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31/2023 목요일
미지의 여정
아마도 가나안에서의 아브라함이나 광야에서의 이스라엘 백성들, 복음 전도를 다녔던 예수님의 제자들 같은 성경 시대의 사람들이 낯선 곳에 들어갈 때 느꼈을 감정이 바로 이와 같았을 것입니다. 그들은 여행길이 매우 힘들 것이라는 것 외에는 다른 아무런 정보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그 길을 미리 아시고 인도하시는 누군가가 계셨습니다. 하나님께서 감당할 힘을 주시고 돌보신다는 것을 믿어야 했습니다. 그들은 앞에 무엇이 있는지 정확하게 아시는 하나님을 따를 수가 있었습니다.
다윗이 도망을 다닐 때에도 이 확신이 위로가 되었습니다. 그는 참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하나님께 이렇게 말합니다. “내 영이 내 속에서 상할 때에도 주께서 내 길을 아셨나이다”(시편 142:3). 우리도 살면서 앞에 놓인 일로 두려울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아는 한가지 사실은 우리와 함께 걸으시는 우리 하나님이 그 길을 아신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2내 영이 내 속에서 상할 때에도 주께서 내 길을 아셨나이다
[시편 142:3]
살면서 가장 걱정되는 것이 무엇입니까?
하나님께서 함께 동행하시고 앞길을 알고 계신다는 것을 잊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나님 아버지, 앞에 생길 일을 저는 모르지만 하나님은 아십니다.
하나님께서 돌보시고 제 걸음을 인도하실 것을 저는 압니다.
Daily Article
08/31/2023 THURSDAY
UNKNOWN ROUTE
Perhaps this was how some of the people in Bible times felt while entering unfamiliar territory—Abraham in Canaan, the Israelites in the wilderness, and Jesus’ disciples on their mission to share the good news. They had no clue what the journey would be like, except that it would surely be tough. But they had Someone leading them who knew the way ahead. They had to trust that God would give them strength to cope and that He would take care of them. They could follow Him because He knew exactly what lay ahead.
This assurance comforted David when he was on the run. Despite great uncertainty, he said to God: “When my spirit grows faint within me, it is you who watch over my way” (PSALM 142:3). There will be times in life when we fear what lies ahead. But we know this: our God, who walks with us, knows the way.
- LESLIE KOH
Today's Reading
PSALM 142When my spirit grows faint within me, it is you who watch over my way.
[ PSALM 142:3 ]
What worries you most in life?
How can you remind yourself that God is walking with you and knows the way ahead?
Father, even though I don’t know what may happen next, You do.
I know You’ll take care of me and guide my steps.
오늘의 말씀
08/30/2023 수요일
길에서 느끼는 자유
이사야서는 “정직하신 주께서 의인의 첩경을 평탄하게 하시도다”(26:7) 라고 말합니다. 이 말이 기록될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의 길은 결코 평탄해 보이지 않았으며 그들의 불순종 때문에 하나님의 심판을 받고 있었습니다. 이사야는 그들에게 때로는 힘들지라도 믿음과 순종으로 평탄한 길을 걸으라고 촉구하였습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위하고 또 주를 기억”(8절)하는 것을 마음의 중심에 두라고 한 것입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가 하나님의 길을 순종하며 따를 때 하나님을 더욱 알게 되고 그분의 신실하신 성품에 신뢰를 쌓아가게 됩니다. 삶의 여정이 언제나 순탄하게 보이거나 느껴지지 않을 지 모르지만, 하나님이 우리 곁에 계셔서 길을 만들어 나가는 분이심을 믿을 때 우리는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우리를 위한 하나님의 최선의 길을 순종하며 달려갈 때 우리도 자유를 느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26:1-13정직하신 주께서 의인의 첩경을 평탄하게 하시도다
[이사야 26:7]
당신이 취해야 할 순종의 단계는 무엇입니까?
언제 어떻게 실행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선한 길에서 자유를 누리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저에게 주님의 길을 계속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8/30/2023 WEDNESDAY
FREEDOM ON THE PATH
The book of Isaiah tells us that God, “the Upright One, make[s] the way of the righteous smooth” (26:7). When this was written, the path for the Israelites looked anything but smooth; they were experiencing divine judgment for their disobedience. Isaiah exhorted them to walk in faith and obedience—the often difficult but smooth path. Being concerned for God’s “name and renown” (V. 8) was to be their hearts’ focus.
