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12/2023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4-6; 사도행전 17:16-34
찬송가: 255(통187)

나를 씻어 주소서!

“나를 씻어 주세요!” 내 차에 그 글귀가 쓰여 있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세차장으로 갔는데, 최근 폭설 이후 차에 들러붙은 도로의 소금 덩어리들을 씻어내고 싶어하는 것은 다른 운전자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기다리는 줄은 길고 서비스는 느렸습니다. 하지만 기다린 가치가 있었습니다. 내 차는 깨끗해졌고, 서비스 지연에 대한 보상으로 무료로 세차했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의 희생으로 깨끗함을 얻는 것, 그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입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우리의 죄를 용서해 주셨습니다. 우리 중 삶의 “더러움과 음침함”의 “때를 깨끗하게 씻어내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우리의 이기적인 생각이나 행동으로 우리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을 해롭게 하고, 우리에게서 하나님과의 화평을 빼앗아 갈 때도 그렇지 않을까요? 시편 51편은 다윗이 그의 인생에서 유혹을 물리치지 못했을 때의 외침입니다. 그의 죄에 대해 영적인 멘토인 나단과 대면했을 때(사무엘하 12 장 참조) 그는 “나를 씻어 주소서!”라고 기도했습니다. “우슬초로 나를 정결하게 하소서 내가 정하리이다. 나의 죄를 씻어 주소서 내가 눈보다 희리이다”(7절). 더러움과 죄책감을 느끼십니까? 다음 말씀을 기억하고 예수님께 나아가십시오. “우리가 우리의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요한1서 1:9).

오늘의 성구

시편 51:1-7
나의 죄를 씻어 주소서 내가 눈보다 희리이다
[시편 51:7]

하나님께 “나를 씻어 주소서”라고 외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지금 무엇이 예수님의 무한한 용서와 정결케 하심을 구하지 못하게 합니까?

하늘에 계신 하나님, 주님은 제 삶에서 해결해야 할 모든 더러운 것들을 다 보고 계십니다.
저를 씻어 주시고 용서해 주시고 주님께 영광 돌리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12/2023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4–6; AC TS 17:16–34
Hymn: 255(old 187)

WASH ME!

“Wash me!” Though those words weren’t written on my vehicle, they could have been. So, off to the car wash I went, and so did other drivers who wanted relief from the grimy leftovers from salted roads following a recent snowfall. The lines were long, and the service was slow. But it was worth the wait. I left with a clean vehicle and, for compensation for service delay, the car wash was free of charge!

Getting cleaned at someone else’s expense—that’s the gospel of Jesus Christ. God, through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has provided forgiveness for our sins. Who among us hasn’t felt the need “to bathe” when the “dirt and grime” of life have clung to us? When we’re stained by selfish thoughts or actions that harm ourselves or others and rob us of peace with God? Psalm 51 is the cry of David when temptation had triumphed in his life. When confronted by a spiritual mentor about his sin (SEE 2 SAMUEL 12), he prayed a “Wash me!” prayer: “Cleanse me with hyssop, and I will be clean; wash me, and I will be whiter than snow” (V. 7). Feeling dirty and guilty? Make your way to Jesus and remember these words: ”If we confess our sins, he is faithful and just and will forgive us our sins and purify us from all unrighteousness” (1 JOHN 1:9).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51:1–7
Wash me, and I will be whiter than snow.
[ PSALM 51:7 ]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cry out to God, “Wash me”?
What’s keeping you from asking for His free forgiveness and cleansing through Jesus now?

God of heaven, You see every stain in my life that needs to be dealt with.
Wash me, forgive me, and help me to honor You.

오늘의 말씀

07/11/2023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1-3; 사도행전 17:1-15
찬송가: 37(통37)

누가 찬양 받기에 합당한가?

부동산 중개인은 젊은 부부에게 나선형 계단에 넓은 침실, 단단한 나무 바닥, 고급 카펫, 거대한 세탁실과 잘 정돈된 사무실까지 갖춘 집을 보여주었습니다. 그 부부는 모퉁이를 돌 때마다 그 집의 아름다움에 대해 극찬했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좋은 집을 찾아 주셨어요. 이 집은 정말 멋져요!” 이에 중개인이 보인 반응은 그들이 생각하기에 약간 의외일 수 있지만 맞는 말이었습니다. “건축업자에게 당신이 칭찬했다고 전해드리겠습니다. 이 집 자체도, 이 집을 보여주는 사람도 아닌, 이 집을 지은 사람이 칭찬받을 자격이 있으니까요.”

