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16/2024     주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4-6; 사도행전 2:22-47
찬송가: 472(통530)

치유의 희망

척추 손상으로 마비가 된 사람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생겼습니다. 독일 연구진이 신경 성장을 촉진시켜 근육과 뇌 사이의 신경들을 다시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입니다. 쥐를 통한 실험에서 마비되었던 신경이 자라 다시 걸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 치료법이 인간에게도 안전하고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 실험이 이어질 것입니다.

마비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과학분야에서 노력하는 일을 예수님은 기적을 통해 행하셨습니다. 예수님은 많은 병자들이 치유를 바라며 머무르고 있던 베데스다 연못에 가셨을 때 그들 중 “서른여덟 해 된 병자”(요한복음 5:5) 를 찾으셨습니다. 그 사람이 정말로 낫기를 원한다는 것을 확인하신 예수님은 그에게 일어나 걸으라고 하셨습니다. 그러자 “그 사람이 곧 나아서 자리를 들고 걸어갔습니다”(9절).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모든 육체의 질병을 고쳐 주신다는 약속을 받지는 않았습니다. 실제로 그날 연못에 있던 다른 사람들은 예수님께 고침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절망에서 희망으로, 괴로움에서 은혜로, 미움에서 사랑으로, 정죄에서 기꺼이 용서하는 마음으로 바꾸시는 예수님의 치유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과학의 발견도 (그리고 효험이 있다는 연못의 물도) 우리에게 그런 치유를 해줄 수 없습니다. 그것은 오직 믿음으로만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5:1-9
그 사람이 곧 나아서 자리를 들고 걸어가니라
[요한복음 5:9]

하나님 외에 다른 영적 치유를 얻고자 하는 유혹을 받는 곳이 있습니까?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언젠가 완전한 몸의 치유를 경험할 것이라는 사실에 어떤 격려를 받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가장 큰 병인 죄의 역병을 치유하시고 예수님을 통해 영적 건강을 회복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6/2024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4-6; ACTS 2:22-47
Hymn: 472(old 530)

HOPE OF HEALING

A new cause for hope has emerged for people paralyzed by spinal cord injuries. German researchers have discovered a way to stimulate nerve growth to reconnect the neural pathways between the muscles and the brain. The regrowth has enabled paralyzed mice to walk again, and testing will continue to determine whether the therapy is safe and effective for humans.

What science seeks to achieve on behalf of those who suffer paralysis, Jesus did through miracles. When he visited the pool at Bethesda, a place where many who ailed lingered in hopes of healing, Jesus sought out a man among them who “had been an invalid for thirty-eight years” (JOHN 5:5). After confirming that the man did, indeed, wish to be healed, Christ instructed him to stand up and walk. “At once the man was cured; he picked up his mat and walked” (V. 9).

We’re not promised that all our physical ailments will be healed by God—there were others at the pool who weren’t healed by Jesus that day. But those who put their trust in Him can experience the healing He brings—from despair to hope, bitterness to grace, hatred to love, accusation to a willingness to forgive. No scientific discovery (or pool of water) can offer us such healing; it only comes by faith.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JOHN 5:1-9
At once the man was cured; he picked up his mat and walked.
[ JOHN 5:9 ]

Where are you tempted to look for spiritual healing other than in God?
How are you encouraged knowing that one day believers in Jesus will experience complete physical healing as well?

Thank You, dear God, for curing my greatest ailment—the plague of sin—and restoring my spiritual health through Jesus.

오늘의 말씀

06/15/2024     토요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1-3; 사도행전 2:1-21
찬송가: 465(통523)

섬기는 마음

에모리 “삼촌”이 세상을 떠났을 때 많고 다양한 추도사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를 기리는 추도사 모두에는 그가 다른 사람들을 섬김으로 하나님에 대한 그의 사랑을 어떻게 보여주었는지를 담고 있었습니다. 가장 좋은 예는 제2차 세계대전 때 무기도 들지 않고 위생병으로 참전한 것이었습니다. 그의 용맹함으로 높은 무공훈장을 받았던 에모리였지만, 사람들이 그에 대해 가장 많이 기억하는 것은 전쟁 중에, 그리고 전쟁이 끝난 후에도 이어졌던 사랑의 섬김이었습니다.

