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02/2023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7-18; 요한복음 13:1-20
찬송가: 22(통26)

하나로 연합되는 나라들

세계에서 가장 긴 미국과 캐나다의 국경은 육지와 호수를 합쳐 5,525 마일(약 8,900킬로미터)에 달하는데, 국경선을 확실하게 표시하기 위해 국경 양쪽으로 각각 10피트(약 3미터) 이내에 있는 나무들을 주기적으로 벌목합니다. 끈 모양으로 길게 이어지는 “슬래시”라 불리는 이 벌목지대에는 8천개가 넘는 경계석이 있어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국경선이 어디인지 잘 알 수 있습니다.

물리적으로 벌목하여 생긴 “슬래시”는 양쪽이 서로 다른 정부, 다른 문화로 분리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하나님께서 이처럼 갈라진 것을 되돌리시고 그분의 통치 아래 세상의 모든 나라들을 연합시키실 날을 고대합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하나님의 성전이 굳건히 세워지고 드높여질 미래에 대해 말했습니다(이사야 2:2). 열방의 백성들이 모여 하나님의 길을 배우고 “그 길로 행할” 것입니다(3절). 우리는 평화를 지켜주지 못하는 인간의 노력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게 될 것이며, 우리의 진정한 왕이신 하나님께서 열방 사이에 판단하시며 많은 백성을 판결하실 것입니다(4절).

당신은 분열과 분쟁이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바로 그것을 이루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 우리는 우리 주위의 분열에 상관없이 “여호와의 빛에 행할”(5절) 수 있으며 지금 그분께 충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만물을 다스리시며 언젠가는 그의 백성을 하나의 깃발 아래 연합시키실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2:1-5
그가 열방 사이에 판단하시며 [이사야 2:4]

오늘 세상의 어떤 분열이 당신 마음을 무겁게 합니까?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고대하면서 어떻게 힘을 얻고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께서 오늘날의 세상 모든 권력 위에 통치하심을 잘 압니다! 하나님은 모든 것 위에 군림하시는 분이십니다.

Daily Article

06/02/2023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7–18; JOHN 13:1–20
Hymn: 22(OLD 26)

UNITING NATIONS

The longest international border in the world is shared by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covering an incredible 5,525 miles of land and water. Workers regularly cut down ten feet of trees on both sides of the boundary to make the border line unmistakable. This lengthy ribbon of cleared land, called “the Slash,” is dotted by more than eight thousand stone markers so visitors always know where the dividing line falls.

The physical deforestation of “the Slash” represents a separation of government and cultures. As believers in Jesus, we look forward to a time when God will reverse that and unite all nations across the world under His rule. The prophet Isaiah spoke of a future where His temple will be firmly established and exalted (ISAIAH 2:2). People from all nations will gather to learn God’s ways and “walk in his paths” (V. 3). No longer will we rely on human efforts that fail to maintain peace. As our true King, God will judge between nations and settle all disputes (V. 4).

Can you imagine a world without division and conflict? That’s what God promises to bring! Regardless of the disunity around us, we can “walk in the light of the Lord” (V. 5) and choose to give Him our allegiance now. We know that God rules over all, and He will someday unite His people under one banner. - KAREN PIMPO

Today's Reading

ISAIAH 2:1–5
He will judge between the nations. [ ISAIAH 2:4 ]

What disunity in the world is heavy on your heart today? How does looking forward to God’s eternal kingdom give you strength?

Dear God, I acknowledge Your sovereignty over every power in the world today! You reign above it all.

오늘의 말씀

06/01/2023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5-16; 요한복음 12:27-50
찬송가: 570(통453)

하나님의 손 안에

18세가 되는 내 딸에게 인생의 새로운 장이 열렸습니다. 법적으로 성인이 된 딸은 이제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생겼고,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새로운 인생이 시작될 것입니다. 이런 변화들을 앞두고 내 마음이 다급해졌습니다. 딸을 곁에 두고 딸에게 재정 관리하기, 세상 물정 알기, 바른 결정하기 등, 혼자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혜를 전해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것입니다.

