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24/2024     화요일

성경읽기: 아가 4-5; 갈라디아서 3
찬송가: 220(통278)

예수님 안에서 함께

알래스카 휘티어에 사는 삼백 명의 주민 대부분은 하나의 큰 아파트 단지에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휘티어는 “하나의 지붕 아래 마을” 이라 불립니다. 한 때 그곳의 주민이었던 에이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건물 바깥으로 한발짝도 나갈 필요가 없었어요. 식료품점, 공증인, 학교, 우체국이 모두 저희 아파트 1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만 타면 됐어요!”

에이미는 말했습니다. “거기서의 삶이 너무 편해서 자주 혼자 있고 싶다고 느꼈어요. 다른 사람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거기 사는 사람들은 모두 너무 따뜻해요. 그들은 서로를 돌봐 주고 있어요. 그들이 나를 필요로 하고, 나도 그들이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지요.”

에이미처럼 우리도 때로는 혼자 있고 싶을 때도 있고 공동체를 피하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하긴 공동체를 피하는 게 조금 덜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겠네요! 그러나 성경에서는 예수를 믿는 자로서 혼자 있는 것과 다른 신자와의 교제 사이에 건강한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말합니다. 바울 사도는 믿는 자의 공동체를 인간의 몸에 비유했습니다. 몸의 각 부분이 특별한 기능을 갖듯이 믿는 자마다 특별한 역할을 갖습니다(로마서 12:4). 몸의 일부가 홀로 존재할 수 없듯이 믿는 자도 고립된 상태에서는 신앙의 삶을 살 수 없습니다 (5절). 우리는 공동체 안에서 우리의 여러가지 은사를 사용하며(6-8절; 베드로전서 4:10), 예수님과 같이 되기 위해 성장합니다(로마서 12:9-21).

우리는 서로를 필요로 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함께 있습니다(5절). 주님의 도움으로 우리는 “서로를 돌봐 주면서” 주님과 더 깊은 관계를 형성하고 주님의 사랑을 다른 이들에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1-5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 되어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로마서 12:5]

예수님 안에서의 공동체가 당신이 하나님과 함께 나아가는 데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나요? 다른 신도들이 당신을 어떻게 격려했나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에게 형제와 자매들을 주심에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24/2024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SONG OF SONGS 4-5; GALATIANS 3
Hymn: 220(old 278)

TOGETHER IN JESUS

Most of the three hundred residents of Whittier, Alaska, live in one big apartment complex, and that’s why Whittier is called a “town under one roof.” Amie, a former resident, says, “I didn’t have to step outside the building—the grocery store, notary public, school, and post office were on our ground floor, just an elevator ride away!”

“Because life there was so comfortable, I often wanted to keep to myself, thinking I didn’t need anyone,” Amie shares. “But the residents are so warm. They look out for each other. I learned that they need me, and I need them.”

Like Amie, we may at times want to keep to ourselves and avoid community. The latter seems less stressful! But Scripture says that a believer in Jesus should have a healthy balance of solitude and fellowship with other believers. The apostle Paul likens the body of believers to the human body. Just as each body part has a distinct function, every believer has a distinct role (ROMANS 12:4). Just as a body part can’t exist alone, a believer can’t live the life of faith in isolation (V. 5). It’s in the midst of community that we use our gifts (VV. 6-8; 1 PETER 4:10) and grow to be like Jesus (ROMANS 12:9-21).

We need one another; our togetherness is in Christ (V. 5). With His help, as we “look out for each other,” we can cultivate a deeper relationship with Him and show others His love.
- KAREN HUANG

Today's Reading

ROMANS 12:1-5
In Christ we . . . form one body, and each member belongs to all the others.
[ ROMANS 12:5 ]

How has community in Jesus helped you in your walk with God?
How have other believers encouraged you?

Dear God, thank You for my brothers and sisters.

오늘의 말씀

09/23/2024     월요일

성경읽기: 아가 1-3; 갈라디아서 2
찬송가: 475(통272)

이제부터 외지인이 아닙니다

“너는 이 나라 사람이 아니다.” 그 말은 여덟 살 소녀의 마음을 무너뜨렸고, 그 아픔은 지속되었습니다. 이 아이의 가족은 전쟁으로 파괴된 나라의 난민촌에서 새로운 나라로 이주했고, 소녀의 이민 카드에는 ‘외인’이라는 단어가 찍혀 있었습니다. 마치 자신이 그 나라에 속해 있지 않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성인이 된 이 여인은 예수님을 믿었지만 환영 받지 못하는 이방인이라는 느낌에 시달리며 여전히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그러던 중 성경을 읽다가 에베소서 2장에 있는 약속의 말씀들을 보게 되었습니다. 12절에서 그 오래되고 불편한 ‘외인’이라는 단어를 보았습니다. “그 때에 너희는 그리스도 밖에 있었고 이스라엘 나라 밖의 사람이라 약속의 언약들에 대하여는 외인이요 세상에서 소망이 없고 하나님도 없는 자이더니.” 그러나 계속 읽어 나가면서 그리스도의 희생이 자신의 지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19절에 이르러 “이제부터 너희는” 외인도 나그네도 아니라는 사실을 읽게 되었습니다. 이제 자신은 하나님의 사람들과 같은 “동료 시민”이었습니다. 자신이 천국의 시민임을 깨닫자 그녀는 큰 기쁨을 느꼈습니다. 그녀는 이제 다시는 이방인으로 지내지 않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이미 그녀를 받아 주신 것입니다.

