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14/2017 금요일
십자가를 기억하라
나는 십자가를 보면 우리를 위해 예수님이 당하신 고통들이 떠오릅니다. 주님은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전에 매질과 침 뱉음을 당하셨습니다. 군인들은 막대기로 머리를 때리고 무릎을 꿇고 앉아서 숭배하는 척하며 조롱했습니다. 그들은 강제로 예수님께 십자가를 지우고 사형장까지 끌고 가려 했지만, 그 전에 받은 잔인한 매질로 예수님은 이미 약해져 있었습니다. 골고다 언덕에 도착해서 십자가를 세울 때 그들은 주님의 몸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님의 살에 못을 박았고, 그 못 박힌 상처가 주님이 매달려 있는 동안 주님의 몸의 무게를 지탱했습니다. 그리고 여섯 시간 후 예수님은 마지막 숨을 거두셨습니다(마가복음 15:37). 예수님의 죽음을 지켜보던 백부장은 “이 사람은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39절)라고 선언했습니다.
이후에 당신이 십자가의 상징을 볼 때, 그것이 당신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보십시오. 하나님의 아들이 그곳에서 고통을 받고 돌아가셨고, 영생을 주시기 위해 다시 살아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5:19-20,33-39이 사람은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
마가복음 15:39
사랑하는 예수님, 십자가에서 돌아가시면서 내 죄를 대신해주신 주님께 어떻게 감사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주님의 희생에 감사드리며, 주님의 부활의 능력을 믿습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가장 나쁜 면으로는 우리의 죄를, 가장 좋은 면으로는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낸다.
Daily Article
04/14/2017 Friday
Remember the Cross
The sight of a cross causes me to consider what Jesus endured for us. Before being crucified, He was flogged and spit on. The soldiers hit Him in the head with sticks and got down on their knees in mock worship. They tried to make Him carry His own cross to the place where He would die, but He was too weak from the brutal flogging. At Golgotha, they hammered nails through His flesh to keep Him on the cross when they turned it upright. Those wounds bore the weight of His body as He hung there. Six hours later, Jesus took His final breath (MARK 15:37). A centurion who witnessed Jesus’s death declared, “Surely this man was the Son of God!” (V. 39).
The next time you see the symbol of the cross, consider what it means to you. God’s Son suffered and died there and then rose again to make eternal life possible.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Mark 15:19–20, 33–39"Surely this man was the Son of God!"
Mark 15:39
Dear Jesus, I can’t begin to thank You enough for taking care of my sin when You died on the cross. I acknowledge Your sacrifice, and I believe in the power of Your resurrection.
The cross of Christ reveals our sin at its worst and God’s love at its best.
오늘의 말씀
04/13/2017 목요일
우리를 위해 버림받으심
그들은 수십 번의 실험을 했고 일관된 결과를 얻었습니다. 충격이 다가오리라 예상되는 상황에서 혼자이거나 낯선 사람의 손을 잡고 있을 때는 위험을 감지하는 뇌 부분이 작동이 됐지만, 신뢰하는 사람의 손을 잡고 있을 때는 뇌가 안정되어 있었습니다. 친구가 옆에 있다는 위안이 고통을 더 잘 참게 해준 것입니다.
예수님이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실때 위로가 필요하셨습니다. 주님은 앞으로 어떤 일을 겪게 될 것인지 알고 계셨습니다. 그것은 바로 배신과 체포, 그리고 죽음이었습니다. 주님은 주님의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다”(마태복음 26:38)고 하시며 가장 가까운 친구들에게 같이 머물며 함께 기도하자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베드로와 야고보, 요한은 계속 잠에 빠져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붙잡아줄 위로의 손길 하나 없이 그곳에서 고통을 맞이하셨습니다. 그러나 주님이 그 고통을 참으셨기에, 우리는 하나님이 결코 우리를 버리지도 떠나지도 않으실 거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히브리서 13:5). 주님이 고통을 당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절대 끊어지지 않을 것입니다(로마서 8:39). 주님과 교제할 때 우리는 우리가 견디어야 할 그 어떤 것도 더 잘 참을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6:36-46[하나님이] 친히 말씀 하시기를 내가 결코 너희를 버리지 아니하고 너희를 떠나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히브리서 13:5
예수님, 겟세마네 동산에서 홀로 고통을 감당하시고 우리를 위해 십자가를 지시니 감사합니다. 우리에게 하나님 아버지와 교제하며 살아갈 길을 열어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이 사랑하시기 때문에 우리는 결코 혼자가 아니다.
