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01/2023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57-59; 로마서 4
찬송가: 565(통300)

어린 아이의 믿음

우리 가족이 되어 함께 살아온 할머니가 몇 차례 뇌졸중을 겪고 병원에 입원했을 때 의료진은 할머니가 어느 정도 뇌 손상을 입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었습니다. 뇌 기능을 검사하려면 할머니의 몸이 조금 나아질 때까지 기다려야 했습니다. 할머니는 말을 잘 못하였고 그나마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은 얼마 안 되었습니다. 그런데 내 딸을 12년 동안 돌봐 주셨던 여든 여섯 살 된 할머니가 나를 보자마자 바싹 마른 입을 떼며 “케일라는 잘 지내고 있지?”라고 물었습니다. 할머니가 내게 한 첫마디는 그가 전심으로 사랑하셨던 내 아이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예수님도 어린 아이들을 사랑하셔서 제자들의 반대에도 아이들을 우선적으로 챙기셨습니다. 몇몇 부모들이 아이들을 예수님께 데리고 나오면 예수님은 “손을 얹어”(누가복음 8:15, 현대인의 성경) 그들을 축복해 주셨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어린 아이들을 축복하시는 것을 모두가 달가워하지는 않았습니다. 제자들이 그 부모들을 꾸짖으며 예수님을 그만 귀찮게 하라고 하자, 예수님은 그것을 보시고 “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라”(16 절)고 하셨습니다. 주님은 단순하게 의존하고 신뢰하고 순수한 어린 아이들의 모습이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보여주는 본이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어린 아이들에게는 숨은 의도가 거의 없습니다. 보이는 그대로입니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어린 아이와 같은 믿음을 되찾을 수 있게 우리를 도우셔서, 우리의 믿음과 하나님을 의지하는 마음이 어린 아이처럼 열려지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8:15-17
예수께서... 이르시되 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누가복음 18:16]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어린 아이 같은 순수함을 지닐 수 있을까요?
당신은 가족이나 공동체의 어린 아이들을 어떻게 축복하고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어린 아이와 같은 열린 마음과 순수한 마음으로 하나님 나라를 받아들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01/2023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57–59; ROMANS 4
Hymn: 565(old 300)

FAITH OF A CHILD

As our adopted granny lay in her hospital bed after suffering several strokes, her doctors were unsure of the amount of brain damage she had endured. They needed to wait until she was a bit better to test her brain function. She spoke very few words and even fewer were understandable. But when the eighty-six-year-old woman who had babysat my daughter for twelve years saw me, she opened her parched mouth and asked: “How is Kayla?” The first words she spoke to me were about my child whom she had loved so freely and fully.

Jesus loved children too and put them in the forefront even though His disciples disapproved. Some parents would seek out Christ and present their children to Him. He chose to bless the children as He “[placed] his hands on them” (LUKE 18:15). But not everyone was happy that He was blessing little ones. The disciples scolded the parents and asked them to quit bothering Jesus. But He intervened and said, “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V. 16). He called them an example of how we should receive God’s kingdom—with simple dependence, trust, and sincerity.

Young children rarely have a hidden agenda.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As our heavenly Father helps us regain childlike trust, may our faith and dependence on Him be as open as a child’s.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LUKE 18:15–17
Jesus . . . said, “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 LUKE 18:16 ]

How can you imitate a child’s sincerity in your relationship with God?
How do you bless children in your family and community?

Father, help me to be as open and sincere as a child as I receive Your kingdom.

오늘의 말씀

07/31/2023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54-56; 로마서 3
찬송가: 546(통399)

하나님과 같은 궤도에 머물기

여러 해 전, 스페인 북서부에서 승객 218명을 태운 기차가 탈선하여 79 명이 사망하고 66명 이상이 부상을 당했습니다. 기관사는 그 사고를 설명할 수 없었지만 비디오 영상으로 그 사고가 밝혀졌습니다. 기차가 급커브를 지나기 전 너무 빨리 달린 것입니다. 기차에 탑승한 승객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한 속도가 정해져 있었지만, 스페인 국영 철도회사에서 30년 동안 근무한 숙련된 기관사임에도 불구하고, 그 기관사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제한 속도를 무시했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신명기 5장에서 모세는 자신의 백성들을 위해 하나님과 맺은 본래 언약의 경계를 다시 살펴보았습니다. 모세는 젊은 세대에게 하나님의 교훈을 그들 자신과 하나님 사이의 언약으로 여기도록 권고하면서(3절) 십계명을 다시 언급했습니다(7-21절). 모세는 십계명을 반복하여 말하고 앞 세대의 불순종을 교훈 삼아,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경외하고 겸손하며 그분의 신실하심을 기억하라고 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이 그들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삶을 파괴하지 못하도록 그들을 위한 길을 열어 주셨습니다. 만일 그들이 하나님의 지혜를 무시한다면, 그들은 스스로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오늘날 하나님께서 우리를 인도하시는 대로, 성경의 모든 말씀이 우리의 기쁨과 위로, 우리 삶의 가드레일이 되게 합시다. 그리고 성령님이 우리를 인도하시면, 우리는 그분의 지혜로운 보호 속에서 궤도를 벗어나지 않고 온 맘 다해 우리의 삶을 하나님께 드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5:1-11
이스라엘아 오늘 내가 너희의 귀에 말하는 규례와 법도를 듣고 그것을 배우며 지켜 행하라
[신명기 5:1]