우리의 죄로 말미암아 우리는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졌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언제까지 그렇게 멀어져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먼 데 있는” 모든 이들에게 평화를 전해주셨고(17절) 예수님을 믿는 모든 이들을 주님의 영원한 나라의 동료 시민으로 만들어 주셨습니다. 그리스도의 몸으로 하나된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8-13, 17-22
이제부터 너희는 외인도 아니요 나그네도 아니요 오직 성도들과 동일한 시민이요
[에베소서 2:19]

어떤 면에서 당신은 소외되었다고 느끼나요? 하나님이 그의 모든 자녀를 그 안에서 하나 되도록 부르셨다는 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를 갖고 있나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주와 주를 사랑하고 믿는 다른 이들과의 교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23/2024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SONG OF SONGS 1-3; GALATIANS 2
Hymn: 475(old 272)

NO LONGER A FOREIGNER

“You don’t belong here.” Those words crushed an eightyear- old girl’s heart, and the pain stayed with her. Her family had emigrated from a refugee camp in a war-torn country to a new country, and her immigration card had the word alien stamped on it. She felt like she didn’t belong.

As an adult, although she put her faith in Jesus, she still felt alienated—stung by the feeling that she was an unwelcome outsider. While reading her Bible, she discovered the promises of Ephesians 2. In verse 12, she saw that old, troubling word alien. “You were without Christ, being aliens from the commonwealth of Israel and strangers from the covenants of promise, having no hope and without God in the world” (NKJV). But as she kept reading, she saw how Christ’s sacrifice had changed her status. She got to verse 19, which told her, “You are no longer” a foreigner or alien. She was a “fellow citizen” with God’s people. Realizing that she was a citizen of heaven, she was overjoyed. Never again would she be an outsider. God had taken her in and accepted her.

Because of our sin, we’re alienated from God. But we don’t have to stay that way. Jesus brought peace to all who were “far away” (V. 17), making all who trust Him fellow citizens of His eternal kingdom—united as the body of Christ.
- DAVE BRANON

Today's Reading

EPHESIANS 2:8-13, 19-22
You are no longer foreigners and strangers, but fellow citizens with God’s people.
[ EPHESIANS 2:19 ]

In what way do you feel alienated?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know that God has called all His children to be united in Him?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allowing me to experience fellowship with You and with others who love and trust You.

오늘의 말씀

09/22/2024     주일

성경읽기: 전도서 10-12; 갈라디아서 1
찬송가: 168(통158)

왕의 귀환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명이 시청한 것으로 추정되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례식은 아마도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자를 기록한 방송이었을 것입니다. 그날 여왕의 관을 보기 위해 백만명이 런던 거리에 줄을 서 있었고 그 주 동안 25만명이 몇 시간이나 대기했습니다. 역사적인 500여 명의 왕, 여왕, 대통령 및 국가의 지도자들이 용기와 품격으로 유명한 그 여성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왔습니다.

온 세상이 영국 그리고 떠나가는 여왕을 바라보는 동안, 내 생각은 다른 사건으로 향했습니다. 왕의 귀환입니다. 훨씬 위대한 군주를 인정하기 위해 나라들이 모일 날이 올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이사야 45:20-22). 공의와 힘을 지닌 지도자(24절), 주님 앞에서 “모든 무릎이 끓겠고 주님에게 모든 혀가 맹세”(23절)할 것입니다. 세계의 지도자들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이 주님께 경의를 표하며 그의 빛 안에서 주님의 나라를 이끌 것입니다(요한계시록 21:24, 26). 이 군주의 도착을 환영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환영하는 사람들은 주님의 통치를 영원히 누릴 것입니다(이사야 45:24-25).

세상이 여왕이 떠나는 것을 목도한 것과 같이, 언젠가는 최고의 왕이 돌아오는 것을 볼 것입니다. 그날은 얼마나 위대할까요? 하늘과 땅에 있는 모든 이들이 예수 그리스도께 무릎 끓어 그를 주님으로 인정할 것입니다 (빌립보서 2:10-11).

