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23/2025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113-115; 고린도전서 6
찬송가: 199(통234)

영적 계보

몇 해 전 족보에 관한 테스트를 하고 나서 나의 조상들에 대해 더 알고 싶었는데, 어머니와 지금은 돌아가신 아버지로부터 몇몇 친척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조상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내 가족의 뿌리와 연결되는 느낌을 갖게 되고 그들의 경험으로부터 배우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한편 우리의 영적인 뿌리에 대해 생각해 볼 때, 예수님의 이 땅에서의 족보가 마태복음 1:1-17과 누가복음 3:23-38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 얼마나 큰 선물인지 모릅니다. 예수님의 족보는 예수님이 메시아이며 아브라함의 직계 후손임을 확실히 보여줍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족보를 읽어 보면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 곧 그를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되게 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신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봅니다(창세기 17:1-8). 그 약속이 이루어지고 2천 년이 지나서 마태 사도는 “아브라함의 자손이요 다윗의 자손인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는 이러하다” (마태복음 1:1, 새번역)라고 기록했습니다.

성경의 족보는 예수님의 조상을 사실대로 보여줍니다. 우리는 다윗 왕 같은 왕들의 이름과 목수 요셉과 같은 평범한 사람들의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태는 거기에 다섯 명의 여인, 곧 다말, 밧세바(우리야의 아내), 라합, 룻(일부 학자들은 이들 모두 이방인이라 믿음), 그리고 마리아가 들어 있습니다.

우리를 낳아준 조상에 대한 지식과는 별개로 우리는 하나님의 가족의 일원으로서 성경 전체에 기록된 우리의 영적 조상들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얼마나 신실하셨는지를 보면서 용기를 얻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1-6. 12-17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마태복음 1:1]

우리의 영적인 역사를 아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영적 조상들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저를 하나님의 가족이 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23/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3-115; 1 CORINTHIANS 6
Hymn: 199(old234)

SPIRITUAL ANCESTRY

After I took a genealogy test a few years ago, I became curious about my ancestors. I’m grateful I got to hear stories about a few relatives from my late father and from my mother. Hearing about my ancestors helps me feel connected to my family’s roots and helps me learn from their experiences.

When it comes to our spiritual roots, what a gift that Jesus’ earthly genealogy is recorded in Matthew 1:1-17 and Luke 3:23-38. Jesus’ genealogy establishes that He’s the Messiah and a direct descendant of Abraham.

As we read His genealogy, we see God’s faithfulness in keeping His promise to Abraham to make him the father of many nations (GENESIS 17:1-8). Two thousand years after that promise was fulfilled, the apostle Matthew wrote, “This is the genealogy of Jesus the Messiah the son of David, the son of Abraham” (MATTHEW 1:1).

The biblical genealogy shows Jesus’ ancestry come to life. We see the names of royalty such as King David and ordinary people such as a carpenter named Joseph. And Matthew includes five women: Tamar, Bathsheba (Uriah’s wife), Rahab, Ruth (who some scholars believe were all gentiles), and Mary.

Whether or not we know much about our biological ancestors, we can—because we’re part of God’s family—learn about our spiritual ancestors throughout the Bible. We gain courage from seeing how faithful God was to them.
NANCY GAVILANES

Today's Reading

MATTHEW 1:1-6, 12-17
This is the genealogy of Jesus the Messiah the son of David, the son of Abraham. [ MATTHEW 1:1 ]

Why is knowing your spiritual history important?
What can you learn from your spiritual ancestors?

Heavenly Father, thank You that I’m part of Your family.

오늘의 말씀

08/22/2025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110-112; 고린도전서 5
찬송가: 70(통79)

하나님의 마음으로 보기

샨텔의 열세 살 생일날, 조용한 고향 마을에서 즐거운 축하 시간을 보낼 때 평화로운 저녁을 깨뜨리는 총성이 울렸습니다. 숨으라는 어머니의 다급한 외침에 샨텔은 형제 자매와 함께 숲으로 뛰어들어갔습니다. 거기서 한 나무 아래 몸을 피해 밤새 웅크리고 있었습니다. “아침에 해가 떴어요. 그러나 우리 부모님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라고 샨텔은 회상합니다. 샨텔과 형제 자매들은 이제 고아이자 난민이 되어 수만 명이 있는 난민 캠프에서 지내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샨텔의 경우와 같은 이야기를 들을 때 그런 엄청난 상실에 그냥 눈을 돌리고 싶은 마음이 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 속의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은 고통에서 결코 눈을 돌리지 않고, 깊은 관심을 가지고 “나그네들을 보호하시며 고아와 과부를 붙드시는”(시편 146:9) 하나님을 신뢰합니다.

