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10/2023 주일
이루어진 약속
예수님의 어머니인 마리아가 십대였을 때 천사가 찾아왔습니다. 마리아는 천사 가브리엘이 전한 믿을 수 없는 소식에 충격을 받았지만 그 일을 은혜로 기꺼이 받아들였습니다(누가복음 1:38). 마리아는 당시 연로한 나이에 기적적으로 임신 중이었던 친척 엘리사벳을 (일부 학자들은 나이가 60세 정도였다고 추정함) 찾아갔다가, 엘리사벳으로부터 자신이 하나님이 약속한 메시야의 어머니라는 가브리엘 천사의 말이 틀림없다는 확언을 듣고 위안을 얻었습니다(39-45절).
할아버지 할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예수님 안에서 성장하고 성숙해 가면서 하나님께서 그분의 약속을 지키신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은 엘리사벳과 그의 남편 사가랴에게 아이를 주시겠다는 약속을 지키셨습니다 (57-58절). 그리고 그들의 아들 세례 요한은 하나님이 수백 년 전에 하신, 인류의 미래를 바꾸어 주시겠다는 약속의 전조가 되었습니다. 이 세상의 구세주, 곧 약속된 메시아가 오시고 있었습니다!(마태복음 1:21-23).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26-38주께서 하신 말씀이 반드시 이루어지리라고 믿은 그 여자에게 복이 있도다
[누가복음 1:45]
당신은 왜 하나님께서 그분의 약속을 이행하신다고 믿습니까?
그분의 약속 중 어떤 것이 당신에게 가장 큰 기쁨을 가져다줍니까?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주님의 약속을 믿을 수 있고, 또 그 약속을 이루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10/2023 SUNDAY
PROMISE FULFILLED
Mary, the mother of Jesus, was a teenager when an angel visited her. The incredible news brought by Gabriel must have been overwhelming, yet she willingly accepted the task with grace (LUKE 1:38). But perhaps her visit with her elderly relative Elizabeth— who was also in the midst of a miraculous pregnancy (some scholars believe she may have been sixty years old)—brought her comfort as Elizabeth enthusiastically confirmed Gabriel’s words that she was the mother of the promised Messiah (VV. 39–45).
As we grow and mature in Christ, as my grandparents did, we learn that He keeps His promises. He kept His promise of a child for Elizabeth and her husband Zechariah (VV. 57–58). And that son, John the Baptist, became the harbinger of a promise made hundreds of years before—one that would change the course of humanity’s future. The promised Messiah—the Savior of the world—was coming! (MATTHEW 1:21–23).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LUKE 1:26–38Blessed is she who has believed that the Lord would fulfill his promises to her!
[ LUKE 1:45 ]
Why can you trust God to fulfill His promises?
Which of His promises bring you the most joy?
Loving Father, thank You for being trustworthy and for fulfilling Your promises.
오늘의 말씀
09/09/2023 토요일
인도하심을 받아들임
말의 재갈은 사람의 혀처럼 작지만 중요한 일을 합니다. 둘 다 크고 강한 것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입니다. 말에게는 재갈이 그렇고 사람이 하는 말에는 혀가 그렇습니다(야고보서 3:3, 5).
사람의 말은 여러 갈래로 흘러갈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우리가 주 아버지를 찬송하고 또 이것으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사람을 저주하나니”(9절). 안타깝게도, 성경은 말이 우리 마음에서 나오기 때문에 그것을 제어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경고합니다(누가복음 6:45). 그러나 감사하게도, 모든 믿는 자들 안에 거하시는 성령님이 우리가 인내와 양선, 절제 속에서 성장하도록 도와주십니다(갈라디아서 5:22-23). 우리가 성령님께 협조할 때 우리의 마음이 변하고 우리의 말도 바뀝니다. 비속한 말은 찬양으로 바뀌고, 거짓말은 진실에게 길을 내주며, 비판은 격려로 변하게 됩니다.
