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28/2024     주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9-20; 마태복음 18:21-35
찬송가: 295(통417)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

내가 가르치고 있는 대학의 작문 수업의 논문들을 채점하고 있을 때, 나는 한 특별한 논문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정말 잘 쓴 글이었습니다! 하지만 곧 나는 그것이 지나치게 잘 쓰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약간 조사를 해보니 그 논문은 온라인 자료를 표절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나는 해당 여학생에게 이메일을 보내어 거짓이 밝혀졌기 때문에 그 논문은 0점 처리되겠지만, 새로 써 내면 어느 정도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 학생은 이렇게 회신했습니다. “부끄럽고 매우 죄송합니다. 저에게 베푸신 은혜에 감사드리지만, 제게 그럴 자격이 있을까요?” 나는 예수님께서 우리 모두에게 매일 은혜를 베푸시는데, 나도 은혜를 베풀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답장을 보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다양하게 우리의 삶을 향상시키고 또 실수로부터 우리를 구해줍니다. 베드로는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고 말합니다. “주 예수의 은혜로 구원받는 줄을 믿노라”(사도행전 15:11). 바울은 하나님의 은혜로 우리가 죄에 사로잡히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죄가 너희를 주장하지 못하리니 이는 너희가 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에 있음이라”(로마서 6:14). 그리고 베드로는 은혜로 말미암아 우리가 섬길 수 있다고 말합니다.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 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로 봉사하라” (베드로전서 4:10).

하나님께서 거저 주신 ‘은혜’(에베소서 4:7), 이 선물을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격려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4-8
우리 각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선물의 분량대로 은혜를 주셨나니
[에베소서 4:7]

살면서 하나님의 은혜를 가장 많이 느끼는 때는 언제입니까? 오늘 어떤 방법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주님의 놀라운 은혜를 나눌 수 있을까요?

은혜의 하나님, 사람들과 교제할 때 하나님의 은혜를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8/2024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9–20; MAT THEW 18:21–35
Hymn: 295(old 417)

GOD’S GIFT OF GRACE

As I was grading another stack of papers for a college writing class I teach, I was impressed with one particular paper. It was so well-written! Soon, though, I realized it was too well written. Sure enough, a little research revealed that the paper had been plagiarized from an online source.

I sent the student an email to let her know that her ruse had been discovered. She was getting a zero on this paper, but she could write a new paper for partial credit. Her response: “I am humiliated and very sorry. I appreciate the grace you are showing me. I don’t deserve it.” I responded by telling her that we all receive Jesus’ grace every day, so how could I deny showing her grace?

There are many ways God’s grace enhances our lives and redeems us from our errors. Peter says it gives salvation: “We believe it is through the grace of our Lord Jesus that we are saved” (ACTS 15:11). Paul says it helps us not to be overtaken by sin: “Sin shall no longer be your master, because you are not under the law, but under grace” (ROMANS 6:14). Elsewhere, Peter says grace allows us to serve: “Use whatever gift you have received . . . as faithful stewards of God’s grace” (1 PETER 4:10).

Grace. So freely given by God (EPHESIANS 4:7). May we use this gift to love and encourage others.
- DAVE BRANON

Today's Reading

EPHESIANS 4:4–8
To each one of us grace has been given as Christ apportioned it.
[ EPHESIANS 4:7 ]

When do you most feel God’s grace in your life? What are a couple ways you can show surprising grace to others today?

God of grace, help me to share Your grace in my interactions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1/27/2024     토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6-18; 마태복음 18:1-20
찬송가: 454(통508)

상쾌한 말

딸아이가 부엌에 서서 “엄마, 꿀 속에 파리가 있어요!” 라고 외쳤습니다. 나는 “파리 잡는 데는 식초보다 꿀이 더 낫다”라는 친숙한 속담으로 대답했습니다. (우연히) 꿀로 파리를 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지만, 내가 이 현대 속담을 인용한 것은 “쌀쌀한 태도보다 친절하게 부탁하면 상대방을 더 잘 설득할 수 있다”는, 속담이 지니고 있는 지혜 때문이었습니다.

잠언서는 하나님의 영으로 감동받은 지혜로운 속담과 격언을 우리에게 들려줍니다. 이 영감 받은 격언들은 어떻게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며 살 수 있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진리로 우리를 인도하고 가르치는데 도움을 줍니다. 잠언의 많은 부분이 우리가 하는 말이 다른 사람에게 얼마나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등을 포함하여 주로 대인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솔로몬 왕과 관련된 잠언의 한 부분에서, 그는 이웃에 대해 거짓된 말을 할 때 야기되는 피해에 대해 경고했습니다(잠언 25:18). 솔로몬은 “험담하는 혀” 때문에 관계가 황량해진다고 했으며(23절), 끊임없이 불평하는 말의 섬뜩한 결과에 대해서도 경고했습니다(24절). 그리고 왕은 우리의 말이 좋은 소식을 가져올 때 축복이 임한다고 하며 독자들도 그렇게 하기를 격려했습니다(25절).

