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22/2017 화요일
수확할 수 있게 무르익음
나는 그 말씀에서 엿볼 수 있는 하나님 나라의 너그러움을 아주 좋아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도 다른 사람이 수고한 것의 열매를 즐기게 해주십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한 친구와 예수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을 나누었는데, 우리는 몰랐지만, 그녀의 가족이 그녀를 위해 여러 해 동안 계속 기도해 왔을 때와 같은 경우가 그렇습니다. 나는 또한 예수님의 말씀에 함축되어 있는 다른 제한적인 의미도 좋아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뿌린 씨앗을 우리가 결코 추수할 수 없을지 모르지만, 다른 누군가가 그것을 수확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생각에 현혹되지 않고 우리 앞에 놓인 일에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결국, 하나님의 일은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풍성한 수확을 위한 모든 자원을 갖고 계시고, 우리는 그 안에서 각 역할을 맡는 특권을 누리는 것입니다.
수확할 준비가 된 밭들이 당신 앞에 있습니까? 혹 내 앞에는요? “너희 눈을 들어 밭을 보라”(35절)고 하신 예수님의 사랑에 넘친 가르침에 주의를 기울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4:35-38너희 눈을 들어 밭을 보라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도다
요한복음 4:35
창조주 하나님, 우리에게 하나님의 일을 믿고 맡겨주신 주님의 크신 너그러움에 감사를 드립니다. 제가 하나님의 복음을 나눌 수 있는 기회에 깨어 있게 해주소서.
다른 사람이 심어놓은 것을 우리가 거둬들일 수 있다.
Daily Article
08/22/2017 Tuesday
Ripe for Harvest
I love the generosity of God’s kingdom reflected in those words. He lets us enjoy the fruits of someone else’s labors, such as when we share our love for Jesus with a friend whose family unbeknown to us—has been praying for her for years. I also love the implied limits of Jesus’s words, for we may plant seeds that we will never harvest but someone else may. Therefore, we can rest in the tasks before us, not being hoodwinked into thinking that we are responsible for the outcomes. God’s work, after all, doesn’t depend on us. He has all of the resources for a bountiful harvest, and we are privileged to play a role in it.
I wonder what fields ready for harvest are before you? Before me? May we heed Jesus’s loving instruction: “Open your eyes and look at the fields!” (V 35).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ohn 4:35–38Open your eyes and look at the fields! They are ripe for harvest.
John 4:35
Creator God, thank You for Your great generosity in entrusting us to do Your work. May I be alert to the opportunities to share Your good news.
We can reap what others have sown.
오늘의 말씀
08/21/2017 월요일
가만히 있으라
시편 46편 10절은 “너희는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라고 말하며, 우리에게 하나님께 집중할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많은 사람들이 말씀을 읽고 기도하고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선하심을 생각하는 “경건의 시간”이 매일의 삶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시편 46편의 기자와 같이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요 힘이시니 환난 중에 만날 큰 도움이시라”(1절)는 사실을 경험할 때, 우리의 두려움은 물러가고(2절), 우리의 초점이 세상의 혼란에서 하나님의 평화로 옮겨져 우리 주님께서 주관하신다는 확신이 생기게 됩니다(10절).
우리를 둘러싼 이 세상이 아무리 혼란스러워진다 해도, 우리는 우리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과 능력 안에서 평온함과 강인함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6:1-11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니 야곱의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로다
시편 46:11
하늘에 계신 아버지, 우리의 떠들썩한 삶과 어수선한 마음을 가지고 주님께 나아가오니 우리가 가만히 있어 주님이 하나님이심을 알 수 있게 해주소서.
매일 우리는 가만히 있어 주님의 음성을 들을 필요가 있다.
Daily Article
08/21/2017 Monday
Be Still
Psalm 46:10 says, “Be still, and know that I am God,” reminding us of the necessity to take time to focus on the Lord. Many people find that a “quiet time” is an essential part of each day—a time to read the Bible, pray, and consider the goodness and greatness of God.