부동산 중개인의 말은 히브리서 저자의 “집을 지은 자가 그 집보다 더욱 존귀함 같으니라”(3:3)는 말의 울림 같습니다. 히브리서 저자는 여기서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의 신실함을 예언자 모세와 비교하고 있습니다(1-6절). 모세는 하나님과 대면하여 말하고 여호와의 형상을 볼 수 있는(민수기 12:8) 특권을 누렸지만, 여전히 하나님의 집을 지키는 ‘종’에 불과했습니다(히브리서 3:5). 창조주이신 그리스도(1:2, 10)는 신성한 “만물을 지으신 이”로서, 그리고 “하나님의 집을 맡은” 아들로서(3:4, 6) 영광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분입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집’은 하나님의 백성을 말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충실하게 섬길 때, 그 영광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분은 신성한 건축가이신 예수님이십니다. 하나님의 집인 우리가 받는 모든 칭송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3:1-6
집마다 지은 이가 있으니 만물을 지으신 이는 하나님이시라
[히브리서 3:4]

하나님께서 당신 안에 무엇을 지으셨습니까?
당신이 칭찬을 받을 때 예수님께 영광을 돌릴 당신만의 방법은 무엇입니까?

예수님, 주님은 모든 찬양을 받기에 합당하신 분입니다.
오늘 저의 삶과 말을 통해 주님께 찬양 드리길 원합니다.

Daily Article

07/11/2023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 AC TS 17:1–15
Hymn: 37(old 37)

WHO DESERVES THE PRAISE?

From the spiral staircase to the expansive bedroom, from the hardwood floors to the plush carpeting, from the huge laundry room to the well-organized office, the realtor showed a potential home to the young couple. At every corner they turned, they raved about its beauty: “You’ve picked the best place for us. This house is amazing!” Then the realtor responded with something they thought a bit unusual yet true: “I’ll pass along your compliment to the builder. The one who built the house deserves the praise; not the house itself or the one who shows it off.”

The realtor’s words echo the writer of Hebrews: “The builder of a house has greater honor than the house itself” (3:3). The writer was comparing the faithfulness of Jesus, the Son of God, with the prophet Moses (VV. 1–6). Though Moses was privileged to speak to God face-to-face and to see His form (NUMBERS 12:8), he was still only “a servant” in the house of God (HEBREWS 3:5). Christ as the Creator (1:2, 10) deserves honor as the divine “builder of everything” and as the Son “over God’s house” (3:4, 6). God’s house is His people.

When we serve God faithfully, it’s Jesus the divine builder who deserves the honor. Any praise we, God’s house, receive ultimately belongs to Him.
- ANNE CETAS

Today's Reading

HEBREWS 3:1–6
Every house is built by someone, but God is the builder of everything.
[ HEBREWS 3:4 ]

What has God built into you?
What are unique ways you can give honor to Jesus if you’re complimented?

Jesus, You deserve all my praise.
May my life and words give You that praise on this day.

오늘의 말씀

07/10/2023     월요일

성경읽기: 욥기 41-42; 사도행전 16:22-40
찬송가: 84(통96)

어둠에서 빛으로

아카쉬는 암울한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습니다. 트럭 사고로 중상을 입고 서남아시아의 한 기독병원으로 이송되어 여덟 번이나 수술을 받은 후 골절은 치료되었지만 아무것도 먹을 수 없어서 우울증이 생겼습니다. 가족을 부양해왔던 그가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되자 그의 삶은 점점 더 캄캄해져 갔습니다.

어느 날 한 방문객이 찾아와 아카쉬에게 그의 언어로 된 요한복음을 읽어주고 그를 위해 기도해 주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통해 용서와 구원이라는 선물을 무상으로 주셨다는 말에 감동하여 그는 하나님을 믿었습니다. 그러자 그의 우울증이 곧 사라졌습니다. 집에 돌아갔을 때 처음에는 그의 새로운 신앙을 가족들에게 말하는 것이 두려웠지만, 마침내 그는 가족들에게 예수님을 전했고, 그중 여섯 명이 주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요한복음은 어두운 세상의 등불입니다. 그 안에는 “[예수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3:16)는 구절이 있으며, “[예수님의] 말을 듣고 [하나님을]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5:24)라는 내용도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6:35)라는 예수님의 말씀도 있습니다. 참으로 “진리를 따르는 자는 빛으로 나아옵니다”(3:21).