오늘의 성구

이사야 45:20-25
내게 모든 무릎이 꿇겠고 모든 혀가 맹세하리라
[이사야 45:23]

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그토록 존경받았다고 생각하십니까?
오늘날 예수님을 왕으로 따르는 모습은 어떠해야 할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오늘 주님 앞에 머리를 조아리며 주님을 세상 왕 중의 왕이요 제 삶을 다스리는 정당한 통치자로 높여 드립니다.

Daily Article

09/22/2024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10-12; GALATIANS 1
Hymn: 168(old158)

ROYAL RETURN

With a worldwide audience estimated in the billions, the funeral of Queen Elizabeth II was possibly the most watched broadcast in history. One million people lined London’s streets on that day, and 250,000 queued for hours that week to see the Queen’s coffin. A historic five hundred kings, queens, presidents, and other heads of state came to pay tribute to a woman known for her strength and character.

As the world turned its gaze to Great Britain and its departing queen, my thoughts turned to another event—a royal return. A day is coming, we’re told, when the nations will gather to recognize a far greater Monarch (ISAIAH 45:20-22). A leader of strength and character (V. 24), before Him “every knee will bow” and by Him “every tongue will swear” (V. 23), including the world’s leaders, who’ll pay Him tribute and lead their nations to walk in His light (REVELATION 21:24, 26). Not all will welcome this Monarch’s arrival, but those who do will enjoy His reign forever (ISAIAH 45:24-25).

Just as the world gathered to watch a queen leave, one day it will see its ultimate King return. What a day that will be—when one and all, in heaven and on earth, bow to Jesus Christ and recognize Him as Lord (PHILIPPIANS 2:10-11).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ISAIAH 45:20-25
Before me every knee will bow; by me every tongue will swear.
[ ISAIAH 45:23 ]

Why do you think Queen Elizabeth II was honored so much?
What should it look like to follow Jesus as King today?

Dear Jesus, I bow to You today, honoring You as the ultimate King of the world and rightful Ruler of my life.

오늘의 말씀

09/21/2024     토요일

성경읽기: 전도서 7-9; 고린도후서 13
찬송가: 390(통444)

인생의 기복

페이스북의 기억창이 뜨면서 내가 다섯 살 때 재미있고 경쟁적인 슈츠 앤 래더스(Chutes and Ladders) 게임에서 승리하여 의기양양해 하는 모습의 사진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릴 적에 이 보드게임을 형제들과 자주 했기 때문에 이 사진에 내 형제들을 태그했습니다. 여러 세기 동안 사람들이 즐겼던 어떤 게임을 바탕으로 한 이 슈츠 앤 래더스 게임은 사람들이 셈을 배우는 데 도움을 주고, 사다리를 올라 가장 먼저 100에 도달하면 이기게 되는 짜릿함도 함께 제공해 줍니다. 그러나 조심해야 합니다! 만일 98번 지점에 발을 디디면 아래로 멀리 미끄러져 추락하기 때문에 승리가 늦춰지거나 아예 승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인생이 바로 그와 같지 않습니까? 예수님은 우리가 인생의 기복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우리를 사랑으로 준비시켜 주셨습니다. 주님은 우리가 “환난” (요한복음 16:33)을 경험할 거라고 하시면서, 동시에 평안의 메시지도 함께 전해주셨습니다. 우리가 마주치는 여러 가지 시련에 흔들릴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구요? 그리스도께서 세상을 이기셨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 주님의 능력보다 더 큰 것은 없으므로 우리도 주님으로 말미암은 “지극히 큰 능력” 으로 우리에게 닥치는 어떤 일이든 마주할 수 있습니다(에베소서 1:19).

슈츠 앤 래더스 게임과 마찬가지로 인생에서도 기쁘게 오르게 해주는 사다리가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미끄러지듯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인생의 게임을 하면서 언제나 희망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에게는 인생의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는 예수님의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31-33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이르는 것은 내 안에서 너희가 평안을 누리게 하려 함이라
[요한복음 16:33]

오늘 당신이 극복해야 하기 위해 도움이 필요한 어려운 일들이 무엇입니까?
인생의 시련과 환난을 극복하기 위해 예수님의 능력에 초점을 맞출 때 어떤 힘을 얻게 될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께서 세상을 이기셨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시니 감사합니다.
인생의 기복들을 잘 다루기 위해 주님의 능력을 의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21/2024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7-9; 2 CORINTHIANS 13
Hymn: 390(old 444)

THE UPS AND DOWNS OF LIFE

A Facebook memory popped up, showing me a picture of my triumphant five-year-old when she’d won a fun and competitive game of Chutes and Ladders. I’d tagged my brother and sister in the post because we’d often played this board game when we were kids. Chutes and Ladders is based on a game that’s been played for centuries, helping people learn to count and providing the thrill of being able to climb a ladder and win the game by getting to 100 the fastest. But watch out! If you land on spot 98, you slide far down the chute, delaying—or even prohibiting—victory.

