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23/2017     목요일

성경읽기: 민 7-8; 막 4:21-41
찬송가: 484(통 533)

계속 달려가라

나는 ‘굉장한 경주’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좋아합니다. 이 리얼리티 쇼는 열 쌍의 남녀를 외국으로 보내어, 그곳에서 기차나 버스, 택시, 자전거를 이용하거나 걸어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다음 과제에 대한 지침을 받게 하는 경주입니다. 이 시합의 목적은 한 커플이 다른 사람들보다 먼저 지정된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게 하는 것인데, 우승 상금은 백만 불(약 12억 원)입니다.

바울 사도는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경주에 비교하면서 자신이 아직 결승점에 도착하지 못했다고 시인했습니다. “형제들아 나는 아직 내가 잡은 줄로 여기지 아니하고 오직 한 일 즉 뒤에 있는 것은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달려가노라” (빌립보서 3:13-14). 바울은 뒤돌아보지 않으면서 과거의 실패로 인한 죄의식이 자신을 짓누르지 못하도록 하였고, 현재의 성공으로 자만에 빠지지 않게 하였습니다. 바울은 예수님을 더욱더 닮아가려는 목표를 향해 계속 달려갔습니다.

우리도 같은 경주를 달리고 있습니다. 우리의 과거의 실패나 성공에 상관없이, 예수님을 더 닮아가려는 궁극적인 목표를 향해 계속 달려갑시다. 우리는 세상의 상급이 아니라 영원히 주님을 기뻐하는 궁극적인 상급을 위해 달리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3:12-21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 의 상을 위하여 달려 가노라
빌립보서 3:14

빌립보서 4:11-13을 읽으십시오. 우리가 어떻게 미래의 소망을 위해 달려갈 수 있을까요? 히브리서 12:1-2을 읽으십시오.
우리가 계속 달려가며 인내하기 위해 해야 할 실제적인 것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예수님을 따르는 일을 결코 중단하지 말라.

Daily Article

02/23/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7–8 and MARK 4:21–41
Hymn: 484(old 533)

Press On

One of my favorite television programs is The Amazing Race. In this reality show, ten couples are sent to a foreign country where they must race, via trains, buses, cabs, bikes, and feet, from one point to another to get their instructions for the next challenge. The goal is for one couple to get to a designated finishing point before everyone else, and the prize is a million dollars.

The apostle Paul compared the Christian life to a race and admitted that he had not yet arrived at the finish line. “Brothers and sisters,” he said, “I do not consider myself yet to have taken hold of it. But one thing I do: Forgetting what is behind and straining toward what is ahead. I press on toward the goal to win the prize” (PHIL. 3:13–14). Paul did not look back and allow his past failures to weigh him down with guilt, nor did he let his present successes make him complacent. He pressed on toward the goal of becoming more and more like Jesus.

We are running this race too. Despite our past failures or successes, let us keep pressing on toward the ultimate goal of becoming more like Jesus. We are not racing for an earthly prize, but for the ultimate reward of enjoying Him forever.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hilippians 3:12–21
I press on toward the goal to win the prize for which God has called me heavenward in Christ Jesus.
Philippians 3:14

Read Philippians 4:11–13. How are we able to press on toward our future hope? Read Hebrews 12:1–2.
What are some practical things we must do to continue to press on and persevere?

Never call it quits in pursuing Jesus.

오늘의 말씀

02/22/2017     수요일

성경읽기: 민 4-6; 막 4:1-20
찬송가: 300(통 406)

온전한 은혜

완전한 이상과 온전한 은혜에 관한 예수님의 가르침은 서로 모순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예수님이 하나님의 완전한 이상의 기준을 낮추신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젊은 부자 관원을 향해서 예수님은 “그러므로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온전하심과 같이 너희도 온전하라” (마태복음 5:48)고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은 가장 큰 계명에 대해 묻는 율법사에게도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22:37) 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명령들을 완전히 지킨 사람은 지금껏 아무도 없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예수님이 온전한 은혜도 온유하게 제시해주셨습니다. 주님은 간음한 여인과 십자가상의 강도, 예수님을 부인한 제자, 그리고 그리스도인을 박해하여 유명하게 된 사울이라는 사람도 용서하셨습니다. 은혜는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사람들까지도 모두 아우르는 완전한 것입니다.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누가복음 23:34)라는 말씀은 주님이 이 땅에서 마지막으로 남긴 말씀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오랫동안 나는 예수님의 완전한 이상을 생각할 때마다 내가 너무 하찮게 여겨져서 주님의 은혜에 관한 생각을 아주 놓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상과 은혜라는 이 이중의 메시지를 이해하자, 나는 돌이켜 예수님의 삶과 가르침 속에 은혜의 메시지가 강하게 흐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힘으로는 도무지 어찌할 수 없는 절망적인 사람들과 궁핍한 사람들, 상처받은 사람들을 위해 은혜를 주셨습니다. 바로 우리 모두를 위해 은혜를 주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 5:43-48; 요 8:9-11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요한복음 8:11

