의 질병을 이겨내는 데 어떤 도움을 주고 있습니까?
예수님, 주님의 희생으로 저의 영적인 병을 고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육신의 질병 속에서도 주님을 의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09/2023 SUNDAY
DEEPER HEALING
Jesus healed many people of their physical afflictions during His earthly ministry: blind Bartimaeus (10:46–52), a leper (LUKE 5:12–16), and a paralytic (MATTHEW 9:1–8), to name a few. His care for the health of those following Him was also demonstrated in providing for their hunger by multiplying a simple meal to feed the masses (JOHN 6:1–13). Each of these miracles reveal both Jesus’ mighty power and His genuine love for people.
His greatest act of healing, however, came through His death and resurrection, as foretold by the prophet Isaiah. It is “by [Jesus’] wounds we are healed” of our worst affliction: our separation from God as a result of our sins (ISAIAH 53:5). Though Jesus doesn’t heal all our health challenges, we can trust the cure for our deepest need: the healing He brings to our relationship with God.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ISAIAH 53:4–6By his wounds we are healed.
[ ISAIAH 53:5 ]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miraculous spiritual healing of God?
How does your healed relationship through Jesus’ sacrifice help you bear up under your physical ailments?
Jesus, thank You for Your sacrifice that brings healing to my spiritual sickness.
Help me to trust You in my physical challenges.
오늘의 말씀
04/08/2023 토요일
예수님께 달려가기
그 그림은 요한복음 20:1-10 말씀을 바탕으로 예수님의 빈 무덤으로 달려가는 두 사람을(4절)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명화는 감정적인 혼돈에 휩싸인 두 제자의 생생한 모습을 포착하고 있습니다. 그때 그들에게 온전히 형성된 믿음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그들은 올바른 방향으로 달려갔으며 마침내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습니다(19-29절). 그들의 모습은 지금까지 수 세기 동안 예수님을 찾았던 사람들의 모습과 다르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빈 무덤이나 명화를 보는 경험이 없어도 복음을 생생히 알 수 있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의심이나 의문, 확신 못하는 것이 있어도 예수님과 그분의 사랑을 소망하고 추구하며 그 방향으로 달려가라고 강권합니다. 내일 부활절을 기쁘게 맞으며, “너희가 온 마음으로 나를 구하면 나를 찾을 것이요 나를 만나리라”(예레미야 29:13)고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억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0:1-10둘이 같이 달음질하더니 그 다른 제자가 베드로보다 더 빨리 달려가서 먼저 무덤에 이르러
[요한복음 20:4]
당신이 아직 예수님을 모르고 있다면 예수님과 그분의 사랑을 향한 첫걸음을 어떻게 내디디겠습니까?
예수님을 영접했다면 그분의 사랑을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주겠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오늘 저를 주님의 사랑의 품으로 이끌어 주소서.
Daily Article
04/08/2023 SATURDAY
RUNNING TO JESUS
Based on John 20:1–10, the painting portrays the two running in the direction of the empty tomb of Jesus (V. 4). The masterpiece captures the intensity of the two emotionally conflicted disciples. Though at that juncture theirs wasn’t a fully formed faith, they were running in the right direction, and eventually the resurrected Jesus revealed Himself to them (VV. 19–29). Their search was not unlike that of Jesus seekers through the centuries. Although we may be removed from the experiences of an empty tomb or a brilliant piece of art, we can clearly see the good news. Scripture compels us to hope and seek and run in the direction of Jesus and His love—even with doubts, questions, and uncertainties. Tomorrow, as we celebrate Easter, may we remember God’s faithfulness: “You will seek me and find me when you seek me with all your heart” (JEREMIAH 29:13).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JOHN 20:1–10Both were running, but the other disciple outran Peter and reached the tomb first.
[ JOHN 20:4 ]
If you don’t know Jesus, what will you do to begin running toward Him and His love?
If you’re a believer, how will you share His love with others?
Dear Jesus, lead me into Your loving arms today.
오늘의 말씀
04/07/2023 금요일
핏방울
제자 유다가 배반할 것을 예견하신 날 밤, 예수님은 산자락에 올리브 나무로 가득하여 감람산이라고 알려진 산으로 가서 기도하셨습니다. 배반당하여 십자가의 고난을 겪게 될 것을 아셨던 예수님은 매우 괴로워하시며 “땀이 땅에 떨어지는 핏방울같이 되도록”(누가복음 22:44) 기도하셨습니다. 예수님은 그 동산에서, 오래전 그 성금요일에 피를 흘리게 될 공개 처형으로 인해 겪게 될 고통과 수치를 준비하시며 고통스러워하셨습니다.