As believers in Jesus, we come to know more about God and build our trust in His faithful character as we follow His ways in obedience. Our path in life may not always look or feel smooth, but we can be assured as we trust in Him that God is alongside us and making a way. We too can feel freedom as we run in obedience on God’s best path for us.
- ANNE CETAS
Today's Reading
ISAIAH 26:1–13You, the Upright One, make the way of the righteous smooth.
[ ISAIAH 26:7 ]
What steps of obedience do you need to take?
When and how might you do this?
Father God, I’m grateful for the freedom I experience on Your good path.
Please keep showing me Your way.
오늘의 말씀
08/29/2023 화요일
당신이 지쳤을 때
그러나 눈을 감고 작은 소리로 “주님” 하고 불렀습니다. 너무 지쳐 그 이상 아무 말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나의 모든 피곤이 그 한마디에 다 담겨 있었습니다. 그러자 순간적으로 나의 피곤이 가야할 곳은 바로 그 한마디, 주님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은 피곤하고 무거운 짐을 진 우리에게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라고 말씀하십니다(마태복음 11:28). 이것은 하룻밤 편히 자는 휴식과 다르고, 텔레비전처럼 현실을 잠시 잊게 하는 것도 아닙니다.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 오는 해방감도 전혀 아닙니다. 이것들은 다 쉴 수 있는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사실은 잠시 숨을 돌리게 하는 것일 뿐 상황에 따라 한계가 있는 것입니다.
반면에 예수님께서 주시는 휴식은 오래 가며 그분의 변치 않는 성품으로 보장되는 휴식입니다. 항상 선하신 예수님은 우리에게 고난 가운데서도 우리 영혼에 진정한 안식을 주십니다. 모든 것이 예수님의 통제 하에 있다는 것을 우리가 알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예수님만이 주실 수 있는 능력과 회복 덕분에 그를 믿고 순종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견딜 수 있고 나아가 성공할 수 있습니다.
“내게로 오라.” 예수님이 말씀하십니다. “내게로 오라.”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1:25-30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마태복음 11:28]
영혼이 지쳐 있을 때 당신은 어디에서 휴식을 취합니까?
예수님이 그분께로 오라 하실 때 어떻게 응답하시겠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진정한 안식은 오직 하나님 안에서만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29/2023 TUESDAY
WHEN YOU’RE WEARY
But I closed my eyes. “Lord,” I whispered. I was too tired to say more. All my weariness went into that one word. And somehow, I immediately knew that was where it should go.
“Come to me,” Jesus tells us who are weary and burdened, “and I will give you rest” (MATTHEW 11:28). Not the rest from a good night’s sleep. Not the break from reality that television offers. Not even
the relief when a problem has been solved. Although these may be good sources of rest, the respite they offer is short-lived and dependent on our circumstances.
In contrast, the rest Jesus gives is lasting and guaranteed by His unchanging character. He’s always good. He gives us true rest for our souls even amid trouble because we know that everything is in His control. We can trust and submit to Him, endure and even thrive in difficult situations because of the strength and restoration only He can give.
“Come to me,” Jesus tells us. “Come to me.”
- KAREN HUANG
Today's Reading
MAT THEW 11:25–30Come to me, all you who are weary and burdened, and I will give you rest.
[ MATTHEW 11:28 ]
When your spirit is weary, where do you go for rest?
How would you respond to Jesus, who invites you to go to Him?
Heavenly Father, remind me that true rest is found only in You.
오늘의 말씀
08/28/2023 월요일
모든 것을 잃어도
시저는 이런 부당함을 그저 불평거리로 삼지 않기로 하고 하나님께 앞으로 나아갈 길을 보여 달라고 간구했습니다. 그리고는 그저 새롭게 다시 시작했습니다.
욥은 한 순간의 끔찍한 일들로 재산뿐 아니라 훨씬 더 많은 것들을 잃었습니다. 대부분의 종들과 그의 모든 자녀를 잃었고(욥기 1:13-22), 자신의 건강마저 잃어버렸습니다(2:7-8). 그럼에도 욥이 보인 반응은 우리에게 영원한 모범이 되고 있습니다. 그는 “내가 모태에서 알몸으로 나왔사온즉 또한 알몸이 그리로 돌아가올지라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1:21)라고 기도했습니다. 욥기 1장은 “이 모든 일에 욥이 범죄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을 향하여 원망하지 아니하니라”(22절) 하며 끝을 맺고 있습니다.
