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03/2017     월요일

성경읽기: 욥 25-27; 행 12
찬송가: 369(통 487)

분열을 없애기

원고 마감이 급박하게 다가오고 있는데, 그날 아침에 남편과 벌인 언쟁이 마음속에 소용돌이치고 있었습니다. 나는 손가락을 자판에 올려놓은 채 깜빡이는 커서를 멍하니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남편도 잘못했어요. 주님.’

컴퓨터 화면이 꺼지면서 찌푸린 내 모습이 화면에 비쳤습니다. 내가 인식하지 못했던 나의 잘못들이 내 앞의 일을 심하게 방해하고 있었습니다. 그 잘못들이 하나님과 남편, 그리고 나 사이의 관계를 불편하게 만들고 있었습니다.

나는 휴대폰을 잡고 자존심을 삼키며 남편에게 용서를 구했습니다. 남편 역시 사과를 했습니다. 나는 화해가 주는 평안을 맛보며 하나님께 감사를 드렸고 원고도 시간 안에 마쳤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개인의 죄로 인해 고통과 회복의 기쁨을 경험했습니다. 여호수아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여리고 전투에서 자신들의 부를 취하지 말라고 경고했으나(여호수아 6:18), 아간이 전리품을 훔쳐서 자신의 장막에 숨겼습니다(7:1). 그의 죄가 드러나고 해결된 후에야(4-12절) 비로소 백성들은 하나님과 화해하는 기쁨을 누렸습니다.

아간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죄를 장막 안에 감추는 것”이 얼마나 우리의 마음을 하나님으로부터 돌아서게 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주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항상 깊이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예수님을 주님으로 시인하고, 우리의 죄를 인정하며 용서를 구하는 것은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과 건강하고 신실한 관계를 맺는 초석이 됩니다. 사랑의 창조주이시며 지탱해주시는 그분께 매일 순종함으로, 우리는 그분을 섬길 수 있고 그분의 임재를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여호수아 7:1-12
그 온전히 바친 물건을 너희 중에서 멸하지 아니하면 내가 다시는 너희와 함께 있지 아니 하리라
여호수아 7:12

주님, 우리가 죄를 깨닫고, 고백하며, 죄로부터 돌아서도록 도우셔서 주님과 다른 사람들과 사랑의 관계를 성장시켜 나가게 해주소서.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과,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친밀함을 파괴하는 우리의 죄로 물든 마음을 정화시켜 주신다.

Daily Article

07/03/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5–27 and ACTS 12
Hymn: 369(old 487)

Destroying the Divides

A writing deadline loomed over me, while the argument I had with my husband earlier that morning swirled through my mind. I stared at the blinking cursor, fingertips resting on the keyboard. He was wrong too, Lord .

When the computer screen went black, my reflection scowled. My unacknowledged wrongs were doing more than hindering the work before me. They were straining my relationship with my husband and my God.

I grabbed my cell phone, swallowed my pride, and asked for forgiveness. Savoring the peace of reconciliation when my spouse apologized as well, I thanked God and finished my article on time.

The Israelites experienced the pain of personal sin and joy of restoration. Joshua warned God’s people not to enrich themselves in the battle for Jericho (JOSH 6:18), but Achan stole captured items and hid them in his tent (7:1). Only after his sin was exposed and dealt with (VV 4–12) did the nation enjoy reconciliation with their God.

Like Achan, we don’t always consider how “tucking sin into our tents” turns our hearts from God and impacts those around us. Acknowledging Jesus as Lord, admitting our sin, and seeking forgiveness provides the foundation for healthy and faithful relationships with God and others. By submitting to our loving Creator and Sustainer daily, we can serve Him and enjoy His presence—together.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Joshua 7:1–12
I will not be with you anymore unless you destroy whatever among you is devoted to destruction.
Joshua 7:12

Lord, please help us recognize, confess, and turn away from our sin, so that we can nurture loving relationships with You and others.

God can purge our hearts of the sin that destroys our intimacy with Him and others.

오늘의 말씀

07/02/2017     주일

성경읽기: 욥 22-24; 행 11
찬송가: 341(통 367)

지름길을 택하는 것

낸시는 차를 마시며 친구 집의 창문을 통해 밖을 바라보다가 한숨을 쉬었습니다. 바깥 화단에는 잘 정돈된 백합, 오랑캐꽃, 붓꽃, 그리고 달맞이꽃이 봄비와 햇살을 만나서 다채로운 색을 끌어내고 있었습니다.