하나님 아버지, 모두를 아우르는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 위로 밀려와 우리를 놀라게 합니다. 오늘 우리가 하나님의 완전한 용서로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된 것을 즐기는 백성처럼 살게 해주소서.

예수님이 율법의 요구를 온전히 이루셨기에 우리가 주님의 은혜가 주는 온전한 평화를 누릴 수 있다.

Daily Article

02/22/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4–6 and MARK 4:1–20
Hymn: 300(old 406)

Perfect Grace

Jesus’s teaching about absolute ideals and absolute grace seem contradictory.

Jesus never lowered God’s perfect ideal. In His response to the rich young ruler, He said, “Be perfect, therefore, as your heavenly Father is perfect” (MATT. 5:48). He told an expert in the law who inquired as to the greatest commandment,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nd” (22:37). No one has completely fulfilled those commands.

Yet the same Jesus tenderly offered absolute grace. He forgave an adulteress, a thief on the cross, a disciple who had denied ever knowing Him, and a man named Saul, who had made his mark persecuting Christians. Grace is absolute and all-encompassing, extending even to those who nailed Jesus to the cross: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were among the last words He spoke on earth (LUKE 23:34).

For years I felt so unworthy when considering Jesus’s absolute ideals that I missed any notion of His grace. Once I understood this dual message, however, I went back and found that the message of grace gusts through Jesus’s life and teachings.

Grace is for the desperate, the needy, the broken, those who cannot make it on their own. Grace is for all of us. - PHILIP YANCEY

Today's Reading

Matt. 5:43–48; Jn. 8:9–11
"Neither do I condemn you," Jesus declared.
John 8:11

Father, Your all-encompassing grace washes over us and astonishes us. May we live today as people who enjoy Your complete forgiveness and a restored relationship with You.

Jesus fulfilled the perfect requirements of the law so that we may enjoy the perfect peace of His grace.

오늘의 말씀

02/21/2017     화요일

성경읽기: 민 1-3; 막 3
찬송가: 501(통 255)

급속히 널리 퍼지는 복음

보스턴에 있는 노스이스턴 대학에서는 ‘바이럴 텍스트(급속히 널리 퍼지는 문서)’라는 과제로 1800년대의 인쇄된 내용이 그 당시 사회 매체 연결망이었던 신문을 통해 어떻게 퍼졌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만약 어떤 기사가 50번 이상 인쇄되었다면 그것은 산업시대에 있어서 “급속히 널리 퍼지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브리트 피터슨은 스미소니언 잡지에 기고한 글에서,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이 그들의 믿음 때문에 사형을 당했다는 19세기의 뉴스 기사가 적어도 110개의 다른 기사로 출판되었다고 썼습니다.

바울 사도는 데살로니가교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들이 기쁘고 담대하게 예수님을 증언했다고 칭찬했습니다. “주님의 말씀이 여러분으로부터 마케도니아와 아가야에만 울려 퍼진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여러분의 믿음에 대한 소문이 각처에 두루 퍼졌습니다”(데살로니가전서 1:8, 새번역). 복음의 메시지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변화된 사람들을 통해 급속히 널리 퍼져나갔습니다. 고난과 박해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침묵할 수 없었습니다.

주님을 아는 우리 모두가 친절하고 도와주고 정직하게 말함으로써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용서와 영원한 생명의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복음은 우리를 변화시키고 우리가 만나는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킵니다. 오늘 우리에게서 울려나오는 복음의 메시지가 모든 사람들에게 들릴 수 있게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 전서 1:1-10
주의 말씀이 너희에게로부터 마게도냐와 아가야에만 들릴 뿐 아니라 하나님을 향하는 너희 믿음의 소문이 각처에 퍼졌으므로
데살로니가전서 1:8

주 예수님, 오늘 우리가 담대히 살면서 예수님의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복음보다 더 좋은 소식은 없다. 온 세상에 전파하라!