우리가 이 진리들을 적용하며 살려고 노력할 때, 성령님이 함께하셔서 우리가 “적절한 대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십니다(16:1). 하나님의 권능으로 우리는 부드럽고 상쾌한 말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5:23-27
먼 땅에서 오는 좋은 기별은 목마른 사람에게 냉수와 같으니라
[잠언 25:25]

당신은 언제 말이 지닌 엄청난 효과를 경험해 보았습니까?
어떻게 성령님이 활기를 주는 말을 할 수 있도록 인도해 주실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은혜롭고 친절한 말을 함으로써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하나님의 긍휼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7/2024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6–18; MAT THEW 18:1–20
Hymn: 454(old 508)

REFRESHING WORDS

Standing in the kitchen, my daughter exclaimed, “Mom, there’s a fly in the honey!” I quipped back with the familiar adage, “You will always catch more flies with honey than vinegar.” While this was the first time I’d (accidentally) caught a fly with honey, I found myself quoting this modern proverb because of its wisdom: kind requests are more likely to persuade others than a bitter attitude.

The book of Proverbs gives us a collection of wise proverbs and sayings inspired by God’s Spirit. These inspired sayings help to guide us and teach us important truths about how to live in ways that honor God. Many of the proverbs focu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cluding the profound effect our words can have on others.

In a section of proverbs attributed to King Solomon, he warned against the harm caused by speaking falsely against a neighbor (PROVERBS 25:18). He counseled that a “sly tongue” results in dreary relationships (V. 23). Solomon warned against the chilling effect of constantly using complaining words (V. 24). And the king encouraged readers that blessing comes when our words bring good news (V. 25).

As we seek to apply these truths, we have God’s Spirit who helps us give a “proper answer” (16:1). Empowered by Him, our words can be sweet and refreshing.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PROV ERBS 25:23–27
Like cold water to a weary soul is good news from a distant land.
[ PROVERBS 25:25 ]

When have you seen the profound effect of words?
How might the Spirit guide you to use refreshing words?

Heavenly Father, please help me to reflect Your compassion in my interactions by using gracious and kind words.

오늘의 말씀

01/26/2024     금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4-15; 마태복음 17
찬송가: 425(통217)

편견은 이제 그만

여러 해 전 줄리 랜즈만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오케스트라의 수석 프렌치 호른 연주자가 되기 위해 오디션을 보았습니다.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오케스트라는 심사위원들의 편견을 피하기 위해 스크린 뒤에서 오디션을 진행했습니다. 랜즈만은 오디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결국 합격했습니다. 그러나 줄리가 스크린 뒤에서 나오자 전원이 남성이었던 심사위원 중 몇 명이 방 뒤쪽으로 걸어가면서 그녀에게 등을 돌렸습니다. 분명히 그들은 다른 사람을 찾고 있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왕을 요구했을 때, 하나님은 백성들의 뜻을 수용하여 다른 나라들처럼 신체적으로 당당한 사람을 그들에게 왕으로 주셨습니다 (사무엘상 8:5; 9:2). 그러나 사울이 왕으로서 보낸 첫 몇 년은 불신과 불순종으로 점철되었기 때문에 하나님은 사무엘을 베들레헴으로 보내어 새 왕에게 기름을 붓도록 하셨습니다(16:1-13). 사무엘은 맏아들인 엘리압을 보았을 때 그가 신체적으로 뛰어났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그를 왕으로 선택하셨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사무엘의 생각과 달랐습니다.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7절). 하나님은 다윗을 택하여 그의 백성을 인도하게 하셨습니다(12절).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 사람들의 능력과 적합성을 평가할 때 하나님은 성품과 의지와 행동의 동기를 보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이 세상이나 사람들을 볼 때 하나님이 보시는 것처럼 하라고 권하십니다. 그것은 사람들의 외모나 자격이 아니라 그 마음에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16:1-7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
[사무엘상 16:7]

개인적인 편견에 근거하여 누군가를 판단하지 않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하나님을 향한 진실한 마음을 갖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긍휼의 하나님, 겉모습으로 사람들을 평가하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6/2024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4–15; MAT THEW 17
Hymn: 425(old 217)

NO MORE PREJUDICE

Many years ago, Julie Landsman auditioned for principal French hornist for New York’s Metropolitan Opera Orchestra. The MET held their auditions behind a screen to avoid prejudice by the judges. Landsman did well in her audition and ended up winning the competition. But when she stepped out from behind the screen, some of the all-male judges walked to the rear of the room and turned their backs on her. Apparently, they were looking for someone else.

