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23/2017     금요일

성경읽기: 에 9-10; 행 7:1-21
찬송가: 220(통 278)

합주

손녀딸의 학교 악단 연주회에 간 적이 있었는데, 11살, 12살 된 아이들이 합주를 얼마나 잘하던지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만약 각자가 독주를 하고 싶어 했다면, 악단 전체가 함께 만들었던 그런 멋진 연주는 개개인으로서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모두 자기들이 맡은 역할을 잘 해냈고, 그 결과는 정말 아름다운 음악이었지요!

바울은 로마의 교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 되어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우리에게 주신 은혜대로 받은 은사가 각각 다르니”(로마서 12:5-6). 바울이 언급한 은사 중에는 예언과 섬김, 가르침, 위로, 구제, 다스림, 긍휼 등이 있습니다(7-8절). 각 은사는 모든 사람들의 유익을 위하여 자유롭게 사용되어야 합니다(고린도전서 12:7).

영어로 ‘in concert’는 “디자인이나 계획이 일치하는 것; 연합된 행동; 조화나 일치”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된 우리를 위해 주님께서 계획해 놓으신 것입니다. “형제의 사랑으로 서로 다정하게 대하며, 존경하기를 서로 먼저 하십시오”(10절, 새번역). 목표는 경쟁이 아니라 협력입니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우리를 보고 듣는 세상이라는 “무대”에 매일 서 있습니다. 하나님의 악단에는 독주자가 없으며, 모든 악기가 하나하나 다 중요합니다. 우리 각자가 맡은 부분을 다른 사람들과 연합하여 연주할 때 최고의 음악이 나오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3-8
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 되어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우리에게 주신 은혜대로 받은 은사가 각각 다르니
로마서 12:5-6

주님, 주님은 우리 삶의 지휘자이십니다. 오늘 주님의 자녀들과 함께 주님의 사랑과 은혜의 노래를 연주하기를 원합니다.

하나님의 오케스트라에는 독주자가 없다.

Daily Article

06/23/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9–10 and ACTS 7:1–21
Hymn: 220(old 278)

Playing in Concert

During our granddaughter’s school band concert, I was impressed by how well this group of 11- and 12-year-olds played together. If each of them had wanted to be a solo performer, they could not have achieved individually what the band did collectively. The woodwinds, brass, and percussion sections all played their parts and the result was beautiful music!

To the followers of Jesus in Rome, Paul wrote, “In Christ we, though many, form one body, and each member belongs to all the others. We have different gifts, according to the grace given to each of us” (ROM 12:5–6). Among the gifts Paul mentioned are prophecy, service, teaching, encouragement, giving, leadership, and mercy (VV 7–8). Each gift is to be exercised freely for the good of all (1 COR 12:7).

One definition of in concert is “agreement in design or plan; combined action; harmony or accord.” That’s the Lord’s plan for us as His children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Be devoted to one another
in love. Honor one another above yourselves” (V 10). The goal is cooperation, not competition.

In a sense, we are “on stage” before a watching and listening world every day. There are no soloists in God’s concert band, but every instrument is essential. The music is best when we each play our part in unity with others.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Romans 12:3–8
So in Christ we, though many, form one body, and each member belongs to all the others. We have different gifts, according to the grace given to each of us.
Romans 12:5-6

Lord, You are the Conductor of our lives. We want to play Your song of love and grace in concert with Your children today.

There are no soloists in God’s orchestra.

오늘의 말씀

06/22/2017     목요일

성경읽기: 에 6-8; 행 6
찬송가: 363(통 479)

침묵

구호물자 차량들이 덜컹거리며 마을의 낡은 오두막집사이를 지나가자 놀란 닭들이 사방으로 흩어지고, 맨발의 아이들이 차량들을 물끄러미 바라보았습니다. 비로 인해 유실된 이 “도로” 에서 차량은 보기 드물었습니다.