Daily Article

02/21/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3 and MARK 3
Hymn: 501(old 255)

The Viral Gospel

The Viral Texts project at Northeastern University in Boston is studying how printed content in the 1800s spread through newspapers—the social media network of that day. If an article was reprinted 50 times or more, they considered that “viral” for the industrial age. Writing in Smithsonian magazine, Britt Peterson noted that a nineteenth-century news article describing which followers of Jesus were executed for their faith appeared in at least 110 different publications.

When the apostle Paul wrote to the Christians in Thessalonica, he commended them for their bold and joyful witness to Jesus. “The Lord’s message rang out from you not only in Macedonia and Achaia—your faith in God has become known everywhere” (1 THESS. 1:8). The message of the gospel went viral through these people whose lives had been transformed by Jesus Christ. In spite of difficulties and persecution, they could not remain silent.

We convey the story of forgiveness and eternal life in Christ through kind hearts, helping hands, and honest words from all of us who know the Lord. The gospel transforms us and the lives of those we meet. May the message ring out from us for all to hear today!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1:1–10
The Lord's message rang out from you not only in Macedonia and Achaia - your faith in God has become known everywhere.
1 Thessalonians 1:8

Lord Jesus, help us to live boldly and tell others about You today.

There’s no better news than the gospel—spread the word!

오늘의 말씀

02/20/2017     월요일

성경읽기: 레 26-27; 막 2
찬송가: 570(통 453)

강가의 나무

선망의 대상인 한 나무가 있었습니다. 강변에서 자라는 이 나무는 일기예보나 폭염, 또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염려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강이 영양을 공급해주고 열기를 식혀주었기에 그저 태양을 향해 가지를 들어 올리고, 뿌리로 땅을 붙잡고, 잎으로는 공기를 맑게 청소하며, 태양을 피할 곳을 찾는 모든 이들에게 그늘을 제공해주며 나날들을 보냈습니다.

그와 대조적으로 예레미야 선지자는 한 떨기나무에 주목하였습니다(예레미야 17:6). 비가 그치고 여름의 태양이 땅을 메마르게 하자, 떨기나무는 쪼그라들어 누구에게도 그늘이나 과일을 제공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왜 선지자는 시들어가는 떨기나무와 울창한 나무를 비교하였을까요? 그는 그의 백성들이 이집트의 노예상태에서 기적적으로 구출된 이래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 기억하기를 원했습니다. 40년간의 광야 생활은 그들에게는 강가의 나무와 같은 삶이었습니다(2:4-6). 하지만 풍요로운 약속의 땅에서 그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잊어버리고 그들 자신과 그들이 직접 만든 신을 의지하였으며(7-8절), 심지어 도움을 받기 위해 이집트로 다시 돌아가려고까지 하였습니다(42:14).

그래서 하나님은 예레미야를 통하여 잘 잊어버리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사랑으로 권면하셨던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에게도 주님을 소망하고 신뢰하여 덤불이 아니라 강가의 나무와 같이 되라고 권면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7:5-10
그는 물가에 심어진 나무......같으리라
예레미야 17:8

하나님 아버지, 어디에도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 것 같아 보일 때라도, 하나님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오직 하나님 한 분만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셨습니다. 하나님이 지금껏 우리에게 이미 보여주신 것들을 오늘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좋은 시절에는 고난의 날들에 배웠던 것들을 기억하자.

Daily Article

02/20/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6–27 and MARK 2
Hymn: 570(old 453)

River

This was a tree to be envied. Growing on riverfront property, it didn’t have to worry about weather reports, withering temperatures, or an uncertain future. Nourished and cooled by the river, it spent its days lifting its branches to the sun, holding the earth with its roots, cleaning the air with its leaves, and offering shade to all who needed refuge from the sun.

By contrast, the prophet Jeremiah pointed to a shrub (JER. 17:6). When the rains stopped and the summer sun turned the ground to dust, the bush shriveled into itself, offering no shade or fruit to anyone.

Why would the prophet compare a flourishing tree to a withering bush? He wanted his people to recall what had happened since their miraculous rescue from the slave yards of Egypt. For forty years in a wilderness, they lived like a tree planted by a river (2:4–6). Yet in the prosperity of their promised land they had forgotten their own story; they were relying on themselves and on gods of their own making (VV. 7–8), even to the point of going back to Egypt looking for help (42:14).

