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26/2024 수요일
서로에게서 배움
친구의 제안은 세대 간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지적해 줍니다. 그것은 룻과 나오미의 이야기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룻은 자신의 고향을 떠나 나오미를 따라 베들레헴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한 충실한 며느리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룻기 1:16-17). 그들이 마을에 도착했을 때 룻은 나오미에게 “제가 밭에 가서 [우리를 위해] 이삭을 줍게 해주세요”(2:2, 현대인의 성경) 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며느리는 시어머니를 도왔고, 시어머니는 며느리가 보아스와 결혼하도록 도와주었습니다. 룻에게 준 나오미의 조언으로 보아스는 그녀의 죽은 시댁 식구들에게 속한 모든 것을 사서 룻을 “[그의] 아내”로 맞아들였습니다(4:9-10).
우리는 오랜 세월에 걸쳐 얻은 지혜를 젊은 세대와 나누는 분들의 조언을 당연히 존중합니다. 그러나 룻과 나오미는 그것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려줍니다. 우리는 윗세대 뿐 아니라 젊은 세대에게서도 배울 점들이 있습니다. 세대 간에 서로 사랑하며 충실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도록 합시다. 그럴 때 우리와 다른 이들에게 복이 될 것이고, 모르던 것을 배우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2:11-12; 3:1-6네 남편이 죽은 후로 네가 시어머니에게 행한 모든 것...이 내게 분명히 알려졌느니라
[룻기 2:11]
당신보다 젊은 사람에게서 어떤 것을 배웠습니까?
오늘 다른 세대의 사람들에게 어떻게 다가갈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젊은이들과 어르신들의 지혜에 감사드립니다.
세대 간의 교류를 소중히 여길 수 있도록 가르쳐 주소서.
Daily Article
06/26/2024 Wednesday
LEARNING FROM EACH OTHER
Her suggestion points to the valu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t’s something observed in Ruth and Naomi’s story. Ruth is often celebrated for being a loyal daughter-in-law, deciding to leave her land to accompany Naomi back to Bethlehem (RUTH 1:16-17). When they arrived in the town, the younger woman said to Naomi, “Let me go to the fields and pick up the leftover grain [for us]” (2:2). She helped the older woman, who then helped the younger woman marry Boaz. Naomi’s advice for Ruth prompted Boaz to take action in purchasing her deceased in-laws’ property and to take her “as [his] wife” (4:9-10).
We certainly respect the advice of those who share their seasoned wisdom with younger generations. But Ruth and Naomi remind us that the exchange can go both ways. There’s something to be learned from those younger than us as well as those who are older. Let’s seek to develop loving and loyal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t will bless us and others and help us learn something we don’t know.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RUTH 2:11-12; 3:1-6I’ve been told all about what you have done for your mother-in-law since the death of your husband.
[ RUTH 2:11 ]
What have you learned from someone younger?
How might you reach out to someone of another generation today?
Dear God, thank You for the wisdom found in the young and in the old.
Teach me to value intergenerational exchanges.
오늘의 말씀
06/25/2024 화요일
겸손한 욘
이 겸손했던 사람은 자신이 섬기는 사람들을 사랑하고 옥에 갇혀서도 그들을 위해 기도했던 바울 사도의 본을 따랐습니다. 바울은 로마의 감옥에 갇혀 있는 동안에 에베소의 성도들에게 편지를 보내어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지혜와 계시의 영”을 주시고 그들의 마음의 눈을 “밝혀 주시기를” 위해 기도했습니다(에베소서 1:17-18). 바울은 그들이 성령님의 권능으로 예수님을 알고 사랑으로 하나되어 살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욘과 바울 사도는 그들이 사랑하고 섬기는 사람들을 기도로 하나님께 맡겨드렸고, 자신들도 하나님께 온전히 내어드렸습니다. 오늘 우리가 사람들을 어떻게 사랑하고 섬겨야 할지 이들이 보여준 본을 생각해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1:15-23내가 기도할 때에 기억하며 너희로 말미암아 감사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에베소서 1:16]
당신이 아는 사람 중에 온유한 기도의 용사가 있습니까?
