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15/2016 화요일
나는 중요한 존재인가?
만물을 창조하신 분이 모든 인간을 창조하셨기에, 우리 각 사람은 그분의 개인적인 관심과 사랑을 받을 만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나님은 그 사랑을 이스라엘의 울퉁불퉁한 언덕을 지나 마침내 십자가에 달리신 그분을 통해 보여주셨습니다.
예수님이 섬기는 자의 모습으로 이 세상에 오셨을 때, 주님의 손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사람을 섬기기에 지나치게 크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셨습니다. 그 손은 우리 각 사람의 이름과 우리를 정말 많이 사랑하신 대가로 치른 상처가 새겨져 있는 손입니다.
이제 내가 욥기나 전도서 같은 책에 잘 표현되어 있는 외로움의 아픔에 짓눌려 자기연민에 빠져있는 나 자신을 발견할 때, 나는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이야기와 행적들을 찾아봅니다. 만약 내가 “해 아래에서”(전도서 1:3) 나의 존재가 하나님께 별 의미가 없다고 결론짓는다면, 나는 하나님이 이 땅에 오신 주된 이유 중 하나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나는 중요한 존재인가?’라는 질문의 답은 바로 예수님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1:1-11[예수 그리스도는] 오 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빌립보서 2:7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외로움과 고통의 아픔에 휩싸일 때, 우리는 오직 당신께로만 달려갈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당신께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셨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선한 목자는 양을 위하여 목숨을 버린다. 예수님
Daily Article
11/15/2016 Tuesday
Do I Matter?
The Maker of all things is the Maker of all human beings, and each of us is deemed worthy of His individual attention and love. God demonstrated that love in person on the gnarly hills of Israel and ultimately on the cross.
When Jesus visited earth in the form of a servant, He showed that the hand of God is not too big for the smallest person in the world. It is a hand engraved with our individual names and engraved also with wounds, the cost to God of loving us so much.
Now, when I find myself wallowing in self-pity, overwhelmed by the ache of loneliness that is articulated so well in books like Job and Ecclesiastes, I turn to the Gospel accounts of Jesus’s stories and deeds. If I conclude that my existence “under the sun” (ECCL. 1:3) makes no difference to God, I contradict one of the main reasons God came to earth. To the question Do I matter? Jesus is indeed the answer. - PHILIP YANCEY
Today's Reading
Ecclesiastes 1:1–11[Christ Jesus] made himself nothing by taking the very nature of a servant.
Philippians 2:7
Father, when we are overwhelmed by the ache of loneliness and pain, we can run only to You. Jesus showed us how much we matter to You, and we thank You!
The Good Shepherd lays down his life for the sheep. JESUS
오늘의 말씀
11/14/2016 월요일
이제 모두 함께
바울 사도는 초대교회에 보낸 많은 서신들에서 그리스도인들이 함께 일할 때의 능력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는 로마의 신자들에게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들을 받아들이신 것처럼 서로를 받아들이라고 강력히 권고하면서,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한 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로마서 15:5-6)라고 말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 연합하는 것은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널리 알릴 수 있게 해주고, 또 박해를 견뎌낼 수 있도록 우리를 도와줍니다. 빌립보 교인들이 그들의 믿음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을 안 바울은, 그들에게 “한 뜻으로 복음의 신앙을 위하여 협력하는 것과 무슨 일에든지 대적하는 자들 때문에 두려워하지 아니하는”(빌립보서 1:27-28) 노력을 해달라고 격려했습니다.
사탄은 분열시키고 정복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하나님의 도움으로 우리가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킬” (에베소서 4:3) 때 사탄의 노력은 실패하고 말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5:1-7한 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로마서 15:6
사랑하는 하나님, 어디서나 그리스도인들이 당신 안에서 하나 되는 축복을 경험하게 해주소서. 우리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하나의 희망, 하나의 믿음, 그리고 한분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에게 떠올려주소서.
우리의 하나됨은 우리와 그리스도의 연합으로부터 비롯된다.
Daily Article
11/14/2016 Monday
All Together Now
The apostle Paul recognized the power of Christians working together in many of his letters to the early churches. He urged the Roman believers to accept each other the way Christ had accepted them and said, “[May God] give you the same attitude of mind toward each other that Christ Jesus had, so that with one mind and one voice you may glorify the God and Father of our Lord Jesus Christ” (ROM. 15:5–6).
Unity with other believers enables us to broadcast God’s greatness and also helps us to endure persecution. Knowing that the Philippians would pay a price for their faith, Paul encouraged them to strive “together as one for the faith of the gospel without being frightened in any way by those who oppose you” (PHIL. 1:27–28).
