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02/2025     목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4-6; 마태복음 2
찬송가: 346(통398)

태풍 피해 속에 숨겨진 하나님의 약속

허리케인 로라가 멕시코만을 지나 미국 루이지애나의 해안으로 향할 때 발령된 경보는 참으로 심각했습니다. 시속 150마일의 강풍을 목격한 한 경찰은 주민들에게 이런 충격적인 메시지를 전송했습니다. “대피하십시오. 만약 집에 머물러 있으려면 우리가 여러분을 찾지 못할 수도 있으니,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 비상 연락처를 적어 비닐백으로 싸서 당신 주머니 안에 넣어 두세요. 그러나 이런 일이 없기를 기도합니다.” 허리케인 로라가 상륙하면 구조대원들은 그 어마어마한 파괴력을 손 놓고 지켜볼 수밖에 없다는 경고였습니다.

구약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자연재해나 영적 재앙에 직면할 때마다, 하나님의 말씀은 그보다 훨씬 확실한 소망을 주셨고, 파멸 가운데서도 주께서 함께하실 것을 약속했습니다. 하나님은 그 땅의 “모든 황폐한 곳들을 위로하여... 그 광야를 여호와의 동산 같게”(이사야 51:3) 하시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나아가 하나님께서는 백성들이 주를 믿기만 하면 반드시 구원과 회복이 뒤따를 것임을 약속하신 것입니다. “하늘이 연기 같이 사라질지라도...구원은 영원히 있고”라고 하셨습니다(6절). 어떤 피해가 닥치더라도 백성들을 향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선하심은 영원히 변치 않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모든 고난을 막아 주시지는 않지만, 재난을 극복한 회복을 약속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1:1-6
하늘이 연기 같이 사라지고... 나의 구원은 영원히 있고
[이사야 51:6]

당신은 어떤 재앙이나 재난을 겪고 있습니까? 재난 이후에도 함께하며, 치유하고, 회복하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어떻게 들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이 폐허는 너무도 참혹합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주님의 약속이 믿기지 않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믿겠습니다.

Daily Article

01/02/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6; MAT THEW 2
Hymn: 346(old 398)

GOD’S PROMISE BEYOND THE RUINS

As Hurricane Laura raged through the Gulf of Mexico toward the US coastline of Louisiana, the warnings were dire. One sheriff, noting the 150-mile-per-hour winds, issued this jolting message: “Please evacuate. But if you choose to stay and we can’t get to you, write your name, address, social security number, and next of kin and put it in a Ziploc bag in your pocket. Praying that it does not come to this.” Rescue crews knew that once Laura hit land, they could only watch the storm’s destructive path—helpless in its wake.

Whenever God’s people in the Old Testament faced natural or spiritual calamity, His words were far more certain and hopeful, promising His presence despite destruction. He said that He would “look with compassion on all her ruins; [and would] make her wastelands . . . like the garden of the Lord” (ISAIAH 51:3). And more, God always assured His people of the rescue and healing that would certainly follow if they would only trust Him. Even though “the heavens [would] vanish like smoke,” God said, His “salvation [would] last forever” (V. 6). Whatever the damage, His ultimate goodness toward them wouldn’t be thwarted, ever.

God doesn’t safeguard us from hardship, but He does promise that His restorative healing extends far beyond the ruin.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SAIAH 51:1-6
The heavens will vanish like smoke . . . .But my salvation will last forever.
[ ISAIAH 51:6 ]

Where are you facing calamity and ruin? How do you hear God’s promise to be with you, to heal and rebuild after the ruins?

Dear God, the ruins are so devastating.
I’m not sure I can believe that You have a promise big enough for this. But I choose to believe.

오늘의 말씀

01/01/2025     수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3; 마태복음 1
찬송가: 497(통274)

예수님 이야기

케이트 행키는 널리 알려진 인물은 아니지만, 매우 특별한 여성이었습니다. 1800년대, 영국에서 교사, 전도자, 교육 행정가, 선교사, 그리고 시인으로 활동했던 이 분은 예수님을 신실하게 섬겼습니다. 1867년, 케이트는 심각한 병에 걸렸고, 회복 중에 “내가 듣고 싶은 이야기”와 “내가 들은 이야기”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장문의 시를 썼습니다. 이 시는 예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와 그분의 삶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매우 사적인 이야기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

성경 전체는 예수님에 집중하며 예수님의 이야기를 증거합니다. 요한은 자신의 서신 앞머리에 제자들이 각자 어떻게 예수님을 경험했는지에 대해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눈으로 본 바요 자세히 보고 우리의 손으로 만진 바라”(요한1서 1:1). 사도들은 예수님을 직접 경험했기 때문에 예수님을 증거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생명이 나타나신 바 된지라 이 영원한 생명을 우리가 보았고 증언하여 너희에게 전하노니”(2절). 이후 요한은 “하나님의 말씀이 너희 안에 거하시며”(2:14)라는 놀라운 표현을 썼습니다. 다시 말해, 예수님의 이야기가 우리 각자의 이야기이기도 한 것입니다. 우리는 그렇게 예수님과의 개별적 경험을 바탕으로 그리스도를 전하라는 부름을 받은 것입니다.