인생을 잘 헤쳐나갈 수 있도록 딸을 준비시키려는 나의 의무감은 당연한 것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딸을 사랑했고, 딸의 성공을 바라는 마음이었으니까요. 그러나 나의 역할이 중요하긴 해도 나 혼자, 또는 내가 나서서 감당할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에 대해 가르치고 믿음 안에서 자녀로 여겼던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바울은 서로 도우라고 강권하면서도(데살로니가전서 5:14-15) 그들의 믿음의 성장을 궁극적으로 하나님께 맡겼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그들을] 온전히 거룩하게 하실”(23절) 거라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할 수 없는 일, 곧 그들의 “영과 혼과 몸”을 예수님이 다시 오실 날까지 흠 없게 준비시키는 일(23절)을 하나님께 맡겼습니다. 그가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서신을 통해 가르치기도 했지만 그들의 안녕과 온전한 준비를 하나님께 맡겼던 것을 보면서, 우리가 돌보는 사람들의 삶의 성장도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손 안에 있음을 배우게 됩니다(고린도전서 3:6).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5:12-28
너희를 부르시는 이는 미쁘시니 그가 또한 이루시리라 [데살로니가전서 5:24]

하나님 안에서 성장하도록 하나님께서 도우시는 것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당신은 누구의 성장을 하나님께 맡기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 영혼이 성장하는 일을 시작하고 마치시는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그 선한 사역을 하나님께 온전히 맡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1/2023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5–16; JOHN 12:27–50
Hymn: 570(OLD 453)

IN GOD’S HANDS

Turning eighteen ushered in a new era in my daughter’s life: legally an adult, she now had the right to vote in future elections and would soon embark on lif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This shift had instilled in me a sense of urgency— I would have precious little time with her under my roof to impart to her the wisdom she’d need to face the world on her own: how to manage finances, stay alert to world issues, and make sound decisions.

My sense of duty to equip my daughter to handle her life was understandable. After all, I loved her and desired for her to flourish. But I realized that while I had an important role, it wasn’t solely—or even primarily—my job. In Paul’s words to the Thessalonians—a group of people he considered his children in the faith because he’d taught them about Jesus—he urged them to help one another (1 THESSALONIANS 5:14–15), but ultimately he trusted their growth to God. He acknowledged that God would “sanctify [them] through and through” (V. 23).

Paul trusted God to do what he couldn’t: prepare them— “spirit, soul and body”—for the eventual return of Jesus (V. 23). Though his letters to the Thessalonians contained nstructions, his trust in God for their well-being and preparedness teaches us that growth in the lives of those we care for is ultimately in God’s hands (1 CORINTHIANS 3:6).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5:12–28
The one who calls you is faithful, and he will do it. [ 1 THESSALONIANS 5:24 ]

How have you observed God helping you to grow in Him? Whose growth do you need to entrust to Him?

Father, thank You for being the initiator and finisher of my spiritual growth. Please help me to trust You for that good work.

오늘의 말씀

05/31/2023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3-14; 요한복음 12:1-26
찬송가: 91(통91)

슬픔 가운데 기쁨

안젤라의 가족은 겨우 4주 만에 세 명을 사별로 떠나보내고 슬픔 가운데 지내고 있었습니다. 조카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안젤라는 그녀의 두 여동생과 함께 유골함을 사고, 포장 음식을 가지러 가고, 장례식에 참석하고 나서는 사흘 내내 부엌의 식탁에 둘러앉아 있었습니다. 그들은 조카의 죽음을 슬퍼하면서도 막내 여동생 안에 자라고 있는 새 생명의 초음파 사진을 보며 기뻐했습니다.

시간이 지나 안젤라는 구약성경의 에스라서에서 위안과 소망을 찾았습니다. 에스라서는 바벨론 사람들에게 성전을 파괴당하고 강제 추방된 후 하나님의 백성들이 그들의 사랑하는 도시 예루살렘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을 기술하고 있습니다(에스라 1장 참조). 성전이 다시 세워지는 것을 지켜보고 있을 때, 에스라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기쁨의 소리를 들었습니다(3:10-11). 그러나 동시에 추방되기 전의 삶을 기억하는 사람들의 통곡 소리도 함께 들었습니다(12절).

한 구절이 특히 안젤라를 위로했습니다. “백성이 크게 외치는 소리가 멀리 들리므로 즐거이 부르는 소리와 통곡하는 소리를 백성들이 분간하지 못하였더라”(13절). 안젤라는 비록 슬픔에 깊이 잠겨 있었지만 그럼에도 기쁨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우리도 사랑하는 이의 죽음이나 다른 상실로 슬퍼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들으시며 그분의 팔로 우리를 모으심을 알고, 하나님께 우리의 기쁨의 순간뿐 아니라 우리의 고통스러운 외침도 함께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라 3:8-13
즐거이 부르는 소리와 통곡하는 소리를 백성들이 분간하지 못하였더라
[에스라 3:13]

당신은 왜 기쁨과 슬픔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오늘 어떻게 기쁨을 증진시킬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이 세상에서 우리는 고통과 괴로움을 경험합니다.
소망과 평화를 바라며 하나님을 바라볼 때 제 안에 기쁨의 불꽃이 일게 하소서.