So God, through Jeremiah, lovingly urged the forgetful children of Israel, and He urges us, to hope and trust in the Lord and to be like the tree—not the bush. - MART DEHAAN

Today's Reading

Jeremiah 17:5–10
They will be like a tree planted by the water.
Jeremiah 17:8

Father, in so many ways You have taught us that You alone can be trusted—even when it seems like You are nowhere to be seen. Please help us to recall today what You have already shown us along the way.

Let’s remember in good times what we have learned in days of trouble.

오늘의 말씀

02/19/2017     주일

성경읽기: 레 25; 막 1:23-45
찬송가: 305(통 405)

피냐타보다 좋은

멕시코 사람들의 파티에서 피냐타 없는 파티는 생각할 수도 없습니다. 피냐타는 사탕이나 과자가 가득 들어 있는 찰흙이나 종이로 된 통입니다. 아이들은 그 속에 든 것을 먹으려고 막대기로 그 통을 쳐서 깨뜨립니다.

수도사들은 16세기에 피냐타를 사용하여 멕시코 토착민들에게 교훈을 가르쳤습니다. 7개의 뾰족한 끝을 가진 별 모양의 피냐타는 죽음에 이르는 7개의 죄를 상징했습니다 . 피냐타를 두드리는 행위는 악에 대항하는 투쟁을 보여주는 것이었고, 그 안에 있는 과자가 땅으로 떨어지면 사람들은 그것을 가지고 집으로 가면서 믿음을 지킨 보상을 받는다고 기억했습니다.

그러나 우리 힘으로는 악과 싸울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노력을 기다리시지 않고 그분의 자비를 보여주십니다. 에베소서는 이렇게 가르쳐줍니다.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하나님의 선물이라”(2:8). 우리는 죄를 이기지 못하지만, 예수님께서 죄를 이기셨습니다.

아이들은 피냐타로부터 사탕을 얻기 위해 애를 쓰지만, 하나님의 선물은 우리가 예수님을 믿을 때 우리 모두에게 주어집니다. 하나님은 “모든 신령한 복을 우리에게 주셨습니다”(1:3). 우리는 죄의 용서, 속량, 양자됨, 새로운 삶, 기쁨, 사랑, 그리고 그 외에도 많은 것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신령한 복들은 우리가 강하거나 믿음을 지켰기 때문에 얻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예수님을 믿기 때문에 얻는 것입니다. 신령한 복들은 오직 은혜를 통해서, 우리가 받을 자격이 없는 은혜를 통해서만 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10
너희는 은혜로 구원을 받은 것이라
에베소서 2:5

주님, 그 위대하고 값없이 주시는 주님의 자비에 감사를 드립니다.

은혜로 구원 받은 우리는 지금 그 은혜로부터 오는 많은 축복들을 즐기고 있다.

Daily Article

02/19/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5 and MARK 1:23–45
Hymn: 305(old 405)

Better Than a Piñata

There cannot be a Mexican party without a piñata—a carton or clay container filled with candies and treats. Children strike it with a stick and try to break it, hoping to enjoy its contents.

Monks used the piñatas in the sixteenth century to teach lessons to the indigenous people of Mexico. Piñatas were stars with seven points that represented the seven deadly sins. Beating the piñata showed the struggle against evil, and once the treats inside fell to the ground, people could take them home in remembrance of the rewards of keeping the faith.

But we cannot fight evil on our own. God is not waiting for our efforts so that He will show His mercy. Ephesians teaches that “by grace you have been saved through faith, . . . it is the gift of God” (2:8). We don’t beat sin; Christ has done that.

Children fight for the candies from the piñata, but God’s gifts come to all of us when we believe in Jesus. God “has blessed us . . . with every spiritual blessing” (1:3). We have forgiveness of sins, redemption, adoption, new life, joy, love, and much more. We don’t get these spiritual blessings because we have kept the faith and are strong; we get them because we believe in Jesus. Spiritual blessings come only through grace— undeserved grace! - KEILA OCHOA

Today's Reading

Ephesians 2:1–10
By grace you have been saved.
Ephesians 2:5

Thank You for Your mercy, Lord, which is great and free!