Daily Article
04/13/2017 Thursday
Forsaken for Our Sake
Researchers ran the test on dozens of pairs, and found consistent results. When a person was alone or holding a stranger’s hand while anticipating a shock, the regions of the brain that process danger lit up. But when holding the hand of a trusted person, the brain relaxed. The comfort of a friend’s presence made the pain seem more bearable.
Jesus needed comfort as He prayed in the Garden of Gethsemane. He knew what He was about to face: betrayal, arrest, and death. He asked His closest friends to stay and pray with Him, telling them that His soul was “overwhelmed with sorrow” (MATT. 26:38). But Peter, James, and John kept falling asleep.
Jesus faced the agony of the garden without the comfort of a hand to hold. But because He bore that pain, we can be confident that God will never leave or forsake us (HEB. 13:5). Jesus suffered so that we will never have to experience separation from the love of God (ROM. 8:39). His companionship makes anything we endure more bearable.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Matthew 26:36–46God has said, "Never will I leave you; never will I forsake you."
Hebrews 13:5
Jesus, thank You for bearing the pain and isolation of the Garden of Gethsemane and the cross for us. Thank You for giving us a way to live in communion with the Father.
Because of God’s love, we are never truly alone.
오늘의 말씀
04/12/2017 수요일
머리를 풀어헤치라
우리 중 어떤 사람들은 교회에 갈 때 다른 사람들이 호감을 느끼도록 완벽한 모습으로 가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비유적으로 말하자면, 많은 수고를 들여 머리카락 한 오라기까지 단정하게 빗었는지 확인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건강한 교회는 우리가 머리를 풀어헤칠 수 있고, 완벽한 모습 뒤에 가려진 우리의 결점들을 숨기지 않아도 되는 곳입니다. 교회는 강한 것처럼 보이려고 우리의 결점을 숨기려 하기보다는,
오히려 능력을 구하기 위해 우리의 약함을 드러낼 수 있는 곳이어야 합니다.
예배는 마치 잘못된 것이 하나도 없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성도들, 그리고 성도들 상호간의 관계가 올바로 되어 있는지 확실히 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머리를 풀어헤치는 것이 가장 두려운 것이라면, 아마도 우리의 가장 큰 죄는 그것을 풀어헤치지 않으려 하는 것일 겁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2:1-8마리아는 지극히 비싼 향유 곧 순전한 나드 한 근을 가져다가 예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털로 그의 발을 닦으니
요한복음 12:3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내게 무슨 악한 행위가 있나 보시고 나를 영원한 길로 인도하소서.
시편 139:23-24
하나님과의 관계가 올바를 때 우리의 예배가 올바르게 된다.
Daily Article
04/12/2017 Wednesday
Let Down Your Hair
Some of us may feel pressured to be perfect when we go to church so that people will think well of us. Metaphorically speaking, we work hard to make sure we have every hair in place. But a healthy church is a place where we can let down our hair and not hide our flaws behind a façade of perfection. In church, we should be able to reveal our weaknesses to find strength rather than conceal our faults to appear strong.
Worship doesn’t involve behaving as if nothing is wrong; it’s making sure everything is right—right with God and with one another. When our greatest fear is letting down our hair, perhaps our greatest sin is keeping it up. - JULIE ACKERMAN LINK
Today's Reading
John 12:1–8Mary took about a pint of pure nard, an expensive perfume; she poured it on Jesus' feet and wiped his feet with her hair.
John 12:3
Search me, God, and know my heart. . . . See if there is any offensive way in me, and lead me in the way everlasting.
PSALM 139:23–24
Our worship is right when we are right with God.
오늘의 말씀
04/11/2017 화요일
왜 용서하나?
감정을 완전히 떨쳐버릴 수 있었습니다. 나는 마침내 자유롭게 되었습니다.
용서는 그리스도인의 믿음의 핵심이며, 그 중심에는 십자가에서 돌아가실 때조차도 용서의 손을 내미신 우리 주님이 계십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못 박는 이들마저 사랑 하셨고, 하나님 아버지께 그들을 용서해 달라고 기도하셨습니다. 주님은 십자가에 달리실 때 주님께 잘못을 저지른 자들에게 분노하거나 원한을 품으신 것이 아니라 은혜와 사랑을 보여주셨습니다.