갑자기 수송대의 시야에 담으로 둘러싸인 대저택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그것은 시장의 집이었는데 거기 살고 있지는 않았습니다. 그 도시 사람들은 생필품조차 부족한 상태인데도 그는 멀리 떨어진 도시에서 호사와 여유를 누리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그런 불공평함에 화가 납니다. 하나님의 선지자도 화를 내었습니다. 하박국은 무서운 압제를 보고는 하나님께 물었습니다. “여호와여 내가 부르짖어도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니 어느 때까지리이까” (하박국 1:2). 그러나 이미 알고 계신 하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화 있을진저 자기 소유 아닌 것을 모으는 자여......자기 집을 위하여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자에게 화 있을진저”(2:6,9). 하나님의 심판이 다가오고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다른 이들을 심판하시는 것을 환영합니다. 그러나 하박국에는 우리를 잠시 멈추게 하는 하나의 요점이 있습니다. “오직 여호와는 그 성전에 계시니 온 땅은 그 앞에서 잠잠할지니라”(2:20). 성경은 ‘온 땅’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억압하는 자들과 억압 받는 자들 모두 말입니다. 때로는 겉보기에 침묵하고 계시는 것 같은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적절한 반응은......침묵입니다!

왜 침묵해야 할까요? 그것은 우리 자신의 영적 빈곤을 우리가 쉽게 간과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침묵함으로써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죄성을 인식하게 됩니다.

하박국은 하나님을 신뢰하는 법을 배웠고 우리 또한 배울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방법을 다 알지는 못하지만, 하나님이 선하시다는 것을 압니다. 하나님의 통제와 시기를 벗어나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하박국 1:1-4; 2:20
여호와여 내가 부르짖어도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니 어느 때까지리이까
하박국 1:2

주님, 시련이 닥칠 때 우리도 하박국처럼 기도할 수 있습니다. “여호와여 내가 주께 대한 소문을 듣고 놀랐나이다. 여호와여 주는 주의 일을 이 수년 내에 부흥하게 하옵소서. 이 수년 내에 나타내시옵소서.”(하박국 3:2).

의인은 가난한 자의 사정을 알아주나 악인은 알아 줄 지식이 없느니라. 잠언 29:7

Daily Article

06/22/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6–8 and ACTS 6
Hymn: 363(old 479)

Silence

Skittish chickens scattered as relief trucks clattered past the weathered huts of the village. Barefoot children stared. Traffic on this rain-ravaged “road” was rare.

Suddenly, a walled mansion loomed into view of the convoy. It was the mayor’s house—although he didn’t live in it. His people lacked basic necessities, while he lounged in luxury in a distant city.

Such unfairness angers us. It angered God’s prophet too. When Habakkuk saw rampant oppression he asked, “How long, LORD , must I call for help, but you do not listen?” (HAB 1:2). But God had noticed, and He said, “Woe to him who piles up stolen goods . . . who builds his house by unjust gain!” (2:6, 9). Judgment was coming!

We welcome God’s judgment of others, but there’s a pivot point in Habakkuk that gives us pause: “The LORD is in his holy temple; let all the earth be silent before him” (2:20). All the earth. The oppressed along with oppressors. Sometimes the appropriate response to God’s seeming silence is . . . silence!

Why silence? Because we easily overlook our own spiritual poverty. Silence allows us to recognize our sinfulness in the presence of a holy God.

Habakkuk learned to trust God, and we can too. We don’t know all His ways, but we do know that He is good. Nothing is beyond His control and timing.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Habakkuk 1:1–4; 2:20
How long, LORD, must I call for help, but you do not listen?
Habakkuk 1:2

Lord, when trouble comes we can pray like Habakkuk, “We have heard of your fame; we stand in awe of your deeds. Repeat them in our day; in our time make them known.” (HAB 3:2).

The righteous care about justice for the poor, but the wicked have no such concern. PROVERBS 29:7

오늘의 말씀

06/21/2017     수요일

성경읽기: 에 3-5; 행 5:22-42
찬송가: 291(통 413)

위로의 잔 나누기

한 친구가 손수 만든 도자기 잔 몇 개를 나에게 우편으로 보내주었습니다. 그런데 상자를 열어 보니 그 소중한 물건들이 운반되는 동안 손상되어 있었습니다. 잔들 중 하나가 깨어져 흙가루 덩어리 속에 큰 조각 몇 개와 작은 조각 여러 개로 흩어져 있었습니다. 남편이 부서진 조각들을 접착제로 다시 붙인 후에, 나는 흠집이 아름답게 새겨진 그 잔을 선반 위에 진열했습니다.

부서진 조각들을 붙여놓은 그 도자기 잔처럼, 나에게도 하나님이 허락하신 연단의 시간들 후에 여전히 굳세게 버틸수 있음을 입증해주는 흉터들이 있습니다. 주님께서 어떻게 내 삶에 역사하셨는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함으로써 고난 속에 있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는 사실을 나는 그 위로의 잔을 통해 깨닫게 됩니다.

