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06/2024 목요일
하나님께 감사
식탁에 음식을 차려 놓은 친구는 방금 집에 온 남편에게 약간 미안해하며 말했습니다. “당신이 별로 좋아하는 음식이 아니네.” 남편은 그녀를 올려다 보며 “여보, 나는 상 위에 음식이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해.”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태도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매일 공급해주시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감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줍니다. 우리의 일용할 양식에 감사하는 태도는 예수님의 본을 따르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부활하신 후 두 제자와 식사하실 때 “빵을 들어서 축복하시고, 떼어서 그들에게 주셨습니다” (누가복음 24:30, 새번역). 예수님은 이전에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 (요한복음 6:9)로 오천 명을 먹이셨을 때에도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드렸습니다. 우리가 일용할 양식과 공급해 주신 다른 것들에 대해 감사드리는 것은 예수님처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께 감사로 영광을 돌리는 것입니다. 오늘 하나님께 감사합시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4:28-35그들과 함께 음식 잡수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니
[누가복음 24:30]
당신은 예수님께 얼마나 자주 감사합니까?
감사하는 것이 어떻게 예수님을 영화롭게 할까요?
모든 만물의 하나님, 저에게 일용할 양식과 필요한 모든 것을 채워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6/2024 Thursday
GIVE THANKS TO GOD
As she placed the dish on the table, she said somewhat apologetically to her husband who had just arrived home: “I know this isn’t your favorite.” Her husband looked up and said, “Honey, I’m just happy we have food on the table.”
His attitude reminds me of the importance of being grateful and thankful for our daily provisions from God—whatever they are. Giving thanks for our daily bread, or meals, models Jesus’ example. When He ate with two disciples after His resurrection, Christ “took bread, gave thanks, [and] broke it” (LUKE 24:30). He thanked His Father as He had earlier when He’d fed the five thousand with five “loaves and two small fish” (JOHN 6:9). When we give thanks for our daily meals and for other provisions, our gratitude reflects Jesus’ ways and honors our heavenly Father. Let’s give thanks to God today.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LUKE 24:28-35When he was at the table with them, he took bread, gave thanks, broke it and began to give it to them.
[ LUKE 24:30 ]
How often do you show your thanks to Jesus?
How does it honor Him to do so?
God of all, thank You for my daily bread and all the other needs You meet for me.
오늘의 말씀
06/05/2024 수요일
하나님이 좋아하고 사랑하는 사람
“좋아요” 표시를 만든 저스틴 로젠스타인은 “서로를 깎아내리기보다는 격려해주는 세상”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 싶었다고 했으나, 사용자들이 건강치 못하게 소셜미디어에 중독되게 한 것 같아 마음이 아팠습니다.
나는 로젠스타인이 만든 이 표시가 남의 인정을 받고 서로 연결되기 원하는 우리의 타고난 욕구에 잘 맞는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알고, 관심을 갖고, ‘좋아하는지’를 알고 싶어합니다. 이 “좋아요” 표시는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서로 알고 알려지고 싶은 우리의 욕구는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실 때만큼 오래된 것입니다.
그럼에도 “좋아요” 버튼으로는 그 욕구를 다 해결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감사하게도 우리는 디지털로 인정 표시를 해주는 것보다 훨씬 더 깊게 사랑하시는 하나님을 섬기고 있습니다. 예레미야 1장 5절은 하나님께서 부르신 선지자와 하나님과의 참으로 깊은 상관 관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내가 너를 모태에 짓기 전에 너를 알았고 태에서 나오기 전에 너를 성별하였다.”
하나님은 이 선지자가 잉태되기 전부터 그를 아시고, 의미와 사명이 있는 삶을 살도록 그를 계획하셨습니다(8-10절). 그리고 하나님은 우리 또한 목적이 있는 삶으로 부르셔서, 우리를 너무나 잘 아시고 사랑하시고 좋아하시는 이 하나님 아버지를 알아가게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1-10내가 너를 모태에 짓기 전에 너를 알았고 네가 배에서 나오기 전에 너를 성별하였고
[예레미야 1:5]
하나님을 친밀하게 알게 될 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목적이 있는 삶을 살 때 어떻게 평화가 찾아올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를 세밀히 돌보시며 계획하신 대로 하루 하루 저를 빚어가시는 것을 알고 하나님의 사랑과 제게 주신 소명 가운데 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5/2024 Wednesday
LIKED AND LOVED BY GOD
The “like” designer, Justin Rosenstein, said he wanted to help create “a world in which people uplift each other rather than tear each other down.” But Rosenstein came to lament how his invention might have enabled users’ unhealthy addiction to social media.