에모리는 바울이 갈라디아인들에게 당부한 대로 사심없이 남을 섬기는 삶을 살았습니다. “형제들아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고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 노릇 하라”(갈라디아서 5:13). 그러나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망가진 우리 인간은 본능적으로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을 먼저 생각하게 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본성과는 다른 그 이타심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빌립보서 2장 5절에서 바울은 이렇게 격려합니다. “서로의 관계에 있어서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을 품도록 하십시오.” 바울은 우리를 향한 크신 사랑 때문에 십자가의 죽음까지도 마다하지 않으신 그리스도에 대해 말하는 것입니다. 성령께서 우리 안에 그리스도의 마음을 주실 때에만 우리는 세상과 구별되어 다른 사람을 위해 희생할 수 있으며,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 자신을 내어 주신 궁극적인 희생을 보여줄 수 있게 됩니다. 우리 안에 계신 성령님의 역사에 순종하는 우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5:13-18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고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 노릇 하라
[갈라디아서 5:13]

누군가가 당신을 위해 희생하며 섬겨준 적이 있습니까?
가족부터 시작하여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섬길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께서 완전한 본을 보이시고 저를 위해 돌아가시니 감사합니다.
저도 예수님의 마음을 갖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5/2024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3; AC TS 2:1-21
Hymn: 465(old 523)

HEART OF SERVICE

When my “uncle” Emory passed away, the tributes were many and varied. Yet all those honors carried a consistent theme—Emory showed his love for God by serving others. Nowhere was this more exemplified than during his World War II military service, where he served as a corpsman—a medic who went into battle without a weapon. He received high military honors for his bravery, but Emory was most remembered for his compassionate service, both during and after the war.

Emory’s selflessness lived out Paul’s challenge to the Galatians. He wrote, “You, my brothers and sisters, were called to be free. But do not use your freedom to indulge the flesh; rather, serve one another humbly in love” (GALATIANS 5:13). But how? In our brokenness, we’re hardwired to put self first, rather than others, so where does this unnatural selflessness come from?

In Philippians 2:5, Paul offers this encouragement: “In your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have the same mindset as Christ Jesus.” Paul describes Christ’s willingness to even experience death on a cross out of His great love for us. Only as His Spirit produces the mind of Christ in us are we set apart and enabled to sacrifice for others—reflecting the ultimate sacrifice Jesus made when He gave Himself for us. May we yield to the Spirit’s work in u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GAL ATIANS 5:13-18
Do not use your freedom to indulge the flesh; rather, serve one another humbly in love.
[ GALATIANS 5:13 ]

When has someone sacrificially served you?
How can you serve others, perhaps beginning with your own family?

Loving Father, thank You for the perfect example of Jesus and His sacrifice for me.
Please help me to have the mindset of Jesus.

오늘의 말씀

06/14/2024     금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9-10; 사도행전 1
찬송가: 286(통218)

딜레마와 깊은 믿음

토요일 아침 성경공부반에서 한 아버지가 제 멋대로 사는 사랑하는 딸이 돌아왔지만 딸의 행동 때문에 같은 집에 사는 것이 불편하다는 사실에 난감하다고 했습니다. 다른 한 사람은 오랜 병과 노화로 건강이 좋지 않다고 했습니다. 그녀는 여러 의사들을 많이 만나보았지만 차도가 별로 없어 낙심했습니다. 하지만 주님의 계획하심으로 그날 함께 공부 했던 성경은 마가복음 5장이었는데, 공부가 끝나면서 희망과 기쁨이 분명히 느껴졌습니다.

마가복음 5장 23절에서 병든 아이의 아버지 야이로는 “내 어린 딸이 죽게 되었습니다”라고 외쳤습니다. 예수님은 그 소녀에게 가다가 오랫동안 앓아온 이름 없는 한 여인을 고쳐 주시며 “딸아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34절)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을 확실히 믿고 찾았던 야이로와 그 여인은 그들이 정말로 원했던 결과를 얻었습니다. 그러나 이 두 경우에 있어, 예수님을 만나 좋아지기 전에는 둘 다 상황이 “점점 더 나빠지고” 있었습니다.

인생의 딜레마는 대상을 가리지 않습니다. 성별이나 나이, 인종이나 계급에 관계없이 우리는 누구나 당혹스러운 일을 만나고 그 해답을 찾아 헤맵니다. 어려움을 만날 때 예수님에게서 멀어질 것이 아니라, 우리가 나아가 만지면 이를 아시고(30절) 낫게 해주시는 그분을 향한 더 깊은 믿음이 생기도록 노력합시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5:21-34
딸아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으니
[마가복음 5:34]

당신은 지금 어떤 상황 때문에 예수님을 찾고 있습니까?
오늘 당신의 간절한 기도는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은 제 인생의 모든 고통스러운 상황을 아십니다.
상황이 더 나빠질 때에도 믿음 안에서 강건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6/14/2024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9-10; ACTS 1
Hymn: 286(old 218)

DILEMMAS AND DEEPER FAITH

During a Saturday morning Bible study, a father was perplexed because his beloved, wayward daughter had returned to the city, but he was uncomfortable with her in his home because of her behavior. Another attendee was not well in her body because the physical effects of long-term disease and aging had taken their toll. Numerous visits to numerous doctors had yielded minimal progress. She was discouraged. By divine design, Mark chapter 5 was the Bible passage they studied that day. And when the study was over, hope and joy were palpable.