어떻게 그에게서 그리스도의 마음을 볼 수 있습니까?
예수님, 주님은 사람들을 섬기시고 그들의 필요를 먼저 생각하셨습니다.
저도 매일 즐겁게 예수님을 사랑하고 섬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25/2024 Tuesday
HUMBLE JØRN
This humble man followed in the example of the apostle Paul, who loved those he served and prayed for them while confined. He wrote to those in Ephesus while he was likely imprisoned in Rome, praying that God would give them “the Spirit of wisdom and revelation” and that the eyes of their hearts would be “enlightened” (EPHESIANS 1:17-18). He yearned that they would know Jesus and live with love and unity through the power of the Spirit. Jørn and the apostle Paul poured themselves out to God, committing
those they loved and served to Him in prayer. May we consider their examples in how we love and serve others today.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PHESIANS 1:15-23I have not stopped giving thanks for you, remembering you in my prayers.
[ EPHESIANS 1:16 ]
Who do you know who’s a gentle prayer warrior?
How does that person reflect Christ’s heart?
Jesus, You served others and put their needs first.
Please help me to love and serve You joyfully each day.
오늘의 말씀
06/24/2024 월요일
하나님을 경외함
성경은 십계명을 받은 이스라엘 사람들의 두려움에 대해 “뭇 백성이 우레와 번개를 본지라... 그들이 볼 때에 떨었다”(출애굽기 20:18)고 말합니다. 모세는 백성을 위로하며 다음과 같이 매우 재미있는 말을 했습니다. “두려워하지 말라 하나님이 임하심은 너희를 시험하고 너희로 경외하여 범죄하지 않게 하려 하심이니라”(20절). 모세의 이 말은 “두려워하지 말라 그러나 두려워하라” 라는 모순 같이 들립니다. 실제로 히브리어에서 “두려움”이라는 단어에는 두 개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어떤 것을 무서워하여 떠는 것과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입니다.
우리는 풍선공포증이나 초콜릿공포증에 대해 알고 나면 웃음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공포증이 심각한 이유는 우리가 무엇에 대해서나 두려워질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두려움이 거미처럼 우리 삶에 몰래 다가오면 세상은 무서운 곳이 될 수 있습니다. 공포증과 두려움에 시달릴 때, 우리 하나님은 경외의 하나님이시며 어둠 가운데서도 함께 하시며 안위하신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20:18-21두려워하지 말라 하나님이 임하심은 너희를 시험하고 너희로 경외하여 범죄하지 않게 하려 하심이니라
[출애굽기 20:20]
당신의 삶에서 두려운 것이 무엇입니까?
그 두려움을 극복하는 데 하나님의 사랑이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는 두려운 것이 너무 많습니다. 제 마음을 위로하시고,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안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24/2024 MONDAY
IN AWE OF GOD
The Bible tells of the Israelites’ fear after receiving the Ten Commandments: “When the people saw the thunder and lightning . . . they trembled with fear” (EXODUS 20:18). Moses comforted them, offering this most interesting statement: “Do not be afraid. God has come to test you, so that the fear of God will be with you” (V. 20). Moses seems to contradict himself: “Don’t be afraid but be afraid.” In fact, the Hebrew word for “fear” contains at least two meanings—a trembling terror of something or a reverent awe of God.
We may laugh to learn that globophobia is the fear of balloons and xocolatophobia is a fear of chocolate. The more serious bottom line about phobias is that we can be afraid of all kinds of things. Fears creep into our lives like spiders, and the world can be a scary place. As we struggle with phobias and fears, we do well to be reminded that our God is an awesome God, offering us His present comfort in the midst of darkness.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EXODUS 20:18-21Do not be afraid. God has come to test you, so that the fear of God will be with you.
[ EXODUS 20:20 ]
What in your life are you afraid of?
How does God’s love help you overcome those fears?
