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05/2017     주일

성경읽기: 민 34-36; 막 9:30-50
찬송가: 221(통 525)

환영의 선물

다섯 나라에서 온 가족들과 함께 기억에 남을 만한 저녁 식사를 했습니다. 그날의 대화는 여럿으로 나뉘지 않고, 모두가 다른 출신 지역의 관점에서 런던에서 사는 것에 대한 이야기만 나누었습니다. 그날 밤 남편과 나는 저녁 초대를 통해 새롭게 우정을 다지고 또 다른 문화를 배우면서 경험하게 된 따뜻한 마음 등, 우리가 베푼 것보다 훨씬 많은 것을 받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히브리서의 저자는 공동체 생활에 관한 몇 가지 권고로 글을 마치는데, 거기엔 낯선 사람을 언제나 환영해야 한다는 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할 때에 “어떤 이들은 자기들도 모르는 사이에 천사들을 대접”(13:2) 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는 아마도 창세기 18:1-12에서 보는 것처럼 구약시대의 관습을 따라 세 명의 낯선 이들을 친절히 맞아 음식을 대접했던 아브라함과 사라를 언급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대접하고 있는 이들이 축복의 메시지를 들고 온 천사들인 줄 알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사람들로부터 무언가를 바라는 마음에 집으로 초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종종 우리가 베푼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얻을 때가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환영하는 마음으로 사람들을 대함으로써 하나님께서 우리를 통해 그분의 사랑이 널리 퍼지게 해주시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3:1-2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
히브리서 13:2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의 원천이 되시는 주 하나님, 저희가 받는 것을 나눔으로써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실 수 있게 하소서.

우리가 대접할 때 하나님의 선하심과 그분의 선물을 나누게 된다.

Daily Article

03/05/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4–36 and MARK 9:30–50
Hymn: 221(old 525)

The Gift of Welcome

The dinner where we hosted families from five nations remains a wonderful memory. Somehow the conversation didn’t splinter into twos, but we all contributed to a discussion of life in London from the viewpoints of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t the end of the evening, my husband and I reflected that we had received more than we gave, including the warm feelings we experienced in fostering new friendships and learning about different cultures.

The writer of the book of Hebrews concluded his thoughts with some exhortations for community life, including that his readers should continue to welcome strangers. For in doing so, “some people have shown hospitality to angels without knowing it” (13:2). He may have been referring to Abraham and Sarah, who as we see in Genesis 18:1–12 welcomed three strangers, reaching out to them with generosity and treating them to a feast, as was the custom in biblical times. They didn’t know that they were entertaining angels who brought them a message of blessing.

We don’t ask people into our homes in the hope of gaining from them, but often we receive more than we give. May the Lord spread His love through us as we reach out with His
welcome.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Hebrews 13:1–2
Do not forget to show hospitality to strangers.
Hebrews 13:2

Lord God, You are the source of all that we have. May we share what we receive, that You may be glorified.

When we practice hospitality, we share God’s goodness and gifts.

오늘의 말씀

03/04/2017     토요일

성경읽기: 민 31-33; 막 9:1-29
찬송가: 369(통 487)

사랑과 오래 신은 신발

아내와 나는 가끔씩 서로의 말을 끝내 줍니다. 결혼하여 30년 넘게 함께 살면서 서로가 생각하고 말하는 것에 대해 아주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우리는 말을 끝까지 다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말 한마디, 표정 하나로도 의사소통이 충분합니다.

여기에는 꼭 맞아서 오래도록 즐겨 신은 신발과 같은 편안함이 있습니다. 때때로 우리는 실제로 서로를 ‘나의 오래 신은 신발’이라고 다정하게 부르기도 합니다. 이런 칭찬의 표현이 우리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수도 있겠지요! 오랜 세월 같이 사는 동안 수십 년간 사랑과 신뢰의 결과로 생긴 표현방법들로 서로만이 통하는 언어가 만들어진 것입니다.