우리에게 상처를 주었지만, 예수님의 본을 따라 주님의 사랑으로 용서해야 할 사람들이 있는지 주님 앞에서 곰곰이 생각해보기에 좋은 시기입니다. 비록 용서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되더라도, 우리가 용서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성령님을 통해 하나님께 간구하면 하나님은 우리를 도와주실 것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할 때 용서불가능이라는 굴레를 벗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32-34예수께서 이르시되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하시더라 그들이 그의 옷을 나눠 제비 뽑을새
누가복음 23:34
주 예수 그리스도시여, 주님께서 제 안에 계셔서 주님의 은혜와 권능으로 제가 용서할 수 있게 도우셔서 주님의 사랑이 저를 자유롭게 해주소서.
십자가에서조차 예수님은 자신을 해하는 자들을 용서하셨다.
Daily Article
04/11/2017 Tuesday
Why Forgive?
Forgiveness lies at the heart of the Christian faith, with our Savior extending forgiveness even when He was dying on the cross. Jesus loved those who had nailed Him there, uttering a prayer asking His Father to forgive them. He didn’t hang on to bitterness or anger, but showed grace and love to those who had wronged Him.
This is a fitting time to consider before the Lord any people we might need to forgive as we follow Jesus’s example in extending His love to those who hurt us. When we ask God through His Spirit to help us forgive, He will come to our aid—even if we take what we think is a long time to forgive. When we do, we are freed from the prison of unforgivenes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uke 23:32–34Jesus said,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And they divided up his clothes by casting lots.
Luke 23:34
Lord Jesus Christ, through Your grace and power as You dwell in me, help me to forgive, that Your love will set me free.
Even on the cross, Jesus forgave those who hurt Him.
오늘의 말씀
04/10/2017 월요일
가장 친한 친구
예수님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극심한 모욕을 당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아셨습니다. 성경은 “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버림받았다”(이사야 53:3) 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고통의 희생양이 되셨을 뿐 아니라 우리의 중재자도 되어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생명을 내어주심으로 우리에게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새로운 삶의 길”을 열어주셨습니다(히브리서 10:20). 주님은 우리를 위해 우리 스스로는 결코 할 수 없는 일을 해주셔서, 우리 죄를 회개하고 주님을 신뢰할 때 우리에게 값없이 구원의 선물을 주십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사귈 수 있는 가장 좋은 친구입니다. 주님은 “내게 오는 자는 내가 결코 내쫓지 아니하리라”(요한복음 6:37)고 말씀하셨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우리와 거리를 두거나 심지어는 밀쳐내 버리기도 하지만, 하나님은 십자가를 통해 우리에게 팔을 벌려주셨습니다. 우리 구주는 얼마나 강한 분이신지요!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0:19-23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요한복음 1:12
무덤 권세 이긴 주, 왕의 왕이 되셨네.
높은 이름 세상에 널리 반포하여라.
찰스 웨슬리
하나님은 우리에게 값없이 선물을 주시려고 엄청난 대가를 치르셨다.
Daily Article
04/10/2017 Monday
Our Best Friend
got pushed out of the way while waiting in line. One day my friend Jose, who was big and strong for his age, saw this happening. He stepped in and stuck out a strong arm to clear my way. “Hey!” he exclaimed, “You let Banks get a drink first!” I never had trouble at the drinking fountain again.
Jesus understood what it was like to face the ultimate unkindness of others. The Bible tells us, “He was despised and rejected by mankind” (ISA. 53:3). But Jesus was not just a victim of suffering, He also became our advocate. By giving His life, Jesus opened a “new and living way” for us to enter into a relationship with God (HEB. 10:20). He did for us what we could never do for ourselves, offering us the free gift of salvation when we repent of our sins and trust in Him.
Jesus is the best friend we could ever have. He said, “Whoever comes to me I will never drive away” (JOHN 6:37). Others may hold us at arm’s length or even push us away, but God has opened His arms to us through the cross. How strong is our Savior! - JAMES BANKS
Today's Reading
Hebrews 10:19–23Yet to all who did receive him, to those who believed in his name, he gave the right to become children of God.
John 1:12
Love’s redeeming work is done, fought the fight, the battle won.
Death in vain forbids him rise; Christ has opened paradise.
CHARLES WESLEY
God’s free gift to us cost Him dearly.