Dear God, I find myself afraid of so many things. Comfort my heart. Help me to rest in Your love.
오늘의 말씀
06/23/2024 주일
선한 일에 부요함
오셀라는 부의 진정한 가치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다른 이들을 축복하는데 사용하는 것임을 잘 알았던 사람입니다. 바울 사도는 디모데에게 이 세대에서 부한 자들로 하여금 “선한 일에 부요하도록” 가르치라고(디모데전서 6:18, 현대인의 성경) 강력히 권했습니다. 우리 모두는 청지기로서 관리해야 할 부를 돈이나 또는 다른 형태로 받았습니다. 바울은 우리가 가진 것을 믿지 말고 우리의 소망을 오직 하나님께 두면서(17절), “나누어 주기를 좋아하며 너그러운”(18절) 자가 되어 천국에 재물을 쌓아 두라고 권면합니다.
하나님의 경제에서는 가진 것을 베풀지 않고 움켜쥐고 있으면 결국 빈손이 될 뿐입니다. 사랑으로 다른 이들에게 나누어 주는 것이 충족에 이르는 길입니다. 더 많은 것을 추구하기보다 가진 것에 만족하는 마음으로 경건하게 사는 것이 큰 유익이 됩니다(6절). 우리도 오셀라처럼 가진 것을 아낌없이 베풀면 어떨까요?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오늘 선한 일에 부요하도록 열심을 내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6:6-10, 17-19선을 행하고 선한 사업을 많이 하고 나누어 주기를 좋아하며 너그러운 자가 되게 하라
[디모데전서 6:18]
오늘 아낌없이 베풀 어떤 기회가 있습니까?
당신이 가진 것을 나눌 때 어떻게 더 큰 만족을 얻게 될까요?
하나님, 제가 가진 것들을 감사드리며, 오늘 그것들을 하나님께 내어놓습니다.
Daily Article
06/23/2024 SUNDAY
RICH IN GOOD DEEDS
Oseola understood the true value of her wealth was not in using it for her own gain, but to bless others. The apostle Paul exhorted Timothy to command those who are rich in this present world “to be rich in good deeds” (1 TIMOTHY 6:18). Each of us has been given wealth to steward, whether it’s in the form of financial means or other resources. Instead of trusting in our resources, Paul cautions us to put our hope only in God (V. 17) and to lay up treasure in heaven by being “generous and willing to share” (V. 18).
In God’s economy, withholding and not being generous only leads to emptiness. Giving to others out of love is the way to fulfillment. To have both godliness and contentment with what we have, instead of striving for more, is great gain (V. 6). What would it look for us to be generous with our resources, as Oseola was? Let us strive to be rich in good deeds today as God leads us.
- KAREN PIMPO
Today's Reading
1 TIMOTHY 6:6-10, 17-19Command them to do good, to be rich in good deeds, and to be generous and willing to share.
[ 1 TIMOTHY 6:18 ]
What opportunity do you have to be generous today?
How can sharing what you have lead to greater contentment?
Thank You for the resources I have, God. I surrender them to You today.
오늘의 말씀
06/22/2024 토요일
예배하는 집
하나님도 그렇게 보시는 것 같습니다. 출애굽기는 일곱 장에 걸쳐(25-31장) 성막을 짓는 지침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후 여섯 장에 걸쳐(35-40장)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막을 어떻게 지었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예배를 중히 여기셨습니다. 백성들이 안뜰에 들어갈 때에는 반짝이는 금과 성막의 화려한 휘장들로(26:1, 31-37) 눈이 부시게 했으며, 번제단(27:1-8)
과 물 대접(30:17-21)은 그들의 죄 사함의 대가를 일깨워 주었습니다. 성막에는 등잔대(25:31-40)와 진설병을 두는 상(25:23-30), 분향할 제단(30:1-6), 그리고 언약궤(25:10-22)가 있었는데, 하나 하나에 모두 중요한 의미가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신 것처럼 우리에게 예배 공간에 대해 세밀한 지침을 주시지는 않습니다. 그렇다고 우리의 예배가 그만큼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바로 우리 자신이 하나님께서 거하시는 구별된 성막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무슨 일을 하든 그 일들이 하나님이 누구시며 무슨 일을 하시는지 생각나게 해주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26:30-27:8산에서 네게 보이던 대로 성막을 세우라
[출애굽기 26:30]
당신은 예배를 통해 하나님에 대해, 그리고 당신을 향한 그분의 사랑에 대해 어떤 것을 배웁니까? 당신의 예배에 어떤 변화가 있기를 바라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은 저의 최선의 예배를 받기에 합당한 분이십니다.