Satan loves to divide and conquer, but his efforts fail when, with God’s help, we “make every effort to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through the bond of peace” (EPH. 4:3).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Romans 15:1–7With one mind and one voice...glorify the God and Father of our Lord Jesus Christ.
Romans 15:6
Dear God, please let Christians everywhere experience the blessing of unity in You. Remind us of what we have in common: one hope, one faith, and one Lord—Jesus Christ.
Our unity comes from our union with Christ.
오늘의 말씀
11/13/2016 주일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라
말하는 것을 듣기는 하지만 귀를 기울이지 못할 수 있고, 쳐다보지만 제대로 보지 못할 수 있으며, 자리에 앉아 있지만 자리에 없는 것 같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런 상황에서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놓칠 수 있습니다.
에스라가 유다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가르침을 읽어주었을때, “뭇 백성이 그 율법책에 귀를 기울였습니다”(느헤미야 8:3). 뜻을 해석해주는 것에 주의를 기울임으로 그들은 다 깨닫게 되었고 (8절), 그것은 곧 회개와 부흥을 가져왔습니다. 사마리아에서 있었던 다른 경우를 보면, 예루살렘의 신자들에게 박해가 있은 후 (사도행전 8:1) 빌립은 사마리아 백성들에게로 나아갔습니다. 군중들은 그가 행한 표적을 보았을 뿐만 아니라, “그가 하는 말에 한 마음으로 귀를 기울였습니다”(6절, 새번역). “그래서 그 성에는 큰 기쁨이 넘쳤습니다” (8절, 새번역).
마음은 바로 가까이에 있는 많은 신나는 것들을 놓치는 방황하는 모험가 같을 수 있습니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의 기쁨과 경이로움을 발견할 수 있게 도와주는 말씀들보다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은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느 8:2-6; 행 8:4-8뭇 백성이 그 율법책에 귀를 기울였는데
느헤미야 8:3
주님, 우리 마음이 너무나 쉽게 산만해집니다. 우리가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특히 주님의 길로 우리를 가르치는 다른 사람들의 말을 들을 때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도와주소서.
말씀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마음에 주목하는 것과 행하려는 의지를 갖는 것, 이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윌리엄 에임즈
Daily Article
11/13/2016 Sunday
Pay Close Attention
It’s possible to hear what is being said but not listen, to watch but not see, to be present and yet absent. In such a condition, we may miss important messages meant for us.
As Ezra read God’s instructions to the people of Judah, “All the people listened attentively to the Book of the Law” (NEH. 8:3). Their attention to the explanation produced understanding (V. 8), which resulted in their repentance and revival. In another situation in Samaria, Philip, after persecution of the believers broke out in Jerusalem (ACTS 8:1), reached out to the Samaritan people. The crowd not only observed the miraculous signs he did, but they also “paid close attention to what he said” (V. 6). “So there was great joy in that city” (V. 8).
The mind can be like a wandering adventurer that misses a lot of excitement close by. Nothing deserves more attention than words that help us discover the joy and wonder of our Father in heaven. - LAWRENCE DARMANI
Today's Reading
Neh. 8:2–6; Acts 8:4–8All the people listened attentively to the Book of the Law.
Nehemiah 8:3
Lord, our minds are so prone to distraction. Help us to be present in the moment, especially when listening to those who instruct us in Your ways.
The receiving of the Word consists in two parts: attention of the mind and intention of the will. WILLIAM AMES
오늘의 말씀
11/12/2016 토요일
빵이요!
몸의 허기를 채우는 것에서 영적인 허기를 채우는 것으로 생각을 옮겨보면서 나는 예수님의 다음 말씀을 생각해봅니다.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요한복음 6:51).
어떤 사람은 전도란 실제로 한 거지가 다른 거지에게 빵을 어디서 찾았는지 말해주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나는 한 때 내 죄 때문에 영적으로 허기지고 굶주렸습니다. 그때 나는 좋은 소식을 들었습니다. 누군가가 내게 빵을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를, 즉 예수님 안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습니다. 그리고 내 삶이 변화되었습다!”
이제 우리에게는 다른 사람들에게 생명의 양식을 알려줄 특권과 책임이 있습니다. 동네에서, 일터에서, 학교에서, 오락장소에서 우리는 예수님에 대한 말씀을 나눌 수 있으며, 대합실이나 버스, 기차에서도 우리는 예수님에 대해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정의 문을 통해서도 다른 이들에게 좋은 소식을 전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생명의 양식입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이 놀라운 소식을 전해줍시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6:34-51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라
요한복음 6:48
주 예수님, 제가 가는 곳 어디서든 주님의 증인이 되기를 원합니다.