하나님이 아주 친밀하게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알면 큰 위로가 됩니다. 다윗은 “여호와여 내 혀의 말을 알지 못하시는 것이 하나도 없으시니이다”(시편 139:4)라고 기록했습니다. 당신이 마음 깊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예수님과 조용하게 나눈다고 상상해보십시오. 힘들게 겨우 말을 꺼내려고 할 때, 예수님은 모든 것을 아신다는 듯 미소로 당신이 제대로 할 수 없었던 말들을 대신 정확히 표현해주실 것입니다. 하나님과 대화할 때 완벽하게 말하지 못해도 괜찮다고 하니 얼마나 다행인지요!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시고 너무나 잘 아셔서 충분히 이해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12
여호와여 내 혀의 말을 알지 못하시는 것이 하나도 없으시니이다
시편 139:4

주님, 주님은 저에 대한 모든 것을 아시며 저를 사랑하십니다. 저를 완전히 이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주님을 사랑하고 주님을 따르며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은 우리의 말을 지나 우리의 마음까지 보신다.

Daily Article

03/04/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1–33 and MARK 9:1–29
Hymn: 369(old 487)

Of Love and Old Shoes

Sometimes my wife and I finish each other’s sentences. In over thirty years of marriage we’ve become increasingly familiar with the way the other thinks and speaks. We may not even have to finish a sentence at all; just a word or a glance is enough to express a thought.

There’s comfort in that like an old pair of shoes you continue to wear because they fit so well. Sometimes we even refer to each other affectionately as “my old shoe”—a compliment that might be difficult to understand if you didn’t know us well! Through the years our relationship has developed a language of its own, with expressions that are the result of decades of love and trust.

It’s comforting to know that God loves us with a deep familiarity. David wrote, “Before a word is on my tongue you, Lord, know it completely” (PS. 139:4). Imagine having a quiet conversation with Jesus where you’re telling Him the deepest matters of your heart. Just when you’re struggling to get the words out, He gives you a knowing smile and expresses exactly what you couldn’t quite say. How good it is to know that we don’t have to get our words just right to talk to God! He loves us and knows us well enough to understand. -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139:1–12
Before a word is on my tongue you, LORD, know it completely.
Psalm 139:4

You know all about me, Lord, and You love me. Thank You for understanding me completely! Please help me to love You and follow You today.

God looks past our words to our hearts.

오늘의 말씀

03/03/2017     금요일

성경읽기: 민 28-30; 막 8:22-38
찬송가: 397(통 454)

두 개의 초상화

한 할머니가 교회 현관 앞에서 두 개의 사진액자를 손에 들고 친구들에게 자랑스럽게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그녀의 딸이 고국 부룬디에서 찍은 것이었고, 두 번째 사진은 최근에 그 딸에게서 태어난 손자의 사진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딸은 갓 태어난 아기의 사진에 없었습니다. 딸은 아기를 낳다가 죽은 것입니다.

한 친구가 다가와 그 사진들을 바라 보다가 반사적으로 손을 들어 그 할머니의 얼굴을 감쌌습니다. 그 친구는 눈물을 글썽이며 “말 안 해도 알아.”라는 말밖에 해줄 수가 없었습니다.

그 친구는 정말로 알고 있었습니다. 두달 전 자기 아들을 땅에 묻은 엄마였으니까요.

우리가 겪는 고통을 똑같이 경험했던 사람들이 우리에게 주는 위로에는 특별한 것이 있습니다. 그들은 알기 때문입니다. 체포되기 직전에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너희는 곡하고 애통하겠으나 세상은 기뻐하리라”라고 경고하셨습니다. 그러나 바로 이어서, “너희는 근심하겠으나 너희 근심이 도리어 기쁨이 되리라”(요한복음 16:20)고 그들을 위로하셨습니다. 몇 시간만 지나면 제자들은 예수님이 체포되어 십자가형을 받는 것을 보고 절망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부활하신 예수님을 다시 보았을 때, 그들의 처절했던 슬픔은 상상할 수 없었던 기쁨으로 바뀌었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메시아에 대해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다”(이사야 53:4)고 예언하였습니다. 우리 구주는 우리의 고통을 그냥 알고만 계시지 않고, 그 고통을 직접 체험하셨습니다. 주님은 아시고 돌보아주십니다. 때가 되면 우리의 슬픔은 기쁨으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19-24
지금은 너희가 근심하 나 내가 다시 너희를 보리니 너희 마음이 기쁠 것이요 너희 기쁨을 빼앗을 자가 없으리라
요한복음 16:22

주님, 우리를 위해 십자가를 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는 이 세상의 문제들을 잘 알고 있지만, 주님은 이 세상을 이기셨고 우리를 위해 우리의 죄와 고통을 감당하셨습니다. 우리의 슬픔이 기쁨으로 변하고 주님을 얼굴과 얼굴로 대하며 보게 될 그날을 고대합니다.