케이트 행키가 시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일은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이 두 편의 시는 훗날 우리가 즐겨 부르는 “주 예수 넓은 사랑”과 “주 예수 크신 사랑”이라는 두 찬송가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도 케이트처럼 예수님에 대한 간증을 자신의 말로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주께서 특별한 방식으로 우리를 사랑하시고 찾아오시고 구원하신 것처럼 말이죠.

오늘의 성구

요한1서 1:1-5
이 생명이 나타내신 바 된지라 이 영원한 생명을 우리가 보았고 증언하여 너희에게 전하노니
[요한1서 1:2]

당신에게는 예수님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까?
주께서 어떻게 당신에게 찾아오셨고, 어떻게 당신을 구원하셨나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를 구원해 주시고 제 삶에 주의 사랑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1/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3; MAT THEW 1
Hymn: 497(old 274)

THE JESUS STORY

Most people have never heard of Kate Hankey, but she was a remarkable woman. A teacher, evangelist, school organizer, missionary, and poet, she faithfully served Jesus in 1800s England. In 1867, Kate contracted a serious illness. During her recovery, she penned a lengthy poem in two parts: “The Story Wanted” and “The Story Told.” The poem expresses in a very personal way her relationship with Jesus and the events of His life.

All Scripture points to Jesus and tells His story. John begins his epistle reminding readers how they had personally experienced Jesus: “That which . . . we have seen with our eyes, which we have looked at and our hands have touched—this we proclaim” (1 JOHN 1:1). Because of our experience of Him, the apostle writes, we’re telling the Jesus story: “The life appeared; we have seen it and testify to it” (V. 2). Later, John makes the fascinating comment, “The word of God lives in you” (2:14). In other words, the Jesus story is our story too. We’re called to tell the story of Christ in light of our own experience with Him.

This is what Kate Hankey did in her poem. Eventually, the two parts of her poem became these beloved hymns: “I Love to Tell the Story” and “Tell Me the Old, Old Story.” Perhaps we might, like Kate, find our own words and share our Jesus story with others—the unique way in which He loved us, came to us, and rescued us.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1 JOHN 1:1-5
The life appeared; we have seen it and testify to it.
[ 1 JOHN 1:2 ]

What is your story with Jesus?
How did He come to you and rescue you?

Dear Jesus, thank You for rescuing me and doing Your loving work in my life.

오늘의 말씀

12/31/2024     화요일

성경읽기: 말라기 1-4; 요한계시록 22
찬송가: 551(통296)

하나님의 도우시는 손길

영국이 전쟁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1939년, 죠지 6세 왕은 크리스마스 날 라디오 방송을 통해 영국과 영연방의 시민들에게 용기를 가지고 하나님을 신뢰하자고 권면했습니다. 왕은 그의 어머니가 소중히 여겼던 시 한 편을 인용하며 “어둠 속으로 나아가 너의 손으로 하나님의 손을 잡으라. 그것이 네게 빛보다 나을 것이요, 잘 아는 길보다 안전할 것이다.” 라고 했습니다. 그는 새해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몰라도 하나님께서 그들을 염려 가운데에서도 “인도하시고 붙잡아주실 것”을 믿었습니다.

하나님의 도우시는 손길이라는 이미지는 이사야서를 포함해 성경 여러 곳에 나타납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처음이요 마지막이신”(이사야 48:12) 창조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거하실 것을 믿으라고 명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과연 내 손이 땅의 기초를 정하였고 내 오른손이 하늘을 폈나니”(13절)라고 말씀하십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신뢰하여야 하며 하나님보다 힘없는 다른 것들을 바라보아서는 안 됩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구속자시요 이스라엘의 거룩한 이”시기 때문입니다(17절).

다가오는 새해를 바라보며 어떤 문제를 만나든지 우리는 죠지 왕과 이사야 선지자가 격려한 것처럼 우리의 소망과 믿음을 하나님께 두어야 합니다. 그럴 때 우리에게도 평강이 강과 같이, “공의가 바다 물결 같이”(18절) 임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8:12-19
과연 내 손이 땅의 기초를 정하였고 내 오른손이 하늘을 폈나니
[이사야 48:13]

새해를 맞으며 하나님께 맡겨 드려야 하는 상황이나 관계가 있습니까?
주님의 도움의 손길은 당신에게 무엇을 의미합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하늘과 땅을 창조하신 주님은 또한 저를 소중히 품어 주십니다. 저는 주님을 믿습니다.

