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21/2025     주일

성경읽기: 전도서 7-9; 고린도후서 13
찬송가: 410(통468)

하나님과의 화평

친구의 생일을 맞아 미용실에 함께 갔을 때, 우리가 받은 특별한 서비스로 인해 무척 기분이 좋았습니다. 잔잔한 음악이 흐르는 가운데 친절한 직원이 우리를 조용하고 조명이 강하지 않은 스파 공간으로 안내해 주었습니다. 모든 것이 차분하고 조용하며 평온함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테이블 위에 놓인 한 안내판을 보고 웃음을 참아야 했습니다. 거기에는 “이 유기농 모발보호 제품은 아름다운 머릿결 뿐 아니라 마음의 평화도 가져다줍니다.”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우리는 모발보호 제품이 지속적인 화평을 가져다 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많은 세상에서 우리는 종종 일시적인 안도감에 만족하곤 합니다. 사실 진정한 화평은 ‘무언가’가 아닌 ‘누군가’에게서 옵니다. 바울은 로마에 있는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에게 권면하며 이렇게 상기시켰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로마서 5:1). 죄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를 갈라놓지만, 그리스도의 속죄 희생은 우리가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5:9-10). 예수님은 오늘의 화평과 영원한 화평을 제공하며, “믿음으로 서 있는 이 은혜에 들어감을”(1절) 얻게 하시고,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2절), 이 세상의 고난 중에도 소망을 주십니다(3-4절). 하나님과의 화평은 단순히 느끼는 감정 이상의 것입니다. 그것은 예수님을 믿음으로 받는 선물입니다. 우리가 하나님과 가까이 있다고 느끼든 그렇지 않든, 그분의 화평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습니다. 미용실이든 병원이든, 평온한 때든 혼란한 때든 말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5:1-11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ddd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 [로마서 5:1]

하나님과의 화평보다도 평안한 환경을 더 추구하려 했던 적이 d있습니까? 예수님의 희생을 기억함으로써 오늘 주님 안에서 어떻게 안식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주님의 희생을 통해 주신 것들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9/21/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7-9; 2 CORINTHIANS 13
Hymn: 410(old468)

PEACE WITH GOD

When I accompanied my friend to the salon on her birthday, we were delighted by the pampering we received. Soothing music and a personal attendant welcomed us to the tranquil, dimly lit spa. The whole experience was calm, quiet, and restful. I had to suppress a giggle, however, at a sign displayed on a table proclaiming: “This organic hair-care line gives you more than beautiful hair—it gives you peace of mind.”

We know hair products don’t bring lasting peace, yet we often settle for temporary relief when our world is stressful. In reality, true peace comes not from something but someone. While encouraging the believers in Jesus in Rome, Paul reminded them, “Since we have been justified through faith, we have peace with God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ROMANS 5:1). Sin separates us from God, but Christ’s atoning sacrifice makes a way for us to have a relationship with Him (5:9-10). Jesus offers peace for today and peace for eternity—providing “access by faith into this grace” (V. 1), “the hope of the glory of God” (V. 2), and hope despite earthly suffering (VV. 3-4). Peace with God is more than simply a feeling; it’s a gift we receive through faith in Jesus. Whether we feel close to God or not, His peace is available to us—at a salon or a hospital, in times of serenity and times of chaos.
KAREN PIMPO

Today's Reading

ROMANS 5:1-11
Since we have been justified through faith, we have peace with God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 ROMANS 5:1 ]

When are you tempted to seek a peaceful circumstance more than peace with God? How does the reminder of Jesus’ sacrifice allow you to rest in Him today?

Jesus, thank You for giving through Your own sacrifice.

오늘의 말씀

09/20/2025     토요일

성경읽기: 전도서 4-6; 고린도후서 12
찬송가: 428(통488)

성경의 달콤함

1959년 9월 22일, M.R. 디한 박사가 쓴 묵상 글이 ‘오늘의 양식’에 실렸는데, 그는 자신이 크래커 잭(제과 회사) 캔디 팝콘 한 상자를 얼마나 간절히 원하는지에 대해 썼습니다. 그는 그것을 성경에 대한 갈망과 연결시키려는 의도로 그렇게 쓴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몇 주 후, 그의 사무실로 수많은 크래커 잭 팝콘 상자가 배달되었습니다. 크래커 잭을 원하는 그의 바람은 그의 글을 사랑하는 독자들에 의해 충족되었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쉽게 성경에 규칙적으로 몰입하는 습관을 잃어버립니다. 그래서 우리는 “꿀보다 더 단”(시편 19:10) 어떤 것을 갈망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편 기자 다윗은 하나님의 말씀은 “완전하여 영혼을 소성시키며”, “확실하여” 지혜로 가득 차 있다(7절)고 우리에게 권고합니다. 그리고 “여호와의 교훈은 정직 하여 마음을 기쁘게 한다”(8절)고 설명합니다.