When the Israelites asked for a king, God accommodated the people and gave them a man who was physically imposing like the other nations had (1 SAMUEL 8:5; 9:2). But because Saul’s first years as king were marked by faithlessness and disobedience, God sent Samuel to Bethlehem to anoint a new king (16:1–13). When Samuel saw Eliab, the oldest son, he assumed that God had chosen him to be king because he was physically impressive. But God challenged Samuel’s thinking: “People look at the outward appearance, but the Lord looks at the heart” (V. 7). God had chosen David to lead His people (V. 12).

When evaluating people’s ability and suitability for His purposes, God looks at character, will, and motives. He invites us to be attuned to see the world and people as He does—focusing on peoples’ hearts and not their outward appearance or credential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1 SAMUEL 16:1–7
People look at the outward appearance, but the Lord looks at the heart.
[ 1 SAMUEL 16:7 ]

Why is it vital not to judge someone based on personal prejudices?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have a true heart for God?

Compassionate God, please help me not to evaluate people based on their appearances.

오늘의 말씀

01/25/2024     목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2-13; 마태복음 16
찬송가: 546(통399)

이상한 곳

‘하나님, 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지요? 이것이 진정 우리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인가요?’

남편이자 어린 자녀를 둔 아빠로서, 암이 심각하다는 진단을 받고 힘들어 하면서 이런 질문들이 계속해서 내 마음 속에 소용돌이쳤습니다. 게다가 우리 가족은 방금 선교팀과 함께 많은 어린이들이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하는 것을 보고 돌아온 길이었습니다. 하나님은 분명한 열매를 맺도록 하셨고, 그 기쁨이 너무나 컸습니다. 그런데 이제 암이라니요?

아마 에스더도 사랑하는 집에서 뽑혀 낯선 세계로 내몰린 후 하나님께 질문과 기도를 쏟아 부었을 것입니다(에스더 2:8). 사촌 모르드개가 고아가 된 에스더를 친딸처럼 키웠습니다(7절). 그러나 그 후 에스더는 왕의 후궁들 처소에 들어가게 되었으며, 마침내는 왕후의 자리까지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17절). 모르드개는 당연히 에스더가 “어떻게 될지”에 대해 염려했습니다(11 절). 그러나 이윽고 두 사람은 하나님이 에스더를 “이 때를 위하여”(4:14) 큰 권능의 장소, 곧 이스라엘 백성을 멸망에서 구원할 수 있는 장소로 부르셨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7-8장).

하나님께서 그분의 완벽한 계획의 일부로 에스더를 낯선 곳에 두셨다는 것은 자명합니다. 하나님은 내게도 똑같이 하셨습니다. 나는 암의 기나긴 투병을 견뎌 나가면서 수많은 환자와 간병인들에게 믿음을 나눌 수 있는 특권을 누렸습니다. 주님이 당신을 어떤 낯선 곳으로 인도하셨습니까? 주님을 믿으십시오. 주님은 선하시며 주님의 계획도 그렇습니다(로마서 11:33-36).

오늘의 성구

에스더 2:3-4, 12-17
네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
[에스더 4:14]

하나님께서 언제 당신을 낯선 곳으로 인도하셨습니까?
하나님의 완벽한 계획을 신뢰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이해할 수 없을 때라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5/2024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2–13; MAT THEW 16
Hymn: 546(old 399)

STRANGE PLACES

God, why is this happening? Is this really your plan for us?

As a husband and a dad of young children, those questions and more swirled in my mind as I wrestled with a serious cancer diagnosis. What’s more, our family had just served with a missions team that had seen many children receive Jesus as their Savior. God had been bringing forth evident fruit. There was so much joy. And now this?

Esther likely poured out questions and prayers to God after she was plucked from a loving home and thrust into a strange new world (ESTHER 2:8). Her cousin Mordecai had raised her as his own daughter after she’d been orphaned (V. 7). But then she was placed in a king’s harem and eventually elevated to serve as his queen (V. 17). Mordecai was understandably concerned about what “was happening to” Esther (V. 11). But in time, the two realized that God had called her to be in a place of great power “for such a time as this” (4:14)—a place that allowed for her people to be saved from destruction (CHS. 7–8).

