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13/2025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87-88; 로마서 13
찬송가: 515(통256)

예수님을 알아봄

카를로타는 어릴 때 자기 엄마에게 다른 사람들을 알아보는 놀라운 능력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정작 놀라운 것은 카를로타 자신 이었습니다. 그녀에게는 ‘안면인식장애’라는 희귀병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사람들의 얼굴을 알아보거나 기억하지 못했습니다.

예수님이 부활하신 직후 예루살렘에서 걸어오던 두 제자는 당연히 알아 보았어야 할 한 사람을 만나고도 마치 희귀병에 걸린 사람처럼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두 사람은 지난 며칠 간 있었던 일에 들떠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지만 (누가복음 24:14), 세 번째 사람은 그 일을 알지 못하는 것 같아 보였습니다. 두 사람이 그에게 간단히 설명을 해 주자, 놀랍게도 그 낯선 사람(예수님)은 “모든 성경에 쓴 바 자기에 관한 것을 자세히 설명하셨습니다”(27절). 이어서 그리스도께서 그들에게 전에 여러 번 하신 것처럼 “떡을 떼어 주셨습니다”(30절). 그 순간 “그들의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 보더니 예수는 그들에게 보이지 아니하셨습니다”(31절). 그들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서둘러 예루살렘으로 돌아갔습니다(33-35절).

그 제자들은 예수님과 함께 있으면서도 알아보지 못하였고, 그들이 많이 읽어서 잘 안다고 생각했던 구약 성경의 예수님도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그들 스스로 볼 수 없었기에 예수님이 직접 그들에게 나타나 주셨습니다.

우리도 그런 도움이 필요합니다. 성경에서, 그리고 우리 삶 속에서 예수님을 볼 수 있는 눈을 열어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합시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4:13-16, 25-35
그들의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 보더니 예수는 그들에게 보이지 아니하시는지라 [누가복음 24:31]

하나님이 당신의 삶 속에 함께 계신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던 때가 언제입니까? 왜 그런 일이 생겼다고 생각하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을 따를 수 있도록 예수님을 저에게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13/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7-88; ROMANS 13
Hymn: 515(old256)

RECOGNIZING JESUS

When Carlotta was young, she thought her mother had a remarkable gift for recognizing other people. But it was Carlotta who was remarkable. She had a rare condition called prosopagnosia. She couldn’t recognize or remember faces.

Shortly after Jesus’ resurrection, two disciples walking from Jerusalem seemed as if they had such a condition when they encountered someone they should have recognized. The two were talking about the exciting news of the past few days (LUKE 24:14), but the third person seemed unaware of the events. They gave Him a quick summary, only to be surprised as this unknown person (Jesus) “explained to them what was said in all the Scriptures concerning himself” (V. 27). Then Christ broke bread with them (V. 30)— something He’d done many times before. At that moment, “Their eyes were opened and they recognized him, and he disappeared from their sight” (V. 31). They hurried back to Jerusalem to tell others (VV. 33-35).

Those disciples didn’t recognize Jesus when they were with Him, and they hadn’t recognized Him in the Old Testament— something they read often and thought they knew well. They needed Jesus to reveal Himself to them because they couldn’t see on their own.

We need that help too. Let’s ask God to open our eyes to see Jesus on the pages of the Bible and in our lives.
MATT LUCAS

Today's Reading

LUKE 24:13-16, 25-35
Their eyes were opened and they recognized [Jesus], and he disappeared from their sight. [ LUKE 24:31 ]

When have you failed to recognize God’s presence in your life? Why do you think this happens?

Dear Father, thank You for revealing Jesus to me so that I may follow Him.

오늘의 말씀

08/12/2025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84-86; 로마서 12
찬송가: 44(통56)

남은 연료로 갈 수 있는 거리

장거리를 뛴 내 미니밴에는 DTE(Distance ’Til Empty)라는 디지털 표시가 있습니다. 이것은 남은 연료로 갈 수 있는 거리를 정확히 알려 줍니다. 요즘 신형 차량에는 대부분 이 기능이 있습니다. 유용한 기능입니다. 다음 주유해야 할 때까지 얼마나 갈 수 있는지 ‘정확히’ 아는 것은 가다가 길에 서는 일을 피할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가 되기 때문입니다!

십계명이 옛 아날로그 방식으로 DTE 기능과 같은 기능을 제공해 준다는 것을 아십니까? 그것은 바로 ‘안식일’입니다. 출애굽기 20장에서 하나님은 엿새가 지나면 은유적인 표현으로 우리의 연료가 다 떨어진다고 말씀하십니다.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 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일곱째 날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 아무 일도 하지 말라” (8-10절).