디한 박사는 독자들에게 성경과의 교제를 매일의 습관으로 삼고, 마치 달콤한 팝콘을 갈망하듯 성경을 사모하라고 권면했습니다. 우리도 규칙적으로 성경을 묵상하고 그 진리를 삶에 적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님께서 도와주실 때, 다윗처럼 이렇게 기도합시다. “내 입의 말과 마음의 묵상이 주님 앞에 열납되기를 원하나이다”(14절).

오늘의 성구

시편 19:7-14
여호와의 율법은 완전하여 영혼을 소성시키며
[시편 19:7]

매일 당신에게 성경은 얼마나 “달콤”한가요? 성경이 금보다 더 귀하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예수님께 인도해 주는 성경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성경과 함께 하며 주님의 진리를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20/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4-6; 2 CORINTHIANS 12
Hymn: 428(old488)

THE SWEETNESS OF SCRIPTURE

On September 22, 1959, a devotional article appeared in Our Daily Bread written by Dr. M. R. DeHaan. He wrote about how he yearned for a box of Cracker Jack candied popcorn. His intention was to relate it to the yearning for the Scriptures. But to his surprise, a few weeks later, boxes upon boxes of Cracker Jack popcorn began arriving at his office. His desire for Cracker Jack was satisfied by the loyal readers of his devotional.

Letting the practice of regular immersion in Scripture slip away is always easy. That’s why we need to yearn for something “sweeter than honey” (PSALM 19:10). The psalmist David encourages us to know that God’s words are “perfect, refreshing the soul”; they’re “trustworthy” and full of wisdom (V. 7). He explains that “the precepts of the Lord are right, giving joy to the heart” (V. 8).

Dr. DeHaan encouraged readers to make interaction with the Scriptures a habit, something they craved each day, just like sweet popcorn. It’s vital for us as well to develop a habit of meditating and reflecting on the Bible, and responding to its truths, in a regular manner. As God helps us, let’s be like David, who said, “May these words of my mouth and this meditation of my heart be pleasing in your sight” (V. 14).
BRENT HACKETT

Today's Reading

PSALM 19:7-14
The law of the Lord is perfect, refreshing the soul.
[ PSALM 19:7 ]

How “sweet” is the Bible to you each day? How can you share with others that the Scriptures are more precious than gold?

Dear God, thank You for Your Scriptures, for they point me to Jesus. Please help me be engaged with them each day so I’m reminded of Your truth.

오늘의 말씀

09/19/2025     금요일

성경읽기: 전도서 1-3; 고린도후서 11:16-33
찬송가: 274(통332)

그리스도가 주시는 변화

왼쪽 눈가 피부에 자극을 받아 성난 부위가 생겼을 때, 나는 화장으로 그것을 가렸습니다. 일시적으로는 그 부위를 감출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붉게 부은 자국은 없어지지 않았고, 아무래도 피부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의사를 만나기로 한 날 아침, 평소처럼 화장을 하고 싶었지만 하지 않았습니다. 의사가 문제를 정확히 보고 치료할 수 있도록 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혹시 여러분은 죄의 문제를 숨기려고 한 적이 있나요? 아마도 어떤 잘못된 행동이나 그릇된 생각이 당신을 사로잡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에 대해 기도하거나 친구나 가족에게 말하지 않고 넘어갔을지도 모릅니다. 다른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죄가 우리의 삶을 우리도 모르게 망치고 있을 때 영적성장은 불가능합니다. 잠언 28장 13절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자기의 죄를 숨기는 자는 형통하지 못하나” 감사하게도 말씀은 다음으로 이어집니다. “죄를 자복하고 버리는 자는 불쌍히 여김을 받으리라”(13절).

하나님의 관점으로 우리의 행위를 바라보고, 어떤 행동이 잘못되었다고 인정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친절하신 하나님은 우리 자신이 겸손해지는 과정을 돕습니다. 그리스도의 영의 능력을 우리의 싸움 속에 받아들일 때, 우리는 우리를 유혹하는 죄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갈라디아서 5:16-17, 22-24). 하나님께서 우리를 인도하실 때, 변화가 가능하며, 그래서 우리의 영적 건강은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8:13-14
죄를 자복하고 버리는 자는 불쌍히 여김을 받으리라 [잠언 28:13]

당신이 죄를 고백할 때,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이 왜 격려가 되나요?
죄와의 싸움에서 원수는 어떻게 당신을 속일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제 삶 속의 죄를 온전히 주님께 내어드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9/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1-3; 2 CORINTHIANS 11:16-33
Hymn: 274(old332)

THE CHANGE CHRIST BRINGS

When a patch of irritated skin formed near my left eye, I used makeup to cover it. Temporarily this kept my problem a secret. After a while, though, the swollen red spot didn’t clear up, and I knew it needed medical attention. On the morning of the doctor’s appointment, I was tempted to apply makeup as usual, but I didn’t. I wanted the doctor to see the problem clearly and treat it so it could heal.