우리의 걱정을 주님 손에 맡기면, 주님은 그분의 평안을 우리 마음속에 주신다.

Daily Article

03/03/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8–30 and MARK 8:22–38
Hymn: 397(old 454)

Two Portraits

Clutching two framed photographs, the proud grandmother showed them to friends in the church foyer. The first picture was of her daughter back in her homeland of Burundi. The second was of her grandson, born recently to that daughter. But the daughter wasn’t holding her newborn. She had died giving birth to him.

A friend approached and looked at the pictures. Reflexively, she reached up and held that dear grandmother’s face in her hands. All she could say through her own tears was, “I know. I know.”

And she did know. Two months earlier she had buried a son.

There’s something special about the comfort of others who have experienced our pain. They know. Just before Jesus’s arrest, He warned His disciples, “You will weep and mourn while the world rejoices.” But in the next breath He comforted them: “You will grieve, but your grief will turn to joy” (JOHN 16:20). In mere hours, the disciples would be devastated by Jesus’s arrest and crucifixion. But their crushing grief soon turned to a joy they could not have imagined when they saw Him alive again.

Isaiah prophesied of the Messiah, “Surely he took up our pain and bore our suffering” (ISA. 53:4). We have a Savior who doesn’t merely know about our pain; He lived it. He knows. He cares. One day our grief will be turned into joy.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ohn 16:19–24
Now is your time of grief, but I will see you again and you will rejoice, and no one will take away your joy.
John 16:22

Lord, thank You for going to the cross for us. We certainly know trouble in this world, but You overcame the world and took our sin and pain for us. We look forward to the day when our sorrows will be turned into joy and we see You face to face.

When we put our cares into His hands, He puts His peace into our hearts.

오늘의 말씀

03/02/2017     목요일

성경읽기: 민 26-27; 막 8:1-21
찬송가: 407(통 465)

우리와 같은 사람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았던 연재만화 ‘피너츠’의 작가 찰스 슐츠 (1922-2000)의 추모식에서 그의 친구이자 동료 만화가인 캐시 구스와이트는 그가 보여준 인성과 연민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 모두의 감정을 아주 잘 아는 만화 등장인물들을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보여주어 우리가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이 들게 해주었습니다. 거기에다 만화가인 자신도 함께 내어줌으로써 우리가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해주었습니다...... 그는 우리를 격려해주고, 우리 마음을 위로해주었으며, 우리가 그도 우리와 똑같다고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우리를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느껴질 때, 예수님은 그분이 자신을 우리에게 내어주시고, 우리가 누구 이며 지금 어떤 상황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알고 계신 분이라는 것을 상기시켜 주십니다.

히브리서 2:9-18은 예수님이 그분의 공생애 기간 동안 우리와 완전히 인성이 같으셨다는 놀라운 사실을 보여줍니다(14절). 주님은 “모든 사람을 위하여 죽음을 맛보시고”(9절), 마귀의 권세를 멸하시며 (14절), “죽기를 무서워하므로 한평생 매여 종노릇하는 모든 자들을 놓아주셨습니다”(15절). 예수님은 범사에 우리처럼 되셨는데, “이는 하나님의 일에 자비하고 충성된 대제사장이 되어 백성의 죄를 속량하시기”(17절) 위해서였습니다. ‘주님, 주님께서 우리와 인성을 같이 해주심으로 우리가 오늘 주님의 도우심을 알고 영원히 주님의 임재 안에서 살 수 있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2:9-18
그가 시험을 받아 고난을 당하셨은즉 시험 받는 자들을 능히 도우실 수 있느니라
히브리서 2:18

당신에게 어떤 근심과 두려움이 있습니까? 그 두려움에 어떻게 대처해야 합니까?(베드로전서 5:6-7). 주님께서 당신에게 어떻게 해주시겠다고 약속하십니까?(히브리서 13:5).

예수님처럼 이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Daily Article

03/02/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6–27 and MARK 8:1–21
Hymn: 407(old 465)

One of Us

At the memorial service for Charles Schulz (1922–2000), creator of the beloved Peanuts comic strip, friend and fellow cartoonist Cathy Guisewite spoke of his humanity and compassion. “He gave everyone in the world characters who knew exactly how all of us felt, who made us feel we were never alone. And then he gave the cartoonist himself, and he made us feel that we were never alone. . . . He encouraged us. He commiserated with us. He made us feel he was exactly like us.”

