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13/2017     월요일

성경읽기: 레 14; 마 26:51-75
찬송가: 456(통 509)

소멸되는 의심

우리는 그를 의심 많은 도마로 알고 있지만(요한복음 20:24-29 참조), 그 호칭은 전혀 공평하지 않습니다. 요컨대 우리 중 몇 명이나 처형당한 우리의 지도자가 부활했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겠습니까? 우리는 그를 “용기 있는 도마”로 부르는 편이 나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도마는 예수님이 의도적으로 자신을 죽음으로 이끌 일로 나아가셨을 때에도 인상적인 용기를 보여주었으니까요.

나사로가 죽게 되었을 때 예수님이 “유대로 다시 가자”(요한복음 11:7)고 하시자 제자들은 즉시 항의했습니다. 그들은 “랍비여 방금도 유대인들이 돌로 치려 하였는데 또 그리로 가시려 하나이까” (8절)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도 주와 함께 죽으러 가자”(16절)고 말한 사람은 도마였습니다.

하지만 도마의 의지는 행동으로 증명되지 못했습니다. 베드로와 요한이 대제사장의 뜰까지 그리스도를 따라갈 동안 도마는 나머지 제자들과 함께 도망갔습니다(마태복음 26:56). 오직 요한만이 십자가에 이르기까지 예수님을 좇았습니다.

나사로의 부활을 직접 보았음에도 불구하고(요한복음 11:38-44) 도마는 아직도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신 주님이 죽음을 정복하셨다는 것을 믿을 수 없었습니다. 보통 인간처럼 의심하는 자였던 도마는 부활하신 주님을 보고서야 비로소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요한복음 20:28)라고 외칠 수가 있었습니다. “너는 나를 본 고로 믿느냐 보지 못하고 믿는 자들은 복되도다”(29절). 예수님의 이 답변은 의심하는 자에게는 확신을, 우리에게는 헤아릴 수 없는 위로를 주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1-16
내가 그의 손의 못 자국을 보며 내 손가락을 그 못 자국에 넣으며 내 손을 그 옆구리에 넣어 보지 않고는 믿지 아니하겠노라
요한복음 20:25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알고 있는 아버지와 아버지의 선하심에 따라 행동하도록 가르쳐주시고, 우리가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믿음 안에서 아버지를 신뢰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소서.

진정한 의심은 빛을 찾지만, 불신앙은 어둠속에서 만족해 한다.

Daily Article

02/13/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4 and MATTHEW 26:51–75
Hymn: 456(old 509)

The Death of Doubt

We know him as Doubting Thomas (SEE JOHN 20:24–29), but the label isn’t entirely fair. After all, how many of us would have believed that our executed leader had been resurrected? We might just as well call him “Courageous Thomas.” After all, Thomas displayed impressive courage as Jesus moved purposefully into the events leading to His death.

At the death of Lazarus, Jesus had said, “Let us go back to Judea” (JOHN 11:7), prompting a protest from the disciples. “Rabbi,” they said, “a short while ago the Jews there tried to stone you, and yet you are going back?” (V. 8). It was Thomas who said, “Let us also go, that we may die with him” (V. 16).

Thomas’s intentions proved nobler than his actions. Upon Jesus’s arrest, Thomas fled with the rest (MATT. 26:56), leaving Peter and John to accompany Christ to the courtyard of the high priest. Only John followed Jesus all the way to the cross.

Despite having witnessed the resurrection of Lazarus (JOHN 11:38–44), Thomas still could not bring himself to believe that the crucified Lord had conquered death. Not until Thomas the doubter—the human—saw the risen Lord, could he exclaim, “My Lord and my God!” (JOHN 20:28). Jesus’s response gave assurance to the doubter and immeasurable comfort to us: “Because you have seen me, you have believed; blessed are those who have not seen and yet have believed” (V. 29).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ohn 11:1–16
Unless I see the nail marks in his hands and put my finger where the nails were, and put my hand into his side, I will not believe.
John 20:25

Father, teach us to act on what we do know about You and Your goodness, and trust You in faith for what we don’t know.

Real doubt searches for the light; unbelief is content with the darkness.