바울 사도는 “자비의 아버지시요 모든 위로의 하나님”(고린도후서 1:3)을 찬양합니다. 주님은 우리를 좀 더 주님과 닮게 하시려고 시련과 고통을 주십니다. 우리가 시련 당할 때 받는 주님의 위로는 우리의 힘든 시기에 주님께서 하신 일들을 사람들과 나눌 때 그들을 격려할 수 있는 능력이 됩니다(4절).

예수님이 당하신 고난을 생각할 때,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의 경험을 사용하여 우리뿐 아니라 다른 이들도 더 강하게 만들어 인내와 오래 참음에 이르게 하시는 것(5-7절) 을 믿으며, 우리자신의 고통 속에서도 인내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됩니다. 우리도 바울처럼 주님이 그분의 영광을 위해 우리의 시련을 보상해주신다는 것을 알고 위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주님의 위로의 잔을 나눔으로써 상처 받은 사람들에게 든든한 희망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3-11
너희를 위한 우리의 소망이 견고함은 너희가 고난에 참여하는 자가 된 것 같이 위로에도 그러할 줄을 앎이라
고린도후서 1:7

주님, 고통 중에 있는 사람들에게 위로와 격려와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우리를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난 중에도 우리를 위로하시려고 전에도 하셨고, 지금도 하고 계시고, 또 앞으로 계속 하실 모든 일을 인해 주님을 찬양합니다.

우리가 받은 하나님의 위로를 사람들과 나누면 그들도 하나님의 위로를 받게 된다.

Daily Article

06/21/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3–5 and ACTS 5:22–42
Hymn: 291(old 413)

Sharing a Cup of Comfort

A friend mailed me some of her homemade pottery. Upon opening the box, I discovered the precious items had been damaged during their journey. One of the cups had shattered into a few large pieces, a jumble of shards, and clumps of clay dust. After my husband glued the broken mess back together, I displayed the beautifully blemished cup on a shelf.

Like that pieced-together pottery, I have scars that prove I can still stand strong after the difficult times God’s brought me through. That cup of comfort reminds me that sharing how the Lord has worked in and through my life can help others during their times of suffering.

The apostle Paul praises God because He is the “Father of compassion and the God of all comfort” (2 COR 1:3). The Lord uses our trials and sufferings to make us more like Him. His comfort in our troubles equips us to encourage others as we share what He did for us during our time of need (V 4).

As we reflect on Christ’s suffering, we can be inspired to persevere in the midst of our own pain, trusting that God uses our experiences to strengthen us and others toward patient endurance (VV 5–7). Like Paul, we can be comforted in knowing that the Lord redeems our trials for His glory. We can share His cups of comfort and bring reassuring hope to the hurting.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3–11
Our hope for you is firm, because we know that just as you share in our sufferings, so also you share in our comfort.
2 Corinthians 1:7

Lord, thank You for using us to provide comfort, encouragement, and hope to others who are suffering. We praise You for all You’ve done, are doing, and will continue to do to comfort us through our own afflictions.

God comforts others as we share how He comforted us.

오늘의 말씀

06/20/2017     화요일

성경읽기: 에 1-2; 행 5:1-21
찬송가: 212(통 347)

웃는 이유

직장에서 격려의 말은 중요합니다. 직장동료들 사이에 나누는 대화를 들어보면 고객 만족과 회사의 이익, 그리고 동료사원에대한 존중이 어느 정도인지 대략 알 수 있습니다. 가장 성과가 높은 부서의 구성원들은 거절, 반대, 냉소적 말보다 긍정해주는 말을 여섯 배나 더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가장 비생산적인 팀은 도움이 되는 말보다는 부정적인 말을 거의 세 배 정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바울은 관계를 맺거나 결과를 만들어 내는데 있어서 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경험을 통해 배웠습니다. 다메섹으로 가는 길에서 그리스도를 만나기 전까지 그의 말과 행동은 예수님을 따르는 자들을 공포에 떨게 했습니다. 그러나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편지를 쓸 즈음에는 그의 마음 안에 하나님이 역사하심으로 위대한 격려자가 되었습니다. 이제 그는 편지를 읽는 이들에게 자신의 본을 따라 서로를 격려해주라고 권면했습니다. 그는 아첨으로 들리지 않으면서도 서로를 세워주며 그리스도의 영을 비추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바울은 그런 격려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는 우리를 위해 죽기까지 사랑하신 하나님께 의탁함으로써 서로 위로하고, 용서하고, 격려하고, 사랑으로 권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데살로니가전서 5:10-11).