We have been saved by grace. Now we enjoy the many blessings that come by grace.

오늘의 말씀

02/18/2017     토요일

성경읽기: 레 23-24; 막 1:1-22
찬송가: 286(통 218)

등대

르완다에 있는 “등대”라고 부르는 사역센터는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속량을 상징합니다. 그 등대는 1994년 인종학살 기간 동안 그 나라 대통령 소유의 호화 저택이 있었던 곳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건물은 기독교인들에 의해서 빛과 희망의 표지로 세워졌습니다. 그곳에는 지역사회를 위한 호텔, 식당,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들과 함께, 새로운 세대의 기독교 지도자들을 양성하기 위한 성경학교도 있습니다. 잿더미 속에서 새로운 삶이 시작된 것입니다. ‘등대’를 건설한 사람들은 예수님을 그들의 희망과 속량의 근원으로 바라봅니다.

예수님은 안식일에 나사렛에 있는 회당에 가서 이사야의 글을 읽으시며, 자신이 주의 은혜를 선포하는 기름 부음 받은 자임을 나타내셨습니다(누가복음 4:14-21 참조). 주님은 상한 심령을 감싸시며 속량과 용서를 주시기 위해 오신 분이셨습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잿더미에서 시작되는 아름다움을 볼 수 있습니다(이사야 61:3).

우리는 부족 간의 싸움으로 인해 50만 명 이상의 희생을 가져온, 도저히 이해할 수 없고 고통스럽고 또 그것에 관하여 어떤 말을 하기도 어려운 르완다 인종학살의 잔혹함을 봅니다. 하지만 우리는 주님이 이 지구상이나 천국에서 그 잔혹함을 다시 회복시켜주실 수 있음을 압니다. 슬픔 대신 기쁨의 기름을 부어주시는 주님은 가장 어두운 상황 한가운데서도 우리에게 희망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1:1-6
[주께서] 슬퍼하는 자에게 화관을 주어 그 재를 대신하며 기쁨의 기름으로 그 슬픔을 대신하며
이사야 61:3

주 예수님, 어떤 사람들이 고통과 고난을 겪고 있다는 것을 들을 때 우리의 마음이 아픕니다. 그들에게 자비를 베풀어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예수님은 가장 어두운 상황 속에서 희망을 주시기 위해 오셨다.

Daily Article

02/18/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3–24 and MARK 1:1–22
Hymn: 286(old 218)

The Lighthouse

By its very existence, a ministry center in Rwanda called the “Lighthouse” symbolizes redemption. It sits on land where during the genocide in 1994 the country’s president owned a grand home. This new structure, however, has been erected by Christians as a beacon of light and hope. Housed there is a Bible institute to raise up a new generation of Christian leaders, along with a hotel, restaurant, and other
services for the community. Out of the ashes has come new life. Those who built the Lighthouse look to Jesus as their source of hope and redemption.

When Jesus went to the synagogue in Nazareth on the Sabbath, He read from the book of Isaiah and announced that He was the Anointed One to proclaim the Lord’s favor (SEE LUKE 4:14–21). He was the One who came to bind up the brokenhearted and offer redemption and forgiveness. In Jesus we see beauty coming from the ashes (ISA. 61:3).

We find the atrocities of the Rwandan genocide, when intertribal fighting cost more than a half-million lives, mindboggling and harrowing, and we hardly know what to say about them. And yet we know that the Lord can redeem the atrocities—either here on earth or in heaven. He who bestows the oil of joy instead of mourning gives us hope even in the midst of the darkest of situation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Isaiah 61:1–6
[The Lord bestows] on them a crown of beauty instead of ashes, the oil of joy instead of mourning.
Isaiah 61:3

Lord Jesus Christ, our hearts hurt when we hear about the pain and suffering that some endure. Have mercy, we pray.

Jesus came to bring us hope in the darkest of circumstances.

오늘의 말씀

02/17/2017     금요일

성경읽기: 레 21-22; 마 28
찬송가: 384(통 434)

내일을 보기

나는 구름 한 점 없는 파란 하늘을 바라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하늘은 우리의 즐거움을 위해 주신, 위대한 창조주의 걸작의 아름다운 한 부분입니다. 얼마나 많은 비행기 조종사들이 그 광경을 사랑하는지 상상해보십시오. 그들은 비행을 위한 완벽한 하늘을 묘사하기 위해 몇 가지 항공용어들을 사용하는데, 그 중에 내가 좋아하는 것은 “내일을 볼 수 있음.” 입니다.