우리는 이 계명을 가볍게 여길 수 있습니다. 물론 거짓말, 도둑질, 살인, 간음, 탐욕, 우상 숭배(1-17절)와 같은 금지 사항은 매우 명백해 보입니다. 그러나 매주 하루를 꼭 쉬어야 합니까? 그것이 그렇게 중요합니까?

우리는 여기서 “그냥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안식일이 주는 선물은 일을 멈추고 쉬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끊임없는 노동이 아닌,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다는 것을 기억하라는 것입니다.

연료가 다 할 때까지 갈 수 있는 거리는 얼마일까요? 엿새입니다. 그리고 일곱째 날에 하나님은 우리에게 휴식하고, 재충전하고, 모든 것이 우리에게 달려 있다는 생각을 버리라고 은혜롭게 권면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20:1, 8-17
일곱째 날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이라
[출애굽기 20:10]

일을 멈추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쉽고 어려운 때가 언제입니까?
당신이 휴식을 취할 수 있으려면 무엇부터 해야 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모든 것이 저에게 달려 있다는 생각을 쉽게 하게 됩니다. 안식일에는 일을 멈추고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믿으라는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8/12/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4-86; ROMANS 12
Hymn: 44(old56)

DISTANCE ’TIL EMPTY

My tired minivan has a digital readout with initials DTE: Distance ’Til Empty. It gives me a precise mileage countdown. Most newer cars these days have this feature. It’s a handy one: Knowing exactly how far I can go before I need to fill the gas tank is important data to avoid being stranded!

Did you know the Ten Commandments offer something of an ancient analog to the DTE feature? It’s called Sabbath. In Exodus 20, God tells us that after six days, we’re out of metaphorical gas: “Remember the Sabbath day by keeping it holy. Six days you shall labor and do all your work, but the seventh day is a sabbath to the Lord your God. On it you shall not do any work” (VV. 8-10).

We might be tempted to ignore this commandment. After all, the prohibitions against lying, stealing, murder, adultery, coveting, and idolatry (VV. 1-17) seem pretty obvious. But resting for a day each week? Is it really that important?

We might think we can “cheat” here. But the gift the Sabbath offers is an invitation to rest. To cease laboring. To remember that God provides for us, not our own constant labor.

Distance ’til empty? Six days. And on the seventh, God graciously invites us to rest, recharge, and to relinquish the notion that it’s all up to us.
ADAM R. HOLZ

Today's Reading

EXODUS 20:1, 8-17
The seventh day is a sabbath to the Lord your God. [ EXODUS 20:10 ]

When do you find it easy or hard to rest from your work?
What are some things you need to do to enable you to rest?

Dear Father, it’s so tempting to believe it’s all up to me. Thank You for the Sabbath, Your invitation to cease from my work and to trust Your provision.

오늘의 말씀

08/11/2025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81-83; 로마서 11:19-36
찬송가: 546(통399)

과감한 선택

As Franco Zeffirelli prepared to film his critically acclaimed version of Shakespeare’s Romeo and Juliet, he made a daring decision. He chose two unknowns to play the lead characters and insisted they be close to the age of the characters as Shakespeare had penned them. Zeffirelli ultimately selected seventeen-year-old Leonard Whiting as Romeo and sixteen-yearold Olivia Hussey as Juliet.

Some might think that Jesus took a similar risk with the selection of His disciples, who later took His message of forgiveness to the world. That’s when the religious leaders arrested and questioned some of them. Then Acts 4:13 says, “When they saw the courage of Peter and John and realized that they were unschooled, ordinary men, they were astonished.”

Any assumed risk was more than overwhelmed by the real story behind these simple fishermen: “They took note that these men had been with Jesus” (4:13). The seemingly unqualified disciples had not only been with Christ, but they also had His promise to be with them always (MATTHEW 28:20). We share that promise as well (HEBREWS 13:5) and can be assured that, in His presence and with His grace, no task set before us will be too great for Him.
BILL CROWDER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4:1-2, 5-13
그들이 베드로와 요한이 담대하게 말함을 보고... 이상히 여기며 또 전에 예수와 함께 있던 줄도 알고 [사도행전 4:13]

압박감을 느낄 때 대체로 어떻게 대응해왔습니까?
그런 어려운 시간에 어떻게 예수님께 도와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제 힘과 지혜만으로 해결하려 했던 저를 용서하소서. 삶의 모든 순간에 예수님을 의지하기 원합니다.