언제 하나님의 경계선이 자유롭기보다 엄격하게 보입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경계가 당신을 향한 사랑으로 나타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주님께 순종함으로 주님을 향한 사랑을 나타내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31/2023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54–56; ROMANS 3
Hymn: 546(old 399)

STAYING ON TRACK WITH GOD

Years ago, a train carrying 218 people derailed in northwestern Spain, killing 79 people and hospitalizing 66 more. The driver couldn’t explain the accident, but the video footage could and did. The train was going far too fast before it hit a deadly curve. The allowable speed limit had been created to protect everyone on board the train. Despite being a thirty-year veteran of Spain’s national rail company, however, the driver had for whatever reason ignored the speed boundary and many people lost their lives.

In Deuteronomy 5, Moses reviewed God’s original covenant boundaries for His people. Moses encouraged a new generation to regard God’s instruction as their own covenant with Him (V. 3), and then he restated the Ten Commandments (VV. 7–21). By repeating the commandments and drawing lesson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disobedience, Moses invited the Israelites to be reverent, humble, and mindful of God’s faithfulness. God had made a way for His people so they wouldn’t wreck their lives or the lives of others. If they ignored His wisdom, they would do so at their own peril.

Today, as God leads us, let’s make all of Scripture our delight, counselor, and the guardrail for our lives. And as the Spirit guides us, we can keep on track within His wise protection and devote our lives wholeheartedly to Him.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DEUTERONOMY 5:1–11
Hear, Israel, the decrees and laws I declare in your hearing today. Learn them and be sure to follow them.
[ DEUTERONOMY 5:1 ]

When do God’s boundaries seem strict, rather than liberating?
How do His boundaries show His love for you?

Dear God, help me to show my love for You through my obedience to You.

오늘의 말씀

07/30/2023     주일

성경읽기: 시편 51-53; 로마서 2
찬송가: 320(통350)

낮은 곳에 있는 사람

나의 친구는 개발도상국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선박 ‘아프리카 자비’호에서 근무합니다. 직원들은 달리 치료받을 길이 없는 수백 명의 환자들을 날마다 돌봅니다.

정기적으로 배에 타는 TV 촬영팀은 구개파열을 고치고 굽은 다리를 교정하는 놀라운 의료진에 카메라를 고정합니다. 때때로 촬영팀은 다른 선원들을 인터뷰하려고 갑판에서 내려가지만 내 친구 믹이 하는 일은 보통 그냥 지나칩니다.

기술자인 믹은 자신이 배의 하수 처리 시설에 배정받고 나서 놀랐다고 합니다. 날마다 4만 리터에 달하는 하수가 생겨나는 상황에서 이 독성 물질을 관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파이프와 펌프를 관리하는 믹이 없다면 ‘아프리카 자비’호의 구호 활동은 중단될 것입니다.

기독교 사역의 ‘갑판’ 위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박수를 치면서 갑판 아래에 있는 사람들은 간과하기 쉽습니다. 고린도 성도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은사를 가진 사람들을 높일 때, 바울은 그들에게 모든 성도는 그리스도의 사역 안에서 각기 역할이 있다면서(고린도전서 12:7-20), 기적적인 치유를 하든 다른 사람을 돕는 일을 하든 모든 은사는 중요하다고(27-31절) 일깨워 주었습니다. 사실, 눈에 잘 띄지 않는 역할일수록 더 크게 존경받을 자격이 있습니다(22-24 절).

당신은 “낮은 곳에 있는” 사람입니까? 그렇다면 고개를 높이 드십시오. 당신이 하는 일은 하나님께 칭찬받는, 그리고 우리 모두에게 꼭 필요한 일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2:12-14, 21-27
더 약하게 보이는 몸의 지체가 도리어 요긴하고
[고린도전서 12:22]

당신의 은사와 다른 사람의 은사를 비교할 때 어떤 마음이 듭니까?
“낮은 곳에 있는” 사람 중 누구의 수고를 오늘 확인해 보시겠습니까?

