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23/2023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9-21; 요한복음 8:1-27
찬송가: 293(통414)

꿈이 아니다

그것은 마치 깨어날 수 없는 꿈속에서 사는 것과 같습니다. “비현실감” 또는 “자아의식장애”라고 불리는 증상으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은 때때로 주변에 아무것도 현실적이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감정을 만성적으로 느끼는 사람들은 장애로 진단받을 수도 있지만, 이것은 일반적으로, 특히 스트레스가 많은 때에, 정신 건강 문제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삶이 좋아 보일 때조차도 이런 감정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좋은 일들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것을 우리 마음이 믿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성경은 때때로 하나님의 능력과 구원을 단순히 꿈이 아니라 실제로 경험을 했던 하나님의 백성들이 겪은 비슷한 갈등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사도행전 12장에서 천사가 처형될 수도 있는 감옥에서 베드로를 구출했을 때 (2, 4절), 사도는 실제로 일어난 일인지 확신하지 못하는 멍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9-10절). 천사가 그를 감옥 밖에 두고 떠나자, 베드로는 그제야 비로소 “정신이 들어” 그것이 모두 현실이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11절).

좋을 때든 나쁠 때든, 하나님이 우리 삶에서 실제로 일하고 계시다는 사실을 온전히 믿거나 경험하기가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주님을 기다리는 동안, 주님의 부활의 능력이 언젠가 부인할 수 없는 놀라운 현실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믿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빛이 우리를 잠에서 깨워 그분과 함께 하는 삶의 현실 속으로 들어가게 해줄 것입니다(에베소서 5:14).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2:1-11
잠자는 자여 깨어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일어나라 그리스도께서 너에게 비추이시리라
[에베소서 5:14]

때때로 하나님의 능력과 사랑을 느끼기 어려운 이유가 무엇입니까?
어떻게 하면 하나님의 사랑을 더 실감 나게 경험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느낄 수 있든 없든, 좋을 때나 나쁠 때에도 새로운 삶과 소망을 창조하시는 살아 계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5/23/2023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9–21; JOHN 8:1–27
Hymn: 293(old414)

NOT A DREAM

It’s like living in a dream you can’t wake up from. People who struggle with what’s sometimes called “derealization” or “depersonalization” often feel like nothing around them is quite real. While those who chronically have this feeling can be diagnosed with a disorder, it’s believed to be a common mental health struggle, especially during stressful times. But sometimes the feeling persists even when life is seemingly good. It’s as if our minds can’t trust that good things are really happening.

Scripture describes a similar struggle of God’s people at times to experience His power and deliverance as something real, not just a dream. In Acts 12, when an angel delivers Peter from prison—and possible execution (VV. 2, 4)—the apostle is described as being in a daze, not sure it was really happening (VV. 9–10). When the angel left him outside the jail, Peter finally “came to his senses” and realized it had all been real (V. 11 NLT).

In both bad times and good, it can be hard sometimes to fully believe or experience that God is really at work in our lives. But we can trust that as we wait on Him, His resurrection power will one day become undeniably, wonderfully real. God’s light will rouse us from our sleep into the reality of life with Him (EPHESIANS 5:14).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AC TS 12:1–11
Wake up, sleeper, rise from the dead, and Christ will shine on you.
[ EPHESIANS 5:14 ]

Why is it sometimes hard for you to feel God’s power and love?
How can you experience His love more tangibly?

Dear God, thank You that in good times and bad, whether I can feel it or not, You’re real, creating new life and hope.

오늘의 말씀

05/22/2023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6-18; 요한복음 7:28-53
찬송가: 520(통257)

삶의 이야기를 나눕시다

미국 대통령 아브라함 링컨의 아들인 로버트 토드 링컨은 자신의 아버지의 죽음과, 제임스 가필드 대통령과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의 암살이라는 세 가지 주요 사건의 현장을 지켰습니다.

그러나 요한 사도가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네 가지’ 사건, 곧 예수님의 최후의 만찬, 겟세마네에서의 그리스도의 고뇌, 주님의 십자가에 못 박히심, 그리고 주님의 부활이라는 각각의 현장을 지킨 것을 생각해 보십시오. 요한은
자신이 그 현장에 있게 된 궁극적인 ‘이유’가 이 사건들을 증거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요한복음 21장 24절에 “이 일들을 증언하고 이 일들을 기록한 제자가 이 사람이라 우리는 그의 증언이 참된 줄 아노라”라고 기록했습니다.