“여호와는 천지... 를 지으시며 영원히 진실함을 지키시며”(6절), “억눌린 사람들을 위해 정의로 심판하시며 주린 자들에게 먹을 것을 주시는 이십니다” (7절).

난민 소녀들을 교육하는 기관을 설립한 샨텔 주지 대표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어느 누구나 한때 살았던 안전한 터전을 잃고 난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고 말합니다.

안전한 터전을 잃은 사람들을 대하는 우리의 모습이 언제나 신실하게 “압박당하는 자의 피난처”(9:9) 되시며, “넘어진 자들을 일으키시는”(146:8,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의 마음을 보여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6
여호와께서 비굴한 자들을 일으키시며 [시편 146:8]

당신이나 당신이 아는 누군가가 안전했던 터전을 잃은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어떻게 그런 경험을 통해 일하실 수 있을까요?

신실하신 하나님, 상처받은 모든 사람을 위해 피난처가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하나님의 마음을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22/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0-112; 1 CORINTHIANS 5
Hymn: 70(old79)

SEEING WITH GOD’S HEART

On Chantale’s thirteenth birthday, after hours of joyful celebration in her quiet home village, gunfire shattered the peaceful evening. Chantale and her siblings ran into the forest, obeying their mother’s frantic command to hide. All night, they huddled underneath the sanctuary of a tree. “The sun appeared in the morning. But not our parents,” Chantale recounts. She and her siblings were now orphans and refugees, joining tens of thousands in a refugee camp.

When we hear stories like Chantale’s, it can be tempting to turn away from such overwhelming loss. But those who believe in the God of Scripture believe in a God who never looks away from suffering, who attentively “watches over the foreigner and sustains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PSALM 146:9).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 . . remains faithful forever” (V. 6), ever at work upholding “the cause of the oppressed” and providing “food to the hungry” (V. 7).

Chantale Zuzi Leader, who founded an organization to educate refugee girls, says her experience taught her that “anyone can become a refugee—to lose that place of safety they once had.”

May our response to those who’ve lost a place of safety reflect the heart of the God who is an ever-faithful “refuge for the oppressed” (9:9), who “lifts up those who are bowed down” (146:8).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PSALM 146
The Lord lifts up those who arebowed down. [ PSALM 146:8 ]

How have you or someone you know lost a place of safety? How can God work through such experiences?

Faithful God, thank You for being a refuge for all who hurt. Please help me reflect Your heart.

오늘의 말씀

08/21/2025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107-109; 고린도전서 4
찬송가: 221(통525)

가난한 자들을 먹여라

리사와 프레디 맥밀런은 앨라배마 주 브루튼의 한 독특한 레스토랑의 주인입니다. 그들은 줄을 선 사람들 모두에게 무료로 따뜻한 식사를 제공합니다. 이 부부는 종종 먹을 것이 없거나 레스토랑에서 식사할 일이 거의 없는 노인들을 돕기 위해 그들이 저축한 돈을 투자했습니다. 그곳에는 기부 상자가 있어서 기부금을 받고 있습니다. 리사는 말합니다. “기부 상자에 아무것도 없을 때도 있어요. 때로는 감사 편지가 들어 있고 1,000달러가 들어 있을 때도 있어요. 거기엔 언제나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들어 있어요. 우리의 목표는 가난한 자들을 먹이고, 존엄성을 회복하고, 지역 사회를 발전 시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의지하지 않으면 궁핍한 사람들을 돌보는 것이 어려운 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복음서에는 예수님이 수천 명을 먹이신 것이 기록되어 있는데,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너희가 먹을 것을 주라”(마태복음 14:16)고 하시며 그들을 참여케 하셨습니다. 사도행전에서 우리는 초대교회 때 신자들이 “모든 것을 공동으로 사용하고,” “그들 가운데 가난한 사람이 한 사람도 없었다”(4:32, 34, 새번역)는 사실을 봅니다. 그들 중 많은 사람이 재산을 팔아 사도들에게 주었고, 사도들은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누어 주었습니다”(34-35절). 그들은 자신의 재물이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다른 사람들을 위해 스스로 가진 것을 내어놓았습니다.