Daily Article

05/31/2023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3–14; JOHN 12:1–26
Hymn: 91(old91)

SORROW AND JOY

Angela’s family reeled with sorrow as they experienced three bereavements in just four weeks. After the one involving the sudden death of their nephew, Angela and her two sisters gathered around the kitchen table for three days, only leaving to buy an urn, get takeout, and attend the funeral. As they wept over his death, they also rejoiced over the ultrasound photos of the new life growing within their youngest sister.

In time, Angela found comfort and hope from the Old Testament book of Ezra. It describes God’s people returning to Jerusalem after the Babylonians destroyed the temple and deported them from their beloved city (SEE EZRA 1). As Ezra watched the temple being rebuilt, he heard joyful praises to God (3:10–11). But he also listened to the weeping of those who remembered life before exile (V. 12).

One verse especially consoled Angela: “No one could distinguish the sound of the shouts of joy from the sound of weeping, because the people made so much noise” (V. 13). She realized that even if she was drenched in deep sorrow, joy could still appear.

We too might grieve the death of a loved one or mourn a different loss. If so, we can express our cries of pain along with our moments of rejoicing to God, knowing that He hears us and gathers us in His arm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ZRA 3:8–13
No one could distinguish the sound of the shouts of joy from the sound of weeping.
[ EZRA 3:13 ]

Why do you think you can experience both joy and sorrow at the same time?
How can you cultivate joy today?

Loving God, in this world we experience pain and suffering.
Spark joy in me as I look to You for hope and peace.

오늘의 말씀

05/30/2023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0-12; 요한복음 11:30-57
찬송가: 436(통493)

회복시키시는 하나님

1966년 11월 4일, 이탈리아의 피렌체에 홍수 재해가 덮쳐 조르조 바사리의 유명한 예술작품 ‘최후의 만찬’이 12시간도 넘게 진흙과 물과 기름이 가득한 곳에 잠기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그림의 물감이 뭉개지고 나무로 된 액자도 심각하게 손상되어 많은 사람들이 그 그림의 복구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림을 보존하려는 50년간의 오랜 노력 끝에 전문가들과 봉사자들은 엄청난 장애를 극복하고 귀중한 명화를 복구할 수 있었습니다.

바벨론 사람들이 이스라엘을 정복했을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소망이 없다고 느꼈습니다. 사방에 널린 죽음과 파괴의 땅은 복구가 필요했습니다 (예레미야애가 1장 참조). 이 혼란의 시기에 하나님은 에스겔 선지자를 골짜기로 이끄셔서 그가 마른 뼈들에 둘러싸여 있는 환상을 보여주셨습니다. 하나님이 “이 뼈들이 능히 살 수 있겠느냐”고 묻자 에스겔은 “주 여호와여 주께서 아시나이다”라고 대답했습니다(에스겔 37:3). 그러자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마른 뼈들이 다시 살아나도록 예언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에스겔은 “내가 예언하자 갑자기 뼈가 움직이는 소리가 나더니 이 뼈 저 뼈가 서로 붙어 연결되기 시작하였다”(7절, 현대인의 성경)고 말했습니다. 이 환상을 통하여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이스라엘의 회복은 오직 하나님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셨습니다.

우리의 삶이 깨어져 보수가 불가능하다고 느껴질 때, 하나님은 우리의 깨어진 부분을 재건할 수 있다고 확신시켜 주십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새로운 생기를 불어넣어 새로운 삶을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겔 37:4-14
내가 생기를 너희에게 들어가게 하리니 너희가 살아나리라
[에스겔 37:5 ]

당신의 삶에 부서진 부분은 무엇입니까?
당신은 회복을 위해 어떻게 하나님을 의지할 수 있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 삶의 어떤 부분들은 다시 회복되지 못할 것처럼 보입니다.
제 스스로 해결하려고 노력했지만,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소망은 하나님께만 있습니다.

Daily Article

05/30/2023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0–12; JOHN 11:30–57
Hymn: 436(old493)

THE GOD WHO RESTORES

On November 4, 1966, a disastrous flood swept through Florence, Italy, submerging Giorgio Vasari’s renowned work of art The Last Supper under a pool of mud, water, and heating oil for more than twelve hours. With its paint softened and its wooden frame significantly damaged, many believed that the piece was beyond repair. However, after a tedious fifty-year conservation effort, experts and volunteers were able to overcome monumental obstacles and restore the valuable painting.

When the Babylonians conquered Israel, the people felt hopeless— surrounded by death and destruction and in need of restoration (SEE LAMENTATIONS 1). During this period of turmoil, God took the prophet Ezekiel to a valley and gave him a vision where he was surrounded by dry bones. “Can these bones live?” God asked. Ezekiel responded, “Lord, you alone know” (EZEKIEL 37:3). God then told him to prophesy over the bones so they might live again. “As I was prophesying,” Ezekiel recounted, “there was a noise, a rattling sound, and the bones came together” (V. 7). Through this vision, God revealed to Ezekiel that Israel’s restoration could only come through Him.