When we, like the writer of Psalm 46, experience the reality that “God is our refuge and strength, an ever-present help in trouble” (V 1), it drives our fear away (V 2), shifts our focus from the world’s turmoil to God’s peace, and creates a quiet confidence that our Lord is in control (V 10).
No matter how chaotic the world may become around us, we can find quietness and strength in our heavenly Father’s love and power.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Psalm 46:1–11The LORD Almighty is with us, the God of Jacob is our fortress.
Psalm 46:11
Heavenly Father, we bring our noisy lives and our cluttered minds to You so that we can learn to be still and know that You are God.
Each day we need to be still and listen to the Lord.
오늘의 말씀
08/20/2017 주일
바뀌어 짐
마지막으로 그는 폐회 찬송을 인도 했는데, 우리가 일어서서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를 부를 때 사람들이 그들의 영혼 깊은 곳에서 하나님을 찬양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순간 방 전체의 영적인 분위기가 바뀌었습니다. 갑자기, 놀랍게도 3절 가사를 부를 때 나의 감동이 내 목소리를 압도하였습니다.
주 하나님 독생자 아낌없이
우리를 위해 보내주셨네
십자가에 피 흘려 죽으신 주
내 모든 죄를 대속하셨네
우리가 그 위대한 찬송을 부를 때까지 나는 그 장례식에 하나님께서 과연 나타나실까 궁금했었습니다. 그러나 사실 하나님은 절대로 떠나지 않으십니다. 에스더서에 이 사실이 나타나 있습니다. 유대인은 추방되었고 권세가들은 그들을 죽이려 하였습니다. 하지만 그토록 캄캄한 순간에 하나님을 믿지 않는 왕이 종 되었던 이스라엘 백성을 진멸하려 했던 무리에게서 그들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해주었습니다 (에스더 8:11-13). 그들은성공적으로 자신들을 방어하였고, 잔치를 베풀어 즐겼습니다(9:17-19).
장례식장에서 부른 찬송가 가사 속에서 하나님이 나타나시는 것은 전혀 놀라울 일이 아닙니다. 무엇보다 하나님께서 대량 학살 시도를 경축할 일로 바꾸셨고, 십자가 위의 죽음을 부활과 구원으로 바꾸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더 8:11-17유대인에게는 영광과 즐거움과 기쁨과 존귀 함이 있는지라
에스더 8:16
.
우리의 놀라우신 하나님은 우리가 거의 기대하지 않을 때에도 종종 그분의 임재를 드러내신다.
Daily Article
08/20/2017 Sunday
The Turn
At last he asked us to turn to a closing hymn. And as we rose to sing “How Great Thou Art,” people began to praise God from the depths of their souls. Within moments, the spirit of the entire room had changed. Suddenly, surprisingly, in the middle of the third verse my emotions overwhelmed my voice.
And when I think, that God, His Son not sparing, Sent Him to die, I scarce can take it in; That on the Cross, my burden gladly bearing, He bled and died to take away my sin.
Until we sang that great hymn, I had wondered if God was going to show up at that funeral. In reality, He never leaves. A look at the book of Esther reveals this truth. The Jews were in exile, and powerful people wanted to kill them. Yet at the darkest moment, a godless king granted the right to the enslaved Israelites to defend themselves against those who sought their demise (EST 8:11–13). A successful defense and a celebration ensued (9:17–19).
It should be no surprise when God shows up in the words of a hymn at a funeral. After all, He turned an attempted genocide into a celebration and a crucifixion into resurrection and salvation!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sther 8:11–17For the Jews it was a time of happiness and joy, gladness and honor.
Esther 8:16
.
Our surprising God often shows His presence when we least expect Him.
오늘의 말씀
08/19/2017 토요일
슬픔에서 기쁨으로
성경은 이 진리를 확인시켜줍니다. “여자가 해산하게 되면 그 때가 이르렀으므로 근심하나 아기를 낳으면 세상에 사람 난 기쁨으로 말미암아 그 고통을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느니라”(요한복음 16:21).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이 예를 사용하셔서, 주님이 곧 떠나실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슬퍼하겠지만, 주님을 다시 보게 될 때 슬픔이 기쁨으로 바뀔 것이라고 강조하셨습니다(20-22절).