Daily Article

12/31/2024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MALACHI 1-4; REVELATION 22
Hymn: 551(old 296)

THE HAND OF GOD

In 1939, with the recent outbreak of war for Britain, King George VI sought in his Christmas Day radio broadcast to encourage citizens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Commonwealth to put their trust in God. Quoting a poem that his mother found precious, he said: “Go out into the darkness, and put your hand into the Hand of God. / That shall be to you better than light, and safer than a known way.” He didn’t know what the new year would bring, but he trusted God to “guide and uphold” them in the anxious days ahead.

The image of God’s hand appears in many places in the Bible, including in the book of Isaiah. Through this prophet, God called His people to trust that He as their Creator, “the first and . . . the last” (ISAIAH 48:12), would remain involved with them. As He says, “My own hand laid the foundations of the earth, and my right hand spread out the heavens” (V. 13). They should put their trust in Him and not look to those less powerful. After all, He’s their “Redeemer, the Holy One of Israel” (V. 17).

Whatever we face as we look toward the new year, we can follow the encouragement of King George and the prophet Isaiah and place our hope and trust in God. Then, for us too, our peace will be like the river, our “well-being like the waves of the sea” (V. 18).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ISAIAH 48:12-19
My own hand laid the foundations of the earth, and my right hand spread out the heavens.
[ ISAIAH 48:13 ]

As you consider the new year, what situations or relationships could you entrust to God?
How does the image of His hand speak to you?

All-powerful God, You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and yet You cherish me. I place my trust in You.

오늘의 말씀

12/30/2024     월요일

성경읽기: 스가랴 13-14; 요한계시록 21
찬송가: 66(통20)

하나님, 왜 저인가요?

짐은 일 년 넘게 근육신경세포병과 싸우고 있습니다. 근육 신경에 문제가 생기면서 근육을 잃어 갑니다. 소근육 운동을 못해 팔다리도 잘 가누지 못합니다. 더 이상 셔츠의 단추를 채우거나 신발 끈을 묶을 수 없으며 젓가락 사용도 어려워졌습니다. 이런 상황과 씨름하는 짐은 ‘하나님께서 왜 이런 일을 허락하시는지, 그리고 왜 자기냐’고 묻습니다.

짐 뿐만 아니라 예수님을 믿는 많은 다른 성도들이 자신의 질문을 하나님께 가져갔습니다. 시편 13편에서 다윗은 “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나를 영원히 잊으시나이까 주의 얼굴을 나에게서 어느 때까지 숨기시겠나이까 나의 영혼이 번민하고 종일토록 마음에 근심하기를 어느 때까지 하오리까” (1-2절)라고 부르짖었습니다.

우리도 우리의 혼란과 의문을 하나님께 가져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언제까지입니까, 왜 입니까 부르짖는 것을 이해하십니다. 하나님의 최종적인 대답은 예수님과 죄와 사망을 이기신 그의 승리 안에서 우리에게 이미 주어졌습니다.

우리는 십자가와 빈 무덤을 바라보며 하나님의 “다함이 없는 사랑”(5절) 을 믿는 확신과 구원의 기쁨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두운 흑암 중에도 우리는 “은덕을 베푸시는 주님을 찬송”할 수 있습니다(6절).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안에서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용서하셨고 우리를 자녀 삼으셨으며 우리의 삶 속에서 그분의 영원하신 선한 목적을 이루고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
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나를 영원히 잊으시나이까
[시편 13:1]

하나님께 가지고 가야 할 질문이 있습니까? 어두운 밤을 지날 때에도 하나님은 자신의 선하심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저를 돌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께서 제 삶을 아름답게 빚어 가시는 것을 믿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30/2024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13-14; REVELATION 21
Hymn: 66(old 20)

WHY ME, GOD?

Jim has been battling a motor neuron disease for more than a year. The neurons in his muscles are breaking down, and his muscles are wasting away. He’s lost his fine-motor skills and is losing his ability to control his limbs. He can no longer button his shirt or tie his shoelaces, and using a pair of chopsticks has become impossible. Jim struggles with his situation and asks, Why is God allowing this to happen? Why me?

He’s in good company with many other believers in Jesus who have brought their questions to God. In Psalm 13, David cries out, “How long, Lord? Will you forget me forever? How long will you hide your face from me? How long must I wrestle with my thoughts and day after day have sorrow in my heart?” (VV. 1-2).