Have you ever tried to hide a sin problem? Maybe you’re aware that some action or thought is controlling you, but you’ve avoided praying about it or mentioning it to friends and family. Maybe you think it’s no big deal because many other people are dealing with similar issues. But it’s impossible to thrive spiritually when sin is secretly fouling up our lives. As Proverbs 28:13 says, “Whoever conceals their sins does not prosper.” Thankfully the verse continues, “but the one who confesses and renounces [sin] finds mercy” (V. 13).

It can be hard to adopt God’s view of our actions and admit that certain practices are wrong. However, His kindness eases the process of humbling ourselves. When we welcome the power of Christ’s Spirit into our struggle, we can reject the wrong that tempts us (GALATIANS 5:16-17, 22-24). As God guides us, change is possible, and our spiritual health is worth the effort!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PROVERBS 28:13-14
Whoever . . . confesses and renounces [their sins] finds mercy. [ PROVERBS 28:13 ]

As you consider confessing sin, why is God’s everlasting love encouraging? How might the enemy deceive you in your struggle with sin?

Dear God, please help me yield the areas of sin in my life to You.

오늘의 말씀

09/18/2025     목요일

성경읽기: 잠언 30-31; 고린도후서 11:1-15
찬송가: 67(통32)

메갈로돈과 리워야단

몇 년 전, 울퉁불퉁한 소포 하나가 우편함에 배달되었습니다. 소포에 제일 친한 친구의 반송 주소가 적혀 있는 것을 보고 빙그레 웃었습니다. 조는 가끔 예상치 못한 것을 보내곤 합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 소포 안에는 5인치(약 13 센티미터) 길이의 짙은 갈색 상어 이빨이 들어 있었습니다.

조의 편지에 그것은 선사 시대 상어인 메갈로돈의 화석화된 이빨인데, 백상아리보다 몇 배나 더 큰 것이었다는 설명이 적혀 있었습니다. 나는 그 엄청난 크기의 이빨을 가지고 있는 상어의 턱이 얼마나 클지 가늠해 보았습니다. 과학자들은 그 크기를 높이 9 피트, 너비 11 피트 (약 2.7미터와 3.4 미터)라고 추정합니다. 정말 엄청난 생물체였겠지요!

성경에는 메갈로돈에 대해 언급된 적이 없지만, 욥기에서 리워야단이라는 바다의 괴물이 등장합니다. 욥기 41장은 그 괴물의 놀라운 크기를 상세히 다룹니다. 하나님께서는 “내가 그것의 지체와 그것의 큰 용맹과 늠름한 체구에 대하여 잠잠하지 아니하리라”(12절)고 욥에게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누가 그것의 턱을 벌릴 수 있겠느냐 그의 둥근 이틀은 심히 두렵구나”(14절)라고도 하셨습니다.

그 질문에 대한 답은 명확합니다. 바로 리워야단의 창조자,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하나님은 그 괴물이 아무리 크고 놀라운 존재 일지라도, 그것은 창조주와 비교할 수 없다고 욥에게 상기시킵니다. “온 천하에 있는 것이 다 내 것이니라”(11절).

그 상어 이빨은 우리 창조주 하나님의 위대함과 창의성을 보여주는 시각 자료로 지금 제 책상 위에 놓여 있습니다. 그리고 세상이 나를 집어 삼키고 뱉아낼 것 같은 기분이 들 때, 하나님의 성품을 생각나게 해주는 뜻밖의 물건이 저를 위로해 줍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41:1-5, 10-14
누가 먼저 내게 주고 나로 하여금 갚게 하겠느냐 온 천하에 있는 것이 다 내 것이니라 [욥기 41:11]

어떤 자연의 모습이 하나님의 능력과 창조성을 떠올리게 하나요? 하나님의 창조 사역은 당신에게 격려를 주나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주님의 창조 세계가 주님의 영광과 능력을 나타냅니다. 삶이 벅차고 힘들 때, 주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8/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30-31; 2 CORINTHIANS 11:1-15
Hymn: 67(통old32)

OF MEGALODONS AND LEVIATHAN

Years ago, a lumpy package arrived in my mailbox. I noticed my best friend’s return address on it and smiled. Joe sometimes sends me unexpected things. This package qualified: Inside was a dark brown shark’s tooth—five inches long.