반 고흐의 그림에 있는 붉은색 물감은 예수님이 “많은 고난을 받고 버린 바”(마가복음 8:31) 되셔야 했던 사실을 떠올려 줍니다. 그러나 고난이 주님의 이야기의 한 부분이긴 하지만 더 이상 그 그림을 지배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죽음을 이기신 예수님의 승리는 우리의 고난조차도 변화시켜, 주님께서 창조하시는 우리 삶의 아름다운 풍경의 한 부분이 되게 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2:39-44땀이 땅에 떨어지는 핏방울 같이 되더라
[누가복음 22:44]
예수님의 고난을 기억하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예수님이 보이신 본이 당신이 고난을 받을 때 어떤 도움을 줍니까?
예수님, 저에게 영생을 주시려고 기꺼이 죽기까지 고난받으심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4/07/2023 FRIDAY
DROPS OF RED
Known as the Mount of Olives because of all the olive trees located on the mountainside, Jesus went there to pray on the night that He predicted His disciple Judas would betray Him. Jesus was overwhelmed with anguish knowing the betrayal would result in His crucifixion. As He prayed, “his sweat was like drops of blood falling to the ground” (LUKE 22:44). Jesus’ agony was evident in the garden as He prepared for the pain and humiliation of a public execution that would result in the physical shedding of His blood on that Good Friday long ago.
The red paint on Van Gogh’s painting reminds us that Jesus had to “suffer many things and be rejected” (MARK 8:31). While suffering is part of His story, however, it no longer dominates the
picture. Jesus’ victory over death transforms even our suffering, allowing it to become only a part of the beautiful landscape of our lives He’s creating.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LUKE 22:39–44His sweat was like drops of blood falling to the ground.
[ LUKE 22:44 ]
Why is it important for you to remember Jesus’ suffering?
How does His example help you when you suffer?
Jesus, thank You for being willing to suffer, even to death, so that I might receive eternal life.
오늘의 말씀
04/06/2023 목요일
섬김에의 도전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도 이런 섬김에의 도전이 주어집니다. 모든 사람을 위해 돌아가시기 전날 밤, 예수님은 친구들과 식사를 함께 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3:1-2). 곧 다가올 고통과 죽음을 잘 알고 계셨던 주님은 식사 자리에서 일어나 수건을 몸에 두르시고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셨습니다(3-5절). 주님은 “내가 주와 또는 선생이 되어 너희 발을 씻었으니 너희도 서로 씻어주는 것이 옳으니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14절).
겸손한 종으로 우리의 본이 되신 예수님은 사람들을 돌보는 일에 힘쓰셨습니다. 눈먼 자와 병자를 고치셨고, 천국 복음을 가르치셨으며, 친구들을 위해 목숨을 버리셨습니다. 당신을 사랑하시는 그리스도께 이번 주에 누구를 섬기길 원하시는지 여쭈어보십시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3:3-15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마태복음 20:28]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이 어떤 의미로 가장 다가옵니까?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일에 당신의 은사와 재능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어떻게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그 사랑으로 다른 이들을 사랑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4/06/2023 THURSDAY
THE CHALLENGE TO SERVE
The challenge to serve comes to believers in Jesus as well. The evening before He would die for all people, Jesus ate dinner with His friends (JOHN 13:1–2). He was well aware of the suffering and death He would soon encounter, yet He got up from the meal, wrapped a towel around Himself, and began to wash His disciples’ feet (VV. 3–5). “Now that I, your Lord and Teacher, have washed your feet, you also should wash one another’s feet,” He said (V. 14).
Jesus, the humble Servant and our example, cared for people: He healed the blind and sick, taught the good news of His kingdom, and gave His life for His friends. Because Christ loves you, ask Him who He wants you to serve this week.
- ANNE CETAS
Today's Reading
JOHN 13:3–15The Son of Man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
[ MATTHEW 20:28 ]
What about God’s love and compassion means the most to you?
How can you use your gifts and talents to serve others?
Dear God, show me how to love others with the same love You have for me.