We too can take our confusion and questions to God. He understands when we cry out “How long?” and “Why?” His ultimate answer is given to us in Jesus and His triumph over sin and death.

As we look at the cross and the empty tomb, we gain confidence to trust in God’s “unfailing love” (V. 5) and rejoice in His salvation. Even in the darkest nights, we can “sing the Lord’s praise, for he has been good to [us]” (V. 6). Through our faith in Christ, He’s forgiven our sins, adopted us as His children, and is accomplishing His eternal good purpose in our lives.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PSALM 13
How long, Lord? Will you forget me forever?
[ PSALM 13:1 ]

What questions do you need to bring to God? How has He shown His goodness to you, even in your darkest night?

Loving Father, thank You that You care for me. Please help me to trust that You’re making something beautiful of my life.

오늘의 말씀

12/29/2024     주일

성경읽기: 스가랴 9-12; 요한계시록 20
찬송가: 321(통351)

든든한 건물 짓기

나는 어렸을 때 근처에 건축공사장이 즐비한 오하이오의 한 동네에서 살았습니다. 친구들과 나는 우리의 요새를 만들기 위해 건설현장에 버려진 자투리 자재들을 모아왔습니다. 부모님들의 연장을 빌려 목재를 옮겨와 그 재료들을 가지고 우리가 생각한 대로 만들려고 며칠을 씨름했습니다. 재미는 있었지만 우리가 애써 만든 것은 멋진 현장 건물들에 비해 초라하기만 했습니다. 그리고 오래 가지도 못했습니다.

창세기 11장에는 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가 나옵니다. 사람들이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자”(4절)고 합니다. 이 공사의 큰 문제는 사람들이 자기 “이름을 내기” 위해(4절) 시작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금까지 인간의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사람들은 자신과 자신의 성취를 자랑하기 위해 기념물을 만듭니다. 바벨탑 이야기 후에 성경에서 기록하고 있는 솔로몬의 성전 건축 이야기는 그 동기가 뚜렷이 대비 됩니다. 솔로몬은 “내가 내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려 하오니” (열왕기상 5:5)라고 했습니다.

솔로몬은 자신이 세운 건축물이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을 위한 것이어야 함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런 중요한 교훈에 대하여 솔로몬은 찬송시를 쓰기도 했습니다. 시편 127편은 “여호와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하시면 세우는 자의 수고가 헛되며”(1절)로 시작합니다. 나의 어린 시절 지었던 요새처럼 사람이 만든 것은 오래 가지 못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이름과 하나님을 위한 우리의 소중한 사역은 오래 남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1:1-8
또 말하되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창세기 11:4]

당신은 인생에서 무엇을 건설하고 있습니까?
당신의 삶은 하나님께 어떻게 영광이 되고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주님이 세상을 위해 하시는 일이 아닌 저 자신에게 초점을 맞추었던 날들을 용서하소서.

Daily Article

12/29/2024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9-12; REVELATION 20
Hymn: 321(old 351)

BUILDING WHAT LASTS

When I was a young boy in Ohio, we lived near several construction sites. Inspired by them, my friends and I gathered leftover scraps to build a fort. Borrowing tools from our parents, we hauled wood and spent days trying to make our material serve our purposes. It was fun, but our attempts were poor reflections of the well-constructed buildings around us. They didn’t last long.

In Genesis 11, we encounter a major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Let us build ourselves a city,” said the people, “with a tower that reaches to the heavens” (V. 4). A big problem with this effort was that the people did it to “make a name for ourselves” (V. 4).

This has been a recurring issue for humans; we build monuments to ourselves and our achievements. Later in the biblical narrative, this story is contrasted with Solomon’s motivation for building God’s temple: “I intend, therefore, to build a temple for the Name of the Lord my God” (1 KINGS 5:5).

Solomon understood that what he built needed to point to God and not himself. This was such an important lesson that he even wrote a psalm about it. Psalm 127 opens with “unless the Lord builds the house, the builders labor in vain” (V. 1). Like my childhood fort-building, what we build will not last, but God’s name and what we do for Him has lasting significance.
- MATT LUCAS

Today's Reading

GENE SIS 11:1-8
They said, “Come, let us build ourselves a city, . . . so that we may make a name for ourselves.”
[ GENESIS 11:4 ]

What are you building with your life? How is your life bringing honor to God?

Father, please forgive me for the times I’ve focused on myself and not on what You’re doing in the world.

오늘의 말씀

12/28/2024     토요일

성경읽기: 스가랴 5-8; 요한계시록 19
찬송가: 532(통323)

믿음의 발걸음

존은 직장을 잃고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사회생활의 시작이 아니라 끝에 가까워진 때라 그는 새로운 곳에서 다시 시작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에게 맞는 직장을 위해 기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력서를 다시 쓰고 인터뷰 도움말들을 읽고 수도 없이 전화를 걸었습니다. 몇 주 동안 노력한 결과 그는 좋은 근무여건과 출퇴근이 쉬운 새 직장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의 신실한 순종과 하나님의 공급하심이 완벽한 교차점에서 만났습니다.