요한은 요한1서에서 이것을 재확인하며 이렇게 썼습니다. “이 글은 생명의 말씀에 관한 것입니다. 이 생명의 말씀은 태초부터 계신 것이요, 우리가 들은 것이요, 우리가 눈으로 본 것이요, 우리가 지켜본 것이요, 우리가 손으로 만져본 것입니다”(1:1, 새번역). 요한은 예수님에 대해 자신이 목격한 사실을 전해야 할 강한 의무감을 느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는 “우리가 보고 들은 바를 너희에게도 전함은 너희로 우리와 사귐이 있게 하려 함이라”(3절)고 말했습니다.

놀라운 일이든 평범한 일이든 우리 삶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통해서 하나님은 그런 사건들을 조화시켜 우리가 하나님을 증거할 수 있게 해 주십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은혜와 지혜 안에서 늘 안식하면서, 삶의 놀라운 순간들에도 그분에 대하여 말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1:1-4
우리가 보고 들은 바를 너희에게도 전함은 너희로 우리와 사귐이 있게 하려 함이니
[요한1서 1:3]

당신의 믿음 이야기 중에 어떤 놀라운 부분들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사랑을 들어야 할 누군가에게 당신의 이야기를 어떻게 나누시겠습니까?

예수님, 주님께서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2/2023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6–18; JOHN 7:28–53
Hymn: 520(old 257)

TELL THE STORY

Robert Todd Lincoln, son of US president Abraham Lincoln, was present for three major events—the death of his own father as well as the assassinations of presidents James Garfield and William McKinley.

But consider that the apostle John was present at four of history’s most crucial events: the last supper of Jesus, Christ’s agony in Gethsemane, His crucifixion, and His resurrection. John knew that bearing witness to these events was the ultimate why behind his presence in these moments. In John 21:24, he wrote, “This is the disciple who testifies to these things and who wrote them down. We know that his testimony is true.”

John reaffirmed this in his letter of 1 John. He wrote, “That which was from the beginning, which we have heard, which we have seen with our eyes, which we have looked at and our hands have touched—this we proclaim” (1:1). John felt a compelling duty to share his eyewitness account of Jesus. Why? “We proclaim to you what we have seen and heard,” he said, “so that you also may have fellowship with us” (V. 3).

The events of our lives may be surprising or mundane, but in either case God is orchestrating them so we can bear witness to Him. As we rest in the grace and wisdom of Christ, may we speak for Him in even life’s surprising moment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JOHN 1:1–4
We proclaim to you what we have seen and heard, so that you also may have fellowship with us.
[ 1 JOHN 1:3 ]

What are some of the more surprising aspects of your faith story?
How will you share your story with someone who needs to hear of God’s love?

Jesus, please help me be sensitive to those times when I can share with others how much You love us.

오늘의 말씀

05/21/2023     주일

성경읽기: 역대상 13-15; 요한복음 7:1-27
찬송가: 342(통395)

우리의 선택은 중요합니다

뉴저지 주의 한 수영 강사가 뉴어크 만에서 차가 가라앉는 것을 보게 되었는데, 혼탁한 물속으로 빠르게 가라앉는 SUV 차 안에서 운전자가 소리치는 것을 들었습니다. “나는 수영을 못해요!” 군중들이 해안에서 지켜보는 동안, 앤서니는 바닷가를 따라 있는 바위로 달려가 의족을 풀고 바다에 뛰어들어 68세의 남성을 해안가로 안전하게 구조했습니다. 앤서니의 단호한 행동 덕분에 한 사람이 살아난 것입니다.

우리의 선택은 중요합니다. 열일곱 살의 아들 요셉을 드러나게 편애했던, 여러 아들의 아버지인 족장 야곱을 생각해 보십시오. 그는 어리석게도 요셉에게 “화려하게 장식한 긴 겉옷”(창세기 37:3, 현대인의 성경)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결과가 어땠을까요? 요셉의 형들이 그를 시기하여 미워했으며(4절), 기회가 생기자 그들은 요셉을 종으로 팔아 넘겼습니다(28절). 그러나 요셉이 애굽으로 팔려 가게 되었기 때문에 요셉을 해하려 했던 형들의 나쁜 의도에도 불구하고 (50:20 참조) 하나님은 닥쳐올 7년 기근 동안 야곱의 가족과 다른 많은 사람들을 구하는 일에 요셉을 사용하셨습니다. 정절을 지키기 위해 보디발의 아내에게서 도망쳤던 요셉의 결정(39:1-12), 곧 그 선택으로 이 모든 일들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그 선택의 결과 요셉은 감옥에 가게 되었지만(39:20), 결국에는 애굽왕 바로를 만나게 되었던 것입니다(41장).