I think Rosenstein’s creation speaks to our hardwired need for affirmation and connection. We want to know that others know us, notice us—and, yes, like us. The “like” is fairly new. But our hunger to know and be known is as old as God’s creation of man.
Still, the like button doesn’t quite get the job done, does it? Thankfully, we serve a God whose love goes so much deeper than a digital nod. In Jeremiah 1:5, we witness His profoundly purposeful connection with a prophet whom He called to Himself. “Before I formed you in the womb I knew you, before you were born I set you apart.”
God knew the prophet even before conception and designed him for a life of meaning and mission (VV. 8-10). And He invites us too into a purposeful life as we come to know this Father who so intimately knows, loves, and likes us.
- ADAM R. HOLZ
Today's Reading
JEREMIAH 1:1-10Before I formed you in the womb I knew you, before you were born I set you apart.
[ JEREMIAH 1:5 ]
How does knowing God intimately affect how you relate to others?
How can living with purpose bring peace?
Father, help me to rest in Your love and calling on my life, to know that You care for me intimately as You shape me for each of the days You’ve planned for me.
오늘의 말씀
06/04/2024 화요일
갈증과 감사
시편 기자는 그랜드캐년에서의 경험은 없었어도 목이 말라 겁에 질렸을 한 사슴의 형편을 잘 알았던 것 같습니다. 사슴의 “갈급함”(시편 42:1), 이 말에는 목마름과 굶주림, 그리고 이것이 해결되지 않으면 죽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들어있습니다. 시편 기자는 목마른 사슴이 갈급한 것 같이 자신도 하나님을 찾기에 갈급하다고 표현했습니다. “하나님이여... 내 영혼이 주를 찾기에 갈급하나이다”(1절).
물이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 같이 하나님은 항상 우리 옆에서 도움을 주십니다. 하나님은 지친 우리의 삶에 새로운 능력과 활기를 불어주시고 하루를 사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채워주시는 분이기에 우리는 하나님을 찾기에 갈급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2:1-5하나님이여... 사슴이 시냇물을 찾기에 갈급함 같이 내 영혼이 주를 찾기에 갈급하나이다
[시편 42:1]
당신이 몹시 목마르거나 굶주려서 두려웠던 적이 있었습니까?
왜 하나님이 함께 하시기를 갈망해야 할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의 삶을 채워 주실 때 새 힘이 생기는 것을 감사합니다.
하나님 아닌 다른 것을 찾는 저를 용서해 주소서.
Daily Article
06/04/2024 Tuesday
THIRSTY AND THANKFUL
The psalmist didn’t have a Grand Canyon experience, but it’s clear he knew how a deer acts when thirsty and possibly scared. The deer “pants” (PSALM 42:1), a word that brings to mind thirst and hunger, to the point where if something doesn’t change, you’re afraid you might die. The psalmist equates the deer’s degree of thirst to his desire for God: “so my soul pants for you, my God” (V. 1).
Like much-needed water, God is our ever-present help. We pant for Him because He brings renewed strength and refreshment to our weary lives, equipping us for whatever the day’s journey holds.
- JOHN BLASE
Today's Reading
PSALM 42:1-5As the deer pants for streams of water, so my soul pants for you, my God.
[ PSALM 42:1 ]
When have you been intensely thirsty or hungry, and scared?
Why should you be longing for God’s presence?
Loving God, thank You for the renewed strength I experience as You fill my life.
Forgive me for looking to any other source but You.