예수님은 자신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그 후에 따르게 될 일을 언급하신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이 부활하시자 제자들은 기뻐했고, 주님은 40일 동안 제자들과 함께 보내시면서 그들을 가르치시다가, 그들을 다시 남겨두시고 하늘로 올라가셨습니다 (사도행전 1:3).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을 슬픔에 잠긴 채로 남겨두지 않으셨습니다. 성령께서 그들을 기쁨으로 가득 채워주실 것이었습니다 (요한복음 16:7-15; 사도행전 13:52).
우리는 한 번도 예수님의 얼굴을 대면해 보지는 못했지만, 믿는 자로서 언젠가 그렇게 되리라는 확신을 갖고 있습니다. 그날에는 우리가 이 세상에서 겪는 고통을 잊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그때까지도 주님은 기쁨이 없는 채로 우리를 남겨두지 않으셨습니다. 주님은 우리에게 성령님을 주셨습니다(로마서 15:13; 베드로전서 1:8-9).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16-22너희는 근심하겠으나 너희 근심이 도리어 기쁨이 되리라
요한복음 16:20
사랑하는 주님, 우리가 주님과 함께 있기를 소망합니다. 특별히 우리가 아픔과 슬픔을 당할 때 더 그렇습니다. 하지만 주님은 우리를 그냥 내버려두고 떠나지 않으셨습니다. 성령님께서 우리 안에 거하셔서 우리에게 기쁨을 주십니다.
언젠가 우리의 슬픔이 기쁨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Daily Article
08/19/2017 Saturday
From Grief to Joy
Scripture affirms this truth: “A woman giving birth to a child has pain because her time has come; but when her baby is born she forgets the anguish because of her joy that a child is born into the world” (JOHN 16:21). Jesus used this illustration with His disciples to emphasize that though they would grieve because He would be leaving soon, that grief would turn to joy when they saw Him again (VV 20–22).
Jesus was referring to His death and resurrection—and what followed. After His resurrection, to the disciples’ joy, Jesus spent another forty days walking with and teaching them before ascending and leaving them once again (ACTS 1:3). Yet Jesus did not leave them grief-stricken. The Holy Spirit would fill them with joy (JOHN 16:7–15; ACTS 13:52).
Though we have never seen Jesus face to face, as believers we have the assurance that one day we will. In that day, the anguish we face in this earth will be forgotten. But until then, the Lord has not left us without joy—He has given us His Spirit (ROM 15:13; 1 PETER 1:8–9). ALYSON KIEDA
Today's Reading
John 16:16–22You will grieve, but your grief will turn to joy.
John 16:20
Dear Lord, we long to be in Your presence, especially when we face pain and sorrow. Yet You have not left us on our own. The Holy Spirit lives within us—and gives us joy.
One day our sorrow will be turned to joy!
오늘의 말씀
08/18/2017 금요일
우리가 원본이다
하나님은 우리의 몸과 마음과 영혼을 만드셨습니다. 그리고 그게 끝이 아니라, 하나님은 아직도 우리를 만들고 계십니다. “너희 안에서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루실 줄을 우리는 확신하노라”(빌립보서 1:6)라는 성경말씀처럼 하나님이 전념하시는 목적은 우리의 성숙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더 용감하고, 더 강하고, 더 순수하고, 더 평화롭고, 더 사랑스럽고, 덜 이기적인 사람으로, 즉 우리가 항상 그렇게 되기를 원했던 바로 그런 사람으로 만들고 계십니다.
“[여호와의] 인자하심이 영원하고 그의 성실하심이 대대에 이르리로다”(시편 100:5).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를 사랑하셨고(“영원”은 양방향으로 갑니다), 우리에게 끝까지 신실하실 것입니다.