When we feel as if things in life have been broken and are beyond repair, God assures us He can rebuild our shattered pieces. He’ll give us new breath and new life.
- KIMYA LODER

Today's Reading

EZEKIEL 37:4–14
I will make breath enter you, and you will come to life.
[ EZEKIEL 37:5 ]

What’s broken in your life?
How might you rely on God to bring restoration?

Dear God, parts of my life seem like they’ll never be restored.
I’ve tried to fix them on my own, but my only hope of restoration is found in You.

오늘의 말씀

05/29/2023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7-9; 요한복음 11:1-29
찬송가: 428(통488)

희망 붙들기

“아빠가 돌아오실 거예요! 아빠가 꽃을 보내셨잖아요.” 아버지가 전쟁 당시 작전 수행 중에 실종되었을 때 일곱 살짜리 여동생이 어머니에게 한 말입니다. 아버지가 임무수행 차 집을 떠나기 전에 여동생 생일에 맞춰 꽃을 미리 주문해 놓았는데, 그 꽃들이 아버지가 실종된 상황에 도착한 것입니다. 그런데 여동생 말이 맞았습니다. 참혹한 전투 상황이 지난 후 아버지는 정말 살아서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내 동생은 언제나 희망을 붙들어야 된다는 것을 기억하기 위해 그 꽃을 담았던 꽃병을 아직 간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망가지고 죄 많은 세상에서 희망을 붙든다는 것이 때로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많은 아버지들이 집으로 항상 돌아오는 것도 아니고, 때로는 아이들의 소원이 다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가장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주십니다. 구약의 어느 전쟁의 때에 하박국 선지자는 바벨론이 유다를 침략할 것이라고 예언하면서도(하박국 1:6; 열왕기하 24장 참조) 하나님은 언제나 선하신 분이라고 단언하고 있습니다(하박국 1:12-13). 과거에 그의 백성들에게 선하셨던 하나님을 기억하며 하박국은 이렇게 선포합니다. “비록 무화과나무가 무성하지 못하며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감람나무에 소출이 없으며 밭에 먹을 것이 없으며 우리에 양이 없으며 외양간에 소가 없을지라도 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로다”(3:17-18).

몇몇 성경 주석가들은 하박국이라는 이름의 뜻이 “매달리다”라고 생각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붙드시고 절대 놓지 않으실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시련 가운데서도 우리의 궁극적인 희망과 기쁨이 되시는 하나님께 매달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하박국 3:11-19
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로다
[하박국 3:18]

어려울 때에 하나님 안에서 기뻐하는 것이 당신에게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오늘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나든 저의 미래가 하나님과 함께 밝게 빛날 것을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5/29/2023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7–9; JOHN 11:1–29
Hymn: 428(old488)

HOPE THAT HOLDS

“I know Daddy’s coming home because he sent me flowers.” Those were my seven-year-old sister’s words to our mother when Dad was missing in action during wartime. Before Dad left for his mission, he preordered flowers for my sister’s birthday, and they arrived while he was missing. But she was right: Dad did come home—after a harrowing combat situation. And decades later, she still keeps the vase that held the flowers as a reminder to always hold on to hope.

Sometimes holding on to hope isn’t easy in a broken, sinful world. Daddies don’t always come home, and children’s wishes sometimes go unfulfilled. But God gives hope in the most difficult circumstances. In another time of war, the prophet Habakkuk predicted the Babylonian invasion of Judah (HABAKKUK 1:6; SEE 2 KINGS 24) but still affirmed that God is always good (HABAKKUK 1:12–13). Remembering God’s kindness to His people in the past, Habakkuk proclaimed: “Though the fig tree does not bud and there are no grapes on the vines, though the olive crop fails and the fields produce no food, though there are no sheep in the pen and no cattle in the stalls, yet I will rejoice in the Lord, I will be joyful in God my Savior” (3:17–18).

Some commentators believe Habakkuk’s name means “to cling.” We can cling to God as our ultimate hope and joy even in trials because He holds on to us and will never let go.
- JAMES BANKS

Today's Reading

HABAKKUK 3:11–19
I will rejoice in the Lord, I will be joyful in God my Savior.
[ HABAKKUK 3:18 ]

How does rejoicing in God help you in difficult times?
What can you do to praise Him today?

Father, thank You that come what may, my future is bright with You!