오늘의 말씀
06/03/2024 월요일
우리를 깨끗하게 하시는 예수님
우리가 죄와 수치를 지닌 채 처음 예수님께 나아가 용서를 구하고 예수님을 우리의 구주로 영접하면, 주님은 우리를 죄에서 깨끗케 하시고 새롭게 해주십니다. 탁한 물이 변하여 맑은 식수가 되는 것처럼 우리가 깨끗해지는 것입니다. 예수님이 치르신 희생으로 우리가 하나님 앞에 바로 서 있다는 사실 (고린도후서 5:21)과 동이 서에서 먼 것 같이 하나님이 우리의 죄를 멀리 옮기신다 (시편 103:12)는 것을 알 때 얼마나 큰 기쁨이 되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요한 사도는 이 사실이 우리가 다시는 죄를 짓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일깨워 줍니다. 하지만 우리가 죄를 지을 때 우리는 정수기가 보여주는 것처럼 다시 깨끗해질 수 있음을 확신할 수 있으며,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요한1서 1:9)임을 알고 평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끊임없이 깨끗케 하신다는 사실을 확실히 알며 살아가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1:5-10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요한1서 1:9]
예수님께 우리 죄의 용서를 구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죄에 묶여 살 필요가 없게 된 것을 알게 되니 어떤 느낌이 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죄를 고백하면 신실하고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용서해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3/2024 Monday
CLEANSED BY CHRIST
When we first come to Jesus with our guilt and shame and ask Him to forgive us and we receive Him as our Savior, He cleanses us from our sins and makes us new. We’re purified just like the murky water was transformed into clean drinking water. What a joy it is to know we are in right standing with God because of Jesus’ sacrifice (2 CORINTHIANS 5:21) and to know God removes our sins as far as the east is from the west (PSALM 103:12).
But the apostle John reminds us that this doesn’t mean we’ll never sin again. When we do sin, we can be assured by the image of a water filter and be comforted by knowing that as “we confess our sins, he is faithful and just and will forgive us our sins and purify us from all unrighteousness” (1 JOHN 1:9).
Let’s live confidently knowing that we’re continually being cleansed by Christ.
- NANCY GAVILANES
Today's Reading
1 JOHN 1:5-10He is faithful and just and will forgive us our sins and purify us.
[ 1 JOHN 1:9 ]
Why is it vital to ask Jesus to forgive you of your sins?
How does it feel to know you don’t have to be a prisoner of sin?
Dear God, thank You that You’re faithful and just to forgive me if I confess my sins to You.
오늘의 말씀
06/02/2024 주일
은혜로 받은 것을 은혜로 나눔
몇 시간이 지나 밍에게서 전화가 와서는 “당신에게 필요한 돈을 앤과 내가 무이자로 빌려줄게요.”라고 했습니다. 나는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그런 부탁은 할 수가 없어요.”라고 하니, 밍은 유쾌하게 “당신이 부탁하는 게 아니예요!”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들은 우리에게 흔쾌히 돈을 빌려주었고, 캐리와 나는 그 빚을 최대한 빨리 갚았습니다.
나는 밍과 앤이 하나님을 향한 사랑으로 그렇게 은혜를 베푼 것이라고 믿습니다. 성경은 “은혜를 베풀며 꾸어 주는 자는 잘 되나니 그 일을 정의로 행하리로다”(시편 112:5)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삶 속에서 하나님이 모든 선의 근원되심을 잘 알고 “굳건하고” “확고한”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7-8절, 새번역).
하나님은 우리에게 은혜로 생명과 용서를 주셨습니다. 우리도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우리의 물질을 은혜로 나누어줍시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2은혜를 베풀며 꾸어 주는 자는 잘 되나니
[시편 112:5]
하나님은 당신에게 어떻게 은혜를 베푸셨습니까? 오늘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하나님의 친절과 은혜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제게 생명을 선물로 주시고 날마다 필요를 공급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의지하며 하나님과 같은 은혜의 마음을 갖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2/2024 Sunday
GENEROUSLY GIVEN AND SHARED
A few hours later, the phone rang. It was Ming: “Ann and I would like to loan you the money you need, interest free,” he offered. I didn’t know what to say, so I responded, “I can’t ask that of you.” “You’re not asking!” Ming answered jovially. They kindly gave us the loan, and Cari and I paid them back as quickly as we could.
I believe Ming and Ann were generous because of their love for God. As Scripture tells us, “Good will come to those who are generous and lend freely, who conduct their affairs with justice” (PSALM 112:5). Those who trust in God can have “steadfast” hearts that “are secure” (VV. 7-8), understanding that He’s the source of everything good in their lives.
God has been generous with us, giving us life and forgiveness. Let’s be generous in sharing His love and our resources with those in need.
-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112Good will come to those who are generous and lend freely.
[ PSALM 112:5 ]
How has God been generous to you? How can you share His kindness and generosity with someone in need today?
Thank You, loving Father, for giving me the gift of life and for providing for me every day.
Help me to trust You and have a generous heart like Yours.