혀를 길들인다는 것은 옳은 말을 하도록 우리 자신을 훈련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말이 세상에 필요한 친절과 격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3:2-11혀는 능히 길들일 사람이 없나니
[야고보서 3:8]
당신의 말을 통해 어떤 내면의 태도가 나오고 있습니까?
성령님께 협조함으로 어떻게 당신의 말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제 마음을 변화시켜 제 말이 다른 사람들을 격려하고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9/09/2023 SATURDAY
ACCEPTING GUIDANCE
A horse’s bit, like the human tongue, is small but important. Both have great influence over something big and powerful—for the bit, it’s the horse. For the tongue, it’s our words (JAMES 3:3, 5).
Our words can run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the tongue we praise our Lord and Father, and with it we curse human beings” (V. 9). Unfortunately, the Bible warns that it’s very hard to control our speech because words spring from our hearts (LUKE 6:45). Thankfully, God’s Spirit, who indwells every believer, helps us grow in patience, goodness, and self-control (GALATIANS 5:22–23). As we cooperate with the Spirit, our hearts change and so do our words. Profanity turns to praise. Lying gives way to truth. Criticism transforms into encouragement.
Taming the tongue isn’t just about training ourselves to say the right things. It’s about accepting the Holy Spirit’s guidance so that our words generate the kindness and encouragement our world needs.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JAME S 3:2–11No human being can tame the tongue.
[ JAMES 3:8 ]
What inner attitudes come out through your words?
How might cooperation with the Spirit influence your speech?
Dear God, please change my heart so that my words encourage others and honor You.
오늘의 말씀
09/08/2023 금요일
놀라우신 하나님
어부들에게 자신을 따르라고 부르신 것처럼, 예수님은 만나는 사람들을 자주 놀라게 하셨습니다. 예수님이 그들에게 사람을 낚는 새로운 사명을 주셨을 때, 베드로와 안드레는 “즉시” 그물을 버려두고 예수님을 따랐고 (마태복음 4:20) 야고보와 요한은 “당장” 그들의 배를 버리고 따라 나셨습니다 (22절). 그들은 어디로 가는지도 알지 못하고 예수님만 믿고 그분과 함께 새로운 모험을 시작한 것입니다.
물론 하나님은 많은 사람들을 그들이 있는 곳에서 하나님을 섬기도록 부르십니다! 그러나 머무르든 떠나든, 꿈에도 생각 못했던 방식으로 하나님을 위해 살 수 있는 놀라운 경험과 기회들을 보여주심으로 우리를 놀라게 하실 하나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4:18-22그들이 곧 그물을 버려 두고 예수를 따르니라
[마태복음 4:20]
당신은 일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때 어떤 반응을 보입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떻게 놀라게 하셨습니까?
사랑의 예수님, 주님은 독특하고 놀라운 방식으로 주님을 따르도록 사람들을 부르십니다.
주님의 음성을 분별하고 주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도록 가르쳐 주소서.
Daily Article
09/08/2023 FRIDAY
THE GOD OF SURPRISES
Jesus often surprised those He met, including the fishermen He called to follow Him. When Christ gave them a new mission to fish for people, Peter and Andrew left their nets “at once” and followed Him (MATTHEW 4:20), and James and John “immediately” left their boat (V. 22). They set off on this new adventure with Jesus, trusting Him yet not knowing where they were going.
God, of course, calls many people to serve Him right where they are! Whether staying or going, we can all look to Him expectantly to surprise us with wonderful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to live for Him in ways we might never have dreamed possible.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MAT THEW 4:18–22At once they left their nets and followed him.
[ MATTHEW 4:20 ]
How do you react when you hear stories of God at work?
How has He surprised you?
Loving Jesus, You call people to follow You in unique and amazing ways.
Teach me to discern Your voice and respond to Your call.