Joe’s letter explained it was a fossilized tooth from a prehistoric shark, a megalodon, many times bigger than a great white shark. I tried to fathom how big a fish’s jaw would have to be to contain rows of such teeth. Scientists offer a speculative answer: nine by eleven feet. What a sight these creatures must have been!

Scripture doesn’t mention megalodons. But in the book of Job, God describes a sea beast called Leviathan. Job 41 details its impressive frame. “I will not fail to speak of Leviathan’s limbs, its strength and its graceful form,” God tells Job (V. 12). “Who dares open the doors of its mouth, ringed about with fearsome teeth?” (V. 14).

The answer? Only Leviathan’s creator. And here, God reminds Job that as great as this beast might be, it’s nothing compared to its Creator: “Everything under heaven belongs to me” (V. 11).

That meg tooth sits on my desk, a visual token of our Creator’s majesty and creativity. And that unlikely reminder of God’s character comforts me when it feels like the world might eat me up and spit me out.
ADAM R. HOLZ

Today's Reading

JOB 41:1-5, 10-14
Who has a claim against me that I must pay? Everything under heaven belongs to me. [ JOB 41:11 ]

How do certain aspects of creation remind you of God’s powerful, creative nature? How does His work in creation encourage you?

Dear Father, Your creation speaks of Your splendor and power. Please Help me trust You when life feels overwhelming.

오늘의 말씀

09/17/2025     수요일

성경읽기: 잠언 27-29; 고린도후서 10
찬송가: 563(통411)

하나님의 능력

노라에게 남편의 죽음은 인생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남편이 운영하던 철물점을 맡아야 했고, 세 자녀를 홀로 돌보아야 했습니다. 친구들은 종종 “힘내”라고 말했습니다. 노라는 그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내가 모든 책임을 완벽히 감당해야 한다는 뜻일까?’

이스라엘 백성들의 한 전환기 시점에 하나님이 옷니엘에게 큰 책임을 맡기셨습니다. 이스라엘이 우상을 섬겼기 때문에 하나님은 그들을 “메소보다미아 왕 구산 리사다임의 손에 파셨으므로 이스라엘 자손이 구산 리사다임을 팔 년 동안 섬겼습니다”(사사기 3:8). 잔혹한 메소보다미아 왕 아래에서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한 구원자를 세워 그들을 구원하게 하시니”(9절). 그 구원자 옷니엘이라는 이름은 “하나님의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스라엘의 첫 번째 사사였던 옷니엘은 그를 돕는 선임자가 없었습니다. 그는 군사적 지도자로서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를 다시 살아가도록 이끌어야 했고, 적들로부터 그들을 보호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여호와의 영이 그에게 임하셨으므로”(10절) 그는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능력이 옷니엘을 붙들어 주셨고, “옷니엘이 죽을 때까지 그 땅은 사십 년 동안 평온을” 누렸습니다(11절).

우리는 어떻게 진정으로 “강해질 수” 있을까요? 먼저 우리가 강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힘을 주신다는 믿음을 가질 때 가능합니다.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고린도후서 12:9). 하나님의 능력은 우리를 통해 역사하시며, 오직 주님만이 하실 수 있는 일들을 이루십니다.

오늘의 성구

사사기 3:7-11
여호와의 영이 그에게 임하셨으므로 [사사기 3:10]

당신은 어떻게 “강해지려고” 노력했습니까?
옷니엘 이야기는 당신의 강함에 대한 이해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하나님 아버지, 제가 주님의 능력을 의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7/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7-29; 2 CORINTHIANS 10
Hymn: 563(old411)

GOD’S STRENGTH

Her husband’s death began a period of transition for Nora. She took over his hardware business and cared for their three children on her own. “Be strong,” friends often told her. But what does that mean? she’d think. That I must deliver without fail in my responsibilities?

God gave great responsibilities to Othniel in a time of transition for the people of Israel. As discipline for the nation’s idolatry, God had given them “into the hands of Cushan-Rishathaim . . . to whom the Israelites were subject for eight years” (JUDGES 3:8). Under the cruel king of Mesopotamia, the Israelites “cried out to the Lord,” and “he raised up for them a deliverer” (V. 9)—Othniel, whose name means “God’s strength.”

As the first judge of Israel, Othniel had no predecessor to help him. This military leader had to guide the Israelites back to living out their covenant relationship with God and defend them from their enemies. But because “the Spirit of the Lord came on him” (V. 10), he succeeded. With God’s strength sustaining Othniel’s leadership, “the land had peace for forty years, until [he] died” (V. 11).