낸시는 탐내며 말했습니다. “아무런 일도 하지 않고 저런 화단을 가질 수 있다면 좋겠네.”

지름길 중에는 때론 유용하기도 하고 괜찮은 것도 있지만, 우리의 영혼을 단절시키고 삶을 무력하게 만드는 것도 있습니다. 우리는 로맨스를 원하지만 우리와 아주 다른 누군가에게 헌신하는 어려움이나 혼란은 원치 않습니다. 우리는 현실적인 삶이라는 모험에서는 피할 수 없는 위험과 실패를 겪지 않는 “위대함”만을 바랍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기쁘게 해드리기를 바라지만, 그것이 우리를 불편하게 하지 않을 때에 한해서만 그렇게 합니다.

예수님은 주님을 따르는 무리들에게 우리의 삶을 주님께 드리는 힘든 결단을 하지 않아도 되는 지름길은 없다고 분명하게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은 “손에 쟁기를 잡고 뒤를 돌아보는 자는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하지 아니하니라”(누가복음 9:62)라고 미래의 제자에게 경고하셨습니다. 예수님을 따르려면 우리의 충성심에 대한 철저한 변화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믿음으로 예수님을 바라볼 때 변화가 바로 시작됩니다. 그 변화는 너무나 가치 있는 일입니다. 왜냐하면 주님께서 “나와 복음을 위하여 희생한 자들은 현세에 있어......백 배나 받되......내세에 영생을 받지 못할 자가 없느니라”(마가복음 10:29-30)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주님은 우리에게 성령을 주셨고 그 상급은 이제부터 영원까지 지속되는 풍성한 기쁨의 삶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9:57-62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누가복음 9:23

하나님 아버지, 오직 성령님께 의지함으로 하나님께서 제게 맡기신 일을 감당할 힘을 얻겠습니다. 오늘도 그것에 민감하도록 도와주소서.

할 만한 가치 있는 대부분의 일은 하기가 쉽지 않다.

Daily Article

07/02/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2–24 and ACTS 11
Hymn: 341(old 367)

Taking Shortcuts

Sipping her tea, Nancy gazed out her friend’s window and sighed. Spring rains and sunshine had coaxed a riotous expanse of color from a well-groomed flowerbed of lilies, phlox, irises, and evening primrose.

“I want that look,” she said wistfully, “without all the work.”

Some shortcuts are fine—even practical. Others short-circuit our spirit and deaden our lives. We want romance without the difficulties and messiness of committing to someone so different from ourselves. We want “greatness” without the risks and failures necessary in the adventure of real life. We desire to please God, but not when it inconveniences us.

Jesus made clear to His followers that there is no shortcut that avoids the hard choice of surrendering our lives to Him. He warned a prospective disciple, “No one who puts a hand to the plow and looks back is fit for service in the kingdom of God” (LUKE 9:62). To follow Christ requires a radical altering of our loyalties.

When we turn in faith to Jesus, the work just begins. But it is oh-so-worth-it, for He also told us that no one who sacrifices “for me and the gospel will fail to receive a hundred times as much in this present age . . . and in the age to come eternal life” (MARK 10:29–30). The work of following Christ is difficult, but He’s given us His Spirit and the reward is a full, joyful life now and forever.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uke 9:57–62
Whoever wants to be my disciple must deny themselves and take up their cross daily and follow me.
Luke 9:23

Father, I will find the strength to do the work You have for me to do, only as I rely on Your Holy Spirit. Help me, please, to be sensitive to that today.

Most things worth doing are difficult.

오늘의 말씀

07/01/2017     토요일

성경읽기: 욥 20-21; 행 10:24-48
찬송가: 436(통 493)

집 청소

최근에 나는 세 들어 살고 있는 집의 다른 방으로 방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엄청나게) 어질러진 물건들을 그대로 새 방으로 옮길 수 없었기 때문에 방을 옮기는 일이 생각보다 오래 걸렸습니다. 나는 완전히 새롭고 정돈된 상태로 다시 시작하고 싶었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청소하고 정리정돈을 하고 나니, 버리고 기부하고 재활용할 짐 보따리가 문 앞에 쌓였습니다. 이렇게 힘든 과정의 결과 아름다운 방이 생겼고, 그 방에서 지낼 것을 생각하니 내 마음이 들떴습니다.