It’s evident that God providentially placed Esther in a strange place as part of His perfect plan. He did the same with me. As I endured a lengthy battle with cancer, I was privileged to share my faith with many, many patients and caregivers. What strange place has He led you to? Trust Him. He’s good, and so are His plans (ROMANS 11:33–36).
- TOM FELTEN

Today's Reading

ESTHER 2:3–4, 12–17
Who knows but that you have come to your royal position for such a time as this?
[ ESTHER 4:14 ]

When has God led you to a strange place?
Why can you trust in His perfect plans?

Dear God, help me to trust You even when I don’t understand what You’re doing.

오늘의 말씀

01/24/2024     수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9-11; 마태복음 15:21-39
찬송가: 455(통507)

듣기를 속히 하라

친한 친구가 나를 비난한 것에 반박하려고 입을 열자 내 심장 박동이 빨라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내가 온라인에 게시한 것은 친구 생각처럼 친구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대답하기 전에 먼저 속삭이듯 기도했습니다. 그렇게 진정한 다음 친구가 하는 말과 그 말 뒤에 숨겨진 아픔을 들었습니다. 친구의 상처가 겉으로 보기보다 더 깊은 것이 분명했습니다. 아파하고 있는 친구의 아픔을 먼저 해결해 주기로 마음을 먹자 나는 나를 방어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친구와 대화를 하는 동안, 나는 오늘의 성경말씀에서 야고보가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 하라”(1:19)고 권한 말씀의 의미가 무엇인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경청은 우리에게 단어 뒤에 숨겨진 의미를 들을 수 있게 해주고, “하나님의 의를 이루지 못하게 하는” 분노를 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20절). 그리고 우리로 하여금 말하는 사람의 마음을 읽게 해줍니다. 나는 잠시 멈추어 기도한 것이 친구와의 대화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내 반박보다 오히려 친구의 말에 더 세심한 관심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만일 내가 잠시 멈추어 기도하지 않았다면, 내 생각대로 되받아치면서 내가 얼마나 기분 상했는지 말했을 것입니다.

야고보가 기술하고 있는 가르침을 항상 따르지는 못했지만, 나는 그날만큼은 실천했다고 생각합니다. 분노와 불쾌감에 사로잡히기 전에 기도하기 위해 잠시 멈추는 것이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를 더디 하는 열쇠입니다. 하나님께서 지혜를 주셔서 이것을 좀더 자주 실천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잠언 19:11).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18-20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 하라
[야고보서 1:19]

야고보의 가르침이 과거에 어떤 도움을 주었습니까?
오늘 그 가르침을 어떻게 적용해볼 수 있을까요?

은혜로우신 하나님, 제가 듣기는 속히 하고 성내기를 더디 하도록 상기시켜 주소서.

Daily Article

01/24/2024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9–11; MAT THEW 15:21–39
Hymn: 455(old 507)

QUICK TO LISTEN

I felt my heart rate increase as I opened my mouth to refute the charges a dear friend was leveling against me. What I had posted online had nothing to do with her as she implied. But before I replied, I whispered a prayer. I then calmed down and heard what she was saying and the hurt behind her words. It was clear that this went deeper than the surface. My friend was hurting, and my need to defend myself dissolved as I chose to help her address her pain.

During this conversation, I learned what James meant in today’s Scripture when he urged us to “be quick to listen, slow to speak and slow to become angry” (1:19). Listening can help us hear what may be behind the words and to avoid anger that “does not produce the righteousness that God desires” (V. 20). It allows us to hear the heart of the speaker. I think stopping and praying helped me greatly with my friend. I became much more sensitive to her words rather than my own offense. Perhaps if I hadn’t stopped to pray, I would have fired back my thoughts and shared how offended I was.

And while I haven’t always gotten the instruction James outlines right, that day, I think I did. Stopping to whisper a prayer before allowing anger and offense to take a hold of me was the key to listening quickly and speaking slowly. I pray that God will give me the wisdom to do this more often (PROVERBS 19:11).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JAME S 1:18–20
Everyone should be quick to listen, slow to speak and slow to become angry.
[ JAMES 1:19 ]

How has James’ instruction helped you in the past?
How can you employ it today?

Gracious God, please remind me to be quick to listen and slow to become offended.