바울은 서로 격려하는 것이 하나님의 인내하심과 선하심을 맛볼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라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5:9-28
그러므로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기를 너희가 하는 것 같이 하라
데살로니가전서 5:11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께서 언제나 우리에게 주시는 긍휼과 자비를 우리가 다른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베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서로에게서 최고의 모습을 이끌어내려고 애쓰는 것보다 더 귀한 것이 어디 있을까?

Daily Article

06/20/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1–2 and ACTS 5:1–21
Hymn: 212(old 347)

Reason to Smile

In the workplace, words of encouragement matter. How employees talk to one another has a bearing on customer satisfaction, company profits, and co-worker appreciation. Studies show that members of the most effective work groups give one another six times more affirmation than disapproval, disagreement, or sarcasm. Least productive teams tend to use almost three negative comments for every helpful word.

Paul learned by experience about the value of words in shaping relationships and outcomes. Before meeting Christ on the road to Damascus, his words and actions terrorized followers of Jesus. But by the time he wrote his letter to the Thessalonians, he had become a great encourager because of God’s work in his heart. Now by his own example he urged his readers to cheer one another on. While being careful to avoid flattery, he showed how to affirm others and reflect the Spirit of Christ.

In the process, Paul reminded his readers where encouragement comes from. He saw that entrusting ourselves to God, who loved us enough to die for us, gives us reason to comfort, forgive, inspire, and lovingly challenge one another (1 THESS 5:10–11).

Paul shows us that encouraging one another is a way of helping one another get a taste of the patience and goodness of God. - MART DEHAAN

Today's Reading

1 Thess. 5:9–28
Therefore encourage one another and build each other up, just as in fact you are doing.
1 Thessalonians 5:11

Father in heaven, please help us to give others a small taste of the mercy and kindness You are forever offering us.

What could be better than working to bring out the best in one another?

오늘의 말씀

06/19/2017     월요일

성경읽기: 느 12-13; 행 4:23-37
찬송가: 331(통 375)

하나님께 이끌려

몇 달 전 나는 “driven people”이라는 단체에 가입하라는 초대장을 이메일로 받았습니다. 그래서 ‘driven’이라는 뜻을 찾아보았는데, driven된 사람이라는 뜻은 성공을 위해 의욕에 가득 차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의욕이 넘치는 사람이 되는 것이 좋은 일일까요? 그것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고린도전서 10:31)는 말씀에 견주어보면 확실히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 우리는 자신의 영광을 위하여 일을 합니다. 노아 시대의 홍수 이후, 사람들은 그들의 이름을 떨치기 위해 탑을 세우기로 했습니다(창세기 11:4). 그들은 유명해지기를 원했고, 사방으로 흩어지는 것을 피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그 일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하지 않았기에 그들의 의욕은 잘못된 것이었습니다.

그와는 반대로, 솔로몬 왕은 언약궤와 새로 지은 성전을 바치며,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였다”(열왕기상 8:20)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우리의 마음을 주께로 향하여 그의 모든 길로 행하게 하시오며 계명을 지키게 하시기를 원하오며”(58절)라고 기도하였습니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순종하고 사는 것이 우리의 가장 큰 바람이 될 때 우리는 비로소 성령의 권능으로 예수님을 사랑하며 섬기기를 추구하는 의욕적인 사람이 됩니다. 우리의 “마음을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온전히 바쳐......그의 법도를 행하며 그의 계명을 지킬”(61절) 수 있게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8:54-63
우리의 마음을 주께로 향하여 그의 모든 길로 행하게 하시오며
열왕기상 8:58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께 순종하고 모든 일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하려는 마음을 갖게 하소서.

모든 일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하라.

Daily Article

06/19/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2–13 and ACTS 4:23–37
Hymn: 331(old 375)

Driven by God

A few months ago I received an email inviting me to join a community of “driven people.” I decided to look up the word driven , and I learned that a driven person is someone highly motivated to succeed and who will work hard to achieve his goals.

Is it good to be a driven person? There is a test that never fails: “Do it all for the glory of God” (1 COR 10:31). Many times we do things for self-glory. After the flood in Noah’s day, a group of people decided to build a tower in order to “make a name” for themselves (GEN 11:4). They wanted to be famous and avoid being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Because they were not doing it for God’s glory, though, they were erroneously driven.