In Mark 5:23, Jairus, a father with a sick child, exclaimed, “My little daughter is dying.” On His way to visit the girl, Jesus healed an unnamed woman of her long-term health issue, saying, “Daughter, your faith has healed you” (V. 34). Jairus and the woman, compelled by faith in Jesus, sought Him out and they weren’t disappointed. But in both cases, prior to meeting Jesus, things had progressed from “bad to worse” before getting better.

Life’s dilemmas don’t discriminate. Regardless of gender or age, race or class, we all face situations that perplex us and send us searching for answers. Rather than allowing challenges to keep us from Jesus, let’s strive to have them stir us to deeper faith in the One who feels it when we touch Him (V. 30) and who can make us well.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MARK 5:21-34
Daughter, your faith has healed you.
[ MARK 5:34 ]

What current situation compels you to seek Jesus?
What’s your heartfelt prayer today?

Dear Jesus, You know each painful situation in my life.
Please make me strong in faith even when things go from bad to worse.

오늘의 말씀

06/13/2024     목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6-8; 요한복음 21
찬송가: 176(통163)

오실 예수님을 기대함

친구 폴이 냉장고 수리 기사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던 중 가전제품 회사에서 문자가 왔습니다. “예수가 지금 가는 중인데 오전 11시 35 분쯤 도착할 예정입니다.” 폴은 곧 기사의 이름이 정말로 ‘헤수스’ (Jesús)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은 과연 언제 오실까요? 이천 년 전에 한 인간으로 오셔서 우리 죄의 형벌을 다 받으신 예수님은 다시 오실 거라고 하시면서, 그러나 재림의 정확한 “날짜와 시간”은 오직 하나님 아버지만 아신다고 말씀하셨습니다(마태복음 24:36). 우리 구주께서 이 땅에 다시 오시는 그 순간을 정말 안다면 우리 매일의 삶의 우선순위가 어떻게 달라질까요? (요한복음 14:1-3).

예수님은 “생각하지 않은 때에 인자가 오리라”(마태복음 24:44)고 하시면서 우리에게 주님의 재림을 준비하고 있으라고 경고하시면서, “깨어 있으라 어느 날에 너희 주가 임할는지 너희가 알지 못함이니라”(42절)라고 상기시켜 주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시는 날, 이것을 우리에게 미리 알리는 문자 메시지는 오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를 통해 역사하시는 성령님의 권능으로 영원을 바라보며 매일을 살면서, 하나님을 섬기고 그분의 사랑과 소망의 메시지를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는 모든 기회를 활용하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4:36-44
이러므로 너희도 준비하고 있으라 생각하지 않은 때에 인자가 오리라
[마태복음 24:44]

예수님이 곧 다시 오신다는 사실에 어떤 동기부여를 받습니까?
주님이 다시 오실 때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가 인내하며 기다릴 때 하나님께 순종하고 거룩한 것을 쫓으며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것을 기대하며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3/2024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6-8; JOHN 21
Hymn: 176(old 163)

EXPECTING JESUS

My friend Paul was awaiting the arrival of a technician to repair his refrigerator when he saw a text on his phone from the appliance company. It read: “Jesus is on his way and is expected to arrive at approximately 11:35 a.m.” Paul soon discovered the technician’s name was indeed Jesús (hay-SOOS).

But when can we expect Jesus the Son of God to arrive? When He came as a man two thousand years ago and suffered the penalty of our sin, He said that He’d be back—but only the Father knew the precise “day or hour” of His return (MATTHEW 24:36). What difference might it make in our day-to-day priorities if we did know the moment our Savior is coming back to earth? (JOHN 14:1-3).

Jesus cautioned us to be ready for His return: “the Son of Man will come at an hour when you do not expect him” (MATTHEW 24:44). He reminded us to “keep watch, because you do not know on what day your Lord will come” (V. 42).