오늘의 말씀
04/05/2023 수요일
일부분만이 아닙니다
심하다고 생각되지 않습니까? 하지만 하나님 나라의 시민이 되는 것은 이보다 더 심합니다. 사람들이 예수님의 방법이 아닌 그들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주님을 따르려는 것을 보신 예수님은 제자가 된다는 것의 의미를 재정립해 주셨습니다(마태복음 16:25-27). 주님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24절)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의미는 주님과 주님의 나라를 대적하는 그 어떤 것도 다 내려놓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주님께 헌신하기 위해 사회적 정치적 억압, 심지어 죽음까지도 각오한다는 것을 선언하는 것입니다. ‘내려놓는 것’, ‘십자가를 지는 것’과 더불어 우리는 주님을 진실로 따를 의지를 가져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주님께서 우리를 섬김과 헌신으로 인도하실 때 매 순간 주님의 인도를 따르는 자세입니다.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은 삶의 일부분만 뒤에 남겨놓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주님의 도움을 입어 우리의 육신과 삶 전체를 오직 주님께만 드리고 헌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6:21-28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마태복음 16:24]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예수님은 주님을 위해 당신의 삶을 어떻게 드리라고 요구하십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과 주님의 나라를 대적하는 모든 것을 내려놓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05/2023 WEDNESDAY
MORE THAN A LITTLE PIECE
Drastic, right? But it’s not as drastic as becoming a resident of the kingdom of God. Because people want to follow Jesus on their own terms and not His (MATTHEW 16:25–27), He redefines what it means to be a disciple. He said, “Whoever wants to be my disciple must deny themselves and take up their cross and follow me” (V. 24). This includes being prepared to let go of anything that competes with Him and His kingdom. And as we take up our cross, we declare a willingness to undergo social and political oppression and even death for the sake of devotion to Christ. Along with letting go and taking up, we’re also to take on a willingness to truly follow Him. This is a moment-by-moment posture of following His lead as He guides us into service and sacrifice.
Following Jesus means so much more than leaving a little piece of our lives behind. As He helps us, it’s about submitting and surrendering our whole lives—including our bodies—to Him alone.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MAT THEW 16:21–28Whoever wants to be my disciple must deny themselves and take up their cross and follow me.
[ MATTHEW 16:24 ]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follow Jesus?
How is He asking you to sacrifice your life for Him?
Dear Jesus, help me give up anything that competes with You and Your kingdom.
오늘의 말씀
04/04/2023 화요일
예수님의 집에서
우리도 참된 우리 집이 어딘지 모르면 선한 것과 사랑과 삶의 의미를 찾아 평생 여기저기를 헛되이 떠돌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참된 삶을 얻으려면 “내 안에 거하라”(요한복음 15:4)고 말씀하셨습니다. 성경학자 프레드릭 데일 브루너는 ‘거하다’(‘거처’라는 유사한 말처럼)라는 말에 가족과 집의 의미가 들어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브루너는 예수님의 말씀을 이렇게 해석합니다. “내가 있는 집에 거하라.”
예수님은 이 말씀을 설명하시려고 포도나무에 달린 가지 비유를 사용하셨습니다. 나뭇가지가 살려면 반드시 집에 있어야 하고, 속한 곳에 단단히 고정되어야(거해야) 합니다.
우리의 문제를 해결해 주겠다거나, 뭔가 새로운 “지혜”나 멋진 미래를 제공하겠다는 헛된 약속으로 우리를 현혹하는 목소리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참된 삶을 살려면 예수님 안에 머물러야 합니다. 그분의 집에 거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1-11내 안에 거하라 나도 너희 안에 거하리라
[요한복음 15:4]
당신을 예수님의 집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예수님은 그분이 참 생명의 근원이심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예수님, 저는 떠도는 것을 좋아해서 사방으로 이끌려 다닙니다. 하지만 이제 주님의 집에 거하고 싶습니다. 제 삶이 되시는 주님, 제가 주님 안에 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04/2023 TUESDAY
AT HOME IN JESUS
If we don’t know our true home, we’re forever tempted to roam in vain search for goodness, love, and meaning. If we want to find our true life, however, Jesus said, “Abide in me” (JOHN 15:4 ESV). Biblical scholar Frederick Dale Bruner highlights how abide (like a similar word abode) evokes a sense of family and home. So Bruner translates Jesus’ words this way: “Stay at home in me.”
To drive this idea home, Jesus used the illustration of branches attached to a vine. Branches, if they want to live, must always stay at home, tenaciously fixed (abiding) where they belong.
There are many voices beckoning us with hollow promises to fix our problems or provide us some new “wisdom” or exhilarating future. But if we’re to truly live, we must remain in Jesus. We must stay at hom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JOHN 15:1–11Remain in me, as I also remain in you.
[ JOHN 15:4 ]
What pulls you away from your home in Jesus?
How has Jesus shown Himself to be your true source of life?
Jesus, I like to roam. I’m pulled in all kinds of directions. But I want to stay at home with You. You’re my life. Help me to abide in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