In contrast, when King Solomon dedicated the ark of the covenant and the newly constructed temple, he said, “I have built the temple for the Name of the LORD ” (1 KINGS 8:20). Then he prayed, “May he turn our hearts to him, to walk in obedience to him and keep the commands” (V 58).

When our greatest desire is to bring glory to God and walk in obedience, we become driven people who seek to love and serve Jesus in the power of the Spirit. Let our prayer echo Solomon’s. May our “hearts be fully committed to the LORD our God, to live by his decrees and obey his commands” (V 61). - KEILA OCHOA

Today's Reading

1 Kings 8:54–63
May he turn our hearts to him, to walk in obedience to him.
1 Kings 8:58

Father, give me the desire to obey You and do everything for Your glory.

Do everything for the glory of God.

오늘의 말씀

06/18/2017     주일

성경읽기: 느 10-11; 행 4:1-22
찬송가: 299(통 418)

완벽한 아버지

아버지는 언젠가 한번 “네가 자라는 동안 내가 집을 많이 비웠었지.”라고 시인하신 적이 있습니다.

내 기억으로는 별로 그렇지 않습니다. 직장에서 온 종일 일하시는 것 외에도 아버지는 교회 찬양대 지휘를 위해 가끔씩 저녁에 외출하시고, 이따금 남성 사중창단과 함께 1~2주 정도 여행을 가시곤 했습니다. 그러나 내 삶의 모든 중요한 (그리고 많은 작은) 순간들에 아버지는 함께 계셨습니다.

예를 들면, 8살 때 학교에서 방과 후 연극시간에 작은 배역을 맡은 적이 있었습니다. 모두 다 어머니들이 온 가운데 유일하게 한 아버지가 왔는데 바로 우리 아버지였습니다. 아버지는 나와 언니들이 아버지에게 소중한 존재들이며 아버지가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갖가지 세심한 방법으로 늘 깨닫게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어머니의 마지막 몇 년 동안 정성스럽게 어머니를 돌보시는 것을 보며 헌신적인 사랑이 무엇인지도 알게 해주셨습니다. 아버지는 완벽하지는 않으셨지만 나에게 언제나 하나님 아버지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아버지셨습니다. 이상적으로는, 그 모습이 바로 주님을 믿는 아버지라면 마땅히 보여줘야 할 모습인 것입니다.

이따금 세상 아버지들은 자녀들을 실망시키거나 상처를 줍니다. 그러나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는 “긍휼이 많으시고 은혜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고 인자하심이 풍부하십니다”(시편 103:8). 주님을 사랑하는 아버지가 교훈하고 위로하고 가르치고 자녀의 필요를 채워줄때, 하늘에 계신 완벽한 아버지의 모습을 자녀들에게 보여주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0:3-7
온전하게 행하는 자가 의인이라 그의 후손에게 복이 있느니라
잠언 20:7

하늘에 계신 아버지, 언제나 의지할 수 있는 주님의 신실하심에 감사드립니다. 믿음과 사랑의 유산을 남기며 오늘을 살 수 있도록 저를 도와주소서.

그리스도를 위해 살아온 한 평생이 자녀들에게 남길 수 있는 최고의 유산이다.

Daily Article

06/18/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0–11 and ACTS 4:1–22
Hymn: 299(old 418)

A Perfect Father

My father once admitted to me, “When you were growing up, I was gone a lot.”

I don’t remember that. Besides working his full-time job, he was gone some evenings to direct choir practice at church, and he occasionally traveled for a week or two with a men’s quartet. But for all the significant (and many small) moments of my life—he was there.

For instance, when I was eight, I had a tiny part in an afternoon play at school. All the mothers came, but only one dad—mine. In many little ways, he has always let my sisters and me know that we are important to him and that he loves us. And seeing him tenderly caring for my mom in the last few years of her life taught me exactly what unselfish love looks like. Dad isn’t perfect, but he’s always been a dad who gives me a good glimpse of my heavenly Father. And ideally, that’s what a Christian dad should do.

At times earthly fathers disappoint or hurt their children. But our Father in heaven is “compassionate and gracious, slow to anger, abounding in love” (PS 103:8). When a dad who loves the Lord corrects, comforts, instructs, and provides for the needs of his children, he models for them our perfect Father in heaven.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roverbs 20:3–7
The righteous lead blameless lives; blessed are their children after them.
Proverbs 20:7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Your faithfulness that I can always count on. Please help me to live today in a way that leaves behind a legacy of faithfulness and love.