Daily Article

08/11/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1-83; ROMANS 11:19-36
Hymn: 546(old399)

DARING SELECTION

프랑코 제피렐리는 큰 찬사를 받은 그의 영화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의 제작을 앞두고 한 가지 과감한 결정을 내렸습니다. 그는 두 무명 배우를 주인공으로 뽑으면서 그들의 나이도 셰익스피어가 그린 인물의 나이와 비슷해야 한다는 생각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해서 제피렐리는 로미오 역에 17세의 레너드 위팅을, 줄리엣 역에 16세의 올리비아 핫세를 선택한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예수님이 그의 용서의 메시지를 세상에 전하게 될 제자들을 정하실 때 이와 비슷하게 과감한 선택을 하셨다고 생각합니다. 당시 종교 지도자들이 제자 중의 몇을 붙잡아 심문하였던 일을 사도행전 4장 13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들이 베드로와 요한이 담대하게 말함을 보고 그들을 본래 학문 없는 범인으로 알았다가 이상히 여기더라.”

이 소박한 어부들의 가려진 실제 이야기를 알게 되면 예상되었던 어떤 위험도 완전히 사라져 버립니다. 성경은 “그들은 그 두 사람이 예수와 함께 다녔다는 사실을 알았다”(4:13, 새번역)고 말합니다. 겉으로 자격이 안 되 보이는 제자들이었지만, 그들은 예수님과 함께 있었을 뿐 아니라 항상 그들과 함께 있을 것이라는 예수님의 약속도 받았습니다(마태복음 28:20). 우리도 그 약속을 믿고(히브리서 13:5) 예수님의 임재와 은혜 가운데 우리 앞에 놓인 어떤 시험도 예수님에게는 큰 일이 아니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Today's Reading

ACTS 4:1-2, 5-13
When they saw the courage of Peter and John . . . , they were astonished and they took note that these men had been with Jesus. [ ACTS 4:13 ]

When you have felt overwhelmed, how have you typically responded to the pressure? How might you invite Jesus to help you during those challenging times?

Dear Jesus, please forgive me for the times I try to forge ahead in my own strength and wisdom. I want to rely on You in all of life’s moments.

오늘의 말씀

08/10/2025     주일

성경읽기: 시편 79-80; 로마서 11:1-18
찬송가: 382(통432)

근거 없는 두려움

“사랑해. 절대로 당신을 떠나지 않을 게.” 줄리아는 두려울 때마다 남편의 이 문자 메시지를 읽을 수 있게 저장해 두었습니다. 힘든 어린 시절을 보낸 그녀는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버림받을까 늘 두려워했습니다. 줄리아는 종종 남편의 확인을 구했고, 남편이 퇴근하고 집에 올 때까지 애타게 기다리곤 했습니다.

기도와 상담을 통해 줄리아는 더 건강하게 두려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았습니다. 그녀는 말합니다. “제 남편이 해준 사랑의 약속을 가지고 제 두려움을 바라볼 겁니다. 저는 ‘그의 약속은 진실하다!’고 생각하고 그에 맞춰 행동할 겁니다.”

여로보암 왕도 근거 없이 두려워했습니다. 솔로몬의 변절로 하나님은 이미 여로보암에게 “내가 [다윗의] 아들의 손에서 나라를 빼앗아 그 열 지파를 네게 줄 것”(열왕기상 11:35)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또한 그가 순종하면 “이스라엘을 [그에게] 주리라”(38절)고 확인해 주셨습니다.

그러나 여로보암은 두려웠습니다. “만일 이 백성이 예루살렘에 있는 여호와의 성전에 제사를 드리고자 하여 올라가면... 르호보암에게로 돌아 가리로다”(12:27)라고 생각했습니다. 두려움 때문에 자기 백성들이 솔로몬의 아들에게 돌아가지 못하도록 인근에 우상을 숭배하는 단을 세웠습니다 (26-33절). 그 일로 여로보암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14:7-16). 그가 하나님이 주신 약속을 신뢰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우리는 근거 없는 두려움을 혼자서 해결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나님은 성경에서 약속하신 안전을 우리에게 주셨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의 진리가 우리의 생각과 발걸음을 비추어 인도하도록 하십시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1:34-39; 12:31-32
내가 다윗을 위하여 세운 것 같이 너를 위하여 견고한 집을 세우고 이스라엘을 네게 주리라 [열왕기상 11:38]

당신에게 어떤 근거 없는 두려움이 있습니까?
성경은 그에 대해 어떻게 말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게 두려움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가르쳐 주시고 하나님께 순종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10/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9-80; ROMANS 11:1-18
Hymn: 382(old432)

UNFOUNDED FEARS

“I love you. I’ll never leave you.” Julia saved her husband’s text message so she could read it whenever she was afraid. A troubled childhood had left her with a fear of loved ones abandoning her. She’d often ask for reassurance from her husband, and she would wait anxiously for him to come home from work.