우리가 큰 문제에 직면해 있을지 모르지만 예수님은 그보다 더 크신 분입니다. 주님은 우리에게 “생명을... 풍성히”(10:10) 주려고 오셨습니다. 당신도 아카쉬처럼 세상의 소망이요 온 인류의 빛이신 예수님을 믿으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3:13-21
진리를 따르는 자는 빛으로 오나니
[요한복음 3:21]

세상의 문제가 어떻게 당신을 삼키려고 위협합니까?
예수님의 말씀과 함께하심이 어떻게 힘이 되어 줍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당신의 아들 예수님 안에서 소망을 찾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10/2023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41–42; ACTS 16:22–40
Hymn: 84(old 96)

FROM DARKNESS TO LIGHT

Nothing could pull Aakash out of his dark depression. Severely injured in a truck accident, he was taken to a missionary hospital in Southwest Asia. Eight operations repaired his broken bones, but he couldn’t eat. Depression set in. His family depended on him to provide, which he couldn’t do, so his world grew darker.

One day a visitor read to Aakash from the gospel of John in his language and prayed for him. Touched by the hope of God’s free gift of forgiveness and salvation through Jesus, he placed his faith in Him. His depression soon left. When he returned home, he was afraid at first to mention his newfound faith. Finally, though, he told his family about Jesus—and six of them trusted Him as well!

John’s gospel is a beacon of light in a world of darkness. In it we read that “whoever believes in [Jesus]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3:16). We discover that “whoever hears [Jesus’] word and believes [God] has eternal life” (5:24). And we hear Jesus say, “I am the bread of life. Whoever comes to me will never go hungry” (6:35). Indeed, “whoever lives by the truth comes into the light” (3:21).

The troubles we face may be great, but Jesus is greater. He came to give us “life . . . to the full” (10:10). Like Aakash, may you place your faith in Jesus—the hope of the world and the light for all humanity.
- DAVE BRANON

Today's Reading

JOHN 3:13–21
Whoever lives by the truth comes into the light.
[ JOHN 3:21 ]

How do the world’s problems threaten to overwhelm you?
How does the message and presence of Jesus encourage you?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the hope found in Your Son.

오늘의 말씀

07/09/2023     주일

성경읽기: 욥기 38-40; 사도행전 16:1-21
찬송가: 465(통523)

도와 달라는 외침

데이비드 윌리스는 워터스톤스 서점 이층에 있다가 아래층으로 내려와 보니 불이 모두 꺼져 있고 문이 잠겼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서점에 갇힌 것입니다! 그는 어찌할 바를 모르다가 트위터에 글을 올렸습니다. “안녕하세요, 워터스톤스. 저는 지금 당신의 트라팔가 광장 서점 안에 두 시간째 갇혀 있습니다. 저를 좀 내보내 주세요.” 트위터에 글을 올리고 얼마되지 않아 그는 구조되었습니다.

곤경에 처했을 때 도움을 받을 방법이 있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이사야는 우리로 말미암은 삶의 문제로 갇혔을 때 우리의 외침에 응답하시는 분이 있다고 말합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무책임하게 종교적 헌신을 실천하는 자들을 하나님께서 책망하셨다고 기록했습니다. 그들은 종교 활동을 하고 있었지만, 공허하고 자신의 잇속만 챙기는 의례들로 가난한 사람들을 억압하는 것을 감추고 있었습니다(이사야 58:1-7). 이런 행동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에게서 눈을 돌리시고 그들의 기도를 들어주지 않으셨으며(1:15), 그들에게 회개하고 이웃을 돌보는 모습을 보이라고 하셨습니다(58:6-7). 그들이 이 말씀을 지키면 하나님께서 다음과 같이 하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네가 부를 때에는 나 여호와가 응답하겠고 네가 부르짖을
때에는 내가 여기 있다 하리라 만일 네가 너희 중에서 멍에와 손가락질과 허망한 말을 제하여 버리고”(9절).

우리도 궁핍한 자를 찾아가서 “내가 여기 있습니다.”라고 말하도록 합시다. 왜냐하면 하나님도 우리의 도와 달라는 외침을 들으시고 우리에게 “내가 여기 있다”고 말씀하시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8:1-9
흉악의 결박을 풀어 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 주며 압제 당하는 자를 자유하게 하며
[이사야 58:6 ]

어떤 행동이나 태도가 기도 응답을 받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을까요?
당신은 그중 무엇을 회개해야 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기도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다른 이들의 도움이 되는 자리에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7/09/2023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8–40; ACTS 16:1–21
Hymn: 465(old 523)

A CRY FOR HELP

David Willis had been upstairs in Waterstones Bookshop when he came downstairs and found the lights were turned off and the doors locked. He was trapped inside the store! Not knowing what else to do, he turned to Twitter and tweeted: “Hi @Waterstones. I’ve been locked inside of your Trafalgar Square bookstore for 2 hours now. Please let me out.” Not too long after his tweet, he was rescued.