오늘의 말씀

05/28/2023     주일

성경읽기: 역대하 4-6; 요한복음 10:24-42
찬송가: 190(통177)

오직 성령만이 하실 수 있는 일

위르겐 몰트만이라는 94세의 독일 신학자가 쓴 성령에 관한 책에 대해 토론하는 동안 한 인터뷰 진행자가 물었습니다. “당신은 성령을 어떻게 활동하게 합니까? 알약을 먹으면 됩니까? 제약 회사가 [성령을 배달] 합니까?” 몰트만의 덥수룩한 눈썹이 치켜 올라갔습니다. 그는 고개를 저으며 씩 웃고는 억양이 있는 영어로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제가 뭘 할 수 있을까요? 아무것도 하지 말고 성령님을 기다리십시오. 그러면 성령님이 오실 것입니다.”

몰트만은 우리의 힘이나 전문 지식으로 어떤 일이든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우리의 잘못된 믿음을 지적한 것입니다. 사도행전은 일이 일어나게 하시는 분은 하나님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초대교회의 시작은 인간적인 전략이나 인상적인 리더십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습니다. 그것보다는, 성령께서 겁에 질려 무기력하고 어쩔 줄 모르는 제자들의 방에 “강한 바람 같이” 임하시고 (2:2), 그런 다음 서로 대립하는 사람들을 하나의 새로운 공동체로 모으심으로 민족적인 우월감들을 모두 산산이 부수셨습니다. 제자들은 하나님이 그들 안에서 행하시는 일을 보고 다른 사람들처럼 충격을 받았습니다. 제자들이 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성령께서 하게 하셨습니다”(4절).

교회와, 이 세상을 향한 우리의 사역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에 따라 규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오직 성령만이 하실 수 있는 일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담대하면서도 평화로울 수 있습니다. 오순절을 기념하는 이 날, 성령님을 기다리며 그분께 응답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1-13
그들이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사도행전 2:4]

어떻게 자신의 노력이나 강인함에 의존하고 싶은 유혹을 받습니까?
어떤 경우에 성령님이 하실 수 있는 일을 하시도록 기다려야 할까요?

하나님, 제 스스로 일을 이루어 내야만 한다고 믿었기에 너무 지쳤습니다.
성령님, 오셔서 저를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8/2023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4–6; JOHN 10:24–42
Hymn: 190(old 177)

WHAT ONLY THE SPIRIT CAN DO

During the discussion of a book on the Holy Spirit written by a ninety-four-year-old German theologian named Jürgen Moltmann, an interviewer asked him: “How do you activate the Holy Spirit? Can you take a pill? Do the pharmaceutical companies [deliver the Spirit]?” Moltmann’s bushy eyebrows shot up. Shaking his head, he grinned, answering in accented English. “What can I do? Don’t do anything. Wait on the Spirit, and the Spirit will come.”

Moltmann highlighted our mistaken belief that our energy and expertise make things happen. Acts reveals that God makes things happen. At the start of the church, it had nothing to do with human strategy or impressive leadership. Rather, the Spirit arrived “like the blowing of a violent wind” into a room of frightened, helpless, and bewildered disciples (2:2). Next, the Spirit shattered all ethnic superiorities by gathering people who were at odds into one new community. The disciples were as shocked as anyone to see what God was doing within them. They didn’t make anything happen; “the Spirit enabled them” (V. 4).

The church—and our shared work in the world—isn’t defined by what we can do. We’re entirely dependent on what only the Spirit can do. This allows us to be both bold and restful. On this day—the day we celebrate Pentecost—may we wait for the Spirit and respond.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AC TS 2:1–13
All of them wer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began to speak in other tongues as the Spirit enabled them.
[ ACTS 2:4 ]

How are you tempted to rely on your own efforts or tenacity?
Where do you need to wait for what the Spirit can do?

God, I’ve exhausted myself by believing that I must make things happen.
Holy Spirit, come and help me.

오늘의 말씀

05/27/2023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3; 요한복음 10:1-23
찬송가: 220(통278)

작지만 큰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을까?’ 대학 수영선수가 수영 속도가 너무 느려 걱정했습니다. 하지만 수학 교수인 켄 오노가 그 여학생의 수영 기술을 자세히 연구하여 기록을 6초나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습니다. 이 차이는 올림픽 수준의 경쟁에서 상당한 것입니다. 오노는 처음에 선수의 등에 센서를 부착하며 노력했지만 수영 기록을 단축시킬 중요한 변경 사항을 찾아내지 못했습니다. 그 대신 선수가 물속에서 훨씬 더 효율적으로 수영하여 경쟁에서 이길 수 있을 정도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 몇 가지 작은 교정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영적인 문제에서도 작은 교정들은 우리에게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스가랴 선지자는 포로생활에서 돌아온 후 하나님의 성전을 재건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낙담한 유대인들과 그들의 건축 지도자 스룹바벨에게 비슷한 원리를 가르쳤습니다. 만군의 여호와께서는 스룹바벨에게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영으로 된다”(스가랴 4:6) 고 말씀하셨습니다.