On the day of Christ’s return, we won’t get an alert on our phone to give us a heads-up. So, through the power of the Spirit working through us, let’s live each day with a perspective of eternity, serving God and taking advantage of every opportunity to share His message of love and hope with others.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MAT THEW 24:36-44
You also must be ready, because the Son of Man will come at an hour when you do not expect him.
[ MATTHEW 24:44 ]

How are you motivated by Jesus’ imminent return?
What can you expect when He comes again?

Father, as I patiently wait, help me to obey You, pursue holiness, and to live in expectation of Christ’s return.

오늘의 말씀

06/12/2024     수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3-5; 요한복음 20
찬송가: 73(통73)

하나님이 창조하신 걸작품

신경과학의 발달로 뇌가 일하는 방식을 알아내는데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과학자들은 아직도 뇌를 이해하는 초기 단계에 있다고 시인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은 뇌의 구조와, 부분적인 뇌의 기능, 그리고 어느 부분이 환경에 반응하여 감각을 동원하고 움직이게 하며 감정을 제어하는지에 대한 것들입니다. 그러나 학자들은 이러한 모든 상호 작용이 행동과 인식과 기억에 어떻게 이바지하는지 아직 알지 못합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놀랍도록 복잡한 걸작품인 인간은 여전히 신비롭습니다.

다윗은 인체의 경이로움을 잘 알았습니다. 그는 비유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태에서 [그를] 베 짜듯이”(시편 139:13, 현대인의 성경) 빚어가는 모든 자연 과정을 주권적으로 섭리하시는 하나님의 권능을 찬양하며, “나를 지으심이 심히 기묘하심이라 주께서 하시는 일이 기이하니이다”(14 절)라고 썼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어머니의 태에서 아이가 자라는 것을 큰 신비로 여겼습니다(전도서 11:5 참조). 다윗은 놀랍도록 복잡한 인체에 대해 다 알지는 못했어도 하나님의 놀라운 역사와 임재하심을 경외하며 탄복하였습니다 (시편 139:17-18).

경이롭고 놀랍도록 복잡한 인간의 몸은 크신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다만 찬양하고 경외하며 탄복할 뿐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3-18
내가 주께 감사하옴은 나를 지으심이 심히 기묘하심이라 주께서 하시는 일이 기이함을 내 영혼이 잘 아나이다
[시편 139:14]

우리 몸의 신비한 디자인을 생각할 때 어떻게 하나님을 찬양하게 됩니까?
오늘 어떤 새로운 방법으로 하나님께 감사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이처럼 심히 기묘하게 만드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하나님은 얼마나 놀라운 창조주이신지요!

Daily Article

06/12/2024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3-5; JOHN 20
Hymn: 73(old 73)

GOD’S CREATED MASTERPIECE

Although neuroscience has made great progress in understanding how the brain works, scientists admit they’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understanding it. They understand brain architecture, some aspects of its function, and regions that respond to environment, activate our senses, generate movements, and contain emotions. But they still can’t figure out how all these interactions contribute to behavior, perception, and memory. God’s incredibly complex, created masterpiece—humanity—is still mysterious.

David acknowledged the marvels of the human body. Using figurative language, he celebrated God’s power, evidenced by His sovereign control over the entire natural process of being “knit . . . together in [his] mother’s womb” (PSALM 139:13). He wrote, “I am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your works are wonderful” (V. 14). The ancients viewed the development of a child inside the mother’s womb as a great mystery (SEE ECCLESIASTES 11:5). Even with limited knowledge of the marvelous complexities of the human body, David still stood in awe and wonder of God’s amazing work and presence (PSALM 139:17-18).

The marvelous and wonderful complexity of the human body reflects the power and sovereignty of our great God. Our only responses can be praise, awe, and wonder!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SALM 139:13-18
I praise you because I am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your works are wonderful; I know that full well.
[ PSALM 139:14 ]

How does the intricate design of your body lead you to praise God?
In what creative ways could you thank Him today?

Dear God, I praise You for making me so fearfully and wonderfully complex. What an amazing Creator You are!

오늘의 말씀

06/11/2024     화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1-2; 요한복음 19:23-42
찬송가: 608(통295)

셉나의 무덤

아일랜드의 시인 예이츠는 자신을 “벤 불벤 산 아래에” 묻어달라고 했습니다. 정상이 평지로 되어 있는 장엄한 이 산은 그의 마지막 시 중 하나의 제목으로도 쓰였습니다. 그의 묘비에는 그 시의 마지막 구절이 새겨져 있습니다. “삶에나 죽음에나 / 차가운 시선을 던지라 / 말 탄 자여 지나가라!”

