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25/2016 주일
모두를 위한 기쁨
다른 사람들도 같이 노래를 따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곧 모든 사람이 멋진 하모니를 이루어 그 친숙한 캐럴을 불렀습니다. 정말로 잊지 못할 감동적인 화합과 기쁨의 장면이었습니다.
누가가 전하는 성탄절 이야기에서, 천사는 예수님의 탄생을 목자들에게 선 포 하 며 이 렇 게 이 야 기 했 습 니 다 . “무서워하지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오늘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누가복음 2:10-11).
그 기쁨의 소식은 소수의 몇 사람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요한복음 3:16).
삶을 변화시키는 예수님의 메시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의 의와 놀라운 사랑”을 선포하는 전 세계의
합창대와 함께 하는 것입니다. “기쁘다 구주 오셨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8-14무서워하지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누가복음 2:10
하나님 아버지, 만국 백성들을 하나님의 은혜와 기쁨을 누려야 할 사람들로 볼 수 있게 해주소서.
예수님 탄생의 복음은 모든 이들의 기쁨의 근원이다.
Daily Article
12/25/2016 SUNDAY
Joy for All
In Luke’s account of the Christmas story, an angel announced the birth of Jesus to a group of shepherds saying, “Do not be afraid. I bring you good news that will cause great joy for all the people. Today in the town of David a Savior has been born to you; he is the Messiah, the Lord” (Luke 2:10–11).
The joy was not for a few people, but for all.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John 3:16).
As we share the life-changing message of Jesus with others, we join the worldwide chorus in proclaiming “the glories of His righteousness and wonders of His love.”
“Joy to the world, the Lord is come!”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Luke 2:8–14Do not be afraid. I bring you good news that will cause great joy for all the people.
Luke 2:10
Father, give us eyes to see people of all nations as recipients of Your grace and joy.
The good news of Jesus’s birth is a source of joy for all people.
오늘의 말씀
12/24/2016 토요일
수용소의 성탄절
성탄절에 우리는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가 어디에 있든 찾아오셔서 우리들 사이에 갈라져 있는 틈에 다리를 놓아주셨다는 복음을 맞이합니다. 하나님은 어둠에 갇힌 우리에게 빛으로 오셔서, 우리를 짓누르는 슬픔, 죄의식, 외로움의 짐을 가볍게 해주십니다.
감옥에 갇혀 암울했던 그 성탄 전야에 니몰러 목사는 이런 기쁜 소식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목자들을 두르고 있던 광채로부터 한 줄기 밝은 빛이 나와 우리의 어둠을 비춰줄 것입니다.” 그의 말은 이사야 선지자가 했던 말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사망의 그늘진 땅에 거주하던 자에게 빛이 비치도다”(이사야 9:2).
오늘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예수님은 우리의 어둠의 세계를 뚫고 들어와 주님의 기쁨과 즐거움을 전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9:1-7사망의 그늘진 땅에 거주하던 자에게 빛이 비치도다
이사야 9:2
주 예수님, 주님의 빛이 어둠에 비취고 어둠이 빛을 이기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때에 우리에게 소망과 힘이 생깁니다.
성탄절의 기쁨은 예수님이시다.
Daily Article
12/24/2016 SATURDAY
Christmas in Captivity
At Christmas we embrace the good news that God, in Christ, has come to us wherever we are and has bridged the gap between us. He invades our prison of darkness with His light and lifts the load of sorrow, guilt, or loneliness that weighs us down.
On that bleak Christmas Eve in prison, Niemoller shared this good news: “Out of the brilliance that surrounded the shepherds a shining ray will fall into our darkness.” His words remind us of the prophet Isaiah, who prophetically said, “The people walking in darkness have seen a great light; on those living in the land of deep darkness a light has dawned” (Isa. 9:2).
No matter where today finds us, Jesus has penetrated our dark world with His joy and light!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Isaiah 9:1–7On those living in the land of deep darkness a light has dawned.
Isaiah 9:2
Lord Jesus, we find hope and strength in knowing that Your light shines in the darkness, and the darkness has not overcome it.
The joy of Christmas is Jesus.
오늘의 말씀
12/23/2016 금요일
주님께 무엇을 드릴 수 있을까?