하나님, 저는 하나님께 중요한 사람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대하든 하나님께서 저를 주목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30/2023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51–53; ROMANS 2
Hymn: 320(old 350)

LOWER DECK PEOPLE

A friend of mine works on a hospital ship called Africa Mercy, which takes free healthcare to developing countries. The staff daily serve hundreds of patients whose ailments would otherwise go untreated.

TV crews who periodically board the ship, point their cameras on its amazing medical staff, who fix cleft palates and reset club feet. Sometimes they go below deck to interview other crew members, but the work Mick does typically goes unnoticed.

Mick, an engineer, admits being surprised about where he’d been assigned to work—in the ship’s sewage plant. With up to forty thousand liters of waste produced each day, managing this
toxic material is serious business. Without Mick tending its pipes and pumps, Africa Mercy’s life-giving operations would stop.

It’s easy to applaud those on the “top deck” of Christian ministry while overlooking those in the galleys below. When the Corinthians elevated those with extraordinary gifts above others, Paul reminded them that every believer has a role in Christ’s work (1 CORINTHIANS 12:7–20), and every gift is important, whether it’s miraculous healing or helping others (VV. 27–31). In fact, the less prominent the role, the greater honor it deserves (VV. 22–24).

Are you a “lower deck” person? Then lift your head high. Your work is honored by God and indispensable to us all.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2:12–14, 21–27
Those parts of the body that seem to be weaker are indispensable.
[ 1 CORINTHIANS 12:22 ]

What happens when you compare your gifts with others?
Which “lower deck” person can you affirm the efforts of today?

I’m important to You, God. Thank You for noticing me whether others do or not.

오늘의 말씀

07/29/2023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49-50; 로마서 1
찬송가: 539(통483)

조용히 해주세요

웨스트버지니아 주에 있는 그린뱅크는 험준한 애팔래치아 산맥의 한 자락에 자리잡은 작은 마을입니다. 이 마을은 한 중요한 다른 점만 빼면 그 지역에 있는 수십 여 개의 작은 마을들과 비슷합니다. 그것은 주민 142명 중 어느 누구도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주변 와이파이나 이동통신 기지에서 나오는 신호가 계속해서 하늘을 향하고 있는 그린뱅크 천문대의 망원경을 방해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덕분에 그린뱅크는 북미 지역에서 기술문명의 방해를 받지 않는 가장 조용한 장소 중의 하나입니다.

조용함은 종종 우리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제일 좋은 환경입니다. 특히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예수님 자신도 조용하고 한적한 곳을 찾아 하나님 아버지와 대화의 시간을 가지심으로 그 본보기를 보여주셨습니다. 누가복음 5장 16절에는 “예수님은 자주 조용한 곳으로 가셔서 기도하셨다” (현대인의 성경)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핵심 단어는 아마도 ‘자주’라는 말일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규칙적으로 그렇게 실천하셨고, 그래서 우리에게 완벽한 본이 되고 있습니다. 우주를 창조하신 예수님께서도 하나님 아버지께 의존해야 한다는 사실을 이렇게 알고 계셨다면, 하물며 우리에게는 하나님 아버지가 얼마나 더 많이 필요하겠습니까?

조용한 곳으로 물러가 하나님과의 교제를 통해 다시 충만해질 때 우리는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에 힘입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지금 당신에게 그 한적한 곳은 어디입니까?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5:12-16
예수님은 자주 조용한 곳으로 가셔서 기도하셨다.
[누가복음 5:16, 현대인의 성경]

기도 시간을 방해하는 것들이 무엇입니까?
조용한 나만의 기도 장소가 있다면 더 집중해서 기도할 수 있지 않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때로는 세상 소리에 귀가 먹어 하나님 아닌 다른 것에 주의를 빼앗기고 하나님과의 교제 시간이 방해를 받습니다.
그것에서 벗어나 놀라운 하나님의 임재를 즐길 수 있는 장소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9/2023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49–50; ROMANS 1
Hymn: 539(old 483)

QUIET, PLEASE

Green Bank, West Virginia, is a tiny community in the rugged Appalachian Mountains. The town resembles dozens of other small towns in the area—with one major exception. None of the 142 residents have access to Wi-Fi.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from Wi-Fi or cellular phone towers near the Green Bank Observatory, whose telescope is constantly trained on the sky. As a result, Green Bank is one of the most technologically quiet places in North America.