It’s good to have a way to get help when we’re in trouble. Isaiah said there’s Someone who will answer our cries when we’re trapped in a problem of our own making. The prophet wrote that God had charged His people with practicing their religious devotion irresponsibly. They were going through the motions of religion but masking their oppression of the poor with empty and self-serving rituals (ISAIAH 58:1–7). This didn’t win divine favor. God hid His eyes from them and didn’t answer their prayers (1:15). He told them to repent and display outward acts of caring for others (58:6–7). If they did that, He told them, “You will call, and the Lord will answer; you will cry for help, and he will say: Here am I. If you do away with the yoke of oppression, with the pointing finger and malicious talk” (V. 9).

Let’s get close to the poor, saying to them: “I am here.” For God hears our cries for help and says to us, “I am here.”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ISAIAH 58:1–9
Loose the chains of injustice and untie the cords of the yoke . . . set the oppressed free.
[ ISAIAH 58:6 ]

What behavior or attitude could prevent you from experiencing answered prayer?
Of what do you need to repent?

Dear God, thank You for hearing my prayers.
Please help me to be there for others.

오늘의 말씀

07/08/2023     토요일

성경읽기: 욥기 36-37; 사도행전 15:22-41
찬송가: 440(통497)

성령 안에서 자유롭게

오빌과 윌버 라이트 형제는 비행기 조종사 면허가 없었습니다. 둘 다 대학을 다니지도 않았습니다. 그들은 단지 하늘을 날고 싶은 꿈과 용기를 지닌 자전거 정비사였습니다. 1903년 12월 17일, 그들은 ‘라이트 플라이어호’를 교대로 네 차례 조종했습니다. 가장 긴 비행시간은 단 1분에 불과했지만 이 사건은 이 세상을 완전히 바꿔 놓았습니다.

베드로와 요한도 설교자 자격증이 없었습니다. 둘 다 신학교에 다니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단지 예수님의 영이 충만하여 담대히 이렇게 복음을 선포한 어부들이었습니다. “다른 이로써는 구원을 받을 수 없나니 천하 사람 중에 구원을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일이 없음이라”(사도행전 4:12).

라이트 형제의 이웃들은 그들의 성과를 바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 지역의 신문은 그들의 이야기를 믿지 않았고, 설령 사실이라 해도 비행이라 인정하기에는 너무 짧다고 했습니다. 비행 방법과 비행기 제작 보완에 몇 년이 더 소요된 후 마침내 사람들은 그들의 성과를 인정해 주었습니다.

당시 종교지도자들은 베드로와 요한을 좋아하지 않았고, 사람들에게 예수님에 관해 말하지 말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그럴 수 없다’ 면서 “우리는 보고 들은 것을 말하지 아니할 수 없다”(20절)고 했습니다.

당신에게 어떤 일을 위한 자격증이 없을 지도 모릅니다. 어쩌면 자격증을 소유한 이들에게 무시당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괜찮습니다. 당신에게 예수님의 영이 있다면 자유롭게 주님을 위해 담대히 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4:12-22
그들을 본래 학문 없는 범인으로 알았다가... 또 전에 예수와 함께 있던 줄도 알고
[사도행전 4:13]

불편하게 여겨지는 일이나 사람이 있습니까?
그 도전에 맞서기 위해 오늘 어떻게 내주하시는 성령님께 의지하시겠습니까?

예수님, 저는 주님의 것이니 주께서 원하시는 대로 사용해 주소서.

Daily Article

07/08/2023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6–37; ACTS 15:22–41
Hymn: 440(old 497)

FREE IN THE SPIRIT

Neither Orville nor Wilbur Wright had a pilot’s license. Neither had gone to college. They were bicycle mechanics with a dream and the courage to try to fly. On December 17, 1903, they took turns piloting their Wright Flyer on four separate flights. The longest lasted only a minute, but it changed our world forever.

Neither Peter nor John had a preaching license. Neither had gone to seminary. They were fishermen who, filled with the Spirit of Jesus, courageously proclaimed the good news: “Salvation is found in no one else, for there is no other name under heaven given to mankind by which we must be saved” (ACTS 4:12).

