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15/2016 목요일
짧은 잠
하지만 어느 날 그녀가 에딘버러에 가야만 할 일이 생겼는데, 기차가 그 도시를 향해 다가갈수록 그녀의 초조함은 점점 심해졌습니다. 그러나 기차가 터널에 가까워지기 전 그녀는 걱정에 지쳐서 그만 잠이 들어버렸습니다. 잠에서 깨어났을 때는 벌써 도시에 도착한 뒤였습니다!
우리 중에는 죽음을 경험하지 않을 사람들도 있을 것입니다. 예수님이 재림하실 때 우리가 살아 있다면 우리는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될 것입니다(데살로니가전서 4:13-18). 그러나 우리 대부분은 죽음을 거쳐 천국으로 가게 되는데, 어떤 사람들은 이 생각을 하며 크게 염려합니다. 죽음의 과정이 너무 견디기 힘든 과정이 될까 걱정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우리의 구주로 확신하면, 우리는 지상에서 눈을 감고 죽음을 통과한 후 하나님 앞에서 눈을 뜨게 된다는 믿음 안에서 안식할 수 있습니다. 존 더니는 “짧은 잠을 잔 후 우리는 영원히 깨어있게 된다.” 고 하였습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4:13-18우리가 담대하여 원하 는 바는 차라리 몸을 떠나 주와 함께 있는 그것이라
고린도후서 5:8
주여, 주님이 주신 삶을 사랑합니다. 하지만 주님을 직접 뵙는 것이 어떤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내세를 주님께 맡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주님 뵐 날을 기대합니다.
천국에서의 가장 큰 기쁨은 예수님을 만나는 것이다.
Daily Article
12/15/2016 THURSDAY
One Short Sleep
One day, however, circumstances compelled her to go to Edinburgh, and as the train sped toward the city, her agitation increased. But before the train reached the tunnel, the woman, worn out with worry, fell fast asleep. When she awoke she had already arrived in the city!
It’s possible that some of us will not experience death. If we’re alive when Jesus returns, we will “meet the Lord in the air” (1 Thess. 4:13–18). But many of us will pass into heaven through death and for some that thought causes great anxiety. We worry that the process of dying will be too difficult to bear.
With the assurance of Jesus as our Savior we can rest in the confidence that when we close our eyes on earth and pass through death, we will open our eyes in God’s presence. “One short sleep past we wake eternally,” John Donne said. - DAVID ROPER
Today's Reading
1 Thess. 4:13–18We are confident, I say, and would prefer to be away from the body and at home with the Lord.
2 Corinthians 5:8
I love the life You’ve given to me, Lord, yet I wonder what it will be like to see You personally. Help me to trust You with the future.
I look forward to that day when I meet You.
To see Jesus will be heaven’s greatest joy.
오늘의 말씀
12/14/2016 수요일
빛 가운데서 살아 감
이 광경을 더 잘 보려고 창가로 가는데 한 가지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어두움이 지나가고 참 빛이 벌써 비침이니라”(요한1서
2:8). 요한 사도는 이 말씀을 믿는 자들에게 격려의 메시지로 썼습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그 형제를 사랑하는 자는 빛 가운데 거하여 자기 속에 거리낌이 없으나”(10절), 그 반면에 미워하는 자들은 어두움 속에서 떠돌고 있는 것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미움은 마음을 혼란하게 하며 우리의 도덕적 방향 감각을 잃게 만듭니다.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언제나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때 내가 창밖을 바라보는 순간, 좌절감, 용서, 그리고 신실함은 모두 사랑과 빛이신 하나님과 깊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들임을 기억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미움 대신 사랑을 선택할 때, 우리는 우리와 주님과의 관계를 보여주고 주님의 광채를 우리 주위 세상에 비추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빛이시라 그에게는 어둠이 조금도 없으시니라” (요한1서 1:5).Living in the LightLiving in the Light
오늘의 성구
요한1서 2:3-11어두움이 지나가고 참 빛이 벌써 비침이 니라
요한1서 2:8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사랑을 좀 더 충만히 경험하여 다른 사람들과 그것을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주님의 은혜와 자비의 빛 가운데 살기를 원합니다.
사람들을 사랑하면 세상에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가를 잘 보여줄 수 있다.