하나님은 때로 그분 자신의 손으로, 때로는 그의 백성들의 손을 통해 공급해 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필요를 채워 주심으로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채울 수 있게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4:32-37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자기 재물을 조금이라도 자기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더라 [사도행전 4:32]

하나님께서 어떻게 당신에게 필요를 공급해 주셨습니까? 하나님께서 우리 주위 사람들에게 공급해 주시는 일에 우리가 어떻게 동참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제 삶에 풍성히 공급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저에게 주신 것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 줄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21/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7-109; 1 CORINTHIANS 4
Hymn: 221(old525)

FEED THE NEED

Lisa and Freddie McMillan own a unique restaurant in Brewton, Alabama. They offer a full hot meal to all who stand in line— at no charge. This couple has invested from their own savings to make a difference for senior citizens who often go without meals and rarely enjoy a restaurant experience. A donation box receives contributions. Lisa says, “Sometimes we find nothing there. Sometimes a thank-you note. Sometimes $1,000. Always, we have everything we need. Our goal is to feed the need, restore dignity, and develop community.”

Caring for the needy can seem a daunting task—unless we depend on God! The Gospels include records of Jesus feeding thousands by inviting His disciples to participate: “You give them something to eat” (MATTHEW 14:16). In the book of Acts, we learn that in the early church, believers “shared everything they had” and “there were no needy persons among them” (4:32, 34). Many of them sold property and gave the proceeds to the apostles, who “distributed to anyone who had need” (VV. 34-35). Understanding that their possessions ultimately belonged to God, they voluntarily invested in the lives of others from what they owned.

God provides. Sometimes by His own hand and sometimes through the hands of His people. He feeds our need so that we can feed the need of others.
ELISA MORGAN

Today's Reading

ACTS 4:32-37
No one claimed that any of their possessions was their own, but they shared everything they had. [ ACTS 4:32 ]

How has God provided for you? How can we join God din providing for those around us?

Dear God, I’m so grateful for Your abundant provision in my life! Please help me to give to others from what You’ve given to me.

오늘의 말씀

08/20/2025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105-106; 고린도전서 3
찬송가: 383(통433)

그리스도께 시선을 고정하라

앤드류는 아들에게 자전거 타는 법을 가르쳐주다 맥이 풀렸습니다. 다섯 살 난 아들이 계속 한쪽으로 기울며 넘어지는 것이었습니다. 아들이 한쪽만 계속 쳐다보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을 알게 된 아빠에게 한 가지 방법이 떠올랐습니다. 그는 아들에게 말했습니다. “저 앞에 기둥 보이지? 그것만 계속 바라보고 페달을 밟아봐.” 아들이 그 말대로 따라 하자 이번에는 계속 앞으로 나갔습니다!

이 일은 앤드류 자신에게도 교훈이 되었습니다. 그는 나중에 소그룹 모임에서 이 이야기를 하면서 우리는 자기의 시선을 두는 그곳으로 가게 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실 히브리서 12장 2절에서도 우리에게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를 얽매는 죄의 습관과 집착들처럼(1절), 살면서 맡은 일들과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우리는 우리의 영적 시선을 딴 데로 돌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예수님을 계속 바라보며 우리의 생각과 결정과 행동에서 예수님을 최우선에 두게 해달라고 간구하면, 예수님은 우리가 하는 모든 일과 말에서 우리를 인도하여 우리가 이 땅에 사는 동안 예수님 곁에 가까이 머무를 수 있게 하실 것입니다. 이것은 힘든 일일 수도 있지만, 하나님은 그분이 주신 역할을 다할 수 있게 우리를 도우실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앞을 막는 어떤 것도 견디고 이길 수 있는 힘을 주셔서 우리를 “피곤하여 낙심하지 않게”(3절) 하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2:1-3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하며... 예수를 바라보자
[히브리서 12:1-2]

결정을 내리거나 어떤 상황에 대응해야 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하거나 행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어떻게 예수님이 당신의 말과 행동과 생각을 인도하시게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인생을 살아갈 때 예수님께 시선을 고정시킬 수 있게 도와주소서. 예수님만이 제게 필요한 전부이니 예수님께로 먼저 향할 수 있게 가르쳐 주소서.

Daily Article

08/20/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5-106; 1 CORINTHIANS 3
Hymn: 383(old433)

EYES FIXED ON CHRIST!

Teaching his son to ride a bicycle, Andrew discovered, was frustrating. The five-year-old kept swerving to one side and falling. Realizing that this happened because his son kept looking to one side, Andrew had an idea. “See that pole?” he asked his son. “Just keep your eyes on it and pedal.” His son did just that, and this time he kept going and going!

The incident was a lesson for Andrew himself. Recounting what happened to his small group later, he concluded: Whatever we fix our eyes on is where we’re headed. No wonder Hebrews 12:2 calls on us to keep “fixing our eyes on Jesus, the pioneer and perfecter of faith.”