The Wright brothers’ neighbors didn’t immediately appreciate their accomplishment. Their hometown newspaper didn’t believe their story, and said that even if true, the flights were too brief to be significant. It took several more years of flying and refining their planes before the public recognized what they had truly done.

The religious leaders didn’t like Peter and John, and they ordered them to stop telling others about Jesus. Peter said, No way. “We cannot help speaking about what we have seen and heard” (V. 20).

You may not be on the approved list. Perhaps you’re scorned by those who are. No matter. If you have the Spirit of Jesus, you’re free to live boldly for Him!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ACTS 4:12–22
They were unschooled, ordinary men, . . . and they took note that these men had been with Jesus.
[ ACTS 4:13 ]

What task or person causes you to feel inadequate?
How might you rely on the indwelling presence of the Holy Spirit to step into that challenge today?

Jesus, I’m Yours. Use me in whatever way You want.

오늘의 말씀

07/07/2023     금요일

성경읽기: 욥기 34-35; 사도행전 15:1-21
찬송가: 377(통451)

초콜릿 눈송이

스위스에 위치한 올텐에서 초콜릿 부스러기가 쏟아지며 마을 전체를 덮어버리자 주민들은 깜짝 놀랐습니다. 인근 초콜릿 공장 환기 시스템의 오작동으로 코코아 가루가 공기 중으로 날아가서 일대가 맛있는 과자로 뒤덮인 것입니다. 초콜릿으로 덮인 세상은 초콜릿을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그야말로 꿈같은 일입니다!

초콜릿은 우리에게 필요한 영양을 적절히 공급해줄 수 없지만, 하나님께서 하늘에서 쏟아 부으신 만나는 이스라엘 민족에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해 주었습니다. 그들은 광야를 지날 때 애굽에 두고 온 각종 음식을 떠올리며 불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하늘에서 양식을 비 같이” 내려 그들이 살아갈 수 있게 하겠다고 하셨습니다(출애굽기 16:4). 매일 아침마다 이슬이 마르고 나면 얇은 음식 조각이 남아 있었습니다. 약 200만 명에 달하는 이스라엘 민족은 그날 필요한 만큼만 음식을 거두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광야를 지나는 40년 동안 그들은 하나님이 초자연적으로 마련해주신 만나를 통해 영양을 공급받았습니다.

만나는 “깟씨 같이 희고 맛은 꿀 섞은 과자 같았다”(31절)는 것 외에는 아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만나가 꾸준히 먹게 되는 초콜릿 같은 매력은 없을지 몰라도,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위해 공급하신 달콤한 음식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만나는 매일 우리를 붙들어주고 영생을 약속해 주는 “생명의 떡”(요한복음 6:48)으로 자신을 묘사하신 예수님을 가리켜 보여줍니다(51절).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6:4-7, 13-17
모세가 그들에게 이르되 이는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주어 먹게 하신 양식이라
[출애굽기 16:15]

하나님께서 당신의 필요를 어떻게 공급해 주셨습니까? 예수님께서 “생명의 떡”이라는 사실이 그분을 어떻게 더 신뢰하게 해줍니까?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 안에서 가장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시고 매일 저를 붙들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07/2023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4–35; AC TS 15:1–21
Hymn: 377(old 451)

CHOCOLATE SNOWFLAKES

Residents of Olten, Switzerland, were surprised by a shower of chocolate shavings covering the entire town. The ventilation system at a nearby chocolate factory had malfunctioned, sending cocoa into the air and dusting the area with confectionary goodness. The chocolate coating sounds like a dream come true for chocoholics!

While chocolate doesn’t adequately provide for one’s nutritional needs, God supplied the Israelites with heavenly showers that did. As they traveled through the desert, they began to grumble about the variety of food they’d left behind in Egypt. In response, God said He would “rain down bread from heaven” to sustain them (EXODUS 16:4). When the morning dew dried up each day, a thin flake of food remained. Approximately two million Israelites were instructed to gather as much as they needed that day. For forty years of their desert wanderings, they were nourished by God’s supernatural provision in manna.

We know little about manna except that it was “white like coriander seed and tasted like wafers made with honey” (V. 31). Though manna may not sound as appealing as a steady diet of chocolate, the sweetness of God’s provision for His people is clear. Manna points us to Jesus who described Himself as the “bread of life” (JOHN 6:48) that sustains us daily and assures us of life eternal (V. 51).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EXODUS 16:4–7, 13–17
Moses said to them, “It is the bread the Lord has given you to eat.”
[ EXODUS 16:15 ]

How has God provided for you? How does Jesus being the “bread of life” encourage you to trust Him?