“내일을 보는 것”은 우리의 시각으로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럼에도 때때로 우리는 삶이 오늘 우리에게 던져주는 것을 알려 하거나 이해하려고 애를 쓰기 까지 합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너희 생명이 무엇이냐 너희는 잠깐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야고보서 4:14).

그러나 우리의 제한된 시각이 절망의 원인이 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우리의 모든 내일들을 완벽하게 보실 뿐 아니라 앞으로 우리가 도전들에 직면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을 아시는 하나님을 우리가 신뢰하기 때문입니다. 바울 사도는 이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희망의 말씀들로 우리를 격려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믿음으로 행하고 보는 것으로 행하지 아니함이로라” (고린도후서 5:7).

우리가 오늘 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내일들을 위해서도 하나님을 신뢰할 때, 우리의 삶에 주어지는 그 어떤 것도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와 동행하시고 우리 앞에 무엇이 있는지를 아십니다. 하나님은 그것을 처리하시기에 충분히 강하시고 지혜로우십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1-9
우리가 믿음으로 행하고 보는 것으로 행하지 아니함이로라
고린도후서 5:7

주님, 주님은 친절하시고 선하시고 사랑이시고 지혜로우시고 강하시므로 오늘과 내일을 위해 주님을 신뢰할 수 있음을 압니다. 제가 걱정하지 않도록 가르쳐주소서.

하나님은 처음부터 끝까지 보고 계신다.

Daily Article

02/17/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1–22 and MATTHEW 28
Hymn: 384(old 434)

Seeing to Tomorrow

I enjoy gazing up at a cloudless blue sky. The sky is a beautiful part of our great Creator’s masterpiece, given for us to enjoy. Imagine how much pilots must love the view. They use several aeronautical terms to describe a perfect sky for flying, but my favorite is, “You can see to tomorrow.”

“Seeing to tomorrow” is beyond our view. Sometimes we even struggle to see or understand what life is throwing at us today. The Bible tells us, “Why, you do not even know what will happen tomorrow. What is your life? You are a mist that appears for a little while and then vanishes” (JAMES 4:14).

But our limited visibility is not cause for despair. Just the opposite. We trust in the God who sees all of our tomorrows perfectly—and who knows what we need as we face the challenges ahead. The apostle Paul knew this. That’s why Paul encourages us with hopeful words, “We live by faith, not by sight” (2 COR. 5:7).

When we trust God with our day as well as our unseen tomorrows, we don’t need to worry about anything life throws at us. We walk with Him and He knows what is ahead; He is strong enough and wise enough to handle it.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5:1–9
We live by faith, not by sight.
2 Corinthians 5:7

Lord, I know I can trust You for today and tomorrow because You are kind, good, loving, wise, and powerful. Teach me not to worry.

God sees the beginning to the end.

오늘의 말씀

02/16/2017     목요일

성경읽기: 레 19-20; 마 27:51-66
찬송가: 426(통 215)

폐품 처리장의 천재

노아 퓨리포이는 1965년도에 로스앤젤레스 와츠 지역에서 일어났던 폭동으로 인해 생긴 3톤의 쓰레기더미를 가지고 “조립” 예술가로서의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부서진 자전거 바퀴와 볼링공부터 버려진 타이어와 망가진 TV와 같은 쓸 수 없는 물건들을 가지고 그와 그의 동료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버려지는 소모품”처럼 다뤄지고 있다는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조각품들을 만들었습니다. 한 저널리스트는 퓨리포이씨를 “폐품 처리장의 천재”라고 불렀습니다.

예수님이 살던 시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병이나 신체적인 문제를 가진 이들을 하나님께 형벌을 받은 죄인들로 여겨서 그들을 외면하고 무시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과 제자들이 날 때부터 맹인인 자를 만났을 때, 예수님은 그의 맹인된 것이 그의 죄의 결과가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을 보게 될 기회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세상에 있는 동안에는 세상의 빛이로라”(요한복음 9:5). 그 맹인이 예수님의말씀을 따랐을 때 그는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종교지도자들이 그 사람에게 물었을 때, 그는 단순히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한 가지 아는 것은 내가 맹인으로 있다가 지금 보는 그것이니이다”(25절).

