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05/2016 수요일
성탄절 불빛
첫 크리스마스의 ‘점등 장식’은 요즘처럼 전선과 반짝이와 네온 빛으로 된 것이 아니라, “그들을 두루 비춘 주의 영광”(누가복음 2:9)으로 된 것이었습니다. 관광객들이 본 것도 아니고, 단지 들판에서 양을 치던 몇몇 평범한 목자들만 그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나님께 영광”(14절)이라는, 기대하지 않았던 천사들의 합창이 울려 퍼졌습니다.
목자들은 천사들이 말한 것이 사실인지 알아보기 위해 베들레헴으로 갔습니다(15절). 그들은 사실을 확인한 후, 그들이 보고 들은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들이) 보고 천사가 자기들에게 이 아기에 대하여 말한 것을 전하니”(17절).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은 지금껏 크리스마스 이야기를 자주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이번 크리스마스에는 “세상의 빛”으로 오신 그리스도를(요한복음 8:12)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보지 않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8:12-20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둠에 다니지 아니 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
요한복음 8:12
주님, 이 크리스마스에 저를 통해서 주님의 임재와 선하심의 빛을 다른 이들에게 나타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의 선물은 어떤 어둠도 다 밝힐 수 있다.
Daily Article
12/05/2016 MONDAY
Christmas Lights
The first Christmas “light-up” ever was not created by electrical cables, glitter, and neon lights but by “the glory of the Lord [that] shone around” (Luke 2:9). No tourists saw it, just a few simple shepherds out in their field. And it was followed by an unexpected rendition of “Glory to God in the Highest” by an angelic choir (v. 14).
The shepherds went to Bethlehem to see if what the angels said was true (v. 15). After they had confirmed it, they could not keep to themselves what they had heard and seen. “When they had seen him, they spread the word concerning what had been told them about this child” (v. 17).
Many of us have heard the Christmas story often. This Christmas, why not share the good news with others that Christ—“the light of the world”—has come (John 8:12).
Today's Reading
John 8:12–20I am the light of the world. Whoever follows me will never walk in darkness, but will have the light of life. John 8:12
Lord, help me this Christmas to reflect the light of Your presence and goodness to others.
The gift of God’s love in us can bring light to any darkness.
오늘의 말씀
12/04/2016 주일
“무덤 7”의 보물
오래 전 시편기자는 금이나 보석보다 더 값진 보물에 관해 썼습니다. “사람이 많은 탈취물을 얻은 것처럼 나는 주의 말씀을 즐거워하나이다”(시편 119:162). 시편 119
편에서, 기자는 하나님의 교훈과 약속이 우리의 삶에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인지를 알았기에, 승리한 정복자가 손에 쥐게 된 굉장한 보물에 그것들을 비유했습니다.
카소의 이름은 “무덤 7”에서 발견된 유물 때문에 지금도 기억되고 있습니다. 와하까의 박물관을 방문하면 우리도 그 유물들을 즐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편기자가 말하는 보물은 바로 우리의 손끝에 있습니다. 매일 성경을 파고듦으로써 우리는 언약의 다이아몬드, 희망의 루비, 지혜의 에메랄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발견하게 되는 무엇보다 가장 위대한 것은 성경이 가리키고 있는 사람, 곧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뭐니 뭐니 해도, 예수님은 성경의 저자이십니다.
이것이 우리를 부유하게 해줄 보물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부지런히 찾으십시다. 시편기자의 말처럼, “주의 증거들로 내가 영원히 나의 기업을 삼았사오니 이는 내 마음의 즐거움이 됨이니이다”(111절).
오늘의 성구
시편 119:161-168사람이 많은 탈취물을 얻은 것처럼 나는 주의 말씀을 즐거워하나 이다
시편 119:162
하나님 아버지, 성경 말씀을 보물처럼 귀하게 여기기를 원합니다. 주님의 말씀을 매일 기쁨으로 누릴 수 있게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말씀은 값진 재산이자 삶의 안내자이다.
Daily Article
12/04/2016 SUNDAY
The Treasure in Tomb 7
Centuries earlier, the psalmist wrote of a treasure more valuable than gold or rock crystal. He said, “I rejoice in your promise like one who finds great spoil” (Ps. 119:162). In Psalm 119, the writer knew how valuable God’s instructions and promises are to our lives, so he compared them to the great treasure that comes in hand with the victory of a conqueror.