스가랴는 “작은 일의 날이라고 멸시하는 자가 누구냐”(10절)고 천명합니다. 포로 귀환자들은 성전이 솔로몬 왕 시대에 지어진 성전만 못할 것이라고 걱정했습니다. 그러나 오노의 수영 선수가 작은 교정들을 통해 올림픽에서 메달을 딴 것처럼, 스룹바벨의 지도 아래 건축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은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이루어지는 작지만 올바른 노력들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면 그것들이 승리의 기쁨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나님 안에서는 작은 일도 큰일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스가랴 4:4-10
작은 일의 날이라고 멸시하는 자가 누구냐
[스가랴 4:10]

어떤 영역에서 크고 화려한 행동이 당신을 영적 좌절로 이끌었습니까?
어떤 작은 변화가 당신의 영적 삶을 향상시켜 주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을 위해 제 안에 큰 차이를 만들어낼 작고 선한 행동을 가리켜 보여 주소서.

Daily Article

05/27/2023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3; JOHN 10:1–23
Hymn: 220(old 278)

SMALL BUT GREAT

Will I make the Olympics? The college swimmer worried her speed was too slow. But when math professor Ken Ono studied her swim techniques, he saw how to improve her time by six full seconds—a substantial difference at that level of competition. Attaching sensors to the swimmer’s back, he didn’t identify major changes to improve her time. Instead, Ono identified tiny corrective actions that, if applied, could make the swimmer more efficient in the water, making the winning difference.

Small corrective actions in spiritual matters can make a big difference for us too. The prophet Zechariah taught a similar principle to a remnant of discouraged Jews struggling, along with their builder Zerubbabel, to rebuild God’s temple after their exile. But “not by might nor by power, but by my Spirit,” the Lord Almighty told Zerubbabel (ZECHARIAH 4:6).

As Zechariah declared, “Who dares despise the day of small things?” (V. 10). The exiles had worried that the temple wouldn’t match the one built during King Solomon’s reign. But just as Ono’s swimmer made the Olympics—winning a medal after surrendering to small corrections—Zerubbabel’s band of builders learned that even a small, right effort made with God’s help can bring victorious joy if our small acts glorify Him. In God, small becomes great.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ZECHARIAH 4:4–10
Who dares despise the day of small things?
[ ZECHARIAH 4:10 ]

Where have big, splashy actions led you to spiritual frustration?
What small changes have enhanced your spiritual life?

Point me to small, good actions, dear God, that make a big difference in me for You.

오늘의 말씀

05/26/2023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28-29; 요한복음 9:24-41
찬송가: 539(통483)

예수님이 답입니다

어느 전해지는 이야기에 의하면,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순회강연 중 다음 강연 장소로 가는 도중에 그의 운전기사가 그의 강연을 하도 들어서 자기도 강연을 할 수 있겠다고 말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다음에 강의할 대학에서는 아무도 자신의 사진을 보지 못했으니 역할을 바꾸어 보자고 제안했습니다. 운전기사는 그러겠다고 한 후 훌륭한 강의를 해냈습니다. 그런데 질의응답 시간이 되어 한 질문자가 공격적인 질문을 하자 운전기사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당신이 뛰어난 교수인 것은 알겠지만, 내 운전기사도 대답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한 질문을 하다니 정말 놀랍군요.” 그러고 나서 그의 “운전기사” 역할을 한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직접 그 질문에 대답했습니다! 재미있지만 허구적인 이야기는 그렇게 끝이 납니다.

다니엘의 용감한 세 친구는 정말 굉장한 곤경에 처해 있었습니다. 느부갓네살 왕은 그가 만든 우상에게 절하지 않으면 그들을 맹렬히 타는 풀무불에 던져 버리겠다고 위협했습니다. 왕이 물었습니다. “능히 너희를 내 손에서 건져낼 신이 누구이겠느냐”(다니엘 3:15). 그러나 친구들이 여전히 절하는 것을 거부하자 왕은 풀무불을 일곱 배 더 뜨겁게 달구어 그들을 던져 넣었습니다.

그러나 풀무불 속에는 그들만 있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예수님이었을 한 “천사”(28절)가 불 속에서 함께하여 그들이 해를 입지 않도록 지켜 주었고, 그럼으로써 왕의 질문에 부인할 수 없는 답을 제시해 주었습니다(24-25절). 느부갓네살은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의 하나님”을 찬송하며 “이같이 사람을 구원할 다른 신이 없다”고 인정하였습니다(28-29절).

때때로 우리는 감당할 수 없어 힘에 벅차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이 주님을 섬기는 사람들 옆에 서 계셔서 곤경에서 구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3:15-28
내가 보니 결박되지 아니한 네 사람이 불 가운데로 다니는데 상하지도 아니하였고 그 넷째의 모양은 신들의 아들과 같도다
[다니엘 3:25]

당신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무엇입니까?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야 할 것 같은 압박감을 예수님이 어떻게 줄여 주십니까?

