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03/2025 주일
맡겨드릴 때 얻는 평강 “
바울 사도는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고 권면하는데, 그렇게 해야 할 분명한 이유로 ”주께서 가까우시다”는 사실을 그들 에게 확신시켜 줍니다(빌립보서 4:4-5). 그는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걱정 대신 믿음의 기도를 하고, 하나님이 모든 기도를 들으신다는 것을 믿고, 그 하나님의 영원 하신 임재 속에 놀라운 평강을 누리며 하나님을 찬양하라고 권면합니다(6-7절).
우리가 우리 생각들을 예수님의 성품처럼 “참되며”, “옳으며”, “정결하며” “칭찬 받을 만한”(8절) 것들로 채울 때 평강의 왕이신 예수님은 우리의 정서와 생각을 건강하게 지켜 주십니다.
평강의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신다는 것을 믿을 때 하나님의 평강이 우리를 지켜줍니다. 우리를 얽매는 근심의 짐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신실하신 손에 모든 기도를 맡겨드릴 때 우리는 평강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4-11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 [빌립보서 4:7]
하나님은 성경에서 어떻게 당신의 기도를 들으신다는 믿음을 갖게 하십니까? 하나님께 맡겨 드리지 못하는 어떤 걱정에 매달려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 걱정들을 하나님 손에 맡겨 드릴 때 언제나 저의 평강이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03/2025 SUNDAY
PEACE IN THE RELEASE
The apostle Paul urged believers in Jesus to “rejoice in the Lord” and gave good reason to do so by affirming, “The Lord is near” (PHILIPPIANS 4:4-5). He encouraged God’s people to trade anxious thoughts for faith-filled prayers, to believe He receives every request, and to praise Him while resting in the unfathomable peace of His never-ending presence (VV. 6-7).
The Prince of Peace—Jesus—guards our emotional and mental well-being when we turn our thoughts toward qualities that point to Him, things that are “true,” “right,” “pure,” and “praiseworthy” (V. 8).
The peace of God protects us when we trust that the God of peace is with us. Liberated from the burden of clinging to concerns, we can experience peace in the release of every prayer into God’s trustworthy hands.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HILIPPIANS 4:4-11The peace of God, which transcends all understanding, will guard your hearts and your minds in Christ Jesus. [ PHILIPPIANS 4:7 ]
How has God used Scripture to help you trust that He hears your prayers? What concerns have you been clinging to instead of giving them to God?
Dear God, thank You for being my peace whenever I release my worries into Your hands.
오늘의 말씀
08/02/2025 토요일
하나님의 가족
구출된 사람은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의 아들 로버트 토드 링컨이었습니다. 로버트는 나중에 회고하기를 자기를 구해준 에드윈 부스는 유명한 배우여서 “얼굴을 쉽게 알아봤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는 2년 후 대통령을 암살한 또 다른 배우 존 윌크스 부스의 형이었습니다.
이 역사적인 기이한 일은 우리에게 현실의 엄연함을 보여줍니다. 우리는 어느 가정에 태어날지 선택하지 못합니다. 형제자매나 부모님이 잘못된 선택을 한 것일 수 있고, 어쩌면 우리가 모든 것을 엉망으로 만든 장본인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가정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에 대해 이렇게 말해줍니다. “무릇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사람은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로마서 8:14). 하나님의 자녀인 “우리는 [그의] 상속자”(17절)입니다. 놀랍게도 우리는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15절)라고 부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우리 자신의 역기능적 가정 문제로 오랫동안 씨름할 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우리의 영적인 유산을 바꾸어 놓으셨다는 사실에 우리는 위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그분의 가족으로 삼으신 것입니다. 무엇보다 가장 귀중한 것은 하나님이 우리로 그분을 우리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게 하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8:9-17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로마서 8:16]
하나님의 가족이 된다는 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를 줍니까?
하나님의 가족이라면 당신의 삶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겠습니까?