Father God, thank You for providing for my deepest need in Jesus and sustaining me every day.

오늘의 말씀

07/06/2023     목요일

성경읽기: 욥기 32-33; 사도행전 14
찬송가: 279(통337)

불순종의 결말을 초월한 소망

홧김에 일을 저지른 후 후회한 적이 있습니까? 아들이 마약 중독에 시달릴 때 나는 거친 말로 아들의 행동을 질책했습니다. 내 분노는 아들을 더욱 낙담시킬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들은 마침내 그에게 생명과 소망에 대해 이야기해 준 신자들을 우연히 만나 얼마 후 중독에서 벗어났습니다.

믿음의 본이었던 모세조차 훗날 후회한 행동을 한 일이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물이 부족하자 격렬하게 불만을 터뜨렸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에게 구체적인 지시를 하셨습니다. “그들이 보는 앞에서 저 바위에게 명령하여라. 그러면 그 바위가 그 속에 있는 물을 밖으로 흘릴 것이다”(신명기 20:8, 새번역). 하지만 모세는 분노에 차서 “반역한 너희여 들으라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10절)라고 하며 기적의 공로를 하나님이 아닌 자신과 아론의 것으로 돌렸습니다. 이렇게 하나님의 말씀을 직접 순종하지 않고 모세는 “그의 손을 들어 그의 지팡이로 반석을 두 번 쳤습니다”(11절).

물은 솟아 나왔지만 그 불순종의 결말은 참담했습니다. 모세와 아론은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에게 허락하신 땅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자비하신 하나님은 모세가 먼 거리에서나마 그 땅을 바라볼 수 있게 하셨습니다 (27:12-13).

모세에게 그러셨듯이, 하나님은 지금도 불순종의 광야에 있는 우리를 은혜로 만나 주십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자비롭게 용서와 소망을 베풀어주십니다. 우리가 어디에 있었으며 무엇을 했든, 우리가 하나님께로 돌이킬 때 하나님은 우리를 생명으로 인도하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20:2-12
우리가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로마서 5:8]

하나님께 받은 과분한 은혜가 있습니까?
오늘 그 은혜를 다른 사람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힘든 결말에도 불구하고 영원한 소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06/2023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2–33; AC TS 14
Hymn: 279(old 337)

HOPE BEYOND CONSEQUENCES

Have you ever done something in anger you later regretted? When my son was wrestling with drug addiction, I said some harsh things in reaction to his choices. My anger only discouraged him more. But eventually he encountered believers who spoke life and hope to him, and in time he was set free.

Even someone as exemplary in faith as Moses did something he later regretted. When the people of Israel were in the desert and water was scarce, they complained bitterly. So God gave Moses and Aaron specific instructions: “Speak to that rock before their eyes and it will pour out its water” (NUMBERS 20:8). But Moses reacted in anger, giving himself and Aaron credit for the miracle instead of God: “Listen, you rebels, must we bring you water out of this rock?” (V. 10). Then he disobeyed God directly and “raised his arm and struck the rock twice with his staff” (V. 11).

Even though water flowed, there were tragic consequences. Neither Moses nor Aaron was allowed to enter the land God promised His people. But He was still merciful, allowing Moses to see it from afar (27:12–13).

As with Moses, God still mercifully meets us in the desert of our disobedience to Him. Through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He kindly offers us forgiveness and hope. No matter where we’ve been or what we’ve done, if we turn to Him, He’ll lead us into life.
- JAMES BANKS

Today's Reading

NUMBERS 20:2–12
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 ROMANS 5:8 ]

What undeserved kindnesses has God shown you?
How can you share His kindness with someone today?

Thank You, loving Father, that despite difficult consequences, You give me eternal hope.

오늘의 말씀

07/05/2023     수요일

성경읽기: 욥기 30-31; 사도행전 13:26-52
찬송가: 459(통514)

예수님 따라하기

인도네시아 바다와 호주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근처 바다에 “위장술의 달인”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 흉내쟁이 문어는 다른 문어들처럼 피부 색소를 주위 환경처럼 바꾸어 자신을 숨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영리한 생물은 위협을 받으면 자신의 모습과 동작 패턴, 행동을 독성이 강한 쏠배감펭이나 심지어는 치명적인 바다뱀처럼 바꾸기도 합니다.

이 문어와는 달리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은 우리 주변 세상에서 드러나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우리를 반대하는 사람들에게서 위협을 느끼기도 하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으로 보이고 싶지 않은 유혹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바울 사도는 우리 삶의 모든 면에서 예수님을 드러내고 우리의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마서 12:1)로 드리라고 권면합니다.