Sometimes quiet is the best environment for moving forward— especially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Jesus Himself modeled this by retreating to quiet, secluded places to talk with His Father. In Luke 5:16 we read, “Jesus often withdrew to lonely places and prayed.” Perhaps the key word there is often. This was Christ’s regular practice, and it sets the perfect example for us. If the Creator of the universe was this aware of His dependence upon His Father, how much more do we need Him!

Retreating to a quiet place to be refreshed in God’s presence equips us to go forward in His renewing strength. Where can you find such a place today?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LUKE 5:12–16
Jesus often withdrew to lonely places and prayed.
[ LUKE 5:16 ]

What are some of the distractions that can interrupt your prayer times?
How could having a designated quiet place help you stay focused in prayer?

Father, sometimes the background noise of life in this world is deafening, pulling my attention away from You and hindering the time with You.
Help me find a place where I can come away from it all and simply enjoy Your wonderful presence.

오늘의 말씀

07/28/2023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46-48; 사도행전 28
찬송가: 545(통344)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게임

툰이 사는 나라에 쿠데타가 일어났을 때, 군인들이 예수 믿는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고 그들이 사육하는 가축을 죽이기 시작했습니다. 생계를 잃어버린 툰의 가족은 여러 나라로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9 년동안 툰은 가족과 멀리 떨어진 난민수용소에서 지냈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그와 함께 계신다는 것을 알았지만, 떨어져 있는 동안 가족 두 명이 죽었습니다. 툰은 점점 실의에 빠져 갔습니다.

오래 전, 다른 한 민족이 잔혹한 억압을 당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모세를 지명하여 그 백성들, 곧 이스라엘 민족을 애굽에서 인도해내게 하셨습니다. 모세는 마지못해 하나님 말씀에 순종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바로에게 가자, 그 애굽 통치자는 도리어 더 심하게 억압했습니다(출애굽기 5:6-9). 그는 “나는 여호와를 알지 못하니 이스라엘을 보내지 아니하리라”고 말했습니다(2절). 백성들은 모세에게 불평을 했고, 모세는 하나님께 불평을 했습니다(20-23절).

결국에는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시키셨지만, 그들은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그들이 원하던 자유를 얻었습니다. 하나님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게임을 하시면서, 우리에게 하나님의 성품에 대해 가르치시고 더 큰 일을 위해 우리를 준비시키십니다.

툰은 난민 캠프에서 오랜 시간을 잘 보내면서 뉴델리 신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제 그는 새로운 거처를 찾은 자신과 같은 난민들의 목사가 되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난민이었던 나의 이야기는 주님의 종이 되도록 나를 이끌어준 도가니입니다.” 툰은 그의 간증에서 출애굽기 15장 2절의 모세의 노래를 인용합니다. “여호와는 나의 힘이요 방패이십니다.”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우리의 힘과 방패가 되십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5:1-9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이제 내가 바로에게 하는 일을 네가 보리라
[출애굽기 6:1]

하나님께 어떤 질문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그분의 말씀을 지키신다는 것을 어떻게 신뢰하시겠습니까?

제가 항상 의지할 수 있는 하나님 아버지, 제가 그 진실을 망각할 때 용서해 주소서.

Daily Article

07/28/2023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46–48; AC TS 28
Hymn: 545(old 344)

THE LONG GAME

When Tun’s country suffered a coup, the military began terrorizing believers in Jesus and killing their farm animals. Having lost their livelihood, Tun’s family scattered to various countries. For nine years, Tun existed in a refugee camp far from his family. He knew God was with him, but during the separation, two family members died. Tun grew despondent.

Long ago, another people group faced brutal oppression. So God appointed Moses to lead those people—the Israelites—out of Egypt. Moses reluctantly agreed. But when he approached Pharaoh, the Egyptian ruler only intensified the oppression (EXODUS 5:6–9). “I do not know the Lord and I will not let Israel go,” he said (V. 2). The people complained to Moses, who complained to God (VV. 20–23).

In the end, God freed the Israelites and they got the freedom they wanted—but in God’s way and timing. He plays a long game, teaching us about His character and preparing us for something greater.

Tun made good use of his years in a refugee camp, earning a master’s degree from a New Delhi seminary. Now he’s a pastor to his own people—refugees like him who have found a new
home. “My story as a refugee forms the crucible for leading as a servant,” he says. In his testimony, Tun cites Moses’ song in Exodus 15:2: “The Lord is my strength and my defense.” And today, He’s ours as well.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XODUS 5:1–9
Then the Lord said to Moses, “Now you will see what I will do to Pharaoh.”
[ EXODUS 6:1 ]

What questions do you have for God? How will you trust Him to keep His word?

Heavenly Father, I can always rely on You. Forgive me when I lose sight of that truth.