오늘의 말씀

01/23/2024     화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7-8; 마태복음 15:1-20
찬송가: 293(통414)

폐품을 아름다운 물건으로

아내 미스카는 이디오피아에서 제작된 목걸이와 원형 귀걸이를 갖고 있습니다. 이 장신구들의 소박한 우아함은 진정한 예술성이 무엇인지 보여줍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놀라운 것은 이 장신구들에 얽힌 이야기입니다. 수십 년 이어온 치열한 분쟁과 내전으로 이디오피아의 국토는 사용하고 버린 수많은 포탄과 탄약통으로 어지럽혀 있습니다. 이디오피아 국민들은 희망을 갖고 화염이 휩쓸고 간 땅을 샅샅이 뒤지며 폐품들을 치웁니다. 그러면 공예가들이 포탄과 탄약통의 잔해물을 사용하여 장신구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 이야기를 들었을 때, 마치 미가 선지자가 하나님의 약속을 과감히 선포하는 것을 듣는 것 같았습니다. 선지자는 언젠가 무리가 “그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창을 쳐서 낫을 만들 것”(4:3)이라고 선포했습니다. 죽이고 불구로 만들기 위한 도구들은 하나님의 강력한 역사하심으로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도구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의 때가 이르면 “이 나라와 저 나라가 다시는 칼을 들고 서로 치지 아니하며 다시는 전쟁을 연습하지 아니하리라” (3절)고 선지자는 선포했습니다.

미가 선지자가 자신이 살던 때에 선포하던 외침을 상상하는 것은 우리에게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옛 이스라엘 시대처럼, 우리도 역시 폭력과 전쟁을 겪고 있으며, 그렇기에 이 세상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은 불가능하게만 보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분의 자비와 치유하심으로 이 놀라운 날이 다가오고 있음을 우리에게 약속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이 진리를 지금부터 삶으로 실천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지금도 폐품을 아름다운 물건으로 바꾸시는 그분의 사역을 우리가 맡아서 행하도록 도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미가 4:1-5
무리가 그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창을 쳐서 낫을 만들 것이며
[미가 4:3]

하나님의 사랑이 악을 변화시키는 것을 어디에서 보았습니까?
어떻게 폐품을 아름다운 물건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우리의 세상을 바꾸어 주소서. 이곳에 아름다움을 가져오도록 저를 통해 역사하소서.

Daily Article

01/23/2024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7–8; MAT THEW 15:1–20
Hymn: 293(old 414)

SCRAPS TO BEAUTY

My wife, Miska, has a necklace and hoop earrings from Ethiopia. Their elegant simplicity reveals genuine artistry. What’s most astounding about these pieces, however, is their story. Due to decades of fierce conflict and a civil war that rages on, Ethiopia’s geography is littered with spent artillery shells and cartridges. As an act of hope, Ethiopians scour the torched earth, cleaning up the scraps. And artisans craft jewelry out of what remains of the shells and cartridges.

When I heard this story, I heard echoes of Micah boldly declaring God’s promise. One day, the prophet announced, the people would “beat their swords into plowshares and their spears into pruning hooks” (4:3). Tools meant to kill and maim would, because of God’s powerful action, be transformed into tools meant to nurture life. In God’s coming day, the prophet insisted, “nation will not take up sword against nation, nor will they train for war anymore” (V. 3).

Micah’s pronouncement was no harder to imagine in his day than ours. Like Israel of old, we face violence and war, and it seems impossible that the world could ever change. But God promises us that by His mercy and healing, this astounding day is coming. The thing for us, then, is to begin to live this truth now. God helps us to take on His work even now, turning scraps into beautiful things.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MIC AH 4:1–5
They will beat their swords into plowshares and their spears into pruning hooks.
[ MICAH 4:3 ]

Where have you seen evil transformed by God’s love?
How can you turn scraps into beauty?

Dear God, please change our world. Work through me to bring beauty here.

오늘의 말씀

01/22/2024     월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4-6; 마태복음 14:22-36
찬송가: 37(통37)

올바른 집중

우리는 카를 일년 넘게 알고 지냈습니다. 그는 우리가 매주 만나 하나님에 대해 깨달은 바를 나누는 교회 소그룹의 일원이었습니다. 정기 모임을 하던 어느 날 저녁, 카는 자기가 올림픽 경기에 출전했던 일을 말했습니다. 너무나 대수롭지 않은듯 이야기해서 거의 생각 없이 지나칠 뻔했습니다. 거의 놓칠 뻔한 겁니다. 아, 내가 올림픽 동메달 결정전에 출전한 선수와 함께 있다는 사실을 그제야 깨달았습니다! 카가 왜 전에 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카에게는 운동선수로서의 성취가 그의 삶의 특별한 부분이긴 하지만 더 중요한 것들이 그의 정체성의 중심에 있었던 것입니다. 그것은 그의 가족과 공동체, 그리고 그의 믿음이었습니다.