어디에 있든지 생명의 양식을 함께 나누라.
Daily Article
11/12/2016 Saturday
Bread!
Moving from the thought of feeding physical hunger to spiritual hunger, I think of Jesus’s words: “I am the living bread that came down from heaven. Whoever eats this bread will live forever” (JOHN 6:51).
Someone has said that evangelism is really one beggar telling another beggar where he found bread. Many of us can say, “Once I was spiritually hungry, spiritually starving because of my sins. Then I heard the good news. Someone told me where to find bread: in Jesus. And my life changed!”
Now we have the privilege and the responsibility of pointing others to this Bread of Life. We can share Jesus in our neighborhood, in our workplace, in our school, in our places of recreation. We can talk about Jesus in the waiting room, on the bus, or on the train. We can take the good news to others through doors of friendship.
Jesus is the Bread of Life. Let’s tell everybody the great news. - KEILA OCHOA
Today's Reading
John 6:34–51I am the bread of life.
John 6:48
Lord Jesus, I want to be Your witness everywhere I go.
Share the Bread of Life wherever you are.
오늘의 말씀
11/11/2016 금요일
올바른 관점
한 번은 네 살짜리 어린 소녀가 방 건너편에 있는 랄리를 보았습니다. 소녀는 그 개를 만지고 싶었지만 겁이 나서 가까이 가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결국 소녀의 호기심이 경계심을 눌러, 소녀는 몇 분 동안 개에게 말을 걸고 쓰다듬었습니다. 소녀는 그 개가 힘은 세지만 온순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속성들의 조화로운 어울림은 신약성경에서 읽은 예수님의 모습을 떠올려주었습니다. 어린아이들을 반겨주셨던 예수님은(마태복음 19:13-15)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분이셨습니다. 그분은 절망적인 상황에 놓인 간음한 여인에게 친절을 베푸셨습니다(요한복음 8:1-11). 예수님은 측은히 여기는 마음으로 군중들을 가르치셨습니다(마가복음 6:34). 동시에 예수님은 놀라운 능력을
가진 분이셨습니다. 주님이 마귀를 제압하고, 광풍을 잠재우고, 죽은 사람들을 다시 살리셨을 때, 사람들은 놀라고 경악했습니다!(마가복음 1:21-34; 4:35-41; 요한복음 11).
예수님을 보는 관점이 우리와 그분과의 관계를 결정합니다. 만약 그분의 능력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우리는 만화책 속에 있는 슈퍼히어로를 찬미하는 것처럼 거리를 두고 예수님을 대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또 그분의 인자하심만을 지나치게 강조한다면, 예수님을 너무 무심하게 대할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예수님은 동시에 양쪽을 다 가지신 분입니다. 주님은 우리의 순종을 받으시기에 합당한 위대한 분이신 동시에 우리를 친구라고 불러주실 정도로 겸손한 분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12-17너희는 내가 명하는 대로 행하면 곧 나의 친구라
요한복음 15:14
예수님, 주님을 알 수 있는 특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온유한 능력을 지니신 주님을 은혜와 영광이 가득한 하나님의 아들로서 경배합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어떻게 생각하는가는 우리와 예수님과의 관계 속에 잘 드러난다.
Daily Article
11/11/2016 Friday
Seeing Well
Once, a four-year-old girl spotted Raleigh across a room. She wanted to pet him, but was afraid to get close. Eventually, her curiosity overcame her sense of caution and she spent several minutes talking to him and petting him. She discovered that he is a gentle creature, even though he is powerful.
The combination of these qualities reminds me of what we read about Jesus in the New Testament. Jesus was approachable— He welcomed little children (MATT. 19:13–15). He was kind to an adulterous woman in a desperate situation (JOHN 8:1–11). Compassion motivated Him to teach crowds (MARK 6:34). At the same time, Jesus’s power was astounding. Heads turned and jaws dropped as He subdued demons, calmed violent storms, and resurrected dead people! (MARK 1:21–34; 4:35–41; JOHN 11).
The way we see Jesus determines how we relate to Him. If we focus only on His power, we may treat Him with the detached worship we’d give a comic book superhero. Yet, if we overemphasize His kindness, we risk treating Him too casually. The truth is that Jesus is both at once—great enough to deserve our obedience yet humble enough to call us friends.-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John 15:12–17You are my friends if you do what I command.