아빠 아버지, 저를 자녀로 삼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02/2025 SATURDAY
THE FAMILY OF GOD
The saved man was Robert Todd Lincoln, son of President Abraham Lincoln. Robert later wrote that his rescuer’s “face was of course well known to me,” because Edwin Booth was a famous actor. In fact, he was the brother of another actor—John Wilkes Booth—who would assassinate the president two years later.
This historical oddity illustrates a reality for us. We don’t choose the family we’re born into. Perhaps our siblings or parents made wrong choices. Maybe we’re the ones who’ve made a mess of everything. But the Bible tells of God’s family plan: “those who are led by the Spirit of God are the children of God” (ROMANS 8:14). As His children, “we are [his] heirs” (V. 17). Amazingly, we’re invited to call Him “Abba, Father” (V. 15).
We may long wrestle with the dysfunctions of our earthly family. But we can take comfort that God has changed our spiritual heritage. He adopts us into His family. Most precious of all—He invites us to call Him our Father.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ROMANS 8:9-17We are God’s children.
[ ROMANS 8:16 ]
What does it mean to you to be part of God’s family?
How does it compel you to live differently?
Abba Father, thank You for adopting me as Your child into Your family.
오늘의 말씀
08/01/2025 금요일
삶이 공평하지 않을 때
성경에도 정의가 실현되고 억압받는 자가 “땅을 차지하는”(시편 37:9) 날을 기다리던 한 사람의 노래가 있습니다. 시편을 쓴 다윗은 불의를 직접 경험하면서도 끝까지 참아냈습니다. 그는 “여호와 앞에 잠잠하고 참고 기다리라 자기 길이 형통하며 악한 죄를 이루는 자 때문에 불평하지 말지어다”(7절)라고 했습니다. 그는 이어서 “진실로 악을 행하는 자들은 끊어질 것이나 여호와를 소망하는 자들은 땅을 차지하리로다”(9절)라고 기록했습니다. 다윗은 “악인이 칼을 빼고 활을 당겨 가난하고 궁핍한 자를 엎드러뜨림”(14절)을 보면서도 하나님이 모든 것을 바로 잡으실 것을 믿었습니다(15절).
삶은 힘들고 종종 불공평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시편 37편을 예수님의 음성으로 다시 듣습니다.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마태복음 5:5).
오늘의 성구
시편 37: 5-17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 [마태복음 5:5]
당신은 언제 나쁜 대우를 받아보았습니까? 그런 억울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나님을 신뢰하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바로 잡으실 때까지 인내로 기다릴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01/2025 FRIDAY
WHEN LIFE IS UNFAIR
In the Bible, we read the song lyrics by a man who anticipated such a day—when justice is served and the oppressed “inherit the land” (PSALM 37:9). Though he experienced evil firsthand, the poet David urged patience. “Be still before the Lord and wait patiently for him,” he wrote. “Do not fret when people succeed in their ways, when they carry out their wicked schemes” (V. 7). He continued, “Those who are evil will be destroyed, but those who hope in the Lord will inherit the land” (V. 9). Despite observing how the “wicked draw the sword” to “bring down the poor and needy” (V. 14), David trusted God to make things right (V. 15).
Life is hard and often unfair. Yet we hear in the words of Jesus an echo from Psalm 37. “Blessed are the meek,” He said, “for they shall inherit the earth” (MATTHEW 5:5).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PSALM 37:5-17Blessed are the meek, for they will inherit the earth. [ MATTHEW 5:5 ]
When have you been treated badly? How will you trust God in your unfair situations?
Dear God, please help me wait patiently for You to make things right.