Life’s responsibilities and routines can draw our attention away from our spiritual walk, as can sinful habits and obsessions that entangle us (V. 1). But if we keep our eyes on Jesus and ask Him to help us put Him first in our thoughts, decisions, and actions, He’ll guide us in everything we do and say, enabling us to stay close to Him in the race on earth. This can be challenging, but God desires to help us fulfill the roles He’s given us. He will give us strength to endure and overcome anything that opposes our walk so we won’t “grow weary and lose heart” (V. 3).
LESLIE KOH

Today's Reading

HEBREWS 12:1-3
Let us run with perseverance the race marked out for us, fixing our eyes on Jesus. [ HEBREWS 12:1-2 ]

What’s the first thing you think or do when you have to make a decision or respond to a situation? How can you let your words, actions, and thoughts be guided by Jesus?

Dear Jesus, please help me to keep my eyes fixed on You as I go about life. Please also teach me to turn to You first, for You’re all I need.

오늘의 말씀

08/19/2025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103-104; 고린도전서 2
찬송가: 78(통75)

하나님 영광의 한 모습

호주의 사진작가 크리스찬 스펜서는 20년이 넘도록 브라질의 국립공원 이타티아이아에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의 사진의 놀라운 점은 벌새의 펼쳐진 날개를 통과하는 햇빛의 효과를 포착한 것입니다. 그는 새들이 밝은 태양과 카메라 렌즈 사이를 날 때 날개가 프리즘처럼 무지개 빛깔을 만들어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다른 사진작가들도 벌새뿐 아니라 다른 새들 에게서 이것을 포착했습니다.

새의 날개에서 무지개 빛깔을 찾아낸 것은 하나님께서 그의 창조물에 숨겨두신 보물 가운데 하나의 예입니다. 그런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볼 때 우리는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이 보좌에 앉으신 예수님을 바라볼 때 그 모습이 어떨지 알고 싶기도 합니다. 요한계시록 4장에서 요한이 하늘의 보좌를 보았을 때 넋을 잃었을 것 같습니다. 그는 보좌에 앉아 계신 그리스도를 묘사하면서 “보좌를 둘러싸고 있는 무지개는 녹보석 같았다”(3절)고 말합니다. 사도에게 계시된 하나님의 영광은 어떤 말로도 다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창조물 속에 숨겨진 보물들을 발견할 때마다 천국에는 훨씬 더 많은 것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찾아낸 보물 하나 하나를 즐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천국에서 우리는 창조주 하나님을 경배하고 그분을 영원히 찬양할 것입니다: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권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11절).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4:1-4, 6-11
앉으신 이의 모양이 벽옥과 홍보석 같고 또 무지개가 있어 보좌에 둘렸는데 그 모양이 녹보석 같더라 [요한계시록 4:3]

하나님의 창조물 안에 어떤 다른 숨겨진 보물들을 발견한 적이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창조물을 통해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알게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위엄을 드러내는 창조물 속에 숨겨두신 보석들에 감사를 드립니다.

Daily Article

08/19/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3-104; 1 CORINTHIANS 2
Hymn: 78(old75)

HINTS OF GOD’S GLORY

Australian photographer Christian Spencer has spent more than twenty years taking pictures in the Itatiaia National Park in Brazil. One amazing aspect of his photography is that he’s captured the effect of sunlight passing through the open wings of the hummingbird. He’s found that the wings create a prism-like rainbow of colors when birds fly between the bright sun and his camera lens. Other photographers have also captured this in birds other than just the hummingbird.

Finding rainbows of colors in birds’ wings is an example of some of the hidden treasures God has placed in His creation. Such beauty and magnificence can pique our curiosity for what believers in Jesus will observe when they see Him sitting on His throne. When John saw the heavenly throne in Revelation 4, he must have been mesmerized. He describes Christ on the throne with “a rainbow that shone like an emerald” encircling it (V. 3). Words cannot describe the glory of God that was revealed to the apostle.

As we find hidden treasures in God’s creation, may we enjoy each one, knowing there’s so much more awaiting us in heaven. There, we will worship our Creator and praise Him forever: “You are worthy, our Lord and God, to receive glory and honor and power, for you created all things, and by your will they were created and have their being” (V. 11).
BRENT HACKETT

Today's Reading

REVELATION 4:1-4, 6-11
The one who sat there had the appearance of jasper and ruby. A rainbow that shone like an emerald encircled the throne. [ REVELATION 4:3 ]

What other hidden treasures have you found in God’s creation?
How can you use creation to point others to Christ?