당신이라면 어떤 선물을 받고, 어떤 선물을 드리고 싶습니까? 성경은 우리에게 많은 아이디어를 줍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모든 필요를 채워주신다고 약속하시기 때문에, 우리는 새 직장이나 재정 문제의 도움, 우리나 다른 사람의 건강회복, 또는 관계 회복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우리가 갖추어야 할 영적인 은사는 어떤 것들일까 궁금해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은사들에 대해서는 로마서 12장과 고린도전서 12장에 많이 열거되어 있습니다. 또는 사랑과 희락, 화평, 오래 참음,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갈라디아서 5:22-23)와 같은 성령의 열매를 더 많이 맺을 수 있기를 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받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선물은 하나님의 선물인 그분의 아들 우리 구주이시며, 그와 함께 주어지는 용서와 회복, 그리고 지금부터 시작하여 영원에 이르는 영적인 삶의 약속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드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선물은 우리의 마음을 예수님께 드리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3:1-18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며 그의 모든 은택을 잊지 말지어다
시편 103:2
주님, 주님의 놀라운 선물에 감격합니다. 그에 답하여, 주님께 드릴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을 드리기를 원합니다. 제게 가장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소서.
내가 동방박사라면 나의 지닌 것을 드릴 텐데. 하지만 내가 드릴 수 있는 것은 오직 하나, 내 마음을 그분께 드리네. 크리스티나 로제티
Daily Article
12/23/2016 FRIDAY
What Can I Give Him?
If you were to do this, what gift would you ask for and what would you offer? The Bible gives us lots of ideas. God promises to supply all our needs, so we might ask for a new job, help with financial problems, physical healing for ourselves or others, or a restored relationship. We might be wondering what our spiritual gift is that equips us for God’s service. Many of these are listed in Romans 12 and 1 Corinthians 12. Or we might long to show more of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to be more loving, joyful, peaceful, patient, kind and good, faithful, gentle and self-controlled (Gal. 5:22–23).
The most important gift we can ever receive is God’s gift of His Son, our Savior, and with Him forgiveness, restoration, and the promise of spiritual life that begins now and lasts forever. And the most important gift we can ever give is to give Jesus our heart. - MARION STROUD
Today's Reading
Psalm 103:1–18Praise the Lord, my soul, and forget not all his benefits.
Psalm 103:2
You overwhelm me with Your gifts, Lord. In return, I want to give You the very best present that I can. Please show me what You want most from me.
If I were a wise man, I would do my part. Yet what can I give Him—give Him my heart. CHRISTINA G. ROSSETTI
오늘의 말씀
12/22/2016 목요일
최고의 선물
“그 후 두 번째 맞는 성탄절, 풋볼을 안 한 지 2년 째 되던 때에 ‘이 친구’의 교회에 성탄절 연극을 보러 갔습니다.”라고 그는 친구를 가리키며 말했습니다. “예수님을 원해서가 아니라 단지 성탄절 연극에 나오는 조카를 보기 위해서였지요. 우습게 들릴 것 같아 그때
있었던 일을 말하기가 쉽지 않지만, 아이들이 한참 연극을 하는데, 예수님을 만나고 있는 목자들과 천사들이 있는 그 자리에 저도 함께 있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람들이 ‘고요한 밤, 거룩한 밤’ 노래를 다 부르기까지 저는 그 자리에 앉아서 그냥 울고만 있었습니다.”
“저는 바로 그날 밤 최고의 성탄절 선물을 받았습니다. 이 친구가 가족들을 집으로 보낸 후 제게 예수님을 어떻게 만나는지 말해주었거든요.”라고 그는 다시 친구를 가리키며 말했습니다.
바로 그때 그의 친구가 크게 소리쳤습니다. “그리고 여러분, 그것이 저에게도 최고의 성탄절 선물이었습니다.”
이번 성탄절에는 기쁘고도 알기 쉬운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3:8-16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 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되
베드로전서 3:15
.
최고의 성탄절 선물은 사람들에게 평화와 용서를 가져오시는 예수님이시다.
Daily Article
12/22/2016 THURSDAY
The Best Gift Ever
One athletic man seemed eager to answer. “That’s easy,” he said, glancing at his friend next to him. “A few years back, I finished college thinking I was a sure bet to play professional football. When it didn’t happen, I was angry. Bitterness ate at me, and I shared that bitterness with anyone who tried to help me.”
“On the second Christmas—and second season without football—I went to a Christmas play at this guy’s church,” he said, gesturing toward his friend. “Not because I wanted Jesus, but just to see my niece in her Christmas pageant. It’s hard to describe what happened because it sounds silly, but right in the middle of that kids’ play, I felt like I needed to be with those shepherds and angels meeting Jesus. When that crowd finished singing ‘Silent Night,’ I just sat there weeping.