오늘의 말씀
07/31/2025 목요일
그리스도처럼 보이려면
성경에서 팔복의 가르침으로 알려진 마태복음 5:3-10에서 예수님은 천국에 속한 사람들이 그리스도와 같은 “옷을 입은” 사람들이라고 말합니다. 천국은 그들의 왕인 예수님의 모습과 성격을 닮은 사람들로 구성됩니다. 예수님이 말하는 “복된” 사람들은 외모나 건강, 또는 재산으로 특징지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사람의 속과 마음입니다.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3절)라고 했습니다. 이들은 영적으로 궁핍함을 스스로 아는 겸손한 사람들을 말합니다.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6절)라고 했습니다. 이들은 영혼의 갈망이 하나님을 즐거워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9절)라고 했습니다. 이들은 화합을 추구하며 예수님과 함께 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성령께서 우리를 도우실 때, 우리는 그리스도와 같은 옷을 입을 수 있습니다. 그 옷은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 자요 예수님 팀의 팀원임을 나타내는 유니폼입니다. 그래야 우리는 진실로 복된 자들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5:1-10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 [로마서 13:14]
팔복의 가르침에 따라 당신은 얼마나 옷을 “잘 입었습니까”?
당신은 그리스도의 어떤 면모를 닮으려고 기도하십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천국 시민의 지위를 주신 것 감사드립니다. 날마다 성령님을 통해 그리스도를 닮아갈 수 있도록 은혜 베풀어 주소서.
Daily Article
07/31/2025 THURSDAY
LOOKING LIKE CHRIST
In Matthew 5:3-10, known as the Beatitudes, Jesus identifies those who belong to the kingdom of heaven as those who “wear the jersey” of Christlikeness. The kingdom of heaven is comprised of those who assume the posture and character of their king. According to Jesus, “blessed” persons aren’t characterized by external appearance, health, or possessions. Rather, it’s the inside or heart of a person that counts.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V. 3)—the humble—those who are spiritually needy and know it. “Blessed are those who hunger and thirst for righteousness” (V. 6)—those whose soul’s yearning is to please and honor God. “Blessed are the peacemakers” (V. 9)—those who join Jesus in the pursuit of harmony.
As the Spirit helps us, we can put on the garment of Christlikeness, which identifies us as believers in Jesus and members of His team. As such, we’re blessed indeed!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MATTHEW 5:1-10Clothe yourselves with the Lord Jesus Christ, and do not think about how to gratify the desires of the flesh. [ ROMANS 13:14 ]
According to the Beatitudes, how “well-dressed” are you?
What aspect of Christlikeness are you praying fo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my status as a citizen in the kingdom of heaven. Please give me grace each day by the Spirit to look like Christ.
오늘의 말씀
07/30/2025 수요일
한밤중에도 연락할 수 있는 친구
성경은 우정에 관하여 이런 말을 합니다. 비밀을 지키며(잠언 11:13; 16:28), 서로 권고하며(27:9), 피차 경계선을 지키며(25:17), 신뢰할 수 있는 친구들. 그러나 예수님만큼 우정을 강하게 정의한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광고주에게는 시장이고 고용주에게는 직원이지만, 모두의 주가 되시는 예수님께 우리는 “친구”입니다(요한복음 15:15). 예수님은 자신의 우정을 하나님의 사랑을 함께 나누고 개인적 희생 위에 세워진 관계로 묘사하셨습니다 (13, 15절). 그것은 예수님께서 친히 본을 보이셨고 전해 주시기 위하여 우리를 부르신 우정입니다(12절).
그 질문을 듣고 몇 년 후 우리 부부는 아주 가까운 사람을 잃었습니다. 그 일을 아는 몇 안 되는 사람 중 하나인 대런은 나를 만나려고 2시간을 운전하여 와서 나의 분노와 고통을 듣고 나를 위해 기도했습니다. 대런은 할 일이 많아서 하루가 바쁜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는 예수님의 본을 따라 희생적인 우정을 보여 주었습니다. 나에게는 정말 필요할 때 도와줄 사람이 있었던 것입니다.
이제 문제는 다른 사람들이 나를 “한밤중에 연락할 수 있는 친구”로 생각 하는지 여부입니다. 내가 한 사람의 좋은 친구가 되는 것이 친구를 더 많이 사귈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니까요.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9-17이제부터는 너희를 종이라 하지 아니하리니 종은 주인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라 너희를 친구라 하였노니 [요한복음 15:15]
모든 일이 잘못되었을 때 당신은 한밤중에 누구에게 연락할 수 있습니까?