오늘의 말씀

07/27/2023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43-45; 사도행전 27:27-44
찬송가: 303(통403)

은혜가 더 필요한 사람

교회에서 특별행사를 위해 장식을 하는 동안, 책임을 맡았던 여성이 저에게 경험이 부족하다고 불평했습니다. 그녀가 멀리 가자 다른 여성이 다가와서 “염려 마세요. 우리는 그분을 ‘은혜가 더 필요한 사람’이라고 불러요.”라고 말했습니다.

웃음이 났습니다. 그리고 곧 누군가와 갈등이 생길 때마다 나는 그 상대를 은혜가 더 필요한 사람이라고 하기 시작했습니다. 몇 년 후, 교회에서 그 은혜가 더 필요한 시람이라고 했던 분의 부고를 들었습니다. 목사님은 그 여성이 어떻게 남 모르게 하나님을 섬겼으며,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너그러운 마음을 베풀었는지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그 이야기를 듣고 그분과, 그동안 내가 은혜가 더 필요한 사람이라고 불렀던 모든 사람들을 판단하고 험담한 것을 용서해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결국은 다른 신자들만큼이나 나 자신도 은혜가 더 필요한 사람이었던 것입니다.

에베소서 2장에서 바울 사도는 모든 신자가 “본질상 진노의 자녀였다” (3절)고 말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받을 자격이 하나도 없고 우리 노력으로는 결코 얻지 못하는, 그래서 “누구도 자랑하지 못하는”(9절) 구원의 선물을 우리에게 주셨습니다. 어느 누구도.

우리가 평생 동안 매순간마다 하나님께 순종할 때, 성령님은 우리를 변화시켜 그리스도의 성품을 나타낼 수 있게 하실 것입니다. 모든 신자들에게 은혜가 더 필요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에게 충분하다는 사실에 감사할 수 있습니다(고린도후서 12:9).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10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
[에베소서 2:8-9]

당신은 어떤 때에 다른 사람들이 은혜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까?
지금 당신 삶의 어떤 부분에 은혜가 필요합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에게 아낌없이 은혜를 베푸신 것처럼 저도 다른 사람들에게 넓은 아량으로 은혜를 베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7/2023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43–45; ACTS 27:27–44
Hymn: 303(old 403)

EXTRA GRACE REQUIRED

While we decorated for a special event at church, the woman in charge griped about my inexperience. After she walked away, another woman approached me. “Don’t worry about her. She’s what we call an E.G.R.—Extra Grace Required.”

I laughed. Soon I started using that label every time I had a conflict with someone. Years later, I sat in that same church sanctuary listening to that E.G.R.’s obituary. The pastor shared how the woman had served God behind the scenes and given generously to others. I asked God to forgive me for judging and gossiping about her and anyone else I’d labeled as an E.G.R. in the past. After all, I needed extra grace as much as any other believer in Jesus.

In Ephesians 2, the apostle Paul states that all believers were “by nature deserving of wrath” (V. 3). But God gave us the gift of salvation, a gift which we did nothing to deserve, a gift we’d never be able to earn “so that no one can boast” (V. 9). No one.

As we submit to God moment by moment during this lifelong journey, the Holy Spirit will work to change our character so we can reflect the character of Christ. Every believer requires extra grace. But we can be grateful that God’s grace is sufficient (2 CORINTHIANS 12:9).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EPHESIANS 2:1–10
For it is by grace you have been saved, through faith . . . not by works.
[ EPHESIANS 2:8–9 ]

When have you judged others for requiring extra grace?
In what area of your life do you require grace today?

Father God, please help me extend grace to others as freely and generously as You’ve lavished Your abounding grace on me.

오늘의 말씀

07/26/2023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40-42; 사도행전 27:1-26
찬송가: 338(통364)

조난자의 믿음

1965년 6월, 통가의 십대 청소년 여섯 명이 모험을 찾아 고향 섬을 떠나 바다로 나갔습니다. 그러나 첫날밤에 폭풍우를 만나 그들이 탄 배의 돛대와 키가 부서졌고, 음식도 물도 없이 며칠 동안 표류하다가 무인도 ‘아타’에 도착했습니다. 그들은 15개월 뒤에나 발견되었습니다.

소년들은 아타섬에서 살아남기 위해 힘을 합쳐 작은 식량 정원을 만들고, 나무 둥지에 구멍을 파서 빗물을 저장하고, 간이 체육관도 지었습니다. 한 소년이 절벽에서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을 때, 다른 소년들은 막대기와 나뭇잎을 사용해서 다리를 고정했습니다. 논쟁이 생기면 의무적인 화해로 풀었고, 매일 노래와 기도로 시작하고 끝맺었습니다. 소년들이 그 시련에서 벗어나 건강하게 돌아왔을 때 가족들은 아주 놀랐습니다. 아이들의 장례식이 이미 치러진 상태였으니까요.