Daily Article
12/14/2016 WEDNESDAY
Living in the Light
As I went to the window to get a better look at the drama, a thought came to mind: “The darkness is passing and the true light is already shining” (1 John 2:8). The apostle John wrote these words to believers as a message of encouragement. He went on to say, “Anyone who loves their brother and sister lives in the light, and there is nothing in them to make them stumble” (v. 10). By contrast, he equated hating people with roaming around in darkness. Hatred is disorienting; it takes away our sense of moral direction.
Loving people is not always easy. Yet I was reminded as I looked out the window that frustration, forgiveness, and faithfulness are all part of maintaining a deep connection with the love and light of God. When we choose love instead of hate, we are showing our relationship with Him and reflecting His radiance to the world around us. “God is light; in him there is no darkness at all” (1 John 1:5).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1 John 2:3–11The darkness is passing and the true light is already shining.
1 John 2:8
Dear God, help me to experience Your love more fully so that I can share it with others. I want to live in the light of Your grace and mercy.
Choosing to love people well shows the world what God is like.
오늘의 말씀
12/13/2016 화요일
좋은 소식!
구약성경에는 전쟁에 지친 사람들에게 큰 희망을 주었던 두 사람의 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나훔은 하나님의 심판이 무자비하고 힘센 나라에 임한다는 것을 말하면서 이렇게 선포했습니다. “볼지어다 아름다운 소식을 알리고 화평을 전하는 자의 발이 산위에 있도다”(나훔 1:15). 그 소식은 핍박 받고 있던 백성들에게 희망을 주었습니다.
비슷한 구절이 이사야서에도 있습니다. “좋은 소식을 전하며 평화를 공포하며 복된 좋은 소식을 가져오며 구원을 공포하며 시온을 향하여 이르기를 네 하나님이 통치하신다 하는 자의 산을 넘는 발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이사야 52:7).
나훔과 이사야의 소망의 예언들은 첫 번째 크리스마스 때 천사가 목동들에게 “무서워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오늘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누가복음 2:10-11)라고 말했을 때 성취되었습니다.
우리 매일의 삶 가운데 가장 중요한 뉴스는 지금껏 최고의 뉴스였던, 구세주이신 그리스도께서 탄생하셨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나훔 1:7-15볼지어다 아름다운 소식을 알리고 화평을 전하는 자의 발이 산 위에 있도다
나훔 1:15
.
예수 탄생의 소식은 이 세상 뉴스 중 최고의 뉴스이다!
Daily Article
12/13/2016 TUESDAY
Good News!
The words of two men recorded in the Old Testament of the Bible brought great hope to people weary of conflict.
While describing God’s coming judgment on a ruthless and powerful nation, Nahum said, “Look, there on the mountains, the feet of one who brings good news, who proclaims peace!” (Nah. 1:15). That news brought hope to all those oppressed by cruelty.
A similar phrase occurs in the book of Isaiah: “How beautiful on the mountains are the feet of those who bring good news, who proclaim peace, who bring good tidings, who proclaim salvation” (Isa. 52:7).
Nahum and Isaiah’s prophetic words of hope found their ultimate fulfillment at the first Christmas when the angel told the shepherds, “Do not be afraid. I bring you good news that will cause great joy for all the people. Today in the town of David a Savior has been born to you; he is the Messiah, the Lord” (Luke 2:10–11).
The most important headline in our lives every day is the very best news ever spoken—Christ the Savior is born!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Nahum 1:7–15Look, there on the mountains, the feet of one who brings good news, who proclaims peace!
Nahum 1:15
.
The birth of Jesus is the best news the world has ever received!
오늘의 말씀
12/12/2016 월요일
돈
그러나 그 돈이......
나는 당시 칠십이 넘으신 아버지께 전화를 해서 그 상황을 설명 드렸습니다. 한때는 예리했던 판단력이 중풍과 오랜 시련으로 둔화되기는 했지만 아버지의 대답은 간단명료했습니다. “돈에 대해서는 생각도 하지 마라, 무엇하려고?”
그러자 순간적으로 나의 마음이 정리되었습니다. 돈 하나만 보고 내가 좋아하는 일을 떠날 뻔 했다니! 아버지, 고맙습니다.
예수님은 재물과 그것을 사랑하는 우리의 마음에 대해 산상수훈에서 많이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은 부를 쌓는 것에 대해 기도하지 말고 “우리의 일용할 양식”(마태복음 6:11)을 위해 기도하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주님은 이 땅에 보물을 쌓는 것에 대해 경고하시며 하나님께서 그분의 피조물들을 철저히 돌보신다는 증거로 새와 꽃들을 예로 드셨습니다(19- 31절). 예수님은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33절)고 말씀하셨습니다.