“I got my best Christmas present ever that very night,” he said, again pointing to his friend, “when this guy sent his family home without him so he could tell me how to meet Jesus.”
It was then that his friend piped up: “And that, guys, was my best Christmas present ever.”
This Christmas, may the joyful simplicity of the story of Jesus’s birth be the story we tell to others. - RANDY KILGORE
Today's Reading
1 Peter 3:8–16Always be prepared to give an answer to everyone who asks you to give the reason for the hope that you have.
1 Peter 3:15
.
The best Christmas gift is Jesus bringing peace and forgiveness to others.
오늘의 말씀
12/21/2016 수요일
개인적인 이야기
나에게는 이 일이 바로 나 자신의 일과도 같습니다. 나도 입양아로서, 태어난 당시의 상황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릅니다. 하지만 나는 결코 버려졌다고 느낀 적이 없었습니다. 내가 삶의 기회를 갖기를 바라셨던 두 어머니가 계신다는 것을 확신하기 때문입니다. 한 분은 나에게 생명을 주셨고, 다른 한 분은 나에게 자신의 삶을 바치셨습니다.
출애굽기에서 우리는 절박한 상황에 놓인 한 사랑하는 어머니를 봅니다. 바로가 유대인들에게서 태어난 모든 사내아이들을 죽이라고 명령하였습니다(1:22). 그래서 모세의 어머니는 할 수 있을 때까지 그를 숨기다가, 모세가 석 달째 되던 때 물이 새지 않는 바구니에 그를 넣어서 나일 강에 두었습니다. 만일 그 계획이 아기가 공주에게 구조되어 바로의 궁전에서 자라고 결과적으로 그의 민족을 노예에서 해방하는 것이었다면, 그 계획은 완벽하게 이루어진 셈입니다.
한 절박한 어머니가 아기에게 기회를 줄 때, 하나님은 거기서부터 책임을 져주십니다. 하나님은 가능한 가장 창조적인 방법들로 언제나 그렇게 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22-2:10내 부모는 나를 버렸으 나 여호와는 나를 영접 하시리이다
시편 27:10
하나님 아버지, 오늘 절박하고 외로운 시간을 맞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 기도합니다. 특히 각지에 무방비 상태로 있는 가난한 아이들을 위해서 기도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대로 그들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예수님의 사랑을 함께 나누라.
Daily Article
12/21/2016 WEDNESDAY
A Personal Story
This gets personal for me. As an adopted child myself, I have no idea about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my birth. But I have never felt abandoned. Of this much I am certain: I have two moms who wanted me to have a chance in life. One gave life to me; the other invested her life in me.
In Exodus we read about a loving mother in a desperate situation. Pharaoh had ordered the murder of all baby boys born to the Jewish people (1:22). So Moses’s mother hid him as long as she could. When Moses was three months old, she put him in a watertight basket and placed the basket in the Nile River. If the plan was to have the baby rescued by a princess, grow up in Pharaoh’s palace, and eventually deliver his people out of slavery, it worked perfectly.
When a desperate mother gives her child a chance, God can take it from there. He has a habit of doing that—in the most creative ways imaginabl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xodus 1:22–2:10Even if my father and mother abandon me, the Lord will hold me close.
Psalm 27:10 nlt
Father, today we pray for those facing desperate and lonely times. We pray especially for poor and defenseless children everywhere. Help us meet their needs as we are able.
Share the love of Christ.
오늘의 말씀
12/20/2016 화요일
널리 퍼지는 기쁨
도와주었습니다. 그리고 노래와 찬송가를 흥얼거렸습니다.
자넷이 자신의 기쁨을 사람들과 나누자 학교 분위기가 조금씩 달라져, 하나둘씩 사람들이 미소를 짓고 서로를 도와주기 시작했습니다. 학교를 방문한 교육행정관이 왜 학교가 그렇게 달라졌는지를 교장에게 묻자, 기독교인이 아니었던 교장은 “예수님이 기쁨을 가져다주네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자넷에게 주님의 기쁨이 차고 넘쳐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흘러갔던 것입니다.