이보다 더 극적인 사례는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노예생활을 하던 동안 요게벳(출애굽기 6:20)과 그의 가족에게 있었던 일입니다. 바로가 히브리인의 모든 아들을 나일강에 던지라고 명령했을 때(1:22) 요게벳은 놀랐을 것입니다. 그러나 법을 바꿀 수는 없었지만 하나님께 순종하고 아들을 구하기 위한 몇 단계의 방법이 있었습니다. 요게벳은 믿음으로 아들을 이집트 사람들에게서 숨겼습니다. 그리고 방수가 되는 작은 파피루스 바구니를 만들어 아들을 넣고 “나일강 가 갈대 사이에”(2:3) 두었습니다. 하나님은 기적처럼 요게벳의 아들을 살리기 위해 개입하셨고(5-10절), 나중에 그를 사용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생활에서 구원하셨습니다(3:10).

존과 요게벳은 다른 방법을 사용했지만, 두 이야기 모두 믿음이 가득한 행동을 보여줍니다. 두려움은 우리를 꼼짝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대하거나 바라는 대로 되지는 않을지라도, 믿음은 그 결과에 관계없이 하나님의 선하심을 계속 신뢰할 수 있는 힘을 줍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2:1-10
믿음으로 모세가 났을 때에 그 부모가 아름다운 아이임을 보고 석달 동안 숨겨 왕의 명령을 무서워하지 아니하였으며
[히브리서 11:23]

두려움이나 걱정으로 얼어붙은 자신을 발견할 때가 있습니까?
믿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다음 단계로 나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주님께서 저를 위해 마련하신 길로 신실하게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28/2024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5-8; REVELATION 19
Hymn: 532(old 323)

STEP IN FAITH

John was devastated when he lost his job. Closer to the end of his career than the beginning, he knew it would be hard to start over somewhere new. He started praying for the right job. Then John updated his resume, read interview tips, and made a lot of phone calls. After weeks of applying, he accepted a new position with a great schedule and an easy commute. His faithful obedience and God’s provision had met at the perfect intersection.

A more dramatic instance of this occurred with Jochebed (EXODUS 6:20) and her family during the time of Israel’s enslavement in Egypt. When Pharaoh decreed that all newborn Hebrew sons must be cast into the Nile (1:22), Jochebed must have been terrified. She couldn’t change the law, but there were some steps she could take to obey God and try to save her son. In faith, she hid him from the Egyptians. She made a little, watertight papyrus basket and “put it among the reeds along the bank of the Nile” (2:3). God stepped in to miraculously preserve his life (VV. 5-10) and later used him to deliver all of Israel from slavery (3:10).

John and Jochebed took very different steps, but both stories are marked by faith-filled action. Fear can paralyze us. Even if the result isn’t what we expected or hoped for, faith empowers us to keep trusting in God’s goodness regardless of the outcome.
- KAREN PIMPO

Today's Reading

EXODUS 2:1-10
By faith Moses’ parents hid him . . . and they were not afraid.
[ HEBREWS 11:23 ]

When do you find yourself frozen in fear or worry?
How can you faithfully take the next God-honoring step?

Dear God, please help me faithfully take each step on the path You have for me.

오늘의 말씀

12/27/2024     금요일

성경읽기: 스가랴 1-4; 요한계시록 18
찬송가: 295(통417)

은혜의 행동

‘은혜에 대하여’라는 소설에서 자신과 소원해진 딸을 찾고 싶어하던 데이비드 윙클러에게는 허먼 쉴러가 그를 도울 수 있는 유일한 사람입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데이비드의 딸은 사실 그와 허먼의 아내와의 불륜관계에서 태어난 아이였고, 허먼은 그에게 다시는 연락하지 말라고 경고한 상태였습니다.

그렇게 수십 년이 지나 데이비드는 허먼에게 편지를 보내어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사과를 합니다. 그리고는 이어서 “나는 내 딸에 대해 아는 게 거의 없어 인생에 빈 공간이 있습니다.”라고 하며 딸에 대한 정보를 달라고 간곡히 부탁합니다. 그는 허먼이 과연 자기를 도와줄지 조용히 기다립니다.