우리는 영원히 지속되는 사랑을 받았고, 하나님은 결코 우리를 포기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것이 기쁨을 가지고 “노래하면서 그의 앞에 나아갈”(2절) 좋은 이유입니다!
만약 우리가 곡조를 가지고 노래할 수 없다면, 하나님께 크게 외치십시오. “여호와께 즐거이 부를지어다”(1절).
오늘의 성구
시편 100여호와가 우리 하나님 이신 줄 알지어다 그는 우리를 지으신 이요 우리는 그의 것이니
시편 100:3
하나님 아버지, 제 안에서 역사하고 계심에 감사드립니다. 저는 변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때로는 어떻게 변해야 할지 또는 변할 수는 있을지 의문도 듭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제 안에서 계속해서 역사하고 계신다는 것과, 나중에 뒤돌아볼 때 하나님께서 저를 성장시키신 것을 보게 될 것을 압니다. 감사합니다!
영적인 성장은 믿음이 자라갈 때 일어난다.
Daily Article
08/18/2017 Friday
You’re an Original
God made your body, mind, and soul. And He isn’t done with you; He is still making you. His single-minded purpose is our maturity: “He who began a good work in you will carry it on to completion until the day of Christ Jesus” (PHIL 1:6). God is making you braver, stronger, purer, more peaceful, more loving, less selfish—the kind of person you’ve perhaps always wanted to be.
“[God’s] unfailing love continues forever and his faithfulness continues to each generation” (PS 100:5 NLT ). God has always loved you (“forever” goes both ways), and He will be faithful to you to the end.
You’ve been given a love that lasts forever and a God who will never give up on you. That’s a good reason to have joy and to “come before him with joyful songs”! (V 2).
If you can’t carry a tune, just give Him a shout-out: “Shout for joy to the LORD ” (V 1). - DAVID ROPER
Today's Reading
Psalm 100Know that the LORD is God. It is he who made us, and we are his.
Psalm 100:3
I’m grateful, Father, that You are at work in me. I find it difficult to change and I wonder sometimes how or if I ever will. Yet I know that You are continuing Your work in me and as I look back I will see the growth You are producing. Thank You!
Spiritual growth occurs when faith is cultivated.
오늘의 말씀
08/17/2017 목요일
평화로운 가정의 약속
위기에 처한 난민들을 위한 집을 짓는 꿈은 나에게 무자비한 앗수르 군대가 유다 백성들의 집을 짓밟았을 때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약속하신 말씀을 생각나게 합니다. 하나님은 미가 선지자에게 백성들에게 그들의 성전과 그들이 사랑하는 예루살렘 성을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라고 하시면서, 동시에 그 손실 이후의 아름다운 미래를 약속해주셨습니다.
미가는 하나님이 세상 사람들을 그분께로 부르실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폭력이 그치고, 전쟁 무기들이 농기구가 될 것이며,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의 나라에서 평화로운 집과 생산적인 삶을 갖게 될 것입니다(4:3-4).
오늘날 세상 많은 사람들에게, 그리고 아마 당신에게도, 안전한 집이 현실이라기보다는 아직 꿈으로 남아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런 평화로운 집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비록 지금 기다리고 일하고 또 기도하고 있을지라도, 우리는 모든 나라 백성들을 위한 집에 대해 하나님께서 오래 전에 하신 약속을 의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미가 4:1-5각 사람이 자기 포도나무 아래와 자기 무화과나무 아래에 앉을 것이라 그들을 두렵게 할 자가 없으리니
미가 4:4
하나님, 집에 대해 아름다운 약속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세상에 평화를 주시고 하나님의 모든 자녀들에게 필요한 것들을 공급해주소서.
하나님은 그분의 자녀들에게 천국에서의 평화로운 집을 약속해주신다.
Daily Article
08/17/2017 Thursday
Promise of a Peaceful Home
The dream of making homes for refugees in crisis reminds me of a promise God made to the nation of Judah when ruthless Assyrian armies threatened their homes. The Lord commissioned the prophet Micah to warn the people that they would lose their temple and their beloved city of Jerusalem. But God also promised a beautiful future beyond the loss.