Prayer and counseling helped Julia respond to her fear in healthier ways. “I’d look at my fear in the light of my husband’s loving promises to me,” she says. “I’d think, His promises are true! and behave accordingly.”

King Jeroboam also had unfounded fears. Because of Solomon’s apostasy, God had already promised Jeroboam, “I will take the kingdom from [David’s] son’s hands and give you ten tribes” (1 KINGS 11:35). God assured him that if he obeyed Him, He would “give Israel to [him]” (V. 38).

Yet Jeroboam was afraid. “If these people . . . offer sacrifices at the temple of the Lord in Jerusalem,” he thought, “they will . . . return to King Rehoboam” (12:27). His fear drove him to set up nearby sites of idol worship to prevent his subjects from turning to Solomon’s son (VV. 26-33). As a result, Jeroboam faced God’s judgment (14:7-16). If only he’d trusted God’s promises!

We don’t have to deal with unfounded fears on our own. God has given us the safety of His promises in Scripture. Let’s allow His loving truths to illuminate our mind and steps.
KAREN HUANG

Today's Reading

1 KINGS 11:34-39; 12:31-32
I will build you a dynasty as enduring as the one I built for David and will give Israel to you. [ 1 KINGS 11:38 ]

What unfounded fears do you have?
What does Scripture say about them?

Dear God, please teach me how to respond to my fears and help me obey You.

오늘의 말씀

08/09/2025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77-78; 로마서 10
찬송가: 92(통97)

만찬 자리의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무도 신의 친구가 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왜 일까요? 친구 관계에는 평등이 필요한데, 어느 신이 천상의 지위에서 내려와 낮은 인간과 같아지려 하겠습니까?

만약 아리스토텔레스가 최후의 만찬(마태복음 26:26-35) 자리에 있었다면 어땠을지 궁금합니다. 그 자리에서 만물의 창조주시며 하늘의 자리를 떠나 낮은 인간이 되신 예수님이(빌립보서 2:6-8; 골로새서 1:16) 그의 제자들에게 이제는 그들을 종이 아닌 친구라고 하셨던 것입니다(요한복음15:15).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을 보고 놀랐을 것입니다. 거기에는 로마에 우호적인 세리 마태와 로마를 대적하는 열심당원 시몬이 있었고(마태복음 10:3-4), “천둥의 아들들”(마가복음 3:17)이라 불리는 야고보와 요한이 조용한 성격의 빌립과 함께 있었습니다. 나는 예수님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자신의 “몸”과 “피”라고 하시고, 떡을 떼고 잔을 부으며 그것이 “죄 사함”을 위한 것이라고 하셨을 때(마태복음 26:26-28) 놀란 눈으로 바라보았을 아리스토텔레스의 모습을 상상해봅니다. 어떤 신이 유한한 생명의 인간들, 심지어 곧 자신을 버릴 자들을 위해 죽으려 할까요(56절)?

그것이 성찬이 아주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은 인간과 친구가 되셨고, 정치 성향과 기질이 다른 사람들이 서로 친구가 되게 하셨습니다. 우리는 주님의 식탁에서 먹고 마실 때 인간 사이에서, 그리고 하나님과 친구가 되는 새로운 법칙을 쓰신 그 주님을 기념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6:26-29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마태복음 26:28]

예수님은 그 밖의 어떤 방법으로 친구 관계의 원리를 다시 쓰고 계십니까? 오늘 어떻게 예수님을 본받아 서로 다른 관계의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를 하나님의 친구로,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친구가 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09/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7-78; ROMANS 10
Hymn: 92(old97)

ARISTOTLE AT THE TABLE

Aristotle said that no one can be friends with a god. Why? Because friendship requires equality, and what god would step down from their heavenly status to become equal with lowly human beings?

I wonder what Aristotle would’ve done if he’d been present at the Last Supper (MATTHEW 26:26-35). For there, Jesus—the Creator of all, who left His heavenly status to become a lowly human being (PHILIPPIANS 2:6-8; COLOSSIANS 1:16)—told His disciples He no longer called them servants but friends (JOHN 15:15).

Aristotle would’ve been surprised too at who sat at that table. There was Matthew, the Roman-friendly tax collector; and then Simon, the Roman-denouncing Zealot (MATTHEW 10:3-4); along with James and John, the “sons of thunder” (MARK 3:17) sitting with quiet Philip. I imagine Aristotle watching quizzically as Jesus described some bread and wine as His “body” and “blood,” broken and poured out for the “forgiveness of sins” (MATTHEW 26:26-28). What god would die for mere mortals, even those who’d soon abandon Him (V. 56)?

