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11/2025 목요일
하나님을 향한 탄식
그러한 파괴와 고통을 목격하거나 기억할 때, 우리는 하나님께 고통을 호소한 사람들의 울부짖음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예레미야애가에서도 이 같은 탄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많은 학자들은 예레미야 선지자가 예루살렘이 멸망한 후에 이 책을 쓴 것이라고 믿습니다. 탄탄한 구조를 이룬 이 시를 통해 선지자는 하나님 백성의 고통에 대한 자신의 슬픔과 비탄을 쏟아놓습니다.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내가 환난을 당하여 나의 애를 다 태우고 나의 마음이 상하나이다”(예레미야애가 1:20). 하지만 하나님 만이 죄와 파괴를 다루실 수 있는 유일한 분이심을 알기에 그는 최후의 심판관이신 하나님을 바라봅니다. “그들의 모든 사악함이 주님 앞에 드러나게 해주소서”(22절, 새번역).
이렇게 하나님께 솔직하게 울부짖다 보면 2001년 9월 11일의 비극 같은 고통스런 끔찍한 일이나 현재 일어나고 있는 다른 악한 일들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도우시고, 희망을 주시며, 위로하시고, 공의를 행하실 것을 기대합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애가 1:20-22여호와여 보시옵소서 내가 환난을 당하여 나의 애를 다 태우고 나의 마음이 상하오니 [예레미야애가 1:20]
당신이 악을 목격할 때 어떻게 하나님 앞에서 마음을 부드럽게 유지합니까? 하나님께서 오늘 상처받은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도록 어떻게 당신을 이끄실까요?
진리와 사랑의 하나님, 세상의 고통을 보시고 주님의 마음이 아파하심을 압니다. 주님의 은혜와 자비로 저를 감싸 주시고, 저의 상처를 치유하여 주소서.
Daily Article
09/11/2025 THURSDAY
LAMENTING TO GOD
When we witness or remember such destruction and pain, we can join the cries of those who have voiced their distress to God. This includes the words of anguish found in Lamentations, which many scholars believe the prophet Jeremiah wrote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In the tightly formed structure of this poem, he releases his sorrow and grief over the pain of God’s people: “See, Lord, how distressed I am! I am in torment within, and in my heart I am disturbed” (LAMENTATIONS 1:20). And yet he looks to God as the ultimate judge, knowing that only He can deal with the sins and destruction: “Let all their wickedness come before you” (V. 22).
This kind of honest crying out to God can help us to grapple with painful atrocities such as what happened on September 11, 2001, or other current-day evil deeds. We look to God for help, hope, comfort, and justice.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AMENTATIONS 1:20-22See, Lord, how distressed I am! I am in torment within, and in my heart I am disturbed. [ LAMENTATIONS 1:20 ]
When you witness wickedness, how do you keep your heart tender before God? How might He lead you to pray for those who are hurting today?
God of truth and love, I know that Your heart breaks over the pain in the world. Please envelop me in Your grace and mercy and heal my wounds.
오늘의 말씀
09/10/2025 수요일
무력함 속에서도 멈추지 않는 기도
베일리 부부는 무력감을 느꼈지만 그래도 기도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역대하 20장에서 여호사밧 왕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강력한 적군 연합군에 의해 괴롭힘을 당할 때, 그는 기도회를 소집했습니다(1-4절). “우리 하나님이여, 그들을 징벌하지 아니하시나이까” 그는 기도했습니다. “우리를 치러 오는 이 큰 무리를 우리가 대적할 능력이 없고 어떻게 할 줄도 알지 못하옵고 오직 주만 바라보나이다”(12절).