오늘의 말씀
04/09/2017 주일
믿음의 여정
에이미 립슨은 ‘휴머니티즈’라는 잡지에 기고한 글에서 그 책을 집필하며 작가의 삶이 바뀌게 되었다고 썼습니다. “벤허가 독자들을 그리스도의 수난 장면으로 이끌었던 것처럼 루 월리스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이끌었다.” 월리스는 “나는 그 나사렛 사람을 봤습니다...... 그 누구도 하지 못한 것을 해내는 그를 봤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예수님의 삶을 기록한 복음서를 통해 우리는 예수님과 동행하게 되며, 주님의 기적을 보고, 주님의 말씀을 듣고, 종려주일에 예루살렘으로 승리의 입성을 하시는 주님을 보게 됩니다. 요한은 요한복음의 마지막에서 “예수께서 제자들 앞에서 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한 다른 표적도 많이 행하셨으나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로라”(요한복음 20:30-31)라고 썼습니다.
루 월리스가 성경을 읽으며 연구하고 글을 쓰다가 예수님을 믿게 된 것처럼,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변화시켜 예수님을 통해 주님 안에 있는 영생을 얻게 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0:24-31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로라
요한복음 20:31
주님, 주님의 삶을 담은 말씀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에 새겨져서 우리 믿음이 주님 안에서 계속 자라게 해주소서.
책은 지식을 알려주지만, 성경은 삶을 변화시킨다.
Daily Article
04/09/2017 Sunday
A Journey of Belief
Amy Lifson, writing in Humanities magazine, said that the writing of the book transformed the life of the author. “As Ben-Hur guided readers through the scenes of the Passion, so did he lead the way for Lew Wallace to believe in Jesus Christ.” Wallace said, “I have seen the Nazarene . . . . I saw him perform works which no mere man could perform.”
The Gospels’ record of the life of Jesus allows us to walk alongside Him, witness His miracles, hear His words, and see His triumphal entry into Jerusalem on what we call Palm Sunday. At the conclusion of John’s gospel, he wrote, “Jesus performed many other signs in the presence of his disciples, which are not recorded in this book. But these are written that you may believe that Jesus is the Messiah, the Son of God, and that by believing you may have life in his name” (JOHN 20:30–31).
Just as Lew Wallace’s research, reading of the Bible, and writing led him to believe in Jesus, so God’s Word draws us to a transformation of mind and heart by which we have eternal life in and through Him.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John 20:24–31These are written that you may believe that Jesus is the Messiah, the Son of God, and that by believing you may have life in his name.
John 20:31
Lord, may the record of Your life be written on our minds and hearts so that we may have ever-increasing faith in You.
Many books can inform, but only the Bible can transform.
오늘의 말씀
04/08/2017 토요일
삶의 목자
족장이었던 야곱은 그런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많은 극적인 변화를 겪고 또 사랑하는 이들을 잃은 후, 그는 그의 삶에 하나님이 늘 함께 하셨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나의 출생으로부터 지금까지 나를 기르신 하나님께서......이 아이들에게 복을 주시오며”(창세기 48:15-16).
야곱은 목자였기 때문에 하나님과의 관계를 목자와 양의 관계로 비교하였습니다. 양이 태어나서 자라고 늙을 때까지 목자는 밤낮으로 양을 돌봅니다. 낮에는 양을 이끌고 밤에는 양을 보호합니다. 목자였던 다윗도 역시 같은 생각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내가 여호와의 집에 영원히 살리로다”(시편 23:6)라고 말함으로 그 관계의 영원한 면을 강조했습니다.
살면서 선생님은 바뀝니다. 하지만 우리는 평생 계속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 얼마나 다행한 일입니까! 목자 되시는 예수님은 우리가 이 땅에서 사는 동안 매일 우리와 함께하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마태복음 28:20). 그리고 이곳에서의 삶을 마칠 때 우리는 주님과 더욱 가까이 있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48:8-16나의 출생으로부터 지금까지 나를 기르신 하나님께서
창세기 48:15
하나님 아버지, 내 삶의 목자가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찬양합니다.
하나님은 결코 우리를 버리지 않으신다.
Daily Article
04/08/2017 Saturday
A Shepherd for Life
Jacob, the patriarch, found out there is one. After living through many dramatic changes and losing loved ones along the way, he realized there had been a constant presence in his life. He prayed, “May the God . . . who has been my shepherd all my life to this day . . . bless these boys” (GEN. 48:15–16).
Jacob had been a shepherd, so he compared his relationship to God as that of a shepherd and his sheep. From the time a sheep is born through its growth to old age the shepherd cares for it day and night. He guides it during the day and protects it during the night. David, also a shepherd, had the same conviction, but he highlighted the eternal dimension to it when he said, “I will dwell in the house of the Lord forever” (PS. 23:6).