돈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돈이 우리의 의사결정을 지배해서는 안됩니다. 어려운 시기나 중요한 결정들은 우리의 믿음이 새로운
방식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 우리를 돌봐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24-34너희가 하나님과 재물 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 느니라
마태복음 6:24
.
유혹과 기회를 혼동하지 마라.
Daily Article
12/12/2016 MONDAY
The Money
But the money . . .
I called my father, then in his seventies, and explained the situation. Though his once-sharp mind had been slowed by strokes and the strain of years, his answer was crisp and clear: “Don’t even think about the money. What would you do?”
In an instant, my mind was made up. The money would have been my only reason for leaving the job I loved! Thanks, Dad.
Jesus devoted a substantial section of His Sermon on the Mount to money and our fondness for it. He taught us to pray not for an accumulation of riches but for “our daily bread” (Matt. 6:11). He warned against storing up treasures on earth and pointed to the birds and flowers as evidence that God cares deeply about His creation (vv. 19–31). “Seek first his kingdom and his righteousness,” Jesus said, “and all these things will be given to you as well” (v. 33).
Money matters. But money shouldn’t rule our decision-making process. Tough times and big decisions are opportunities to grow our faith in new ways. Our heavenly Father cares for u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tthew 6:24–34You cannot serve both God and money.
Matthew 6:24
.
Never confuse temptation with opportunity.
오늘의 말씀
12/11/2016 주일
기도로 하나님 섬기기
“엘리야는 갈멜산 꼭대기로 올라가서 땅에 꿇어 엎드려 그의 얼굴을 무릎 사이에 넣고” 비가 내리기를 전심을 다해 기도했습니다 (열왕기상 18:42). 그리고 엘리야는 계속 기도하면서 사환에게 올라가서 비가 올 조짐이 있는지 바다 쪽을 “일곱 번” 살펴보게 하였습니다(43절).
엘리야는 하나님이 우리로 하여금 겸손하고 끊임없는 기도로 그분의 일에 동참하기를 원하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우리의 인간적인 한계와 관계없이 하나님은 우리의 기도를 통해 놀라운 방법으로 역사하실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야고보서에 보면 “엘리야는 우리와 성정이 같은 사람이로되”라고 말하면서도 “의인의 간구는 역사하는 힘이
큼이니라”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입니다(야고보서 5:16-17).
우리도 엘리야처럼 신실한 기도로 하나님을 섬기기로 작정하면, 어느 때나 기적을 바로 앞에서 목격할 수 있는 아름다운 특권에 동참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8:41-45의인의 간구는 역사하는 힘이 큼이 니라
야고보서 5:16
하나님 아버지, 오늘 제가 어떻게 기도로 주님을 섬길 수 있을까요?
우리가 큰 기대를 가질 때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
Daily Article
12/11/2016 SUNDAY
Serving God with Our Prayers
Elijah understood that God wants us to join in His work through humble, persistent prayer. Regardless of our human limitations, God may choose to move through our praying in amazing ways. That’s why the letter of James tells us that “the earnest prayer of a righteous person has great power and produces wonderful results,” all the while reminding us that “Elijah was as human as we are” (James 5:16–17 nlt).
When we make it our aim to serve God through praying faithfully as Elijah did, we’re taking part in a beautiful privilege—where at any moment we may be given a front-row seat to a miracle! - JAMES BANKS
Today's Reading
1 Kings 18:41–45The earnest prayer of a righteous person has great power and produces wonderful results. James 5:16 nlt
How can I serve You through my prayers today, Father?
Great expectation on our part honors God.
오늘의 말씀
12/10/2016 토요일
친구로부터 받은 상처
찰스는 ‘레브!’라는 잡지에 쓴 칼럼에서 당시에 자칫 마음의 상처를 받을 뻔 했으나 그것을 이겨내고, 체중을 감량하여 그의 허리 통증이 사라졌던 일을 나누었습니다. 찰스는 “드러내놓고 꾸짖는 것이 숨은 사랑보다 낫다. 친구의 책망은 아파도 진심에서 나온다”(잠언 27:5-6, 새번역)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진실이 주는 상처 때문에, 문제는 우리가 너무나 자주 비판을 통해 구제를 받기보다는 차라리 잘못되더라도 칭찬을 듣고 싶어 한다는 것입니다. 진실은 사람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고, 불편하게 만들며, 우리자신의 변화를 요구합니다.