여러분도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무력감이나 막막함을 느낀 적이 있나요? 혼자 또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기도 모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것이 바로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앞둔 순간 하신 일입니다(누가복음 22:39-44). 기도 공간은 전능하신 하나님께 예수님의 이름으로 힘없는 사람들의 간구를 드리는 거룩한 장소입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하 20:2-4, 6-12, 15우리가... 어떻게 할 줄도 알지 못하옵고 오직 주만 바라보나이다 [역대하 20:12]
당신의 어려움을 기도로 하나님께 가져가지 못하게 막는 것은 무엇인가요?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 함께 기도로 협력하여 서로를 도울 수 있을까요?
부활의 능력을 가지신 전능하신 하나님, 오늘 무력함 속에서 예수님께 시선을 고정할 때 저를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0/2025 WEDNESDAY
POWERLESS BUT NOT PRAYERLESS
Though the Baileys felt powerless, they were not prayerless. And neither was King Jehoshaphat in 2 Chronicles 20. When harassed by a menacing coalition of enemy forces, he called a prayer meeting (VV. 1-4). “Our God, will you not judge them?” he prayed. “For we have no power to face this vast army that is attacking us. We do not know what to do, but our eyes are on you” (V. 12).
Have you ever felt powerless or clueless in the face of circumstances that were out of your control? Why not call a prayer meeting—either alone or with others? That’s what Jesus did in the face of His coming crucifixion (LUKE 22:39-44). Prayer space is the sacred place where the petitions of powerless people are offered to our almighty God in the name of Jesus.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2 CHRONICLES 20:2-4, 6-12, 15We do not know what to do, but our eyes are on you. [ 2 CHRONICLES 20:12 ]
What’s keeping you from bringing your challenges to God in prayer? How can you partner with others in prayer for mutual support?
Almighty God of resurrection power, please help me in my powerlessness today as I fix my eyes on Jesus.
오늘의 말씀
09/09/2025 화요일
예수님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이 목사님의 글은 예수를 믿는 모든 신자들에게 도전이 되며, 바울 사도가 젊은 제자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 말과도 일맥상통합니다. 바울은 “우리 주를 증언함에... 부끄러워하지 말라”(디모데후서 1:8)고 말하며, 성령은 우리에게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마음”(7절)을 주셨다고 강조합니다.
그 믿음 충만한 아프리카 목사님의 글의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나는 부끄러워하지 않는 자들의 모임에 속해 있습니다. 결정은 이미 내려졌습니다. 나는 [예수]의 제자이며 물러서거나, 포기하거나, 속도를 늦추거나, 뒷걸음질치거나, 가만히 있지 않을 것입니다. 나의 과거는 구속 받았고, 나의 현재는 의미가 있으며, 나의 미래는 안전합니다. 나는 믿음으로 살고, 주님의 임재에 의지하며, 인내로 걷고, 기도로 힘을 얻고, 성령의 능력으로 일합니다.”
디모데와 그 목사님은 우리가 결코 경험 못할지도 모를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들의 말은 우리의 믿음이 시험받을 때 굳건히 서 있으라고 도전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에게 맡긴 것(우리의 삶과 미래)을... 그날까지 지켜 주실”(12절, 현대인의 성경) 분이기에 우리는 부끄러워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6-12우리 주를 증언함에... 부끄러워하지 말고
[디모데후서 1:8]
당신에게 그리스도를 위해 부끄러워하지 않을 용기를 주는 것은 무엇인가요?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았던 다른 사람들의 모범을 어떻게 따를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성령님을 통해 우리에게 힘을 주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주님을 위해 서고, 부끄러워하지 않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09/2025 Tuesday
UNASHAMED FOR JESUS
This pastor’s words present a challenge to all believers in Jesus—a challenge that echoes the words of the apostle Paul, who wrote in his letter to his young friend Timothy: “Do not be ashamed of the testimony about our Lord” (2 TIMOTHY 1:8) because the Holy Spirit gives us “power, love and self-discipline” (V. 7).