예수님, 아무 해결책이 없을 때 주님께서 해결책이 되어 주십니다.

Daily Article

05/26/2023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8–29; JOHN 9:24–41
Hymn: 539(old483)

JESUS IS THE ANSWER

The tale is told that after yet another stop on Albert Einstein’s lecture tour, his chauffeur mentioned that he’d heard enough of the speech that he could give it. Einstein suggested they switch places at the next college, as no one there had seen his picture. The chauffer agreed and delivered a fine lecture. Then came the question-and-answer period. To one aggressive inquirer, the chauffer replied, “I can see you’re a brilliant professor, but I’m surprised you would ask a question so simple that even my chauffeur could answer it.” Then his “chauffeur”—Albert Einstein himself—did answer it! So ends the fun but fictional story.

Daniel’s courageous three friends were truly on the hot seat. King Nebuchadnezzar threatened to throw them into a blazing furnace if they didn’t worship his idol. He asked, “What god will be able to rescue you from my hand?” (DANIEL 3:15). The friends still refused to bow, so the king heated the furnace seven times hotter and had them tossed in.

They didn’t go alone. An “angel” (V. 28), perhaps Jesus Himself, joined them in the fire, keeping them from harm and providing an undeniable answer to the king’s question (VV. 24–25). Nebuchadnezzar praised the “God of Shadrach, Meshach and Abednego” and conceded that “no other god can save in this way” (VV. 28–29).

At times, we may feel in over our heads. But Jesus stands with those who serve Him. He’ll carry us.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DANIEL 3:15–28
Look! I see four men walking around in the fire, unbound and unharmed, and the fourth looks like a son of the gods.
[ DANIEL 3:25 ]

What problem are you unable to solve? How might Jesus relieve the pressure that you feel to fix your challenge?

Jesus, You’re the answer when there’s no answer.

오늘의 말씀

05/25/2023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25-27; 요한복음 9:1-23
찬송가: 430(통456)

모든 일을 예수님을 위해

제프가 14살이었을 때, 그의 엄마는 그를 한 유명 가수의 공연에 데려갔습니다. 당시의 많은 음악가들처럼 비제이 토마스도 음악 순회공연 동안 자신을 망가뜨리는 생활방식에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그와 그의 아내가 예수님을 만나게 되었고, 그들이 예수님을 믿게 되면서 그들의 삶은 철저하게 바뀌었습니다.

공연하던 그날 밤, 그 가수는 열광적인 관중들을 흥겹게 해주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그의 유명한 노래 몇 곡을 불렀을 때, 청중 속의 한 남자가 소리쳤습니다. “예수님을 위해 한 곡 불러주세요!” 비제이는 아무 망설임도 없이 대답했습니다. “저는 지금 네 곡 다 예수님을 위해 불렀습니다.”

그때로부터 수십 년이 지났지만, 제프는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이, 심지어 일부 사람들이 “비종교적인” 것이라고 여길 수 있는 것조차도 예수님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은 그 순간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때때로 우리가 삶에서 하는 일들을 나누려는 유혹에 빠집니다. 성경을 읽는 것, 믿음을 가지게 된 우리의 이야기를 나누는 것, 찬송가를 부르는 것은 ‘신성한 것’이고, 잔디를 깎는 것, 뛰어가는 것, 컨트리송을 부르는 것은 ‘세속적인 것’이라고 말입니다.

골로새서 3장 16절은 우리가 가르치고 찬송하고 감사할 때 그리스도의 말씀이 우리 안에 거한다는 것을 일깨워 주지만, 17절은 더 나아가 하나님의 자녀로서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든 일을 주님을 위해 합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5-24
또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고
[골로새서 3:17]

어떻게 모든 일을 예수님의 이름으로 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나님께서 당신의 모든 행동과 말을 그분의 영광을 위해 쓰시도록 맡길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의 모든 말과 행동을 하나님께 맡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5/2023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5–27; JOHN 9:1–23
Hymn: 430(old456)

ALL FOR JESUS

When Jeff was fourteen, his mom took him to see a famous singer. Like many musicians of his era, B. J. Thomas had gotten caught up in a self-destructive lifestyle while on music tours. But that was before he and his wife were introduced to Jesus. Their lives were radically changed when they became believers in Christ.

On the night of the concert, the singer began to entertain the enthusiastic crowd. But after performing a few of his well-known songs, one guy yelled out from the audience, “Hey, sing one for Jesus!” Without any hesitation, B. J. responded, “I just sang four songs for Jesus.”

It’s been a few decades since then, but Jeff still remembers that moment when he realized that everything we do should be for Jesus—even things that some might consider to be “nonreligious.”