When we feel that no one understands or can help us, we are reminded that Jesus gave us Himself, and He knows exactly who we are and what we are facing today.

Hebrews 2:9–18 presents the remarkable truth that Jesus fully shared our humanity during His life on earth (V. 14). He “taste[d] death for everyone” (V. 9), broke the power of Satan (V. 14), and freed “those who all their lives were held in slavery by their fear of death” (V. 15). Jesus was made like us, “fully human in every way, in order that he might become a merciful and faithful high priest in service to God” (V. 17). Thank You, Lord, for sharing our humanity so that we might know Your help today and live in Your presence forever.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Hebrews 2:9–18
Because he himself suffered when he was tempted, he is able to help those who are being tempted.
Hebrews 2:18

What fears and concerns do you have? What should you do with those fears? (1 PETER 5:6–7). What does the Lord promise to do for you? (HEB. 13:5).

No one understands like Jesus.

오늘의 말씀

03/01/2017     수요일

성경읽기: 민 23-25; 막 7:14-37
찬송가: 149(통 147)

나의 전부

젊은 시절 아이작 와츠는 그의 교회에서 부르는 음악들이 애석하게도 무언가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러자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좀 더 나은 음악을 한번 만들어보라고 권했습니다. 그가 지은 찬송가 “주 달려 죽은 십자가”는 영어로 된 최고의 찬송가라고 일컬어졌고, 많은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습니다.

와츠의 경건한 3절 가사는 우리를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께로 안내해줍니다.

못 박힌 손발 보오니
큰 자비 나타내셨네
가시로 만든 면류관
우리를 위해 쓰셨네

와츠가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는 이 십자가 사건은 역사상 가장 참혹한 순간으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도 잠시 십자가 곁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서 있어 봅시다. 하나님의 아들이 그의 몸을 꿰뚫은 거친 못에 달려 힘겹게 숨 쉬고 있습니다. 처절한 고통의 몇 시간이 지난 후, 알 수 없는 짙은 어둠이 세상에 드리우고, 마침내 우주를 주관하시는 하나님께서 자비롭게 그분의 고통스러운 영혼을 거두어가십니다. 그 순간 지진으로 땅이 흔들리고, 예루살렘에 있는 성전의 두꺼운 휘장이 반으로 찢어집니다. 무덤이 열리고 죽었던 몸들이 부활하여 그 성을 걸어 다닙니다(마태복음 27:51-53).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백부장은 이런 일들을 보고 “이는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54절)라고 고백하게 됩니다.

미국 시인협회는 와츠의 시를 평가하면서, “십자가는 모든 가치에 새로운 질서를 부여하고, 모든 헛된 것들을 물리친다.”라고 말합니다. 이 찬송가는 이렇게 끝을 맺습니다. “놀라운 사랑 받은 나, 몸으로 제물 삼겠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7:45-54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로마서 12:1

.

십자가를 통해 우리에게 모든 것을 주신 그분께 우리의 가진 모든 것을 드리는 것은 우리의 특권이다.

Daily Article

03/01/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3–25 and MARK 7:14–37
Hymn: 149(old 147)

All of Me

Young Isaac Watts found the music in his church sadly lacking, and his father challenged him to create something better. Isaac did. His hymn “When I Survey the Wondrous Cross” has been called the greatest in the English language and has been translated into many other languages.

Watts’s worshipful third verse ushers us into the presence of Christ at the crucifixion.

See from His head, His hands, His feet,
Sorrow and love flow mingled down.
Did e’er such love and sorrow meet
Or thorns compose so rich a crown?

The crucifixion Watts describes so elegantly stands as history’s most awful moment. We do well to pause and stand with those around the cross. The Son of God strains for breath, held by crude spikes driven through His flesh. After tortured hours, a supernatural darkness descends. Finally, mercifully, the Lord of the universe dismisses His anguished spirit. An earthquake rattles the landscape. Back in the city the thick temple curtain rips in half. Graves open, and dead bodies resurrect, walking about the city (MATT. 27:51–53). These events compel the centurion who crucified Jesus to say, “Surely he was the Son of God!” (V. 54).

“The Cross reorders all values and cancels all vanities,” says the Poetry Foundation in commenting on Watts’s poem. The song could only conclude: “Love so amazing, so divine demands my soul, my life, my all.”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tthew 27:45–54
Offer your bodies as a living sacrifice, holy and pleasing to God - this is your true and proper worship.
Romans 12:1

.