Here, in part, is what that faithful African pastor wrote: “I am part of the fellowship of the unashamed. The decision has been made. I am a disciple of [Jesus] and I won’t back up, let up, slow down, back away, or be still. My past is redeemed. My present makes sense. My future is secure. . . . I live by faith, lean on His presence, walk by patience, lift by prayer, and labor by the Holy Spirit’s power.”
Both Timothy and that pastor faced difficulties we may never experience, but their words challenge us to stand strong when our faith is tested. We can remain unashamed because God “is able to guard what [we] have entrusted to him” (V. 12)—our lives and our future.
- DAVE BRANON
Today's Reading
2 TIMOTHY 1:6-12Do not be ashamed of the testimony about our Lord.
[ 2 TIMOTHY 1:8 ]
What gives you courage to be unashamed for Christ? How can you follow the examples of others who were unashamed of the gospel?
Dear God, You promised that the Holy Spirit gives us power.
Please help me to stand up for You and be unashamed in all kinds of situations.
오늘의 말씀
09/03/2025 수요일
서로를 위해 기도할 준비
예수님을 따르는 성도들도 이같이 서로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우리가 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움은 기도입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 교회에 이같이 편지를 썼습니다. “형제들아 내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의 사랑 으로 말미암아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기도에 나와 힘을 같이하여 나를 위하여 하나님께 빌라”(로마서 15:30). 바울은 예수께서 “유대에서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들로부터 건짐을 받게” 기도하고 “성도들”이 바울이 섬기는 일을 “받을 만하게” 하기를 기도하라고 부탁했습니다(31절). 바울은 하나님의 나라에 속하게 됨으로써 얻는 보상을 알고 있었습니다(32절). 바울은 또한 “평강의 하나님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계실지어다”(33절)라고 축복으로 그의 편지를 마무리하며, 기도로 성도들과 연합했습니다.
예수님을 믿고 살아갈 때, 우리는 육체적 그리고 영적 영역에서 적대적인 사람들과 마주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하시며 우리를 대신해 싸워 주신다고 약속하십니다. 하지만, 우리는 함께 서서 항상 기도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5:30-33너희 기도에 나와 힘을 같이하여 나를 위하여 하나님께 빌어
[로마서 15:30]
하나님은 어떻게 중보 기도를 통해 당신을 강하게 만드셨습니까?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이 계속 기도할 준비가 되어 있게 하십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주님과 주님의 백성들과 함께 풍요로이 살며 늘 기도에 굳건히 서게 해 주소서.
Daily Article
09/03/2025 Wednesday
READY TO PRAY
Believers in Jesus desperately need help from others too. The most powerful help we can offer is prayer. The apostle Paul wrote in a letter to the church in Rome, “I urge you, brothers and sisters, by our Lord Jesus Christ and by the love of the Spirit, to join me in my struggle by praying to God for me” (ROMANS 15:30). Paul asked them to pray that he would “be kept safe from the unbelievers in Judea” and that the “Lord’s people” would receive him and his gifts “favorably” (V. 31). He acknowledged the rewards of being a part of their community (V. 32). He stood with them in prayer, too, ending his letter with a blessing: “The God of peace be with you all” (V. 33).
As we live for Jesus, we’ll face adversaries in the physical and spiritual realms. God promises to be with us and fight on our behalf, however, as we stand together . . . always ready to pray.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ROMANS 15:30-33Join me in my struggle by praying to God for me.
[ ROMANS 15:30 ]
How has God used intercessory prayer to strengthen you?
How does He keep you ready to pray?
Mighty God, please make me steadfast in prayer as I thrive in community with You and others.
