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23/2023 주일
예수님처럼 사랑하기
예수님을 믿는 성도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을 베푸는 것은 예수님께서 우리와 같은 사람들에게 보여주신 자기희생적인 사랑을 반영해 보여주는 것과 . 그것은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이며,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서로 사랑하라”(요한1서 3:11)고 당부하신 대로 사는 것입니다. 요한 사도는 형제나 자매를 미워하는 것은 살인하는 것과 같다고 하면서(15절), 사랑을 행동으로 보여주신 예수님이 우리의 본이라고 했습니다(16절).
이타적인 사랑은 희생을 과시해 보이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단순히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모든’ 사람들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매일같이 그들의 필요를 우리의 필요보다 먼저 생각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랑의 마음으로 관심을 갖고 남들의 필요를 돌아보며 도울 수 있는 일을 한다면 일상의 모든 순간이 다 이타적인 삶이 됩니다. 자신의 영역 너머까지 내다보면서 편안한 일상을 떨쳐버리고 다른 사람들을 섬기며 베풀 때, 더구나 베풀 의무가 없는데도 베풀 때, 우리는 예수님처럼 사랑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3:11-18자녀들아 우리가 말과 혀로만 사랑하지 말고 행함과 진실함으로 하자
[요한1서 3:18]
당신은 언제 다른 사람에게서 이타적인 사랑을 경험해 보았습니까?
이번 주에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이타적으로 사랑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께서 저를 어디로 보내시든지 긍휼과 이타적인 사랑을 베푸는 마음으로 사람들을 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23/2023 SUNDAY
LOVING LIKE JESUS
For believers in Jesus, kindness to others reflects the selfsacrificing care that He showed for people like us. It’s an expression of God’s love and what He desired His disciples to live out: “We should love one another” (1 JOHN 3:11 EMPHASIS ADDED). John equates hating a brother or sister to murder (V. 15). Then he turns to Christ as an example of love in action (V. 16).
Selfless love doesn’t have to be an extravagant display of sacrifice. It simply requires us to acknowledge the value of all God’s image-bearers by placing their needs above our own . . . every day. Those seemingly ordinary moments when we care enough to notice the needs of others and do what we can to help are selfless, when we’re motivated by love. When we see beyond our personal space, step out of our comfort zones to serve others and give, especially when we don’t have to give, we’re loving like Jesu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JOHN 3:11–18Dear children, let us not love with words or speech but with actions and in truth.
[ 1 JOHN 3:18 ]
When have you experienced selfless love from someone?
How can you love others selflessly this week?
Loving Father, please help me see people with a heart ready to extend compassion and selfless love wherever You send me.
오늘의 말씀
04/22/2023 토요일
용서의 힘
예수님은 용서의 힘을 분명히 보여주셨습니다. 예수님은 “너희가 사람의 잘못을 용서하면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 잘못을 용서하시리라”(마태복음 6:14)고 말씀하셨습니다. 후에 베드로에게 대답하실 때, “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할지니라”고 하시며 얼마나 많이 용서해야 하는지도 말씀하셨습니다(18:22; 21-35절 참조). 그리고 십자가에서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누가복음 23:34) 라고 기도하시며 하나님의 용서를 보여주셨습니다.
양쪽 당사자가 치유와 화해를 위해 나아갈 때 완전한 용서가 이루어집니다. 용서를 한다고 받은 상처가 사라지거나, 아프고 건강치 못한 관계를 잘 다루는 방법을 알아내야 할 필요까지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용서를 해야 관계가 회복될 수 있고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우리도 “더 널리 용서하는” 방법을 찾아보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8:23-35주는 선하사 사죄하기를 즐거워하시며 주께 부르짖는 자에게 인자함이 후하심이니이다
[시편 86:5]
용서가 제일 힘든 때가 언제입니까? 용서할 수 있도록 성령께서 도우신다는 사실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습니까?
예수님, 주님의 능력과 선하심의 증거로 제가 용서해야 할 사람들에게 다가가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22/2023 SATURDAY
THE POWER OF FORGIVENESS
Jesus made it clear that forgiveness is powerful. He said, “If you forgive other people when they sin against you, your heavenly Father will also forgive you” (MATTHEW 6:14). Later, in answering Peter, Christ told how often we should forgive: “I tell you, not seven times, but seventy-seven times” (18:22; SEE V V. 21–35). And on the cross, He demonstrated godly forgiveness when He prayed,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LUKE 23:34).