Isn’t that just like life? Jesus lovingly prepared us for the ups and downs of our days. He said we’d experience “trouble” (JOHN 16:33), but He also shared a message of peace. We don’t have to be shaken by the trials we face. Why? Christ has overcome the world! Nothing is greater than His power, so we too can face whatever comes our way with “the mighty strength” He’s made available to us (EPHESIANS 1:19).

Just like in Chutes and Ladders, sometimes life presents a ladder allowing us to happily ascend, and other times we tumble down a slippery slide. But we don’t have to play the game of life without hope. We have the power of Jesus to help us overcome it all.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JOHN 16:31-33
I have told you these things, so that in me you may have peace.
[ JOHN 16:33 ]

What challenges do you need help to overcome today?
How can focusing on Jesus’ power in overcoming life’s trials and troubles encourage you?

Dear Jesus, thank You for the reminder that You’ve overcome the world!
Help me to rely on Your power to handle the ups and downs of life.

오늘의 말씀

09/20/2024     금요일

성경읽기: 전도서 4-6; 고린도후서 12
찬송가: 363(통479)

하나님의 공의와 은혜

영국 낭만주의 화가 존 마틴(1789–1854)은 문명의 멸망을 묘사한 종말론적인 풍경들을 그린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이 환상적인 장면들에서, 인간들은 엄청난 파괴의 크기에 압도당하고 다가오는 멸망에 맞서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합니다. 작품 중 하나인 ‘니느웨의 몰락’은 어두운 구름 아래서 모든 것을 삼켜버릴 것 같은 높은 파도를 피해 달아나는 사람들을 묘사합니다.

마틴의 그림이 그려지기 2천년도 더 전에, 나훔 선지자는 니느웨에 대한 심판을 예언했습니다. 선지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억압했던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분노를 상징하기 위해 산들이 진동하며 작은 산들이 녹고 그 앞에서 땅, 곧 세계와 그 가운데 있는 모든 것들이 솟아오르는 이미지 (나훔 1:5)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죄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 가운데에서도 은혜가 있습니다. 나훔은 듣는 이들에게 하나님의 능력을 상기시켜주는 반면, 그가 “노하기를 더디 하시며”(3절)와 “자기에게 피하는 자들을 아시느니라” (7절)고 언급했습니다.

심판에 대한 묘사들을 다 읽기가 쉽지 않지만, 악에 맞서지 않는 세상은 끔찍한 곳이 될 것이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선지자의 예언은 심판으로만 끝마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선하고 의로운 세상을 원하신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 주십니다. “볼지어다 아름다운 소식을 알리고 화평을 전하는 자의 발이 산 위에 있도다!”(15절). 그 아름다운 소식은 우리가 하나님과 평화를 누릴 수 있도록 죄의 결과의 고통을 감내하신 예수님입니다(로마서 5:1, 6).

오늘의 성구

나훔 1:1-8, 15
여호와는 노하기를 더디 하시며 권능이 크시며 벌받을 자를 결코 내버려두지 아니하시느니라
[나훔 1:3]

하나님께서 어떻게 억압받는 사람들을 지켜주시기를 원하십니까?
불의에 맞선 하나님의 분노를 어떻게 이해해야 우리가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해 목소리를 낼 수 있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불의로 고통받는 세상 사람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Daily Article

09/20/2024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4-6; 2 CORINTHIANS 12
Hymn: 363(old 479)

GOD’S JUSTICE AND GRACE

English Romantic painter John Martin (1789–1854) is known for his apocalyptic landscapes depicting the destruction of civilizations. In these fantastic scenes, humans are overwhelmed by the magnitude of the destruction and powerless against the approaching doom. One painting, The Fall of Nineveh, depicts people fleeing the coming destruction of mounting waves under dark rolling clouds.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before Martin’s painting, the prophet Nahum prophesied against Nineveh foretelling its judgment. The prophet used images of mountains quaking, hills melting, and the earth trembling (NAHUM 1:5) to symbolize God’s wrath on those who’d oppressed others for their own gain. However, God’s response to sin is not without grace. While Nahum reminds his listeners of God’s power, he notes that He is “slow to anger” (V. 3) and “cares for those who trust in him” (V. 7).

Descriptions of judgment are hard to read, but a world where evil isn’t confronted would be a terrible one. Thankfully the prophet doesn’t end on that note. He reminds us that God desires a good and just world: “Look, there on the mountains, the feet of one who brings good news, who proclaims peace!” (V. 15). That good news is Jesus, who suffered the consequences of sin so we can have peace with God (ROMANS 5:1, 6).
- MATT LUCAS

Today's Reading

NAHUM 1:1-8, 15
The Lord is slow to anger but great in power; the Lord will not leave the guilty unpunished.
[ NAHUM 1:3 ]

How do you want God to defend the oppressed?
How might your understanding of His wrath against injustice prompt you to speak up for the oppressed?