이 구절의 의미에 대해서 많은 추측들이 있었습니다. 어쩌면 시인이 삶과 죽음의 현실을 인정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 의미가 무엇이든, 예이츠에게는 묻히고 싶은 장소와 묘비에 남기고 싶은 글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떠나가도 삶은 이에 상관 않고 우리 없이도 계속된다는 것이 냉엄한 진실입니다.

유다의 역사 중 암울했던 시기에 “궁정 관리”였던 셉나는 사후에 자신의 유업을 기리려고 자기 무덤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그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여기에 누가 있기에 여기서 너를 위하여 묘실을 팠느냐 높은 곳에 자기를 위하여 묘실을 팠고 반석에 자기를 위하여 처소를 쪼아 내었도다”(이사야 22:16). 선지자가 그에게 말했습니다. “[하나님께서] 반드시 너를 모질게 감싸서 공 같이 광막한 곳에 던질 것이라... 네가 그 곳에서 죽으리라”(18절).

셉나가 놓치고 있던 점이 있었습니다. 중요한 점은 우리가 어디에 묻히느냐가 아니라, 우리가 누구를 섬기느냐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섬기는 사람들은 “주 안에서 죽는 자들은 복이 있도다”(요한계시록 14:13)라는 말씀에서 헤아릴 수 없는 위로를 받습니다. 우리가 섬기는 하나님은 우리가 “세상을 떠나는 것”에 결코 무관심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본향에 도착하는 날을 고대하시고 반갑게 맞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22:15-24
주 안에서 죽는 자들은 복이 있도다
[요한계시록 14:13]

당신의 삶은 당신이 섬기는 분에 대해 무엇을 말해줍니까?
당신은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으십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 할 시간을 기대하면서 제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1/2024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1-2; JOHN 19:23-42
Hymn: 608(old 295)

SHEBNA’S GRAVE

Irish poet W. B. Yeats wanted to be buried “Under Ben Bulben,” a stately flat-topped mountain after which he titled one of his last poems. The poem’s final line is etched onto his gravestone: “Cast a cold eye / On life, on death. / Horseman, pass by!”

Much speculation has taken place over what this means. Perhaps it’s the poet’s acknowledgment of the reality of both life and death. Regardless, Yeats got his wish about where he was buried and what his gravestone would say. But the cold truth is that life goes on without us, indifferent to our departure.

During a dire time in Judah’s history, Shebna, a “palace administrator,” made a tomb for himself to ensure his legacy after death. But God, through His prophet Isaiah, told him, “Who gave you permission to cut out a grave for yourself here, hewing your grave on the height and chiseling your resting place in the rock?” (ISAIAH 22:16). The prophet told him, “[God] will roll you up tightly like a ball and throw you into a large country. There you will die” (V. 18).

Shebna had missed the point. What matters isn’t where we’re buried; what matters is who we serve. Those who serve Jesus have this immeasurable comfort: “Blessed are the dead who die in the Lord” (REVELATION 14:13). We serve a God who’s never indifferent to our “departure.” He anticipates our arrival and welcomes us hom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ISAIAH 22:15-24
Blessed are the dead who die in the Lord.
[ REVELATION 14:13 ]

What does your life say about who you’re serving?
How do you want to be remembered?

Father in heaven, please help me live my life anticipating the time I’ll be with You in eternity.

오늘의 말씀

06/10/2024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4-36; 요한복음 19:1-22
찬송가: 595(통372)

매 순간이 중요하다

1912년 4월 ‘타이타닉호’가 빙산에 부딪혔을 때 존 하퍼 목사는 몇 안 되는 구명정 중 하나에 여섯 살 난 딸을 앉혔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구명조끼는 다른 승객에게 주고 귀를 기울이는 모든 이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배가 가라앉고 수백 명의 사람들이 가능할 것 같지 않은 구조를 기다리고 있는 동안, 하퍼 목사는 한 사람 한 사람에게 헤엄쳐 다가가 “주 예수를 믿으십시오. 그러면 구원을 얻을 것입니다”(사도행전 16:31, 현대인의 성경)라고 말했습니다.

이후 캐나다 온타리오에서의 ‘타이타닉호’ 생존자들의 모임에서 한 남성이 자신을 “존 하퍼 목사의 마지막 회심자”라고 소개했습니다. 처음엔 하퍼 목사의 초대를 거절했던 그가 하퍼 목사가 다시 묻자 그리스도를 영접했다는 것입니다. 그는 하퍼 목사가 그의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예수님을 전하다가 저체온증을 견디지 못하고 얼음장 같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모습을 지켜보았습니다.