Forgiveness at its fullest can be realized when both parties move toward healing and reconciliation. And while it doesn’t remove the effects of harm done or the need to be discerning in how to address painful or unhealthy relationships, it can lead to restored ones—testifying to God’s love and power. Let’s look for ways to “extend forgiveness” for His honor.
- DAVE BRANON
Today's Reading
MAT THEW 18:23–35You, Lord, are forgiving and good, abounding in love to all who call to you.
[ PSALM 86:5 ]
When is forgiveness hardest? How can you trust the Holy Spirit to help you forgive?
Jesus, help me to reach out to those who need me to forgive them as a testimony of Your power and goodness.
오늘의 말씀
04/21/2023 금요일
창조의 발견
계속해서 창조의 신비를 발견할수록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 대한 이해도 깊어지고, 우리에게 돌보라고 맡기신 이 지구에서 하나님이 행하신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창조의 손길에 감탄하게 됩니다(창세기 1:26-28). 시편 기자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노래하며” “즐거이 외치라”고 권합니다 (1절). 내일 지구의 날을 맞아 하나님의 놀라운 창조 사역을 생각해 봅시다. 우리가 지금까지 발견한 것이나 아직 모르는 것까지도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우리가 주님께 엎드려 경배할 이유가 됩니다(6절).
하나님은 그분이 창조하신 광대한 물리적인 장소들만 아시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속 은밀한 깊은 곳까지도 알고 계십니다. 그리고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 그루지아의 동굴과 다르지 않게 어둡고 무서운 시기들을 지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강하고도 따뜻한 보살핌으로 그러한 시간까지도 주관하시는 것을 압니다. 시편 기자의 말과 같이 우리는 그분의 백성이며, “그의 손이 돌보시는 양”(7절)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95:1-7땅의 깊은 곳이 그의 손 안에 있으며
[시편 95:4]
하나님께서 어두운 곳을 지나도록 당신을 어떻게 인도하셨습니까?
하나님은 지금 당신에게 어떤 새로운 곳에서, 어떤 새로운 방법으로 그분을 신뢰하라고 부르십니까?
창조주 하나님, 아무리 어두운 곳에서도 하나님이 저를 돌보신다는 것을 믿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21/2023 FRIDAY
DISCOVERING CREATION
The mysteries of creation continue to unfold, adding to our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we live in and causing us to wonder at the matchless creativity of God’s handiwork on earth that we’re called by God to care for (GENESIS 1:26–28). The psalmist invites us all to “sing for joy” and “shout aloud” to God because of His greatness (V. 1). As we celebrate Earth Day tomorrow, let’s consider God’s incredible work of creation. All that it contains— whether we’ve yet discovered it or not—is cause for us to bow down in worship to Him (V. 6).
He doesn’t just know the vast, physical places of His creation; He also knows the intimate depths of our hearts. And not unlike in the caverns of Georgia, we’ll go through dark and perhaps scary seasons in life. Yet we know that God holds even those times in His powerful yet tender care. In the words of the psalmist, we’re His people, the “flock under his care” (V. 7).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SALM 95:1–7In his hand are the depths of the earth.
[ PSALM 95:4 ]
How has God guided you through dark places?
In what new place or way is He inviting you to trust Him now?
Creator God, help me to trust in Your care for me even in the darkest places!
오늘의 말씀
04/20/2023 목요일
예수님 안에서 계속 나아가기
“맞아요.” 그는 확실하게 대답했습니다. 나의 의심스러운 표정에 그는 재빨리 덧붙여 말했습니다. “걱정 마세요. 내가 잘못된 길들은 이미 다 가봤어요! 하지만 괜찮아요. 달리다 보면 다 알게 돼요.”
나의 영적 여행에 대한 참으로 적절한 묘사가 아닐 수 없습니다! 나는 얼마나 많이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졌었고, 유혹에 넘어가고, 또 세상 일들에 한눈을 팔았던지요! 그러나 하나님은 내가 반드시 다시 넘어질 것을 아시면서도 매번 용서하시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잘못된 길로 들어서기 쉽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다. 그러나 우리의 죄를 고백하고, 우리를 변화시키시는 성령님께 순종하는 한 하나님은 언제나 계속해서 용서해주십니다.