시저도 욥처럼 하나님을 신뢰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새롭게 시작한 사업이 불과 몇 년 만에 처음 것보다 더 성공적으로 성장했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욥의 나중 이야기와 비슷합니다(욥기 42장 참조). 그러나 시저는 설령 경제적으로 회복되지 않았다 해도 자신의 진짜 보화는 이 땅에 있지 않다는 것을(마태복음 6:19-20) 알기 때문에 여전히 하나님을 신뢰했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1:13-22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
[욥기 1:21]
가장 큰 손실을 경험했을 때에 어떤 기분이었습니까?
당신의 손실을 통해 성령님께서 보여주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오늘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가르쳐 주소서.
제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Daily Article
08/28/2023 MONDAY
LOSING EVERYTHING
Choosing not to view the injustice as a cause to complain, Cesar asked God to show him the way forward. And then—he simply started over.
In one awful moment, Job lost far more than merely his possessions. He lost most of his servants and all his children (JOB 1:13–22). Then he lost his health (2:7–8). Job’s response remains a timeless example for us. He prayed, “Naked I came from my mother’s womb, and naked I will depart. The Lord gave and the Lord has taken away; may the name of the Lord be praised” (1:21). The chapter concludes, “In all this, Job did not sin by charging God with wrongdoing” (V. 22).
Like Job, Cesar chose to trust God. In just a few years he had built a new business more successful than the first. His story resembles the conclusion of Job’s (see Job 42). But even if Cesar had never recovered economically, he knew his real treasure wasn’t on this earth anyway (MATTHEW 6:19–20). He would still be trusting God.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OB 1:13–22The Lord gave and the Lord has taken away; may the name of the Lord be praised.
[ JOB 1:21 ]
How did you feel when you experienced your greatest loss?
What is the Holy Spirit showing you about your losses?
Dear God, please teach me something about Your love today.
There’s so much I don’t understand.
오늘의 말씀
08/27/2023 주일
실망감을 극복하기
계획이 좌절되거나 변경되면 실망스럽고 몹시 속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그 계획에 시간이나 돈이나 정성을 쏟아 부었을 때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하나님을 위한 성전을 “건축할 마음”이 있었던 다윗 왕에게(역대상 28:2) 하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너는 내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지 못하리라... 네 아들 솔로몬 그가 내 성전을 건축하리라”(3, 6절). 그 말에 다윗은 실망하지 않고 자신을 이스라엘의 왕으로 택하신 하나님을 찬양하며 성전 건축 계획을 솔로몬에게 넘기고 성전을 완성하게 했습니다(11-13절). 그러면서 “너는 강하고 담대하게 이 일을 행하라... 여호와 하나님이 너와 함께 계시리라”(20절)라는 말로 솔로몬을 격려했습니다.
어떤 이유로든 계획했던 일이 어긋날 때 우리는 “[우리를] 돌보시는” (베드로전서 5:7) 하나님께 실망하는 마음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실망을 은혜로 다룰 수 있게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상 28:2-3, 6-12나는 여호와의 언약궤 곧 우리 하나님의 발판을 봉안할 성전을 건축할 마음이 있어서
[역대상 28:2]
계획을 잔뜩 세웠다가 실패한 적이 있습니까?
실망감을 극복하는 데 무엇이 도움이 되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약속과 계획은 절대 실패하지 않으니 감사합니다.
제 계획이 실패할 때 저를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27/2023 SUNDAY
DEALING WITH DISAPPOINTMENT
Dealing with failed or changed plans can be disappointing or even heartbreaking. Especially when we’ve invested time, money, or emotion into the planning. King David “had it in [his] heart to build” a temple for God (1 CHRONICLES 28:2), but God told him: “You are not to build a house for my Name . . . . Solomon your son is the one who will build my house” (VV. 3, 6). David didn’t despair. He praised God for choosing him to be king over Israel, and he gave the plans for the temple to Solomon to complete (VV. 11–13). As he did, he encouraged him: “Be strong and courageous, and do the work . . . for the Lord God . . . is with you” (V. 20).
When our plans fall through, no matter the reason, we can bring our disappointment to God who “cares for [us]” (1 PETER 5:7). He will help us handle our disappointment with grace.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1 CHRONICLES 28:2–3, 6–12I had it in my heart to build a house . . . for the ark of the covenant.