Changing teachers is a part of life. But how good it is to know that we can have a relationship for life. The Shepherd has promised to be with us every day of our earthly existence (MATT. 28:20). And when life here ends, we will be closer to Him than ever. - KEILA OCHOA
Today's Reading
Genesis 48:8–16God...has been my shepherd all my life to this day.
Genesis 48:15
Father, I thank You for being the Shepherd of my life. I praise Your faithfulness.
God never abandons us.
오늘의 말씀
04/07/2017 금요일
경건한 사람의 거리
사울의 아버지는 그의 아들과 하인을 보내어 잃어버린 나귀들을 찾아오게 하였습니다. 그 젊은이들은 여러 날 동안 찾아 헤매었지만, 나귀들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사울에게 그의 하인이 사무엘 선지자가 사는 라마를 가리키며 말했습니다. “보소서 이 성읍에 하나님의 사람이 있는데 존경을 받는 사람이라 그가 말한 것은 반드시 다 응하나니 그리로 가사이다 그가 혹 우리가 갈 길을 가르쳐 줄까 하나이다”(사무엘상 9:6).
사무엘은 노년이 되도록 평생 하나님과 가깝게 지내며 교제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그의 말에는 진리의 무게가 실려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하나님의 선지자로 알았습니다. 그래서 사울과 그의 하인도 “하나님의 사람이 있는 성읍으로 간”(10절) 것입니다.
아, 우리의 삶도 이렇게 예수님을 잘 드러내어 이웃에게 깊은 감명을 주고 우리의 경건한 삶에 대한 기억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9:1-10보소서 이 성읍에 하나님의 사람이 있는데
사무엘상 9:6
주님, 내 이웃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내가 주님과 가까이 있기 원하고 내가 있는 자리에서 빛이 되길 원합니다.
가장 강력한 증언은 경건하게 사는 것이다.
Daily Article
04/07/2017 Friday
Godliman Street
Saul’s father sent his son and a servant to look for some donkeys that had wandered away. The young men searched for many days but couldn’t find the animals.
Saul was ready to give up and go home, but his servant pointed toward Ramah, the prophet Samuel’s village, and replied, “Look, in this town there is a man of God; he is highly respected, and everything he says comes true. Let’s go there now. Perhaps he will tell us what way to take” (1 SAM. 9:6).
Throughout his years and into old age, Samuel had sought friendship and fellowship with God, and his words were weighty with truth. People knew him to be a prophet of the Lord. So Saul and his servant “set out for the town where the man of God was” (V. 10).
Oh, that our lives would so reflect Jesus that we would leave a mark on our neighborhoods, and that the memory of our godliness would linger on! - DAVID ROPER
Today's Reading
1 Samuel 9:1–10"Look, in this town there is a man of God."
1 Samuel 9:6
I’m not sure, Lord, how my neighbors would describe me. But I want to be close to You and to be a light in my corner of the world.
The most powerful testimony is a godly life.
오늘의 말씀
04/06/2017 목요일
무엇이 영원한가?
실제로 2년이란 기간 동안 진로변경, 새로운 친구 관계, 병, 죽음 같은 많은 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우리 삶을 바꿔놓을 만한 일이 우리를 덮치려고 길모퉁이에 숨어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단지 모르고 있을 뿐입니다. 하지만 우리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는 변치 않으신다는 것을 알게 되니 얼마나 위로가 되는지요.
시편기자는 “주는 한결같으시고 주의 연대는 무궁하리이다”(시편 102:27)라고 말합니다. 이 진리가 뜻하는 바는 실로 대단 합니다. 그것은 바로 하나님은 영원토록 사랑을 베푸시고 공의로우시며 지혜로우시다는 것입니다. 성경학자 아서 핑크는 아주 놀라운 필치로 이렇게 썼습니다. “우주가 창조되기 전에 하나님의 속성이 어떠하셨든, 그것들은 지금도 정확하게 똑같고 앞으로도 영원히 변함없을 것이다.”
신약에서 야고보는 이렇게 말합니다. “온갖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부터 내려오나니 그는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시니라”(야고보서 1:17). 우리의 상황이 변하더라도 선하신 우리 하나님의 성품은 언제나 변하지 않을 거라는 것을 우리는 확신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모든 선한 것의 근원이시며, 그래서 하나님이 행하시는 모든 일도 다 선합니다.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하나님은 그분의 백성들에게 영원히 변함없이 선하게 남아 계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2:25-28주는 한결같으시고 주의 연대는 무궁하리이다
시편 102:27
주님, 주님은 영원히 변치 않는 유일한 분이시며 우리에게 너무 좋으신 분이십니다. 주님으로부터만 오는 은혜와 평강으로 오늘 우리의 마음을 평온케 해주소서.