친구나 가족들이 우리에게 “이 시대의 풍조”(2절, 새번역)를 따르라고 강요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로서 우리가 믿는다고 말하는 것을 삶으로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섬기는 분이 누구인지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말씀에 순종하고 사랑이신 그분의 성품을 비춰줄 때, 순종의 상급이 그 어떤 손실보다 더 크다는 사실을 우리 삶이 보여주게 될 것입니다. 오늘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해 보시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1-8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로마서 12:2]

티 나지 않는 성도가 되고 싶은 유혹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말과 행동으로 예수님을 증거하려고 한 것 때문에 친구나 가족에게서 소외된 적이 있습니까?

사랑의 예수님, 다른 이들에게 주님을 드러낼 용기와 확신을 주소서.

Daily Article

07/05/2023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0–31; AC TS 13:26–52
Hymn: 459(old 514)

MIMIC JESUS

A “master of disguise” lives in the waters of Indonesia and in the Great Barrier Reef. The mimic octopus, like other octopuses, can change its skin pigment to blend in with its surroundings. This intelligent creature also changes its shape, movement pattern, and behavior when threatened to mimic such creatures as the venomous lionfish and even deadly sea snakes.

Unlike the mimic octopus, believers in Jesus are meant to stand out in the world that surrounds us. We may feel threatened by those who disagree with us and become tempted to blend in so we won’t be recognized as followers of Christ. The apostle Paul, however, urges us to offer our bodies as a “living sacrifice, holy and pleasing to God” (ROMANS 12:1), representing Jesus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Friends or family members may try to pressure us to conform to the “pattern of this world” (V. 2). But we can show who we serve by aligning our lives with what we say we believe as God’s children. When we obey the Scriptures and reflect His loving character, our lives can demonstrate that the rewards of obedience are always greater than any loss. How will you mimic Jesus today?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ROMANS 12:1–8
Do not conform to the pattern of this world, but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
[ ROMANS 12:2 ]

When have you been tempted to become an unrecognizable believer in Jesus?
When have you become alienated from family members or friends because you chose to represent Jesus through your words and actions?

Loving Jesus, please give me courage and confidence to reflect You to others.

오늘의 말씀

07/04/2023     화요일

성경읽기: 욥기 28-29; 사도행전 13:1-25
찬송가: 393(통447)

변치 않으시는 하나님

회색 배경에 부츠 자국이 찍혀 있는 역사적으로 상징적인 한 사진이 있습니다. 그것은 우주 비행사 버즈 올드린이 1969년 달에 남긴 발자국입니다. 과학자들은 수십 년이 지났지만 이 발자국이 그곳에 여전히 남아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달에는 바람이나 물이 없어서 어떤 것도 침식되지 않으므로 달 표면의 풍경은 그대로 남아 있을 것입니다.

영원토록 존재하시는 하나님을 생각해보면 더욱 경이롭습니다. 야고보는 말합니다. “온갖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부터 내려오나니 그는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시니라”(야고보서 1:17). 야고보 사도는 우리가 당하는 시험에 관해 말하는 가운데 이 말을 하고 있습니다. “내 형제들아 너희가 여러 가지 시험을 당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2절). 왜 그럴까요? 우리는 위대하고 변치 않으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고난 중에도 우리는 변함없이 공급해 주시는 하나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찬송가 “오 신실하신 주”의 가사를 떠올려 보십시오. “늘 함께 계시니 두렴 없네 / 그 사랑 변찮고 날 지키시며 / 어제나 오늘이 한결같네.” 그렇습니다. 우리 하나님은 이 땅에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발자국을 남기셨습니다. 하나님은 영원토록 우리와 함께 계실 것입니다. 오 신실하신 주.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2-8, 12-18
시험을 참는 자는 복이 있나니
[야고보서 1:12]

당신은 오늘 어떤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변함없이 함께 하신다는 사실이 고난 중에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하나님, 요즘 여러 어려움 때문에 낙심되고, 앞일이 어떻게 될지 염려됩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고 공급해 주실 것을 믿습니다. 그 확신 안에서 안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04/2023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8–29; ACTS 13:1–25
Hymn: 393(old 447)

UNCHANGING GOD

An iconic photo shows the tread of a boot against a gray background. It’s astronaut Buzz Aldrin’s footprint, which he left on the moon in 1969. Scientists say that footprint is likely still there, unchanged after all these years. Without wind or water, nothing on the moon gets eroded, so what happens on the lunar landscape stays there.