오늘의 말씀
09/07/2023 목요일
친절한 행위
밸러리처럼 룻과 나오미도 큰 상실로 고통을 겪었습니다. 나오미의 남편과 두 아들이 모두 죽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나오미와 남편을 잃은 며느리 룻에게는 상속인도 없었고 그들을 부양할 사람이 아무도 없었습니다(룻기 1:1-5). 그런 상황에 보아스가 돕고 나섰습니다. 룻이 떨어진 이삭을 주으러 밭에 나갔을 때 땅 주인 보아스가 룻에 대해 물었습니다. 룻이 어떤 여인인지 알고 보아스가 친절을 베풀자(2:5-9) 룻은 놀라 물었습니다. “어찌하여 내게 은혜를 베푸시며 나를 돌보시나이까”(10절). 보아스는 대답합니다. “네 남편이 죽은 후로 네가 시어머니에게 행한 모든 것을 다 들었노라”(11절).
보아스는 나중에 룻과 결혼하여 나오미를 부양했습니다(4장). 그들의 결혼으로 다윗과 예수님의 조상이 태어났습니다. 하나님이 제럴드와 보아스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의 슬픔을 변화시키신 것처럼, 하나님은 우리를 통해 고통 중에 있는 사람들에게 친절과 연민을 보여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2:5-12그가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에게 은혜 베풀기를 그치지 아니하도다
[룻기 2:20]
당신이 친절을 베풀거나 받은 적이 언제였습니까?
그 결과는 무엇이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구원하시기 위해 당신의 아들을 보내주신, 그 가장 큰 친절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9/07/2023 THURSDAY
ACTS OF KINDNESS
Like Valerie, Ruth and Naomi suffered great loss. Naomi’s husband and two sons had died. And now she and her bereft daughter-in-law Ruth had no heirs and no one to provide for them (RUTH 1:1–5). That’s where Boaz stepped in. When Ruth went to a field to pick up leftover grain, Boaz—the owner—asked about her. When he learned who she was, he was kind to her (2:5–9). Amazed, Ruth asked, “Why have I found such favor in your eyes?” (V. 10). He replied, “I’ve been told all about what you have done for your mother-in-law since the death of your husband” (V. 11).
Boaz later married Ruth and provided for Naomi (CH. 4). Through their marriage, a forefather of David—and of Jesus—was born. As God used Gerald and Boaz to help transform the grief of another, He can work through us to show kindness and empathy to others in pain.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RUTH 2:5–12He has not stopped showing his kindness to the living and the dead.
[ RUTH 2:20 ]
When have you been the giver or recipient of an act of kindness?
What was the result?
Dear God, thank You for sending Your Son to redeem me, the greatest kindness of all.
오늘의 말씀
09/06/2023 수요일
나는 무명인입니다! 당신은 누구세요?
“유명인”이 되고자 하는 것을 포기하는 데서 오는 자유는 어떤 면에서 바울 사도의 증언을 떠올려줍니다. 바울은 예수님을 만나기 전에 분명 “육적인 것을 신뢰할 만한 이유”(빌립보서 3:4, 현대인의 성경)가 되었던, 겉으로 보기에 인상적인 종교 자격증들을 많이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만나면서 모든 것이 바뀌었습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희생적인 사랑에 비추어 볼 때 자신의 종교적인 성취가 얼마나 보잘것 없는 것인지를 깨닫고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모든 것을 해로 여김은 내 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함을 인함이라... 내가 그것들을 배설물로 여김은 그리스도를 얻으려 함이라”(8절). 남아있는 그의 유일한 포부는 “그리스도와 그 부활의 권능과 그 고난에 참여함을 알고자 하여 그의 죽으심을 본받는”(10절)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유명인”이 되려고 스스로 애쓰는 것은 참으로 서글픈 일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알고, 자신을 내어주신 주님의 사랑과 생명 안에서 우리 자신을 버리게 될 때, 우리는 우리 자신을 다시 찾게 되며(9절) 마침내는 자유롭고 온전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3:4-14또한 모든 것을 해로 여김은 내 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하기 때문이라... 그리스도를 얻고 그 안에서 발견되려 함이니
[빌립보서 3:8-9]
성취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추구한 경우나 혹은 그외 다른 것에서 자유를 경험해 보신 적이 있습니까? “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신을 발견하면 어떻게 교만이나 자신을 거부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게 될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의 사랑을 받고 인정을 받기 위해 제가 ‘유명인’이 되려고 애쓸 필요가 없어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06/2023 WEDNESDAY
I’M NOBODY! WHO ARE YOU?