훈련을 받았다는 이점이 있었을지는 모르지만, 그럼에도 앤서니는 그 상황에서 선택을 해야 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하여 그분을 섬기려고 할 때, 하나님은 우리의 삶에 확신을 주고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선택을 하도록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아직 그런 선택을 해본 일이 없다면, 예수님을 믿음으로써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9:1-12
그러나 요셉이 거절하며
[창세기 39:8]

당신이 한 선택의 결과가 어땠습니까?
성령께서 어떻게 현명한 선택을 하도록 이끌어 주셨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1/2023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15; JOHN 7:1–27
Hymn: 342(old395)

OUR CHOICES MATTER

A swimming instructor in New Jersey saw a car sinking into Newark Bay and heard the driver inside screaming “I can’t swim” as his SUV quickly sank into the murky waters. As a crowd watched from shore, Anthony ran to the rocks along the edge, removed his prosthetic leg, and jumped in to rescue the sixty-eight-year-old man and help him safely to shore. Thanks to Anthony’s decisive action, another man was saved.

Our choices matter. Consider the patriarch Jacob, the father of many sons, who openly favored his seventeen-year-old son Joseph. He foolishly made Joseph “an ornate robe” (GENESIS 37:3). The result? Joseph’s brothers hated him (V. 4); and when the opportunity arose, they sold him into slavery (V. 28). Yet because Joseph ended up in Egypt, God used him to preserve Jacob’s family and many others during a seven-year famine—despite Joseph’s brothers’ intention to harm him (SEE 50:20). The choice that set it all in motion was Joseph’s decision to be honorable and run from Potiphar’s wife (39:1–12). The result was prison (39:20) and an eventual meeting with Pharaoh (CH. 41).

Anthony may have had the advantage of training, but he still had to make a choice. When we love God and seek to serve Him, He helps us make life-affirming and God-honoring choices. If we haven’t already, we can begin by trusting Jesus.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GENE SIS 39:1–12
But he refused.
[ GENESIS 39:8 ]

What was the result of a choice you’ve made?
How has God’s Spirit led you to make wise choices?

Dear God, help me to make wise decisions that honor You.

오늘의 말씀

05/20/2023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0-12; 요한복음 6:45-71
찬송가: 636(통548)

연락하고 지내기

마들렌 랭글은 일주일에 한 번씩 규칙적으로 어머니에게 전화했습니다. 어머니가 만년에 접어들자 그 사랑받는 영적 작가는 어머니와 “그냥 연락하고 지내기 위해” 더 자주 전화를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마들렌은 자기 아이들이 전화를 걸어와 계속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어떤 때에는 중요한 질문과 대답으로 가득 찬 긴 대화로 이어졌지만, 어떤 때에는 단순히 전화번호가 바뀌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말로도 충분했습니다. 그녀가 자신의 책 ‘물 위를 걷기’에서 쓴 것처럼, “자녀들이 연락하고 지내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리고 자녀 된 우리 모두가 하나님 아버지와 연락하고 지내는 것도 좋은 일입니다.”

우리 대부분은 마태복음 6:9-13에 나오는 주기도문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앞에 나오는 구절들도 그다음에 오는 주기도문을 위한 분위기를 잡아 주기 때문에 주기도문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우리의 기도는 “사람에게 보이려고”(5절) 과시하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리고 우리의 기도가 얼마나 길어야 하는지에 대한 제한은 없지만, “많은 말”(7절)이 반드시 기도의 질을 높여주는 것은 아닙니다. 여기서 강조하는 것은 “[우리가] 구하기 전에” 우리의 필요를 알고 계시는 우리 하나님 아버지와 정기적으로 연락을 유지하는 데 있는 것 같습니다(8절). 예수님은 우리가 하나님 아버지와 연락하고 지내는 것이 얼마나 좋은 일인지 강조하시고 나서,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9절)고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기도는 우리 모두의 아버지이신 하나님과 계속 연락할 수 있게 해주는 아주 좋고도 필수적인 선택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5-9
네 아버지께 기도하라
[마태복음 6:6]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들과 더 잘 연락하며 지낼 수 있을까요?
당신은 하나님 아버지와 계속 연락하며 지내는 것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말하기도 전에 저의 필요를 아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20/2023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0–12; JOHN 6:45–71
Hymn: 636(old 548)

KEEP IN TOUCH

Madeleine L’Engle made it a habit to call her mother once a week. As her mother moved into her later years, the beloved spiritual writer called more frequently, “just to keep in touch.” In the same way, Madeleine liked her children to call and maintain that connection. Sometimes it was a lengthy conversation filled with significant questions and answers. Other times a call simply making sure the number was still valid was sufficient. As she wrote in her book Walking on Water, “It is good for the children to keep in touch. It is good for all of us children to keep in touch with our Father.”