A life lived for Christ is the best inheritance we can leave our children.

오늘의 말씀

06/17/2017     토요일

성경읽기: 느 7-9; 행 3
찬송가: 361(통 480)

함께 하는 시간

가족의 결혼식 행사를 마치고 차로 두 시간 걸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어머니가 내 직장에 별 일이 없는지 세 번째로 물었습니다. 나는 어떻게 말을 해야 어머니가 더 잘 기억하실까 생각하며 마치 처음 말하는 것처럼 다시 한 번 자세히 되풀이해서 말했습니다. 어머니는 노인성 치매 질환을 앓고 있습니다. 그 질환은 점차 기억을 잃게 만들어 행동에 악영향을 미치고, 결국은 언어 상실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장애를 유발시킵니다.

나는 어머니의 병 때문에 슬프지만 어머니가 아직 계셔서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고 대화도 나눌 수 있는 것이 감사합니다. 어머니를 만나러 가면 언제나 어머니는 “알리슨, 네가 올 줄 몰랐는데 너무 좋구나!” 라고 탄성을 지르며 기뻐하시는 모습이 나를 행복하게 합니다. 우리는 서로 같이 있는 것이 즐겁고, 어머니가 표현할 말을 찾지 못해 침묵이 흐를 때에도 마음으로 서로 교통합니다.

이것은 아마도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성경은 “여호와는 자기를 경외하는 자들과 그의 인자하심을 바라는 자들을 기뻐하시는도다”(시편 147:11)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구주로 믿는 자들을 그분의 자녀라고 부르십니다(요한복음 1:12). 우리가 같은 간구를 끊임없이 반복하거나 말없이 그냥 있을 때에도, 주님은 우리를 사랑하시기에 우리를 참아주십니다. 주님은 우리가 기도할 때, 심지어 우리가 말로 표현하지 못할 때에도 우리와 대화하는 것을 기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7:1-11
여호와는 자기를 경외하는 자들과 그의 인자하심을 바라는 자들을 기뻐하시는도다
시편 147:11

사랑하는 주님, 우리와 교제하기를 원하시니 너무 기쁩니다! 성경을 통해 주님을 알게 해주시고 기도를 통해 주님과 대화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기도를 듣는 것을 기뻐하신다.

Daily Article

06/17/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7–9 and ACTS 3
Hymn: 361(old 480)

Time Together

On the two-hour drive home from a family member’s wedding, my mom asked me for the third time what was new in my job. I once again repeated some of the details as if telling her for the first time, while wondering what might possibly make my words more memorable. My mom has Alzheimer’s, a disease that progressively destroys the memory, can adversely affect behavior, and eventually leads to the loss of speech—and more.

I grieve because of my mom’s disease but am thankful she is still here and we can spend time together—and even converse. It thrills me that whenever I go to see her she lights up with joy and exclaims, “Alyson, what a pleasant surprise!” We enjoy each other’s company; and even in the silences when words escape her, we commune together.

This perhaps is a small picture of our relationship with God. Scripture tells us, “The LORD delights in those who fear him, who put their hope in his unfailing love” (PS 147:11). God calls those who believe in Jesus as their Savior His children (JOHN 1:12). And although we may make the same requests over and over again or lack for words, He is patient with us because He has a loving relationship with us. He is happy when we converse with Him in prayer—even when the words escape us.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Psalm 147:1–11
The LORD delights in those who fear him, who put their hope in his unfailing love.
Psalm 147:11

Dear Lord, it thrills us that You want to have a relationship with us! Thank You for the opportunity to learn of You through the Bible and to talk with You in prayer.

God delights to hear from us!

오늘의 말씀

06/16/2017     금요일

성경읽기: 느 4-6; 행 2:22-47
찬송가: 295(통 417)

살아남

아버지가 젊었을 때 다른 도시에서 벌어지는 스포츠 경기를 보기 위해 친구들과 여행을 하다가 차의 타이어가 빗길에 미끄러지면서 아주 큰 사고가 났습니다. 한 친구는 전신마비가 되었고 또 다른 친구는 목숨을 잃었습니다. 아버지도 사망판정을 받고 영안실로 옮겨지고, 충격과 슬픔에 빠진 조부모님이 아버지의 신원확인을 위해 오셨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깊은 혼수상태에서 깨어나셨고, 그들의 슬픔은 기쁨으로 바뀌었습니다.