방 청소를 하고 나서 메시지 성경의 베드로전서 2장 1절 말씀을 읽을 때 이 구절이 나에게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왔습니다. “그러므로 집을 청소하십시오! 악의와 위선, 시기와 악담을 말끔히 쓸어내십시오.” 흥미롭게도 베드로는 그들이 주 안에서 사는 새로운 삶에 대한 기쁨을 고백한(1:1-12) 후에 악습을 버리라고 권면합니다(1:13-2:3). 주님과 동행하면서 뭔가 혼란스럽다고 느끼거나 이웃을 향한 사랑이 이제 부담으로 느껴질 때, 그것 때문에 구원을 의심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구원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구원 받았기 때문에 우리 삶을 바꿔나가는 것입니다(1:23).

그리스도 안에서 얻은 새 삶이 아무리 생생하게 느껴진다 해도 몸에 밴 나쁜 습관들이 하루밤 사이에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온전히 사랑하고(1:22), 성장하지(2:2) 못하도록 방해하는 모든 것들을 버리기 위해 우리는 매일 “집 청소”를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그 새롭고 깨끗해진 공간에 비로소 그리스도가 주시는 능력과 생명으로 새롭게 세워지는 놀라운 일들을 경험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22-2:5
그러므로 모든 악독과 모든 기만과 외식과 시기와 모든 비방하는 말을 버리고
베드로전서 2:1

하늘에 계신 아버지!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해 우리 안에 세우시는 새로운 삶에 감사드립니다. 청결하고 새롭게 되기 위해 매일 주님을 바라보도록 도와주소서.

매일 우리는 예수님 안에서 악습을 버리고 새로운 삶을 경험할 수 있다.

Daily Article

07/01/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0–21 and ACTS 10:24–48
Hymn: 436(old 493)

Cleaning House

Recently, I switched rooms in the home I rent. This took longer than expected, because I didn’t want to simply transfer my (extensive) mess to a new room; I wanted a completely fresh and uncluttered start. After hours and hours of cleaning and sorting, bags of stuff sat by the front door to be thrown away, donated, or recycled. But at the end of this exhausting process was a beautiful room I was excited to spend time in.

My housecleaning project gave me a fresh perspective when reading 1 Peter 2:1, as paraphrased in The Message : “So, clean house! Make a clean sweep of malice and pretense, envy, and hurtful talk.” Interestingly, it’s after a joyful confession of their new life in Christ (1:1–12) that Peter urges them to throw away destructive habits (1:13–2:3). When our walk with the Lord feels cluttered and our love for others feels strained, this shouldn’t cause us to question our salvation. We don’t change our lives to be saved, but because we are (1:23).

As real as our new life in Christ is, bad habits learned do not disappear overnight. So, on a daily basis, we need to “clean house,” throwing away all that prevents us from fully loving others (1:22) and growing (2:2). Then, in that new, clean space, we can experience the wonder of being freshly built (V 5) by Christ’s power and life. - MONICA BRANDS

Today's Reading

1 Peter 1:22–2:5
Rid yourselves of all malice and all deceit, hypocrisy, envy, and slander of every kind.
1 Peter 2:1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the new life You are building in us through our Lord Jesus. Help us to daily turn to You for cleansing and renewal.

Every day we can reject destructive habits and experience new life in Jesus.

오늘의 말씀

06/30/2017     금요일

성경읽기: 욥 17-19; 행 10:1-23
찬송가: 527(통 317)

번창할 시간

지난 봄에 나는 집 뒷문 곁에 있는 장미나무를 베어버리려고 마음먹었습니다. 우리가 그 집에서 3년을 사는 동안 그 나무는 꽃을 제대로 피우지도 못했고 이제는 꽃도 맺지 못하는 가지들이 온 사방으로 뻗어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좀 바빠진 관계로 정원일이 지연되었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다행이었습니다. 불과 몇 주 후에 그 나무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르게 꽃을 활짝 피우기 시작했습니다. 향기가 가득한 커다란 하얀 꽃들이 수백 개나 뒷문을 넘어 뒤뜰에 가득히 피었고 땅바닥에는 아름다운 꽃잎들이 가득 뿌려졌습니다.