Finding freedom in letting go of the need to be “somebody” in some ways echoes the testimony of the apostle Paul. Before he met Christ, Paul had a long list of seemingly impressive religious credentials, apparent “reasons to put confidence in the flesh” (PHILIPPIANS 3:4).
But encountering Jesus changed everything. When Paul saw how hollow his religious achievements were in light of Christ’s sacrificial love, he confessed, “I consider everything a loss because of the surpassing worth of knowing Christ Jesus my Lord . . . . I consider them garbage, that I may gain Christ” (V. 8). His only remaining ambition was “to know Christ . . . the power of his resurrection and participation in his sufferings, becoming like him in his death” (V. 10).
It’s dreary, indeed, to attempt on our own to become “somebody.” But, to know Jesus, to lose ourselves in His self-giving love and life, is to find ourselves again (V. 9), finally free and whole.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PHILIPPIANS 3:4–14I consider everything a loss because of the surpassing worth of knowing Christ Jesus my Lord . . . that I may gain Christ and be found in him.
[ PHILIPPIANS 3:8–9 ]
When have you experienced freedom from seeking self-worth in achievement or from others?
How can finding yourself “in Christ” free you from both pride and self-rejection?
Loving God, thank You that I don’t need to try to be “somebody” to be loved and accepted by You.
오늘의 말씀
09/05/2023 화요일
“모든 일이 다 나를 괴롭게만 하는구나”
성경은 이런 험난한 역경에 직면했던 또 다른 인물에 대해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야곱은 그의 아들 요셉이 “악한 짐승”에게 물려 “찢겨 죽었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창세기 37:33). 그런 후 그의 아들 시므온이 외국에 포로로 잡혀 있자 막내 아들 베냐민마저 빼앗길까 두려워했습니다. 그는 아주 낙심하여 “모든 일이 다 나를 괴롭게만 하는구나”(42:36, 현대인의 성경)라며 울부짖었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야곱은 그의 아들 요셉이 분명히 살아 있고 하나님이 그의 가족을 회복시키기 위해 “배후에서” 일하신다는 사실을 거의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는 우리가 처한 상황에서 하나님의 손길을 볼 수 없을 때라도 하나님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랜트의 회고록은 큰 성공을 거두어 그의 가족들이 그 혜택을 누렸습니다. 비록 그가 살아서 그 성공을 보지는 못했지만 그의 아내는 보았습니다. 우리의 시각은 제한적이지만 하나님의 시각은 그렇지 않습니다. 예수님이 우리의 소망이 되어 “하나님이 우리 편이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겠습니까?”(로마서 8:31, 새번역). 오늘 우리 모두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42:29-36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로마서 8:31]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이 어려움에서 선한 결과를 이끌어내시는 것을 보았습니까?
당신은 어떤 부분에서 하나님을 신뢰해야 합니까?
아름다운 구세주여, 제 문제가 아닌, 주님을 계속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주님은 항상 신실하십니다!
Daily Article
09/05/2023 TUESDAY
“EVERYTHING IS AGAINST ME”
The Bible tells us of another person who faced grave hardships. Jacob believed his son Joseph had been “torn to pieces” by a “ferocious animal” (GENESIS 37:33). Then his son Simeon was held captive in a foreign country, and Jacob feared his son Benjamin would be taken from him as well. Overcome, he cried out, “Everything is against me!” (42:36).
But it wasn’t. Little did Jacob know that his son Joseph was very much alive and that God was at work “behind the scenes” to restore his family. Their story illustrates how He can be trusted even when we can’t see His hand in our circumstances.
Grant’s memoirs proved to be a great success and his family was well cared for. Though he didn’t live to see it, his wife did. Our vision is limited, but God’s isn’t. And with Jesus as our hope, “if God is for us, who can be against us?” (ROMANS 8:31). May we place our trust in Him today.