That’s one reason Communion is so profound. Through Jesus, God became friends with humans and enabled friendships between those with political and temperamental differences. As we eat and drink at the Lord’s Table, we celebrate the one who rewrote friendship’s rules, human and divin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MATTHEW 26:26-29
This is my blood of the covenant, which is poured out for many for the forgiveness of sins. [ MATTHEW 26:28 ]

How else does Jesus rewrite the rules of friendship? How can His example help you reach across relational differences today?

Dear Jesus, thank You for making me a friend of God and others.

오늘의 말씀

08/08/2025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74-76; 로마서 9:16-33
찬송가: 350(통393)

억압받는 이들을 보살핌

저명한 목사의 아내인 조세핀 버틀러는 (때로는 억울하게) “밤의 여인들” 로 비난 받는 여성들의 권리를 위해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그들은 사회에서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존재들”로 여겨졌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깊은 신앙의 힘으로 조세핀은 1860년대의 영국의 전염병 관리법에 맞서 여러 해를 싸웠습니다. 그 법은 여성들에게 잔인하고 강압적인 “의료” 검사를 강요하고 있었습니다.

1883년 그 법을 폐기하기 위한 법안을 놓고 의회에서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조세핀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다른 여성들과 함께 기도했습니다. 그는 “빈민가의 가장 누추하고 비참한 여성들”과 “고위 계층의 여성들”이 모두 함께 눈물을 흘리며 약한 이들을 보호해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모습을 보고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법안은 통과되었고 그들 모두가 환호했습니다.

조세핀이 정의로운 행동을 촉구하고 나선 것은 예레미야가 악한 왕들에게 전했던 하나님의 메시지를 떠올려 줍니다. 예레미야는 말했습니다. “정의와 공의를 행하여 탈취 당한 자를 압박하는 자의 손에서 건지고 이방인과 고아와 과부를 압제하거나 학대하지 말라”(예레미야 22:3). 하나님은 강자의 손에서 자신을 방어할 수 없는 자들을 보호하기를 원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불평등을 분별하고 그에 맞서 말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우심으로 우리가 행동하도록 촉구하실 수 있습니다. 학대를 미워하시는 하나님은 우리에게 정의를 지키고 약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22:1-5
탈취 당한 자를 압박하는 자의 손에서 건지고
[예레미야 22:3]

당신이 하나님을 따를 때 연약한 사람들을 대하는 방식이 어떻게 달라집니까? 하나님은 억압받는 사람을 지키는 일에 당신을 어떻게 사용하실 수 있을까요?

은혜의 하나님, 하나님은 약자와 강자 모두를 사랑하고 돌보십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나눌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08/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4-76; ROMANS 9:16-33
Hymn: 350(old393)

CARING FOR THE OPPRESSED

Josephine Butler, a prominent minister’s wife, found herself campaigning for the rights of women accused (often unjustly) of being “ladies of the night,” those seen in society as the “least desirables.” Spurred on by her deep faith in God, she fought for years against the British Contagious Diseases Acts of the 1860s, which subjected women to cruel and invasive “medical” exams.

In 1883, during the parliamentary debate over a bill to repeal the Acts, she joined women in Westminster to pray. She was moved by the sight of the “most ragged and miserable women from the slums” alongside “ladies of high rank,” all weeping and asking God for protection of the vulnerable. To their joy, the bill passed.

Josephine’s call to act justly echoes the words of the prophet Jeremiah, who delivered God’s message to evil kings. Jeremiah said, “Do what is just and right. Rescue from the hand of the oppressor the one who has been robbed.” And “do no wrong or violence to the foreigner, the fatherless or the widow” (JEREMIAH 22:3). God wanted to shield those who couldn’t defend themselves against the powerful.

God can spur us to action too, helping us to discern inequalities and to speak and take measures against them. He who hates abuse empowers us to uphold justice and defend the weak.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EREMIAH 22:1-5
Rescue from the hand of the oppressor the one who has been robbed. [ JEREMIAH 22:3 ]

How does following God affect how you treat the weak and vulnerable? How might God use you to defend someone who’s oppressed?

Gracious God, You love and care for the weak and the powerful. Please help me to share Your love and grace.

오늘의 말씀

08/07/2025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72-73; 로마서 9:1-15
찬송가: 502(통259)