How can we truly “be strong”? It’s by knowing we’re not strong and by trusting God to give us His strength. His “grace is sufficient for [us], for [His]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2 CORINTHIANS 12:9). God’s strength works through us, doing things only He can do.
KAREN HUANG

Today's Reading

JUDGES 3:7-11
The Spirit of the Lord came on him. [ JUDGES 3:10 ]

How have you tried to “be strong”? How does Othniel’s story impact your understanding of strength?

Father God, please enable me to rely on Your strength.

오늘의 말씀

09/16/2025     화요일

성경읽기: 잠언 25-26; 고린도후서 9
찬송가: 356(통396)

선으로 악을 이긴다

이야기 속의 주인공 두리틀 박사는 동물들과 대화합니다. 이 이야기는 책으로, 또 영화와 연극으로 많은 팬에게 즐거움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작가 휴 로프팅이 제1차 세계대전의 참혹한 참호 속에서 자신의 어린 자녀들에게 이 이야기를 처음 썼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그는 너무 끔찍해서 전쟁 이야기를 가족들에게 보내는 편지에 쓸 수 없었다고 나중에 밝혔습니다. 그 대신에 이 동화 같은 이야기를 써서 그림과 함께 보냈습니다. 이 기발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는 로프팅이 전쟁의 공포에 맞서는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탄생된 작품이었습니다.

너무 강력해서 막을 수 없을 것 같은 위협적이고 타락한 세력에 맞서는 사람을 보면 감동을 받습니다. 우리는 불의와 폭력, 탐욕이 승리할까 봐 두려워서 그런 용기 있는 모습을 더욱 존경합니다. 우리는 때때로 온 세상이 “악에게 질” (로마서 12:21) 것 같아 두려워합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만 맡겨져 있다면 충분히 그런 두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를 우리 자신에게 맡겨두지 않으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그분의 신성한 능력을 입히시고, 행동에 나서게 하시며, “선으로 악을 이기라”(21절)고 부르십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방식으로 각자 악을 선으로 이길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아름다운 이야기를 씁니다. 어떤 사람은 가난한 이들을 돕습니다. 어떤 이들은 자기 집을 환영의 장소로 내놓습니다. 또 어떤 이들은 멜로디, 시 또는 대화를 통해 하나님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는 하나님의 선하심과 평화를 세상에 전하며(18절), 악을 이겨 나갑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14-21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로마서 12:21]

당신은 악이 어디에 숨어 있다고 생각하나요? 선으로 악을 이기는 일에 어떻게 동참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선으로 악을 이기는 일에 동참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6/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5-26; 2 CORINTHIANS 9
Hymn: 356(old396)

OVERCOMING EVIL WITH GOOD

Doctor Dolittle, the fictional doctor who converses with animals, has delighted fans through books, movies, and plays. However, few people know that author Hugh Lofting first wrote the Dolittle tales to his children from the ghastly trenches of World War I. He later said that the war was too awful to recount in his letters—so he wrote and illustrated stories instead. These whimsical, joy-filled tales were Lofting’s way of pushing back against the war’s horror.

It’s inspiring to see a person moving against the menacing, degrading forces that seem too powerful to thwart. We admire this resilient courage because we fear that injustice, violence, and greed will triumph. Sometimes we fear that the whole world will be “overcome by evil” (ROMANS 12:21). And these fears are wellfounded if we’re left to ourselves. However, God has not left us to ourselves. He fills us with His divine strength, places us in the action, and calls us to “overcome evil with good” (V. 21).

We each overcome evil with good in whatever ways God has put into our hearts. Some of us write beautiful stories. Some of us care for the poor. Some of us make our homes places of welcome. Some of us share God’s story through melody, poetry, or conversation. In a myriad of ways, we carry His goodness and peace into the world (V. 18), overcoming evil as we go.
WINN COLLIER

Today's Reading

ROMANS 12:14-21
Do not be overcome by evil, but overcome evil with good. [ ROMANS 12:21 ]

Where do you see evil lurking? How can you be part of overcoming evil with good?

Dear God, please help me be part of overcoming evil with good.

오늘의 말씀

09/15/2025     월요일

성경읽기: 잠언 22-24; 고린도후서 8
찬송가: 508(통270)

그리스도를 위하여 제자 삼기

농구 시즌 초반, 우리 동네 중학교 코치가 가장 열심히 했던 일은 선수 들에게 위험을 감수하고 슛을 시도하라고 설득하는 것이었습니다. 코치는 사이드라인에서 “슛해!”라고 간청했습니다. 그러나 선수들은 열심히 공을 패스했습니다. 드리블하는 것도 선호했습니다. 시즌이 절반쯤 지나서야 대부분의 선수들이 의심을 떨쳐버리고 슛을 시도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해보자”라는 결심이 모든 것을 바꿨습니다. 코치의 말을 따르고, 의심을 버리고, 비록 득점에 실패하더라도 시도하면서, 그들은 승리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를 삼으라는 부르심에 순종하기 위해 의심을 버리라고 가르치십니다. 주님은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마태복음 28:18-20)고 말씀하셨습니다.