오늘의 말씀
06/01/2024 토요일
허점투성이가 거룩하게
우리는 하나님을 위해 구별되고 예수님 닮은 거룩한 삶을 살기를 진정 갈망하지만, 날이 갈수록 거룩함과는 점점 더 멀어져가는 것처럼 여겨지고, 거룩이 있어야 할 자리에 “치즈의 구멍들 같은 우리의 허점들”만 둥그러니 남아 있습니다.
디모데후서 1:6-7에서 바울은 믿음의 아들 디모데에게 거룩한 부르심에 따라 살라고 당부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사 거룩하신 소명으로 부르심은 우리의 행위대로 하심이 아니요 오직 자기의 뜻과... 은혜대로 하심이라”(9절)고 사도는 설명합니다. 이런 삶은 우리의 성품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로 가능합니다. 바울은 이 은혜는 “영원 전부터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주신”(9절) 것이라고 말합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들여 그 은혜로 말미암은 능력으로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요?
하나님은 아이 키우는 일이나 결혼생활, 직장, 이웃을 사랑하는 일 등, 어떤 일에서도 우리를 거룩한 삶으로 부르십니다. 그 삶은 완전해지려는 우리의 노력이 아닌,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가능합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6-10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사 거룩하신 소명으로 부르심은 우리의 행위대로 하심이 아니요 오직 자기의 뜻과... 은혜대로 하심이라
[디모데후서 1:9]
당신은 거룩한 삶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당신의 삶에 그분의 거룩함을 드러내는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를 잊지 않기 위해 어떻게 간구하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노력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에 의지하여 거룩한 삶을 살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1/2024 Saturday
FROM HOLEY TO HOLY
Oh, how we long to live a holy life—a life set apart for God and characterized by being like Jesus. But day after day, holiness seems out of reach. In its place, our “holeyness” remains.
In 2 Timothy 1:6-7, Paul writes to his protégé Timothy, urging him to live up to his holy calling. The apostle then clarified that “[God] has saved us and called us to a holy life—not because of anything we have done but because of his own purpose and grace” (V. 9). This life is possible not because of our character, but because of God’s grace. Paul continues, “This grace was given us in Christ Jesus before the beginning of time” (V. 9). Can we accept God’s grace and live from the platform of power it provides?
Whether in parenting, marriage, work, or loving our neighbor, God calls us to a holy life—made possible not because of our efforts to be perfect but because of His grace.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2 TIMOTHY 1:6-10He has saved us and called us to a holy life—not because of anything we have done but because of his own purpose and grace.
[ 2 TIMOTHY 1:9 ]
How do you view personal holiness? In what ways will you ask God to remind you of His all-surpassing grace that brings about His holiness in your life?
r God, please help me to lean into Your grace and not my efforts to live a holy life.
오늘의 말씀
05/31/2024 금요일
피자를 함께 먹으며 받은 은혜
피자를 먹으면서 그들은 자기 가족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우리 집은 어떤지 물어보았습니다. 그 부부는 내가 학교 과제나 반려견 부치, 내가 좋아했던 남자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귀를 기울여 들어주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서야내가 참석하고 있는 성경공부 모임이 주의가 필요하다며 그 모임의 가르침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친절하게 설명해주었습니다.
그들 부부가 경고해주는 말을 듣고 나는 그 성경공부에서 제시한 거짓들을 떠나 성경의 진리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었습니다. 유다는 그가 보낸 편지에서 거짓 선생들을 강한 어조로 경계하며 “믿음의 도를 위하여 힘써 싸우라” (유다서 1:3)고 신자들에게 권면합니다. 그는 “마지막 때에... 조롱하는 자들이 있으리라... 이 사람들은 분열을 일으키는 자며... 성령이 없는 자니라”(18-19절) 라고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러면서 동시에 신자들에게 진리를 양보하지 말고 따뜻하게 이해하는 마음으로 곁을 지켜주면서 그 “의심하는 자들을 긍휼히 여기라”(22절)고 당부합니다.
해롤드와 팸 부부는 내 믿음이 견고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나를 판단하기보다는 먼저 우정으로 다가와 주었고, 그런 다음 지혜롭게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이 부부와 같은 사랑과 인내를 주셔서, 지혜와 따뜻하게 이해하는 마음으로 신앙이 흔들리는 사람들을 대할 수 있게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유다서 1:17-23어떤 의심하는 자들을 긍휼히 여기라
[유다서 1:22]
당신은 믿음의 문제로 힘들어하고 있는 누구에게 다가갈 수 있습니까?