다른 사람들이 도움이 필요할 때 그들 곁에 있어 주는 것은 왜 중요합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께서 본을 보이셨던 그런 우정을 다른 사람들에게 기꺼이 행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30/2025 WEDNESDAY
A FRIEND AT MIDNIGHT
Scripture has much to say about friendship, describing a friend as someone who keeps confidences (PROVERBS 11:13; 16:28), shares advice (27:9), and respects boundaries (25:17). But perhaps no one defined friendship more powerfully than Jesus. While to advertisers we are markets and to employers we are staff, to Him, the Master of all, we are “friends” (JOHN 15:15). Jesus described His kind of friendship as being built on shared love of God and personal sacrifice (VV. 13, 15)—something He Himself modeled and called us to pass on (V. 12).
A couple of years after hearing that question, my wife and I suffered a significant loss. Darren, one of the few who knew what happened, traveled two hours to see me, listen to my anger and pain, and pray for me. Darren is a busy man who had plenty of other things to do with his day. But he followed Jesus’ example of sacrificial friendship. I really did have someone in my hour of need.
The question now is whether others have a “friend at midnight” in me. For there are few better ways to make more friends than to be on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JOHN 15:9-17I no longer call you servants, because a servant does not know his master’s business. Instead, I have called you friends. [ JOHN 15:15 ]
Who can you call at midnight when everything has gone wrong?
Why is it important to be there for others in their hour of need?
Dear Jesus, please help me offer to others the kind of friendship You modeled.
오늘의 말씀
07/29/2025 화요일
붙들어 주시는 하나님
다윗도 여러가지 고난들로 시달리던 때가 있습니다(시편 55:2-5). 아들 압살롬에게 공격을 받고, 친한 친구에게 배신당하고, 이어지는 예루살렘에서의 폭력 앞에 속수무책이었던 다윗은 “두려움과 떨림이 내게 이르고”(5절)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하나님을 신뢰하기로 선택했습니다(23절). 하나님께서 “의인의 요동함을 영원히 허락하지 아니하시리로다”(22절) 하신 말씀을 믿었습니다. 다윗은 오랜 세월 전능자를 신뢰하면서 고난이 우리를 불안정하게 만들지라도 하나님을 믿는 사람은 결코 돌이킬 수 없는 패배와 절망에 빠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주님께서 우리의 손을 잡아 주시니, 넘어지지 않는다”(시편 37:24, 새번역). 다윗은 하나님께서 그분의 능력과 지혜로 자신을 도우실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나는 하나님께 부르짖으리니 여호와께서 나를 구원하시리로다”(55:16).
14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아버지를 집에서 돌보고 있습니다. 그 시간 동안 나는 모든 걱정을 하나님께 맡기면 그분께서 우리를 붙들어 주신다는 것을 배웠습니다(22절). 하나님은 우리의 짐을 지시고 우리를 붙들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55:2-5, 16-23[여호와께서] 의인의 요동함을 영원히 허락하지 아니하시리로다
[시편 55:22]
하나님께서는 당신이 흔들리게 놓아두지 않으신다는 것을 어떻게 알게 하시나요?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께 문제를 맡기시나요?
사랑하는 하나님, 앞날들을 헤쳐 나갈 수 있게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29/2025 TUESDAY
SUSTAINED BY GOD
David also felt overwhelmed by troubles (PSALM 55:2-5). Attacked by his son Absalom, betrayed by his close friend, and helpless over the ensuing violence in Jerusalem, David said, “Fear and trembling have beset me” (V. 5).
But David chose to trust God (V. 23). He believed “[God] will never let the righteous be shaken” (V. 22). Years of trusting the Almighty had taught David that although troubles may unsteady us, those who place their faith in God will never be irrevocably lost and hopeless. “They will never fall, for the Lord holds them by the hand” (37:24 NLT). David knew God would support him with His strength and wisdom: “I call to God, and the Lord saves me” (55:16).