Most of us are familiar with the Lord’s Prayer in Matthew 6:9–13. But the verses that precede it are just as important, for they set the tone for what follows. Our prayers aren’t to be showy, “to be seen by others” (V. 5). And while there’s no limit on how long our prayers need to be, “many words” (V. 7) doesn’t automatically equate to quality prayer. The emphasis seems to be on maintaining regular contact with our Father who knows our need “before [we] ask him” (V. 8). Jesus stresses how good it is for us to keep in touch with our Father. Then instructs us: “This, then, is how you should pray” (V. 9).

Prayer is a good, vital choice for it keeps us in touch with the God and Father of us all.
- JOHN BLASE

Today's Reading

MAT THEW 6:5–9
Pray to your Father.
[ MATTHEW 6:6 ]

How can you better stay in touch with others?
How have you experienced keeping in touch with the Father?

Father, thank You for knowing my needs before I even speak them.

오늘의 말씀

05/19/2023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7-9; 요한복음 6:22-44
찬송가: 382(통432)

하나님이 들으신다

찰스 리보그 만과 조지 랜섬 트위스는 그들이 쓴 ‘물리학’이라는 책에서 이렇게 묻고 있습니다. “한적한 숲에서 나무가 쓰러지는데 그 소리를 들을 동물이 근처에 하나도 없을 때, 그것이 소리를 낸다고 할 수 있을까?” 오랜 세월에 걸쳐 이 질문은 소리와 인식, 그리고 존재에 대한 철학적, 과학적 논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러나 결정적인 대답은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밤, 누구와도 나누지 않았던 문제로 외로움과 슬픔을 느끼면서 나는 이 질문을 떠올리며 생각했습니다. ‘아무도 내가 도와달라고 외치는 소리를 듣지 않을 때 하나님은 과연 듣고 계실까?’

죽음의 위험에 직면하여 절망감에 사로잡힌 시편 116편 기자는 자신이 버림받았다고 느꼈을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이 듣고 계시고 그를 도와주시리라는 것을 알고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시편 기자는 “여호와께서 내 음성과 내 간구를 들으시고... 그의 귀를 내게 기울이셨다”(1-2 절)고 썼습니다. 아무도 우리의 고통을 알지 못할 때 하나님은 아십니다. 아무도 우리의 외침을 듣지 못할 때 하나님은 들으십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그분의 사랑과 보호를 보여주시리라는(5-6절) 것을 알기 때문에 우리는 어려운 시기에도 안식할 수 있습니다(7절). “안식(평안)” 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마노아크’는 조용하고 안전한 장소를 말합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함께하시고 도우심을 확신함으로써 힘을 얻어 평안을 누릴 수 있습니다.

만과 트위스가 제기한 질문에 수많은 대답들이 이어졌지만, ‘하나님께서 듣고 계신가?’라는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은 분명히 ‘예’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6:1-7
그의 귀를 내게 기울이셨으므로
[시편 116:2]

외롭거나 버림받았다고 느낄 때 무엇을 하십니까?
당신의 모든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돌보시는 하나님께 무엇을 구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항상 제 마음의 부르짖음을 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도우시고 함께하시니 제가 안식을 누립니다.

Daily Article

05/19/2023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7–9; JOHN 6:22–44
Hymn: 382(old 432)

YOU ARE HEARD

In the book Physics, Charles Riborg Mann and George Ransom Twiss ask: “When a tree falls in a lonely forest, and no animal is nearby to hear it, does it make a sound?” Over the years, this question has prompted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discussions about sound, perception, and existence. A definitive answer, however, has yet to emerge.

One night, while feeling lonely and sad about a problem I hadn’t shared with anyone, I recalled this question. When no one hears my cry for help, I thought, does God hear?

Facing the threat of death and overcome by distress, the writer of Psalm 116 may have felt abandoned. So he called out to God— knowing He was listening and would help him. “He heard my voice,” the psalmist wrote, “he heard my cry for mercy. . . . [He] turned his ear to me” (VV. 1–2). When no one knows our pain, God knows. When no one hears our cries, God hears.

Knowing that God will show us His love and protection (VV. 5–6), we can be at rest in difficult times (V. 7). The Hebrew word translated “rest” (manoakh) describes a place of quiet and safety. We can be at peace, strengthened by the assurance of God’s presence and help.