It’s even more awesome to reflect on the constant presence of God Himself. James writes, “Every good and perfect gift is from above, coming down from the Father of the heavenly lights, who does not change like shifting shadows” (JAMES 1:17). The apostle puts this in the context of our own struggles: “When troubles of any kind come your way, consider it an opportunity for great joy” (V. 2 NLT). Why? Because we’re loved by a great and unchanging God!

In times of trouble, we need to remember God’s constant provision. Perhaps we might recall the words of the great hymn “Great Is Thy Faithfulness”: “There is no shadow of turning with thee; / thou changest not, thy compassions, they fail not; / as thou hast been thou forever wilt be.” Yes, our God has left His permanent footprint on our world. He will always be there for us. Great is His faithfulness.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JAMES 1:2–8, 12–18
God blesses those who patiently endure testing and temptation.
[ JAMES 1:12 NLT ]

What kind of troubles are you facing today?
How does understanding God’s unchanging presence help you in your struggles?

God, I’m discouraged because of these hardships of late. I worry about how things will turn out. Yet I know You’re there and will provide. Help me to rest in that assurance.

오늘의 말씀

07/03/2023     월요일

성경읽기: 욥기 25-27; 사도행전 12
찬송가: 218(통369)

너희 이웃을 사랑하라

그것은 청년부 때의 재미있는 게임에 지나지 않았지만, 거기에는 이웃을 바꾸려 하지 말고 지금의 이웃을 사랑하기를 배우라는 교훈이 담겨 있었습니다. 모든 사람이 큰 원을 만들어 앉고 가운데에 한 사람이 서 있습니다. 서 있는 사람은 앉은 사람 중 한 사람을 지목하여 이렇게 묻습니다. “당신은 옆 사람을 사랑합니까?” 지목받은 사람은 ‘예’ 또는 ‘아니오’로만 대답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옆에 앉은 사람을 바꿀지 말지를 결정합니다.

우리도 실제 현실에서 “이웃”을 선택할 수 있기를 바라지 않습니까? 특히 어울리기 힘든 동료나 아주 이상한 시간에 잔디를 깎는 이웃이 있을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대체로 어려운 이웃과 함께 사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으로 이주할 때 하나님은 그들에게 어떻게 하나님께 속한 백성으로 살 수 있는지에 관한 중요한 가르침들을 주셨습니다. 그 중에는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레위기 19:18)는 가르침도 있었습니다. 거기에는 험담이나 소문을 퍼뜨리지 말고, 이웃을 이용해 나의 이익을 취하지 않으며, 잘못한 사람들이 있으면 직접 대하여 타일러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9-18절).

우리는 모든 사람을 사랑하기는 어렵지만, 예수님께서 우리 안에서 우리를 통해 역사하시는 사랑의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고자 할 때 하나님은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혜와 능력을 공급해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9:9-18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레위기 19:18]

당신이 어울리기 힘든 “이웃들”은 누구입니까?
어떻게 하면 그들을 더 잘 사랑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 주변 사람들에게, 심지어 상대하기 힘든 이들에게도 주님의 사랑을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03/2023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5–27; AC TS 12
Hymn: 218(old 369)

LOVE YOUR NEIGHBOR

It was just a fun game at youth group, but it held a lesson for us: rather than switching neighbors, learn to love the ones you have. Everyone is seated in a large circle, except for one person who stands in the middle of the circle. The standing person asks someone sitting down, “Do you love your neighbor?” The seated person can answer the question in two ways: yes or no. He gets to decide if he would like to swap his neighbor with someone else.

Don’t we wish we could choose our “neighbors” in real life too? Especially when we have a colleague whom we can’t get along with or a next-door neighbor who loves to mow the lawn at odd hours. More often than not, however, we have to learn to live with our difficult neighbors.

When the Israelites moved into the promised land, God gave them important instructions on how to live as people who belonged to Him. They’re told to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LEVITICUS 19:18), which includes not spreading gossip or rumors, not taking advantage of our neighbors, and confronting people directly if we have something against them (VV. 9–18).

While it’s difficult to love everyone, it’s possible to treat others in loving ways as Jesus works in and through us. God will supply the wisdom and ability to do so as we seek to live out our identity as His people.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LEVITICUS 19:9–18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 LEVITICUS 19:18 ]

Who are the “neighbors” you find hard to get along with?
How can you love them better?

Father, help me to reflect Your love to those around me—even the difficult one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