[ 1 CHRONICLES 28:2 ]
When have you put a lot into plans that then fell through?
What helped you to deal with your disappointment?
Dear God, thank You that Your promises and plans never fail.
Please help me when mine do.
오늘의 말씀
08/26/2023 토요일
시련 속의 희망
예수님의 고난을 말해주는 시편 22편의 다윗의 이야기는 하나님께 버림받고(1절) 사람들의 비방과 조롱거리가 되며(6-8절) 약탈자들에게 둘러싸여 있다고(12-13절) 느끼는 사람의 이야기와 같습니다. 그러나 그는 쇠약하고 기진함 가운데서도(14-18절) 절망하지 않았습니다. “여호와여 멀리 하지 마옵소서 나의 힘이시여 속히 나를 도우소서”(19절). 우리가 현재 겪는 어려움도 다윗이나 래트리스의 것과는 다를 수 있어도 똑같이 현실 속의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24절의 말씀은 우리에게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는 곤고한 자의 곤고를 멸시하거나 싫어하지 아니하시며... 그가 울부짖을 때에 들으셨도다.” 우리가 하나님의 도우심을 경험할 때 다른 사람들도 들을 수 있도록 그분의 선하심을 선포합시다(22절).
오늘의 성구
시편 22:14-24회중 가운데에서 주를 찬송하리이다
[시편 22:22]
하나님께서 베푸신 은혜를 다른 사람들과 나눌 때 어떤 유익이 있을까요?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 자매된 사람들과 교제하는 것이 왜 꼭 필요할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절망적인 제 마음을 하나님께 내어놓습니다.
제 마음에 희망을 불어넣어 주시고 하나님의 이름을 찬양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26/2023 SATURDAY
HUMBLED BUT HOPEFUL
David’s words in Psalm 22 (which point to the sufferings of Jesus) are those of a battered man who felt forsaken by God (V. 1), despised and mocked by others (VV. 6–8), and surrounded by predators (VV. 12–13). He felt weak and drained (VV. 14–18)—but he wasn’t hopeless. “But you, Lord, do not be far from me. You are my strength; come quickly to help me” (V. 19). Your present challenge—
though likely not of the same variety as David’s or Latriece’s—is just as real. And the words of verse 24 are just as meaningful: “He has not despised or scorned the suffering of the afflicted one; . . . but has listened to his cry for help.” And when we experience God’s help, let’s declare His goodness so others can hear of it (V. 22).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22:14–24In the assembly I will praise you.
[ PSALM 22:22 ]
What are the benefits of sharing stories of God’s kindness with others?
Why is it vital to fellowship with other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
Heavenly Father, I bring my feelings of helplessness to You.
Breathe fresh hope into my heart and help me praise Your name.
오늘의 말씀
08/25/2023 금요일
참 좋은 친구
예수님도 우셨습니다. 요한복음이 그 순간을 기록하고 있는데, 유대인들이 “주여 와서 보옵소서”(11:34)라고 하여 예수님이 그의 좋은 친구 나사로의 무덤 앞에 서신 그때였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우리 인간의 마음을 깊이 공유하시는 모습을 보여주는 구절을 볼 수 있습니다. “예수께서 눈물을 흘리시더라”(35절). 그 순간에 요한이 기록하거나 기록하지 못한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를 얼마나 사랑하셨는가”(36절)라고 유대인들이 예수님께 보인 반응이 모든 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고 믿습니다. 그 구절은 우리의 모든 연약함을 잘 아는 친구이신 예수님을 찬양하기에 충분한 이유가 됩니다. 예수님은 살과 피와 눈물이 있는 인간이셨습니다. 그리고 사랑하고 또 이해하시는 구세주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25-36이에 유대인들이 말하되 보라 그를 얼마나 사랑하셨는가
[요한복음 11:36]
당신이 마지막으로 예수님의 인성을 느낀 것은 언제였습니까?
당신의 눈물을 이해하시고 함께 눈물 흘리시는 예수님을 생각할 때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나를 구원하실 뿐 아니라 함께 눈물을 흘리시는 예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Daily Article
08/25/2023 FRIDAY
WHAT A FRIEND
Jesus wept too. John’s gospel records that moment, after the Jews said, “Come and see, Lord” (11:34), and Jesus stood before the tomb of His good friend Lazarus. Then we read those two words that reveal to us the depths to which Christ shares our humanity: “Jesus wept” (V. 35). Was there much going on in that moment, things that John did and didn’t record? Yes. Yet I also believe the reaction of the Jews to Jesus is telling: “See how he loved him!” (V. 36). That line is more than sufficient grounds for us to stop and worship the Friend who knows our every weakness. Jesus was flesh and blood and tears. Jesus is the Savior who loves and understands.