어떻게 사랑으로 그들을 성경의 진리로 인도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거짓 가르침에 영향을 받고 있는 사람들을 도우려면 하나님의 지혜와 인도하심이 필요합니다.
제가 해야 할 말들을 알려주소서.
Daily Article
05/31/2024 Friday
MERCY THROUGH PIZZA
Over pizza, they shared about their family and asked about mine. They listened as I talked about homework, my dog Buchi, and the guy I had a crush on. Only later did they gently caution me about the group I was attending and explain what was wrong with its teachings.
Their warning took me away from the lies presented in the Bible study and close to the truths of Scripture. In his letter, Jude uses strong language about false teachers, urging believers to “contend for the faith” (JUDE 1:3). He reminded them that “in the last times there will be scoffers . . . who divide you . . . and do not have the Spirit” (VV. 18-19). However, Jude also calls on believers to “be merciful to those who doubt” (V. 22) by coming alongside them, showing compassion without compromising the truth.
Harold and Pam knew I wasn’t firmly grounded in my faith, but instead of judging me, they first offered their friendship and then their wisdom. May God give us this same love and patience, using wisdom and compassion as we interact with those who have doubts.
- KAREN HUANG
Today's Reading
JUDE 1:17-23Be merciful to those who doubt.
[ JUDE 1:22 ]
Who can you reach who’s struggling with their faith?
How can you lovingly guide them to the truths of Scripture?
Father, I need Your wisdom and guidance to help those who are being affected by false teaching.
Please give me the words to say.
오늘의 말씀
05/30/2024 목요일
말은 우리 마음의 거울
우리 입에서 나오는 말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시작됩니다. 사람들이 나무가 맺는 열매를 보고 어떤 나무인지를 아는 것처럼(누가복음 6:43-44), 예수님은 우리가 하는 말은 우리 마음이 예수님과 주님의 가르침에 부합하는지를 알려주는 확실한 지표가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사람의 말은 곧 마음의 열매를 나타내는데,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하기”(45절) 때문입니다. 주님은 우리가 진심으로 입에서 나오는 말을 바꾸고 싶다면 주님의 도움으로 먼저 우리 마음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계십니다.
겉으로 약속한다고 해서 변화되지 않은 마음에서 나오는 더러운 말을 억누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런 더러운 말을 하지 않으려면 먼저 예수님을 믿고 (고린도전서 12:3) 성령님이 우리 마음을 가득 채우시도록 해야만 합니다(에베소서 5:18). 성령님은 우리 안에서 역사하셔서 우리가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고(20 절) 다른 사람들에게 격려와 신앙에 유익한 말을 하도록(4:15,29; 골로새서 4:6) 우리를 감화시키고 도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6:43-45선한 사람은 마음에 쌓은 선에서 선을 내고
[누가복음 6:45]
내가 하는 말들이 내 마음의 상태를 어떻게 보여주고 있습니까?
요즘 내 말을 변화시키기 위해 어떻게 성령님께 도움을 구하고 있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께 영광이 되고 다른 사람들 신앙에 유익한 말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30/2024 Thursday
WORDS REFLECT OUR HEART
Removing the stench of the words that come from our mouths begins with renewing our hearts. Just as people recognize the kind of tree by the fruit it bears (LUKE 6:43-44), Jesus said that our speech is a convincing indicator of whether our hearts are in tune with Him and His ways or not. Fruit stands for a person’s speech, “for the mouth speaks what the heart is full of” (V. 45). Christ was pointing out that if we really want to change what’s coming out of our mouths, we first have to focus on changing our hearts as He helps us.
External promises are useless to curb the foul language that comes forth from an untransformed heart. We can only eliminate foul speech by first believing in Jesus (1 CORINTHIANS 12:3) and then inviting the Holy Spirit to fill us (EPHESIANS 5:18). He works within us to inspire and help us to continually offer thanks to God (V. 20) and to speak encouraging and edifying words to others (4:15, 29; COLOSSIANS 4:6).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LUKE 6:43-45A good person produces good things from the treasury of a good heart.
[ LUKE 6:45 NLT ]
What do my words and speech say about my heart?
How am I inviting the Holy Spirit to transform my speech these days?
Dear Jesus, please help me speak words that honor You and edify others.