1세기 때 예수님을 믿는 신자가 된다는 것은 이 같은 고립을 경험하는 것일 수도 있었습니다. 믿음 때문에 박해를 받고 종종 가족과 떨어져 표류하는 느낌으로 살아갔을 것입니다. 그런 표류하는 사람들에게 베드로 사도는 근신하고 기도하며(베드로전서 4:7), 서로 사랑하고(8절), 각자 은사를 받은 대로 서로 봉사하라(10-11절)고 격려했습니다. 시간이 지나 하나님은 시련을 통해 그들을 “굳건하게 하시며 강하게 하시며 터를 견고하게 하실”(5:10) 것이었습니다.

시련의 때에는 “조난자의 믿음”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힘을 합해 기도하고 일하면 하나님은 우리로 이겨내게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4:7-11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이 왔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여 기도하라
[베드로전서 4:7]

당신은 시련을 겪을 때 도움을 요청합니까, 아니면 혼자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까?
격려가 필요한 “조난자”를 알고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에게 어려운 시기를 잘 헤쳐나갈 “조난자의 믿음”을 주소서.

Daily Article

07/26/2023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40–42; AC TS 27:1–26
Hymn: 338(old 364)

CASTAWAY FAITH

In June 1965, six Tongan teenagers sailed from their island home in search of adventure. But when a storm broke their mast and rudder the first night, they drifted for days without food or water before reaching the uninhabited island of ‘Ata. It would be fifteen months before they were found.

The boys worked together on ‘Ata to survive, setting up a small food garden, hollowing out tree trunks to store rainwater, even building a makeshift gym. When one boy broke his leg from a cliff fall, the others set it using sticks and leaves. Arguments were managed with mandatory reconciliation, and each day began and ended with singing and prayer. When the boys emerged from their ordeal healthy, their families were amazed—their funerals had already been held.

Being a believer in Jesus in the first century could be an isolating experience. Persecuted for your faith and often stranded from family, one could feel adrift. The apostle Peter’s encouragement to such castaways was to stay disciplined and prayerful (1 PETER 4:7), to look after each other (V. 8), and use whatever abilities one has to get the work done (VV. 10–11). In time, God would bring them through their ordeal “strong, firm and steadfast” (5:10).

In times of trial, “castaway faith” is needed. We pray and work in solidarity, and God brings us through.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PETER 4:7–11
The end of all things is near.
Therefore be alert and of sober mind so that you may pray.
[ 1 PETER 4:7 ]

In times of ordeal, are you more likely to ask for help or try and face the problem alone?
What “castaway” do you know who needs encouragement?

Dear God, give me “castaway faith” to face times of difficulty well.

오늘의 말씀

07/25/2023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37-39; 사도행전 26
찬송가: 236(통223)

모든 슬픔

19세기 시인 에밀리 디킨슨은 “내가 만나는 모든 슬픔을 재어보네” 라는 시에서 이렇게 썼습니다. “가늘고 탐색하는 눈으로 – / 난 궁금해, 그것이 내 것만큼 무거운지 – / 또는 더 가벼운 크기인지.” 이 시는 사람들이 평생 동안 받아온 상처를 어떤 고유한 방식으로 지니고 있는지 감동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디킨슨은 주저하면서도, 그녀 자신의 상처가 구주의 상처에 반영되는 갈보리에서 보는 “몸을 찌르는 위로”, 자신의 유일한 위로로 시를 마무리합니다. “여전히 날 매혹시키네, 상상하는 것은 / 어떤 것들은 - 나 자신의 슬픔과 같다고.”

요한계시록은 우리 구주 예수님을 “죽임을 당한 어린 양”(5:6; 12절 참조) 으로 묘사하여, 주님의 상처가 아직도 눈에 선명합니다. 그 상처는 자기 백성의 죄와 절망을 스스로 짊어짐으로 생긴 것인데(베드로전서 2:24-25), 그래서 그들이 새 생명과 소망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요한계시록은 구주께서 자녀들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닦아 주실”(21:4) 미래의 어느 날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고통을 하찮게 여기지 않으시고, 각 사람의 고유한 슬픔을 진정으로 아시고 돌보아 주실 것입니다. 동시에 “더 이상 사망이나 애통이나 곡하는 것이나 고통이 없는”(4절) 그분의 왕국에서의 새롭고 치유가 일어나는 삶의 현실로 그들을 초대하실 것입니다. 그곳에서는 치유하는 물이 “생명수 샘에서 값없이”(6절; 22:2 참조) 흘러나올 것입니다.