진실한 친구들은 우리에게 상처를 주는 것을 좋아 해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를 너무 사랑하기 때문에 거짓을 말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진실한 친구는 우리가 이미 알고는 있으면서도 진심으로 받아들여 그대로 살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 사랑의 용기를 가지고 지적해줍니다. 그들은 우리 귀에 듣기 좋은 것 뿐만 아니라 우리가 들어야만 하는 것도 말해줍니다.
솔로몬은 그의 잠언에서 그와 같은 우정을 귀하게 여겼습니다. 예수님은 거기서 더 나아가, 우리에게 거부당하는 아픔을 참으시면서까지 우리의 현재 모습에 대한 진실을 말해주셨을 뿐만 아니라, 우리가 얼마나 큰 사랑을 받고 있는지를 보여주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7:5-10친구의 아픈 책망은 충직으로 말미암는 것 이나
잠언 27:6
친구가 당신에게 솔직한 말을 해서 상처가 되었던 때를 생각해보십시오. 그 일이 당신에게 유익했습니까? 친구가 우리에게 하는 모든 말을 받아들이는 것은 현명한 일일까요?
진정한 친구란 당신에게 사랑으로 진실을 말해줄 수 있는 사람이다.
Daily Article
12/10/2016 SATURDAY
Wounds from a Friend
In his column for REV! Magazine, Charles shared that he resisted the temptation to be offended. He lost the weight and his back problem went away. Charles recognized that “Better is open rebuke than hidden love. Wounds from a friend can be trusted” (Prov. 27:5–6).
The trouble is that so often we would rather be ruined by praise than saved by criticism, for truth hurts. It bruises our ego, makes us uncomfortable, and calls for change.
True friends don’t find pleasure in hurting us. Rather, they love us too much to deceive us. They are people who, with loving courage, point out what we may already know but find hard to truly accept and live by. They tell us not only what we like to hear but also what we need to hear.
Solomon honored such friendship in his proverbs. Jesus went further—He endured the wounds of our rejection not only to tell us the truth about ourselves but to show us how much we are loved.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Proverbs 27:5–10Wounds from a friend can be trusted. Proverbs 27:6
Think of a time when a friend said something honest that caused you pain. Did it benefit you? Is it wise to accept everything our friends tell us?
A friend is one who can tell you the truth in love.
오늘의 말씀
12/09/2016 금요일
위로의 선물
낙담은 늘 있게 마련이지만 12월에는 더 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우리의 기대가 더 크기 때문에 슬픔이 더 깊은 것입니다. 그럴 때 자그마한 위로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구브로 출신의 요셉은 초기에 예수님을 따르던 사람 중의 하나였습니다. 사도들은 그를 “위로의 아들”을 뜻하는 바나바라고 불렀습니다. 사도행전 4:36-37은 그가 자신의 밭을 팔아 그 돈을 어려운 다른 신자들을 돕기 위해 내놓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제자들은 사울을 두려워했지만 (사도행전 9:26), “바나바는 사울을 맞아들여 사도들에게로 데려갔습니다”(27절, 새번역). 나중에 바울이라고 불리게 된 사울은 이전에 믿는 사람들을 죽이려 했던 자였지만, 바나바는 그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변화된 사람이라고 변호해주었습니다.
우리 주변 어디에나 위로 받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때에 알맞은 말이나 전화, 혹은 기도가 예수님을 믿는 그들의 믿음을 북돋워줄 수 있습니다.
바나바의 관용과 도움의 모습은 위로의 아들과 딸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그것은 아마도 우리가 이번 성탄절에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어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늘의 성구
행 4:32-37; 9:26-27이름은 요셉이라 사도 들이 일컬어 바나바라 (번역하면 위로의 아들 이라) 하니 그가 밭이 있으매 팔아 그 값을 가지고 사도들의 발 앞 에 두니라
사도행전 4:36-37
주님, 위로의 선물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위로해준 것처럼 우리도 그들을 위로할 수 있게 하소서.
위로는 이번 성탄절에 우리가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일지도 모른다.
Daily Article
12/09/2016 FRIDAY
The Gift of Encouragement
Discouragement is not unique to December, but it can be amplified then. Our expectations may be higher, our sadness deeper. A little encouragement can go a long way.