바울도 이 모든 것이 믿음의 여정의 한 부분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죄로 가득 찬 과거와 현재의 약점들을 잘 알고 있던 그는 자신이 원하는 그리스도 같은 온전함을 아직 이루지 못했다는 것도 알고 있었습니다(빌립보서 3:12). 그래서 그는 말합니다. “오직 한 일 즉 뒤에 있는 것은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달려 가노라”(13-14절). 실족하는 것은 우리가 하나님과 동행하는 과정의 한 부분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실수를 통해서 우리를 새롭게 하십니다. 용서받은 자녀인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계속 달려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3:12-16뒤에 있는 것은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달려가노라
[빌립보서 3:13-14]
오늘 어떤 실수를 하나님께 고백할 수 있습니까?
용서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이 믿음의 길을 계속 달려가는데 어떤 도움이 됩니까?
하나님의 자비에 감사드립니다. 예수님을 닮은 사람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성령께서 제 안에서 역사하고 계심을 알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삶을 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20/2023 THURSDAY
PRESSING ON IN JESUS
What an apt description of my spiritual journey! How many times have I strayed from God, given in to temptation, and been distracted by the things of life? Yet God has forgiven me each time and helped me to move on—knowing I will certainly stumble again. God knows our tendency to go down the wrong path. But He’s always ready to forgive, again and again, if we confess our sins and allow His Spirit to transform us.
Paul too knew this was all part of the faith journey. Fully aware of his sinful past and current weaknesses, he knew he had yet to obtain the Christlike perfection he desired (PHILIPPIANS 3:12). “But one thing I do,” he added, “forgetting what is behind and straining toward what is ahead, I press on” (VV. 13–14). Stumbling is part of our walk with God: it’s through our mistakes that He refines us. His grace enables us to press on, as forgiven children.
- LESLIE KOH
Today's Reading
PHILIPPIANS 3:12–16Forgetting what is behind and straining toward what is ahead, I press on.
[ PHILIPPIANS 3:13–14 ]
What mistakes can you confess to God today?
How can His assurance of forgiveness help you to press on in your walk of faith?
Thank You, God, for Your mercy. Help me to lead a life that pleases You, knowing that Your Spirit is working in me to transform me into Your Son’s likeness.
오늘의 말씀
04/19/2023 수요일
친구 대역?
사업가들은 이런 외로움 병의 “해결책”으로 ‘친구 대역’을 내어 놓았습니다. 시간제로 고용된 이 사람들을 부르면 카페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거나 혹은 파티에 동행해줍니다. 한 “친구 대역”에게 그녀의 고객들이 누구인지를 물어보니, 그녀는 “장시간 근무로 인해 친구를 만들 시간이 없는 외로운 30-40대 전문인들”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전도서 4장은 “아들도 형제도” 없이 사는 외로운 한 사람을 보여줍니다. 그의 수고는 끝이 없으나 그의 성공은 만족스럽지 않습니다(8절). 그는 자신의 처지를 깨닫고 “내가 누구를 위하여 이같이 수고하는가...?”라고 묻습니다. 그의 노고를 줄여주고 역경에 처했을 때 도움을 줄 사람과의 관계에 투자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9-12절). 왜냐하면 궁극적으로 친구 없는 성공은 “의미 없는 일”이기 때문입니다(8절).
전도서는 세 겹줄은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고 말합니다(12절). 하지만 그것은 또한 금방 엮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진정한 친구는 빌려올 수 없기 때문에 시간을 들여 만들어야 합니다. 하나님을 우리의 세 번째 줄로 하여 단단한 세 겹줄을 엮어봅시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4:7-12내가 누구를 위하여는 이같이 수고하고 나를 위하여는 행복을 누리지 못하게 하는가
[전도서 4:8]
당신은 친구 관계를 위해 어떻게 시간과 노력을 들이고 있습니까?
지금 당신의 친구에 추가할 사람은 누가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다른 이들에게 선하고 신실한 친구가 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9/2023 WEDNESDAY
RENT-A-FRIEND?
Entrepreneurs have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is loneliness epidemic—rent-a-friend. Hired by the hour, these people will meet you in a café to talk or accompany you to a party. One such “friend” was asked who her clientele was. “Lonely, 30- to 40-year-old professionals,” she said, “who work long hours and don’t have time to make many friends.”
Ecclesiastes 4 describes a person who is all alone, without “son nor brother.” There’s “no end” to this worker’s toil, yet his success isn’t fulfilling (V. 8). “For whom am I toiling . . . ?” he asks, waking up to his plight. Far better to invest in relationships, which will make his workload lighter and provide help in trouble (VV. 9–12). Because, ultimately, success without friendship is “meaningless” (V. 8).