Daily Article
06/22/2024 Saturday
HOUSE OF WORSHIP
God seems to agree. Seven chapters in Exodus (CHS. 25-31) give instructions on building the tabernacle, and six more (CHS. 35-40) describe how Israel did it. God cared about their worship. When the people entered the courtyard, the gleaming gold and the tabernacle’s colorful curtains (26:1, 31-37) dazzled them. The altar of burnt offering (27:1-8) and water basin (30:17-21) reminded them of the cost of their forgiveness. The tabernacle contained a lampstand (25:31-40), bread table (25:23-30), altar of incense (30:1-6), and ark of the covenant (25:10-22). Each item held great significance.
God doesn’t give us detailed instructions for our worship space as He did with Israel, yet our worship is no less vital. Our very being is to be a tabernacle set apart for Him to dwell in. May everything we do remind us of who He is and what He does.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XODUS 26:30-27:8Set up the tabernacle according to the plan shown you on the mountain.
[ EXODUS 26:30 ]
What does your worship teach you about God and His love for you? What changes might you want to make?
Father, You’re worthy of my best worship.
오늘의 말씀
06/21/2024 금요일
저를 사용하소서
하나님은 정말 생각지도 못했던 곳에서, 그리고 “자격이 안 되거나” 그저 평범한 사람으로 여기는 사람들을 통해 기적 같은 일들을 행하십니다. 고린도전서 1장에서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을 그저 보통 사람들이라고 불렀습니다. “지혜로운 자가 많지 아니하며 능한 자가 많지 아니하며 문벌 좋은 자가 많지 아니하도다”(26절). 이렇게 고린도 교회의 신자들은 지극히 보통 사람들이었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이 쓰임을 받았습니다(7절 참조). 그리고 자랑하는 사람들을 겸손하게 하는 방법을 아시는 (27-29절) 하나님이 그들 가운데서 그들을 통해 일하셨습니다.
당신은 자신이 “평범하다”거나 “보통이다”, 아니면 “부족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염려 마십시오. 당신 안에 예수님이 계시고 예수님께 기꺼이 쓰임 받기를 원한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우리 모두 진심으로 “하나님, 저를 사용하소서!”라고 기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26-31자랑하는 자는 주 안에서 자랑하라
[고린도전서 1:31]
하나님께서 조용히, 그렇지만 효과적으로 사용하신 사람을 생각해볼 때 누가 떠오릅니까? 당신이 가지거나 가지지 않은 것보다는 하나님이 당신을 통해 하실 수 있는 일에 초점을 맞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 자신에 신경 쓰느라 하나님께 충분히 집중하지 못한 것을 용서해 주소서. 지금 있는 곳에서 하나님의 거룩한 일에 저를 사용해 주소서.
Daily Article
06/21/2024 Friday
USE ME
Indeed, God does marvelous things in unlikely places and through those we may rank as “unqualified” or ordinary. In 1 Corinthians 1, Paul reminded believers in Jesus that they were an unimpressive lot. “Not many of you were wise by human standards; not many were influential; not many were of noble birth” (V. 26). Though the Corinthian believers were quite ordinary, by God’s grace they weren’t lacking in giftedness and usefulness (SEE V. 7). And God—who knows how to put boasters in their place (VV. 27-29)— was at work among them and through them.