It is our privilege to give everything we have to the One who gave us everything on the cross.

오늘의 말씀

02/28/2017     화요일

성경읽기: 민 20-22; 막 7:1-13
찬송가: 298(통 35)

어둠 속에서의 웃음

워싱턴포스트지에 “과학기술 거인들의 최신 프로젝트: 죽음에의 도전”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그것은 차 아리아나라는 기자가 피터 틸레와 몇몇의 과학기술 거물들의 인간의 수명을 무한정 늘리려는 노력에 관해 쓴 것입니다. 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이미 수십억 불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계획은 조금 늦었습니다. 죽음은 이미 패배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요한복음
11:25-26)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주님을 믿는 자는 결코, 절대, 어떤 상황에서도 죽지 않는다고 확신시켜 줍니다.

우리의 몸은 분명히 죽습니다. 그 사실을 바꾸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나를, 나 스스로가, 내가”라고 부르는, 우리의 생각하고 추론하고 기억하고 사랑하고 모험하는 부분들은 결코, 절대 죽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좋은 것은, 그것이 선물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오직 예수님이 주시는 구원을 받아들이기만 하면 됩니다. 씨 에스 루이스는 그것을 깊이 생각하며, 그것은 단순한 것이 해답이라는 의미로 “어둠 속에서의 웃음”과 같은 것이라고 묘사합니다.

어떤 이들은 “그건 너무 쉽잖아요.”라고 말합니다. 글쎄요, 만일 하나님이 당신이 태어나기도 전부터 당신을 사랑하고 그분과 함께 영원히 살기를 원하신다면, 왜 하나님이 그것을 어렵게 만드시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17-27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요한복음 3:16

사랑하는 예수님, 내 죄를 대신해 죽으시고 죽음에서 부활하신 것을 믿습니다. 예수님을 나의 주님과 구주로 영접하고 따르고 싶습니다. 내 죄를 용서하시고 이 순간부터 주님을 기쁘게 하는 삶을 살도록 도와주소서.

그리스도께서 어두운 죽음의 문을 빛나는 생명의 문으로 바꾸셨다.

Daily Article

02/28/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0–22 and MARK 7:1–13
Hymn: 298(old 35)

A Chuckle in the Darkness

In a Washington Post article titled “Tech Titans’ Latest Project: Defy Death,” Ariana Cha wrote about the efforts of Peter Thiele and other tech moguls to extend human life indefinitely. They're prepared to spend billions on the project.

They are a little late. Death has already been defeated! Jesus said, “I am the resurrection and the life. The one who believes in me will live, even though they die; and whoever lives by believing in me will never die” (JOHN 11:25–26). Jesus assures us that those who put their trust in Him will never, ever, under any circumstances whatever, die.

To be clear, our bodies will die—and there is nothing anyone can do to change that. But the thinking, reasoning, remembering, loving, adventuring part of us that we call “me, myself, and I” will never, ever die.

And here’s the best part: It’s a gift! All you have to do is receive the salvation Jesus offers. C. S. Lewis, musing on this notion, describes it as something like “a chuckle in the darkness”— the sense that something that simple is the answer.

Some say, “It’s too simple.” Well, I say, if God loved you even before you were born and wants you to live with Him forever, why would He make it hard? - DAVID ROPER

Today's Reading

John 11:17–27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John 3:16

Dear Jesus, I believe You died for my sins and rose from the dead. I want to accept You as my Lord and Savior and follow You. Please forgive my sins and help me, from this moment on, to live a life that is pleasing to You.

Christ has replaced the dark door of death with the shining gate of life.

오늘의 말씀

02/27/2017     월요일

성경읽기: 민 17-19; 막 6:30-56
찬송가: 516(통 265)

안 보이게 하는 반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대략 기원전 427-348)은 사람 마음의 어두운 면에 빛을 비출 수 있는, 상상력이 풍부한 한 가지 방법을 생각해냈습니다. 그는 깊은 땅 밑에 묻혔던 금반지를 우연히 발견하게 된 한 목자의 이야기를 합니다. 어느 날 커다란 지진으로 고대 산지대의 무덤이 열리고 목자가 반지를 발견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반지는 끼는 사람이 원하면 안 보이도록 하는 마술적인 능력이 있음을 우연히 알게 됩니다. 보이지 않게 되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플라톤은 이런 질문을 제기했습니다. ‘만일 사람들이 잡히고 벌 받는 것을 걱정하지 않게 된다면, 과연 나쁜 짓을 안 하려 들까?’