Ecclesiastes tells us that a cord of three strands isn’t quickly broken (V. 12). But neither is it quickly woven. Since true friends can’t be rented, let’s invest the time needed to form them, with God as our third strand, weaving us tightly together.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ECCLESIASTES 4:7–12“For whom am I toiling,” he asked, “and why am I depriving myself of enjoyment?”
[ ECCLESIASTES 4:8 ]
How are you investing time and effort into your friendships?
Who could you welcome into your friendship group now?
Father, help me to be a good and loyal friend to others.
오늘의 말씀
04/18/2023 화요일
장차 이루실 신실하심
미래의 자손을 위해 집에 투자하는 것은 아직 보지 못한 미래를 향한 믿음의 행위입니다. 하나님은 예레미야 선지자에게 바벨론 군대가 예루살렘을 무력으로 포위하기 바로 전에 땅을 사라고 말씀하셨습니다(예레미야 32:6-12). 하나님의 지시는 아주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조금 있으면 그들의 모든 땅과 소유물은 몰수될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예레미야에게 이렇게 약속하셨습니다. “내가 이 백성에게 이 큰 재앙을 내린 것 같이 허락한 모든 복을 그들에게 내리리라”(42절). 선지자를 통해 토지에 투자하게 하신 것은 신실하신 하나님이 언젠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그들의 고향으로 다시 돌려보내시겠다는 구체적인 징표였습니다. 그 험악한 공격을 당하는 중에도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집과 땅을 다시 사고 팔 수 있는 평화가 다시 올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43–44절).
오늘날 우리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믿고 우리의 믿음에 “투자”해야 합니다. 이 땅에서 모든 상황이 회복되는 것을 보지 못할지라도 우리에게는 언젠가 주님께서 모든 것을 올바르게 하실 거라는 확신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32:37-44내가 허락한 모든 복을 그들에게 내리리라
[예레미야 32:42]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보지 못하게 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어떻게 회복시키신다는 주님의 약속을 믿고 “투자”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직 볼 수 없는 미래를 위해 오늘 투자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8/2023 TUESDAY
FUTURE FAITHFULNESS
Investing in a home for future generations is an act of faith toward a future you don’t yet see. God told the prophet Jeremiah to purchase land just before the violent siege of Jerusalem by the Babylonians (JEREMIAH 32:6–12). To the prophet, God’s instructions didn’t make a lot of sense. Soon all their property and belongings would be confiscated.
But God gave Jeremiah this promise: “As I have brought all this great calamity on this people, so I will give them all the prosperity I have promised them” (V. 42). The prophet’s investment in property was a physical sign of God’s faithfulness to someday restore the Israelites to their homeland. Even in the midst of a terrible attack, God promised His people that peace would come again—homes and property would be bought and sold again (VV. 43–44).
Today we can put our trust in God’s faithfulness and choose to “invest” in faith. Although we may not see an earthly restoration of every situation, we have the assurance that He’ll someday make everything right. KAREN PIMPO
Today's Reading
JEREMIAH 32:37–44I will give them all the prosperity I have promised them.
[ JEREMIAH 32:42 ]
What causes you to lose sight of God’s faithfulness?
How can you “invest” in light of the restoration He promises?
Dear God, help me to invest today for the future I can’t yet see.
오늘의 말씀
04/17/2023 월요일
잊지 말고 찬양하라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하신 일들을 기억하고 다른 이들에게도 알려야 합니다. 그래서 이사야 선지자는 “내가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베푸신 모든 자비와 그의 찬송을 말하며”(이사야 63:7)라고 기록했습니다. 또한 그는 역사 속에서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향해 베푸신 긍휼과 어떻게 “그들의 환란에 동참”(9절)하셨는지를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이사야서의 그 장을 계속 읽어보면 이스라엘 민족이 다시 환란을 겪게 되고 이사야 선지자가 하나님의 개입을 갈망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어려운 일을 겪을 때 하나님이 과거에 베풀어 주신 자비를 기억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힘든 시기는 오고 가지만 하나님의 신실하심은 결코 변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이 하신 모든 일들을 기억하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의지할 때, 우리는 그분이 언제나 찬양을 받기 합당하신 분임을 새롭게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3:7-9내가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베푸신 모든 자비와 그의 찬송을 말하며
[이사야 63:7]
지난날 하나님이 당신에게 어떤 자비를 베푸셨습니까?
당신이 힘든 시간을 보낼 때 과거의 자비를 찬양하면 어떤 도움이 될까요?