Do you see yourself as “plain,” “ordinary,” or even “less than”? Don’t fret. If you have Jesus and are willing to be used by Him, you have enough. May your heart’s prayer be, “God, use me!”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26-31Let the one who boasts boast in the Lord.
[ 1 CORINTHIANS 1:31 ]
Who comes to mind when you think of one who’s been quietly but effectively used by God? What can you do to help shift your focus from what you have or don’t have to what God can do through you?
Heavenly Father, forgive me for focusing on myself and not enough on You. Use me where I am in Your holy service.
오늘의 말씀
06/20/2024 목요일
새롭고 확실한 것
그러던 수잔은 성경의 한 권에서 생각지도 않게 격려를 얻게 되었습니다. 예루살렘이 바벨론에 함락된 후 예레미야가 쓴 애가는 선지자와 백성들이 입은 슬픔의 상처들을 기록한 책이지만, 슬픔으로 인한 절망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사랑이라는 소망이 확실히 바탕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예레미야는 “여호와의 긍휼이 무궁하시며... 이것들이 아침마다 새롭다”(3:22-23)고 기록했습니다.
수잔은 하나님의 깊은 사랑이 날마다 끊임없이 새롭게 임한다는 것을 떠올렸습니다. 상황이 우리에게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고 느껴질 때에도, 우리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억하고 하나님이 우리에게 어떤 도움을 주실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소망이 결코 헛되지 않다(24-25절)는 것을 알고 하나님 안에서 확실하게 소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과 긍휼 안에 우리의 소망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수잔은 말합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매일 나의 그 ‘새로움’이야. 이제 난 소망을 가지고 앞을 볼 수 있어.”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애가 3:19-26여호와의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이것들이 아침마다 새로우니
[예레미야애가 3:22-23]
당신이 처한 상황에서 아무런 희망도 없다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사랑을 ”매일 아침 새롭게 주신다”는 약속이 어떤 희망을 줍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매일 하나님의 확실하고 변함없는 사랑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20/2024 Thursday
NEW AND CERTAIN
Susan found encouragement in an unlikely book in the Bible. Written by Jeremiah after Jerusalem fell to Babylon, Lamentations describes the open wound of grief suffered by the prophet and the people. In the midst of grief’s despair, however, lies sure ground for hope—God’s love. “His compassions never fail,” Jeremiah wrote. “They are new every morning” (3:22-23).
Susan was reminded that God’s deep love relentlessly breaks through anew each day. When circumstances make us feel there’s no longer anything to look forward to, we can call to mind His faithfulness and look forward to how He’ll provide for us. We can confidently hope in God, knowing our hoping is never in vain (VV. 24-25) because it’s secured in His steadfast love and compassion.
“God’s love is my ‘something new’ each day,” Susan says. “I can look ahead with hope.”
- KAREN HUANG
Today's Reading
LAMENTATIONS 3:19-26His compassions never fail. They are new every morning.
[ LAMENTATIONS 3:22-23 ]
When have you felt unable to see any hope in your situation?
How does the promise of God’s love as “new every morning” give you hope?
Thank You, dear God, because each day brings with it Your certain, steadfast love.
오늘의 말씀
06/19/2024 수요일
자유의 하나님
억압받는 자들을 보고 계시는 하나님은 불의 아래 억눌려 있는 자들에게 궁극적으로 자유를 선포하실 것입니다. 이것은 모세 때나 지금이나 똑같이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불타는 덤불 가운데 모세에게 나타나셔서 “내가 애굽에 있는 내 백성의 고통을 분명히 보았다”(출애굽기 3:7)고 긴급히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에 대한 애굽의 잔혹함을 보셨을 뿐 아니라 그에 대한 해결책도 갖고 계셨습니다. 하나님은 “내가 내려가서 그들을 애굽인의 손에서 건져내고... 아름답고 광대한 땅에 데려가려 하노라”(8절)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뜻은 이스라엘에게 자유를 선포하고 모세를 하나님의 대변인이 되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종 모세에게 “이제 내가 너를 바로에게 보내어 너에게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게 하리라” (10절)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때가 우리가 바라는 것처럼 빨리 일어나지 않을지는 몰라도, 언젠가는 하나님이 모든 속박과 불의로부터 우리를 자유롭게 하실 것입니다. 하나님은 억압받는 모든 사람들에게 희망과 자유를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1-10이제 내가 너를 바로에게 보내어 너에게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게 하리라
[출애굽기 3:10]
당신은 억압받는 자들을 도우시는 하나님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하나님은 그 사역에 당신을 어떻게 동참하게 하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너무나 많은 억압이 존재하는 이 세상에서 우리는 절망하기 쉽습니다.