A day will come, said Micah, when God will call the peoples of the world to Himself. Violence will end. Weapons of war will become farming tools, and every person who answers God’s call will find a peaceful home and a productive life in His kingdom (4:3–4).
For many in the world today, and maybe for you, a safe home remains more a dream than a reality. But we can rely on God’s ancient promise of a home for people of all nations, even as we wait and work and pray for those peaceful homes to become a reality.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Micah 4:1–5Everyone will sit under their own vine and under their own fig tree, and no one will make them afraid.
Micah 4:4
God, thank You for the beautiful promise of a home. Please bring peace to our world, and provide for the needs of all of Your children.
God promises His children a peaceful home in His kingdom.
오늘의 말씀
08/16/2017 수요일
두려움이 아닌 믿음
이스라엘 백성들은 “젖과 꿀”(출애굽기 33:3)이 흐르는 풍요롭고도 비옥한 땅으로 부름 받았을 때 걱정 때문에 마비될 지경이었습니다. 그리고 큰 도시에 사는 힘 센 사람들의 소식을 듣자(민수기 13:28) 그들은 두려워하기 시작했습니다. 대부분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땅으로 들어가기를 거부했습니다.
하지만 여호수아와 갈렙은 “여호와는 우리와 함께 하시느니라 그들을 두려워하지 말라”(민수기 14:9)고 말하며 주님을 신뢰할 것을 촉구하였습니다. 비록 그곳에 있는 사람들이 크게 보인다 하더라도,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하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었습니다.
내 친구는 이스라엘 백성처럼 다른 나라로 이주하라고 명령 받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두려움이 새로운 기회를 막아버리도록 내버려둔 것을 후회했습니다. 당신은 어떻습니까? 지금 두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까?
만약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당신과 함께하시고 당신을 인도하신다는 것을 믿으십시오. 결코 실패하지 않는 하나님의 사랑으로 믿음 안에서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13:25-14:9여호와는 우리와 함께 하시느니라 그들을 두려워하지 말라
민수기 14:9
사랑하는 하나님, 두려움 때문에 하나님을 따르는 일을 멈추지 않게 해주소서. 하나님은 언제나 저를 사랑하시고 저를 결코 떠나지 않으실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두려움은 우리를 마비시키지만, 믿음은 우리가 하나님을 따르도록 추진시킨다.
Daily Article
08/16/2017 Wednesday
Not Fear but Faith
The Israelites let their anxieties paralyze them when they were called to inhabit a rich and fertile land that flowed “with milk and honey” (EX 33:3). When they heard the reports of the powerful people in large cities (V 27), they started to fear. The majority of the Israelites rejected the call to enter the land.
But Joshua and Caleb urged them to trust in the Lord, saying, “Do not be afraid of the people in the land” for the “ LORD is with us” (V 9). Although the people there appeared large, they could trust the Lord to be with them.
My friend wasn’t commanded to move to another country like the Israelites were, yet she regretted letting fear close off the opportunity. What about you—do you face a fearful situation? If so, know that the Lord is with you and will guide you. With His never-failing love, we can move forward in faith.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Numbers 13:25–14:9The LORD is with us. Do not be afraid of them.
Numbers 14:9
Loving Father, may I not let my fear stop me from following You, for I know that You will always love me and will never leave me.
Fear can paralyze but faith propels us to follow God.
오늘의 말씀
08/15/2017 화요일
주님의 날개 아래
새의 깃털은 하나님의 디자인을 보여주는 놀라운 예입니다. 깃털에는 매끄러운 부분과 폭신한 부분이 있습니다. 깃털의 매끄러운 부분에는 지퍼의 톱니처럼 서로를 묶는 조그만 갈고리를 가진 딱딱한 가시가 있습니다. 폭신한 부분은 새를 따뜻하게 해줍니다. 두 부분의 깃털이 함께 새를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해줍니다. 하지만 많은 아기새들은 폭신한 솜털에 덮여 있을 뿐, 아직 깃털이 다 자라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어미새가 바람과 비로부터 아기새들을 보호하기 위해 둥지 안에서 어미 자신의 깃털로 덮어줍니다.