온 우주를 붙드시는 하나님은 당신도 영원히 붙들어주실 것이다.
Daily Article
04/06/2017 Thursday
What Lasts Forever?
Indeed, many things can happen in two years—a career change, newfound friendship, illness, death. Good or bad, a life-altering experience may be lurking just around the corner, waiting to pounce! We simply don’t know. What great comfort, then, to know that our loving heavenly Father does not change.
The psalmist says, “You remain the same, and your years will never end” (PS. 102:27). The implication of this truth is immense. It means that God is forever loving, just, and wise. As Bible teacher Arthur W. Pink so wonderfully states: “Whatever the attributes of God were before the universe was called into existence, they are precisely the same now, and will remain so forever.”
In the New Testament, James writes, “Every good and perfect gift is from above, coming down from the Father of the heavenly lights, who does not change like shifting shadows” (JAMES 1:17). In our changing circumstances, we can be assured that our good God will always be consistent to His character. He is the source of everything good, and everything He does is good.
It may seem that nothing lasts forever, but our God will remain consistently good to those who are His own.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Psalm 102:25–28You remain the same, and your years will never end.
Psalm 102:27
Lord, You are the One who never changes, and You are so good to us. Calm our hearts today with the grace and peace that come only from You.
The One who holds the universe together will not let go of you.
오늘의 말씀
04/05/2017 수요일
코시의 용기
서양의 그리스도인들은 대부분 하나님의 자리를 대신 차지하고 있는 것을 우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서아프리카의 토고에서 우상이란 말 그대로 희생제물을 바쳐서 달래야만 하는 신입니다. 우상을 불태우고 세례를 받는 것은 새 성도로서 유일하신 참 하나님께 충성을 나타내는 용기 있는 표현입니다.
우상숭배와 성욕에 사로잡힌 문화가 만연했던 시기에 요시야가 여덟 살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습니다.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유대의 추악한 역사를 통틀어 최악의 왕으로 꼽힌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때 대제사장이 율법책을 발견하였습니다. 어린 왕은 말씀을 듣고 그것을 마음 깊이 받아들였습니다(열왕기하 22:8-13). 요시야는 이방신의 제단을 허물고, 아세라 여신에게 바쳤던 더러운 물건들을 불태우며, 매춘 의식을 금지시켰습니다(23장). 그는 그 모든 것들 대신에 유월절을 지켰습니다 (23:21-23).
하나님을 떠나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마다 우리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잘못된 신을 좇게 됩니다. 우리 자신에게 지혜롭게 물어봅시다. 실제적인 것이든 상징적인 것이든 우리가 불 속에 던져야 할 우상은 무엇입니까?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23:12-14,21-25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출애굽기 20:3,5
주님, 우리 마음을 주님께 집중하지 못하게 만드는 다른 것들로 향하는 우리를 용서해주소서. 무엇을 포기해야 할지를 보여주시고, 그것들을 성령님의 임재로 바꾸어주소서.
자녀들아 너희 자신을 지켜 우상에게서 멀리하라. 요한1서 5:21
Daily Article
04/05/2017 Wednesday
Kossi’s Courage
In the West, most Christians think of idols as metaphors for what they put in place of God. In Togo, West Africa, idols represent literal gods that must be appeased with sacrifice. Idol burning and baptism make a courageous statement about a new believer’s allegiance to the one true God.
As an eight-year-old, King Josiah came to power in an idol-worshiping, sex-obsessed culture. His father and grandfather had been two of the worst kings in all of Judah’s sordid history. Then the high priest discovered
the book of the law. When the young king heard its words, he took them to heart (2 KINGS 22:8–13). Josiah destroyed the pagan altars, burned the vile items dedicated to the goddess Asherah, and stopped the ritual prostitution (CH. 23). In place of these practices, he celebrated the Passover (23:21–23).
Whenever we look for answers apart from God—consciously or subconsciously—we pursue a false god. It would be wise to ask ourselves: What idols, literal or figurative, do we need to throw on the fir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2 Kings 23:12–14, 21–25You shall have no other gods before me....You shall not bow down to them or worship them.
Exodus 20:3, 5
Lord, forgive us for those things we turn to that show our hearts are not focused on You. Show us what we need to give up, and replace it with the presence of Your Holy Spirit.
Dear children, keep yourselves from idols. 1 JOHN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