John 15:14
Jesus, thank You for the privilege of knowing You. I acknowledge Your gentle power. I worship You as the Son of God—full of grace and glory.
What we think of Jesus shows in how we relate with Him.
오늘의 말씀
11/10/2016 목요일
새로운 목적
시몬과 그의 친구들은 갈릴리 바다에서 고기를 잡는 어부였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이 오셔서 그들에게 주님을 따라오라고 부르셨습니다. 주님이 그들에게 새로운 목적을 주신 것입니다. 그들은
이제는 더 이상 고기를 낚는 어부가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에게 “나를 따라오라 내가 너희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마가복음 1:17)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들의 삶에 세워진 이 새로운 목적을 갖게 된 이 사람들은 예수님께 배우고 훈련을 받아, 예수님이 승천하신 뒤에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메시지로 사람들의 마음을 얻는 일로 하나님께 쓰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랑과 구원의 좋은 소식을 나누며 그들의 발자취를 뒤따라갑니다.
우리의 삶이 다른 사람들의 삶과 목적, 그리고 영원한 운명을 바꿀 수 있는 이 사랑을 전하고 나타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16-22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를 따라오라 내가 너희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 하시니
마가복음 1:17
주님, 제가 주님을 잘 보여줌으로써 다른 사람들을 주님의 사랑과 구원으로 이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사는 우리에게 새로운 목적이 주어졌다.
Daily Article
11/10/2016 Thursday
A New Purpose
Simon and his friends were fishermen on the Sea of Galilee. Then Jesus arrived and called them to follow Him. He gave them a new purpose. No longer would they fish for fish. As Jesus told them, “Come, follow me, . . . and I will send you out to fish for people” (MARK 1:17).
With this new purpose set for their lives, these men were taught and trained by Jesus so that, after His ascension, they could be used by God to capture the hearts of people with the message of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Christ. Today, we follow in their steps as we share the good news of Christ’s love and salvation.
May our lives both declare and exhibit this love that can change the lives, purposes, and eternal destinies of other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Mark 1:16–22"Come, follow me," Jesus said, "and I will send you out to fish for people."
Mark 1:17
Help me, Lord, to represent You well so that others might be drawn to Your love and salvation.
With our new life in Christ we have been given a new purpose.
오늘의 말씀
11/09/2016 수요일
표적과 감정
이것 때문에 그가 궁지에 빠졌습니다. 그의 기도하는 방법과 하나님의 응답이라고 생각하는 방법 때문에, 그는 전에 사귀던 여자 친구와 다시 교제해야 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리 놀라운 일도 아니겠지만, 그녀는 하나님께서 그것을 원하지 않으신다고 굳게 믿고 있었습니다.
예수님 당시의 종교지도자들은 예수님에게 주님의 주장이 타당하다는 것을 증명할 표적을 보여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마태복음 16:1). 그들은 하나님의 인도를 구하지도 않으면서 하나님의 신성한 권위에 도전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그들에게 “악하고 음란한 세대가 표적을 구한다”(4절)라고 대답하셨습니다. 주님이 이처럼 강력하게 반응하신 것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인도를 구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포괄적으로 언급하신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보다는, 예수님이 메시아이심을 가리키는 성경에 기록된 분명한 예언들을 무시하는 그들을 꾸짖고 계셨던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기도하는 가운데 그분의 인도하심을 구하기를 원하십니다(야고보서 1:5). 또한 하나님은 성령님(요한복음 14:26)과 하나님의 말씀(시편 119:105)으로 우리를 인도해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스승들과 현명한 지도자들을 주시고, 예수님의 본보기도 우리에게 보여주셨습니다.
하나님께 분명한 길을 묻는 것은 지혜로운 일이지만, 언제나 우리가 원하고 기대하는 방법대로 응답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어쩌면 기도의 더 큰 요점은 하나님의 성품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우리 하나님 아버지와의 관계를 더 발전시키는 일일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6:1-4주의 말씀은 내 발에 등이요 내 길에 빛이니이다
시편 119:105
.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제가 하겠습니다”라고 하나님께 말하는 것이다.
Daily Article
11/09/2016 Wednesday
Signs and Feelings
This has created a dilemma. Because of the way he prays and the way he thinks God is answering, he feels that he should get back with his ex-girlfriend. Perhaps unsurprisingly, she feels strongly that God doesn’t want that.