우리는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이스라엘 왕은 그의 적들이 기적처럼 자신의 손에 넘겨진 후에 이 질문을 받았습니다(열왕기하 6:8-20). 그는 선지자 엘리사에게 묻습니다. “내 아버지여 내가 치리이까?” 엘리사는 아니라고 말합니다. “떡과 물을 그들 앞에 두어 먹고 마시게 하고 그들의 주인에게로 돌려 보내소서”(21-22절). 이 은혜의 행동으로 이스라엘은 적들과 평화롭게 지내게 됩니다(23절).

허먼은 데이비드의 편지에 답장을 하고 그를 집으로 초대해 음식을 대접합니다. 허먼은 식전 기도를 올리며 “우리 주 예수님, 지난 세월 동안 저와 데이비드를 보살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합니다. 허먼은 데이비드가 딸과 관계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데이비드는 나중에 허먼의 생명을 구해줍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에게 은혜를 베풀면 종종 우리에게 축복으로 돌아옵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6:18-23
대답하되 치지 마소서...떡과 물을 그 앞에 두어 먹고 마시게 하고
[열왕기하 6:22]

다른 사람의 은혜의 행동에 감동을 받은 적이 있나요?
오늘 누구에게 은혜를 보여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오늘 저에게 잘못한 사람들에게 은혜로 대할 수 있는 지혜와 힘을 주소서.

Daily Article

12/27/2024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1-4; REVELATION 18
Hymn: 295(old 417)

ACTS OF GRACE

In the novel About Grace, David Winkler longs to find his estranged daughter, and Herman Sheeler is the only person who can help him. But there’s a hitch. David’s daughter was born from David’s affair with Herman’s wife, and Herman had warned him never to contact them again.

Decades pass before David writes to Herman, apologizing for what he’s done. “I have a hole in my life because I know so little about my daughter,” he adds, begging for information about her. He waits to see if Herman will help him.

How should we treat those who’ve wronged us? The king of Israel faced this question after his enemies were miraculously delivered into his hands (2 KINGS 6:8-20). “Shall I kill them?” he asks the prophet Elisha. No, Elisha says. “Set food and water before them so that they may eat and drink and then go back to their master” (VV. 21-22). Through this act of grace, Israel finds peace with its enemies (V. 23).

Herman replies to David’s letter, invites him to his home and cooks him a meal. “Lord Jesus,” he prays before they eat, “thank you for watching over me and David all these years.” He helps David find his daughter, and David later saves his life. In God’s hands, our acts of grace toward those who’ve wronged us often result in a blessing to us.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2 KINGS 6:18-23
Do not kill them . . . . Set food and water before them so that they may eat and drink.
[ 2 KINGS 6:22 ]

Whose acts of grace have inspired you in the past?
What act of grace could you offer someone today?

Dear Jesus, please give me the wisdom and power today to offer grace to those who’ve wronged me.

오늘의 말씀

12/26/2024     목요일

성경읽기: 학개 1-2; 요한계시록 17
찬송가: 361(통480)

하나님과의 영상통화

2022년은 아내와 나에게 매우 특별한 해였습니다. 여덟 명의 손주 가운데 유일한 손녀인 소피아 애쉴리가 태어난 해이기 때문입니다. 소피아의 조부모님들 얼굴에서 웃음이 떠나질 않았습니다! 우리 아들과 영상통화를 하게 되면 신남은 배가 됩니다. 다른 방에 있더라도 아내의 즐거운 환성이 들려오면 그것은 아내가 소피아를 보고 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만나는 것은 이제 전화 한통이나 클릭 한 번이면 가능합니다.

우리가 보면서 전화로 통화할 수 있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얼굴로 대하는 시간, 곧 하나님의 임재를 의식적으로 알며 기도하는 시간은 늘 있어왔습니다. 시편 27편에서 다윗은 가장 가까운 동맹들의 도움조차도 소용없었던 위기 가운데(10-12절) 했던 기도에서 이렇게 고백합니다. “너희는 내 얼굴을 찾으라 하실 때에 내가 마음으로 주께 말하되 여호와여 내가 주의 얼굴을 찾으리이다 하였나이다”(8절).

고난의 때에 우리는 당연히 “주의 얼굴을 찾게” 됩니다(8절). 그러나 “존재가 기쁨으로 가득 차 있는” 하나님과 얼굴을 마주해야 할 때는 그 때만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오른손에는 영원한 기쁨이”(16:11) 있습니다. 귀를 기울이면 언제든지 하나님께서 “나와 함께 이야기하러 오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27:7-14
너희는 내 얼굴을 찾으라 하실 때에 내가 마음으로 주께 말하되 여호와여 내가 주의 얼굴을 찾으리이다 하였나이다
[시편 27:8]

하루 중 당신의 마음이 하나님께 가장 가까이 있다고 느낄 때는 언제인가요? 하나님과 늘 교통하면 “힘든 하루”를 준비할 때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나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주님과 얼굴을 마주할 수 있는 특권을 주심을 찬양합니다. 언제나 주님을 기도로 만나 뵐 준비가 되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26/2024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HAGGAI 1-2; REVELATION 17
Hymn: 361(old 480)

FACE TIME WITH GOD

The year 2022 was very special for my wife and me. That’s the year our granddaughter, Sophia Ashley, was born—the only granddaughter among our eight grandchildren. Sophia’s grandparents haven’t stopped smiling! When our son calls via video, the excitement gets ramped up even more. My wife and I may be in different rooms, but her joyful holler reveals that she’s getting a glimpse of Sophia. Seeing those we love from afar is now only a call or click away.