모든 창조물을 다스리시는 하나님 아버지. 변치 않는 자비로 저와 항상 함께 하시는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Daily Article
04/17/2023 MONDAY
REMEMBERING TO PRAISE
We need to remember what God has done for us and tell others about it. Isaiah exemplified this when he wrote, “I will tell of the kindnesses of the Lord, the deeds for which he is to be praised, according to all the Lord has done for us” (ISAIAH 63:7). Later, the prophet also recounts God’s compassion for His people throughout history, even telling how “in all their distress he too was distressed” (V. 9). But if you keep reading the chapter, you’ll notice Israel is again in a time of trouble, and the prophet longs for God’s intervention.
Remembering God’s past kindnesses helps when times are hard. Challenging seasons come and go, but His faithful character never changes. As we turn to Him with grateful hearts in remembrance of all He’s done, we discover afresh that He’s always worthy of our praise.
-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H 63:7–9I will tell of the kindnesses of the Lord.
[ ISAIAH 63:7 ]
What kindnesses has God shown you in the past?
How does praising Him for them help you when you’re going through challenging times?
Father, You’re sovereign over all creation. I praise You because Your goodness doesn’t change, and You’re always with me.
오늘의 말씀
04/16/2023 주일
더 큰 사랑
이 경찰관을 아는 한 목사는 이 희생적인 행동 뒤에는 예수님을 믿는 믿음이 있다고 하면서 예수님께서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다”고 하신 요한복음 15장 13절 말씀을 인용했습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이 제자들과 최후의 만찬을 드신 후 하신 말씀이었습니다. 예수님은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12절) 고 하시며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는 것이 가장 큰 사랑이라고 제자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13절). 그리고 다음 날 예수님은 말씀하신 그대로 행하셨습니다. 오직 주님만이 하실 수 있는 일, 곧 우리 죄를 대속하시기 위해 십자가를 지신 것입니다.
우리 모두가 아르노 벨트람과 같은 영웅적인 희생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하나님 사랑 안에 거하면서 우리가 자신의 뜻과 욕망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크신 사랑의 이야기를 전하려 애쓴다면, 그것은 자신을 희생하며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9-17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나니
[요한복음 15:13]
아르노 벨트람의 이야기 같은 것을 들을 때 어떤 생각이 듭니까?
오늘 다른 사람을 어떻게 희생으로 섬길 수 있을까요?
저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시기 위해 기꺼이 돌아가신 사랑하는 예수님.
그 선물을 늘 감사하며 제 삶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그것을 전하며 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6/2023 SUNDAY
GREATER LOVE
A minister who knew the police officer attributed his heroism to his faith in Jesus, pointing to His words in John 15:13: “Greater love has no one than this: to lay down one’s life for one’s friends.” Those were the words Christ spoke to His disciples after their last meal together. He told His friends to “Love each other as I have loved you” (V. 12) and that the greatest love is to lay down one’s life for another (V. 13). This is exactly what Jesus did the next day, when He went to the cross to save us from our sin—as only He could.
We may never be called to follow the heroism of Arnaud Beltrame. But as we remain in God’s love, we can serve others sacrificially, laying down our own plans and desires as we seek to share the story of His great love.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OHN 15:9–17Greater love has no one than this: to lay down one’s life for one’s friends.
[ JOHN 15:13 ]
How do you react to stories such as that of Arnaud Beltrame?
How can you serve someone sacrificially today?
Dear Jesus, You died to give me life everlasting.
May I live with gratitude for this gift and share it with those you put in my path.
오늘의 말씀
04/15/2023 토요일
관계 회복
우리는 억울한 마음이나 화난 감정을 품기 쉽지만,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님께 분노의 감정을 풀어 달라고 매달릴 때에만(에베소서 4:31) 주시는 평화를 경험하기 원하십니다. 그런 감정을 계속 품지 말고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용서하심과 같이”(32절) 하기를 힘쓰며, 사랑과 은혜로만 가능한 예수님의 용서의 예를 본받아야 합니다. 용서하기 힘들다고 여겨질 때, 하나님이 우리에게 매일 허락하시는 은혜를 생각해 보기를 바랍니다. 우리가 아무리 많이 실패한다 해도 하나님의 긍휼은 무궁하십니다(예레미야애가 3:22). 하나님은 우리 마음의 쓴뿌리를 없애 주시고, 그럼으로써 우리가 계속 자유롭게 하나님의 사랑을 바라고 또 받아들일 수 있게 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22-32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에베소서 4:32]
언제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받았습니까?