오늘의 말씀

02/12/2017     주일

성경읽기: 레 13; 마 26:26-50
찬송가: 505(통 268)

예수께서 하신 일을 보라

그 조그마한 소년이 부모님의 친구인 왈리에게 “저는 예수님을 사랑해요. 그래서 언젠가는 해외로 나가서 하나님을 위해서 일할 거예요”라고 했을 때 그의 나이는 불과 여덟 살이었습니다. 그 후 십여 년 동안 왈리는 소년이 성장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그를 위해서 기도했습니다. 이 청년이 드디어 말리공화국으로 가기 위해 선교단체에 신청하자 왈리가 그에게 말했습니다. “드디어 때가 되었구나! 내가 너의 장래의 희망에 대해 들었을 때부터 너를 위해 어느 정도의 돈을 투자해서 저금해왔단다. 이 좋은 소식을 기다리면서 말이지.” 왈리에게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복음을 전해주고자 하는 마음과 다른 사람을 위하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이 마을들을 돌아다니며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할 때(누가복음 8:1-3) 그들에게도 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그럴 때 악한 영과 병으로부터 고침을 받은 여자들이 “자기들의 소유로”(3절) 그들을 도왔습니다. 일곱 귀신이 나간 막달라인이라 하는 마리아가 그들 중의 한 명이었고, 또 헤롯의 청지기의 아내 요안나도 있었습니다. 수산나와 “다른 여러 여자”(3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우리는 예수님께서 그들의 영적 필요를 채워주셨음을 압니다. 이제 그들은 자기들의 소유를 드림으로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을 도왔습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하신 일들을 깊이 생각할 때, 다른 이들을 위하는 주님의 마음이 우리의 마음이 됩니다. 하나님께 우리를 어떻게 쓰시기를 원하시는지 여쭤봅시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8:1-8
오직 너희는...... 이 은혜에도 풍성하게 할지니라
고린도후서 8:7

당신이 구원의 복음을 이웃과 온 세상에 전하는데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이 당신에게 하신 일을 누군가에게 말하고 격려의 글을 남기십시오. 선교사에게 선물을 보내고 기도하십시오.

예수님은 그분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셨으니 우리의 모든 것을 받으실 만하다.

Daily Article

02/12/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3 and MATTHEW 26:26–50
Hymn: 505(old 268)

Look What Jesus Has Done

The little boy was only eight when he announced to his parents’ friend Wally, “I love Jesus and want to serve God overseas someday.” During the next ten years or so, Wally prayed for him as he watched him grow up. When this young man later applied with a mission agency to go to Mali, Wally told him, “It’s about time! When I heard what you wanted to do, I invested some money and have been saving it for you, waiting for this exciting news.” Wally has a heart for others and for getting God’s good news to people.

Jesus and His disciples needed financial support as they traveled from one town and village to another, telling the good news of His kingdom (LUKE 8:1–3). A group of women who had been cured of evil spirits and diseases helped to support them “out of their own means” (V. 3). One was Mary Magdalene, who had been freed from the presence of seven demons. Another was Joanna, the wife of an official in Herod’s court. Nothing is known about Susanna and “many others” (V. 3), but we know that Jesus had met their spiritual needs. Now they were helping Him and His disciples through giving their financial resources.

When we consider what Jesus has done for us, His heart for others becomes our own. Let’s ask God how He wants to use us. ANNE CETAS

Today's Reading

Luke 8:1–8
See that you... excel in this grace of giving.
2 Corinthians 8:7

How might you be a part of getting the good news of salvation to people in your neighborhood and around the world? Tell someone the story of what Jesus has done for you. Write a note of encouragement
to someone. Share a gift with a missionary. Pray.

Jesus gave His all; He deserves our all.

오늘의 말씀

02/11/2017     토요일

성경읽기: 레 11-12; 마 26:1-25
찬송가: 407(통 465)

다 알아요

우리 아들과 며느리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손자 카메론이 폐렴과 기관지염으로 힘들어해서 병원에 가야만 했던 것입니다. 아들과 며느리는 우리에게 다섯 살짜리 아들 나단을 학교에서 집으로 데려다줄 수 있는지 물었습니다. 아내 말린과 나는 기꺼이 그러겠다고 했습니다.

나단이 차에 탔을 때, 아내 말린이 “우리가 오늘 너를 데리러 와서 놀랬니?”라고 묻자 손자 녀석이 “아뇨!”라고 대답했습니다. 왜 놀라지 않았냐고 물었더니 그는 “난 뭐든 다 아니까요!”라고 대답했습니다.

다섯 살짜리 아이는 모든 걸 다 안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조금 더 나이를 먹은 우리는 그렇지 않다는 걸 압니다. 우리는 흔히 답보다는 질문거리를 더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비록 모든 것을 다 알지 못해도 모든 것을 아시는 하나님을 우리가 알고 있다는 것을 종종 잊어버린 채, 인생의 왜, 언제, 어떻게에 대해 궁금해 합니다.

시편 139편 1절과 3절은 모든 것을 아시는 우리 하나님께서 우리를 얼마나 종합적으로 친밀하게 이해하고 계신지에 대해서 말합니다. 다윗은 “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나를 아시나이다...... 나의 모든 길과 내가 눕는 것을 살펴보셨으므로 나의 모든 행위를 익히 아시오니”라고 말합니다. 우리를 완벽하게 사랑하시고, 오늘 우리가 맞닥뜨릴 문제를 모두 알고 계시며, 인생의 모든 상황에서 우리를 돕는 최선의 방법을 아시는 하나님을 우리가 알고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요.