바울 사도는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와 같은 긴박한 마음과 각오로 자신을 드려 복음을 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바울은 하나님이 항상 함께 하시는 것과 예수님이 반드시 다시 오실 것을 분명히 하면서, 디모데에게 끝까지 참고 가르치라고 권면합니다(디모데후서 4:1-2). 그리고 젊은 설교자 디모데에게 예수님을 거절하는 사람들이 있을지라도 이 일에 집중하라고 상기시키고 있습니다(3-5절).

유한한 삶을 사는 우리에게는 매 순간이 소중합니다. 우리가 “구원하시는 예수님”을 선포할 때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서 천국에 우리의 자리를 마련해 두신다는 사실을 우리는 확신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4:1-8
너는 모든 일에 신중하여 고난을 받으며 전도자의 일을 하며
[디모데후서 4:5]

유한한 삶을 생각할 때 예수님의 사랑의 복음을 전하는 것이 얼마나 더 긴급하게 느껴집니까?
오늘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다가가 전하시겠습니까?

예수님, 주님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게 주소서.

Daily Article

06/10/2024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4-36; JOHN 19:1-22
Hymn: 595(old 372)

EVERY MOMENT COUNTS

When the Titanic hit an iceberg in April 1912, Pastor John Harper secured a spot for his six-year-old daughter in one of the limited number of lifeboats. He gave his life-vest to a fellow passenger and shared the gospel with anyone who would listen. As the vessel sank and hundreds of people awaited an unlikely rescue, Harper swam from one person to another and said, “Believe on the Lord Jesus Christ, and thou shalt be saved” (ACTS 16:31 KJV).

During a meeting for survivors of the Titanic in Ontario, Canada, one man referred to himself as “the last convert of John Harper.” Having rejected Harper’s first invitation, the man received Christ
when the preacher asked him again. He watched as Harper devoted the last moments of his life to sharing Jesus before succumbing to hypothermia and sinking below the surface of the icy water.

In his charge to Timothy, the apostle Paul encourages a similar urgency and dedication to selfless evangelism. Affirming God’s constant presence and the inevitable return of Jesus, Paul charges Timothy to preach with patience and precision (2 TIMOTHY 4:1-2). The apostle reminds the young preacher to remain focused, though some people will reject Jesus (VV. 3-5).

Our days are limited, so every moment counts. We can be confident that our Father secured our spot in heaven as we proclaim, “Jesus save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2 TIMOTHY 4:1-8
Keep your head in all situations, endure hardship, do the work of an evangelist.
[ 2 TIMOTHY 4:5 ]

How does knowing your days are limited increase your urgency to share the good news of Jesus’ love?
How will you reach out to others today?

Jesus, please give me opportunities to share Your love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6/09/2024     주일

성경읽기: 역대하 32-33; 요한복음 18:19-40
찬송가: 216(통356)

넉넉한 마음으로 주기

아내인 수가 매주 한 번 봉사하는 방과 후 성경모임에서, 아이들에게 전쟁으로 폐허가 된 우크라이나의 어린이들을 돕는 모금 행사에 참여해 달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아내가 11살된 우리 손녀 매기에게 이 행사에 대해 말했는데, 약 일주일 지나서 손녀로부터 우편으로 봉투 하나를 받았습니다. 그 안에는 3달러 45센트와 함께 “우크라이나 아이들을 위해 내 돈을 다 보냅니다. 다음에 더 보낼께요.”라고 쓴 쪽지가 들어있었습니다.

아내는 매기에게 기부하라고 하지 않았는데 성령님께서 그런 마음을 주신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을 사랑하고 주님을 위해 살려고 애쓰는 매기가 그렇게 응답한 것입니다.

넉넉한 마음에서 나오는 이 작은 선물을 생각할 때 우리는 많은 것을 배웁니다. 이것은 고린도후서 9장에서 바울이 도움을 주는 것에 대해 가르친 것과 같은 것입니다. 먼저, 사도는 우리에게 “많이” 심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6절). “내가 가진 전부”를 다 주는 선물은 확실히 너그러운 마음에서 비롯된 선물입니다. 바울은 또한 우리가 “억지로” 선물해서는 안되며,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대로 능력껏 기쁨으로 드려야 한다고 했습니다(7절). 그리고 시편 112편 9절을 인용하여 “흩어 가난한 자들에게 주는”(9절) 것의 소중함도 언급했습니다.