오늘의 말씀
09/08/2025 월요일
그리스도의 진리를 받아들이기
우리는 모두 진실을 갈망하지만, 때때로 그 진실이 우리에게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죽음을 앞두고 계셨을 때, “내가 곧 진리다”(요한복음 14:6)라고 선언하셨습니다.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그토록 간절히 말씀하신 아버지의 집에 어떻게 갈 수 있는지 궁금해했습니다 (2-3절). 그들은 자신들 앞에 서 계신 예수님이 바로 그 해답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께서 자신의 희생을 통해 승리하실 것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오실 메시아가 아름답거나 위엄 있는 모습을 가지지 않으며, “우리가 보기에 흠모할 만한 아름다운 것이 없도다”라고 예언했습니다 (이사야 53:2). 예수님의 말씀 중 많은 것들이 너무 도전적이고 예상 밖이어서 종교 지도자들은 그분을 적대시했습니다(요한복음 11:45-48).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진리를 알고 참된 생명을 찾을 수 있도록 열린 초대를 해주셨습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너희가 나를 알았더라면 내 아버지도 알았으리라”(요한복음 14:7). 보정되고 비현실적인 세상 속에서, 우리는 오늘도 이 아름답고 순수한 진리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1-7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요한복음 14:6]
당신은 진리보다 피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있지는 않나요?
예수님의 말씀을 더 깊이 받아들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모든 진리의 근원이신 주님을 따르겠습니다.
Daily Article
09/08/2025 MONDAY
EMBRACING CHRIST’S TRUTH
We all long for what’s real, but sometimes the truth isn’t attractive to us. Close to the time of His death, Jesus declared, “I am . . . the truth” (JOHN 14:6). His disciples were wondering how they could get to the Father’s house that Jesus spoke so longingly about (VV. 2-3). They failed to see that Jesus standing in front of them was the answer. They struggled to understand that He would bring victory through His own sacrifice.
Isaiah prophesied that the coming Messiah would have no beauty or majesty, “nothing in his appearance that we should desire him” (ISAIAH 53:2). Much of what Jesus said was so challenging and unexpected that it turned religious people against Him (JOHN 11:45-48). Yet He gave an open invitation to know the truth and find real life. “If you really know me,” said Jesus, “you will know my Father as well” (JOHN 14:7). In the midst of an airbrushed and unrealistic world, we can embrace that beautiful, raw truth today!
KAREN PIMPO
Today's Reading
JOHN 14:1-7Jesus answered, “I am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 JOHN 14:6 ]
Are you seeking superficial beauty instead of truth?
How can you embrace Jesus’ words more and more?
Dear Jesus, I choose to follow You as the source of all truth.
오늘의 말씀
09/07/2025 주일
주님께 의지함
그때 아이 얼굴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구름 사이로 햇살이 비치듯이 찌푸린 이마가 펴지더니 얼굴이 환한 미소로 빛나서 내 마음이 녹아 내릴 것만 같았습니다. 보통의 할머니 할아버지들처럼 손녀가 내 말을 이해했다고 믿고 싶었지만 그건 좀 무리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마도 내 말 속에 담긴 기쁨을 느꼈을지도 모릅니다. 손녀의 얼굴에 떠오른 순수하고 천진난만한 기쁨은 “하나님의 나라를 어린아이와 같이 받들어야 한다”는 예수님의 말씀을 떠올리게 했습니다(마가복음 10:15).
예수님은 사람들이 예수께서 “어린 아이들을 만져 주고” 축복해주시기를 바라며 “데리고 왔을” 때 그 말씀을 하셨습니다(13, 16절) 하지만 제자들은 예수님이 그런 일을 하시기에는 너무 바쁘거나 너무 중요한 분이라고 생각해서 그들을 꾸짖었습니다. 그것이 예수님을 속상하게 했습니다(14-15절).