실제로, 이 말씀은 우리가 안일함을 떨치고 일어나 하나님께 받은 은혜를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상처받은 이웃들의 삶에 직접 들어가 예수님의 사랑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효과적이지만, 우리가 의심을 버리고 시도할 때에만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우리는 제자를 삼는 일이 어려워 보일 수도 있지만, 예수님의 권세 안에서 시도해 보아야 합니다. 두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예수님은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20절)고 약속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8:16-20
가서 제자로 삼으라 [마태복음 28:19]

당신은 제자를 삼는 일에 대해 어떤 두려움과 의심이 있나요?
왜 그런가요? 어떻게 그리스도의 부르심에 순종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제자를 삼는 연습이 필요하지만= 제가 의심을 버리고 시도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소서.

Daily Article

09/15/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2-24; 2 CORINTHIANS 8
Hymn: 508(old270)

MAKING DISCIPLES FOR CHRIST

Early in the basketball season, the coach at our neighborhood middle school seemed to work hardest convincing his players to risk shooting the ball. “Shoot!” he pleaded from the sidelines. His players eagerly passed the ball. Dribbling was a favorite too. The season was half over before most of them would shed their doubts and try to shoot the ball to score. But “going for it” made all the difference. By obeying their coach, letting go of doubt, and trying—even if they often missed the target—they learned to win.

Jesus teaches us to let go of doubt to obey His call to make disciples. He explains, “All authority in heaven and on earth has been given to me. Therefore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Spirit, and teaching them to obey everything I have commanded you” (MATTHEW 28:18-20).

In practical terms, this can mean stepping out of our comfort to share our story of what God has done for us. Or getting involved in the lives of our hurting neighbors, showing them Jesus’ love. Such approaches work, but only if we let go and try them.

Above all, we go in Jesus’ authority to attempt what may look hard—making disciples. But we need not fear. Jesus promised: “Surely I am with you always, to the very end of the age” (V. 20).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MATTHEW 28:16-20
Go and make disciples. [ MATTHEW 28:19 ]

What fears and doubts do you have about making disciples?
Why? How can you obey Christ’s call?

I need practice making disciples, dear Father, but please encourage me to let go of doubt and try.

오늘의 말씀

09/14/2025     주일

성경읽기: 잠언 19-21; 고린도후서 7
찬송가: 405(통458)

하나님의 따뜻한 돌보심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한 산모를 방문했을 때, 그 어머니는 갓난아기를 가슴에 꼭 안고 있었습니다. 이 첨단 병원에서 의사들은 아이의 건강을 회복하고 강하게 하기 위해 아주 단순한 “처방”을 내렸는데, 바로 산모가 오랜 시간 딸 아기를 품에 안고 있도록 한 것이었습니다.

부모의 넘치는 사랑과 다정한 돌봄만큼 아이에게 치유와 위안을 주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우리는 이사야 선지자가 하나님과 그분의 백성의 관계를 묘사한 장면에서도 이 강렬한 이미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을 거부했기 때문에 곧 추방당할 것을 예언한 후에도(이사야 39:5-7), 이사야는 하나님께서 여전히 그들을 사랑하시며 항상 돌보실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하나님의 자비하신 긍휼과 확실한 보호하심을 아름다운 비유로 설명했는데, 사랑이 넘치는 아버지가 “목자 같이 양 떼를 먹이시며 어린 양을 그 팔로 모아 품에 안으시며”(40:11)라고 묘사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임재는 우리에게 평안과 보호를 주며, 마치 갓난아기가 엄마 품에 안겨 있는 것처럼 우리를 가까이 품으신다는 사실을 기억하게 합니다. 주님은 “피곤한 자에게는 능력을 주시며 무능한 자에게는 힘을 더하시나니”(29절), 그분의 성령으로 치유의 위로를 주셔서 우리가 매일의 도전에 맞설 수 있도록 힘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0:10-11, 29-31
어린 양을 그 팔로 모아 품에 안으시며
[이사야 40:11]

갓난아기를 향한 엄마의 사랑을 생각할 때, 당신은 무엇이 떠오릅니까? 하나님의 보호와 사랑 가득한 보살핌은 어떻게 당신에게 힘이 되었나요?