- JAMES BANKS
Today's Reading
GENE SIS 42:29–36If God is for us, who can be against us?
[ ROMANS 8:31 ]
How have you seen God bring good out of difficulty?
Where do you need to trust Him?
Beautiful Savior, please help me keep my eyes on You and not on my problems. You’re always faithful!
오늘의 말씀
09/04/2023 월요일
극진한 친절
포로로 잡혀간 유다 왕 여호야긴도 극진한 친절을 입었습니다. 그는 37년 동안 감옥에 갇혀 있다가 바벨론 왕의 자비로 풀려났습니다. “[왕이] 그를 감옥에서 풀어주었더라 그에게 친절하게 말하고 그의 자리를 그와 함께 바벨론에 있는 왕들의 자리보다 높이고”(예레미야 52:31-32). 여호야긴은 새로운 지위와 새로운 옷, 그리고 새로운 집을 받았습니다. 바벨론 왕이 그의 새로운 삶을 위해 모든 것을 제공해주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세상 누구로부터도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사람들이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믿음으로 하나님과 단절된 상태에서 구원받을 때 영적으로 일어나는 일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어둠과 사망에서 빛과 생명으로 옮겨졌으며, 하나님의 극진한 친절로 하나님의 가족이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52:31-34우리 구주 하나님의 자비와 사람 사랑하심이 나타날 때에 우리를 구원하시되
[디도서 3:4-5]
사람들의 어떤 친절한 행동들이 하나님의 선하심을 상기시켜 주었습니까?
예수님이 하신 일들로 당신을 하나님의 가족으로 맞아주시는 하나님의 친절에 어떻게 반응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용서하시는 하나님의 친절에 감사드립니다.
“예수님께서 모두 치러주셔서 저는 주님께 모든 것을 빚진 자가 되었습니다.
죄가 진홍빛 얼룩을 남겼지만 주님께서 눈처럼 하얗게 씻어 주셨습니다.”
Daily Article
09/04/2023 MONDAY
EXTREME KINDNESS
Jehoiachin, the exiled king of Judah, was also the recipient of extreme kindness. He’d been incarcerated for thirty-seven years before the benevolence of the Babylonian king resulted in his release. “[The king] freed him from prison. He spoke kindly to him and gave him a seat of honor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kings who were with him in Babylon” (JEREMIAH 52:31–32). Jehoiachin was given a new position, new clothes, and a new residence. His new life was fully funded by the king.
This story pictures what happens spiritually when, out of no contributions from themselves or others, people who believe in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are rescued from their estrangement from God. They’re brought from darkness and death into light and life; they’re brought into the family of God because of the extreme kindness of God.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JEREMIAH 52:31–34When the kindness and love of God our Savior appeared, he saved us.
[ TITUS 3:4–5 ]
What acts of human kindness have reminded you of God’s goodness?
How do you respond to the kindness of God who welcomes you into His family based on what Jesus has done?
Father, thank You for Your forgiving kindness.
“Jesus paid it all, all to Him I owe; sin had left a crimson stain.
He washed it white as snow.”
오늘의 말씀
09/03/2023 주일
‘축복’ 글자가 쓰인 마스크
나는 아무런 글귀도 없는 마스크를 더 잘 쓰는데, 그 마스크에 쓰인 ‘축복’이라는 말이 너무 남용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나는 마지못해 그 마스크를 썼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학교 안내 직원에게 거의 짜증을 낼 뻔하다가 어느 정도는 그 마스크에 적힌 단어 때문에 참을 수 있었습니다. 내 입에 ‘축복’이라는 단어를 써붙이고 돌아다니면서 복잡한 학교 시스템을 이해하려고 애쓰는 사람에게 짜증을 내는, 그런 위선자처럼 보이고 싶지 않았던 것입니다.