누가복음에는 하나님이 평범한 목자들에게 천사를 보내어 놀라운 탄생의 소식을 전하게 하셨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천사는 그 갓난아기가 “온 백성에게 큰 기쁨이 될 것이다”라는 놀라운 선포를 하였고(누가복음 2:10), 예수님은 참으로 그렇게 되셨습니다.
그 이후로 이 복음은 여러 세기를 거쳐 우리에게 전해졌으며, 이제는 우리가 이 세상에 그리스도의 기쁨의 소식을 전하는 사람들입니다. 우리 안에 성령님이 거하심으로, 우리는 예수님을 본받아 다른 이들을 섬기면서 예수님의 기쁨을 전하는 일을 계속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16-24천사가 이르되 무서워 하지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누가복음 2:10
오늘 다른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기쁨을 어떻게 알리시겠습니까?
크리스마스의 기쁨을 매일 간직하고 다니자.
Daily Article
12/20/2016 TUESDAY
Spreading Joy
Little by little, as Janet shared her joy, the atmosphere at the school changed. One by one people began to smile and help each other. When a visiting administrator asked the principal why his school was so different, the principal, who was not a believer, responded, “Jesus brings joy.” Janet was filled to overflowing with the joy of the Lord and it spilled over to those around her.
The gospel of Luke tells us that God sent an angel to ordinary shepherds to deliver an extraordinary birth announcement. The angel made the surprising proclamation that the newborn baby “will cause great joy for all the people” (Luke 2:10), which indeed He did.
Since then this message has spread through the centuries to us, and now we are Christ's messengers of joy to the world. Through the indwelling of the Holy Spirit, we continue the practice of spreading the joy of Jesus as we follow His example and serve others. - JULIE ACKERMAN LINK
Today's Reading
John 16:16–24The angel said to them, “Do not be afraid. I bring you good news that will cause great joy for all the people.”
Luke 2:10
How might you spread the joy of Jesus to others today?
Take the joy of Christmas with you every day.
오늘의 말씀
12/19/2016 월요일
원수사랑
65년이 지난 후, 김 박사는 응답이 된 그 기도를 되돌아보았습니다. 수십 년 동안 고아들을 보살피고 북한과 중국의 아이들의 교육을 도우면서, 그는 한때 원수로 여겼던 사람들 중 많은 이들과 친구가 되었습니다. 그는 지금 정치적인 입장은 멀리하고, 대신
예수님에 대한 믿음의 표현으로 자신을 ‘사랑주의자’라고 부릅니다.
요나 선지자는 이와는 다른 유산을 남겼습니다. 큰 물고기 뱃속에서 극적으로 구조되었음에도 그의 마음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그 후 요나는 하나님께 순종하긴 했으나, 주님이 그의 원수들에게 자비를 베푸시는 것을 보느니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 말했습니다(요나 4:1-2,8).
요나가 니느웨 사람들을 마침내 사랑했는지는 단지 추측만 할 수 있을 뿐입니다. 그보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이렇게 물어야 합니다. ‘우리는 두려워하고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요나와 같은 태도를 보일 것인가? 아니면 하나님이 우리에게 자비를 베푸신 것처럼 우리의 적들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할 것인가?’
오늘의 성구
요나 3:10-4:11너희가 만일 너희를 사랑하는 자만을 사랑 하면 칭찬받을 것이 무엇이냐
누가복음 6:32
하늘에 계신 아버지, 마지못해 행했던 주님의 선지자처럼 우리는 우리를 사랑하는 자들만을 사랑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주님은 자신만을 생각하는 우리를 사랑해주셨습니다. 요나보다는 예수님을 더 닮을 수 있도록 우리에게 은혜를 베풀어주소서.
사랑은 모든 것을 극복한다.
Daily Article
12/19/2016 MONDAY
Enemy Love
Sixty-five years later, Dr. Kim reflected on that answered prayer. Through decades of caring for orphans and assisting in the education of North Korean and Chinese young people, he has won many friends among those he once regarded as enemies. Today he shuns political labels. Instead he calls himself a loveist as an expression of his faith in Jesus.
The prophet Jonah left a different kind of legacy. Even a dramatic rescue from the belly of a big fish didn’t transform his heart. Although he eventually obeyed God, Jonah said he’d rather die than watch the Lord show mercy to his enemies (Jonah 4:1–2, 8).
We can only guess as to whether Jonah ever learned to care for the people of Nineveh. Instead we are left to wonder about ourselves. Will we settle for his attitude toward those we fear and hate? Or will we ask God for the ability to love our enemies as He has shown mercy to us? - MART DEHAAN
Today's Reading
Jonah 3:10–4:11If you love those who love you, what credit is that to you?