The ability to see the person we’re talking to on the phone is relatively new, but face time with God—prayer with a conscious awareness of being in His presence—is not. David’s prayer in Psalm 27—voiced in the midst of opposition that required assistance beyond the capability of the closest human allies (VV. 10-12)— includes these words: “My heart has heard you say, ‘Come and talk with me.’ And my heart responds, ‘Lord, I am coming’ ” (V. 8 NLT).

Difficult times rightly compel us to “seek his face” (V. 8). But that’s not the only time we can or should be in face-to-face fellowship with the one in whose “presence is fullness of joy”; at His “right hand are pleasures forevermore” (16:11 NKJV). If you listen closely, at any time you may hear Him say, “Come and talk with me.”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27:7-14
My heart says of you, “Seek his face!” Your face, Lord, I will seek.
[ PSALM 27:8 ]

At what time in your day do you find your heart most attuned to God? How can regular communion with Him prepare you for a “day of trouble”?

Heavenly Father, I praise You for the privilege of face time with You. Please help me to always be ready to spend time with You in prayer.

오늘의 말씀

12/25/2024     수요일

성경읽기: 스바냐 1-3; 요한계시록 16
찬송가: 119(통119)

아기 예수여, 환영합니다

우리는 임신한 이웃이 첫 아기를 낳았다는 소식이 오기를 애타게 기다렸습니다. 마침내 이웃집 앞 마당에 걸린 “딸입니다!”라는 팻말을 보고 우리는 아기의 탄생을 축하했고 아직 팻말을 보지 못한 친구들에게 문자를 보냈습니다.

아기가 태어나기를 기다리는 동안에는 큰 설렘이 있습니다. 예수님이 태어나기 전, 유대인들은 그저 몇 개월 동안 기다려온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이스라엘의 구원자로 예언된 메시아의 탄생을 여러 세대에 걸쳐 기다려 왔습니다. 나는 그 세월 동안 신실한 유대인들이 자신의 생전에 이 약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게 될지 궁금해하는 모습을 상상해봅니다.

어느 날 밤 하늘에서 한 천사가 베들레헴의 목동들에게 나타나 오랫동안 고대했던 메시아가 탄생하셨다는 소식을 알려주었습니다. 그 천사는 목동들에게 “너희가 가서 강보에 싸여 구유에 뉘어 있는 아기를 보리니 이것이 너희에게 표적이니라”(누가복음 2:12)고 말했습니다. 예수를 본 목동들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천사가 “아기에 대하여 말한 것을 전”했습니다(17절).

하나님께서는 오랫동안 기다려온 아기 예수님의 탄생 소식을 목동들이 알고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기를 원하셨습니다. 우리도 지금까지 예수님의 탄생을 축하합니다. 예수님의 탄생은 믿는 사람들에게 무너진 세상으로부터의 구원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평화와 기쁨을 누리기 위해 더 이상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소식은 정말 널리 알릴 좋은 소식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8-20
너희가 가서 강보에 싸여 구유에 뉘어 있는 아기를 보리니
[누가복음 2:12]

목동들이 그 소식을 들었을 때 어떤 기분이었을까요?
당신은 예수님 탄생의 복된 소식을 어떻게 전하겠습니까?

예수님, 모든 사람들이 예수님 탄생의 복된 소식을 알기를 원합니다.

Daily Article

12/25/2024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ZEPHANIAH 1-3; REVELATION 16
Hymn: 119(old 119)

WELCOME BABY JESUS

It felt like we’d been waiting forever for news that our pregnant neighbor had welcomed her first baby. When a sign declaring “It’s a Girl!” finally appeared on their front lawn, we celebrated the birth of their daughter and texted friends who might not have seen the outdoor display.

There’s great excitement awaiting the arrival of a baby. Before Jesus’ birth, the Jewish people hadn’t just been waiting a few months, they’d longed for the birth of the Messiah, Israel’s expected rescuer, for generations. I imagine that over the years faithful Jews wondered if during their lifetime they would see the fulfillment of this promise.