우리의 지식에는 언제나 한계가 있지만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는 그분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18
나의 모든 길과 내가 눕는 것을 살펴보셨으므로 나의 모든 행위를 익히 아시오니
시편 139:3

저에 대한 모든 것을, 또 제게 필요한 모든 것을 아시는 주님,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가장 중요하다.

Daily Article

02/11/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1–12 and MATTHEW 26:1–25
Hymn: 407(old 465)

I Know Everything

Our son and daughter-in-law had an emergency. Our grandson Cameron was suffering from pneumonia and bronchitis and needed to go to the hospital. They asked if we could pick up their five-year-old son, Nathan, from school and take him home. Marlene and I were glad to do so.

When Nathan got in the car, Marlene asked, “Are you surprised that we came to get you today?” He responded, “No!” When we asked why not, he replied, “Because I know everything!”

A five-year-old can claim to know everything, but those of us who are a bit older know better. We often have more questions than answers. We wonder about the whys, whens, and hows of life—often forgetting that though we do not know everything, we know the God who does.

Psalm 139:1 and 3 speak of our all-knowing God’s allencompassing, intimate understanding of us. David says, “You have searched me, Lord, and you know me. . . . You discern my going out and my lying down; you are familiar with all my ways.” How comforting to know God loves us perfectly, is fully aware of what we will face today, and He knows how best to help us in every circumstance of life.

Our knowledge will always be limited, but knowing God is what matters most. We can trust Him.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139:1–18
You discern my going out and my lying down; you are familiar with all my ways.
Psalm 139:3

Thank You, Lord, that You know everything about me and what I need.

Knowing God is what matters most.

오늘의 말씀

02/10/2017     금요일

성경읽기: 레 8-10; 마 25:31-46
찬송가: 405(통 458)

예수님 품에 의지함

나는 가끔 밤에 베개에 머리를 대고 기도할 때 내가 예수님의 품에 기대어있다는 상상을 합니다. 나는 그럴 때마다 성경이 요한 사도에 대해 우리에게 말하고 있는 내용이 생각납니다. 요한은 자신이 최후의 만찬 때 예수님 옆에 어떻게 앉아 있었는지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예수의 제자 중 하나 곧 그가 사랑하시는 자가 예수의 품에 의지하여 누웠는지라” (요한복음 13:23).

요한은 자신에 대해 말할 때 자기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예수님이 사랑하시는 제자”라는 말을 사용했습니다. 그는 또한 1세기 이스라엘의 전통적인 연회 상차림에 대해 묘사하고 있는데, 거기에 사용된 식탁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낮아 대략 무릎 높이쯤 되었습니다. 식탁에 둘러 있는 사람들은 의자 없이 장판이나 방석에 기대어 누워 있는 것이 자연스러운 자세였습니다. 요한은 주님과 매우 가까이 앉아있었기 때문에, 예수님께 질문하기 위해 몸을 돌릴 때 “예수의 가슴에 바싹 기대어”(요한복음 13:25, 새번역) 그의 머리를 예수님의 가슴에 두었습니다.

요한이 예수님과 가까이 있는 그 순간의 모습은 오늘날 예수님과 함께 하는 우리의 삶을 묘사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직접 만질 수는 없지만, 우리 삶의 가장 무거운 상황들을 주님께 의탁할 수있습니다. 주님은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마태복음 11:28)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 삶의 어떤 상황에서도 신실하실 것을 믿을 수 있는 구주가 계시다는 것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요! 당신은 오늘 예수님의 “품에 의지하고” 있습니까?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3:12-26
예수의 제자 중 하나 곧 그가 사랑하시는 자가 예수의 품에 의지하여 누웠는지라
요한복음 13:23

사랑하는 주 예수님, 오늘 주님을 의지하고 주님이 나의 힘과 희망의 근원이심을 믿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주님은 신실하시므로 나의 모든 염려를 주께 맡기며 주님을 찬양합니다.

예수님만이 우리에게 필요한 안식을 주신다.

Daily Article

02/10/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8–10 and MATTHEW 25:31–46
Hymn: 405(old 458)

Leaning on Jesus

Sometimes when I put my head on my pillow at night and pray, I imagine I’m leaning on Jesus. Whenever I do this, I remember something the Word of God tells us about the apostle John. John himself writes about how he was sitting beside Jesus at the Last Supper: “One of them, the disciple whom Jesus loved, was reclining next to him” (JOHN 13:23).