Fourteen years later, we continue to care for my dad at home. The years have taught me that when we cast our cares on Him, He sustains us (V. 22). God bears our burdens, and He bears us up too.
KAREN HUANG
Today's Reading
PSALM 55:2-5, 16-23[The Lord] will never let the righteous be shaken.
[ PSALM 55:22 ]
How does God remind you He won’t let you be shaken?
How can you entrust your troubles to Him?
Dear God, thank You for helping me walk through the days ahead.
오늘의 말씀
07/28/2025 월요일
보고 섬기기
이 경험은 매클린의 열정을 불타게 만들었습니다.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도우려고 아프리카로 다시 돌아갔습니다. 결국 그는 ‘정의의 수호자’라는 수감자들을 옹호하는 자선 단체를 설립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우리가 보게 된다면 도저히 “안 본 것으로 할 수 없는” 일들을 만나는 환경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런 모습을 보지 않고 삽니다. 황폐한 고향을 한탄하는 예레미아애가에서 선지자는 안 본 것으로 여겨지는 자신의 느낌을 감정을 이렇게 쏟아 부르짖었습니다. “지나가는 사람들이여 너희에게는 관계가 없는가? 나의 고통과 같은 고통이 있는가 볼지어다”(예레미야애가 1:12).
예레미야는 자신뿐만 아니라 억압받는 모든 사람들에 대해서도 마음이 아팠습니다. 그래서 화려한 수사학을 써가며 반문합니다. “세상에 있는 모든 갇힌 자들을 발로 밟는 것과, 사람의 재판을 굽게 하는 것과... 주께서 기쁘게 보시는 것이 아니로다”(3:34-36). 그러나 선지자는 이렇게 희망을 보지요. “주께서 영원하도록 버리지 아니 하실 것임이며”(31절), “주여 주께서 내 심령의 원통함을 풀어 주셨고 내 생명을 속량하셨나이다”(58절).
“안 본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 많이 있습니다. 우리를 구원하신 하나님께서는 주님이 우리에게 능력을 주심에 따라 그들을 보고 섬기라고 우리를 부르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애가 3:31-42, 58-59주여 주께서 내 심령의 원통함을 풀어 주셨고 내 생명을 속량하셨나이다 [예레미야애가 3:58]
당신 주변에 보이지 않는 끔찍한 못 볼 일을 당한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어떻게 그들을 볼 것입니까? 그들에게 어떻게 봉사할 것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볼 수 있게 하여 주시고 그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 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8/2025 MONDAY
TO SEE AND TO SERVE
The experience ignited a passion in McLean. He earned his law degree and returned to Africa to help the marginalized. Eventually he founded Justice Defenders, an organization that advocates for prisoners.
Many people live in conditions we couldn’t “unsee” if we were to see them. But we don’t see them. In his lament for his devastated homeland, the prophet Jeremiah poured out his heart over his sense of being unseen. “Is it nothing to you, all you who pass by?” he cried. “Look around and see. Is any suffering like my suffering?” (LAMENTATIONS 1:12).
Jeremiah’s heart ached not only for himself but for all the oppressed as well. “To crush underfoot all prisoners in the land, to deny people their rights . . . would not the Lord see such things?” he asked rhetorically (3:34-36). Yet he saw hope. “No one is cast off by the Lord forever,” he said. “You, Lord, took up my case; you redeemed my life” (VV. 31, 58).
The “unseen” are all around us. God, who has redeemed us, calls us to see and serve them as He enables us.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AMENTATIONS 3:31-42, 58-59You, Lord, took up my case; you redeemed my life. [ LAMENTATIONS 3:58 ]
Who are the “unseen” near you? How will you see them? What will you do?
Father, please give me eyes to see people in need and help me show them Your love.
오늘의 말씀
07/27/2025 주일
믿음의 시험
바울 사도는 그리스도를 따르면서 받아야 하는 대가를 알고 있었습니다. 고린도전서 4장에서 그는 자신의 믿음을 간증하면서 그리스의 도시 고린도에 사는 신자들과 맞서 싸웠습니다. 바울은 사도들이 예수님과 자신들을 위해 고난을 받았다고 말한 것입니다. 그들은 그리스도를 섬김으로 “온 세계에 구경 거리가 되었습니다”(9절).