내 마스크에 쓰인 글자가 내가 그리스도의 증인임을 깨닫게 해주긴 했지만, 실제로 내 마음속에 새겨진 성경구절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인내해야 한다는 사실을 진정 깨닫게 해주는 것이 되어야 합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이렇게 썼습니다. “너희는... 그리스도의 편지니 이는 먹으로 쓴 것이 아니요 오직 살아 계신 하나님의 영으로 한 것이며 또 돌판에 쓴 것이 아니요 오직 육의 마음판에 쓴 것이라”(고린도후서 3:3). “생명을 주는”(6절, 현대인의 성경) 성령님이 우리가 “사랑과 희락과 화평”, 그리고 “오래 참음” 으로 살도록 도와주실 수 있습니다(갈라디아서 5:22). 우리는 우리 안에 계신 주님으로 인해 진정으로 ‘축복’받았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3:1-6너희는 그리스도의 편지니... 살아 계신 하나님의 영으로 쓴 것이며
[고린도후서 3:3]
당신의 말과 행동은 사람들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오늘 당신의 행동으로 어떻게 그리스도를 나타낼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오늘 제가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주님을 위해 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릴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03/2023 SUNDAY
THE BLESSED MASK
I prefer to wear masks without messages, and I believe that the word on the mask I found is overused. But I had no choice, so I reluctantly put the mask on. And when I nearly showed my annoyance with a new receptionist at the school, I caught myself, partly because of the word on my mask. I didn’t want to look like a hypocrite, walking around with blessed scrawled across my mouth while showing impatience to a person trying to figure out a complicated system.
Though the letters on my mask reminded me of my witness for Christ, the words of Scripture in my heart should be a true reminder to be patient with others. As Paul wrote to the Corinthians, “You are a letter from Christ, . . . written not with ink but with the Spirit of the living God, not on tablets of stone but on tablets of human hearts” (2 CORINTHIANS 3:3). The Holy Spirit who “gives life” (V. 6), can help us live out “love, joy, peace” and, yes, “patience” (GALATIANS 5:22). We’re truly blessed by His presence within us!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3:1–6You show that you are a letter from Christ . . . written . . . with the Spirit of the living God.
[ 2 CORINTHIANS 3:3 ]
What are your words and actions saying to others?
How can you represent Christ in what you do today?
Dear Jesus, with each person I encounter today, help me to share what it means to live for You.
오늘의 말씀
09/02/2023 토요일
하나님 알기
세 잎 클로버는 단지 아일랜드 전역에 널려있는 식물이라는 사실 말고도, 하나님이 성부와 성자, 성령이라는 뚜렷한 세 인격으로 영원히 존재하시는 한 분 하나님이라는, 역사적 기독교 신앙인 삼위일체를 쉽게 설명하는 상징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사용되어 왔습니다. 삼위일체에 대한 인간의 어떤 설명도 적절하지 않지만, 클로버는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세 개의 뚜렷한 잎을 가진 하나의 식물이라는 점에서 설명하기에 아주 도움이 되는 상징입니다.
‘삼위일체’라는 단어는 성경에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삼위일체의 세 인격이 모두 동시에 나타나는 성경구절들에서 그 신학적인 진리를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성자 예수님이 세례받으실 때 성령 하나님이 하늘에서 “비둘기 같이” 내려오시는 것을 보며, 성부 하나님이 “너는 내 아들이라”고 말씀하십니다(마가복음 1:10-11).
예수님을 믿는 아일랜드 신자들은 사람들이 하나님을 알도록 도움을 주고 싶어 클로버를 사용했습니다. 우리가 삼위일체의 아름다움을 더 온전히 이해하게 될 때, 하나님을 아는데 도움이 되고 “영과 진리로”(요한복음 4:24) 하나님을 예배하는 능력이 깊어지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9-11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
[마가복음 1:11]
어떤 상징들이 삼위일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까?
하나님이 한 분이심을 믿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과 구원을 널리 베풀기 위해 함께 행동하시는 한 분 하나님, 성부, 성자, 성령님을 경배합니다.