예수님은 지금도 여전히 세상의 가장 위대한 “폐품 처리장의 천재” 이십니다. 우리는 모두 다 죄로 의해 훼손되었지만, 주님은 우리의 망가진 삶을 취하셔서 그분의 새로운 피조물로 빚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9:1-11
한 가지 아는 것은 내가 맹인으로 있다가 지금 보는 그것이니이다
요한복음 9:25

주님, 오늘 주님의 놀라운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예수님은 우리 삶의 회복자이시다.

Daily Article

02/16/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9–20 and MATTHEW 27:51–66
Hymn: 426(old 215)

The Junkyard Genius

Noah Purifoy began his work as an “assemblage” artist with three tons of rubble salvaged from the 1965 riots in the Watts area of Los Angeles. From broken bicycle wheels and bowling balls to discarded tires and damaged TV sets—things no longer usable—he and a colleague created sculptures that conveyed a powerful message about people being treated as “throw-aways” in modern society. One journalist referred to Mr. Purifoy as “the junkyard genius.”

In Jesus’s time, many people considered those with diseases and physical problems as sinners being punished by God. They were shunned and ignored. But when Jesus and His disciples encountered a man born blind, the Lord said his condition was not the result of sin, but an occasion to see the power of God. “While I am in the world, I am the light of the world” (JOHN 9:5). When the blind man followed Jesus’s instructions, he was able to see.

When the religious authorities questioned the man, he replied simply, “One thing I do know. I was blind but now I see!” (V. 25).

Jesus is still the greatest “junkyard genius” in our world. We are all damaged by sin, but He takes our broken lives and shapes us into His new creations.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John 9:1–11
One thing I do know. I was blind but now I see!
John 9:25

Lord, I thank You today for Your amazing grace!

Jesus is the restorer of life.

오늘의 말씀

02/15/2017     수요일

성경읽기: 레 17-18; 마 27:27-50
찬송가: 260(통 194)

작은 거짓말과 새끼고양이

엄마는 4살짜리 꼬마 엘리아스가 갓 태어난 새끼고양이들에게서 당황해서 달아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녀는 그에게 고양이를 만지지 말라고 일러두었었습니다. “엘리아스, 고양이를 만졌니?” 엄마가 물었습니다.

“아니!” 그는 진지하게 말했습니다. 그래서 엄마는 다른 질문을 던졌습니다. “고양이들이 부드러웠니?”

“응, 그런데 검은 놈이 야옹거렸어.” 그는 자발적으로 대답했습니다.

어린아이들이 이같이 거짓말을 할 때 우리는 미소 짓습니다. 하지만 엘리아스의 불순종은 우리 사람의 상태를 뚜렷이 보여줍니다. 어느 누구도 4살짜리 아이에게 거짓말을 가르칠 필요가 없습니다 . 다윗은 그의 정평 있는 고백에서 “내가 죄악 중에서 출생하였음이여 어머니가 죄 중에서 나를 잉태하였나이다”(시편 51:5)라고 기록하였습니다. 바울 사도도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로마서 5:12). 이 우울한 소식은 왕과 4살짜리 꼬마, 그리고 당신과 나에게 모두 똑같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희망은 충분합니다! “율법이 들어온 것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 그러나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로마서 5:20) 라고 바울은 쓰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책망하시기 위해서 우리가 잘못하기를 기다리시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은혜와 용서와 회복의 일을 하고 계십니다. 우리는 오직 우리의 죄는 귀엽지도 않고 변명의 여지도 없으며, 회개와
믿음 안에서 하나님께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5:12-21
죄가 사망 안에서 왕 노릇 한 것 같이 은혜도 또한 의로 말미암아 왕 노릇 하여
로마서 5:21

하나님 아버지, 죄인인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주소서.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로마서 8:1

Daily Article

02/15/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7–18 and MATTHEW 27:27–50
Hymn: 260(old 194)

Little Lies and Kittens

Mom noticed four-year-old Elias as he scurried away from the newborn kittens. She had told him not to touch them. “Did you touch the kitties, Elias?” she asked.

“No!” he said earnestly. So Mom had another question: “Were they soft?”

“Yes,” he volunteered, “and the black one mewed.”