The religious leaders of Jesus’s day demanded a sign from Him to prove the validity of His claims (MATT. 16:1). They weren’t seeking God’s guidance; they were challenging His divine authority. Jesus replied, “A wicked and adulterous generation looks for a sign” (V. 4). The Lord’s strong response wasn’t a blanket statement to prevent anyone from seeking God’s guidance. Rather, Jesus was accusing them of ignoring the clear prophecies in Scripture that indicated He was the Messiah.
God wants us to seek His guidance in prayer (JAMES 1:5). He also gives us the guidance of the Spirit (JOHN 14:26) and His Word (PS. 119:105). He provides us with mentors and wise leaders. And He’s given us the example of Jesus Himself.
It’s wise to ask God for clear direction, but He may not always give it in ways that we expect or want. Perhaps the larger point of prayer is that we learn more about God’s nature and develop a relationship with our Father.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tthew 16:1–4Your word is a lamp for my feet, a light on my path.
Psalm 119:105
.
The best way to know God’s will is to say, “I will” to God.
오늘의 말씀
11/08/2016 화요일
전혀 몰랐습니다
봉사자들이 교회로 돌아왔을 때 한 여자가 울기 시작했습니다. “그분은 제가 어렸을 때 주일학교 선생님이셨어요. 그분은 매주 주일마다 교회에 오시는데, 우리는 그분이 거의 굶고 계시다는 것을 전혀 몰랐어요!”
이 봉사자들은 분명히 바울이 갈라디아서 6장 2절에서 권면한 것처럼 남의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 애쓰는 사려 깊은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매 주일마다 보는 이 여인의 어려움을 전혀 알지 못했고, 그녀도 자신의 어려움을 남에게 알리지 않았습니다. 바울이 “모든 이에게 착한 일을 하되 더욱 믿음의 가정들에게 할지니라”(6:10) 라고 말한 것처럼, 이 일은 우리가 우리 주위 사람들에게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우리 모두에게 자연스럽게 상기시켜줍니다.
함께 모여 예배를 드리는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안에서 도움을 받지 못하는 사람이 없도록 서로 돕는 특권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가 서로를 잘 알고 또 보살피게 된다면, 아마도 우리는 “전혀 몰랐습니다”라는 말을 다시 할 필요가 없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6:2-10너희가 서로 짐을 지라
갈라디아서 6:2
사랑하는 주님, 제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을 알아내어 주님의 이름으로 그들의 필요를 채우는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남을 돌보는 일만큼 대가를 많이 치루는 일도 없지만, 돌보지 않을 경우 더 많은 대가를 치루게 된다.
Daily Article
11/08/2016 Tuesday
We Had No Idea
As the volunteers returned to the church, one woman began to cry. “When I was a little girl,” she said, “that lady was my Sunday school teacher. She’s in church every Sunday. We had no idea she was almost starving!”
Clearly, these were caring people who were seeking ways to carry the burdens of others, as Paul suggests in Galatians 6:2. Yet somehow they hadn’t noticed the needs of this woman someone they saw every Sunday—and she hadn’t shared her needs. This can be a gentle reminder for all of us to be more aware of those around us and, as Paul said, to “do good to all people, especially to those who belong to the family of believers” (6:10).
People who worship together have the privilege of assisting one another so no one in the body of Christ goes without help. As we get to know each other and care for each other, perhaps we won’t ever have to say, “We had no idea.” - DAVE BRANON
Today's Reading
Galatians 6:2–10Carry each other's burdens.
Galatian 6:2
Dear Lord, help me to notice the needs of those around me and to do what I can to meet those needs in Your name.
Nothing costs as much as caring—except not caring.
오늘의 말씀
11/07/2016 월요일
곤고의 언덕
그러나 등산로 입구에는 부드럽고 이끼 낀 땅에서 샘물이 솟아나와 풀이 우거진 초원을 지나는 시내가 있습니다. 그곳은 물을 쭉 들이키고서 앞으로의 험한 등정을 준비하기 위한 조용한 장소입니다.
존 번연이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의 생활을 우화적으로 묘사한 고전 ‘천로역정’ 에 보면, 주인공 크리스천은 ‘곤고의 언덕’ 이라 불리는 가파른 산자락에 도착하여, “언덕 맨 아래 샘이 솟는 곳......그곳에 가서 물을 마시고 재충전하여 언덕을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아마 당신이 당면한 힘든 산은 반항하는 자녀이거나 또는 심각한 질병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일들은 당신이 참고 견디기에는 너무나 힘든 시련처럼 보입니다.