누가복음 10:1-23의 이야기는 우리 정체성의 중심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말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하나님 나라를 전하라고 보낸 72명의 제자들이 전도여행을 마치고 돌아왔을 때, 그들은 “주의 이름이면 귀신들도 우리에게 항복하더이다”(17절)라고 보고했습니다. 예수님이 비록 그들에게 놀라운 능력을 주시고 보호해 주셨지만, 주님은 그들의 초점이 ‘잘못’되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제자들이 기뻐해야 할 이유는 그들의 “이름이 하늘에 기록된 것”(20절) 때문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어떤 성취나 능력을 주셨든지 우리가 기뻐해야 할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다면 우리의 이름이 하늘에 기록되고 우리 삶에서 주님의 임재를 날마다 누린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0:17-20
너희 이름이 하늘에 기록된 것으로 기뻐하라
[누가복음 10:20]

당신은 무엇에 집중하고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좀 더 영원한 것에 초점을 맞출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늘에 제 이름을 기록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아는 것이 저의 기쁨입니다.

Daily Article

01/22/2024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4–6; MAT THEW 14:22–36
Hymn: 37(old 37)

THE RIGHT FOCUS

We’d known Kha for more than a year. He was part of our small group from church that met weekly to discuss what we’d been learning about God. One evening during our regular meeting, he made a reference to having competed at the Olympics. The mention was so casual that it almost escaped my notice. Almost. Lo and behold, I learned I knew an Olympian who had competed in the bronze medal match! I couldn’t fathom that he’d not mentioned it before, but for Kha, while his athletic achievement was a special part of his story, more important things were central to his identity: his family, his community, and his faith.

The story in Luke 10:1–23 describes what should be central to our identity. When the seventy-two people Jesus sent out to tell others about the kingdom of God returned from their journeys, they reported to Him that “even the demons submit to us in your name” (V. 17). While Jesus acknowledged that He’d equipped them with tremendous power and protection, He said they were focused on the wrong thing. He insisted that their cause for rejoicing should be because their “names are written in heaven” (V. 20).

Whatever achievements or abilities God has granted us, our greatest cause for rejoicing is that if we’ve entrusted ourselves to Jesus, our names are written in heaven, and we enjoy His daily presence in our live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LUKE 10:17–20
Rejoice that your names are written in heaven.
[ LUKE 10:20 ]

What are you focused on?
How can you shift your focus to more of an eternal perspective?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writing my name in heaven.
I rejoice in knowing You.

오늘의 말씀

01/21/2024     주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3; 마태복음 14:1-21
찬송가: 299(통418)

한 방울씩

16세기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는 “우리는 모든 것에서 우리에게 즐거운 방식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녀는 우리가 하나님께 완전히 복종하기보다는, 여러 가지로 더 쉽고 “즐거운” 방법을 유지하려는 우리의 모습을 예리하게 보여줍니다. 우리는 천천히, 머뭇거리면서, 심지어는 마지못해 우리의 모든 것을 하나님께 의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성녀 테레사는 이렇게 고백합니다. “주님께 우리 삶을 한 번에 조금씩 드리더라도, 우리 삶을 온전히 드릴 때까지 한 방울씩 주님의 선물을 받는 것에 만족해야 합니다.”

인간으로서 누군가를 신뢰한다는 것은 그렇게 자연스러운 일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경험하는 것이 우리가 신뢰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에 달려 있다면, 우리는 큰 곤경에 처하고 말 것입니다!

하지만 요한1서 4장은 하나님께서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다고 말합니다 (19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할 수 있게 되기 오래 전부터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셨으며, 우리를 너무 사랑하셔서 우리를 위해 그분의 아들을 기꺼이 희생시키셨습니다. 요한은 놀랍고도 감사한 마음으로 “이것이 사랑”이라고 기록합니다(10절).

하나님은 점진적으로, 부드럽게, 조금씩 우리의 마음을 치유하셔서 그분의 사랑을 받아들이게 하십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한 방울 한 방울 우리가 두려움을 버리도록 도와줍니다(18절). 한 방울씩 우리 마음에 닿는 그분의 은혜는 어느덧 우리로 그분의 풍성한 아름다움과 사랑의 소나기를 경험하게 해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4:9-19
우리가 사랑함은 그가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음이라
[요한1서 4:19]

살면서 어떤 방식으로 “한 방울 한 방울”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해 보았습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사랑이 두려움을 극복하고 소망과 신뢰를 갖게 해주었습니까?