Caso’s name is remembered today because of his discovery in Tomb 7. We can enjoy it if we visit a museum in Oaxaca. However, the psalmist’s treasure is at our fingertips. Day by day we can dig into the Scriptures and find diamonds of promises, rubies of hope, and emeralds of wisdom. But by far the greatest thing we find is the person whom the book points to: Jesus Himself. After all, He is the Author of the book.
Let us seek diligently with the confidence that this is the treasure that will enrich us. As the psalmist said, “Your laws are my treasure; they are my heart’s delight” (v. 111 nlt).
Today's Reading
Psalm 119:161–168I rejoice in your promise like one who finds great spoil. Psalm 119:162
Father, I want to value the Scriptures as a treasure. Help me enjoy Your Word every day.
God’s Word is a valuable possession and a guide to life.
오늘의 말씀
12/03/2016 토요일
듣는 자와 행하는 자
야고보는 초기의 유대인 기독교인 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교회가 궁핍한 사람들을 보살필 것을 권면했습니다. 야고보는 신자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단순히 듣는데 그치지 않고 그들의 믿음을 행동으로 실천하기를 원했습니다(1:22-25). 그는 고아들과 과부들을 보살필 필요를 말하며(27절) 그들을 연약한 사람들이라고 했는데, 그것은 고대시대에는 가족이 있다면 가족이 그들을 보살필 책임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교회 안에서나 밖에서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고 있습니까? 우리는 믿음을 실천하는 중요한 행동의 하나로 과부와 고아들을 돌보고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우리의 눈을 열어 도처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섬길 기회를 볼 수 있게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22-27고아와 과부를 그 환난 중에 돌보고
야고보서 1:27
하나님 아버지, 연약하거나 홀로 있는 사람들을 향해 당신의 심장은 뛰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아버지의 백성들을 사랑하시는 것처럼 우리도 그들을 사랑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진실한 믿음은 우리의 말뿐만 아니라 행동도 요구한다.
Daily Article
12/03/2016 SATURDAY
Listeners and Doers
James’s letter to the early Jewish Christians encouraged the church to care for the needy. James wanted the believers to go beyond just listening to the Word of God and to put their beliefs into action (1:22–25). By citing the need to care for orphans and widows (v. 27), he named a vulnerable group, for in the ancient world the family would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ir care.
How do we respond to those who are at risk in our church and community? Do we see caring for the widows and orphans as a vital part of the exercise of our faith? May God open our eyes to the opportunities to serve people in need everywhere.
Today's Reading
James 1:22–27Look after orphans and widows in their distress. James 1:27
Father God, Your heart beats for the vulnerable and for those who are alone. Help us to love Your people as You love them, for we are made in Your image.
True faith demands not only our words, but our actions.
오늘의 말씀
12/02/2016 금요일
조용한 대화
시편기자들도 때 로 는 시편에서 자신에게 말하곤 했습니다. 시편 116편 기자도 예외가 아닙니다. 7절에서 그는 “내 영혼아 네 평안함으로 돌아갈지어다 여호와께서 너를 후대하심이로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난날에 보여주셨던 하나님의 친절과 신실하심을 자신에게 상기시키면 현재의 자신에게 실질적인 위로와 도움이 됩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대화들”을 시편에서 자주 봅니다. 시편 103편 1절에서 다윗은 자신에게 “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내 속에 있는 것들아 다 그의 거룩한 이름을 송축하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편 62편 5절에서도 “나의 영혼아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라 무릇 나의 소망이 그로부터 나오는도다”라고 단언하고 있습니다.
우리 자신에게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그분을 향한 우리의 소망을 상기시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우리도 시편기자들을 본받아 하나님이 우리에게 베풀어주신 많은 것들을 하나하나 되새겨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럴 때에 우리의 마음은 위로를 받을 것입니다. 과거에 신실하셨던 그 하나님이 미래에도 우리를 계속 사랑해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6:5-9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며 그의 모든 은택을 잊지 말지어다
시편 103:2
사랑하는 주님, 주님의 신실하심과 사랑을 되새기며 오늘 제가 주님의 마음과 교통하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선하심을 상기함으로써 우리는 늘 그분의 평강으로 가득 차 있을 수 있다.