마찬가지로 베드로 사도 역시 예수께서 우리를 위해 어떤 고난을 겪으셨는지 말해 주었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께서는] 욕을 당하시되 맞대어 욕하지 아니하셨다”고 기록했습니다. “고난을 당하시되 위협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공의로 심판하시는 이에게 부탁하”신 것입니다(베드로전서 2:23).
오늘날에도 예수를 믿는 사람들은 그들의 믿음 때문에 고난을 당합니다. 복음을 위해 기꺼이 고난을 택한 니코메디아의 신자들처럼, 우리가 직면하는 어떤 반대에도 그리스도를 향한 믿음의 힘을 드러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공의로 심판하시는 이”에게 우리의 생명을 맡길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4:9-13우리는 세계 곧 천사와 사람에게 구경거리가 되었노라
[고린도전서 4:9]
당신의 믿음이 부당한 대우를 받을 때 보복하고 싶은 적이 있었습니까?
어떻게 하면 당신의 믿음으로 하나님을 지킬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오늘 제가 어떤 일을 겪게 되든, 예수님이 하신 것처럼, 제 생명을 당신께 맡기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7/2025 SUNDAY
TEST OF OUR FAITH
The apostle Paul understood the cost of following Christ. In 1 Corinthians 4, he confronted the believers living in the Greek city of Corinth with his testimony. Paul stated that the apostles had suffered for Jesus and for their sake. They had been “made a spectacle to the whole universe” (V. 9) as they served Christ.
Similarly, the apostle Peter reminded us how Jesus suffered on our behalf. “When they hurled their insults at [Jesus], he did not retaliate,” wrote Peter. “When he suffered, he made no threats. Instead, he entrusted himself to him who judges justly” (1 PETER 2:23).
Still today, believers in Jesus suffer for their faith. Like the Nicomedian believers who willingly chose to suffer for the gospel, may any opposition we face serve to reveal the strength of our faith in Christ. We can entrust our lives to the one “who judges justly.”
MATT LUCAS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4:9-13We have been made a spectacle to the whole universe, to angels as well as to human beings.
[ 1 CORINTHIANS 4:9 ]
When have you felt like retaliating because of unfair treatment for your faith? How will you trust God to be your defense?
Dear Father, whatever I may face today—please help me entrust my life to You, as Jesus did.
오늘의 말씀
07/26/2025 토요일
하나님, 우리의 안전한 장소
고난은 우리에게 머물 수 있는 안전한 장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상기 시켜줍니다. 잠언 18장 10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여호와의 이름은 견고한 망대라 의인은 그리로 달려가서 안전함을 얻느니라.” 신학자들은 “여호와의 이름” 이라는 문구가 하나님이 누구이신지 하나님의 모든 것을 의미한다고 말합니다. 그분의 모든 속성은 우리가 그분 안에 피할 때 안전을 제공합니다. 하나님은 친절하시기 때문에 우리를 환영하십니다. 그분은 선하시기 때문에 우리의 말을 경청하십니다. 그분은 사랑이시기 때문에 우리와 공감하십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그저 문제에 대처하는 또 다른 방법의 하나가 아닙니다. 그분은 임시방편이나 해결책 그 이상입니다. 그분 안에서 피난처를 찾는다는 것은 다른 것보다 그분의 도움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기도로 그분께 달려가거나, 성경을 묵상하거나, 스트레스와 불안의 시기에 성령님께 순종할 수 있습니다. 오랜 세월에 걸친 이런 습관으로 우리는 진정한 피난처이신 주님께 평생 의지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8:10-11여호와의 이름은 견고한 망대라 의인은 그리로 달려가서 안전함을 얻느니라 [잠언 18:10]
우리는 왜 하나님의 도움보다 자신을 더 의지하게 될까요? 인생의 풍랑에 직면했을 때 당신은 하나님의 어떤 속성이 가장 위로가 되나요?