구주께서 우리의 모든 슬픔을 짊어지셨기에 우리는 그분의 왕국에서 안식과 치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21:1-6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닦아 주시니
[요한계시록 21:4]

당신은 언제 고통을 진정으로 느껴 보았습니까?
하나님은 당신이 어려울 때 어떻게 위로해 주셨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모든 슬픔을 보시고 이해하시고, 그것들을 짊어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25/2023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37–39; AC TS 26
Hymn: 236(old 223)

EVERY GRIEF

“I measure every Grief I meet,” the nineteenth-century poet Emily Dickinson wrote, “With narrow, probing, eyes – / I wonder if It weighs like Mine – / Or has an Easier size.” The poem is a moving reflection on how people carry the unique ways they’ve been wounded throughout their lives. Dickinson concludes, almost hesitantly, with her only solace: the “piercing Comfort” of seeing at Calvary her own wounds reflected in the Savior’s: “Still fascinated to presume / That Some – are like my own –.”

The book of Revelation describes Jesus, our Savior, as a “Lamb, looking as if it had been slain” (5:6; SEE V. 12), His wounds still visible. Wounds earned through taking upon Himself the sin and despair of His people (1 PETER 2:24–25), so that they might have new life and hope.

And Revelation describes a future day when the Savior will “wipe every tear” from each of His children’s eyes (21:4). Jesus won’t minimize their pain, but truly see and care for each person’s unique grief—while inviting them into the new, healing realities of life in His kingdom, where there is “no more death or mourning or crying or pain” (V. 4). Where healing water will flow “without cost from the spring of the water of life” (V. 6; SEE 22:2).

Because our Savior has carried our every grief, we can find rest and healing in His kingdom.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REVEL ATION 21:1–6
He will wipe every tear from their eyes.
[ REVELATION 21:4 ]

When have you felt truly seen in your pain?
How has God comforted you in hard times?

Dear God, thank You for seeing, understanding, and carrying all my grief.

오늘의 말씀

07/24/2023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35-36; 사도행전 25
찬송가: 543(통342)

슬픔 중의 소망

루이즈는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미소를 선사하는 활기차고 장난기 많은 소녀였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다섯 살의 나이에 희귀한 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습니다. 루이즈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부모인 데이 데이와 피터, 그리고 그들과 함께 일했던 우리 모두에게 큰 충격이었습니다. 우리는 그 아이 부모와 함께 슬퍼했습니다.

그러나 데이 데이와 피터는 계속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얻었습니다. 데이 데이에게 어떻게 슬픔을 이겼는지 물어보니, 루이즈가 예수님의 사랑의 품에 안겨 있다고 생각하니 힘을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딸이 영생을 얻은 것을 기뻐하고 있어요.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으로 슬픔을 이겨내고 하나님이 우리에게 맡기신 일을 계속 할 수 있어요.”

데이 데이는 예수님을 통해 자신을 나타내셨던 하나님의 마음을 신뢰함으로써 평안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소망이란 단순한 낙관론 정도를 훨씬 뛰어 넘는, 결코 깨뜨려지지 않을 하나님의 약속에 근거한 절대적인 확신입니다. 바울이 친구들을 잃고 슬퍼하는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격려했던 것처럼 우리는 슬픔 중에도 이 능력의 진리를 붙잡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예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심을 믿을진대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데살로니가전서 4:14). 우리가 비록 슬픔 중에 있을지라도 이 확실한 소망이 오늘 우리에게 힘과 평안을 주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4:13-18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데살로니가전서 4:13]

어떻게 주님을 따르는 자들에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에서 힘을 얻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사람이나 친구를 잃고 슬퍼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위로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오늘도 소망과 위로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저에게 힘주셔서 다른 사람들도 격려할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7/24/2023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35–36; ACTS 25
Hymn: 543(old 342)

HOPE IN GRIEF

Louise was a lively, playful girl who brought smiles to all she met. At the age of five, she tragically succumbed to a rare disease. Her sudden passing was a shock to her parents, Day Day and Peter, and to all of us who worked with them. We grieved along with them.

Yet, Day Day and Peter have found the strength to keep going. When I asked Day Day how they were coping, she said they drew strength from focusing on where Louise was—in Jesus’ loving arms. “We rejoice for our daughter whose time is up to go into eternal life,” she said. “By God’s grace and strength, we can navigate through the grief and continue to do what He has entrusted us to do.”