Daily Article
12/02/2016 FRIDAY
Quiet Conversations
on the best way to make the repair. If someone catches me in my “conversation” it can be a little embarrassing—even though talking to ourselves is something most of us do every day.
The psalmists often talked to themselves in the Psalms. The author of Psalm 116 is no exception. In verse 7 he writes, “Return to your rest, my soul, for the Lord has been good to you. Reminding himself of God’s kindness and faithfulness in the past is a practical comfort and help to him in the present. We see “conversations” like this frequently in the Psalms. In Psalm 103:1 David tells himself, “Praise the Lord, my soul; all my inmost being, praise his holy name.” And in Psalm 62:5 he affirms, “Yes, my soul, find rest in God; my hope comes from him.”
It’s good to remind ourselves of God’s faithfulness and the hope we have in Him. We can follow the example of the psalmist and spend some time naming the many ways God has been good to us. As we do, we’ll be encouraged. The same God who has been faithful in the past will continue His love for us in the future. -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116:5–9Praise the Lord, my soul, and forget not all his benefits. Psalm 103:2
Dear Lord, please help me to stay in touch with Your heart today by reminding myself of Your faithfulness and love.
Reminding ourselves about God's goodness can keep us filled with His peace.
오늘의 말씀
12/01/2016 목요일
400마일 상공에서 본 광경
지구를 내려다보니 그에게는 모든 것이 평화롭고 아름답게 보였습니다. 그러나 중동지방의 상공을 지나갈 때 그는 지금 그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싸움을 생각하며 “정신을 차리고 현실로 돌아오게 되었다” 고 나중에 회고하였습니다. 영화제작자 자레드 레토와의 인터뷰에서 볼든은 그 순간 지구를 보면서 지구가 어떻게 되어야만 할까 하는 생각이 들면서 좀 더 나은 지구를 만들기 위해 할 수 있는 무엇이든 해야겠다는 도전의식을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예수님이 베들레헴에서 태어나셨을 때 세상은 하나님이 원래 의도하셨던 그런 세상이 아니었습니다. 이런 도덕적으로, 영적으로 캄캄한 가운데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예수님은 생명과 빛을 가져오셨습니다(요한복음 1:4). 세상은 비록 그를 알아보지 못했지만,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습니다”(12절).
가정이 파탄 나고, 어린아이들이 굶주리며, 세상이 전쟁에 휩싸이는 등, 삶이 제대로 된 모습을 보이지 못할 때 우리는 깊은 슬픔에 잠깁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누구나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다고 약속하십니다.
성탄절은 구세주 예수님께서 그를 영접하고 따르는 모든 사람들에게 생명과 빛의 선물을 주신다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14참 빛 곧 세상에 와서 각 사람에게 비추는 빛이 있었나니
요한복음 1:9
하늘에 계신 아버지, 오늘 예수님의 빛과 생명을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게 해주소서.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이 의도하신 모습대로 만들기 위해 역사하고 계신다.
Daily Article
12/01/2016 THURSDAY
The View from 400 Miles
When Jesus was born in Bethlehem, the world was not the way God intended it. Into this moral and spiritual darkness Jesus came bringing life and light to all (JOHN 1:4). Even though the world didn’t recognize Him, “to all who did receive him, to those who believed in his name, he gave the right to become children of God” (V. 12).
When life is not the way it ought to be we are deeply saddened— when families break up, children go hungry, and the world wages war. But God promises that through faith in Christ anyone can begin to move in a new direction. The Christmas season reminds us that Jesus, the Savior, gives the gift of life and light to everyone who will receive and follow Him.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John 1:1–14The true light that gives light to everyone was coming into the world. John 1:9
Father in heaven, may we share the light and life of Jesus with others today.
God is at work to make us who He intends us to be.
오늘의 말씀
11/30/2016 수요일
당신의 가치는?
시저가 스스로 산정한 자신의 교만한 몸값과 하나님이 우리 각 사람에게 두신 가치가 얼마나 다릅니까. 우리의 가치는 화폐가치의 개념으로는 측정될 수 없고, 우리를 위해 하나님 아버지께서 하신 일로 측정됩니다.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주님이 지불하신 몸값이 무엇이었습니까? 우리의 죄로부터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하나님의 독생자의 죽음으로 하나님 아버지께서 그 값을 지불하 습니다. “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조상이 물려준 헛된 행실에서 대속함을 받은 것은 은이나 금 같이 없어질 것으로 된 것이 아니요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된 것이니라”(베드로전서 1:18-19).