요한복음에서는 예수님이 이에 대해 다르게 말씀하신 것을 봅니다. 선한 목자로 알려진 예수님은 마음이 그 하는 일을 숨기려고 어두움 아래 머물러있다고 말씀하십니다(요한복음 3:19-20). 주님은 우리를 정죄하기 위해 우리의 감추려는 열망에 관심을 두시는 것이 아니라, 주님을 통해 우리에게 구원을 주시는데 관심이 있으십니다(17절). 우리 마음의 목자로서 주님은 최악의 인간 본성을 빛으로 가져와 하나님이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보여주십니다(16절).

하나님은 그분의 자비로 우리를 어둠에서 불러내어 빛 가운데서 주님을 따르도록 초대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3:16-21
악을 행하는 자마다 빛을 미워하여
요한복음 3:20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내 삶에 주님이 빛으로 함께 하시니 감사합니다. 오늘 하는 모든 일에 주님의 진리의 빛 안에서 순종하며 살게 하소서.

그리스도의 빛이 드러날 때 죄의 어두움은 물러간다.

Daily Article

02/27/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7–19 and MARK 6:30–56
Hymn: 516(old 265)

Ring of Invisibility

The Greek philosopher Plato (c. 427–c. 348 bc) found an imaginative way of shining light on the dark side of the human heart. He told the story of a shepherd who innocently discovered a golden ring that had been hidden deep in the earth. One day a great earthquake opened up an ancient mountainside tomb and revealed the ring to the shepherd. By accident he also discovered that the ring had the magical ability to enable the wearer to become invisible at will. Thinking about invisibility, Plato raised this question: If people didn’t have to worry about being caught and punished, would they resist doing wrong?

In John’s gospel we find Jesus taking this idea in a different direction. There, Jesus, known as the Good Shepherd, speaks of hearts that stay in the cover of darkness to hide what they are doing (JOHN 3:19–20). He isn’t calling attention to our desire for cover-up to condemn us, but to offer us salvation through Him (V. 17). As the Shepherd of our hearts, He brings the worst of our human nature to light to show us how much God loves us (V. 16).

God in His mercy calls us out of our darkness and invites us to follow Him in the light. MART DEHAAN

Today's Reading

John 3:16–21
Everyone who does evil hates the light.
John 3:20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the light of Your presence in my life. May I walk obediently in the light of Your truth in all that I do this day.

Sin’s darkness retreats when Christ’s light is revealed.

오늘의 말씀

02/26/2017     주일

성경읽기: 민 15-16; 막 6:1-29
찬송가: 282(통 339)

완전한 출입권

몇 년 전에 친구가 프로골프 경기를 보러 가는데 나를 함께 초대해주었습니다. 처음으로 가보는 거라 나는 어떤 경험을 하게 될 지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그곳에 도착하여 선물과 경기에 관한 정보, 그리고 골프코스 지도를 받고 좀 놀라긴 했지만, 무엇보다 놀라웠던 것은 18번 그린 뒤의 VIP 텐트 출입권이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었습니다. 그 안에는 무료 음식이 있었고 앉아 쉴 수도 있습니다. 나 혼자서로는 후히 대접해주는 그 텐트에 들어갈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것은 오로지 내 친구 때문이었고, 그 친구를 통해서만 내가 온전히 출입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만 남겨진 채로 있었다면 우리는 절망적으로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되어버렸을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우리의 죄 값을 지시고 주님의 생명을 우리에게 주심으로 우리는 하나님께 다가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이제 교회로 말미암아......하나님의 각종 지혜를 알게 하려 하심이니”(에베소서 3:10)라고 썼습니다. 이 지혜는 우리에게 하나님 아버지께로 갈 수 있는 길을 만들어주신 그리스도 안에서 유대인과 이방인들을 하나 되게 해주었습니다. “우리가 그 안에서 그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담대함과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감을 얻느니라”(12절).

우리가 예수님을 믿으면 우리는 가장 좋은 출입증을 받습니다. 그것은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와 관계를 맺기 원하시는 하나님께 접근할 수 있는 출입증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3:7-13
우리가 그 안에서 그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담대함과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감을 얻느니라
에베소서 3:12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다는 이 사실이야말로 정말 믿기 힘든 선물입니다.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고 하나님을 개인적으로 알 수 있으며,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도록 해주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으로 인해 감사드립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의 친구가 되었다.