- JOHN BLASE
Today's Reading
JOHN 11:25–36Then the Jews said, “See how he loved him!”
[ JOHN 11:36 ]
When did you last consider the humanity of Jesus?
How does knowing that Jesus understands and shares your tears encourage you today?
Dear Jesus, thank You for being the One who saves and for also being the One who shares my tears.
오늘의 말씀
08/24/2023 목요일
마음 문을 열고 내어주라
그러나 파커는 이어 말하기를 이렇게 살려면 또한 “내가 얼마나 모르는게 많은지, 성공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배워가야 한다고 했습니다. 세상을 섬기는 일에 자신을 내어놓으려면 언제나 “초보자의 마음”을 가지고 “미지의 세계에 몸을 던져, 거듭되는 실패도 두려워하지 않고, 다시 일어나 배우고 또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우리의 삶이 은혜의 기초 위에 세워질 때에만 용기를 가지고 두려움 없이 “마음 문을 열고 내어주는” 삶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바울이 그의 제자 디모데에게 설명했듯이 우리를 구원하고 목적있는 삶으로 부르시는 것이 하나님의 은혜(디모데후서 1:9)라는 것을 기억할 때, 우리는 스스로를 자신있게 “불을 붙여”(6절, 새번역) 하나님의 선물로 살아갈 수 있게 됩니다. 성령의 “능력과 사랑과 절제”(7절)보다는 그저 소심하게 살고 싶은 마음이 생길 때 주님의 권능이 그것을 물리칠 수 있는 용기를 줍니다. 그리고 우리가 넘어질 때 일으켜 세워 주님의 사랑 안에서 삶의 기반을 평생 다져가게 하는 것도 바로 그분의 은혜입니다(13-14절).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6-14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니요 오직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마음이니
[디모데후서 1:7]
소심하게 살고 싶은 마음이 어떻게 생깁니까?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이 그분을 위해 더 담대히 살도록 어떻게 도와주고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우리가 실패나 상처를 피해서 자신을 지키려는 소심하고 두려운 마음으로 살지 않아도 되니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주시는 용기에 의지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24/2023 THURSDAY
OPENHEARTED GENEROSITY
But, Parker continued, living this way would also meaning learning “how little you know and how easy it is to fail.” Offering themselves in service to the world would require cultivating a “beginner’s mind” to “walk straight into your not-knowing, and take the risk of failing and failing, again and again—then getting up to learn again and again.”
It’s only when our lives are built on a foundation of grace that we can find the courage to choose such a life of fearless “openhearted generosity.” As Paul explained to his protégé Timothy, we can confidently “fan into flame” (2 TIMOTHY 1:6) and live out of God’s gifting when we remember that it’s God’s grace that saves and calls us to a life of purpose (V. 9). It’s His power that gives us the courage to resist the temptation to live timidly in exchange for the Spirit’s “power, love and self-discipline” (V. 7). And it’s His grace that picks us up when we fall, so that we can continue a lifelong journey of grounding our lives in His love (VV. 13–14).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2 TIMOTHY 1:6–14The Spirit God gave us does not make us timid, but gives us power, love and self-discipline.
[ 2 TIMOTHY 1:7 ]
How are you tempted to live timidly? How do God’s grace and power help you live more boldly for Him?
Dear God, thank You that we don’t have to live timidly, fearfully guarding ourselves from failure or hurt.
Help us to lean into the courage You provide.
오늘의 말씀
08/23/2023 수요일
증인들
그러나 이 증인들은 누구에게 말을 하고 있나요? 그런 무언의 증언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그런데 모든 것을 보시는 증인 한 분이 계십니다. 가인은 아벨을 죽이고 나서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행동했습니다. 하나님을 무시하며 “내가 내 아우를 지키는 자니이까”라고 대답한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네 아우의 핏소리가 땅에서부터 내게 호소하느니라 땅이 그 입을 벌려 네 손에서부터 네 아우의 피를 받았은즉 네가 땅에서 저주를 받으리라”(창세기 4:9-11)고 말씀하셨습니다.