당신이 다음의 또 다른 중요한 문제에 직면하기에 앞서, 활력의 샘이 되시는 하나님 그분을 찾으십시오. 당신의 모든 연약함, 피곤함, 무력함, 두려움, 그리고 의심을 하나님 앞으로 가지고 나오십시오. 그러고 나서 하나님의 권능과 강하신 힘, 그리고 지혜를 깊이 들이키십시오. 하나님은 당신의 상황을 다 아시고, 평안과 영적인 힘, 그리고 위안을 충만하게 제공해주실 것입니다. 하나님이 당신의 고개를 들게 하시며 계속 나아갈 힘을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0길 가의 시냇물을 마시므로 그의 머리를 드시리로다
시편 110:7
하나님 아버지, 지금 이 순간 하나님께로 향하오니 연약한 저를 강하게 해주시고, 피곤한 저에게 힘을 주시고, 의심하는 저에게 믿음을 더해주소서.
모든 것을 다스리시는 하나님께서 크리스천으로 하여금 계속 그의 길을 갈 수 있게 해주셨다. 존 번연, 천로역정
Daily Article
11/07/2016 Monday
A Difficult Hill
At the beginning of the climb, however, there is a brook— a spring that seeps out of soft, mossy earth and flows through a lush meadow. It’s a quiet place to drink deeply and prepare for the hard climb ahead.
In John Bunyan’s classic allegory of the Christian life, The Pilgrim’s Progress, Christian arrives at the foot of a steep ascent called the Hill Difficulty, “at the bottom of which was a spring . . . . Christian now went to the spring and drank to refresh himself, and then began to go up the hill.”
Perhaps the difficult mountain you face is a rebellious child or a serious medical diagnosis. The challenge seems more than you can endure.
Before you face your next major task, visit the spring of refreshment that is God Himself. Come to Him with all your weakness, weariness, helplessness, fear, and doubt. Then drink deeply of His power, strength, and wisdom. God knows all your circumstances and will supply a store of comfort, of spiritual strengthening and consolation. He will lift up your head and give you strength to go on. - DAVID ROPER
Today's Reading
Psalm 110He will drink from a brook along the way, and so he will lift his head high.
Psalm 110:7
Father, at this moment I turn to You for strength in my weakness, energy for my weariness, and faith in my doubt.
He who overrules all things . . . enabled Christian to . . . continue on his way.
JOHN BUNYAN, THE PILGRIM’S PROGRESS
오늘의 말씀
11/06/2016 주일
안전한 곳
우리가 교회를 이바쇼나 혹은 그 이상의 장소로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우리가 좌절한 사람들의 공동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바울 사도는 고린도 교회에 쓴 서신에서, 그들의 전의 삶의 방식이 반사회적이고, 해로우며, 그들 자신에게나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한 것이었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고린도전서 6:9-10). 그러나 예수님 안에서 그들은 변화되고 온전하게 되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이들 구원 받은 사람들에게 서로 사랑하며, 인내하고 친절하며, 시기하거나 자랑하거나 무례하지 말라고 권면하였습니다(13:4-7).
우리가 어떤 고통스러운 상황이나 파괴된 상태에 직면해 있더라도, 교회는 우리 모두가 하나님의 사랑을 알고 경험할 수 있는 이바쇼가 되어야 합니다. 상처받은 이 세상이 주님을 따르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예수님의 자비를 경험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고전 6:9-11;13:4-7너희 중에 이와 같은 자들이 있더니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우리 하나님의 성령 안 에서 씻음과 거룩함과 의롭다 하심을 받았느니라
고린도전서 6:11
.
오직 하나님만이 죄로 물든 영혼을 은혜의 걸작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Daily Article
11/06/2016 Sunday
A Safe Place
What if we thought of the church as an ibasho—and far more? Without a doubt, we are a community of broken people. When the apostle Paul wrote to the church in Corinth he described their former way of life as anti-social, harmful, and dangerous to themselves and others (1 COR. 6:9–10). But in Jesus they were being transformed and made whole. And Paul encouraged these rescued people to love one another, to be patient and kind, not to be jealous or proud or rude (13:4–7).
The church is to be an ibasho where all of us, no matter what struggles or brokenness we face, can know and experience God’s love. May the hurting world experience the compassion of Christ from all who follow Him.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1 Cor. 6:9–11; 13:4–7That is what some of you were. But you were washed, you were sanctified, you were justified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Christ and by the Spirit of our God.
1 Corinthians 6:11
.
Only God can transform a sin-stained soul into a masterpiece of gr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