John used the term “the disciple whom Jesus loved” as a way of referring to himself without mentioning his own name. He is also depicting a typical banquet setting in first-century Israel, where the table was much lower than those we use today, about knee height. Reclining without chairs on a mat or cushions was the natural position for those around the table. John was sitting so close to the Lord that when he turned to ask him a question, he was “leaning back against Jesus” (JOHN 13:25), with his head on his chest.

John’s closeness to Jesus in that moment provides a helpful illustration for our lives with Him today. We may not be able to touch Jesus physically, but we can entrust the weightiest circumstances of our lives to Him. He said, “Come to me, all you who are weary and burdened, and I will give you rest” (MATT. 11:28). How blessed we are to have a Savior whom we can trust to be faithful through every circumstance of our lives! Are you “leaning” on Him today? - JAMES BANKS

Today's Reading

John 13:12–26
One of them, the disciple whom Jesus loved, was reclining next to him.
John 13:23

Dear Lord Jesus, help me to lean on You today and to trust You as my source of strength and hope. I cast all my cares on You and praise You because You are faithful.

Jesus alone gives the rest we need.

오늘의 말씀

02/09/2017     목요일

성경읽기: 레 6-7; 마 25:1-30
찬송가: 263(통 197)

대언자

1962년 6월에 플로리다주에 있는 교도소 감방에서, 클래런스 얼 기드온은 그가 저지르지 않았다고 말하는 범죄에 대한 판결을 미국 대법원에서 다시 검토해주기를 요청하는 편지를 썼습니다. 그는 변호사를 선임할 재력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일 년 후, 대법원은 기드온 대 웨인라이트라는 역사적인 판례를 통 해 , 자신을 변호할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은 대언자인 국선 변호사를 정부에서 반드시 제공해주어야 한다는 규정을 세웠습니다. 이러한 결정으로 법정 선임된 변호사의 도움을 통해 클래런스 기드온은 재심을 거쳐 무죄로 석방되었습니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무죄가 아니라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바울 사도에 따르면 우리는 모두 유죄입니다. 그러나 천국 법정에서는 우리의 영혼을 변호해주고 돌보아주시는, 하나님께서 비용을 지불해주시는 변호사를 제공해줍니다 (요한1서 2:2). 하나님 아버지를 대신하여 예수님은 우리에게 오셔서, 수감자들조차 외부에서 경험한 어떤 것보다 더 좋은 것으로 이야기하는 자유를 주십니다. 그것은 바로 마음과 생각의 자유입니다.

우리가 잘못한 것 때문에, 혹은 누군가 우리에게 잘못한 것 때문에 고통을 당할지라도, 예수님은 우리 모두를 위해 대변해주실 수 있습니다. 주님은 그 최고의 권위로, 간구하는 모든 자에게 자비와 용서, 그리고 위로를 주십니다.

우리의 대언자 되시는 예수님은 실망이나 두려움, 후회가 가득한 감옥을 주님이 임재하시는 곳으로 바꾸어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1:8-2:2
만일 누가 죄를 범하여도 아버지 앞에서 우리에게 대언자가 있으니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시라
요한1서 2:1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과 임재의 자유를 소유하는 것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가 갇혀 있는 것 같았던 곳에서도 이 자유를 경험할 수 있게 해주소서.

우리를 대신해 죽으신 주님은 지금 우리의 대언자로 살아계신다.

Daily Article

02/09/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6–7 and MATTHEW 25:1–30
Hymn: 263(old 197)

The Advocate

From a Florida prison cell in June 1962, Clarence Earl Gideon wrote a note asking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to review his conviction for a crime he said he didn’t commit. He added that he didn’t have the means to hire a lawyer.

One year later, in the historic case of Gideon v. Wainright,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people who cannot afford the cost of their own defense must be given a public defender—an advocate—provided
by the state. With this decision, and with the help of a court-appointed lawyer, Clarence Gideon was retried and acquitted.

But what if we are not innocent? According to the apostle Paul, we are all guilty. But the court of heaven provides an Advocate who, at God’s expense, offers to defend and care for our soul (1 JOHN 2:2). On behalf of his Father, Jesus comes to us offering a freedom that even prison inmates have described as better than anything they’ve experienced on the outside. It is a freedom of heart and mind.

Whether suffering for wrongs done by us or to us, we all can be represented by Jesus. By the highest of authority He responds to every request for mercy, forgiveness, and comfort.

Jesus, our Advocate, can turn a prison of lost hope, fear, or regret into the place of His presence. - MART DEHAAN

Today's Reading

1 John 1:8–2:2
If anybody does sin, we have an advocate with the Father - Jesus Christ, the Righteous One.
1 John 2:1

Father in heaven, please help us to know what it means to have the freedom of Your love and presence. May we experience this freedom even in places that we have only seen as our confinement!