Luke 6:32
Father in heaven, like Your reluctant prophet, we are inclined to love only those who love us. Yet You loved us even when we cared only for ourselves. Please give us the grace to be more like Jesus than Jonah.
Love conquers all.
오늘의 말씀
12/18/2016 주일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신약성경은 예수님에게 뭔가 특별한 점이 있다고 느꼈던 예수님 당시 사람들의 다른 예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사람들이 인자를 누구라 하느냐”고 물으셨을 때, 그들은 더러는 세례요한, 더러는 엘리야, 어떤 이는 예레미야나 선지자 중의 하나라고 말한다고 대답했습니다(마태복음 16:14). 이스라엘의 위대한 선지자들과 함께 이름이 불리는 것은 분명히 찬사였지만, 예수님은 그런 찬사를 구하시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그리고 믿음이 어떤지를 보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그들에게 다시 물으셨습니다.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16:15).
베드로의 다음과 같은 고백은 예수님이 진실로 어떤 분이신가를 완전하게 표현해주었습니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16절).
예수님은 우리가 예수님이 누구시고 그의 구원의 사랑이 어떠한 것인지를 알기 원하십니다. 이것이 바로 “너희는 나(예수님)를 누구라 하느냐”라는 질문에 우리 각자가 언젠가는 반드시 대답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6:13-20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마태복음 16:15
주님, 제가 주님을 더 잘 알기를 원합니다. 주님의 아름다운 성품을 더 가르쳐주셔서 주님과의 사랑 안에서 더 성장하고 온 맘 다해 주님을 따를 수 있게 해주소서.
예수님이 누구신가 하는 것은 영원에 관한 가장 중요한 질문이다.
Daily Article
12/18/2016 SUNDAY
Who Do You Say He Is?
The New Testament Scriptures give us other examples of Jesus’s countrymen who sensed there was something special about Him. When Jesus asked His followers, “Who do people say the Son of Man is?” they replied that some said He was John the Baptist, others said He was Elijah, and others thought He was Jeremiah or one of the prophets (Matt. 16:14). To be named with the great prophets of Israel was certainly a compliment, but Jesus wasn’t seeking compliments. He was searching their understanding and looking for faith. So He asked a second question: “But what about you? . . . Who do you say I am?” (16:15).
Peter’s declaration fully expressed the truth of Jesus’s identity: “You are the Messiah, the Son of the living God” (v. 16).
Jesus longs for us to know Him and His rescuing love. This is why each of us must eventually answer the question, “Who do you say Jesus i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Matthew 16:13–20Who do you say I am?
Matthew 16:15
Lord, I long to know You better. Teach me more about Your beautiful character so that I might grow more in love with You and follow You with my whole heart.
The identity of Jesus is the central question of eternity.
오늘의 말씀
12/17/2016 토요일
우리를 덮고 있는 것
그런데 중국어에서 ‘의롭다’는 말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알면 도움이 됩니다. 중국어로 의(義)는 두 문자를 합친 것인데, 위의 문자는 ‘양’이고 아래 문자는 ‘나’입니다. 양이 사람을 덮어주고 있다, 혹은 양이 사람 위에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수님이 이 세상에 오셨을 때 세례 요한은 예수님을 가리켜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요한복음 1:29)이라고 했습니다. 우리의 죄는 성품이나 그 하시는 일들이 언제나 완전하고 의로우신 하나님으로부터 우리를 분리시키기 때문에, 우리는 죄를 용서받아야 합니다.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은 너무나 커서 “하나님이 죄를 알지도 못하신 이(그분의 아들 예수님)를 우리를 대신하여 죄를 삼으신 것은 우리로 하여금 그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 (고린도후서 5:21)이었습니다. 어린양이신 예수님은 자신을 희생하여 피를 흘리시고 우리를 “덮어주시는 분”이 되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우리를 의롭게 해주십니다.
하나님과 바른 관계가 된 것은 주님의 선물입니다. 어린 양 예수님은 우리를 덮어주시려는 하나님의 방법인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3:21-26허물의 사함을 받고 자신의 죄가 가려진 자는 복이 있도다
시편 32:1
사랑하는 주님, 저를 위해 십자가에서 돌아가셔서 저의 죄를 덮어주심으로 주님과 관계를 갖게 해주신 것을 감사드립니다.