Father, I pray for those around the world who suffer unjustly.

오늘의 말씀

09/19/2024     목요일

성경읽기: 전도서 1-3; 고린도후서 11:16-33
찬송가: 78(통75)

지혜로운 기쁨을 찾는 것

팬데믹이 세상을 이기고 있었습니다. 코로나 환자들을 구하는데 헌신하고 있는 한 대형 병원의 응급실 의사 제이슨 퍼소프에게는 적어도 그렇게 보였습니다. 그는 어떤 방식으로 최선을 다 할 수 있었을까요? 그는 쉬는 날에는 눈꽃송이 하나하나 같이 아주 작은 물체들의 확대사진을 찍으며 보냈습니다. 퍼소프 박사는 “말도 안 되는 것처럼 들리겠지만,” 작지만 아름다운 것들을 보면서 기쁨을 찾는 것은 “창조주와 유대감을 형성하고,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간과하는 세상을 볼 수 있는 기회”라고 말합니다.

퍼소프 박사는 그러한 기쁨을 지혜롭게 찾는 것, 즉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회복력을 기르는 것은 의료계 종사자들에게는 아주 높은 가치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일반 사람들에게도 이런 조언을 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숨을 쉬어야 합니다. 심호흡을 하고 삶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시편 기자 다윗이 하나님 안에서 기쁨을 찾는 지혜를 노래하면서 이런 생각을 시편 16편에 표현했습니다. “여호와는 나의 산업과 나의 잔의 소득이시니 나의 분깃을 지키시나이다”라며, “이러므로 나의 마음이 기쁘고 나의 영도 즐거워하며 내 육체도 안전히 살리니”라는 것입니다(5, 9절).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풀려고 지혜롭지 못한 일들을 많이 합니다. 퍼소프 박사는 지혜로운 길을 찾았는데, 그 길은 주님의 임재로 기쁨을 주시는 창조주임을 보여주는 길입니다. “주께서 생명의 길을 내게 보이시리니 주의 앞에는 충만한 기쁨이 있고 주의 오른쪽에는 영원한 즐거움이 있나이다” (11절). 우리는 주님 안에서 더욱 더 큰 기쁨을 찾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6
주의 앞에는 충만한 기쁨이 있고
[시편 16:11]

지혜로운 기쁨을 찾는 것이 여러분의 삶을 어떻게 축복할까요?
시편 16편을 읽으면서 여러분이 하나님 안에서 기쁨을 찾는 방법의 이름을 짓는 것이 어떻게 영감을 줄 수 있을까요?

오 하나님, 제 인생의 여정에서, 주님으로부터 시작되는 기쁨을 지혜롭게 찾을 수 있도록 축복해 주시옵소서.

Daily Article

09/19/2024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1-3; 2 CORINTHIANS 11:16-33
Hymn: 78(old 75)

FINDING WISE JOY

The pandemic was winning. That’s how it looked to Jason Persoff, an emergency room doctor at a large hospital committed to saving patients with Covid. How could he give his best? During off hours, he relaxed by taking enlarged photos of something small—individual snowflakes. It “sounds crazy,” says Dr. Persoff. But finding joy in something small but beautiful is “an opportunity to bond with my Creator and also to see the world in a way that few people take the time to notice.”

Wisely looking for such joy—to ease stress and build resilience— is a high value in the medical profession, the doctor said. But for everyone, he has this advice: “You’ve got to breathe. You have got to find a way to take a breath and enjoy life.”

David the psalmist expressed this thought in Psalm 16 as he declared the wisdom of finding joy in God. “Lord, you alone are my portion and my cup,” he wrote. “Therefore my heart is glad and my tongue rejoices; my body also will rest secure” (VV. 5, 9).

There are many unwise things people do as they try to decompress. Dr. Persoff found the wise path—one that pointed him to the Creator, who offers us the joy of His presence. “You make known to me the path of life; you will fill me with joy in your presence, with eternal pleasures at your right hand” (V. 11). In Him, we find joy evermore.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16
You will fill me with joy in your presence.
[ PSALM 16:11 ]

How does finding wise joy bless your life?
As you read Psalm 16, how can it inspire you to name the ways you find joy in God?

In my life’s journey, O God, please bless me to wisely find joy that starts with You.

오늘의 말씀

09/18/2024     수요일

성경읽기: 잠언 30-31; 고린도후서 11:1-15
찬송가: 407(통465)

하나님의 인내심 있는 사랑

예쁘고 털이 복실한 노르웨이 숲고양이 미스티크의 배를 쓰다듬으며 같이 놀 때나, 저녁에 내 무릎에서 잠이 들었을 때, 나는 가끔 이 미스티크가 몇 년 전 내가 주어 온 바로 그 암코양이라는 사실이 믿겨지지 않습니다. 예전에 길고양이였던 미스티크는 못 먹어서 비쩍 말랐었고 사람을 보면 무서워했습니다. 하지만 내가 매일 먹이를 주기 시작하면서 미스티크는 점점 변화되었습니다. 어느 날 마침내 나에게 쓰다듬는 것을 허락했고 그 다음은 다들 아시는 대로입니다.