Daily Article

02/26/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5–16 and MARK 6:1–29
Hymn: 282(old 339)

Complete Access

A few years ago, a friend invited me to join him as a spectator at a pro golf tournament. Being a first-timer, I had no idea what to expect. When we arrived, I was surprised to receive gifts, information, and maps of the golf course. But what topped it all was that we gained access to a VIP tent behind the 18th green, where we had free food and a place to sit. I couldn’t have gained entry to the hospitality tent on my own though. The key was my friend; it was only through him that I had complete access.

Left to ourselves, we would all be hopelessly separated from God. But Jesus, who took our penalty, offers us His life and access to God. The apostle Paul wrote, “[God’s] intent was that now, through the church, the manifold wisdom of God should be made known” (EPH. 3:10). This wisdom has brought Jew and Gentile together in Christ, who has made a way for us to come to God the Father. “Through faith in [Christ] we may approach God with freedom and confidence” (V. 12).

When we put our trust in Jesus, we receive the greatest access of all—access to the God who loves us and desires relationship with u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Ephesians 3:7–13
Through faith in him we may approach God with freedom and confidence.
Ephesians 3:12

Father! Just being able to call You Father is an incredible gift. Thank You for Your Son, Jesus, who has made it possible for me to come into Your presence, to know You personally, and, yes, to call You my Father.

Because of the cross of Christ, we can become friends of God.

오늘의 말씀

02/25/2017     토요일

성경읽기: 민 12-14; 막 5:21-43
찬송가: 323(통 355)

전심을 다하여!

갈렙은 “전심을 다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갈렙과 여호수아는 약속의 땅을 정탐하고 와서 모세와 백성들에게 보고한 열두 정탐꾼 가운데 속해 있었습니다. 갈렙은 “우리가 곧 올라가서 그 땅을 취하자 능히 이기리라”(민수기 13:30)라고 말했지만, 나머지 열 명은 그들이 이기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나님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단지 장애물만 보았던 것입니다(31-33절).

그 열 사람은 백성들로 실망케 하고 하나님께 불평하도록 하여 광야에서 40년간 방황하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갈렙은 결코 단념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은 “내 종 갈렙은 그 마음이 그들과 달라서 나를
온전히 따랐은즉 그가 갔던 땅으로 내가 그를 인도하여 들이리니 그의 자손이 그 땅을 차지하리라”(14:24)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가(갈렙이)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온전히 좇았기에”(여호수아 14:14) 45년 후 갈렙이 85세 되던 때, 하나님이 약속을 지키셔서 그는 헤브론 도시를 기업으로 받게 되었습니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한 율법사가 예수님께 “율법 중에 어느 계명이 크니이까”라고 물었습니다. 그때 예수님은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마태복음 22:35-38)라고 대답하셨습니다.

오늘도 갈렙은 우리에게 하나님은 우리의 전심을 다하는 사랑과 신뢰와 헌신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시다는 그의 확신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민 13:26-32; 14:20-24
내 종 갈렙은 그 마음 이 그들과 달라서 나를 온전히 따랐은즉 그가 갔던 땅으로 내가 그를 인도하여 들이리니 그의 자손이 그 땅을 차지하리라
민수기 14:24

주님, 오늘도 주님을 전심으로 사랑하고, 이 세상에서의 여정에서 매일 주님을 따르게 해주소서.

그리스도에 대한 헌신은 우리가 매일 받는 소명이다.

Daily Article

02/25/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2–14 and MARK 5:21–43
Hymn: 323(old 355)

Wholehearted!

Caleb was a “wholehearted” person. He and Joshua were part of a twelve-man reconnaissance team that explored the Promised Land and gave a report to Moses and the people. Caleb said, “We should go up and take possession of the land, for we can certainly do it” (NUM. 13:30). But ten members of the team said they couldn’t possibly succeed. In spite of God’s promises, they saw only obstacles (VV. 31–33).

Ten men caused the people to lose heart and grumble against God, which led to forty years of wandering in the desert. But Caleb never quit. The Lord said, “Because my servant Caleb has a different spirit and follows me wholeheartedly, I will bring him into the land he went to, and his descendants will inherit it” (14:24). Forty-five years later God honored His promise when Caleb, at the age of 85, received the city of Hebron “because he followed the Lord, the God of Israel, wholeheartedly” (JOSH. 14:14).