에베소서 2장에서 바울 사도는 우리가 예수님과 멀어져서 “[우리의] 허물과 죄로 죽었다”(1절)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그러나 “긍휼이 풍성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랑을 인하여 허물로 죽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셨습니다”(4-5절).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가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겨진 것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면에서 우리 모두는 하나님 아버지께 우리의 삶을 빚진 자들입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크신 사랑으로 죄로 죽었던 우리가 그분의 아들을 통해 생명과 목적을 가질 수 있게 해주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10
여러분도 전에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 사람들입니다
에베소서 2:1, 새번역

하나님 아버지, 죄를 이기신 사랑과 죽음을 이기신 생명, 그리고 제 마음을 정복하신 그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제 삶이 주님께 찬양의 감미로운 향기가 되게 해주소서.

우리는 도저히 갚을 수 없는 빚을 졌으나, 빚과 상관없는 예수님께서 그 빚을 대신 갚아주셨다.

Daily Article

06/16/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4–6 and ACTS 2:22–47
Hymn: 295(old 417)

Made Alive

As a young man, my dad was traveling with a group of friends to an out-of-town sporting event when the tires of their car slipped on the rain-soaked roads. They had an accident—a bad accident. One of his friends was paralyzed and another was killed. My dad was declared dead and taken to the morgue. His shocked and grief-stricken parents came to identify him. But my dad revived from what turned out to be a deep coma. Their mourning turned to joy.

In Ephesians 2, the apostle Paul reminds us that apart from Christ we are “dead in [our] transgressions and sins” (V 1). But because of his great love for us, “God, who is rich in mercy, made us alive with Christ even when we were dead in transgressions” (VV 4–5). Through Christ we have been brought from death to life.

So in every sense, we all owe our life to the Father in heaven. Through His great love, He has made it possible for those of us who were dead in sin to have life and purpose through His Son.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Ephesians 2:1–10
You were dead in your transgressions and sins.
Ephesians 2:1

Thank You, Father, for love that conquers sin, life that conquers death, and grace that has conquered my heart. May my life be a sweet aroma of praise to You.

We owed a debt we could not pay, but Jesus paid the debt He did not owe.

오늘의 말씀

06/15/2017     목요일

성경읽기: 느 1-3; 행 2:1-21
찬송가: 475(통 272)

평안의 매는 줄

의견이 다른 어떤 일로 친구에게 이메일을 보내 따졌는데 그 친구에게서 아무 대꾸가 없었습니다. 내가 지나쳤던 것일까요? 친구를 계속 다그쳐서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싶지는 않았지만, 그녀가 해외여행을 떠날 때까지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내버려두고 싶지도 않았습니다. 그 후 며칠 동안 친구가 생각날 때마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는 몰랐지만 그녀를 위해 기도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근처 공원에서 산책할 때 나와 마주치자 고통스러운 표정을 짓는 그녀를 보았습니다. 나는 “주님, 친구와 대화할 수 있게 하셔서 감사합니다.” 하면서 심호흡을 하고 반가운 얼굴로 그녀에게 다가갔습니다. 우리는 솔직하게 대화를 나눈 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때로는 상처나 침묵으로 관계가 악화되어 악화된 관계를 극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기도 합니다. 그러나 바울 사도가 에베소교회에 보낸 서신에서와 같이, 하나님께서 관계를 회복시켜주시기를 간구할 때 우리는 부르심을 받은 대로 온유와 겸손과 오래 참음으로 옷 입고 성령의 도우심으로 화목과 하나 됨을 위해 힘써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 되기를 바라십니다. 하나님은 때로는 우리가 공원을 산책할 때 성령을 통해 생각지도 않게 주님의 사람들을 만나게 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6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
에베소서 4:3

어떤 상황에서 예상치도 못했는데 하나님이 일하시는 것을 경험해본적이 있습니까? 오늘 평안과 하나 됨을 위해 어떻게 일해야 할까요?

하나님은 믿는 자들이 하나 되기를 원하신다.

Daily Article

06/15/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3 and ACTS 2:1–21
Hymn: 475(old 272)

The Bond of Peace

After I confronted my friend by email over a matter on which we had differed, she didn’t respond. Had I over- stepped? I didn’t want to worsen the situation by pestering her, but neither did I want to leave things unresolved before she went on a trip overseas. As she popped into my mind throughout the following days, I prayed for her, unsure of the way forward. Then one morning I went for a walk in our local park and saw her, pain etched on her face as she glimpsed me. “Thank you, Lord, that I can talk to her,” I breathed as I approached her with a welcoming smile. We talked openly and were able to resolve matters.