나는 장미나무가 이렇게 회복된 모습을 보며 누가복음 13:6-9에 나오는 예수님의 무화과나무 비유를 생각했습니다. 이스라엘에서는 무화과나무를 심고 열매를 맺을 때까지 3년을 기다리는 것이 관습이었습니다. 그래도 열매를 맺지 못하면 잘라버리고 그 땅에 다른 것을 심었습니다. 예수님의 비유에서 과수원지기는 주인에게 어떤 한 나무가 과실을 맺도록 1년을 더 참아달라고 부탁합니다. 그 비유의 전후 관계를 보면(1-5절),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들이 살아야 할 도리대로 살지 않았고, 하나님은 그들을 마땅히 심판하실 수도 있었지만, 참으시고 그들이 하나님께로 돌아와 죄를 용서 받고 활짝 필 시간을 더 주셨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모두가 번창하기를 원하시며 그렇게 하라고 시간을 더 주셨습니다. 우리가 아직도 믿음을 찾아 나아가고 있든지, 아니면 믿지 않는 가족과 친구들을 위해 기도하고 있든지, 그분의 오래 참으심은 우리 모두에게 좋은 소식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3:1-9
대답하여 이르되 주인 이여 금년에도 그대로 두소서 내가 두루 파고 거름을 주리니
누가복음 13:8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 그가 내 안에, 내가 그 안에 거하면 사람이 열매를 많이 맺나니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 것도 할 수 없음이라. 요한복음 15:5

하나님은 이 세상에 그분이 베푸신 용서에 반응할 충분한 시간을 주셨다.

Daily Article

06/30/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17–19 and ACTS 10:1–23
Hymn: 527(old 317)

Time to Flourish

Last spring I decided to cut down the rose bush by our back door. In the three years we’d lived in our home, it hadn’t produced many flowers, and its ugly, fruitless branches were now creeping in all directions.

But life got busy, and my gardening plan got delayed. It was just as well—only a few weeks later that rose bush burst into bloom like I’d never seen before. Hundreds of big white flowers, rich in perfume, hung over the back door, flowed into our yard, and showered the ground with beautiful petals.

My rose bush’s revival reminded me of Jesus’s parable of the fig tree in Luke 13:6–9. In Israel, it was customary to give fig trees three years to produce fruit. If they didn’t, they were cut down so the soil could be better used. In Jesus’s story, a gardener asks his boss to give one particular tree a fourth year to produce. In context (VV 1–5), the parable implies this: the Israelites hadn’t lived as they should, and God could justly judge them. But God is patient and had given extra time for them to turn to Him, be forgiven, and bloom.

God wants all people to flourish and has given extra time so that they can. Whether we are still journeying toward faith or are praying for unbelieving family and friends, His patience is good news for all of us.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Luke 13:1–9
"Sir," the man replied, "leave it alone for one more year, and I'll dig around it and fertilize it."
Luke 13:8

I am the vine; you are the branches. If you remain in me and I in you, you will bear much fruit; apart from me you can do nothing. JOHN 15:5

God has given the world extra time to respond to His offer of forgiveness.

오늘의 말씀

06/29/2017     목요일

성경읽기: 욥 14-16; 행 9:22-43
찬송가: 449(통 377)

행함이 있는 믿음

친구가 장을 보기 위해 운전해 가던 중, 길가를 따라 걸어가는 한 여인을 보고는 차를 세워 태워줘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친구는 차에 탄 그 여인으로부터 버스값이 없어서 이렇게 무덥고 습한 날씨에 몇 마일을 걸어서 집으로 가고 있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마음이 슬펐습니다. 그 여인은 이렇게 먼 거리를 걸어서 집에 가고 있었을 뿐 아니라, 그날 아침에도 새벽 4시까지 직장에 가느라 몇 시간을 걸었던 것입니다.

내 친구는 오늘의 상황에서 차를 태워주는 것으로 “행함이 없는 믿음은 그 자체가 죽은 것이라”(17절)고 하며 행함으로 믿음을 보이라고 한 야고보의 교훈을 실천했습니다. 야고보는 교회가 과부와 고아를 돌보는 일에 관심을 가지며(야고보서 1:27), 또한 교인들이 빈 말이 아니라 사랑의 행실로 믿음을 실행할 것을 원했습니다.

우리는 행함이 아니라 믿음으로 구원 받습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을 사랑하며 그들의 필요를 채워줄 때 우리가 믿음의 삶을 사는 것입니다. 차를 태워준 내 친구처럼, 우리 모두 이 인생 여정을 함께 걸어가면서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향하여 우리의 눈이 열려져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2:14-26
행함이 없는 네 믿음을 내게 보이라 나는 행함으로 내 믿음을 네게 보이리라
야고보서 2:18

주 예수님, 주님은 저를 위하여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가장 귀한 일을 행하셨습니다. 저에게 생명을 주신 그 희생을 결코 잊지 않게 하소서.

우리는 우리의 선행을 통하여 믿음의 삶을 살아간다.