그리스도의 피만이 죄를 영원히 덮어버릴 수 있다.
Daily Article
12/17/2016 SATURDAY
Our Covering
The way the word righteousness is pictured in the Chinese language is helpful. It is a combination of two characters. The top word is lamb. The bottom word is me. The lamb covers or is above the person.
When Jesus came to this world, John the Baptist called Him “the Lamb of God, who takes away the sin of the world!” (John 1:29). We need our sin taken care of because it separates us from God whose character and ways are always perfect and right. Because His love for us is great, God made His Son Jesus “who had no sin to be sin for us, so that in him we might become the righteousness of God” (2 Cor. 5:21). Jesus, the Lamb, sacrificed Himself and shed His blood. He became our “cover.” He makes us righteous, which places us in right relationship with God.
Being right with God is a gift from Him. Jesus, the Lamb, is God’s way to cover us. - ANNE CETAS
Today's Reading
Romans 3:21–26Blessed is the one whose transgressions are forgiven, whose sins are covered.
Psalm 32:1
Dear Lord, thank You for dying on the cross for me and covering my sins so that I can have a relationship with You.
The only permanent covering for sin is the blood of Christ.
오늘의 말씀
12/16/2016 금요일
위로의 다른 면
그는 선지자 예레미야처럼, “하나님의 은혜 뒤에 숨어 몰래 죄를 짓는 삶을 계속하지 말라”고 강조하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나는 그리스도인이야. 하나님은 나를 사랑하셔. 난 어떤 악도 두렵지 않아’ 라고 자만하면서 온갖 악한 일은 다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가 우리를 염려해서 하는 말임을 알고 자세를 고쳐 앉아 우리에게 예레미야처럼 다가온 그의 말을 귀 기울여 들었습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지만 또한 소멸하는 불이시기도 합니다!(히브리서 12:29 참조). 그분은 결코 죄를 너그럽게 봐주지 않으실 것입니다!”
옛날의 예레미야도 사람들에게 이렇게 물었습니다. “너희가 도둑질하며 살인하며 간음하며 거짓 맹세하며......너희가 알지 못하는
다른 신들을 따르면서 내 이름으로 일컬음을 받는 이 집에 들어와서 내 앞에 서서 말하기를 우리가 구원을 얻었나이다 하느냐 이는 이 모든 가증한 일을 행하려 함이로다”(7:9-10).
“내 백성을 위로하라”라는 주제에 대한 이 연사의 특색 있는 설교는 하나님이 주시는 위로의 다른 면을 보여주었습니다. 말라리아를
치료하는 쓴 약초처럼 그의 말은 영적인 치료에 효력이 있었습니다. 우리가 따르기 힘든 말을 들을 때, 회피하지 말고 거기서 치유를 받고자 하는 태도를 가지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7:1-11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
예레미야 7:2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는 우리를 너무나 사랑하셔서 우리가 아버지의 말을 계속 거역하는 것을 내버려두지 못하십니다. 아버지의 징계는 결코 우리를 해하려 함이 아니라 오직 우리를 치유하기 위함입니다. 아버지는 모든 위로의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의 아들처럼 만들기 위해 훈련하신다.
Daily Article
12/16/2016 FRIDAY
Another Side of Comfort
“Don’t hide behind the grace of God and continue to live in secret sin,” he exhorted, like the prophet Jeremiah. “We boast, ‘I am a Christian; God loves me; I fear no evil,’ yet we do all kinds of evil.”
We knew he cared about us, yet we shifted uncomfortably in our seats and listened to our own Jeremiah declare, “God is loving, but He is also a consuming fire! (see Heb. 12:29). He will never condone sin!”
Jeremiah of old quizzed the people, “Will you steal and murder, commit adultery and perjury . . . follow other gods you have not known, and then come and stand before me in this house, which bears my Name, and say, ‘We are safe’—safe to do all these detestable things?” (7:9–10).
This speaker’s brand of “Comfort My People” was another side of God’s comfort. Like a bitter herb that heals malaria, his words were spiritually curative. When we hear hard words, instead of walking away, may we respond to their healing effect. - LAWRENCE DARMANI
Today's Reading
Jeremiah 7:1–11Hear the word of the Lord.
Jeremiah 7:2
Heavenly Father, You love us too much to let us continue
defying Your instructions. Your correction is never to harm us
but only to heal us. You are the God of all comfort.
God’s discipline is designed to make us like His 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