With a toddler, we smile at such duplicity. But Elias’s disobedience underscores our human condition. No one has to teach a four-year-old to lie. “For I was born a sinner,” wrote David in his classic confession, “yes, from the moment my mother conceived me” (PS. 51:5 NLT). The apostle Paul said: “When Adam sinned, sin entered the world. Adam’s sin brought death, so death spread to everyone, for everyone sinned” (ROM. 5:12 NLT). That depressing news applies equally to kings, four-year-olds, and you and me.

But there’s plenty of hope! “God’s law was given so that all people could see how sinful they were,” wrote Paul. “But as people sinned more and more, God’s wonderful grace became more abundant” (ROM. 5:20 NLT).

God is not waiting for us to blow it so He can pounce on us. He is in the business of grace, forgiveness, and restoration. We need only recognize that our sin is neither cute nor excusable and come to Him in faith and repentanc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Romans 5:12–21
Just as sin ruled over all people and brought them to death, now God's wonderful grace rules instead.
Romans 5:21 NLT

Father, be merciful to me, a sinner.

There is now no condemnation for those who are in Christ Jesus.
ROMANS 8:1

오늘의 말씀

02/14/2017     화요일

성경읽기: 레 15-16; 마 27:1-26
찬송가: 304(통 404)

드러난 사랑

“사랑해요.”라는 분홍색 표지가 신비롭게 연속적으로 온타리오의 웰랜드 마을에 나타나자, 그 지역의 기자 메리앤 퍼스는 그것을 조사해보기로 결심했습니다. 하지만 그녀의 조사는 아무 소득이 없었습니다. 몇 주 후에 날짜와 시간과 함께 그 지역의 한 공원 이름이 쓰인 새로운 표지들이 나타났습니다.

퍼스는 궁금증이 생긴 마을 사람들과 함께 정해진 시간에 공원으로 갔습니다. 거기서 그녀는 자신의 얼굴을 교묘하게 가린 양복을 입은 한 남자를 만났습니다. 그가 그녀에게 꽃다발을 주고 청혼을 했을 때 그녀가 얼마나 놀랐을지 상상해보십시오! 그 신비의 남자는 그녀의 애인인 라이언 세인트 데니스였습니다. 그녀는 기쁘게 그 청혼을 받아들였습니다.

세인트 데니스의 약혼녀에 대한 사랑의 표현이 조금 지나친 것 같긴 하지만,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 표현도 과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큽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저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라”(요한1서 4:9).

예수님은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에게 전해지는 장미꽃같이 단순한 사랑의 징표가 아닙니다. 주님은 자신의 생명을 기꺼이 내어주셔서, 구원을 위해 주님을 믿는 누구든지 하나님과의 영원한 언약의 관계를 가질 수 있게 해주시는 신성한 인성을 지닌 분이십니다. 그 어느 것도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로마서 8:39) 그리스도인을 떼어놓을 수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4:9-16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저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라
요한1서 4:9

사랑하는 하나님, 가장 위대한 방법으로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향한 나의 사랑을 보여드릴 수 있도록 내 삶을 도와주소서.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그의 아들을 보내주셨기 때문에 하나님이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안다.

Daily Article

02/14/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5–16 and MATTHEW 27:1–26
Hymn: 304(old 404)

Love Revealed

When a series of pink “I love you” signs mysteriously appeared in the town of Welland, Ontario, local reporter Maryanne Firth decided to investigate. Her sleuthing turned up nothing. Weeks later, new signs appeared featuring the name of a local park along with a date and time.

Accompanied by a crowd of curious townspeople, Firth went to the park at the appointed time. There, she met a man wearing a suit who had cleverly concealed his face. Imagine her surprise when he handed her a bouquet and proposed marriage! The mystery man was Ryan St. Denis her boyfriend. She happily accepted.

St. Denis’s expression of love toward his fiancée may seem a bit over-the-top, but God’s expression of love for us is nothing short of extravagant! “This is how God showed his love among us: He sent his one and only Son into the world that we might live through him” (1 JOHN 4:9).

Jesus is not merely a token of love, like a rose passed from one person to another. He is the divine human who willingly gave up His life so that anyone who believes in Him for salvation can have an everlasting covenant relationship with God. Nothing can separate a Christian “from the love of God that is in Christ Jesus our Lord” (ROM. 8:39).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1 John 4:9–16
This is how God showed his love among us: He sent his one and only Son into the world that we might live through him.
1 John 4:9

Dear God, thank You for showing me, in the greatest way possible, that You love me. Help my life to demonstrate my love for You.

We know how much God loves us because He sent His Son to save u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