미스티크의 변화는 인내와 사랑으로 얻을 수 있는 치유를 생각나게 합니다. 이사야 42장에 기록된 하나님의 사랑 말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영으로(1절) 충만한 종이 와서 “세상에 공의”를 세우기 위해(3-4절) 지치지 않고 “진리로” 일할 것이라는 예언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그 종 예수님(마태복음 12:18-20)은 폭력이나 권력 추구를 통해서 하나님의 공의를 세우지 않을 것입니다. 그 대신 주님은 조용하고 온화하며 (이사야 42:2), 다른 사람들에게 버림받은 사람들, 즉 “상하고” 상처받은 사람들 (3절)을 부드럽고 인내심 있게 돌보실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자녀를 절대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우리의 상처받는 마음이 마침내 치유되기 시작할 때까지 충분히 시간을 들여 돌보아 주실 것입니다. 그분의 온유하고 인내심 있는 사랑을 통해 우리는 천천히 사랑과 신뢰를 다시 한번 배웁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2:1-7
상한 갈대를 꺾지 아니하며 꺼져가는 등불을 끄지 아니하고
[이사야 42:3]

인내심 있는 사랑을 통해서 바뀌어진 변화를 어떻게 보신적이 있나요?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고 나눔으로써 어떻게 성장할 수 있나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끝까지 쉽게 포기하지 않으시고 인내심 있게 사랑하시고 저의 상처받은 마음을 돌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그와 같은 인내심 있는 사랑으로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8/2024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30-31; 2 CORINTHIANS 11:1-15
Hymn: 407(old 465)

GOD’S PATIENT LOVE

When I give our beautiful, fluffy Norwegian Forest cat, Mystique, belly rubs and play with her, or when she falls asleep on my lap in the evening, it’s sometimes hard to believe that she’s the same cat we met years ago. Mystique used to live on the streets, underweight and fearful of everyone. But that gradually changed as I started putting out food for her each day. One day she finally let me pet her, and the rest is history.

Mystique’s transformation is a reminder of the healing that can come with patience and love. It reminds me of God’s heart as described in Isaiah 42. There, we’re told of a coming servant filled with His Spirit (V. 1), who would tirelessly and “in faithfulness” work to establish God’s “justice on earth” (VV. 3-4).

But that servant—Jesus (MATTHEW 12:18-20)—would not bring God’s justice through violence or pursuit of power. Instead, He’d be quiet and gentle (ISAIAH 42:2), tenderly and patiently caring for those discarded by others—those “bruised” and wounded (V. 3).

God never gives up on His children. He has all the time in the world to care for our wounded hearts, until they finally begin to heal. Through His gentle, patient love we gradually learn to love and trust once more.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ISAIAH 42:1-7
A bruised reed he will not break, and a smoldering wick he will not snuff out.
[ ISAIAH 42:3 ]

How have you seen transformation through patient love?
How can you grow in experiencing and sharing God’s love?

Dear God, thank You for never giving up on me and for patiently loving and caring for my wounded heart. Please help me love others with that same patient love.

오늘의 말씀

09/17/2024     화요일

성경읽기: 잠언 27-29; 고린도후서 10
찬송가: 436(통493)

하나님의 가족으로 접붙임

오래 전 아버지와 함께 그가 사랑하는 에콰도르에 여행했을 때, 아버지가 자란 가족 농장에 간 일이 있습니다. 그때 저는 거기서 이상한 나무들을 보았습니다. 아버지가 어릴 적 장난치고 싶을 때, 어른들이 하는 것처럼 과일나무에 홈을 쪼개고 다른 버려진 과일나무 가지를 꽂아 넣은 뒤 동여매었던, 접붙임된 나무들이라고 아버지는 설명했습니다. 아버지의 장난은 그 나무들이 전과 다른 열매를 맺기 시작할 때까지는 발각되지 않았습니다.

아버지가 접붙임 과정을 설명해 주셨을 때, 나는 우리가 하나님의 가족으로 접붙임 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돌아가신 아버지는 지금 천국에 계신 줄 압니다. 왜냐하면 예수님을 믿음으로써 아버지는 하나님의 가족으로 접붙임 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도 나중에는 천국에 갈 것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에 있는 신자들에게 하나님이 이방인이나 유대인이 아닌 사람들이 하나님과 화해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돌감람나무인 네가 그들 중에 접붙임이 되어 참감람나무 뿌리의 진액을 함께 받는 자가 되었은즉”(로마서 11:17)이라고 말입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믿을 때, 우리는 주님께로 접붙여져 하나님의 가족의 일부가 됩니다. “그가 내 안에, 내가 그 안에 거하면 사람이 열매를 많이 맺나니”(요한복음15:5).