어린아이들은 본래 겸손하고 의존적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받으려면, 우리도 교만함을 버리고 모든 일에서 하나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의 소망이 없는 것들을 약속하신 영원한 생명의 소망을 주십니다. 그것이 우리를 미소 짓게 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0:13-16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
[마가복음 10:14]
당신은 어떤 부분에서 하나님이 필요합니까? 오늘 하나님께 의존하는 마음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아빠 아버지 하나님, 오늘 겸손히 주님의 은혜 안에 거하면서 그 은혜를 다른 이들에게 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07/2025 SUNDAY
DEPENDENCE ON GOD
Then it happened. Like a cloud letting the sun through, the furrow left her brow and her little face lit up with a smile that melted my heart. Like most grandparents, I’d like to believe she understood me, though that may be a stretch. But perhaps she caught some of the joy behind my words. The simple, innocent joy that shone on her face brought to mind Jesus’ words that we must “receive the kingdom of God like a little child” (MARK 10:15).
Jesus said those words as “people were bringing little children” to Him so He might “place his hands on them” and bless them (VV. 13, 16). But “the disciples rebuked them,” thinking Jesus too busy or important. That troubled Him (VV. 14-15).
Children are naturally humble and dependent. To receive God’s kindness to us in Christ, we too must turn from pride and admit our need for Him in everything. As we do, He exchanges this world’s hopelessness with the promise of life with God forever. And that should make us smile.
JAMES BANKS
Today's Reading
MARK 10:13-16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such as these.
[ MARK 10:14 ]
In what ways do you need God? How can you declare your dependence on Him today?
Abba Father, help me to humbly live in Your kindness today and also share it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9/06/2025 토요일
하나님의 정의에 대한 생각
시편 109편을 읽으면서 우리의 본능적인 정의감에 대한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다윗 또한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괴롭히는 자들에 대한 분노로 씨름했습니다. 그는 “그의 연수를 짧게 하시며... 그의 자녀는 고아가 되고 그의 아내는 과부가 되며”라고 저주했습니다(8-9절).
하지만 다윗 왕은 비록 복수할 힘이 있었음에도 직접 원수를 갚지 않았습니다. 대신, 참된 정의와 구원의 근원이신 하나님께 나아갔습니다. “이는 나의 대적들이 곧 내 영혼을 대적하여 악담하는 자들이 여호와께 받는 보응 이니이다... 주의 인자하심을 따라 나를 구원하소서”(20, 26절)라고 기도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하는 정의감으로 창조하셨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솔직하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심판과 형벌은 하나님께 맡겨야 하고, 하나님의 시간과 방식으로 공의를 베푸실 것을 믿어야 합니다. 바울 사도는 분명하게 말합니다. “너희가 친히 원수를 갚지 말고... 하나님의 진노하심에 맡기라”(로마서 12:19).
오늘의 성구
시편 109:6-9, 26-29이는 나의 대적들이 곧 내 영혼을 대적하여 악담하는 자들이 여호와께 받는 보응이니이다 [시편 109:20]
어떤 소식이나 사건이 당신을 불편하게 합니까?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과 불의의 희생자들을 위해 어떻게 기도할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주님은 모든 것을 보시는 의로우신 하나님이십니다. 주님의 정의가 온전히 이루어져 모든 사람이 주님을 경외하고 경배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9/06/2025 SATURDAY
A SENSE OF GOD’S JUSTICE
Reading Psalm 109 gave me an insight into our natural sense of justice. David, for one, wrestled with anger toward those who wronged the poor and needy. “May his days be few . . . . May his children be fatherless and his wife a widow,” he charged (VV. 8-9).
But King David didn’t take revenge on these men—even though he had the power to. Instead, he turned to God as the true source of justice and deliverance. “May this be the Lord’s payment to my accusers, to those who speak evil of me,” he said. “Save me according to your unfailing love” (VV. 20, 26).
I believe God made us with an inherent sense of justice, for it reflects His own character. And we can express our feelings honestly. But ultimately we’re to leave judgment and punishment to Him—trusting Him to bring justice in His time and way. The apostle Paul states things clearly: “Do not take revenge . . . but leave room for God’s wrath” (ROMANS 12:19).
LESLIE KOH
Today's Reading
PSALM 109:6-9, 26-29May this be the Lord’s payment to my accusers, to those who speak evil of me. [ PSALM 109:20 ]
What news or events disturb you? How can you pray for those in need and for victims of injustice?