Daily Article

06/29/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14–16 and ACTS 9:22–43
Hymn: 449(old 377)

Faith in Action

As a friend drove to the grocery store, she noticed a woman walking along the side of the road and felt she should turn the car around and offer her a ride. When she did, she was saddened to hear that the woman didn’t have money for the bus so was walking home many miles in the hot and humid weather. Not only was she making the long journey home, but she had also walked several hours that morning to arrive at work by 4 a.m.

By offering a ride, my friend put into practice in a modern setting James’s instruction for Christians to live out their faith with their deeds: “Faith by itself, if it is not accompanied by action, is dead” (V 17). He was concerned that the church take care of the widows and the orphans (JAMES 1:27), and he also wanted them to rely not on empty words but to act on their faith with deeds of love.

We are saved by faith, not works, but we live out our faith by loving others and caring for their needs. May we, like my friend who offered the ride, keep our eyes open for those who might need our help as we walk together in this journey of life.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ames 2:14–26
Show me your faith without deeds, and I will show you my faith by my deeds.
James 2:18

Lord Jesus Christ, You did the ultimate deed by dying on the cross for me. May I never forget the sacrifice that gives me life.

We live out our faith through our good deeds.

오늘의 말씀

06/28/2017     수요일

성경읽기: 욥 11-13; 행 9:1-21
찬송가: 268(통 202)

끝나지 않은 일들

위대한 예술가 미켈란젤로는 죽을 때에 많은 미완성작품들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그의 조각상들 중 네 가지는 완성할 계획이 전혀 없었던 작품들입니다. 그 작품들은 ‘수염을 기른 노예’, ‘아틀라스 노예’, ‘깨어 있는 노예’, 그리고 ‘어린 노예’ 인데, 그것들은 완성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미켈란젤로가 의도했던 그대로를 보여주는 작품들입니다. 그는 영원히 노예의 굴레에 얽매여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고 싶었던 것입니다.

미켈란젤로는 사슬에 매인 조각상을 만들지 않고 그 조각상을 쪼아 만든 원래의 돌 안에 갇혀 있게 만들었습니다. 몸이 돌에서 나오고는 있지만 완전히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조각상들은 근육에 힘이 들어가 있지만, 결코 자신을 자유롭게 할 수 없습니다.

그 노예 조각상의 모습이 나와 같다는 것을 바로 느낍니다. 그들이 처한 곤경은 내가 죄 때문에 몸부림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나도 나 자신을 자유롭게 하지 못합니다.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에 사로잡힌 죄수”(로마서 7:23)처럼, 나도 그 조각상들처럼 갇혀 있습니다. 아무리 열심히 노력해도 나는 나를 바꿀 수 없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 감사하게도, 당신과 나는 미완성 작품으로 남아 있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천국에 갈 때까지는 온전해지지 않겠지만, 우리가 그때까지 변화시키시는 성령님의 역사를 받아들일 때 그분이 우리를 변화시켜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 안에서 시작하신 착한 일을 이루어주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빌립보서 1:6).

오늘의 성구

로마서 7:14-25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로마서 7:24-25

하나님,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통해 우리를 죄의 노예에서 해방시키시고 새로운 피조물로 만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는 토기장이시고 우리는 진흙이다.

Daily Article

06/28/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11–13 and ACTS 9:1–21
Hymn: 268(old 202)

Unfinished Works

At his death, the great artist Michelangelo left many unfinished projects. But four of his sculptures were never meant to be completed. The Bearded Slave, the Atlas Slave, the Awakening Slave, and the Young Slave, though they appear unfinished, are just as Michelangelo intended them to be. The artist wanted to show what it might feel like to be forever enslaved.

Rather than sculpting figures in chains, Michelangelo made figures stuck in the very marble out of which they are carved. Bodies emerge from the stone, but not completely. Muscles flex, but the figures are never able to free themselves.

My empathy with the slave sculptures is immediate. Their plight is not unlike my struggle with sin. I am unable to free myself: like the sculptures I am stuck, “a prisoner of the law of sin at work within me” (ROM 7:23). No matter how hard I try, I cannot change myself. But thanks be to God, you and I will not remain unfinished works. We won’t be complete until heaven, but in the meantime as we
welcome the transforming work of the Holy Spirit, He changes us. God promises to finish the good work He has begun in us (PHIL 1:6).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Romans 7:14–25
Who will rescue me from this body that is subject to death? Thanks be to God, who delivers me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Romans 7:24-25

God, thank You that You make us new creatures through the work of Your Son Jesus Christ, freeing us from our slavery to sin.

He is the potter; we are the clay.