그리스도의 빛 안에서 걷기

팀의 호텔 방은 밤에 너무나 깜깜해 보였습니다. 밤에 일어났을 때 아무것도 안보여 걸려 넘어지면 어떡하나 할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실제 일어나 보니 침대 밑에서 발 길을 비추는 빛이 밝게 나오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동작을 감지하는 기기가 작동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빛은 팀이 일어나 걷기 시작할 때에만 작동했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뜻을 품고 하나님의 빛 가운데 행하라고 말합니다. 바울은 예수님을 새로 믿는 에베소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본받는 자가 되고... 사랑 가운데서 행하라”(에베소서 5:1-2)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행하는 것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랑의 빛 안으로 들어갈 때 죄에서 돌이키게 됩니다. 그 죄에는 부도덕과 더러움과 우상숭배, 탐욕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바울은 “너희는 열매 없는 어둠의 일에 참여하지 말고 도리어 책망하라”(11절)고 하였습니다. 이방 신 숭배가 만연했던 에베소에서 이 같은 사도의 말은 새로 믿기 시작한 사람들을 바른 길로 인도했습니다. “너희가 전에는 어둠이더니 이제는 주 안에서 빛이라 빛의 자녀들처럼 행하라”(8절). 그는 이어서 말했습니다. “빛의 열매는 모든 착함과 의로움과 진실함에 있느니라 주께 기쁘시게 할 것이 무엇인가 시험하여 보라”(9-10절).

그렇게 할 때의 유익은 무엇일까요? 예수님의 빛이 “너에게 비추이시리라” (14절)는 말씀대로 우리의 길을 비춰 줍니다. 바울은 “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 지를 자세히 주의하라”(15절)는 말로 결론을 맺습니다. 그리스도의 빛 안에서 믿음으로 걸을 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진정한 빛의 근원이신 예수님께로 인도하며 그들을 축복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5:8-15
빛의 자녀들처럼 행하라 [에베소서 5:8]

어떻게 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빛 안에서 걷고 있습니까? 예수님은 어떻게 당신의 길을 밝혀 주셨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이 세상은 어둡습니다. 제 안에 예수님의 빛을 비춰 주소서.

Daily Article

08/07/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2-73; ROMANS 9:1-15
Hymn: 502(old259)

WALKING IN CHRIST’S LIGHT

Tim’s hotel room seemed extra dark at night. What if he got up at night and slipped and fell because he couldn’t see? But when Tim did get up, he was surprised to see a bright light shining from underneath the bed—lighting his path. A motion sensor had activated it. The light only worked, however, if he got up and started to walk.

The Bible says we’re to walk with intent in God’s light. As Paul told the new believers in Jesus at Ephesus, “Follow God’s example . . . and walk in the way of love” (EPHESIANS 5:1-2). But what does it look like to walk that way?

As we step into Christ’s loving light, we turn from our sins—that might include immorality, impurity, idolatry, and coveting. “Have nothing to do with the fruitless deeds of darkness,” Paul said, “but rather expose them” (V. 11). Pagan worship thrived in Ephesus, but the apostle’s words steered the new believers aright. “At one time you were darkness, but now you are light in the Lord. Walk as children of light” (V. 8 ESV). He added, “The fruit of the light consists in all goodness, righteousness and truth.” So, “find out what pleases the Lord” (VV. 9-10).

The benefit? The light of Jesus “will shine on you” (V. 14), lighting your path. “Look carefully then how you walk,” Paul concluded (V. 15 ESV). Walking confidently in Christ’s light, we’ll bless others as we point them to Him—the source of true light.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EPHESIANS 5:8-15
Walk as children of light. [ EPHESIANS 5:8 esv ]

How do you actively walk in Christ’s light? How has He shined His light on your ways?

Dear Jesus, this world is dark. Please shine Your light in me.

오늘의 말씀

08/06/2025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70-71; 로마서 8:22-39
찬송가: 218(통369)

이웃 사랑하기

늦여름 폭풍이 우리 도시를 휩쓸고 지나간 후 우리에게는 나무 때문에 손상된 집도 고치고 마당에 쌓인 나뭇잎과 가지를 치워야 할 일들이 생겼습니다. 나는 그 다음 날 손상된 것들을 손보고 나무 잔해들을 청소하며 기분을 달래려고 “이제 우리 집엔 나무가 없다!”라고 되뇌었습니다. 사실입니다. 이제 3 피트(약 90 센티미터) 크기의 작은 소나무 세 그루를 빼고는 나무가 없습니다. 그런데도 나는 폭풍으로 이웃들 나무에서 날아온 것들과 계속 떨어지는 낙엽을 꽤 많은 시간을 들여 치웁니다.

‘이웃들.’ 그들의 행동과 키운 일과 했던 말들이 우리에게 거슬릴 때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성경은 이것에 대해 명확하게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몸과 같이 하라”고 아홉 번이나(레위기 19:18, 마태복음 19:19, 마가복음 12:31, 갈라디아서 5:14, 야고보서 2:8 등) 언급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것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명하신 두 번째 큰 계명입니다. 첫 번째 계명은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누가복음 10:27)고 하신 것입니다. 이웃을 사랑하는 비결 중 하나는 우리가 그들을 어떻게 대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야고보는 이것에 대해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 하라”(1:19)고 하였습니다.