그 일로부터 무엇을 배웠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 인생에 허락하신 사람들을 감사드립니다.
그들을 사랑하고 용서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5/2023 SATURDAY
RECONCILING RELATIONSHIPS
It can be so easy to hold on to bitterness and anger, but God desires for us to experience the peace that can only come when we ask Him to help us release feelings of resentment (EPHESIANS 4:31). Instead of harboring these feelings, we can look to Christ’s example of forgiveness that comes from a place of love and grace, striving to be “kind and compassionate” and to “[forgive] each other, just as in Christ God forgave [us]” (V. 32). When we find it challenging to forgive, may we consider the grace that He extends to us each day. No matter how many times we fall short, His compassion never fails (LAMENTATIONS 3:22). God can help us remove bitterness from our hearts, so we’re free to remain hopeful and receptive to His love.
- KIMYA LODER
Today's Reading
EPHESIANS 4:22–32Be kind and compassionate to one another, forgiving each other, just as in Christ God forgave you.
[ EPHESIANS 4:32 ]
When has someone hurt you?
What did you learn from that moment?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the people You’ve placed in my life.
Help me to have a loving and forgiving spirit.
오늘의 말씀
04/14/2023 금요일
끝까지 오르막길
다윗은 승리의 전사로 이스라엘 민족의 전격적인 총애를 받았지만 그의 일생은 고난의 연속이었습니다. 그의 통치 말년에는 아들과 신뢰하던 고문, 그리고 국민 상당수가 그에게 등을 돌렸습니다(사무엘하 15:1-12). 그래서 다윗은 제사장 아비아달과 사독과 함께 하나님의 언약궤를 메고 예루살렘을 벗어났습니다(14, 24절).
아비아달이 하나님께 제사를 드린 후 다윗이 제사장들에게 말했습니다. “보라 하나님의 궤를 성읍으로 도로 메어 가라 만일 내가 여호와 앞에서 은혜를 입으면 도로 나를 인도하사 내게 그 궤와 그 계신 데를 보이시리라”(25 절). 불확실한 상황임에도 다윗은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이] 내가 너를 기뻐하지 아니한다 하시면... 선히 여기시는 대로 내게 행하시옵소서”(26절). 그는 하나님이 신뢰할 수 있는 분이심을 알고 있었습니다.
크리스티나 로세티도 하나님을 신뢰했고 그녀의 삶을 소망으로 마쳤습니다. 길이 끝까지 굽이굽이 오르막길일지라도, 그 길은 두 팔 벌려 우리를 기다리시는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로 인도해 줍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15:13-14, 23-26선히 여기시는 대로 내게 행하시옵소서
[사무엘하 15:26]
어떤 면에서 삶이 당신에게 오르막길이고 구불구불하다고 느껴집니까?
삶의 여정에서 당신을 인도하실 하나님을 어떻게 신뢰하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이 삶이 때로 너무 힘듭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저와 모든 사람을 위해 옳은 일을 하실 것을 믿습니다.
하나님과 함께 할 날을 주님의 소망 안에서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4/2023 FRIDAY
UPHILL ALL THE WAY
When David burst into Israel’s national consciousness, it was as a triumphant warrior. Yet throughout his life, David faced hardship. Late in his reign, his own son, along with his trusted advisor and much of the country, turned against him (2 SAMUEL 15:1–12). So David took the priests Abiathar and Zadok and the sacred ark of God with him and fled Jerusalem (VV. 14, 24).
After Abiathar had offered sacrifices to God, David told the priests, “Take the ark of God back into the city. If I find favor in the Lord’s eyes, he will bring me back and let me see it and his dwelling place again” (V. 25). Despite the uncertainty, David said, “If [God] says, ‘I am not pleased with you,’ . . . let him do to me whatever seems good to him” (V. 26). He knew he could trust God.
Rossetti trusted God too, and her life ended in hope. The road may indeed wind uphill all the way, but it leads to our heavenly Father, who awaits us with open arm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2 SAMUEL 15:13–14, 23–26Let him do to me whatever seems good to him.
[ 2 SAMUEL 15:26 ]
In what ways has life seemed uphill and winding to you?
How will you trust God to lead you on the road you’re traveling?
Dear God, this life seems so hard sometimes. Yet I trust You to do what’s right, for me and for everyone.
Help me live in Your hope, anticipating the day I’ll be with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