Dear God, thank You for the hidden gems in Your creation that point to Your majesty.

오늘의 말씀

08/18/2025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100-102; 고린도전서 1
찬송가: 430(통456)

약속을 지키시는 하나님

미국 전역에서 부유한 후원자들이 학생들에게 아주 고무적인 약속을 했습니다. 초, 중, 고등학교를 다니며 우수한 학업 성적을 거두면 자신이 사는 주의 공립 커뮤니티 칼리지나 대학교의 학비를 4년 동안 지원해 준다는 것이었습니다. 통계에 의하면 어떤 도시에서는 이 소식을 접한 후 가난하든 부유하든 학생들이 더 열심히 공부하는 동기 부여가 되었다고 합니다. 한 교사는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어요. 유치원생들도 모두 대학에 가겠다고 합니다. 정말 그래요.”라고 말했습니다. 미래에 대한 약속이 미래에 대한 열망과 희망을 키워준 것입니다.

요한 사도는 앞으로 있을 일에 대한 약속을 말함으로써 당시의 신자 들에게 믿음의 동기를 갖게 해주었습니다. 예수님은 다시 오실 것이라고 약속 하셨습니다. 그리고 다시 오실 때에는 “우리도 그분처럼 되어 그분의 참 모습을 보게 될 것”(요한1서 3:2, 현대인의 성경)이라고 요한은 말합니다. 그는 “주를 향하여 이 소망을 가진 자마다 그의 깨끗하심과 같이 자기를 깨끗하게 한다” (3절)고 믿는 자들을 격려했습니다. 우리에게는 언젠가 예수님을 만나볼 것 이라는 확신이 있습니다. 그 약속 때문에, 그리고 우리를 사랑하시는 예수님의 사랑의 보답으로 우리도 예수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예수님을 더 닮고 싶은 우리의 바람도 더욱 자라가게 됩니다.

예수님을 직접 대면해 뵙는 그때는 얼마나 대단한 순간이 될까요! 그때 까지 우리는 계속 예수님을 따르고 믿음을 키우며 주님의 다시 오심을 고대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약속을 지키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3:1-6
주를 향하여 이 소망을 가진 자마다 그의 깨끗하심과 같이 자기를 깨끗하게 하느니라 [요한1서 3:3]

어떻게 하면 예수님과 늘 가까이 동행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의 어떤 면을 더욱 닮아가고 싶습니까?

예수님, 주님을 만나 모든 면에서 온전한 모습이 되는 그날을 고대합니다.

Daily Article

08/18/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0-102; 1 CORINTHIANS 1
Hymn: 430(old456)

GOD WILL KEEP IT

Wealthy benefactors in communities across the United States have made an inspiring promise to students. If they get good grades throughout their thirteen years of school in their district, the benefactors will pay for four years at a public community college or university in their state. Statistics have shown in some cities that this motivates the students, rich and poor, to start doing well immediately after they hear the news. One teacher said, “It’s been a total shift in mindset. Every kindergartener will tell you they’re going to college. It’s reality.” The promise of what’s to come increases their desire and hope for their future.

The apostle John talked about a promise of what’s to come that helped motivate the early believers in their faith. Jesus promised to return; and when He does, John says, “We shall be like him, for we shall see him as he is” (1 JOHN 3:2). He encouraged his readers: “All who have this hope in him purify themselves, just as he is pure” (V. 3). We have the confident hope that one day we will see Jesus. And because of that promise, our desire to be more like Him increases because we’re loved by Him and love Him in return.

What a time that will be when we see Jesus face to face! Until then, we keep following Him, growing in our faith, and anticipating His coming. God will keep His promise.
ANNE CETAS

Today's Reading

1 JOHN 3:1-6
All who have this hope in him purify themselves, just as he is pure. [ 1 JOHN 3:3 ]

How can you keep walking closely with Jesus?
In what ways do you want to become more like Him?

I look forward to seeing You, Jesus, and to being made whole in every way.

오늘의 말씀

08/17/2025     주일

성경읽기: 시편 97-99; 로마서 16
찬송가: 105(통105)

우리를 구원하신 예수님

아문센 스콧 남극 기지에서 일하는 두 사람에게 긴급 의료조치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한 사람에게 심장마비가 일어났고, 또 한 사람은 위장에 문제가 생겨 위독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을 도울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구조작전을 실시하는 것뿐이었습니다. 그러나 2월부터 10월까지 어두움과 섭씨 영하 75도의 혹독한 환경 때문에 겨울철에는 보통 비행기들이 위험을 감수하며 전초기지로 가지 않습니다. 그러나 조종사들은 이들의 구조에 나서기로 결정하고 이틀 간의 위험한 비행 끝에 그들을 구해냈습니다.