하나님이 우리를 너무 사랑하셔서 아들을 내어주어 십자가에서 죽게 하시고, 우리를 속량하여 구원하시기 위해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일으키셨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이 보시는 우리의 가치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17-23(대속함을 받은 것은) 은이나 금 같이 없어 질 것으로 된 것이 아 니요......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된 것 이니라
베드로전서 1:18-19
하나님 아버지, 제게 보여주신 주님의 사랑과 저를 용서하시기 위해 지불하신 대가로 인해 감사드립니다. 감히 측량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니신 주님께 계속 감사를 드리며 살 수 있게 도와주소서.
우리의 가치는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지불한 가치로 측정된다.
Daily Article
11/30/2016 Wednesday
What Are You Worth?
What a difference we see between Caesar’s arrogant measure of his own worth and the value God places on each of us. Our worth is not measured in terms of monetary value but by what our
heavenly Father has done on our behalf.
What ransom did He pay to save us? Through the death of His only Son on the cross, the Father paid the price to rescue us from our sin. “It was not with perishable things such as silver or gold that you were redeemed from the empty way of life handed down to you from your ancestors, but with the precious blood of Christ” (1 PETER 1:18–19).
God loved us so much that He gave up His Son to die on the cross and rise from the dead to ransom and rescue us. That is what you are worth to Him.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Peter 1:17–23It was not with perishable things such as silver or gold that you were redeemed...but with the precious blood of Christ.
1 Peter 1:18-19
Father, thank You for the love You have shown to me and for the price You paid for my forgiveness. Help my life to be an ongoing expression of gratitude, for You are the One whose worth is beyond measure.
Our worth is measured by what God paid to rescue us.
오늘의 말씀
11/29/2016 화요일
나는 부자다!
우리는 성경에서 가장 긴 장인 시편 119편에서 다음과 같은 놀라운 고백을 봅니다. “내가 모든 재물을 즐거워함 같이 주의 증거들의 도를 즐거워하였나이다” (14절). 얼마나 절묘한 비교인지요! 우리 삶에 대한 하나님의 명령을 순종하는 것은 마치 큰 재물을 받는 것만큼이나 신나는 일일 수 있습니다! 시편기자는 주님의 명령을 기뻐하는 감사의 표현을 16절에서 후렴으로 반복합니다. “주의 율례들을 즐거워하며 주의 말씀을 잊지 아니하리이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그와 같이 느끼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삶에 대한 하나님의 명령을 즐거워하는 것이 어떻게 큰 재물을 받는 것처럼 신나는 일이 될 수 있을까요? 이 모든 것은 감사함으로 시작되는데, 감사하는 마음가짐으로 감사하는 길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가치있다고 여기는 것에 관심을 두기 때문에, 우리의 영혼을 살찌우는 하나님의 선물에 감사를 표현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눈을 열어, 하나님의 말씀 속에서 우리에게 주신 지혜와 지식, 그리고 평화의 보물창고를 볼 수 있게 해주시기를 주님께 간구하십시오.
매일 예수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성장해 갈 때 참으로 부유해집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9:9-16내가 모든 재물을 즐거워함 같이 주의 증거들의 도를 즐거워하였나이다
시편 119:14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희의 눈을 열어 하나님의 율법에서 놀라운 것을 볼 수 있게 하소서.
주님의 교훈이 현명한 조언을 가져다주니 감사합니다.
성경 안에는 우리가 찾아야 할 하나님의 진리의 값진 보화가 숨어있다.
Daily Article
11/29/2016 Tuesday
I’m Rich!
In Psalm 119, the longest chapter in the Bible, we find this remarkable statement: “I rejoice in following your statutes as one rejoices in great riches” (V. 14). What a comparison! Obeying God’s instructions for living can be just as exhilarating as receiving a fortune! Verse 16 repeats this refrain as the psalmist expresses grateful gladness for the Lord’s commands. “I delight in your decrees; I will not neglect your word.”
But what if we don’t feel that way? How can delighting in God’s instructions for living be just as exhilarating as receiving a fortune? It all begins with gratitude, which is both an attitude and a choice. We pay attention to what we value, so we begin by expressing our gratitude for those gifts of God that nourish our souls. We ask Him to open our eyes to see the storehouse of wisdom, knowledge, and peace He has given us in His Word.