The question posed by Mann and Twiss led to numerous answers. But the answer to the question, Does God hear? is simply yes.
- KAREN HUANG

Today's Reading

PSALM 116:1–7
He turned his ear to me.
[ PSALM 116:2 ]

What do you do when you’re feeling alone or abandoned?
What will you ask God, who hears your every cry and cares for you?

Father, thank You for always hearing the cries of my heart.
Your help and presence are my rest.

오늘의 말씀

05/18/2023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4-6; 요한복음 6:1-21
찬송가: 95(통82)

할머니 연구

에모리 대학의 연구원들은 MRI 스캔을 이용하여 할머니들의 뇌를 연구했습니다. 그들은 손주와 성인이 된 자녀, 그리고 잘 모르는 아이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그들이 각 사진들에 공감하는 반응을 측정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할머니들은 성인이 된 자녀보다 손주를 볼 때 더 높은 공감을 보여주었습니다. 이것은 손주가 다 큰 자녀보다 더 “사랑스럽다”고 하는, 소위 “귀여움 요인”에 따른 결과입니다.

“당연하지!”라고 말하기 전에, 연구를 지도한 제임스 릴링의 말을 생각해 보았으면 합니다. “[할머니는] 손주가 웃고 있을 때 아이의 기쁨을 함께 느끼고, 손주가 울고 있을 때 아이의 고통과 괴로움을 함께 느낍니다.”

한 선지자는 하나님이 자기 백성들을 볼 때의 그분의 감정을 “MRI 이미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스바냐 3:17). 어떤 이들은 이것을 “네가 하나님의 마음을 기쁨으로 가득 차게 만들어서, 하나님이 큰 소리로 노래하시리라”라고 번역합니다 손주와 공감하는 할머니처럼, 하나님도 우리의 아픔을 느끼십니다. “그들이 고난을 받을 때에 주님께서도 친히 고난을 받으셨습니다”(이사야 63:9, 새번역). 그리고 “여호와께서는 자기 백성을 기뻐하시며”(시편 149:4)라고 하신 것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기쁨도 함께 느끼십니다.

우리가 낙심될 때, 하나님은 우리를 향한 감정을 진정으로 갖고 계시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하나님은 차갑고 멀리 계신 분이 아니라, 우리를 사랑하시고 기뻐하시는 분입니다. 지금 하나님께 가까이 다가가 하나님의 미소를 느끼고 하나님이 노래하시는 것을 들으십시오.

오늘의 성구

스바냐 3:17-20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스바냐 3:17]

하나님의 기쁨을 어떻게 느껴 보셨습니까?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는 사실에 어떤 느낌이 드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보시며 미소 짓는 하나님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8/2023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4–6; JOHN 6:1–21
Hymn: 95(old82)

GRANDMOTHER RESEARCH

Researchers at Emory University used MRI scans to study the brains of grandmothers. They measured empathetic responses to images that included their own grandchild, their own adult child, and one anonymous child. The study showed that grandmothers have a higher empathy toward their own grandchild than even their own adult child. This is attributed to what they call the “cute factor”—their own grandchild being more “adorable” than the adult.

Before we say, “Well, duh!” we might consider the words of James Rilling, who conducted the study: “If their grandchild is smiling, [the grandmother is] feeling the child’s joy. And if their grandchild is crying, they’re feeling the child’s pain and distress.”

One prophet paints an “MRI image” of God’s feelings as He looks upon His people: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in his love he will . . .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ZEPHANIAH 3:17). Some translate this to say, “You will make His heart full of joy, and He will sing loudly.” Like an empathetic grandmother, God feels our pain: “In all their distress he too was distressed” (ISAIAH 63:9), and He feels our joy: “The Lord takes delight in his people” (PSALM 149:4).

When we feel discouraged, it’s good to remember that God has real feelings for us. He’s not a cold, far away God, but One who loves and delights in us. It’s time to draw close to Him, feel His smile—and listen to His singing.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ZEPHANIAH 3:17–20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 ZEPHANIAH 3:17 ]

How have you felt the pleasure of God?
How does this make you feel?

Dear God, help me to feel Your smile upon me.

오늘의 말씀

05/17/2023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3; 요한복음 5:25-47
찬송가: 329(통267)

이름을 기억하시는 하나님

교회에서 청소년 리더로 일하기 시작하면서 몇몇의 청소년들과 만남을 가진 후, 어느 주일날 나는 엄마 옆에 앉아 있는 십대 소녀와 대화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수줍은 소녀에게 미소를 짓고 인사하며 이름을 부르면서 잘 지내는지 물어보자 소녀는 머리를 들고 아름다운 갈색 눈을 크게 떴습니다. 그리고 미소를 지으며 작은 목소리로 말했습니다. “내 이름을 기억하셨네요.” 어른들로 가득 찬 교회에서 자신을 보잘것없게 느꼈을지도 모를 소녀에게 이름을 불러줌으로써 나는 이 소녀와 신뢰의 관계를 쌓을 수 있었습니다. 소녀는 누군가가 자신을 알아보면서 자신이 소중한 존재임을 느꼈습니다.