시편 91편 4절의 “그가 너를 그의 깃으로 덮으시리니”와 다른 성경구절(시편 17:8 참조)에서 보이는 하나님의 이미지는 위로와 보호의 이미지입니다. 그때 우리 마음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는 어미새가 그 새끼들을 날개깃으로 덮어주는 모습입니다. 그들의 팔로 무서운 폭풍이나 상처를 피할 수 있게 안전한 장소를 제공해주는 부모처럼, 평강으로 함께하시는 하나님은 인생의 감정의 폭풍으로부터 안전과 보호를 제공해줍니다.
비록 우리가 고난과 아픔을 겪더라도, 우리의 얼굴이 하나님께로 향하는 한 두려움 없이 그것들에 맞설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이십니다(91:2,4,9).
오늘의 성구
시편 91그가 너를 그의 깃으로 덮으시리니 네가 그의 날개 아래에 피하리로다
시편 91:4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은 제게 있는 어떤 두려움보다 더 크신 분임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두려움이 희망을 앗아갈 때, 무릎으로 다가갈 수 있는 피난처 되시는 하나님께 피하라.
Daily Article
08/15/2017 Tuesday
Under His Wings
Bird feathers are an amazing example of God’s design. Feathers have a smooth part and a fluffy part. The smooth part of the feather has stiff barbs with tiny hooks that lock together like the prongs of a zipper. The fluffy part keeps a bird warm. Together both parts of the feather protect the bird from wind and rain. But many baby birds are covered in a fluffy down and their feathers haven’t fully developed. So a mother bird has to cover them in the nest with her own feathers to protect them from wind and rain.
The image of God “[covering] us with his feathers” in Psalm 91:4 and in other Bible passages (SEE PS 17:8) is one of comfort and protection. The image that comes to mind is a mother bird covering her little ones with her feathers. Like a parent whose arms are a safe place to retreat from a scary storm or a hurt, God’s comforting presence provides safety and protection from life’s emotional storms.
Though we go through trouble and heartache, we can face them without fear as long as our faces are turned toward God. He is our “refuge” (91:2, 4, 9). -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Psalm 91He will cover you with his feathers, and under his wings you will find refuge.
Psalm 91:4
Father God, help me trust that You are bigger than any fear I have.
When fear causes hope to fade, flee to God, the refuge you can reach on your knees.
오늘의 말씀
08/14/2017 월요일
어린이를 향한 사랑
예수님은 “어린아이들을 용납하고 내게 오는 것을 금하지 말라 천국이 이런 사람의 것이니라”(마태복음 19:14)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선언으로 인해 군중과 제자들이 느꼈을 당혹감을 상상해보십시오. 고대에 아이들은 가치가 별로 없었으며, 주로 삶의 가장자리로 밀려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예수님은 아이들을 환영하시고 축복하시고 귀하게 여기셨습니다.
신약성경 저자 중의 한 사람인 야고보는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정결하고 더러움이 없는 경건은 곧 고아와 과부를 그 환난 중에 돌보고 또 자기를 지켜 세속에 물들지 아니하는 그것이니라”(야고보서 1:27)라고 말하면서 그리스도인들에게 도전을 주었습니다. 오늘날도 1세기의 고아들과 같이, 각 사회 계층, 각 인종, 각 가정 환경으로부터의 아이들이 그냥 방치되거나 인신매매, 학대, 약물, 그리고 그보다 더한 것들로 인해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예수님께서 환영하시는 이 아이들에게 주님의 배려를 보여줌으로써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릴 수 있을까요?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8:1-10어린아이들을 용납하고 내게 오는 것을 금 하지 말라 천국이 이런 사람의 것이니라
마태복음 19:14
.
예수님의 사랑을 표현하는 자가 되라.