As our love for Jesus grows each day, we indeed strike it rich!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Psalm 119:9–16I rejoice in following your statutes as one rejoices in great riches.
Psalm 119:14
Dear Father, open our eyes that we may see wonderful things in Your law.
Thank You that Your instructions give wise advice.
Rich treasures of God’s truth are waiting to be discovered in His Word.
오늘의 말씀
11/28/2016 월요일
아름다움
그러나 두 소녀는 서 로 즐겁게 교제하면서 기쁘게 웃습니다. 아름다운 두 십대소녀는 상대방에게서 서로 우정이라는 보물을 보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휠체어에 탄 소녀 같은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내시고, 그들에게 많은 관심을 보이셨습니다. 평생토록 장애를 지니거나 신체적으로 불편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유로 사람들로부터 업신여김을 받는 사람들에게 그렇게 하셨습니다. 사실 종교지도자들의 경멸을 받던 “그런 사람들” 중의 한 사람이 예수님께 향유를 부어드렸습니다(누가복음 7:39). 다른 경우에서, 어떤 여인이 비슷한 행동으로 주님께 사랑을 표현했을때, 예수님은 그녀를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가만두라......그가 내게 좋은 일을 하였느니라”(마가복음 14:6).
하나님은 모든 사람들을 동등하게 평가하십니다. 하나님이 보시기에 다를 바가 없는 것입니다. 사실,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의 사랑과 용서를 절대적으로 필요로 합니다. 주님의 사랑은 우리를 위해 자신을 십자가에서 죽게까지 했습니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았고 하나님의 사랑을 받을 가치가 있는 다른 모든 사람들을 우리도 예수님의 시선으로 보게 하소서.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을 그리스도가 그러신 것처럼 동등하게 대하고, 주님처럼 아름다움을 보는 것을 배우게 해주소서.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7:36-5그가 내게 좋은 일을 하였느니라
마가복음 14:6
사랑하는 주님, 주님께서 사람들을 보신 것처럼 볼 수 있게 하소서.
사람들이 무엇을 할 수 있거나 어떻게 생겼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지고 주님이 그들을 위하여 죽으실 정도로 그들을 사랑하셨기 때문에 그렇게 볼 수 있게 하소서.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은 하나님의 형상을 지니고 있다.
Daily Article
11/28/2016 Monday
Beautiful
But both girls are smiling cheerfully as they enjoy each other’s company. Two beautiful teenagers—each seeing in the other the treasure of friendship.
Jesus devoted much of His time and attention to people like the girl in the wheelchair. People with lifelong disabilities or physical deformities as well as those who were looked down on by others for various reasons. In fact, Jesus let one of “those people” anoint Him with oil, to the disdain of the religious leaders (LUKE 7:39). On another occasion, when a woman demonstrated her love with a similar act, Jesus told her critics, “Leave her alone . . . . She has done a beautiful thing to me” (MARK 14:6).
God values everyone equally; there are no distinctions in His eyes. In reality, we are all in desperate need of Christ’s love and forgiveness. His love compelled Him to die on the cross for us.
May we see each person as Jesus did: made in God’s image and worthy of His love. Let’s treat everyone we meet with Christlike equality and learn to see beauty as He does.- DAVE BRANON
Today's Reading
Luke 7:36–50She has done a beautiful thing to me.
Mark 14:6
Dear Lord, help me to see people as You see them—not important because of what they can do or how they look, but because they are made in God’s image and You loved them enough to die for them.
Everyone we meet bears the image of God.
오늘의 말씀
11/27/2016 주일
붉은 깃털 미끼
낚시꾼들은 오늘날도 여전히 붉은 깃털 미끼라고 불리는 이런 미끼를 사용합니다. 2,200년 전에 처음 사용되었던 그것이 아직도 송어를 “더 많이 잡는” 덫으로 쓰이고 있는 것입니다.