오늘의 말씀

06/27/2017     화요일

성경읽기: 욥 8-10; 행 8:26-40
찬송가: 366(통 485)

다섯 손가락 기도

기도는 하나님과의 대화이지 어떤 공식이 아닙니다. 하지만 가끔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우리의 기도시간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도할 때 시편이나 (주기도문과 같은) 성경의 다른 구절들을 읊거나, ACTS (Adoration 경배, Confession 고백, Thanksgiving 감사, Supplication 간구)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나는 최근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할 때의 지침으로 아래와 같은 “다섯 손가락 기도”를 알게 되었습니다.

•손을 쥘 때 엄지가 몸에서 가장 가깝습니다. 그러므로 먼저 당신이 사랑하는 가장 가까운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십시오 (빌립보서 1:3-5).
•검지는 가리키는 손가락입니다. 성경교사나 설교자들, 그리고 아이들을 가르치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십시오 (데살로니가전서 5:25).
•그 다음 손가락은 가장 긴 손가락입니다. 그것은 나라의 지도자들과 직장의 상사들을 위해 기도할 것을 상기시켜 줍니다 (디모데전서 2:1-2).
•네 번째 손가락은 보통 가장 약한 손가락입니다. 어려움에 처해 있거나 아픔을 겪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십시오(야고보서 5:13-16).
•그리고 마지막으로 새끼손가락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위대하심에 비해 당신이 얼마나 작은가를 상기시켜줍니다. 하나님께 당신의 필요를 채워달라고 간구하십시오(빌립보서 4:6,19).

그 어떤 방법을 쓰든지 하나님 아버지와 반드시 이야기를 나누십시오. 하나님은 우리 마음속에 있는 것들을 듣기 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5:13-18
서로를 위하여 기도하라
야고보서 5:16

하나님 아버지, 저에게 지혜를 주셔서 다른 이들을 위해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 알게 하소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기도하는 말이 아니라 기도하는 우리 마음의 상태이다.

Daily Article

06/27/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8–10 and ACTS 8:26–40
Hymn: 366(old 485)

Five-Finger Prayers

Prayer is a conversation with God, not a formula. Yet sometimes we might need to use a “method” to freshen up our prayer time. We can pray the Psalms or other Scriptures (such as The Lord’s Prayer), or use the ACTS method (Adoration, Confession, Thanksgiving, and Supplication). I recently came across this “Five-Finger Prayer” to use as a guide when praying for others:

• When you fold your hands, the thumb is nearest you. So begin by praying for those closest to you—your loved ones (PHIL 1:3–5).
• The index finger is the pointer. Pray for those who teach—Bible teachers and preachers, and those who teach children (1 THESS 5:25).
• The next finger is the tallest. It reminds you to pray for those in authority over you—national and local leaders, and your supervisor at work (1 TIM 2:1–2).
• The fourth finger is usually the weakest. Pray for those who are in trouble or who are suffering (JAMES 5:13–16).
• Then comes your little finger. It reminds you of your smallness in relation to God’s greatness. Ask Him to supply your needs (PHIL 4:6, 19).

Whatever method you use, just talk with your Father. He wants to hear what’s on your heart. - ANNE CETAS

Today's Reading

James 5:13–18
Pray for each other.
James 5:16

Father, give me the wisdom to know how to pray for others.

It’s not the words we pray that matter; it’s the condition of our heart.

오늘의 말씀

06/26/2017     월요일

성경읽기: 욥 5-7; 행 8:1-25
찬송가: 478(통 78)

매우 좋다!

가끔 마치 하나의 주제가 계속 이어지는 것 같이 느껴지는 날이 있습니다. 최근에 나에게 그런 날이 있었습니다. 목사님이 창세기 1장에 관한 설교를 시작할 때 꽃들이 활짝 피는 것을 저속 촬영한, 숨 막히게 아름다운 사진들을 2분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집에 와서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수많은 꽃 사진들을 보았습니다. 나중에 숲길을 걷는데 연령초, 눈동이나물, 야생붓꽃 같은 봄철 야생화들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천지창조 셋째 날 꽃과 다양한 여러 식물들을 (그리고 이것들이 자랄 마른 땅도) 창조하셨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날 두 번이나 보시기에 “좋았더라”(창세기 1:10,12)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좋았더라” 라고 두 번 말씀하신 또 다른 유일한 날은 여섯 번째 날입니다(25,31절). 사실 하나님이 사람을 만드시고 그의 작품이 완성된 이 날, 하나님은 그분이 만드신 만물들을 돌아보시고 “보시기에 매우 좋았더라”라고 하셨습니다.