The one who died as our substitute now lives as our advocate.

오늘의 말씀

02/08/2017     수요일

성경읽기: 레 4-5; 마 24:29-51
찬송가: 90(통 98)

좋은 일, 나쁜 일, 그리고 험악한 일

친한 친구가 “우리는 좋은 일, 나쁜 일, 그리고 험악한 일들을 서로 이야기할 수 있어서 기쁘다!”라고 문자메시지를 보내왔습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친구로 지내오면서 기쁜 일이나 실망스러운 일들도 함께 나눌 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결코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어려운 일들을 함께 나누기도 하고 서로의 성공을 함께 기뻐하기도 합니다.

다윗이 골리앗을 물리친 좋은 날들 로부터 시작하여, 다윗과 요나단도 견고한 우정을 갖게 되었습니다(사무엘상 18:1-4). 요나단의 아버지가 다윗을 질투하는 나쁜 시간 동안에 그들은 두려움을 함께 나누었습니다(18:6-11; 20:1-2). 마침내 사울이 다윗을 죽이려고 계획했던 험악한 시간 동안에도 그들은 함께 고난을 겪었습니다(20:42).

좋은 친구는 외부의 환경이 바뀔 때 우리를 저버리지 않습니다. 그들은 좋을 때나 나쁠 때나 우리와 함께 합니다. 좋은 친구는 우리가 하나님을 떠나려는 유혹을 느낄 수도 있는 험악한 시기에 우리를 하나님 앞으로 이끌어줍니다.

진정한 우정은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우정은 좋을 때나 나쁠 때나 험악할 때에 늘 충실하게 함께해 주시는 완벽한 친구이신 하나님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우리에게 이렇게 상기시켜 주십니다. “내가 결코 너희를 버리지 아니하고 너희를 떠나지 아니하리라”(히브리서 13:5).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20:35-42
내가 결코 너희를 버리 지 아니하고 너희를 떠나지 아니하리라
히브리서 13:5

사랑하는 주님, 제 삶 가운데 좋은 친구들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님께서 베풀어주시는 우정에 감사드립니다.

친구란 세상 사람들이 모두 떠나버릴 때 제일 먼저 나를 찾아주는 사람이다.

Daily Article

02/08/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4–5 and MATTHEW 24:29–51
Hymn: 90(old 98)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A dear friend of mine sent me a text message that said, “I’m so glad we can tell each other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We have been friends for many years, and we have learned to share our joys and our failures. We recognize we are far from perfect, so we share our struggles but we also rejoice in each other’s successes.

David and Jonathan had a solid friendship too, beginning with the good days of David’s victory over Goliath (1 SAM. 18:1–4). They shared their fears during the bad days of Jonathan’s father’s jealousy (18:6–11; 20:1–2). Finally, they suffered together during the ugly days of Saul’s plans to kill David (20:42).

Good friends don’t abandon us when external circumstances change. They stay with us through the good and the bad days. Good friends also may point us to God in the ugly days, when we may feel tempted to walk away from our Lord.

Real friendships are a gift from God because they exemplify the perfect Friend, who remains loyal through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days. As the Lord reminds us, “Never will I leave you; never will I forsake you” (HEB. 13:5). KEILA OCHOA

Today's Reading

1 Samuel 20:35–42
Never will I leave you; never will I forsake you.
Hebrews 13:5

Dear Lord, I thank You for the good friends You have placed in my life, but above all, I thank You for Your friendship.

A friend is the first person who comes in when the whole world has gone out.

오늘의 말씀

02/07/2017     화요일

성경읽기: 레 1-3; 마 24:1-28
찬송가: 412(통 469)

기쁨을 주나요?

어느 젊은 일본 여성이 정리 정돈하는 방법에 대해 쓴 책이 전 세계적으로 200만 부가 팔렸습니다. 마리에 콘도의 핵심 메시지는 집과 옷장 안에 쌓여있는, 사람들을 짓누르는 불필요한 물건들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그녀는 “물건을 하나씩 들고서, ‘이것이 기쁨을 주나?’ 하고 자문해보십시오.”라고 말합니다. 만일 질문에 대한 답이 긍정적이면 계속 보관하고, 답이 부정적이라면 그 물건을 버리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는 빌립보에 있는 성도들에게 그리스도와의 관계 속에서 기쁨을 추구 하라고 강권했습니다.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 (빌립보서 4:4). 그는 그들이 걱정거리 때문에
혼란스런 삶을 사는 대신, 모든 일에 기도로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게 하라고 강권했습니다 (6-7절).