Daily Article
08/14/2017 Monday
Love for Children
Jesus said, “Let the children come to me. Don’t stop them! For the Kingdom of Heaven belongs to those who are like these children” (MATT 19:14 NLT ). Imagine the surprise the crowds—and Jesus’s own disciples—must have felt at this declaration. In the ancient world, children had little value and were largely relegated to the margins of life. Yet Jesus welcomed, blessed, and valued children.
James, a New Testament writer, challenged Christ-followers saying, “Pure and lasting religion in the sight of God our Father means that we must care for orphans . . . in their troubles” (JAMES 1:27 NLT ). Today, like those first-century orphans, children of every social strata, ethnicity, and family environment are at risk due to neglect, human trafficking, abuse, drugs, and more. How can we honor the Father who loves us by showing His care for these little ones Jesus welcome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Matthew 18:1–10Let the children come to me. Don't stop them! For the Kingdom of Heaven belongs to those who are like these children.
Matthew 19:14 NLT
.
Be an expression of the love of Jesus.
오늘의 말씀
08/13/2017 주일
두려움에서 믿음으로
예후가 아주 안 좋게 나왔을 때, 또는 우리가 처한 상황이 우리의 통제를 벗어났을때 우리는 어떻게 합니까? 전망이 절망적일때 우리는 어디로 향합니까?
하박국 선지자의 상황도 그가 어떻게 할 수 없었고, 그로 인한 두려움으로 그는 공포에 휩싸이게 되었습니다. 비극적인 심판이 다가오고 있었습니다(하박국 3:16-17). 그러나 눈앞에 닥친 혼란 가운데서도 하박국은 믿음으로 살고(2:4) 하나님으로 즐거워하기로 마음을 정했습니다(3:18). 하박국은 그의 신뢰와 믿음을 그의 환경이나 능력이나 물질에 두지 않고, 주님의 선하심과 위대하심에 두었습니다. 그는 주님을 향한 믿음으로 이렇게 선포했습니다. “주 여호와는 나의 힘이시라 나의 발을 사슴과 같게 하사 나를 나의 높은 곳으로 다니게 하시리로다”(19절).
질병이나 가정의 위기, 재정 문제로 힘든 상황에 직면했을 때, 우리 또한 우리의 믿음과 신뢰를 오직 하나님께만 두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마주하는 모든 상황 속에서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하박국 3:16-19주 여호와는 나의 힘이시라 나의 발을 사슴과 같게 하사
하박국 3:19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항상 주님을 의지할 수 있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삶의 어려움에 마주할 때, 주님을 믿고 의지합니다. 저의 “피난처시요 힘이시니 환난 중에 만날 큰 도움” (시편 46:1) 이심에 감사합니다.
힘든 상황을 마주했을 때, 하나님이 우리의 힘이 되어주심을 믿을 수 있다.
Daily Article
08/13/2017 Sunday
From Fear to Faith
What do we do when the prognosis is devastating, when our circumstances are beyond our control? Where do we turn when the outlook seems hopeless?
The prophet Habakkuk’s situation was out of his control, and the fear that he felt terrified him. The coming judgment would be catastrophic (HAB 3:16–17). Yet, in the midst of the impending chaos, Habakkuk made a choice to live by his faith (2:4) and rejoice in God (3:18). He did not place his confidence and faith in his circumstances, ability, or resources, but in the goodness and greatness of God. His trust in God compelled him to proclaim: “The Sovereign LORD is my strength; he makes my feet like the feet of a deer, he enables me to tread on the heights” (V 19).
When we are faced with difficult circumstances—sickness, family crisis, financial trouble—we, too, have only to place our faith and trust in God. He is with us in everything we face. - KAREN WOLFE
Today's Reading
Habakkuk 3:16–19The Sovereign LORD is my strength; he makes my feet like the feet of a deer.
Habakkuk 3:19
Dear God, I thank You that I can always turn to You. When I am faced with the difficulties of life, I can put my trust in You. Thank you that You are my “refuge and strength, a very present help in trouble.” PSALM 46:1
When faced with difficult circumstances we can trust God to be our str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