Dear God, You are the all-seeing, righteous God. May Your justice prevail so that all may come to fear and worship You.
오늘의 말씀
09/05/2025 금요일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범위 안에서 자유
하나님은 그분의 경계가 우리에게 주는 자유를 강조하십니다. 이스라엘에게 십계명을 주실 때, 하나님은 그분의 신성한 경계 안에서 살아갈 때 “번성하는” 삶을 약속하셨습니다.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명령하신 모든 도를 행하라 그리하면 너희가 살 것이요 복이 너희에게 있을 것이며 너희가 차지할 땅에서 너희의 날이 길리라”(신명기 5:33). 여기서 ‘번성’이라는 개념은 좋은 결과를 얻는 삶, 곧 양질의 삶을 의미합니다.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율법을 완성하신 예수님은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한복음 8:31-32)고 선포하셨습니다.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경계는 우리를 위한 것입니다. “울타리”는 우리가 하나님과 함께 경험하도록 창조된 삶을 더욱 자유롭게 누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5:28-29; 32-33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명령하신 모든 도를 행하라 그리하면 너희가 살 것이요 복이 너희에게 있을 것이며 [신명기 5:33]
하나님의 계명은 어떤 방식으로 당신을 자유롭게 합니까? 그러한 경계가 주는 자유를 어떻게 더 잘 받아들일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 유익을 위해 지혜로운 경계를 세워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05/2025 FRIDAY
THE FREEDOM GOD PROVIDES
God underlines the freedom His boundaries provide for us. In offering the Ten Commandments to Israel, He promised that a “prosperous” life would result from living within His divine boundaries. “Walk in obedience to all that the Lord your God has commanded you, so that you may live and prosper and prolong your days in the land that you will possess” (DEUTERONOMY 5:33). Here the concept of prosperity includes a life lived with good results— a life of quality.
Jesus, who fulfilled the law with His death on the cross, proclaimed, “If you hold to my teaching, you are really my disciples. Then you will know the truth, and the truth will set you free” (JOHN 8:31-32). Indeed, God’s boundaries are for our good. “Fences” can free us to enjoy the life God created us to experience with Him.
ELISA MORGAN
Today's Reading
DEUTERONOMY 5:28-29, 32-33Walk in obedience to all that the Lord your God has commanded you, so that you may live and prosper. [ DEUTERONOMY 5:33 ]
In what ways do God’s commands free you? How can you better embrace the freedom such boundaries offer?
Dear God, thank You for the wise parameters You put in place for my good.
오늘의 말씀
09/04/2025 목요일
그리스도 안에서의 소명
에스라는 바벨론 유배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려고 수년간을 기다려 온, 하나님 율법에 대한 진정한 “고급 학위”를 받고 성경을 공부하는 학생이었습니다. “에스라가 여호와의 율법을 연구하여 준행하며 율례와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가르치기로 결심하였더라”(에스라 7:10). 수십 년 전, 스룹바벨과 이스라엘 포로들의 일부는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성전을 재건할 수 있는 허락을 받았습니다(2:1-2). 이제는 에스라가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을 받아”(7:9) 더 많은 포로들을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에스라를 통해 성경에 따른 올바른 예배를 회복하고 개혁하는 일을 하셨습니다: “에스라가 책을 펼 때에 모든 백성이 엎드려 여호와께 경배하였다”(느헤미야 8:5-6).
에스라는 수십 년을 기다렸지만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 그의 소명을 완수했습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 하나님께서 맡기신 일을 끝까지 완수합시다.