천지창조 이야기에서 우리는 자신의 창조물을 기뻐하는 창조주 하나님을 보는데, 그분은 창조하는 바로 그 일 자체에서도 기쁨을 누린 듯이 보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왜 그렇게 다채롭고 놀라운 다양성을
가진 세상을 계획하신 걸까요? 그리고 하나님은 마지막을 위해 최고의 것을 남겨두셨다가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셨습니다”(27절).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우리는 그분의 아름다운
솜씨를 통해 축복과 영감을 받은 자들입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24-31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창세기 1:31

창조주 하나님, 우리와 하나님의 즐거움을 위해 이렇게 아름다운 세상을 창조하시니 감사합니다. 우리를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드셔서 우리에게도 창조할 수 있는 영감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모든 창조물들은 하나님의 친필 서명을 지니고 있다

Daily Article

06/26/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5–7 and ACTS 8:1–25
Hymn: 478(old 78)

Very Good!

Some days seem to have a theme running through them. Recently I had one of those days. Our pastor began his sermon on Genesis 1 with two minutes of breathtaking, time-lapse photography of blossoming flowers. Then, at home, a scroll through social media revealed numerous posts of flowers. Later on a walk in the woods, the wildflowers of spring surrounded us—trilliums, marsh marigolds, and wild iris.

God created flowers and every other variety of vegetation (and dry ground to grow in), on the third day of creation. And twice on that day, God pronounced it “good” (GEN 1:10, 12). On only one other day of creation—the sixth—did God make that double pronouncement of “good” (VV 25, 31). In fact, on this day when He created humans and His masterpiece was complete, He looked over all He had made and “saw that it was very good!” ( NLT ).

In the creation story, we see a Creator God who delighted in His creation—and seemed to take joy in the very act of creating. Why else design a world with such colorful and amazing variety? And He saved the best for last when He “created mankind in his own image” (V 27). As His image-bearers we are blessed and inspired by His beautiful handiwork.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Genesis 1:24–31
Then God looked over all he had made, and he saw that it was very good!
Genesis 1:31 NLT

Dear Creator God, thank You for creating the world in all its beauty for our enjoyment—and Yours. Thank You too for making us in Your image so that we would be inspired to create.

All creation bears God’s autograph.

오늘의 말씀

06/25/2017     주일

성경읽기: 욥 3-4; 행 7:44-60
찬송가: 205(통 236)

하나님의 말씀 속에 잠기기

우리 아들 재비어가 막 걷기 시작한 아기 때에 몬테레이만 수족관으로 가족 소풍을 간 적이 있었습니다. 수족관에 들어서자, 나는 공중에 매달린 큰 조형물을 가리키며 “저기 봐, 향유고래가 있네.”라고 말했습니다.

재비어의 눈이 동그래지며 “거대하네요.” 라고 말했습니다.

남편이 나를 돌아보며 “얘가 어떻게 그 말을 알지?”라고 물었습니다. 나는 “우리가 이야기하는 걸 들었겠죠.” 라고 어깨를 으쓱이며 말했지만, 의도적으로 가르친 적이 전혀 없는 단어를 우리 아들이 흡수하고 있다는 사실에 적잖이 놀랐습니다.

신명기 6장에서 하나님은 그의 백성에게 의도적으로 젊은 세대들을 가르쳐 그들로 하여금 성경을 알고 그에 순종하도록 하라고 권면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늘어날수록 그들과 자녀들은 더욱 하나님을 경외하게 되고, 그분을 친밀히 알며 그분을 온전히 사랑하고 순종하며 따를 때 주어지는 보상을 더욱 누리게 될 것이었습니다(2-5절).

의도적으로 성경말씀을 우리의 마음과 생각 속에 채워두면(6절), 일상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사랑과 진리를 자녀들과 나눌 준비를 잘 하는 것이 됩니다(7절). 또한 우리가 먼저 본을 보이며 지도하면 젊은 세대들이 변치 않는 하나님의 진리의 권위와 타당성을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그들을 준비시키고 격려할 수 있습니다(8-9절).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의 마음에서 우리의 입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나올 때, 우리는 강력한 믿음의 유산을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줄수 있습니다(4:9).

오늘의 성구

신명기 6:1-9
오늘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신명기 6:6-7

.

우리가 어떤 말들을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우리가 하는 말이나 삶의 원칙 으로 삼는 말, 그리고 주위 사람들에게 전하는 말들이 결정된다.

Daily Article

06/25/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4 and ACTS 7:44–60
Hymn: 205(old 236)

Soaking Up God’s Word

When our son Xavier was a toddler, we took a family trip to the Monterey Bay Aquarium. As we entered the building, I pointed to a large sculpture suspended from the ceiling. “Look. A humpback whale.” Xavier’s eyes widened. “Enormous,” he said.