구조에 관한 이야기에는 언제나 감동이 있습니다. 그 중에도 예수님이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신 것은 가장 위대한 구조 이야기입니다. 베드로 사도는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베드로전서 2:24)고 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자신의 몸에 지심으로 우리를 구해 주셨습니다. 예수님이 그 죄들을 짊어지심으로 나를 위하여, 그리고 “여러분을 위하여 고난을 당하시는” 희생을 감당하신 것입니다(21절, 새번역). 십자가에서 예수님은 “율법의 저주”(갈라디아서 3:13)를 지시고 우리의 수치를 견뎌 내셨습니다.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얻었고, 그가 죽으심으로 우리는 죄의 형벌과 권세에서 구원을 받게 되었습니다(베드로전서 2:24; 이사야 53:5).

우리를 위해 가장 가혹한 상황을 기꺼이 견디신 예수님에 의해 우리가 절박한 상황에서 구조되었다는 사실을 알 때 얼마나 감격스럽고 놀라운지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21-25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너희는 나음을 얻었나니 [베드로전서 2:24]

예수님이 주신 구원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옵니까?
다른 사람들도 그것을 경험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놀라운 희생을 통해 저를 구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17/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7-99; ROMANS 16
Hymn: 105(old105)

JESUS RESCUED US

Two workers at the Amundsen-Scott South Pole Station desperately needed medical care. One had suffered a heart attack and the other was experiencing life-threatening gastric issues. The only way to ensure their recovery was to launch a rescue mission. Due to harsh conditions, however, including darkness and -75 degrees Celsius (-103°F) temperatures from February to October, planes didn’t normally risk flying to the outpost during winter. But the pilots were determined to rescue the workers—and they did, despite enduring a difficult two days of challenging flights.

Stories of rescue are inspiring. The greatest rescue story was when Jesus rescued us from sin. The apostle Peter wrote, “ ‘He himself bore our sins’ in his body on the cross, so that we might die to sins and live for righteousness” (1 PETER 2:24). He rescued us by bearing our sins in His body. He carried them as a sacrifice—a sacrifice in which he “suffered for you” and for me (V. 21). On the cross, Christ bore “the curse of the law” (GALATIANS 3:13) and endured our shame. He was wounded so we might be healed, and He died so that we might be delivered from the penalty and power of sin (1 PETER 2:24; ISAIAH 53:5).

How amazing it is to know that we were rescued from our own desperate condition by one who was willing to endure the harshest of conditions for us!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1 PE T ER 2:21-25
“He himself bore our sins” in his body on the cross, so that we might die to sins and live for righteousness; “by his wounds you have been healed.” [ 1 PETER 2:24 ]

What does the rescue Christ provided mean to you?
How can you help others experience it?

Dear Jesus, thank You for Your incredible sacrifice and for rescuing me.

오늘의 말씀

08/16/2025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94-96; 로마서 15:14-33
찬송가: 559(통305)

다른 사람들을 위한 공간

우리 가족은 매년 벽에 거는 달력을 직접 만드는데 요즘에는 넣을 것이 좀 많아졌습니다. 우리는 달력을 만들 때 지난 해에 찍은 사진 가운데 마음에 드는 것들을 넣고 중요한 날들은 눈에 띄게 합니다. 그리고 집안에 배우자와 자녀들이 새로 늘어날 때마다 사진이 빠지지 않게 계속 넣었습니다. 생일이 같은 경우도 두 번 있었고, 어떤 공휴일은 식구들 기념일들로 채워졌습니다. 그럼에도 달력의 품격이 떨어지기보다는 새 가족 들로 인해 나에게는 더 소중한 달력이 되었습니다.

하나님 나라에서는 새 신자가 더해지는 것이 언제나 축복입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고독한 자들을 가족과 함께 살게 하신다”(시편 68:6)고 말합니다. 하나님을 “고아의 아버지”이시며 “과부의 재판장”(5절)이라 한 것처럼 그분의 사랑과 보호는 가족이라는 관계 안에서 이루어집니다. 하나님은 소외되고, 수치를 당하며, 정죄 받는 사람들을 마음으로 받아 주시며 “갇힌 자들을 이끌어내사 형통하게 하십니다”(6절).