우리가 매일 해야 할 일들과 책임져야 하는 일들을 살펴보면, 모든 것이 즐거운 일들만은 아님을 발견합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 일은 어떻게 하나님 마음과 또 우리의 마음에 기쁨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까?”라고 자문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일을 하는 이유가 변하면, 그 일에 대해 우리가 느끼는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끝으로 형제들아 무엇에든지 참되며......경건하며......옳으며...... 정결하며......사랑받을 만하며......칭찬 받을 만하며 무슨 덕이 있든지 무슨 기림이 있든지 이것들을 생각하라”(8절).

바울의 이 마지막 인사말은 우리 사고방식에 양식이 되며, 기쁨의 요리법이 됩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4-9
끝으로 형제들아 무엇에든지 참되며...... 경건하며......옳으며......정결하며......사랑받을 만하며......칭찬 받을 만하며 무슨 덕이 있든지 무슨 기림이 있든지 이것들을 생각하라
빌립보서 4:8

주님, 오늘 제가 하는 일들 가운데 어떻게 기쁨을 불러일으키기를 원하시는지 보여주소서.

주님께 초점을 맞추는 것이 기쁨의 시작이다.

Daily Article

02/07/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3 and MATTHEW 24:1–28
Hymn: 412(old 469)

Does It Spark Joy?

A young Japanese woman’s book on decluttering and organizing has sold two million copies worldwide. The heart of Marie Kondo’s message is helping people get rid of unneeded things in their homes and closets—things that weigh them down. “Hold up each item,” she says, “and ask, ‘Does it spark joy?’” If the answer is yes, keep it. If the answer is no, then give it away.

The apostle Paul urged the Christians in Philippi to pursue joy in their relationship with Christ. “Rejoice in the Lord always. I will say it again: Rejoice!” (PHIL. 4:4). Instead of a life cluttered with anxiety, he urged them to pray about everything and let God’s peace guard their hearts and minds in Christ (VV. 6–7).

Looking at our everyday tasks and responsibilities, we see that not all of them are enjoyable. But we can ask, “How can this spark joy in God’s heart and in my own?” A change in why we do things can bring a transformation in the way we feel about them.

“Finally, brothers and sisters, whatever is true . . . noble . . . right . . . pure . . . lovely . . . admirable—if anything is excellent or praiseworthy—think about such things” (V. 8).

Paul’s parting words are food for thought and a recipe for joy.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Philippians 4:4–9
Finally, brothers and sisters, whatever is true...noble...right...pure...lovely...admirable- if anything is excellent or praiseworthy-think about such things.
Philippians 4:8

Lord, show me how You want to spark joy in the tasks I face today.

A focus on the Lord is the beginning of joy.

오늘의 말씀

02/06/2017     월요일

성경읽기: 출 39-40; 마 23:23-39
찬송가: 342(통 395)

단련되고 정화됨

가수이자 작곡가인 메리디스 앤드류스는 인터뷰에서, 자신은 봉사활동과 창작 작업, 부부간의 문제, 그리고 어머니 역할을 균형 있게 해내기가 너무 힘겨웠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그 고통을 돌아보면서 “마치 하나님께서 저를 정제시키시는 시간으로 느껴졌고, 거의 으깨어지는 과정을 통과시키시는 듯 했어요.” 라고 말했습니다.

욥은 그의 생계와 건강과 가족을 잃어 버린 후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매일 하나 님을 경배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도움을 간구하는 것을 하나님이 무시하시는 것 같이 느껴져 그는 더욱 힘들어 했습니다. 마치 하나님은 그의 인생의 전망 속에 계시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욥은 동서남북 어디를 바라보아도 하나님을 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욥기 23:2-9).

그러나 욥은 절망 가운데서도 선명한 깨달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의 믿음이 마치 어두운 방 안의 촛불과 같이 그의 인생에 반짝였습니다. 그는 “내가 가는 길을 [하나님께서] 아시나니 그가 나를 단련하신 후에는 내가 순금 같이 되어 나오리라”(10절)고 말했습니다. 하나님은 시련을 통해 우리의 자기 의존과 교만, 세상적인 지혜 등을 태워버리심으로 성도들을 단련시키고 정화시키십니다. 이런 시련 중에 마치 하나님이 침묵하시고 우리의 간구에 응답하시지 않는 것 같아 보이면, 그것은 아마도 하나님이 우리가 믿음 안에서 더 강하게 자라갈 기회를 주고 계시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삶이 힘들 때 하나님을 의지함으로써, 고통과 고난은 빛나는 견고한 바위 같은 성품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23:1-12
그가 나를 단련하신 후에는 내가 순금 같이 되어 나오리라
욥기 23:10

사랑하는 주님, 주님께서 제 삶에 역사하시고 계심을 비록 볼 수 없을 때에도, 주님이 저와 함께 하심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제가 견뎌내야 할지도 모르는 어떤 고통이 있더라도 그 고통을 향한 주님의 뜻에 순복합니다.