자유를 선포하시려는 하나님의 마음을 잊지 않고 살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9/2024 Wednesday
GOD OF FREEDOM
God sees the oppressed, and He’ll ultimately announce freedom for those under the weight of injustice. This is true now just as it was true in Moses’ day. God appeared to him from a burning bush with an urgent message: “I have indeed seen the misery of my people in Egypt” (EXODUS 3:7). He not only saw Egypt’s brutality against Israel—but He also planned to do something about it. “I have come down to rescue them,” God declared, “and to bring them . . . into a good and spacious land” (V. 8). He intended to declare freedom to Israel, and Moses would be the mouthpiece. “I am sending you to Pharaoh,” God told His servant, “to bring my people the Israelites out of Egypt” (V. 10).
Though God’s timing may not happen as quickly as we hope, one day He’ll free us from all bondage and injustice. He gives hope and liberation to all who are oppressed.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EXODUS 3:1-10I am sending you to Pharaoh to bring my people the Israelites out of Egypt.
[ EXODUS 3:10 ]
How have you seen God work to help the oppressed?
How does He invite you to participate in His work?
Dear God, there’s so much oppression in the story of our world.
It’s easy to despair. Please help me stay attuned to Your intention to announce freedom.
오늘의 말씀
06/18/2024 화요일
외로운 사람들의 친구
할리는 사람들과의 연결을 위해 두려움을 무릅쓰고 ‘런던의 외로운 여자 모임’이라는 소셜 미디어 그룹을 만들었는데, 여기에 삼만 오천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가입을 했습니다. 몇 주에 한 번씩 만나는 소그룹 모임들은 공원으로 소풍을 가거나, 미술 공부, 보석 공예, 저녁 식사, 심지어 강아지를 동반한 야외 운동까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외로움의 문제는 예전부터 있어 왔고, 그 외로움을 치료해주시는 하나님도 오래 전부터 계셨습니다. 다윗은 우리의 영원하신 하나님께서 “고독한 자들은 가족과 함께 살게 하시며 갇힌 자들은 이끌어 내사 형통하게 하신다”(시편 68:6)고 기록했습니다. 그리스도를 닮은 친구들을 만나게 해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하는 것은 우리에게 주신 거룩한 특권이기에, 우리는 얼마든지 그런 기도를 할 수 있습니다. 다윗은 “그의 거룩한 처소에 계신 하나님은 고아의 아버지시며 과부의 재판장”(5절)이시므로 “날마다 우리 짐을 지시는 주 곧 우리의 구원이신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19절)라고 덧붙여 말합니다.
예수님은 얼마나 좋은 우리의 친구인지 모릅니다! 예수님은 매 순간 영광스럽게 우리와 함께 하시면서 우리와 영원히 함께할 친구들을 보내주십니다. 할리가 말하는 것처럼 “친구와 함께하는 시간은 영혼에 유익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8:3-6, 19하나님이 고독한 자들은 가족과 함께 살게 하시며
[시편 68:6]
당신은 예수님과의 사귐에서 어떤 점을 좋아합니까? 예수님은 다른 사람들과 영원한 친구가 되는 것에 대해 무엇을 가르쳐 주십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제 마음이 외로울 때 예수님부터 시작하여 좋은 친구를 찾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6/18/2024 Tuesday
FRIEND TO THE LONELY
For connection, Holly defied her fears and formed a social media group called The London Lonely Girls Club—and some thirty-five thousand have joined. Small-group meetups every few weeks offer park picnics, art lessons, jewelry workshops, dinners, and even outdoor exercise sessions with puppies.