예수님을 믿어 하나님의 가족으로 입양된 우리는(갈라디아서 4:5) 모두에게 열려 있는 하나님의 초대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야 할 사명이 있습니다 (고린도후서 5:20). 우리 집 달력처럼 하나님 가족으로 초대받아 들어오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그 달력은 더 아름답게 됩니다. 우리는 가진 자원이 부족 해질까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누구나 들어올 자리가 충분하며 하나님은 이렇게 새 가족이 늘어나는 것을 기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8:1-10
하나님이 고독한 자들을 가족과 함께 살게 하시며
[시편 68:6]

오늘 어떻게 사람들을 하나님의 가족으로 초대할 수 있을까요? 누구나 들어올 자리가 있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요?

저를 사랑하시고 그 하나님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게 하시는 하나님,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16/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4-96; ROMANS 15:14-33
Hymn: 559(old305)

MAKING ROOM FOR OTHERS

Each year my family designs a custom wall calendar, but lately it’s gotten a bit crowded. We decorate each month with our favorite photos from the previous year and highlight significant dates. As our family welcomes new spouses and children, we’ve had to squeeze in more photos to make sure every person is included. We now have two sets of shared birthdays, and some holidays are covered up by anniversaries. But instead of detracting from the calendar, all the new members make it even more precious to me.

In God’s kingdom, the inclusion of newcomers is always a blessing. The Bible tells us that “God sets the lonely in families” (PSALM 68:6). His love and protection are communicated in the context of a family, as He’s “a father to the fatherless” and “a defender of widows” (V. 5). His heart is to welcome those who are isolated, ashamed, or accused, and thus “he leads out the prisoners with singing” (V. 6).

As believers in Jesus, we’ve been adopted into God’s family (GALATIANS 4:5), and we’re commissioned to share His open invitation with others (2 CORINTHIANS 5:20). Like my family calendar, the more people who accept the invitation into God’s family, the more beautiful it becomes. We don’t have to be concerned about running out of a finite resource—there’s room enough for everyone, and He delights in new additions.
KAREN PIMPO

Today's Reading

PSALM 68:1-10
God sets the lonely in families.
[ PSALM 68:6 ]

How can you share the invitation to God’s family with others today? What does it mean that there’s room for all?

Thank You, God, for loving me and letting me share Your love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8/15/2025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91-93; 로마서 15:1-13
찬송가: 395(통450)

하나님의 자산

자산이란 단어를 들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무엇입니까? 부동산을 떠올릴 수도 있겠지만, “개인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특성”을 생각해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목재의 자산인 특성이 그 목재에 대해 말해주는 것입니다. 목재의 질감이 어떤지? 얼마나 쉽게 수축하는지? 방수는 되는지? 다시 말해, 당신이 기대하는 그 목재의 품질이 무엇이냐 하는 것입니다.

나는 아내와 함께 연합기도, 무릎 꿇기, 성경 읽기, 성찬식 등을 행하는 전통적인 분위기의 교회에 다닙니다. 우리가 주일마다 하는 기도 중 하나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주님은 항상 자비를 베푸시는 자산을 가지신 동일한 주님이십니다.” 하나님의 자산은 부동산이 아니며, 가끔 한 번씩이 아니라 항상 자비를 베푸시는 하나님의 성품 또는 특성입니다.

느헤미야 9장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함께 모여 금식하며 굵은 베옷을 입고 티끌을 덮어쓴 채(1절) 그들과 조상들의 죄를 고백하는 장면을 보여줍니다(2, 16절). 그들은 지난 시간 이스라엘을 인내하신 하나님을 찬양하며 “주의 크신 긍휼로 그들을... 버리지아니하셨다”(19절)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죽이거나 버리실 수도 있었지만 절대로 그러지 않으셨습니다. 이유가 무엇 일까요? 그것은 “은혜로우시고 불쌍히 여기시는 하나님께서” 그렇게 한다는 것은 그분의 ‘자산’이 아니기 때문입니다(31절).

기도로 고백할 때, 신뢰할 수 있는 하나님의 자산인 그분의 자비를 찬양 합시다.

오늘의 성구

느헤미야 9:1-2, 13-21
주는 은혜로우시고 불쌍히 여기시는 하나님이심이니이다
[느헤미야 9:31]

하나님의 어떤 자산이 생각나십니까? 그 자산들을 생각하며 어떻게 하나님을 찬양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항상 자비를 베푸시는 하나님의 자산, 곧 하나님의 성품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8/15/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1-93; ROMANS 15:1-13
Hymn: 395(old450)

GOD’S PROPERTY

What’s the first thing that comes to mind when you hear the word property? Your mind may go to a piece of real estate. But you might also consider “a quality or trait belonging to an individual or thing”; for instance, the property of a certain type of wood provides insight about it. What is the wood’s texture? How prone is it to shrinkage? Is it water-resistant? In other words, what are the qualities of the wood you can depend on?