믿음이 시험 당할 때 믿음이 강해질 수 있다.

Daily Article

02/06/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39–40 and MATTHEW 23:23–39
Hymn: 342(old 395)

Tried and Purified

During an interview, singer and songwriter Meredith Andrews spoke about being overwhelmed as she tried to balance outreach, creative work, marital issues, and motherhood. Reflecting on her distress, she said, “I felt like God was taking me through a refining season, almost through a crushing process.”

Job was overwhelmed after losing his livelihood, his health, and his family. Worse still, although Job had been a daily worshiper of God, he felt that the Lord was ignoring his pleas for help. God seemed absent from the landscape of his life. Job claimed he could not see God whether he looked to the north, south, east, or west (JOB 23:2–9).

In the middle of his despair, Job had a moment of clarity. His faith flickered to life like a candle in a dark room. He said, “[God] knows the way that I take; when he has tested me, I will come forth as gold” (V. 10). Christians are tried and purified when God uses difficulty to burn away our self-reliance, pride, and earthly wisdom. If it seems as if God is silent during this process and He is not answering our cries for help, He may be giving us an opportunity to grow stronger in our faith.

Pain and problems can produce the shining, rock-solid character that comes from trusting God when life is hard.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Job 23:1–12
When he has tested me, I will come forth as gold.
Job 23:10

Dear Lord, help me to believe that You are with me, even when I can’t see You working in my life. I surrender myself to Your purpose for any suffering I may endure.

Faith-testing times can be faith-strengthening times.

오늘의 말씀

02/05/2017     주일

성경읽기: 출 36-38; 마 23:1-22
찬송가: 478(통 78)

있는 곳에서 시작하라

나는 오늘 초원에서 홀로 외로이 자라는 꽃을 우연히 보게 되었습니다. 시인 토마스 그레이의 멋진 한 구절을 빌린다면, “그 감미로움을 사막 바람에 낭비하는” 작은 보라색 꽃이었습니다. 아무도 전에 이 꽃을 보지 않았을 것이 분명하고, 아마 아무도 다시 이 꽃을 보지 못할 것입니다. 나는 ‘왜 이런 아름다운 꽃이 이곳에 있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자연은 헛되이 낭비되는 법이 없습 니다. 자연은 자연을 존재케 하신 하나님의 진실하심과 선하심, 아름다움을 매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연은 새롭고 신선한 하나님의 영광을 날마다 선포합니다. 우리는 그 아름다움을 통해 하나님을 보고 있는지요? 아니면 그저 힐끗 보고는 별 관심 없이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있습니까?

모든 자연은 그것을 만든 창조자의 아름다움을 선포합니다. 수레국화의 찬란한 빛, 일출의 장대한 모습, 대칭을 보이는 어느 특정한 나무를 보며 우리는 예배와 찬양, 감사함으로 반응할 수 있습니다.

작가 씨 에스 루이스는 어느 무더운 여름날 숲 속에서의 산책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는 방금 그의 친구에게 하나님께 감사하는 마음을 가장 잘 가꾸는 방법에 대해 물어보았습니다. 함께 산을 걷던 친구는
가까운 시냇가로 가서 물이 떨어지는 곳에서 손과 얼굴에 물을 튀기면서 “이것부터 시작해보는 건 어때?”라고 말했습니다. 루이스는 바로 그 순간 “있는 곳에서 시작하라.”는 위대한 원칙을 깨달았다고 말했습니다.

똑똑 떨어지는 물방울, 버드나무를 스치는 바람, 아기 울새, 조그만꽃. 당신은 이런 것들을 감사하면서 시작해보시지 않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시편 136:1-9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 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도다
시편 19:1

하나님 아버지, 당신이 이곳에 아름다운 것을 심으신 것은 바로 그것이 당신의 모습을 드러내기 때문이라는 것을 항상 기억하게 해주소서.
주님을 경배합니다!

[하나님은] 모든 아름다운 것들 뒤에 계신 아름다움이시다. 스티브 드윗

Daily Article

02/05/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36–38 and MATTHEW 23:1–22
Hymn: 478(old 78)

Begin Where You Are

I came across a solitary flower growing in a meadow today—a tiny purple blossom “wasting its sweetness in the desert air,” to borrow from the poet Thomas Gray’s wonderful line. I’m sure no one had seen this particular flower before, and perhaps no one will see it again. Why this beauty in this place? I thought.

Nature is never wasted. It daily displays the truth, goodness, and beauty of the One who brought it into being. Every day nature offers a new and fresh declaration of God’s glory. Do I see Him through that beauty, or do I merely glance at it and shrug it off in indifference?