One night the long-anticipated news was displayed in the heavens when an angel appeared to shepherds in Bethlehem announcing that the Messiah had finally been born. He told them, “This will be a sign to you: You will find a baby wrapped in cloths and lying in a manger” (LUKE 2:12). After the shepherds saw Jesus, they praised God and “spread the word” (V. 17) about the baby.

God wanted the shepherds to know that the long-awaited baby had arrived so they could tell others about Jesus’ birth. We still celebrate His birth because His life provides rescue from the brokenness of the world to anyone who believes. We no longer have to wait to know peace and experience joy, which is good news worth announcing!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LUKE 2:8-20
You will find a baby wrapped in cloths and lying in a manger.
[ LUKE 2:12 ]

How do you think the shepherds felt hearing the news?
How might you share the good news of Jesus’ birth?

Jesus, we want everyone to know that Your birth is good news.

오늘의 말씀

12/24/2024     화요일

성경읽기: 하박국 1-3; 요한계시록 15
찬송가: 116(통116)

그리스도의 빛

남편과 나는 교회의 크리스마스 이브 예배에 참석하는 것이 언제나 좋았습니다. 결혼 초기에는 예배 후에 따뜻한 옷을 입고 근처 언덕으로 올라가 긴 막대기들에 별 모양으로 걸려있는 350개의 등불을 보는 특별한 전통을 이어왔습니다. 때론 눈이 오기도 했지만 거기서 도시를 내려다보며 예수님의 기적 같은 탄생에 대해 속삭이곤 했습니다. 그 때 아래 계곡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밝게 빛나는 별 모양의 등불을 올려다보고 있었습니다.

그 별은 우리 구주의 탄생을 상기시킵니다. 성경은 “동방으로부터” 박사들이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를 찾아 예루살렘에 도착했다고 전합니다 (마태복음 2:1-2). 그들은 하늘을 주시하다가 “동방에서” 예수님을 상징하는 별을 볼 수 있었습니다(2절). 그들의 여정은 예루살렘에서 베들레헴으로 이어졌고, 그 별은 “앞서 인도하여 가다가 아기 있는 곳 위에 머물러 서 있었” 습니다(9절). 거기서 그들은 “엎드려 아기께 경배”했습니다(11절).

그리스도는 우리 삶의 빛의 근원입니다. 이는 비유적으로는 ‘우리를 인도하는 이’시며, 실제로는 하늘의 해와 달과 별을 창조한 그 분(골로새서 1:15-16)인 것입니다. 동방박사들이 예수님의 별을 보고 “매우 크게 기뻐하고 기뻐한” 것처럼(마태복음 2:10) 우리의 가장 큰 기쁨은 하늘에서 내려와 우리 가운데 거하시는 구원자 예수님을 아는 것입니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본 것입니다”(요한복음 1:14)!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1-2, 9-12
그들이 별을 보고 매우 크게 기뻐하고 기뻐하더라
[마태복음 2:10]

예수님은 어떻게 당신의 삶에 빛을 가져다 주셨나요?
오늘 누구와 그것을 나누고 싶으신가요?

저의 삶에 빛이 되어주신 예수님께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2/24/2024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HABAKKUK 1-3; REVELATION 15
Hymn: 116(old 116)

THE LIGHT OF CHRIST

My husband and I have always enjoyed attending the Christmas Eve service at our church. In the early years of our marriage, we had a special tradition of bundling up in warm clothing after the service to hike up a nearby hill where 350 glowing lights were strung from tall poles in the shape of a star. There—often in the snow—we’d whisper our reflections on Jesus’ miraculous birth while we gazed out over the city. Meanwhile, many people in the town were looking up at the bright, string-light star from the valley below.

That star is a reminder of the birth of our Savior. The Bible tells of magi “from the east” who arrived in Jerusalem seeking “the one who [had] been born king of the Jews” (MATTHEW 2:1-2). They’d been watching the skies and had seen the star “when it rose” (V. 2). Their journey took them onward from Jerusalem to Bethlehem, the star going “ahead of them until it stopped over the place where the child was” (V. 9). There, they “bowed down and worshiped him” (V. 11).

Christ is the source of light in our lives both figuratively (as the one who guides us) and literally as the one who created the sun, moon, and stars in the sky (COLOSSIANS 1:15-16). Like the magi who “were overjoyed” when they saw His star (MATTHEW 2:10), our greatest delight is in knowing Him as the Savior who came down from the heavens to dwell among us. “We have seen his glory” (JOHN 1:14)!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MAT THEW 2:1-2, 9-12
When they saw the star, they were overjoyed.
[ MATTHEW 2:10 ]

How has Jesus brought light to your life?
With whom might you share that today?

Thank You, Jesus, for being the light of my lif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