하나님 아버지, 저의 안전한 장소가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모든 어려움 속에서 주님께 의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6/2025 SATURDAY
GOD, OUR SAFE PLACE
Trouble reminds us we need a safe place to stay. Proverbs 18:10 says, “The name of the Lord is a fortified tower; the righteous run to it and are safe.” Theologians tell us the phrase “the name of the Lord” means the entirety of who God is. All His attributes provide security as we hide ourselves in Him. Because God is kind, He welcomes us. Because He’s good, He listens to us. Because He’s love, He empathizes with us.
But God isn’t just another way to cope with problems. He’s more than a quick fix or a distraction. Taking refuge in Him means choosing His help over everything else. We can run to Him in prayer, meditate on Scripture, or surrender to the Holy Spirit in times of stress and anxiety. Over the years, these habits lead to a lifetime of reliance on the one who is our true shelter.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PROVERBS 18:10-11The name of the Lord is a fortified tower; the righteous run to it and are safe. [ PROVERBS 18:10 ]
Why might you choose self-reliance over God’s help? Which attribute of God comforts you the most as you face storms in life?
Thank You God, for being my safe place. Please help me to turn to You in every struggle.
오늘의 말씀
07/25/2025 금요일
하나님이 주신 은사
통역 일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레이사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필그림이라는 뮤지컬을 택한 이유와 이 작품을 통역하는 이유는 모든 사람이 복음을 접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청각 장애인은 [대체로] 무시 당하는 그룹입니다.” 레이사는 이어서 말합니다. “예수님에 대해 들어 본 청각 장애인은 전 세계에서 2퍼센트도 안 되기 때문에 가슴이 아픕니다.” 이 통역사는 청각 장애인이 예수님을 알 수 있도록 자신의 은사를 사용한 것입니다.
레이사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우리가 받은 은사와 능력을 사용하여 하나님의 사랑을 증거하고 다른 사람들을 예수님께로 이끌어 복음으로 세상에 영향을 주도록 부름을 받았습니다. 베드로 사도는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로 봉사하라”(베드로전서 4:10)고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은사에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위하여 기도하는 것이 포함됩니다(7-8절). 당신이 권면하는 사람이든, 뒤에서 돕는 사람이든, 교사이든, 연설자이든, 기도의 전사이든, 또는 다른 은사나 능력이 있든, 하나님은 다른 사람을 섬기도록 당신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님께 그냥 물어보세요. 주님이 길을 보여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4:7-11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서로 봉사하라
[베드로전서 4:10]
당신은 언제 처음으로 복음을 접하셨나요?
당신은 어떤 은사를 사용하여 주님을 섬길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다른 사람을 섬김으로써 주님을 섬길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5/2025 FRIDAY
GOD-GIVEN GIFTS
When asked about her interpreting, Leisa said, “The reason I do Pilgrim and the reason I interpret is because the gospel should be accessible to everyone. And the Deaf are a group that is [largely] ignored.” She went on to say, “It’s heartbreaking because less than 2 percent of the Deaf worldwide have heard about Jesus.” Leisa uses her gift so the Deaf can know Jesus.
Like Leisa, we’re called to use our gifts and abilities to be witnesses of God’s love and draw others to Jesus—to impact the world with the good news. The apostle Peter wrote, “Each of you should use whatever gift you have received to serve others, as faithful stewards of God’s grace in its various forms” (1 PETER 4:10). These gifts include loving and praying for others (VV. 7-8). Whether you’re an encourager, a helper serving behind the scenes, a teacher, a speaker, a prayer warrior, or have another gift or ability, God can use you to serve others. Just ask. He’ll show you a way.
ALYSON KIEDA
Today's Reading
1 PETER 4:7-11Each of you should use whatever gift you have received to serve others.
[ 1 PETER 4:10 ]
When did you first encounter the gospel?
What gift could you use to serve Him?
Dear God, please help me to find a way to serve You through serving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