선물을 줄 기회가 생길 때 어떻게 해야 할지 하나님께 여쭈어 봅시다. 우리가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대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너그럽고 기쁜 마음으로 선물을 줄 때, “그들이 우리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게” (고린도후서 9:11) 될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넉넉한 마음으로 주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9:6-11
각각 그 마음에 정한대로 할 것이요
[고린도후서 9:7]

당신은 어떤 동기부여로 다른 사람들에게 아낌없이 주고 있습니까?
그들의 진정한 필요를 채우기 위해 어떻게 힘쓰고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크신 마음을 본받아 저도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아낌없이 주는 사람이 되도록 인도해 주소서.

Daily Article

06/09/2024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2-33; JOHN 18:19-40
Hymn: 216(old 356)

BIG-HEARTED GIVING

At the after-school Bible club where my wife Sue serves once a week, the kids were asked to donate money to help children in the war-torn country of Ukraine. About a week after Sue told our eleven-year-old granddaughter Maggie about the project, we got an envelope in the mail from her. It contained $3.45, along with a note: “This is all I have for the kids in Ukraine. I’ll send more later.”

Sue hadn’t suggested to Maggie that she should help, but perhaps the Spirit prompted her. And Maggie, who loves Jesus and seeks to live for Him, responded.

We can learn a lot as we think of this small gift from a big heart. It mirrors some instructions about giving provided by Paul in 2 Corinthians 9. First, the apostle suggested that we should sow “generously” (V. 6). A gift of “all I have” is certainly a generous one. Paul also wrote that our gifts should be given cheerfully as God leads and as we’re able, not because we’re “under compulsion” (V. 7). And he mentioned the value of “gifts to the poor” (V. 9) by quoting Psalm 112:9.

When an opportunity to give presents itself, let’s ask how God wants us to respond. When we’re generous and cheerful in directing our gifts to those in need as He leads us, we give in a way that “will result in thanksgiving to God” (2 CORINTHIANS 9:11). That’s big-hearted giving.
- DAVE BRAN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9:6-11
Each of you should give what you have decided in your heart to give.
[ 2 CORINTHIANS 9:7 ]

What motivates you to generously give to others?
How do you strive to meet their true needs?

Dear God, please guide me to be the kind of generous giver that You want me to be—reflecting Your generous heart.

오늘의 말씀

06/08/2024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0-31; 요한복음 18:1-18
찬송가: 292(통415)

이방 신들

나는 성경공부그룹 내의 거의 80세가 된 남자들이 아직도 정욕과 싸우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젊어서 시작한 싸움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들은 이 부분에서 매일 예수님 말씀대로 살 것을 다짐하며 잘못한 순간에 대해 용서를 구했습니다.

경건한 사람들도 인생의 후반까지 원초적인 유혹과 싸운다는 사실이 놀라운 것 같지만, 사실 놀라워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의 자리를 위협하는 것은 모두 다 우상이며, 또 그런 것들은 사라진 지 오래된 것 같다가 다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성경을 보면 야곱은 삼촌 라반과 형 에서로부터 벗어나 벧엘로 돌아와서 하나님께 예배하며 그가 받은 축복에 감사를 드리지만, 그의 가족은 야곱이 묻어버려야 했던 이방 신들을 여전히 지니고 있었습니다(창세기 35:2-4). 여호수아서 끝부분에서도 여호수아는 이스라엘이 그들의 적들을 물리치고 가나안에 정착한 후에 “너희 중에 있는 이방 신들을 치워 버리고 너희의 마음을... 여호와께로 향하라”(여호수아 24:23)고 계속 강조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다윗 왕의 아내 미갈이 왕을 죽이러 온 병사들을 속이기 위해 침대 위에 우상을 놓아두었던 것을 보면 그녀도 우상을 지니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사무엘상 19:11-16).

우상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흔하지만, 하나님은 우리에게 과분할 정도로 더 오래 참고 기다려 주십니다. 우상에 끌리는 마음은 늘 있지만 하나님의 용서는 이보다 더 큽니다. 우리 모두 죄에서 돌이키고 예수님 안에서 용서를 얻어 주님을 위해 구별된 삶을 살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5:1-5
너희 중에 있는 이방 신들을 치워 버리고 너희의 마음을...여호와께로 향하라
[여호수아 24:23]

당신에게 가장 유혹이 많이 되는 죄는 무엇입니까?
이 우상을 무너뜨리기 위해 어떤 단계들을 취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의 죄를 고백함으로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의 용서를 받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8/2024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0-31; JOHN 18:1-18
Hymn: 292(old 415)

HOUSE GODS

The men in the Bible study group were nearly eighty years old, so I was surprised to learn they struggled with lust. A battle that had begun in their youth lingered still. Each day they pledged to follow Jesus in this area and asked forgiveness for the moments they failed.