이것은 인간의 본성에 반하는 것으로 늘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우리의 우선적인 반응이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도움을 받아 우리와 함께 사는 이웃들에게 예수님의 사랑의 빛을 비추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19-27
너희가 만일 성경에 기록된 대로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몸과 같이 하라 하신 최고의 법을 지키면 잘하는 것이거니와 [야고보서 2:8]

이웃 때문에 힘든 일이 있습니까?
어떻게 그 문제를 사랑으로 다룰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나의 이웃들, 옆집 사람이나 매일 만나는 사람들로 인하여 감사드립니다. 그 이웃들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사랑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06/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0-71; ROMANS 8:22-39
Hymn: 218(old369)

LOVING OUR NEIGHBORS

After a late summer thunderstorm ripped through our city, we had to deal with tree damage to our house, plus a major cleanup of our leaf-and-branch-strewn yard. As I spent the following day dealing with the damage and the tree debris, I tried to humor myself by repeating: “We don’t have any trees!” It’s true. Other than three tiny, three-foot-tall pines, we don’t have them. Yet I spend considerable time cleaning up after storms or falling leaves due to neighbors’ trees.

Neighbors. How do we interact with them—even when something they’ve done or grown or said bothers us? Scripture is clear on this: it states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nine times—including Leviticus 19:18, Matthew 19:19, Mark 12:31, Galatians 5:14, and James 2:8. In fact, this is the second greatest commandment God has given us. The first is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 . . soul . . . strength and . . . mind” (LUKE 10:27). One of the keys to showing love to neighbors is how we interact with them. James explained this by saying, “Be quick to listen, slow to speak and slow to become angry” (1:19).

This isn’t always easy. It goes against our nature. Yet loving our neighbor is to be our first response. As God helps us, let’s shine Jesus’ light of love on those who share life with us—our neighbors.
DAVE BRANON

Today's Reading

JAME S 1:19-27
If you really keep the royal law found in Scripture,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you are doing right. [ JAMES 2:8 ]

What’s bothering you about a neighbor?
How can you handle this issue in love?

Dear Father, thank You for my neighbors—whether next door or the people I interact with daily. Please help me to love them with Christlike love.

오늘의 말씀

08/05/2025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68-69; 로마서 8:1-21
찬송가: 440(통497)

결코 혼자가 아닌

오랫동안 나는 여러 가지 이유로 외로움과 싸우는 수많은 사람들을 격려하고 기도해 왔습니다. 가족들의 발길이 끊어진 요양원 입원자들, 빈집에 홀로 있지 않으려고 밖에 나와 시간을 보내는 미망인들, 마음을 털어놓을 데가 없는 교회 사역자들, 무시당하고 외로운 노숙자들 같은 사람들입니다.

외로움은 언제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습니다. 2023년 5월 미국 외과 의사회는 널리 퍼져가는 외로움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 권고문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성인의 약 절반이 외로움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말하는데, 권고문에 의하면 외로움은 매일 12개비의 담배를 피우는 것만큼 치명적이라고 합니다.

모세는 후계자 여호수아에게 자리를 넘겨주면서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에 들어갈 때 어떤 전투도 홀로 치르지 않으리라는 것을 기억하기를 바라며, “ 너희는 강하고 담대하라 두려워하지 말라 그들 앞에서 떨지 말라 이는 네 하나님 여호와 그가 너와 함께 가시며 결코 너를 떠나지 아니하시며 버리지 아니하실 것임이라”(신명기 31:6)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백성들의 새 지도자인 여호수아 에게 “여호와 그가 네 앞에서 가시며 너와 함께 하사 너를 떠나지 아니하시며 버리지 아니하시리라”(8절)고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리고 모세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용기를 주는 말로 이렇게 마쳤습니다.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놀라지 말라”(8절).

외로움이 찾아올 때 하나님께서 결코 우리를 떠나거나 버리지 않으신다는 것을 알고 위안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1:1-8
네 하나님 여호와 그가 너와 함께 가시며 결코 너를 떠나지 아니하시며 버리지 아니하실 것임이라 [신명기 31:6]

당신이 결코 혼자가 아님을 아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하나님이 함께하심을 아는 것이 얼마나 위로가 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결코 혼자가 아님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8/05/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68-69; ROMANS 8:1-21
Hymn: 440(old497)

NEVER ALONE

Over the years, I’ve encouraged and prayed for many people battling loneliness for various reasons: nursing home residents whose family members don’t visit, the widow who spends her days outside so as not to be alone in her empty house, ministry leaders who don’t have anyone to confide in, and homeless people who feel ignored and alone.