접붙인 나무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그리스도를 믿을 때 우리는 새로운 피조물이 되고 많은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1:11-21
돌감람나무인 네가 그들 중에 접붙임이 되어
[로마서 11:17]

당신이 하나님의 가족에 접붙임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기분이 어떤가요? 당신은 그리스도를 위해 어떻게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나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사랑하시고 하나님의 가족으로 받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9/17/2024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7-29; 2 CORINTHIANS 10
Hymn: 436(old 493)

GRAFTED INTO GOD’S FAMILY

During a visit with my father to his beloved Ecuador a few years ago, we visited the family farm where he grew up. I noticed a group of strange trees. My dad explained that when he was feeling mischievous as a boy, he would take a discarded branch from one fruit tree, make slits in a different kind of fruit tree, and tie the loose branch to the trunk like he saw the grownups do. His pranks went unnoticed until those trees started bearing different fruit than expected.

As my dad described the process of engrafting, I got a picture of what it means for us to be grafted into God’s family. I know my late father is in heaven because he was grafted into God’s family through faith in Jesus.

We can have the assurance of eventually being in heaven as well. The apostle Paul explained to the believers in Rome that God made a way for gentiles, or non-Jews, to be reconciled with Himself: “You, though a wild olive shoot, have been grafted in among the others and now share in the nourishing sap from the olive root” (ROMANS 11:17). When we put our faith in Christ, we’re grafted in with Him and become part of God’s family. “If you remain in me and I in you, you will bear much fruit” (JOHN 15:5).

Similar to engrafted trees, when we place our trust in Christ, we become a new creation and can bear much fruit.
- NANCY GAVILANES

Today's Reading

ROMANS 11:11-21
You, though a wild olive shoot, have been grafted in among the others.
[ ROMANS 11:17 ]

How does it feel to know you can be grafted into God’s family? How can you bear good fruit for Christ?

Dear God, thank You for loving me and accepting me into Your family.

오늘의 말씀

09/16/2024     월요일

성경읽기: 잠언 25-26; 고린도후서 9
찬송가: 204(통379)

그리스도의 기초 위에 세워진 집

영어에서 동물 무리에 대한 명칭은 다양합니다. 양 ‘무리’(flock: 주로 털을 얻는 양이나 새의 무리 -역주), 소 ‘떼’(herd: 공통된 생김새나 습성을 지닌 짐승 무리 -역주), 혹은 거위 ‘떼’(gaggle: 시끌벅적한 무리 -역주)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몇몇 다른 명칭을 들어보면 놀랄지도 모릅니다. 까마귀 무리에 대해서는 ‘살인’(murder)을 사용합니다. 악어 ‘회중’(congregation)이나 코뿔소 ‘굉음’(crash)은 어떻습니까? 떼까마귀(유라시아 까마귀) ‘집’(building)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

사실 ‘집’은 성경에 나오는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을 칭하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바울 사도는 이렇게 썼습니다. “너희는... 하나님의 집이니라” (고린도전서 3:9). 성경에는 신자에 대한 다른 이름도 있습니다. “양떼”(사도행전 20:28), “그리스도의 몸”(고린도전서 12:27), “형제 자매”(데살로니가전서 2:14) 등 말입니다.

베드로전서 2장 5절에서 베드로는 교회에 “너희도 산 돌 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졌다”고 말하면서 집의 비유를 반복합니다. 그리고 6절에서 이사야 28장 16절 “보라 내가 한 돌을 시온에 두어 기초를 삼았노니”라고 인용합니다. 예수님은 그 집의 기초가 되십니다.

우리는 교회를 세우는 것이 우리의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예수님은 “내가 내 교회를 세우리라”(마태복음 16:18)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자의 찬양을 선포하라” (베드로전서 2:9)는 하나님의 선택을 받았습니다. 우리가 이러한 찬양을 선포할 때, 우리는 하나님께서 선한 일을 행하심에 있어 그분의 도구로 사용됩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4-10
너희도 산 돌 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지고
[베드로전서 2:5]

예수님이 교회를 세운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그 일에 참여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나 자신만을 생각하는 그 순간들을 용서해 주세요.
주님의 교회를 세울 때 주님을 섬기고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도록 저를 사용해 주소서.

Daily Article

09/16/2024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5-26; 2 CORINTHIANS 9
Hymn: 204(old 379)

BUILT ON CHRIST

We have all sorts of names for groups of animals. No doubt you’ve heard of a flock of sheep, a herd of cattle, or even a gaggle of geese. But some names may surprise you. A group of crows is called a murder. How about a congregation of alligators, or a crash of rhinoceroses? Have you heard of a building of rooks (Eurasian crows)?