그 고전작품을 읽으며, 나는 ‘옛 것이라고 다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 아니다. 특히 사람은 더 그렇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만일 우리가 만족하고 즐거운 노년생활을 통해 하나님의 충만하심과 그 깊이를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준다면, 우리는 우리 삶의 마지막 때에 유용한 사람이 될 것입니다. 나이가 들었다고 해서, 몸이 약해지는 것에 마음을 빼앗기거나 과거를 한탄하며 보낼 필요가 없습니다. 노년에 하나님과 함께 성숙해온 사람들의 열매인 평온과 환희, 용기와 온유로 가득해질 수도 있습니다.
“여호와의 집에 심겼음이여......그는 늙어도 여전히 결실하며 진액이 풍족하고 빛이 청청하니”(시편 92:13-14).
오늘의 성구
시편 92:12-15그는 늙어도 여전히 결실하며
시편 92:14
주님, 우리의 일생 동안 신실하신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주님을 잘 섬기며 우리의 삶을 마무리할 수 있게 하시고, 노년이 무가치하지 않음을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세월이 더해갈수록 하나님의 신실하심은 계속 늘어간다.
Daily Article
11/27/2016 Sunday
The Red Hackle
Fishermen still use this lure today. It is called the Red Hackle. First used over 2,200 years ago, it remains a snare for trout by which we “get the better of them.”
When I read that ancient work I thought: Not all old things are passé—especially people. If through contented and cheerful old age we show others the fullness and deepness of God, we’ll be useful to the end of our days. Old age does not have to focus on declining health, pining over what once was. It can also be full of tranquility and mirth and courage and kindness, the fruit of those who have grown old with God.
“Those who are planted in the house of the Lord . . . shall still bear fruit in old age; they shall be fresh and flourishing” (PS. 92:13–14 NKJV). - DAVID ROPER
Today's Reading
Psalm 92:12–15They will still bear fruit in old age.
Psalm 92:14
Lord, thank You for Your faithfulness throughout our lives. Help us finish our lives well in service to You and to remember that old age does not mean uselessness.
As the years add up, God’s faithfulness keeps multiplying.
오늘의 말씀
11/26/2016 토요일
전송보류
베드로 사도는 그의 첫 번째 서신에서 예수님을 따르는 자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악을 악으로, 욕을 욕으로 갚지 말고 도리어 복을 빌라...... 그러므로 생명을 사랑하고 좋은 날 보기를 원하는 자는 혀를 금하여 악한 말을 그치며 그 입술로 거짓을 말하지 말고 악에서 떠나 선을 행하고 화평을 구하며 그것을 따르라”(베드로전서 3:9-11).
시편기자 다윗은 “여호와여 내 입에 파수꾼을 세우시고 내 입술의 문을 지키소서”(시편 141:3)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매일 하루를 시작할 때나, 말로 반격을 하고 싶은 모든 상황에서 아주 중요한 기도입니다.
주님, 오늘 우리의 말을 지켜주셔서 우리가 말로 다른 사람들을 해치지 않게 하소서.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3:8-12생명을 사랑하고 좋은 날 보기를 원하는 자는 혀를 금하여 악한 말을 그치며 그 입술로 거짓을 말하지 말고
베드로전서 3:10
하나님 아버지, 먼저 우리 마음을 지킬 수 있도록 가르쳐주셔서 우리가 우리 혀를 지킬 수 있게 해주소서. 그리고 우리를 도우셔서 후회할 말을 했을 때 겸손히 사과하고 용서를 구하게 하소서.
죽고 사는 것이 혀의 힘에 달렸나니. 잠언 18:21
Daily Article
11/26/2016 Saturday
Unsend
In the apostle Peter’s first letter, he told the followers of Jesus, “Do not repay evil with evil or insult with insult. On the contrary, repay evil with blessing. . . . For, ‘whoever would love life and see good days must keep their tongue from evil and their lips from deceitful speech. They must turn from evil and do good; they must seek peace and pursue it’” (1 PETER 3:9–11).
The psalmist David wrote, “Set a guard over my mouth, Lord; keep watch over the door of my lips” (PS. 141:3). That’s a great prayer for the beginning of each day and in every situation when we want to strike back with words.
Lord, guard our words today so we may not harm others by what we say.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1 Peter 3:8–12Whoever would love life and see good days must keep their tongue from evil and their lips from deceitful speech.
1 Peter 3:10
Father, teach us first to guard our hearts so that we may guard our tongues. And help us, when we do say things we regret, to humbly apologize and seek forgiveness.
The tongue has the power of life and death. PROVERBS 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