Loneliness can strike anyone at any time. The US Surgeon General released an advisory in May 2023 alerting the public about the epidemic of loneliness. About half of US adults say they’ve experienced loneliness, which can be as deadly as smoking a dozen cigarettes daily, according to the advisory.

When Moses was getting ready to pass the torch to his successor, Joshua, he wanted to make sure the Israelites knew they wouldn’t be facing any battles alone as they entered the promised land: “Do not be afraid or terrified because of them, for the Lord your God goes with you; he will never leave you nor forsake you” (DEUTERONOMY 31:6). He also reminded their new leader, Joshua, that “the Lord himself goes before you and will be with you; he will never leave you nor forsake you” (V. 8).

And he concluded with words that can encourage us today: “Do not be afraid; do not be discouraged” (V. 8).

When we’re facing loneliness, let’s take comfort in knowing that God will never leave or forsake us.
NANCY GAVILANES

Today's Reading

DEUTERONOMY 31:1-8
The Lord your God goes with you; he will never leave you nor forsake you. [ DEUTERONOMY 31:6 ]

Why is it important to know you’re never alone?
How comforting is it to know God is with you?

Dear God, thank You that I’m never alone.

오늘의 말씀

08/04/2025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66-67; 로마서 7
찬송가: 545(통344)

영원히 신실하신 분

미국 역사상 가장 인명 피해가 컸던 산불은 위스콘신주 북동부에서 발생한 페쉬티고 화재였습니다. 우리에게 더 많이 알려진 시카고 화재와 같은 날(1871년 10월 8일) 밤에 발생한 이 화재는 수백 명 더 많은 사망자를 냈습니다. 목재 건축과 일부 목재 산업으로 빠르게 성장하던 페쉬티고시가 돌풍으로 거세진 화염으로 한 시간 만에 다 타버린 것입니다.

불에 그을린 도자기와 벽돌 화로 말고도 화재 후 남겨진 몇 가지 물건 중에는 펼쳐진 작은 성경책이 있었습니다. 불길에 표지가 탔고 뜨거운 열기에 책이 화석처럼 굳었지만 성경책은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지금도 그 도시 박물관에 가면 그 성경을 볼 수 있습니다.

보존된 그 작은 성경책은 하나님이 또 다른 고난의 시간에 그의 백성에게 주신 확신을 떠올려 줍니다.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드나 우리 하나님의 말씀은 영원히 서리라”(이사야 40:8). 침략의 “불길이 타오르고” 포로가 될 위협이 있었지만, 하나님은 그의 언약에 신실하시고 그분께 돌아오는 이들을 무슨 일이 있어도 저버리지 않겠다고 분명히 말씀하셨습니다.

지금도 일부 읽을 수 있는 페쉬티고의 그 성경책은 화재 당시 시편 106 편과 107편이 펼쳐져 있었습니다. 두 시편 모두 첫 문장이 “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로 시작합니다. 우리 삶에 아무리 큰 시련이 닥쳐도 하나님의 말씀과 사랑은 결코 흔들리지 않습니다. 바로 그 사실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께 영원히 감사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0:6-11
우리 하나님의 말씀은 영원히 서리라
[이사야 40:8]

당신이 좋아하는 하나님의 약속은 무엇입니까? 오늘 하나님의 약속들을 마음에 새기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신실하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힘든 때에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04/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66-67; ROMANS 7
Hymn: 545(old344)

FOREVER FAITHFUL

The deadliest forest fire disaster in US history was the Peshtigo Fire in Northeast Wisconsin. It occurred on the same night as the better-known Chicago Fire (October 8, 1871) but claimed several hundred more lives. Peshtigo, a fast-growing city of wooden buildings and part of the lumber industry, was consumed within an hour by the inferno fanned by gusting winds.

Besides scorched china and a brick kiln, among the few items the fire left behind was a small, open Bible. Flames had singed its cover and extreme heat had petrified its pages, yet it remained intact. It can be viewed in a museum in the city today.

The little Bible’s preservation calls to mind an assurance God gave His people in another trying time: “The grass withers and the flowers fall, but the word of our God endures forever” (ISAIAH 40:8). Though “firestorms” of invasion and exile threatened, God affirmed that He would be faithful to His promises and would never forsake those who turned to Him—come what may.

The Bible in Peshtigo, still partially legible, was opened to Psalms 106 and 107. Both psalms contain these words in their first verses: “Give thanks to the Lord, for he is good; his love endures forever.” Even in the greatest trials of our lives, His words and love never falter. And we will thank Him forever because of it.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H 40:6-11
The word of our God endures forever.
[ ISAIAH 40:8 ]

What is your favorite promise from God? What can you do to keep His promises in mind today?

Loving God, I praise You for Your faithfulness! Please help me to trust in You even in difficult season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