오늘의 말씀
05/29/2024 수요일
어떤 연장자의 조언
바울 사도는 에베소 성도들에게 성도의 삶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서신을 써서 보냈습니다. 우리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나, 피해야 할 책이나 영화, 특정한 방식의 예배 같은 것들에 대해 성급히 답하고 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그러나 바울의 접근 방식은 당대의 문제에만 국한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더러운 말”(에베소서 4:29)을 입 밖에 내지 말고 악독과 분노와 같은 것들을 버리라고 언급합니다(31절). 그의 “연설”을 결론짓자면, 본질적으로 그는 에베소 성도와 우리 모두에게 “서로 친절하게 하라”(32절) 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친절하게 대하셨기 때문입니다.
예수님 안에서의 삶이 어떨 것이라고 우리가 믿고 있는 것들 중에 확실한 한 가지는 친절하게 행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29-32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에베소서 4:32]
최근 어떤 부분에서 친절하지 못했습니까?
오늘 친절히 행할 수 있게 해줄 한 가지 방법은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께서 제게 친절하셨듯이 저도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5/29/2024 Wednesday
ADVICE FROM ONE OLDER
The apostle Paul wrote to the believers at Ephesus answering this question: What does the Christian life look like? It’s tempting to rush in with our answers, like possessing a particular political view, avoiding certain books or films, worshiping in a particular manner. But Paul’s approach didn’t limit him to contemporary issues. He does mention abstaining from “unwholesome talk” (EPHESIANS 4:29) and ridding ourselves of things like bitterness and anger (V. 31). Then to conclude his “speech,” in essence, he says to the Ephesians as well as to us, “Don’t fail to be kind” (V. 32). And the reason behind that is because in Christ, God has been kind to you.
Of all the things we believe the life in Jesus to be, one of them, surely, is to be kind.
- JOHN BLASE
Today's Reading
EPHESIANS 4:29-32Be kind and compassionate to one another.
[ EPHESIANS 4:32 ]
Where have you recently failed to be kind?
What’s one way you can succeed in kindness today?
Dear Jesus, as You’ve been kind to me, let me be kind to others.
오늘의 말씀
05/28/2024 화요일
즉석 찬양
사도행전 16장에는 또 다른 즉석 찬양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 일은 빌립보라는 도시의 감옥에서 일어났습니다. 바울과 실라는 예수님을 섬기다가 체포되어 매맞고 채찍질 당하고 감옥에 갇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절망에 빠지지 않고 감방 안에서 “기도하고 찬송하며” 하나님을 예배하였습니다. “이에 갑자기 큰 지진이 나서 옥터가 움직이고 문이 곧 다 열리며 모든 사람의 매인 것이 다 벗어졌습니다”(25-26절).
간수는 처음에 자살하려고 생각했지만 죄수들이 도망치지 않았음을 깨닫고 하나님을 경외하게 되면서 그의 온 가족이 함께 구원받았습니다(27- 34절).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을 찬양하는 것을 들으며 기뻐하십니다. 우리가 살면서 형통할 때든지 어려울 때든지 항상 하나님을 예배하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6:16-26한밤중에 바울과 실라가 기도하고 하나님을 찬송하매
[사도행전 16:25]
하나님께서 어떻게 당신이 어려울 때에도 하나님을 찬양하고 예배할 수 있게 하셨습니까?
그렇게 했을 때 하나님께서 어떤 특별한 방식으로 자신을 나타내셨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마주치는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8/2024 Tuesday
IMPROMPTU PRAISE
In Acts 16, we read about another impromptu praise time. This one broke out in a jail in the city of Philippi. Paul and Silas had been arrested, beaten, flogged, and imprisoned while serving Jesus. Instead of giving in to despair, they worshiped God by “praying and singing” in their jail cell. “Suddenly there was such a violent earthquake that the foundations of the prison were shaken. At once, all the prison doors flew open, and everyone’s chains came loose” (VV. 25-26).
The jailer’s first thought was to end his life, but when he realized the prisoners hadn’t escaped, he was in awe of God, and salvation came to his family (VV. 27-34).
God delights in hearing us praise Him. Let’s worship Him during both the highs and lows of life.
- NANCY GAVILANES
Today's Reading
ACTS 16:16-26About midnight Paul and Silas were praying and singing hymns to God.
[ ACTS 16:25 ]
How has God enabled you to praise and worship Him even in the bad times?
How has He revealed Himself in remarkable ways when you’ve done so?
Dear God, please help me to praise you no matter what I’m fa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