가인의 이름은 하나의 경고로 이어져옵니다. 요한 사도는 “가인같이 하지 말라. 그는 악한 자에게 속하여 그 아우를 죽였다”고 경고했습니다 (요한1서 3:12). 아벨의 이름도 지금까지 이어져오지만 완전히 다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그 믿음으로써 지금도 말하느니라”(히브리서 11:4)라고 기록했습니다.
아벨은 지금도 말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잊힌 그 노예들의 뼈도 이처럼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런 모든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압제를 볼 때마다 그에 반대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이 모든 것을 보고 계십니다. 하나님의 정의는 ‘반드시’ 승리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4:2-11네 아우의 핏소리가 땅에서부터 내게 호소하느니라
[창세기 4:10]
어떤 불의나 압제의 상황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오늘 당신에게 무엇을 하라고 부르고 계십니까?
모든 것을 보고 계시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압제가 있을 때 우리도 볼 수 있게 하시고 그에 대응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을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8/23/2023 WEDNESDAY
WITNESSES
But who do these witnesses speak to? Isn’t such silent testimony futile?
There is a Witness who sees it all. When Cain murdered Abel, he pretended nothing had happened. “Am I my brother’s keeper?” he said dismissively to God. But God said, “Your brother’s blood cries out to me from the ground. Now you are under a curse and driven from the ground, which opened its mouth to receive your brother’s blood from your hand” (GENESIS 4:9–11).
Cain’s name lives on as a warning. “Do not be like Cain, who belonged to the evil one and murdered his brother,” John the disciple cautioned (1 JOHN 3:12). Abel’s name lives on too, but in a dramatically different way. “By faith Abel brought God a better offering than Cain did,” said the writer of Hebrews. “By faith Abel still speaks” (HEBREWS 11:4).
Abel still speaks! So do the bones of those long-forgotten slaves. We do well to remember all such victims, and to oppose oppression wherever we see it. God sees it all. His justice will triumph.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GENESIS 4:2–11Your brother’s blood cries out to me from the ground.
[ GENESIS 4:10 ]
What situations of injustice and oppression do you know about?
What might God be calling you to do today?
Dear Father, You’re the God who sees. Help us to see oppression when it happens and show us what we can do to counter it.
오늘의 말씀
08/22/2023 화요일
하나님의 영원한 교회
교회는 부서지기 쉬운 “건물”이 아닙니다. 바울은 교회를 하나님의 신실한 가족으로 설명했습니다. “너희는 하나님의 권속이라. 너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우심을 입은 자라 그리스도 예수께서 친히 모퉁잇돌이 되셨느니라 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 가고 너희도 성령 안에서 하나님이 거하실 처소가 되기 위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지어져 가느니라”(에베소서 2:19-22).
예수님께서 친히 그의 영원한 교회를 세우셨습니다. 예수님은 교회에 어떤 도전이나 어려움이 닥쳐도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마태복음 16:18)고 선언하셨습니다.
이렇게 담대한 안목으로 교회를 바라볼 때 우리는 지역 교회들, 곧 우리 자신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광이 대대로 영원무궁하도록”(에베소서 3:21) 지어져 가는 하나님의 우주적인 교회의 일원임을 깨닫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4-22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
[마태복음 16:18]
당신이 속한 지역 교회의 어떤 점에 감사를 하게 됩니까?
하나님의 우주적인 교회가 성장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 교회의 한 지체인 제가 주님 안에서 계속 지어져 가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8/22/2023 TUESDAY
GOD’S ETERNAL CHURCH
The church isn’t a fragile “building.” It’s the faithful family of God who are “members of his household,” wrote Paul, “built on the foundation of the apostles and prophets, with Christ Jesus himself as the chief cornerstone. In him the whole building is joined together and rises to become a holy temple in the Lord. And in him you too are being built together to become a dwelling in which God lives by his Spirit” (EPHESIANS 2:19–22).
Jesus Himself established His church for eternity. He declared that despite challenges or troubles facing His church, “the gates of hell shall not prevail against it” (MATTHEW 16:18 KJV).
Through this empowering lens, we can see our local churches— all of us—as a part of God’s universal church, being built “in Christ Jesus throughout all generations, for ever and ever!” (EPHESIANS 3:21).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EPHESIANS 2:14–22The gates of hell shall not prevail against it.
[ MATTHEW 16:18 KJV ]
What about your local church makes you grateful?
How can you help God’s universal church grow?
As a part of Your church, dear Jesus, keep building me in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