It may surprise us that godly men still fight against base temptations at a late stage in life, but maybe it shouldn’t. An idol is anything that threatens to take the place of God in our lives, and such things can show up long after we assume they’re gone.

In the Bible, Jacob had been rescued from his uncle Laban and his brother Esau. He was returning to Bethel to worship God and celebrate His many blessings, yet his family still kept foreign gods that Jacob had to bury (GENESIS 35:2-4). At the end of the book of Joshua, after Israel had defeated their enemies and settled in Canaan, Joshua still had to urge them to “throw away the foreign gods that are among you and yield your hearts to the Lord” (JOSHUA 24:23). And King David’s wife Michal apparently kept idols, for she put one in his bed to deceive the soldiers who came to kill him (1 SAMUEL 19:11-16).

Idols are more common than we think, and God is more patient than we deserve. Temptations to turn to them will come, but God’s forgiveness is greater. May we be set apart for Jesus—turning from our sins and finding forgiveness in Him.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GENE SIS 35:1-5
Throw away the foreign gods that are among you and yield your hearts to the Lord.
[ JOSHUA 24:23 ]

What sin are you most tempted by?
What steps might you take to destroy this idol?

Father, I confess my sin, and I gratefully receive Your forgiveness through Jesus.

오늘의 말씀

06/07/2024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28-29; 요한복음 17
찬송가: 217(통362)

주는 기쁨

자신의 어린 아들이 근육수축병으로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케리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무언가를 함으로써 가정의 문제에 매인 자신의 마음을 덜어버리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아들이 커서 신지 못하게 된 깨끗한 신발들을 모아 한 사역단체에 기부했습니다. 이것이 시발점이 되어 친구와 가족은 물론, 이웃들까지 참여하면서 곧 200켤레가 넘는 신발이 전해졌습니다!

이 신발 보내기 운동은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한 것이었지만 케리는 누구보다도 자기 가족이 더 축복을 받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이 모든 일들을 통해 우리 가족의 영혼이 살아나고 눈을 밖으로 돌리게 되었습니다.”

바울은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이 관대히 베푸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고 있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에베소에 잠시 들렀습니다. 그는 이번이 그가 개척한 그 교회 교인들과의 마지막 만남이 되리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는 교회 장로들에게 송별 인사를 하며 자신이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얼마나 열심이었는지를 상기시키며(사도행전 20:17-20) 그들도 그렇게 하라고 격려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이 있다”(35절)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으로 말을 맺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아낌없이 그리고 겸손하게 우리 자신을 주기를 원하십니다(누가복음 6:38). 예수님이 우리를 인도하시도록 맡겨드릴 때 주님은 우리에게 그런 기회를 주실 것입니다. 케리의 가족처럼, 그렇게 할 때 얻을 기쁨에 우리도 놀라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0:17-24, 34-35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이 있다
[사도행전 20:35]

하나님은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당신을 내어주라고 하십니까?
당신은 언제 어떤 사람으로부터 관대하게 받아본 적이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제가 가진 시간과 자원을 다른 사람들에게 아낌없이 나누어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7/2024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8-29; JOHN 17
Hymn: 217(old 362)

JOY IN GIVING

When Keri’s young son was going through yet another surgery related to muscular dystrophy, she wanted to take her mind off her family’s situation by doing something for someone else. So she rounded up her son’s outgrown but gently used shoes and donated them to a ministry. Her giving prompted friends and family members and even neighbors to join in, and soon more than two hundred pairs of shoes were donated!

Although the shoe drive was meant to bless others, Keri feels her family was blessed more. “The whole experience really lifted our spirits and helped us to focus outward.”

Paul understood how important it was for followers of Jesus to give generously. On his way to Jerusalem, the apostle Paul stopped in Ephesus. He knew it would likely be his last visit with the people of the church he’d founded there. In his farewell address to the church elders, he reminded them how he’d worked diligently in service to God (ACTS 20:17-20) and encouraged them to do the same. Then he concluded with Jesus’ words: “It is more blessed to give than to receive” (V. 35).

Jesus wants us to freely and humbly give of ourselves (LUKE 6:38). When we trust Him to guide us, He’ll provide opportunities for us to do so. Like Keri’s family, we may be surprised by the joy we experience as a result.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AC T S 20:17-24, 34-35
It is more blessed to give than to receive.
[ ACTS 20:35 ]

In what way might God be calling you to give of yourself
to another? When have you been the beneficiary of someone’s generosity?

Dear Father, help me to freely give of my time and resources to other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