이사야 43장에서 하나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이와 유사한 메시지, 곧 그들이 주목받고 있고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전하고 있습니다. 포로 생활과 광야 기간을 통해서도 하나님은 그들을 지켜보셨으며
그들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을 아셨습니다”(1절). 그들은 이방인들이 아니라 하나님께 속해 있는 사람들이었습니다. 버림받았다고 느꼈을지도 모르지만 그들은 “존귀했으며” 하나님의 “사랑”이 그들과 함께 하고 있었습니다(4절).
그리고 하나님은 그들의 이름을 알고 계시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시면서, 특히 어려운 시기에 그들을 위해 하실 모든 일들을 미리 알려주셨습니다. 그들이 시련을 당할 때 하나님은 언제나 그들과 함께 하실 것입니다(2절). 하나님이 그들의 이름을 기억하시므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두려워하거나 걱정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하나님은 그분 자녀들의 이름을 다 아십니다. 특히 삶의 깊고 어려운 시련을 지날 때 이 사실은 아주 큰 힘이 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3:1-7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
[이사야 43:1]

요즘 어떤 시련들을 겪고 있습니까? 하나님이 당신의 이름을 아신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면 시련을 자신 있게 헤쳐 나가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이름을 아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7/2023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 JOHN 5:25–47
Hymn: 329(old267)

GOD REMEMBERS NAMES

The Sunday after I’d started working as a youth leader at a church and had met several of the young people, I spoke to a teen seated next to her mom. As I greeted the shy girl with a smile, I said her name and asked how she was doing. She lifted her head and her beautiful brown eyes widened. She too smiled and said in a small voice: “You remembered my name.” By simply calling that young girl by name—a girl who may have felt insignificant in a church filled with adults—I began a relationship of trust. She felt seen and valued.

In Isaiah 43, God is using the prophet Isaiah to convey a similar message to the Israelites: they were seen and valued. Even through captivity and time in the wilderness, God saw them and knew them “by name” (V. 1). They were not strangers; they belonged to Him. Even though they may have felt abandoned, they were “precious,” and His “love” was with them (V. 4). And along with the reminder that God knew them by name, He shared all that He would do for them, especially during trying times. When they went through trials, He would be with them (V. 2). They didn’t need to be afraid or worried since God remembered their names.

God knows each of His children’s names—and that’s good news, especially as we pass through the deep, difficult waters in life.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ISAIAH 43:1–7
Do not fear, for I have redeemed you; I have summoned you by name;you are mine.
[ ISAIAH 43:1 ]

What trials are you facing these days? How can focusing on the fact that God knows you by name help you walk through trying times with confidence?

Thank You for knowing me by name, dear God.

오늘의 말씀

05/16/2023     화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24-25; 요한복음 5:1-24
찬송가: 542(통340)

나는 누구인가?

1859년 조슈아 아브라함 노튼은 자신을 미국의 황제라고 선포했습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한때 해상 운송으로 돈을 벌었다가 망한 이 사람은 미국의 첫 번째 황제로서의 새로운 신분을 원했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이브닝 불러틴’이라는 신문에 “황제” 노튼의 발표가 게재되었을 때 독자들은 모두 비웃었습니다. 노튼은 사회적 부조리를 시정하겠다고 공포하고 자신의 화폐를 발행했으며, 빅토리아 여왕에게 편지를 써서 자신과 결혼하여 그들의 왕국을 하나로 합치자고 요청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는 그 지방 재단사들이 디자인한 왕실 군복을 입었습니다. 어떤 사람이 그의 모습을 보고 노튼이 “모든 면에서 왕”처럼 보였다고 했지만, 물론 진짜 왕은 아니었습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정체를 스스로 만들어 보일 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정체가 무엇인지 또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찾으며 여러 해를 보냅니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새롭게 부르거나 정의하면서 별 짓을 다 하지만, 오직 하나님만이 진정한 우리 정체를 말씀해 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을 믿고 구원을 받으면 하나님은 감사하게도 우리를 그분의 자녀로 불러 주십니다. “(그를) 영접하는 자... 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다”고 요한은 기록합니다(요한복음 1:12). 그리고 이 신분은 전적으로 선물로 주어진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스러운 자녀로서 “혈통으로나 육정으로나 사람의 뜻으로 나지 아니하고 오직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들”(13절)입니다.