신실하신 하나님, 마음의 너무 큰 상처로 하나님을 신뢰하지 못한 때에도 저를 먼저 사랑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제가 어디에 있든지 여러 방법으로 제게 다가와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21/2024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3; MAT THEW 14:1–21
Hymn: 299(old 418)

DROP BY DROP

“In everything / we look for pleasant ways of serving God,” writes sixteenth-century believer Teresa of Avila. She poignantly reflects on the many ways we seek to stay in control through easier, more “pleasant” methods than total surrender to God. We tend to slowly, tentatively, and even reluctantly grow to trust Him with all of ourselves. And so, Teresa confesses, “even as we measure out our lives to you / a bit at a time, / we must be content / to receive your gifts drop by drop, / until we have surrendered our lives wholly to you.”

As human beings, trust doesn’t come naturally to many of us. So if experiencing God’s grace and love were dependent on our ability to trust and receive it, we’d be in trouble!

But, as we read in 1 John 4, God’s love for us comes first (V. 19). He loved us long before we could love Him, so much that He was willing to sacrifice His Son for us. “This is love,” John writes in wonder and gratitude (V. 10).

Gradually, gently, little by little, God heals our hearts to receive His love. Drop by drop, His grace helps us surrender our fears (V. 18). Drop by drop, His grace reaches our hearts until we find ourselves experiencing showers of His abundant beauty and love.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1 JOHN 4:9–19
We love because he first loved us.
[ 1 JOHN 4:19 ]

In what ways have you experienced God’s grace “drop by drop” in your life? How has God’s love helped you overcome fear in exchange for hope and trust?

Faithful God, thank You for loving me first, even when my heart was too wounded and hurting to trust You. Thank You for the many ways You reach me wherever I am.

오늘의 말씀

01/20/2024     토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49-50; 마태복음 13:31-58
찬송가: 365(통484)

하나님께 부르짖음

러셀 무어 박사는 그의 저서 ‘입양의 마음’(Adopted for Life)에서 그의 가족이 한 아이를 입양하기 위해 고아원에 찾아갔을 때의 일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영아실에 들어갔을 때 놀랄만큼 조용했습니다. 요람에 놓인 아기들이 하나도 울지 않았던 것입니다. 이는 아기들이 필요한 것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 누구도 신경 써 주지 않는다는 것을 배웠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부분을 읽으며 마음이 아팠습니다. 나는 우리 아이들이 어렸을 때의 그 수없이 많은 밤들을 기억합니다. 아내와 나는 잠에 들었다가 “아빠, 나 아파!” 혹은 “엄마, 나 무서워!” 하는 아이들의 소리에 갑자기 깨어나기 일쑤였습니다. 그러면 우리 둘 중 하나는 서둘러 아이들의 방으로 가서 아이들을 안심시키고 돌보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우리가 아이들을 사랑하기에 아이들이 우리에게 도움을 구할 충분한 이유가 있었던 것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시편은 하나님을 향해 울부짖거나 한탄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에 근거하여 자신의 애통한 마음을 하나님께로 가져왔습니다. 이들은 하나님이 “장자”(출애굽기 4:22)라고 부른 백성이었고, 하나님 아버지께 그에 맞게 행해 주시기를 요청했습니다. 시편 25편에 그런 솔직한 믿음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내게 돌이키사 나에게 은혜를 베푸소서... 나를 고난에서 끌어내소서”(16-17절). 아이들이 울부짖는 것은 사랑으로 돌보아주는 이가 있다는 확신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자녀인 우리 신자들에게 그분께 부르짖을 이유를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크신 사랑으로 우리에게 귀기울이시고 돌보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25:16-22
나는 외롭고 괴로우니 내게 돌이키사 나에게 은혜를 베푸소서
[시편 25:16]

하나님께 부르짖을 때 얼마나 편안함을 느낍니까? 왜 그렇습니까?
오늘 어떻게 애통한 마음을 하나님께 아뢸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 울부짖음을 듣고 행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1/20/2024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9–50; MAT THEW 13:31–58
Hymn: 365(old 484)

CALLING OUT TO GOD

In his book Adopted for Life, Dr. Russell Moore describes his family’s trip to an orphanage to adopt a child. As they entered the nursery, the silence was startling. The babies in the cribs never cried, and it wasn’t because they never needed anything but because they’d learned that no one cared enough to answer.

My heart ached as I read those words. I remember countless nights when our children were small. My wife and I would be sound asleep only to be startled awake by their cries: “Daddy, I’m sick!” or “Mommy, I’m scared!” One of us would spring into action and make our way to their bedroom to do our best to comfort and care for them. Our love for our children gave them reason to call for our help.