The challenge of loneliness isn’t new, nor is the Healer of our feelings of isolation. Our eternal God, wrote David, “sets the lonely in families; he leads out the prisoners with singing” (PSALM 68:6). Asking God to point our way to Christlike friends is a holy privilege and, thus, a request we can freely take to Him. “A father to the fatherless, a defender of widows, is God in his holy dwelling” (V. 5), added David. “Praise be to the Lord, to God our Savior, who daily bears our burdens” (V. 19).
What a friend we have in Jesus! He grants us forever friends, starting with the glorious presence of Himself every moment. As Holly says, “Friend time is good for the soul.”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68:3-6, 19God sets the lonely in families.
[ PSALM 68:6 ]
What do you enjoy about friendship with Jesus? What does He teach you about being a forever friend to others?
When my heart feels lonely, dear Jesus, please point me to a good friend—starting with You.
오늘의 말씀
06/17/2024 월요일
풍요로운 믿음
이들이 난민을 은혜롭게 받아주는 모습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갈 때 그들에게 주신 하나님의 세 가지 명령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신명기 24:19-21). 농경 사회를 살고 있었던 그들은 추수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수확한 작물은 다음 해까지 살아가는데 필수적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이방인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얼마를] 남겨두라”(19절)고 하신 하나님의 명령은 하나님을 신뢰하라는 요구이기도 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들이 넉넉하다고 생각될 때에만 베푸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신뢰하는 마음으로 베풂으로써 관대함을 실천해야 했습니다.
그렇게 대접하는 것은 또한 “[그들이] 애굽에서 종 되었던 일”(18, 22절)을 잊지 않는 것이기도 했습니다. 그들도 한 때 억압받고 궁핍한 자들이었습니다. 그들이 베푸는 것은 그들을 속박에서 자유롭게 해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는 일이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도 이와 같이 관대하게 베풀어야 합니다. 바울은 “부요하신 [그리스도]로서 너희를 위하여 가난하게 되심은 그의 가난함으로 말미암아 너희를 부요하게 하려 하심이라”(고린도후서 8:9)고 상기시켜 줍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베풀어주셨기에 우리도 베푸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24:17-22네가 밭에서 곡식을 벨 때에...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얼마를] 남겨두라
[신명기 24:19 ]
도움이 절실히 필요할 때 누군가의 도움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공급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하며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베푸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제 주위의 소외된 사람들의 필요를 볼 수 있게 제 눈을 열어 주소서.
Daily Article
06/17/2024 Monday
GENEROUS FAITH
Their gracious hospitality reflects God’s triple command to the Israelites when they entered the promised land (DEUTERONOMY 24:19-21). As an agricultural society, the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the harvest. The crops were essential to get them through until next year. This makes God’s command to “leave [some] for the foreigner,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V. 19) also a request to trust Him. The Israelites were to practice generosity not by giving only when they knew they had enough but giving out of a heart that trusts God’s provision.
Such hospitality was also a reminder “that [they] were slaves in Egypt” (VV. 18, 22). They were once oppressed and destitute. Their generosity was a reminder of God’s graciousness to them in freeing them from bondage.
Believers in Jesus are similarly urged to be generous. Paul reminds us, “Though [Christ] was rich, yet for your sake he became poor, so that you through his poverty might become rich” (2 CORINTHIANS 8:9). We give because He gave to us.
- MATT LUCAS
Today's Reading
DEUTERONOMY 24:17-22When you are harvesting in your field . . . leave [some] for the foreigner,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 DEUTERONOMY 24:19 ]
When has someone helped you when you were in need?
How will you give to others while trusting God’s provision for you?
Dear Father, please open my eyes to the needs of the marginalized in my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