하나님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새로운 이름과 신분을 주십니다. 하나님께서 우리가 누구인지를 말씀해 주시기 때문에 우리는 누구인지 알려고 애를 쓰거나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지 않아도 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13
영접하는 자...들에게는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요한복음 1:12]

당신이 하나님께 선택받았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당신이 하나님의 자녀라는 사실이 당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이해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하나님, 제가 하나님의 자녀라는 것을 압니다.
왕이신 하나님의 자녀로 태어났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6/2023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4–25; JOHN 5:1–24
Hymn: 542(old 340)

WHO AM I?

In 1859, Joshua Abraham Norton declared himself Emperor of the United States. Norton had made—and lost—his fortune in San Francisco shipping, but he wanted a new identity: America’s first emperor. When the San Francisco Evening Bulletin printed “Emperor” Norton’s announcement, most readers laughed. Norton made pronouncements aimed at correcting society’s ills, printed his own currency, and even wrote letters to Queen Victoria asking her to marry him and unite their kingdoms. He wore royal military uniforms designed by local tailors. One observer said Norton looked “every inch a king.” But of course, he wasn’t. We don’t get to make up who we are.

Many of us spend years searching for who we are and wondering what value we possess. We flail, trying to name or define ourselves, when only God can truly tell us the truth about who we are. And, thankfully, He calls us His sons and daughters when we receive salvation in His Son, Jesus. “Yet to all who did receive him,” John writes, “he gave the right to become children of God” (JOHN 1:12). And this identity is purely a gift. We are His beloved “children born not of natural descent, nor of human decision . . . but born of God” (V. 13).

God gives us our name and our identity in Christ. We can stop striving and comparing ourselves to others, because He tells us who we ar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JOHN 1:6–13
To all who did receive him . . . [Jesus] gave the right to become children of God.
[ JOHN 1:12 ]

How do you know you’re chosen by God?
How does being His child help you understand your true identity?

God, I know that I’m Yours.
Help me feel confidence in knowing that I’m born of You—a child of the King.

오늘의 말씀

05/15/2023     월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22 -23; 요한복음 4:31-54
찬송가: 79(통40)

별 탐사

2021년, 여러 나라의 공동 노력으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우주로 발사되었습니다. 이 망원경은 우주를 더 잘 관찰하기 위해 지구에서 약 100만 마일(160만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우주 공간에 배치되었는데, 거기서 먼 우주 공간을 들여다보고 별들과 다른 천체의 경이로움을 조사할 것입니다.

정말 놀라운 천문학적 기술인 이것은 만약 모든 것이 제대로 작동한다면 우리에게 놀라운 정보와 사진을 제공해줄 것입니다. 그러나 이 임무는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별을 찾는 일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너희는 눈을 높이 들어 누가 이 모든 것을 창조하였나 보라 주께서는 수효대로 만상을 이끌어 내시고”(이사야 40:26). “밤마다” 그들은 감도 잡을 수 없이 광대한 이 우주와, 그 안에 밤하늘을 묵묵히 아름답게 비추는(시편 19:3) 셀 수 없이 많은 발광체를 만드신 창조주(19:2)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빛나는 물체들이 얼마나 많이 있어야 할지를 결정하신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저가 별의 수효를 계수하시고 저희를 다 이름대로 부르시는 도다”(시편 147:4). 인류가 우주를 탐험하려고 복잡하고 아름다운 탐사선들을 보낼 때, 우리는 그들이 찾아낸 표현할 수 없는 경이로움을 즐기기만 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모든 관측들은 태양계와 그 너머의 모든 것을 만드신 분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별들과 하늘의 모든 것을 통해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19:1)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9:1-6
너희는 눈을 높이 들어 누가 이 모든 것을 창조하였나 보라 주께서는 수효대로 만상을 이끌어 내시고
[이사야 40:26]

별들과 온 우주는 하나님과 그분의 창조 방법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습니까?
그분의 능력을 생각할 때 어떤 생각과 느낌이 듭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그렇게 놀라운 우주를 창조하셔서 우리로 즐길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5/2023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2–23; JOHN 4:31–54
Hymn: 79(old 40)

EXPLORING THE STARS

In 2021, a multination effort led to the launch of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deployed nearly a million miles from Earth to better investigate the universe. This marvel will peer into deep space and examine the stars and other celestial wonders.