하나님 아버지, 우리를 주님 품 안에 품어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9/14/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9-21; 2 CORINTHIANS 7
Hymn: 405(old 458)

GOD’S TENDER CARE

Sitting in the hospital’s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 visited with a mother as her newborn baby cuddled up against her chest. In this technologically advanced medical facility, the doctors had recommended a very low-tech “prescription”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 child’s health—the new mom was to spend extended periods of time simply holding her daughter.

There’s almost nothing like the overwhelming love and tender compassion of a parent to provide healing comfort for a child. We see this powerful imagery in the prophet Isaiah’s description of God with His people.

Even after prophesying impending exile for the nation of Israel because they’d rejected God (ISAIAH 39:5-7), Isaiah emphasized to the people that God still loved them and would always provide for them. God’s tender compassion and secure care is evident in the beautiful metaphor where He is described as a shepherd who, much like a loving father, gathers His sheep “in his arms and carries them close to his heart” (40:11).

God’s presence grants us peace and protection and reminds us that He carries us close to His heart, like a newborn baby with its mother. As He “gives strength to the weary and increases the power of the weak” (V. 29), the Spirit’s healing comfort allows us to meet the challenges of each day.

LISA M. SAMRA

Today's Reading

ISAIAH 40:10-11, 29-31
He gathers the lambs in his arms and carries them close to his heart. [ ISAIAH 40:11 ]

What comes to mind when you think about the love of a mother for her newborn baby? How has God’s protective and loving care strengthened you?

Heavenly Father, I’m so grateful that You hold me close to Your heart.

오늘의 말씀

09/13/2025     토요일

성경읽기: 잠언 16-18; 고린도후서 6
찬송가: 310(통410)

주님의 자비를 찾아서

팬들은 그를 나이트버드라는 예명으로 불렀습니다. 가수이자 작곡가였던 제인 크리스틴 마르체프스키는 2021년 인기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2017년에 유방암 3기 진단을 받았던 그는 다음 해 병에 차도가 있어 순회공연을 시작했습니다. 몇 달 후 암이 재발하여 생존 가능성이 희박했지만 놀랍게도 그는 다시 회복되어 암 완치 판정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2022년 2월 19일, 나이트버드는 세상을 떠났습니다.

나이트버드는 이 힘든 여정 중에 블로그에 이렇게 썼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수십 년 동안 길을 잃고 헤매게 내버려두신 하나님께 나 역시 기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떠올린다. 그들은 약속의 땅에 도착하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했지만... 하나님은 그들이 하지 않은 기도에 응답하시며 계속 광야를 방황하게 하셨다... 하나님은 매일 아침 그들에게 하늘에서 자비의 떡을 내려주셨다... 나도 그 자비의 떡을 기대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것을 만나라고 불렀는데, 그것은 ‘이것이 무엇인가?’라는 뜻이다. 나 역시 같은 질문을 하고 있다... 여기 어딘가에 자비가 있을 텐데, 그것이 무엇일까?”

출애굽기는 하나님의 자비에 대해 많은 것을 보여줍니다. 첫째,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자비를 약속하셨습니다. “너희는 떡으로 배부르리니” (출애굽기 16:12)라는 약속을 지켰습니다. 둘째, 주님의 자비는 우리를 놀라게 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여”(15절)라는 말씀처럼 자비는 종종 우리가 기대하는 모습과 다릅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비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자비는 아침마다 내린 만나로 나타났습니다. 나이트버드의 경우 친구가 선물한 담요와 어머니의 손길이 자비였습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6:11-16
내가 여호와 너희의 하나님인 줄 알리라
[출애굽기 16:12]

하나님의 자비가 당신을 어떻게 놀라게 했나요?
오늘 자비를 찾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자비로우신 하나님, 주님의 자비에 감사드립니다. 자비를 찾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3/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6-18; 2 CORINTHIANS 6
Hymn: 310(old410)

SEARCHING FOR MERCY

Her fans knew her as Nightbirde. Singer-songwriter Jane Kristen Marczewski won a following in 2021 on a popular TV talent show. In 2017, she’d been diagnosed with Stage 3 breast cancer. In 2018, she went into remission. She started touring, but months later the cancer returned, giving her little chance of survival. Amazingly she recovered and was declared cancer-free. But on February 19, 2022, Nightbirde died.

During her difficult journey, she blogged, “I remind myself that I’m praying to the God who let the Israelites stay lost for decades. They begged to arrive . . . but instead He let them wander, answering prayers they didn’t pray. . . . Every morning, He sent them mercy-bread from heaven . . . . I look for the mercybread . . . The Israelites called it manna, which means ‘what is it?’ That’s the same question I’m asking . . . . There’s mercy here somewhere—but what is it?”