Joseph, a man from Cyprus, was among the early followers of Jesus. The apostles called him Barnabas, which means “son of encouragement.” We meet him in Acts 4:36–37 when he sold a piece of property and donated the money to help other believers in need.
Later, we read that the disciples were afraid of Saul (Acts 9:26). “But Barnabas took him and brought him to the apostles” (v. 27). Saul, later called Paul, had formerly been trying to kill the believers, but Barnabas defended him as a man transformed by Christ.
All around us are people longing to be encouraged. A timely word, a phone call, or a prayer can bolster their faith in Jesus.
The generosity and support of Barnabas demonstrate what it means to be a son or daughter of encouragement. That may be the greatest gift we can give to others this Christmas.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Acts 4:32–37; 9:26–27Joseph . . . whom the apostles called Barnabas (which means “son of encouragement”), sold a field he owned and brought the money and put it at the apostles’ feet. Acts 4:36–37
Thank You, Lord, for the gift of encouragement. May we encourage others as they have encouraged us.
Encouragement may be the greatest gift we give this Christmas.
오늘의 말씀
12/08/2016 목요일
입체 음향
그러나 “입체음향”을 사용한 것은 그것이 처음이 아니었습니다. 수천 년 전, 느헤미야는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고 봉헌할 때 한 아이디어를 내놓았습니다. “나는 유다 지도자들을 성벽 위로 올라오게 하고, 감사의 찬송을 부를 큰 찬양대를 두 편으로 나누어 서게 하였다”(느헤미야 12:31, 새번역)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두 무리가 남쪽 성곽 거름 문에서 시작하여 한 무리는 왼쪽으로, 또 한 무리는 오른쪽으로 행진하면서 예루살렘을 찬양으로 에워싸며 성전으로 행진하였습니다(31,37-40절).
“ 하 나 님 이 크 게 즐 거 워 하 게 하셨으므로”(43절), 백성들은 찬양대에 맞추어 크게 즐거워하였습니다. 실제로 그들의 즐거워하는 소리가 “멀리까지 울려 퍼졌습니다”(43절, 새번역).
그들의 감사 찬송은 산발랏과 같은 적의 반대를 이겨내고 성벽을 새로 재건하도록 하나님이 도와주신 결과였습니다. 우리의 기쁨이 넘쳐 찬양이 되도록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들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이 분명하게 보여주신 우리의 삶의 방향입니까? 우리가 시련 당할 때 하나님만이 주실 수 있는 위로입니까? 아니면 우리의 최고의
선물인 구원입니까?
우리는 우리의 찬양으로 “입체음향”을 만들지는 못하더라도,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큰 기쁨으로 즐거워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우리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을 듣고 하나님이 어떻게 역사하시는가를 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느헤미야 12:27-43예루살렘이 즐거워하 는 소리가 멀리 들렸 느니라
느헤미야 12:43
오 주님, 우리의 말과 노래와 삶으로 주님을 찬양합니다. 주님의 위대한 능력과, 사랑의 베푸심, 끊임없는 돌보심에 감사하여 우리의 마음을 주님께 내어드립니다.
예수님을 아무리 많이 찬양해도 부족할 뿐이다!
Daily Article
12/08/2016 THURSDAY
Surround Sound
But this wasn’t the first use of “surround sound.” Thousands of years earlier, Nehemiah introduced the idea at the dedication of the rebuilt wall of Jerusalem. “I had the leaders of Judah go up on top of the wall,” he explained. “I also assigned two large choirs to give thanks” (Neh. 12:31). The two choirs began at the southern part of the wall, at the Dung Gate. One went to the left, one went to the right, and they surrounded the city of Jerusalem in praise as they marched toward the temple (vv. 31, 37–40).
The choirs led the people in rejoicing because “God had given them great joy” (v. 43). In fact, their rejoicing “could be heard far away” (v. 43).
Their praise resulted from God’s help as the people overcame the opposition of enemies like Sanballat and rebuilt the wall. What has God given us that causes our joy to overflow into praise? God’s clear direction in our lives? The comfort He alone can provide in times of trouble? Or our ultimate gift: salvation?
Perhaps we can’t create “surround sound” with our praise, but we can rejoice in the joy God has given us. Then others can hear us praise God and see how He works. - DAVE BRANON
Today's Reading
Nehemiah 12:27–43The sound of rejoicing in Jerusalem could be heard far away. Nehemiah 12:43
We praise You, O Lord—with words, with song, and with our lives. We offer You our hearts in response to Your great power, loving provision, and constant care.