This is indeed a fascinating astronomical piece of technology, and if everything works, it will provide us with amazing photos and information. But its mission isn’t new. In fact, the prophet Isaiah described searching the stars when he said, “Lift up your eyes and look to the heavens: Who created all these? He who brings out the starry host one by one” (ISAIAH 40:26). “Night after night” they speak of our Creator who hurled this imperceptibly immense universe into existence (PSALM 19:2)—and with it the countless luminous bodies that silently grace our night sky (V. 3).

And it’s God Himself who decided how many of the shining objects there are: “He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stars and calls them each by name” (PSALM 147:4). When mankind sends complicated, fascinating probes to explore the universe, we can enjoy with spellbound wonder the discoveries they make, because each observation points back to the One who made the solar system and everything beyond it. Yes, 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 (19:1)—stars and all.
- DAVE BRANON

Today's Reading

PSALM 19:1–6
Lift up your eyes and look to the heavens: Who created all these? He who brings out the starry host one by one.
[ ISAIAH 40:26 ]

How do the stars and the entire universe speak of God and His creative ways?
What thoughts and emotions strike you as you think about His powe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creating such an amazing universe for me to enjoy.

오늘의 말씀

05/14/2023     주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9-21; 요한복음 4:1-30
찬송가: 384(통434)

사랑을 보여주는 리더십

어미 곰이 천방지축인 네 마리의 새끼 곰들이 차도를 다 건너도록 애쓰는 화제의 영상을 보며 내 얼굴에 미소가 피어올랐습니다. 어미 곰이 새끼 곰들을 하나씩 물어 길 건너편에 놓는데도, 새끼 곰들이 맞은편 있던 곳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재미있게 공감하며 보았습니다. 여러 번의 안타까운 시도 끝에 어미 곰은 마침내 네 마리의 새끼 곰들을 모아, 모두 안전하게 길을 건넜습니다.

영상에서 보여주는 어미 곰의 지칠 줄 모르는 자녀 돌봄의 이미지는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회의 사람들을 보살필 때의 모습과 같습니다. 바울 사도는 자신의 권위를 강조하는 대신 그가 그들 가운데 사역하는 것을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것에 비유했습니다(데살로니가전서 2:7, 11).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향한 깊은 사랑으로(8절) 그들을 권면하고 위로하고 촉구하여 “하나님께 합당하게 살아가”(12절, 새번역)도록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바울이 열심을 다하여 그들을 경건한 삶으로 부른 것은 삶의 모든 분야에서 그들이 하나님을 높이는 것을 보고 싶은 바람 때문이었습니다.

바울의 본보기는 우리 모두에게 남을 이끌 기회가 생길 때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책임감이 우리를 지치게 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성령의 능력을 힘입어 우리가 보살피는 사람들을 부드럽고 꾸준하게 사랑함으로써 그들을 격려하고 또 그들을 예수님께로 인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2:7-12
우리가 너희 각 사람에게 아버지가 자기 자녀에게 하듯 권면하고 위로하고 경계하노니
[데살로니가전서 2:11]

당신은 사랑에서 비롯된 리더십을 경험해 본 적이 있습니까?
당신이 보살피는 사람들을 어떻게 격려할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의 은혜로 보여주신 사랑의 보살핌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4/2023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9–21; JOHN 4:1–30
Hymn: 384(old 434)

LOVING LEADERSHIP

A viral video of a mama bear trying to get her four energetic little cubs across a busy street brought a knowing smile to my face. It was delightfully relatable to watch her pick up her cubs one-by-one and carry them across the road—only to have the cubs wander back to the other side. After many seemingly frustrating attempts, the mama bear finally corralled all four of her cubs, and they made it safely across the road.

The tireless work of parenting symbolized in the video matches imagery used by Paul to describe his care for the people in the church of Thessalonica. Instead of emphasizing his authority, the apostle compared his work among them to a mother and father caring for young children (1 THESSALONIANS 2:7, 11). It was deep love for the Thessalonians (V. 8) that motivated Paul’s ongoing efforts to encourage, comfort, and urge them “to live lives worthy of God” (V. 12). This impassioned call to godly living was borne out of his loving desire to see them honor God in all areas of their lives.

Paul’s example can serve as a guide for us in all our leadership opportunities—especially when the responsibilities make us weary. Empowered by God’s Spirit, we can gently and persistently love those under our care as we encourage and guide them toward Jesus.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2:7–12
We dealt with each of you as a father deals with his own children.
[ 1 THESSALONIANS 2:11 ]

How have you experienced leadership motivated by love?
How might you encourage those under your care?

Heavenly Father, help me to extend to others the loving care You graciously show to m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