The exodus story reveals much about God’s mercy. First, His mercy was promised to the Israelites. “You will be filled with bread” (EXODUS 16:12). And second, His mercy may surprise us. “They did not know what it was” (V. 15). Mercy often doesn’t look like what we think. But it’s mercy nonetheless. For the Israelites, it looked like morning manna. For Nightbirde, she wrote of the gift of a blanket from a friend, and her mother’s hands.
JOHN BLASE

Today's Reading

EXODUS 16:11-16
Then you will know that I am the Lord your God.
[ EXODUS 16:12 ]

How has God’s mercy surprised you?
What might it mean for you to look for mercy today?

Merciful God, thank You for Your mercy. Please help me search for it.

오늘의 말씀

09/12/2025     금요일

성경읽기: 잠언 13-15; 고린도후서 5
찬송가: 429(통489)

그리스도 안에서 생각을 지키기

2024년 파리 올림픽 1500m 자유형 경기에서 케이티 레데키는 한 바퀴 한 바퀴 돌 때마다 익숙한 선두위치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약 15분 동안 그녀는 다른 수영 선수들보다 훨씬 앞서 있었고, 홀로 생각에 잠겨 있었습니다. 레데키는 긴 경기 동안 무엇을 생각했을까요?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딴 직후 가진 인터뷰에서 레데키는 같이 훈련한 동료들을 떠올리며 그들의 이름을 속으로 되뇌었다고 말했습니다.

장거리 수영 선수들만 마음을 올바른 것에 집중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수를 믿는 우리도 신앙 여정 내내 우리의 생각을 지켜야 합니다.

바울 사도는 빌립보 교회에 “주 안에서 기뻐하고”,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하라”고 권면합니다(빌립보서 4:4, 6). 그 결과는 무엇일까요? “사람의 헤아림을 뛰어 넘는 하나님의 평화가 여러분의 마음과 생각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지켜 줄 것입니다”(7절, 새번역). 평화의 왕이신 예수님은 우리의 걱정과 근심을 올바른 시각에서 바라보도록 도와주십니다.

바울은 또한 믿는 사람들에게 “무엇에든지 참되며 무엇에든지 경건하며 무엇에든지 옳으며 무엇에든지 정결하며 무엇에든지 사랑할만하며 무엇에든지 칭찬할만하며 무슨 덕이 있든지 무슨 기림이 있든지 이것들을 생각하라”(8절)고 권면합니다.

오늘 하루를 보내면서 무슨 생각을 하며 지내는지 잘 살펴봅시다. 삶 가운데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생각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축복을 세어보면서 주님을 경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4-9
무엇에든지 참되며 무엇에든지 경건하며 무엇에든지 옳으며 무엇에든지 정결하며... 이것들을 생각하라 [빌립보서 4:8]

당신은 요즘 무슨 생각을 하고 있나요?
당신의 생각으로 어떻게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우리의 생각이 주님께 기쁨되기를 원합니다.

Daily Article

09/12/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3-15; 2 CORINTHIANS 5
Hymn: 429(old489)

GUARDING THOUGHTS IN CHRIST

Lap after lap, Katie Ledecky was in a familiar spot during the 1500-meter freestyle race at the 2024 Paris Olympics. For some fifteen minutes, she was far ahead of the rest of the swimmers and alone with her thoughts. What was Ledecky thinking about during the long race? In an interview conducted immediately following her gold-medal-winning performance in which she set a new Olympic record, Ledecky said she was thinking about her training partners and saying their names in her head.

Distance swimmers aren’t the only ones who need to focus their minds on the right things. We as believers in Jesus also need to guard our thoughts throughout our faith journey.

The apostle Paul encouraged the Philippian church to “rejoice in the Lord,” not be “anxious about anything, but pray about everything (PHILIPPIANS 4:4, 6). The result? “The peace of God, which transcends all understanding, will guard your hearts and your minds in Christ Jesus” (V. 7). Jesus, the Prince of Peace, helps put our worries and troubles in perspective.

Paul also encouraged believers: “Whatever is true, whatever is noble, whatever is right, whatever is pure, whatever is lovely, whatever is admirable—if anything is excellent or praiseworthy— think about such things” (V. 8).

As we go about our day, let’s be aware of our thoughts. When we see God’s hand in our life, we can count our blessings and worship Him.
NANCY GAVILANES

Today's Reading

PHILIPPIANS 4:4-9
Whatever is true, whatever is noble, whatever is right, whatever is pure . . . think about such things. [ PHILIPPIANS 4:8 ]

What have you been thinking about lately?
How can you honor God with your thoughts?

Dear God, may my thoughts be pleasing to You.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