All nature declares the beauty of the One who made it. Our response can be worship, adoration, and thanksgiving—for the radiance of a cornflower, the splendor of a morning sunrise, the symmetry of one particular tree.

Author C. S. Lewis describes a walk in the forest on a hot summer day. He had just asked his friend how best to cultivate a heart thankful toward God. His hiking companion turned to a nearby brook, splashed his face and hands in a little waterfall, and asked, “Why not begin with this?” Lewis said he learned a great principle in that moment: “Begin where you are.”

A trickling waterfall, the wind in the willows, a baby robin, a tiny flower. Why not begin your thankfulness with this? - DAVID ROPER

Today's Reading

Psalm 136:1–9
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 the skies proclaim the work of his hands.
Psalm 19:1

Father, may we always be reminded that You have placed beauty here because it reflects Your character.
We praise You!

[God] is the beauty behind all beauty. STEVE DEWITT

오늘의 말씀

02/04/2017     토요일

성경읽기: 출 34-35; 마 22:23-46
찬송가: 66(통 20)

모든 상황에서

우리는 우리 동네에 거듭되는 단전에 대한 불평을 많이 합니다. 일주일에 세 번이나 단전되기도 하고, 단전이 24시간까지 지속되어 동네가 온통 암흑에 빠지기도 합니다. 기본적인 가전제품들을 사용하지 못하게 될 때에는 그 불편함을 견디기가 어렵습니다.

그리스도인인 이웃은 “이것도 하나님 께 감사해야 할 일인가요?”라고 가끔 물어 봅니다. 그녀는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라는 데살로니가전서 5장 18절 말씀을 언급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항상 “네, 물론이지요. 우리는 범사에 하나님께 감사합니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마지못해 대답하는 우리의 태도는 전기가 나갈 때마다 투덜대는 우리의 모습과는 맞지 않습니다.

그러나 어느 날 ‘모든 상황에서’ 하나님께 감사한다는 우리의 믿음에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었습니다. 직장에서 돌아왔을 때 나는 우리 이웃이 눈에 띄게 충격을 받은 모습으로 다음과 같이 외치는 것을 보았습니다. “전기가 나가서 얼마나 감사한지요. 우리 집이 불에 타 우리 가족과 내가 다 죽었을지도 몰라요!”

쓰레기 수거 차량이 그녀의 집 앞에 있는 전봇대를 들이받아 고압전선이 근처의 몇몇 집 위로 떨어진 것이었습니다. 만일 전선에 전기가 흐르고 있었다면 사망자가 생겼을 수도 있었습니다.

우리는 당면하고 있는 어려운 상황들 때문에 “주님, 감사합니다.” 라고 말하기 힘들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가 하나님의 의도를 볼 수 있건 없건 간에, 모든 상황 속에서 우리로 하나님을 신뢰하게 하는 기회를 보고 계시는 우리 하나님께 감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5:16-18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데살로니가전서 5:18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말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만, 우리의행동은 너무 자주 우리가 마음으로 주님을 믿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어떤 고난이 와도, 모든 상황 가운데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은혜로 우리는 범사에 감사할 수 있다.

Daily Article

02/04/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34–35 and MATTHEW 22:23–46
Hymn: 66(old 20)

In All Circumstances

In our suburb we complain about the constant power outages. They can hit three times in a week and last up to twenty-four hours, plunging the neighborhood into darkness. The inconvenience is hard to bear when we cannot use basic household appliances.

Our Christian neighbor often asks, “Is this also something to thank God for?” She is referring to 1 Thessalonians 5:18: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for this is God's will for you in Christ Jesus.” We always say, “Yes, of course, we thank God in all things.” But the halfhearted manner in which we say it is contradicted by our grumbling every time the power goes off.

One day, however, our belief in thanking God in all circumstances took on new meaning. I returned from work to find our neighbor visibly shaken as she cried, “Thank Jesus the power was off. My house would have burned down, and my family and I would have perished!”

A refuse-collection truck had hit the electricity pole in front of her house and brought down the high-tension cables right over several houses. Had there been power in the cables, fatalities would have been likely.

The difficult circumstances we face can make it hard to say, “Thanks, Lord.” We can be thankful to our God who sees in every situation an opportunity for us to trust Him—whether or not we see His purpose. - LAWRENCE DARMANI

Today's Reading

1 Thess. 5:16–18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for this is God's will for you in Christ Jesus.
1 Thessalonians 5:18

Father, we honor You with our words, but so often our actions reveal that our hearts don’t trust You. Help us to see You at work in every circumstance, no matter how difficult.

By God’s grace we can be thankful in all thing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