An overwhelming number of the psalms are cries, or laments, to God. Israel brought their laments to Him on the basis of His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m. These were a people God had called His “firstborn” (EXODUS 4:22) and they were asking their Father to act accordingly. Such honest trust is seen in Psalm 25: “Turn to me and be gracious to me, . . . free me from my anguish” (VV. 16–17). Children who are confident of the love of a caregiver do cry. As believers in Jesus—children of God—He’s given us reason to call on Him. He hears and cares because of His great love.
- JOHN BLASE

Today's Reading

P SA LM 25:16–22
Turn to me and be gracious to me, for I am lonely and afflicted.
[ PSALM 25:16 ]

How comfortable are you taking your cries to God?
Why? How might you offer up a lament to Him today?

Heavenly Father, thank You so much for Your faithfulness to hear my cry and to act.

오늘의 말씀

01/19/2024     금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46-48; 마태복음 13:1-30
찬송가: 543(통342)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사랑

어느 여름 밤, 우리집 근처에 있는 새들이 갑자기 정신없이 울어대기 시작했습니다. 새들이 나무에서 날카로운 소리를 내자 그 울부짖는 소리는 더 심해졌습니다. 마침내 그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해가 질 때 큰 매가 나무 꼭대기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오며 공격하자 새들이 소리를 지르며 흩어졌는데 위험으로부터 달아나면서 경고음을 낸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 인생에서도 거짓 가르침에 대해 조심하라는 영적인 경고가 성경을 통해 들려올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들은 경고가 맞는지 의심이 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 아버지는 그런 영적인 위험을 분명하게 알려주기 위해 성경에 명확하게 제시해 주셨습니다.

예수님은 “거짓 선지자들을 삼가라 양의 옷을 입고 너희에게 나아오나 속에는 노략질하는 이리라”(마태복음 7:15)라고 가르치시고, 이어서 “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지니... 좋은 나무마다 아름다운 열매를 맺고 못된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는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고 나서 다시 “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리라”고 우리에게 경고해 주셨습니다(16-17, 20절).

잠언 22장 3절은 우리에게 “슬기로운 자는 재앙을 보면 숨어 피하여도 어리석은 자는 나가다가 해를 받는다”고 상기시켜 줍니다. 그런 경고에는 말씀을 통해 우리에게 드러내신,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이 담겨 있습니다.

새들이 신체적 위험에 대해 서로 경고했듯이, 우리 역시 성경의 경고를
주의 깊게 듣고 영적 위험에서 벗어나 피난처인 하나님의 품으로 날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7:13-23
거짓 선지자들을 삼가라 양의 옷을 입고 너희에게 나아오나 속에는 노략질하는 이리라
[마태복음 7:15]

어떤 영적인 경고가 당신의 마음에 들려왔습니까?
어떻게 성경이 경고를 확인해 주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성경을 통해 사랑으로 경고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 그 경고의 말씀에 귀를 기울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9/2024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6–48; MAT THEW 13:1–30
Hymn: 543(old 342)

GOD’S PROTECTIVE LOVE

One summer night, the birds near our home suddenly erupted into chaotic cawing. The squawking intensified as the songbirds sent piercing calls from the trees. We finally realized why. As the sun set, a large hawk swooped from a treetop, sending the birds scattering in a screeching frenzy, sounding the alarm as they flew from danger.

In our lives, spiritual warnings can be heard throughout Scripture—cautions against false teachings, for example. We may doubt that’s what we’re hearing. Because of His love for us, however, our heavenly Father provides the clarity of Scripture to make such spiritual dangers plain to us.

Jesus taught, “Watch out for false prophets. They come to you in sheep’s clothing, but inwardly they are ferocious wolves” (MATTHEW 7:15). He continued, “By their fruit you will recognize them. . . . Every good tree bears good fruit, but a bad tree bears bad fruit.” Then He warned us, “By their fruit you will recognize them” (VV. 16–17, 20).

“The prudent see danger and take refuge,” Proverbs 22:3 reminds us, “but the simple keep going and pay the penalty.” Embedded in such warnings is God’s protective love, revealed in His words to us.

As the birds warned each other of physical danger, may we heed the Bible’s warnings to fly from spiritual danger and into God’s arms of refuge.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MAT THEW 7:13–23
Watch out for false prophets. They come to you in sheep’s clothing, but inwardly they are ferocious wolves.
[ MATTHEW 7:15 ]

What spiritual warning has been speaking to your heart?
How has Scripture confirmed a warning to you?

The Scriptures warn with love, dear God, and we thank You.
May we heed those words today.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