My wife and I attend a church with a traditional feel—corporate prayers, kneeling, Scripture reading, Communion. One of the prayers we pray each Sunday holds this phrase: “But thou art the same Lord whose property is always to have mercy.” Not God’s real estate but a quality or trait belonging to God—to have mercy not just once in a while but always.

Nehemiah 9 gives us a picture of the Israelites gathered together, fasting, wrapped in sackcloth and covered in ashes (V. 1), confessing their sins and the sins of their ancestors (VV. 2, 16). They praised God for His patience in Israel’s history: “Because of your great compassion you did not abandon them” (V. 19). God could have put an end to them or abandoned them, but He never did. Why? That’s not God’s property, for He is “a gracious and merciful God” (V. 31).

In our prayers of confession, let’s include praise for that dependable property of God—His mercy.
JOHN BLASE

Today's Reading

NEHEMIAH 9:1-2, 13-21
You are a gracious and merciful God.
[ NEHEMIAH 9:31 ]

What properties of God can you think of? How will You praise Him for those?

Thank you, Father, that Your property—Your character— is always to have mercy.

오늘의 말씀

08/14/2025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89-90; 로마서 14
찬송가: 267(통201)

공급하시는 하나님

나의 친한 친구 샐리는 한 친구에게 생일 파티를 열어주고 싶었습니다. 그 친구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을 알았기에 친구의 기분을 풀어주고 싶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샐리는 일자리가 없었고 멋진 파티에 들어갈 음식을 살 여윳돈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무엇이 있는지 보려고 냉장고와 찬장을 뒤졌습니다. 그리고 전에 사다 놓았던 여러 가지 재료를 가지고 멋진 스프레드(역주: 빵 등에 바르는 식재료)를 만들었습니다.

샐리가 생각해낸 그 창의적인 메뉴 이야기를 들었을 때 엘리야와 과부의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열왕기상 17:7-16). 과부는 가진 것이 거의 없었습니다. 사실 그 과부는 엘리야 선지자에게 자기와 아들을 위해 남은 재료로 음식을 만들어 먹고 “[그 후에는] 굶어 죽으리라”고 말했습니다(12절). 그에게는 마지막 끼니를 간신히 때울 만큼의 밀가루와 올리브 기름만 있을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엘리야는 하나님이 다시 비를 보내주실 때까지 “통의 가루가...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리라”고 그 여인에게 확신시켜 주었습니다(14절). 그 여인은 비록 가진 것은 부족했지만 엘리야를 통한 하나님의 계시를 믿음 으로써 부엌에 먹을 것이 없어도 하나님이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내 친구처럼 그 과부도 필요한 것을 얻었습니다. 우리도 그들을 따라 베풀고 살면서, 우리의 필요를 공급하시는 하나님 안에서 쉼을 얻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7:7-16
그와 엘리야와 그의 식구가 여러 날 먹었으나 [열왕기상 17:15]

무엇이 오늘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것을 방해하고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자원이 부족해 보이는 상황에서도 넉넉히 내어줄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께서 저의 필요를 채워 주시는 것을 믿고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14/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9-90; ROMANS 14
Hymn: 267(old201)

GOD PROVIDES

My dear friend Sally wanted to give a birthday party for one of her friends. She knew her friend had been experiencing a tough time, and Sally desired to help lift her spirits. However, Sally was unemployed and didn’t have extra money to purchase food for a nice party. So she looked in her refrigerator and cabinets to see what was available. She then created a nice spread consisting of many items she’d previously purchased and had in her home.

When Sally shared with me the creative menu she came up with, I thought about the story of Elijah and the widow (1 KINGS 17:7-16). The widow didn’t have much. In fact, she told the prophet Elijah that she was going to prepare her final scraps of food for herself and her son “and [then] die” of starvation (V. 12). And she only had a small amount of flour and olive oil, just enough for their final meal.

But Elijah ensured the woman that her “jar of flour . . . and the jug of oil [would] not run dry” until God sent rain again (V. 14). By trusting in what God revealed through Elijah—even though she didn’t think she had enough—the woman found that God provided what she needed even though her kitchen was barren.

Just like my friend, the widow found what she needed. Following their examples, let’s live generously and rest in God’s provision for us.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1 KINGS 17:7-16
There was food every day for Elijah and for the woman and her family. [ 1 KINGS 17:15 ]

What’s causing you to resist sharing with others today? How can you give generously even when it seems like you’re lacking resources?

Heavenly Father, please help me to share with others as I trust You to provide what I need.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