Building, in fact, is one of the names in the Bible for believers in Jesus. “You are . . . God’s building,” wrote the apostle Paul (1 CORINTHIANS 3:9). There are other names for believers as well: “the flock” (ACTS 20:28), “the body of Christ” (1 CORINTHIANS 12:27), “brothers and sisters” (1 THESSALONIANS 2:14), and more.

The building metaphor recurs in 1 Peter 2:5, as Peter tells the church, “You also, like living stones, are being built into a spiritual house.” Then, in verse 6, Peter quotes Isaiah 28:16, “See, I lay a stone in Zion, a chosen and precious cornerstone.” Jesus is the very foundation of His building.

We may have the sense that it’s our job to build the church, but Jesus said, “I will build my church” (MATTHEW 16:18). We’re chosen by God to “declare the praises of him who called you out of darkness into his wonderful light” (1 PETER 2:9). As we declare those praises, we become instruments in His hands as He does His good work.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PETER 2:4-10
You are living stones that God is building into his spiritual temple.
[ 1 PETER 2:5 NLT ]

What does it mean for Jesus to build His church?
How can you participate in that work?

Dear God, forgive me for the times I think it’s all about me.
Please use me to serve You and love others as You build Your church.

오늘의 말씀

09/15/2024     주일

성경읽기: 잠언 22-24; 고린도후서 8
찬송가: 166(통156)

“무덤은 필요 없다”

컨트리 음악의 전설 조니 캐시는 죽음이 다가오는 순간에도 계속 음악을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그의 마지막 앨범 ‘아메리칸 6: 무덤은 필요 없다’는 그의 생전의 마지막 몇 달 동안 녹음되었습니다. 클로드 엘리의 찬송가를 자신의 스타일로 편곡한 타이틀 곡은 부활에 대한 그의 마지막 생각을 엿볼 수 있게 합니다. 그가 가진 특유의 중저음이 건강 때문에 약해지긴 했지만 그래도 부활에 대한 강력한 믿음의 간증을 노래합니다.

조니의 소망은 단순히 예수님이 주일 아침에 부활하셨다는 사실에 머물지 않았습니다. 언젠가 자신의 육신도 부활하여 다시 살아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바울 사도의 시대에도 사람들이 미래의 육체적 부활을 부정했기 때문에 이는 확증이 필요한 매우 중요한 진리였습니다. 바울은 그들의 주장을 강하게 반박하면서 “만일 죽은 자의 부활이 없으면 그리스도도 다시 살아나지 못하셨으리라 그리스도께서 만일 다시 살아나지 못하셨으면 우리가 전파하는 것도 헛것이요 또 너희 믿음도 헛것이며”(고린도전서 15:13-14)라고 설파했습니다.

무덤이 예수님의 시신을 가두지 못했던 것처럼, 언젠가 그분이 부활하셨다는 믿음을 가진 모든 사람이 “살아나게 될 것”(22절) 입니다. 그리고 부활한 몸으로 우리는 새로운 땅에서 그분과 함께 영생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찬송할 이유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5:12-22
그리스도께서 만일 다시 살아나지 못하셨으면 우리가 전파하는 것도 헛것이요 또 너희 믿음도 헛것이며
[고린도전서 15:14]

육체적 부활에 대한 희망이 여러분에게 어떤 위안을 주나요?
어떻게 이것이 믿음의 표현인가요?

예수님, 주님과 함께하는 천국의 미래에 대한 놀라운 희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15/2024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2-24; 2 CORINTHIANS 8
Hymn: 166(Old156)

“AIN’T NO GRAVE”

Even as country music legend Johnny Cash was approaching death, he was determined to keep making music. His final album, American VI: Ain’t No Grave, was recorded in the final months of his life. The title song, Cash’s version of a hymn by Claude Ely, gives insight into his final thoughts as we hear him sing of his hope of the resurrection. His famously deep voice, though weakened by his declining health, declares a powerful testimony of faith.

Johnny’s hope wasn’t simply in the fact that Jesus was resurrected on Easter Sunday morning; he believed that one day his own physical body would also be resurrected, and he’d rise again.

It’s an important truth to affirm because even in the days of the apostle Paul, people denied a future physical resurrection. Paul strongly critiqued their argument when he wrote, “If there is no resurrection of the dead, then not even Christ has been raised. And if Christ has not been raised, our preaching is useless and so is your faith” (1 CORINTHIANS 15:13-14).

Just as the grave couldn’t hold Jesus’ body, one day all those who have faith that He was resurrected “will be made alive” (V. 22). And in our resurrected bodies, we’ll enjoy all eternity with Him on a new earth. That’s reason to sing!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5:12-22
And if Christ has not been raised, our preaching is useless and so is your faith.
[ 1 CORINTHIANS 15:14 ]

What comfort does the hope of physical resurrection bring to you?
How’s it an expression of faith?

Jesus, thank You for giving me the amazing hope of a future in heaven with You.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