Day Day’s comfort is found in her confidence in the heart of God who revealed Himself in Jesus. Biblical hope is much more than mere optimism; it’s an absolute certainty based on God’s promise, which He will never break. In our sadness, we can cling to this powerful truth, as Paul encouraged those grieving over departed friends: “We believe that Jesus died and rose again, and so we believe that God will bring with Jesus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in him” (1 THESSALONIANS 4:14). May this certain hope give us strength and comfort today—even in our grief.
- LESLIE KOH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4:13–18
Do not grieve like the rest of mankind, who have no hope.
[ 1 THESSALONIANS 4:13 ]

How can you draw strength from God’s promises to those who follow Him?
How can you comfort someone grieving over a loved one or friend?

Father, thank You for Your hope and comfort today.
Strengthen me today so I can encourage others too.

오늘의 말씀

07/23/2023     주일

성경읽기: 시편 33-34; 사도행전 24
찬송가: 364(통482)

기도할 때 기억하라

말콤 클라우트는 영국여왕 엘리자베스2세가 영국 국민에게 매년 수여하는 봉사상, 마운디 머니의 2021년도 수상자로 선정되였습니다. 상을 받을 당시 100세였던 클라우트는 평생 동안 천 권의 성경책을 나누어 준 공로로 그 영예를 얻었습니다. 그는 성경책을 받은 모든 사람들의 기록을 보관하고 그들을 위해 규칙적으로 기도했습니다.

성실하게 기도한 클라우트의 모습은 신약성경의 바울 서신들에 나타나는 사랑의 한 능력 있는 본보기입니다. 바울은 그의 서신을 받는 사람들에게 그들을 위해 규칙적으로 기도하고 있음을 자주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그는 친구 빌레몬에게 “나는 기도할 때마다 그대를 생각하며 언제나 내 하나님께 감사하고 있습니다”(빌레몬서 1:4, 현대인의 성경)라고 썼으며, 디모데에게는 “나는 밤낮 기도할 때마다 그대를 기억합니다”(디모데후서 1:3, 현대인의 성경) 라고 썼습니다. 또 로마 교회에는 “항상” 그의 기도에 “쉬지 않고” 그들을 기억했다고 강조했습니다(로마서 1:9–10).

우리에게 말콤처럼 기도하는 대상자가 천 명이 되지는 않겠지만, 우리가 아는 사람들을 위해 의도적으로 하는 기도는 하나님께서 그 기도에 응답하시기 때문에 능력이 있습니다. 나는 성령의 권능과 강권하심에 따라 어떤 특정한 사람을 위해 기도할 때 간단한 기도 달력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일일 달력이나 주간 달력에 이름을 나누어 기입해 놓는 것은 성실하게 기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리가 기도할 때 다른 사람들을 기억하는 일이 얼마나 아름다운 사랑의 표현인지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빌레몬서 1:1-4
내가 항상 내 하나님께 감사하고 기도할 때에 너를 말함은
[빌레몬서 1:4]

당신이 성실하게 기도하는데 도움을 주었던 것이 있습니까?
누군가가 당신을 위해 기도해 줌으로써 어떤 축복을 받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주님께서 항상 저의 기도를 들으시는 것을 알고 성실히 기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3/2023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33–34; AC TS 24
Hymn: 364(old 482)

REMEMBER IN PRAYER

Malcolm Cloutt was named a 2021 Maundy Money honoree by Queen Elizabeth II, an annual service award given to British men and women. Cloutt, who was one hundred years old at the time of the recognition, was honored for having given out one thousand Bibles during his lifetime. Cloutt has kept a record of everyone who’s received a Bible and has prayed for them regularly.

Cloutt’s faithfulness in prayer is a powerful example of the kind of love we find throughout Paul’s writings in the New Testament. Paul often assured the recipients of his letters that he was regularly praying for them. To his friend Philemon, he wrote, “I always thank my God as I remember you in my prayers” (PHILEMON 1:4). In his letter to Timothy, Paul wrote, “Night and day I constantly remember you in my prayers” (2 TIMOTHY 1:3). To the church in Rome, Paul emphasized that he remembered them in prayer “constantly” and “at all times” (ROMANS 1:9–10).

While we might not have a thousand people to pray for like Malcolm, intentional prayer for those we know is powerful because God responds to our prayers. When prompted and empowered by His Spirit to pray for a specific individual, I’ve found a simple prayer calendar can be a useful tool. Dividing names into a daily or weekly calendar helps me be faithful to pray. What a beautiful demonstration of love when we remember others in prayer.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PHILEMON 1:1–4
I always thank my God as I remember you in my prayers.
[ PHILEMON 1:4 ]

What has helped you be faithful in prayer?
How have you been blessed by someone’s prayers for you?

Father, help me to be faithful in prayer, knowing You always hear m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