My husband turned to me. “How does he know that word?”

“He must have heard us say it.” I shrugged, amazed that our toddler had soaked up vocabulary we’d never intentionally taught him.

In Deuteronomy 6, God encouraged His people to be intentional about teaching younger generations to know and obey the Scriptures. As the Israelites increased their knowledge of God, they and their children would be more likely to grow in reverence of Him and to enjoy the rewards that come through knowing Him intimately, loving Him completely, and following Him obediently (VV 2–5).

By intentionally saturating our hearts and our minds with Scripture (V 6), we will be better prepared to share God’s love and truth with children during our everyday activities (V 7). Leading by example, we can equip and encourage young people to recognize and respect the authority and relevance of God’s unchanging truth (VV 8–9).

As God’s words flow naturally from our hearts and out of our mouths, we can leave a strong legacy of faith to be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4:9).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Deuteronomy 6:1–9
These commandments that I give to you today are to be on your hearts. Impress them on your children
Deuteronomy 6:6-7

.

The words we take in determine the words we speak, live by, and pass on to those around us.

오늘의 말씀

06/24/2017     토요일

성경읽기: 욥 1-2; 행 7:22-43
찬송가: 216(통 356)

섬기는 자로 여기에

우리 교회에서 새로운 리더들을 임명할 때가 되었습니다. 섬기는 리더로서의 역할을 상징하기 위해서 교회의 장로님들이 기억에 남을 세족식을 행하였습니다. 목사님을 포함한 각 리더는 회중들이 보는 앞에서 서로의 발을 씻어주었습니다.

그 세족식은 요한복음 13장에 기록된바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보여주신 본을 따른 것입니다. 최후의 만찬이 있던 그날 저녁에 예수님은 “저녁 잡수시던 자리에서 일어나......대야에 물을 떠서 제자들의 발을 씻으셨습니다”(요한복음 13:4-5) 나중에 예수님은 왜 이 일을 하셨는지 설명하시면서, “종이 주인보다 크지 못하고 보냄을 받은 자가 보낸 자보다 크지 못하다”(16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또한 “나는 섬기는 자로 너희 중에 있노라”(누가복음 22:27)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만약 그런 비천한 일을 하는 것이 예수님의 품위을 떨어뜨리는 것이 아니라면, 다른 이들을 섬기는 일도 우리의 품위를 떨어뜨리지 않습니다. 주님은 정말 우리 모두에게 놀라운 모범을 보여주셨습니다.
진실로 주님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러”(마가복음 10:45) 오셨습니다. 주님은 우리에게 리더이자 종이 되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보여주셨습니다. 그것은 바로 섬기는 분 예수님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3:3-17
[예수께서] 대야에 물을 떠서 제자들의 발을 씻으시고 그 두르신 수건으로 닦기를 시작하여
요한복음 13:5

사랑하는 주님, 다른 이들을 섬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저를 인도하셔서 개인적인 관심이나 욕망을 제쳐두고 힘든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게 하소서.

그리스도를 위해 하는 행동은 어느 것도 결코 작지 않다.

Daily Article

06/24/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1–2 and ACTS 7:22–43
Hymn: 216(old 356)

Here to Serve

It was time for our church to commission a new group of leaders. To symbolize their roles as servant-leaders, the church elders participated in a memorable foot-washing ceremony. Each of the leaders—including the pastor—washed each other’s feet as the congregation observed them.

What they did that day was modeled for us by Jesus Christ, as recorded in John 13. In that incident, which happened at what is called the Last Supper, Jesus “got up from the meal, . . . poured
water into a basin and began to wash his disciples’ feet” (JOHN 13:4–5). Later, as Jesus was explaining to His disciples why He had done this, He said, “No servant is greater than his master, nor is a messenger greater than the one who sent him” (V 16). He also said, “I am among you as one who serves” (LUKE 22:27).

If it is not below Jesus’s dignity to do such a lowly task, it is not below any of us to serve others. What an amazing example He set for all of us. Indeed, He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 (MARK 10:45). He showed us what it means to be a leader and a servant. That’s Jesus, the One who serves. - DAVE BRANON

Today's Reading

John 13:3–17
[Jesus] poured water into a basin and began to wash his disciples' feet.
John 13:5

Dear Lord, help me serve others. Guide me to set aside my personal interests and desires to provide help to those who need it.

No deed is small when done for Christ.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