Sometimes when hurt or silence intrudes on our relationships, mending them seems out of our control. But as the apostle Paul says in his letter to the church at Ephesus, we are called to work for peace and unity through God’s Spirit, donning the garments of gentleness, humility, and patience as we seek God’s healing in our relationships. The Lord yearns for us to be united, and through His Spirit He can bring His people together—even unexpectedly when we go walking in the park.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phesians 4:1–6
Make every effort to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through the bond of peace.
Ephesians 4:3

Have you experienced an unexpected encounter that revealed God working in a situation? How might you work toward peace and unity today?

God desires unity among believers.

오늘의 말씀

06/14/2017     수요일

성경읽기: 스 9-10; 행 1
찬송가: 440(통 497)

은혜의 리듬

결혼한 지 66년 된 구십 대 초반의 한 친구 부부는 그들의 자녀와 손주들, 그리고 뒤이어 올 후손들을 위해 가족의 역사를 기록했습니다. “엄마와 아빠로부터의 편지”라고 제목이 붙은 마지막 장에는 그들이 배운 삶의 중요한 교훈들이 들어 있습니다. 그중 한 가지가 나로 잠시 내 삶을 돌아보게 해주었습니다. “만약에 기독교 신앙이라는 것이 너희를 피곤하게 하고 힘들게 한다면, 너희는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누린다기보다는 그저
종교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너희가 주님과 동행한다면 지치지 않고 활력이 생기며 강하게 되고 삶이 활기차게 될 것이다”(마태복음 11:28-29).

유진 피터슨은 이 구절 안에 있는 예수님의 초청의 말씀을 이렇게 풀어서 썼습니다. “너희가 피곤하고 지쳤느냐? 종교생활에 탈진했느냐?......나와 함께 걷고 나와 함께 일하여라......자연스런 은혜의 리듬을 배워라”(메시지 성경).

하나님을 섬길 때 전적으로 나 혼자의 힘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나는 주님과 동행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을 위해 일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거기에는 아주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내가 주님과 동행하지 않으면 영적으로 메말라가고 깨어지기 쉬우며, 사람들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동료라기보다는 귀찮은 존재가 되어버립니다. 모든 것이 못마땅해 보입니다.

우리가 예수님과의 관계를 기쁨으로 누리는 것이 아니라 종교생활을 한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때가 바로 모든 짐을 내려놓고 주님의 “자연스러운 은혜의 리듬”에 맞추어 주님과 동행해야 할 때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1:25-30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리하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
마태복음 11:29

주 예수님, 오늘 내 열심으로만 하던 것을 주님의 은혜의 길과 바꾸려고 주님께로 나아옵니다.

예수님은 우리와 동행하기를 원하신다.

Daily Article

06/14/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9–10 and ACTS 1
Hymn: 440(old 497)

Rhythms of Grace

A friend and his wife, now in their early nineties and married for sixty-six years, wrote their family history for their children, grandchildren, and generations to come. The final chapter, “A Letter from Mom and Dad,” contains important life-lessons they’ve learned. One caused me to pause and take inventory of my own life: “If you find that Christianity exhausts you, draining you of your energy, then you are practicing religion rather than enjoying a relationship with Jesus Christ. Your walk with the Lord will not make you weary; it will invigorate you, restore your strength, and energize your life” (MATT 11:28–29).

Eugene Peterson’s paraphrase of Jesus’s invitation in this passage begins, “Are you tired? Worn out? Burned out on religion? . . . Walk with me and work with me. . . . Learn the unforced rhythms of grace” ( THE MESSAGE ).

When I think that serving God is all up to me, I’ve begun working for Him instead of walking with Him. There is a vital difference. If I’m not walking with Christ, my spirit becomes dry and brittle. People are annoyances, not fellow humans created in God’s image. Nothing seems right.

When I sense that I’m practicing religion instead of enjoying a relationship with Jesus, it’s time to lay the burden down and walk with Him in His “unforced rhythms of grace.”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Matthew 11:25–30
Take my yoke upon you and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humble in heart, 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 souls.
Matthew 11:29

Lord Jesus, I come to You today to exchange my frenzied work for Your pathway of grace.

Jesus wants us to walk with Him.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