Daily Article
09/02/2023 SATURDAY
TO KNOW GOD
More than just a prolific plant across Ireland, the shamrock was embraced for generations as a simple way to explain the Trinity, the historic Christian belief that God is One essence who eternally exists in three distinct persons: God the Father, God the Son, and God the Holy Spirit. While all human explanations of the Trinity are inadequate, the shamrock is a helpful symbol because it’s one plant made of the same substance with three distinct leaves.
The word Trinity isn’t found in Scripture, but it summarizes the theological truth we see explicit in passages where all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When Jesus, God the Son, is baptized, God the Spirit is seen coming down from heaven “like a dove,” and God the Father’s voice is heard saying, “You are my Son” (MARK 1:10–11).
Irish believers in Jesus used the shamrock because they wanted to help people know God. As we more fully understand the beauty of the Trinity, it helps us know God and deepens our ability to worship Him “in the Spirit and in truth” (JOHN 4:24).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MARK 1:9–11You are my Son, whom I love; with you I am well pleased.
[ MARK 1:11 ]
What symbols help you understand the Trinity?
Why is it essential to believe God is one?
I worship You, Father, Son, and Spirit, as one God acting together to extend love and salvation to all people.
오늘의 말씀
09/01/2023 금요일
하나님의 서사시
이런 질문은 어린이들뿐 아니라 우리 모두를 혼란스럽게 합니다. 하나님은 신비할 정도로 모든 것을 알고 계신다는 것을 믿는 나는 그 소년이 이전 비아프라와 같은 나라에서도 하나님이 계속해서 쓰고 계셨던 서사시에 대해 들을 수 있었기를 바래 봅니다.
예수님은 고난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해 주실 거라고 믿고 따르는 사람들에게 오히려 “세상에서 너희가 환난을 당하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이 하신 말씀은 이런 악들이 결국에는 없어지리라는 약속이었습니다. 사실 주님은 이미 “세상을 이기셨습니다”(요한복음 16:33). 그래서 하나님이 쓰시는 그 서사시의 마지막 장에 이르면 모든 불의가 없어지고 모든 고통이 치유될 것입니다.
상상도 할 수 없는 모든 악들을 다 멸하시고 모든 잘못을 바로잡으시는 하나님의 이야기는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자세히 나타나 있습니다. 그 이야기는 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에게 관심을 갖으신 사랑의 하나님을 잘 보여줍니다. 예수님은 “이것을 너희에게 이르는 것은 너희로 내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하려 함이라”(33절)고 말씀하셨습니다. 오늘 우리 모두 그분의 평강과 임재 안에서 안식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25-33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
[요한복음 16:33]
당신이 보고 있는 이야기가 어떻게 비극적으로 느껴집니까?
선한 결말을 맺으실 거라는 예수님의 약속이 어떻게 당신을 자유롭게 해줍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께서 어떻게 모든 악을 바로잡으실지 알 수 없어도, 하나님께서 반드시 그렇게 하실 것을 믿습니다.
Daily Article
09/01/2023 FRIDAY
GOD’S EPIC STORY
These questions disturb not only children but all of us. Alongside an affirmation of God’s mysterious knowledge, I wish that boy had heard about the epic story God is continuing to write, even in places like the former nation of Biafra.
Jesus unfolded this story for His followers, those who assumed He’d shield them from hardship. Christ told them instead that “in this world you will have trouble.” What Jesus did offer, however, was His promise that these evils weren’t the end. In fact, He’d already “overcome the world” (JOHN 16:33). And in God’s final chapter, every injustice will be undone, every suffering healed.
Genesis to Revelation recounts the story of God destroying every unthinkable evil, making every wrong right. The story presents the loving One whose interest in us is unquestioned. Jesus said to His disciples, “I have told you these things, so that in me you may have peace” (V. 33). May we rest in His peace and presence today.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JOHN 16:25–33In this world you will have trouble. But take heart! I have overcome the world.
[ JOHN 16:33 ]
How does the story you see feel tragic?
How does Jesus’ promise to write a good ending free you?
Dear God, it’s hard for me to see how You’ll right all the evils. But I trust You to d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