We’re sometimes tempted to divvy up the things we do in life. Read the Bible. Share our story of coming to faith. Sing a hymn. Sacred stuff. Mow the lawn. Go for a run. Sing a country song. Secular stuff.

Colossians 3:16 reminds us that the message of Christ indwells us in activities like teaching, singing, and being thankful, but verse 17 goes even further. It emphasizes that as God’s children, “whatever [we] do, whether in word or deed, [we] do it all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We do it all for Him.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COLOSSIANS 3:15–24
Whatever you do, whether in word or deed, do it all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 COLOSSIANS 3:17 ]

How can you do all things in the name of Jesus?
How might you allow God to use your actions and words for His glory?

Loving God, help me to surrender every one of my activities and words to You.

오늘의 말씀

05/24/2023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22-24; 요한복음 8:28-59
찬송가: 559(통305)

축복받은 일상

아침에 지하철로 사람들이 쏟아져 들어오는 것을 보면서 나는 월요병이 다시 발동하는 것을 느꼈습니다. 꽉 찬 지하철 칸의 졸리고 짜증 난 얼굴을 보면서 나는 아무도 출근하기를 바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몇몇 사람들이 공간을 더 확보하려고 떠밀고 있고, 또 더 많은 사람들이 비집고 들어오려고 하자 사람들이 이맛살을 찌푸렸습니다. ‘또 다른 일상의 직장 생활이 시작되는구나.’

그러자, 불과 1년 전만 해도 코비드 19로 인한 봉쇄로 우리의 일상이 엉망이 되어 지하철이 텅텅 비었었다는 생각이 갑자기 떠올랐습니다. 우리는 외식도 못했고, 어떤 이들은 실제로 직장에 가는 것을 그리워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거의 정상생활로 되돌아와서 많은 사람들이 평상시처럼 다시 일하러 가고 있습니다. 나는 “일상”이라는 것이 좋은 소식이며, “따분함”도 축복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솔로몬 왕도 무의미해 보이는 매일의 수고를 돌아본 후에 이와 비슷한 결론에 도달했습니다(전도서 2:17-23). 가끔은 그 수고가 끝이 없고, “무의미하며” 아무 보상도 없어 보였지만(21절), 그는 매일 그저 먹고 마시고 일할 수 있다는 것도 하나님의 축복임을 깨닫게 되었습니다(24절).

우리가 일상을 빼앗기고 나면 이런 단순한 행동들도 호화로운 사치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먹고 마실 수 있는 것에 하나님께 감사하고, 우리의 모든 수고에서 만족을 누리십시다. 그것은 바로 하나님이 주신 선물입니다(3:13).

오늘의 성구

전도서 2:17-26
[하나님께서] 주시지 않고서야, 누가 먹을 수 있으며, 누가 즐길 수 있겠는가?
[전도서 2:25, 새번역]

오늘 어떤 단순한 축복으로 하나님께 감사할 수 있습니까?
처지가 어렵거나 삶의 평범한 일상을 즐길 수 없는 누군가에게 당신은 무엇을 해줄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보통의” 일상이 가끔 아무리 지루해 보여도 그 일들로 인하여 감사드립니다.
제 삶에 주시는 하나님의 모든 축복에 감사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4/2023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2–24; JOHN 8:28–59
Hymn: 559(old 305)

BLESSED ROUTINE

Watching the morning crowd pour onto the train, I felt the Monday blues kick in. From the sleepy, grumpy faces of those in the jam-packed cabin, I could tell no one looked forward to going to work. Frowns broke out as some jostled for space and more tried to squeeze in. Here we go again, another mundane day at the office.

Then, it struck me that just a year before, the trains would have been empty because COVID-19 lockdowns had thrown our daily routines into disarray. We couldn’t even go out for a meal, and some actually missed going to the office. But now we were almost back to normal, and many were going back to work—as usual. “Routine,” I realized, was good news, and “boring” was a blessing!

King Solomon came to a similar conclusion after reflecting on the seeming pointlessness of daily toil (ECCLESIASTES 2:17–23). At times, it appeared endless, “meaningless,” and unrewarding (V. 21). But then he realized that simply being able to eat, drink, and work each day was a blessing from God (V. 24).

When we’re deprived of routine, we can see that these simple actions are a luxury. Let’s thank God that we can eat and drink and find satisfaction in all our toil, for this is His gift (3:13).
- LESLIE KOH

Today's Reading

ECCLESIASTES 2:17–26
Without [God], who can eat or find enjoyment?
[ ECCLESIASTES 2:25 ]

What simple blessings can you thank God for today?
What can you do for someone who’s in need or is unable to enjoy life’s simple routines?

Dear God, thank You for my “usual” routines, no matter how boring they may seem at times.
Help me to be grateful for Your every blessing in lif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