We can never praise Jesus too much!
오늘의 말씀
12/07/2016 수요일
아름다운 연합
하나가 된다는 것은 아름다운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이 에베소교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언급한 연합은 좀 특이합니다. 바울은 에베소교인들에게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은 사람답게 살라고 격려하였습니다(에베소서 4:4-5). 그들은 성령의 능력으로 겸손함과 친절함과 오래 참음을 키워나가며 함께 연합하며 살 수 있었을 것입니다. 우리도 이런 태도를 가질 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같은 믿음으로 “사랑 가운데 서로” 용납할 수 있게 됩니다(4:2).
우리도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 가족의 일원으로서 우리 구주의 죽음을 통해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었고, 또 우리 삶에 매일 역사하시는 성령님을 통해 서로 화목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6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
에베소서 4:3
하나님 아버지, 다른 사람들에게 점점 더 친절하고 오래 참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가 서로 다를 때라도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소서.
우리는 성령 안에서 하나 될 때 계속 연합할 수 있다.
Daily Article
12/07/2016 WEDNESDAY
Beautiful Unity
Unity is a beautiful thing. But the unity Paul wrote about in his letter to the believers in Ephesus is unique. Paul encouraged the Ephesians to live up to their calling as members of one body in Christ (Eph. 4:4–5).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hey would be able to live in unity as they developed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These attitudes also allow us to lovingly bear “with one another in love” through the common ground we have in Christ Jesus (4:2).
Despite our differences, as members of the family of God we have been reconciled to Him through the death of our Savior and reconci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ongoing work of the Holy Spirit in our live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Ephesians 4:1–6Make every effort to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through the bond of peace. Ephesians 4:3
Heavenly Father, help me to grow in gentleness and patience toward others. Show me how to love others, even when we may have differences.
We keep unity by being united in the Spirit.
오늘의 말씀
12/06/2016 화요일
한결같은 친절
얼마나 단순하고도 현명한 말인지요! 그런데 우리 중 거친 말로 우리에게 소중한 사람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그렇게 상처를 줌으로써 평온하고
고요했던 시간들은 깨지고, 그동안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했던 많은 좋은 일들을 다 망쳐버리기도 합니다. 18세기의 영국 작가 해나 모어는 “작은 무례함이 커다란 모욕을 준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여기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친절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감동적인 설교도 못하고, 어려운 질문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전도하지 못할지 모르지만, 우리 모두는 친절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요? 기도를 통해 그렇게 될 수 있습니다. 기도는 우리의 마음을 부드럽게 해주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여호와여 내 입에 파수꾼을 세우시고 내 입술의 문을 지키소서 내 마음이 악한 일에 기울지 말게 하소서”(시편 141:3-4).
사랑이 차갑게 식어버린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친절은 다른 사람들을 돕고 치유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1:1-3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에베소서 4:32
주님, 제가 화를 낼 때 용서해주소서. 제 마음을 부드럽게 하셔서 제 말로 다른 사람들을 격려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께서 나를 무한정 사랑하신다는 것을 알게 되면 나도 세상에 나가 다른 사람들을 그와 같이 사랑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오스왈드 챔버스
Daily Article
12/06/2016 TUESDAY
Constant Kindness
How simple and how sensible! Yet who has not wounded the heart of someone dear to us by a harsh word? By doing so, we disturb the peace and quiet of the hour and we can undo much of the good we have done toward those we love. "A small unkindness is a great offense,” said Hannah More, an 18th-century English writer.
Here’s the good news: Anyone can become kind. We may be incapable of preaching an inspiring sermon, fielding hard questions, or evangelizing vast numbers, but we can all be kind.
How? Through prayer. It is the only way to soften our hearts. “Set a guard over my mouth, Lord; keep watch over the door of my lips. Do not let my heart be drawn to what is evil [or harsh]” (Ps. 141:3–4).
In a world in which love has grown cold, a kindness that comes from the heart of God is one of the most helpful and healing things we can offer to others. - DAVID ROPER
Today's Reading
Psalm 141:1–3Be kind and compassionate to one another. Ephesians 4:32
Forgive me, Lord, when I bring anger into a situation. Soften my heart and help me use my words to encourage others.
The knowledge that God has loved me beyond all limits will compel me to go into the world to love others in the same way. - Oswald Cha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