오늘의 성구
에스라 7:6-11, 27-28에스라가 여호와의 율법을 연구하여 준행하며 율례와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가르치기로 결심하였었더라 [에스라 7:10]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소명을 계속 이어가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주님의 능력과 지혜로 계속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주님이 주신 소명을 잘 마칠 수 있도록 저를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04/2025 THURSDAY
OUR CALLING IN CHRIST
Ezra was a student of Scripture—one who truly had an “advanced degree” in God’s law—who’d been waiting years to return to Jerusalem from exile in Babylon. “Ezra had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and observance of the Law of the Lord, and to teaching its decrees” (EZRA 7:10). Zerubbabel and a group of Israelite exiles had been permitted to return from Babylon to rebuild the temple in Jerusalem decades earlier (2:1-2). And now Ezra, who had “the gracious hand of his God . . . on him” (7:9), was leading more exiles to Jerusalem. God would use him to reform and restore the proper worship of Him according to Scripture: “Ezra opened the book [of the Law]. All the people . . . bowed down and worshiped the Lord” (NEHEMIAH 8:5-6).
Ezra had to wait decades, but he completed his calling in God’s strength. In His power, let’s persist in finishing the work He has for us.
TOM FELTEN
Today's Reading
E ZR A 7:6-11, 27-28Ezra had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and observance of the Law of the Lord. [ EZRA 7:10 ]
What can you do to press on in your calling from God?
How can you persist in His power and wisdom?
Dear God, please help me finish well what You’ve called me to do.
오늘의 말씀
08/03/2025 수요일
서로를 위해 기도할 준비
예수님을 따르는 성도들도 이같이 서로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우리가 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움은 기도입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 교회에 이같이 편지를 썼습니다. “형제들아 내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의 사랑 으로 말미암아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기도에 나와 힘을 같이하여 나를 위하여 하나님께 빌라”(로마서 15:30). 바울은 예수께서 “유대에서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들로부터 건짐을 받게” 기도하고 “성도들”이 바울이 섬기는 일을 “받을 만하게” 하기를 기도하라고 부탁했습니다(31절). 바울은 하나님의 나라에 속하게 됨으로써 얻는 보상을 알고 있었습니다(32절). 바울은 또한 “평강의 하나님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계실지어다”(33절)라고 축복으로 그의 편지를 마무리하며, 기도로 성도들과 연합했습니다.
예수님을 믿고 살아갈 때, 우리는 육체적 그리고 영적 영역에서 적대적인 사람들과 마주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하시며 우리를 대신해 싸워 주신다고 약속하십니다. 하지만, 우리는 함께 서서 항상 기도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5:30-33너희 기도에 나와 힘을 같이하여 나를 위하여 하나님께 빌어
[로마서 15:30]
하나님은 어떻게 중보 기도를 통해 당신을 강하게 만드셨습니까?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이 계속 기도할 준비가 되어 있게 하십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주님과 주님의 백성들과 함께 풍요로이 살며 늘 기도에 굳건히 서게 해 주소서.
Daily Article
08/03/2025 WEDNESDAY
READY TO PRAY
Believers in Jesus desperately need help from others too. The most powerful help we can offer is prayer. The apostle Paul wrote in a letter to the church in Rome, “I urge you, brothers and sisters, by our Lord Jesus Christ and by the love of the Spirit, to join me in my struggle by praying to God for me” (ROMANS 15:30). Paul asked them to pray that he would “be kept safe from the unbelievers in Judea” and that the “Lord’s people” would receive him and his gifts “favorably” (V. 31). He acknowledged the rewards of being a part of their community (V. 32). He stood with them in prayer, too, ending his letter with a blessing: “The God of peace be with you all” (V. 33).
As we live for Jesus, we’ll face adversaries in the physical and spiritual realms. God promises to be with us and fight on our behalf, however, as we stand together . . . always ready to pray.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ROMANS 15:30-33Join me in my struggle by praying to God for me.
[ ROMANS 15:30 ]
How has God used intercessory prayer to strengthen you?
How does He keep you ready to pray?
Mighty God, please make me steadfast in prayer as I thrive in community with You and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