Centuries later an expert in the law asked Jesus, “Which is the greatest commandment in the Law?” Jesus replied, “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nd.’ This is the first and greatest commandment” (MATT. 22:35–38).

Today Caleb is still inspiring us with his confidence in a God who deserves our wholehearted love, reliance, and commitment.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Num. 13:26–32; 14:20–24
Because my servant Caleb has a different spirit and follows me wholeheartedly, I will bring him into the land he went to, and his descendants will inherit it.
Numbers 14:24

Lord, may we love You wholeheartedly today and follow You every day of our journey on this earth.

Commitment to Christ is a daily calling.

오늘의 말씀

02/24/2017     금요일

성경읽기: 민 9-11; 막 5:1-20
찬송가: 246(통 221)

“미래에 있을 실제”의 세계

2002년에 자동차 사고로 열일곱 살이던 딸 멜리사를 잃은 뒤 많은 시간이 흘러갔음에도, 나는 때때로 “만약에......”라는 상상의 세계에 빠져들곤 합니다. 슬픔에 잠겨 자연스레 그 비극적인 6월의 어느 밤에 일어난 사고를 다시 그려보며, 나는 만약 다시 재구성할 수 있다면 멜이 안전하게 집에 올 수 있었을 여러 요인들을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상은 “만약에......”라는 곳은 우리 어느 누구에게도 좋은 장소가 아닙니다. 그곳은 후회와 비판의 장소이며, 소망이 없는 곳입니다. 실제로 슬픔이 있고 아픔이 계속되는 동안에도, “미래에 있을 실제”의 세계에 우리가 거한다면 삶은 더 나아지고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십니다.

그 세계에서 우리는 소망과 격려, 위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멜리사가 예수님을 사랑하였기에 지금 “훨씬 더 좋은”(빌립보서 1:23) 곳에 있다는 분명한 소망(데살로니가전서 4:13)과 확신이 있습니다. 모든 위로의 하나님(고린도후서 1:3)이 우리와 함께 하셔서 도와주시고, 우리의 “환난 중에 만날 큰 도움”(시편 46:1)이 되어 주십니다. 그리고 종종 믿음의 동료들에게서도 격려를 받습니다.

우리 모두는 살면서 비극을 피하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고난을 당할 때 우리의 가장 큰 도움은 ‘미래에 있을 실제’의 세계에서 우리의 확실한 소망이 되어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함으로써 얻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6:1-7
형제들아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치 아니하노니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데살로니가전서 4:13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은 제 상한 마음을 아시고, 당신의 아들의 죽음을 겪으셨기에 상실의 고통도 아십니다. 계속 되는 슬픔 속에서도, 주님께서 주시는 소망과 격려 및 위안의 평강 속에 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의 최고의 소망은 하나님을 신뢰함으로써 얻게 된다.

Daily Article

02/24/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9–11 and MARK 5:1–20
Hymn: 246(old 221)

The Land of “What Is”

Even all these years after losing our seventeen-year-old daughter Melissa in a car accident in 2002, I sometimes find myself entering the world of “What If.” It’s easy, in grief, to reimagine the events of that tragic June evening and think of factors that—if rearranged—would have had Mell arriving safely home.

In reality, though, the land of “What If” is not a good place to be for any of us. It is a place of regret, second-guessing, and hopelessness. While the grief is real and the sadness endures, life is better and God is honored if we dwell in the world of “What Is.”

In that world, we can find hope, encouragement, and comfort. We have the sure hope (1 THESS. 4:13)—the assurance— that because Melissa loved Jesus she is in a place that is “better by far” (PHIL. 1:23). We have the helpful presence of the God of all comfort (2 COR. 1:3). We have God’s “ever present help in trouble” (PS. 46:1). And we often have the encouragement of fellow believers.

We all wish to avoid the tragedies of life. But when we do face hard times, our greatest help comes from trusting God, our sure hope in the land of What Is. DAVE BRANON

Today's Reading

Psalm 46:1–7
Brothers and sisters, we do not want you to be uninformed about those who sleep in death, so that you do not grieve like the rest of mankind, who have no hope.
1 Thessalonians 4:13

Father God, You know my broken heart. You know the pain of loss because You suffered through the death of Your Son. In the midst of ongoing sorrow, help me to dwell in the comfort of Your hope, encouragement, and comfort.

Our greatest hope comes from trusting God.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