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01/2017     금요일

성경읽기: 시 135-136; 고전 12
찬송가: 393(통 447)

하나님이 하시는 새로운 일

“하나님이 당신의 삶에 새로운 어떤 일을 하고 계신가요?” 내가 최근에 참석했던 한 모임에서 리더가 던진 질문이었습니다. 몇몇 어려운 상황 가운데 있던 친구 민디가 대답했습니다. 그녀는 연로한 부모님을 위해서는 인내가, 남편의 건강 문제에 있어서는 체력이, 그리고 아직 예수님을 믿지 않는 자녀와 손자들을 위해서는 이해심이 필요하다고 말하고는,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것과 달리 이런 통찰력이 있는 말을 했습니다. “하나님은 지금 저에게 사람들을 사랑할 힘과 기회들을 더 넓히시는 일을 새로 하고 계신다고 믿어요.”

그것은 바울 사도가 데살로니가의 새 신자들을 위해 기도한 것과도 아주 잘 맞습니다. “주님께서 여러분끼리 나누는 사랑과 모든 사람에게 베푸는 여러분의 사랑을 풍성하게 하고, 넘치게 해 주시기를 빕니다”(데살로니가전서 3:12, 새번역). 바울은 그곳 사람들에게 예수님에 대해 가르쳤었지만 폭동이 일어나는 바람에 갑자기 떠나야만 했습니다 (사도행전 17:1-9). 그 후 그는 서신을 통해 그들에게 믿음에 계속 굳게 서 있으라고 권면했습니다(데살로니가전서 3:7-8). 그리고 그들이 모든 사람을 더욱 사랑할 수 있게 해달라고 주님께 기도하였습니다.

우리는 어려움에 부딪히면 “왜?”라고 불평 섞인 질문을 하거나 “왜 나에게?”라며 의문을 갖습니다. 이럴 때 다르게 대처하는 한 가지 방법은 우리 마음에 주님의 사랑이 자라나 다른 사람을 더 사랑할 수 있게 해달라고 주님께 간구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3:6-13
또 주께서 우리가 너희를 사랑함과 같이 너희도 피차간과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이 더욱 많아 넘치게 하사
데살로니가전서 3:12

주님, 제게 걱정거리가 많이 있습니다.
제 생각을 변화시키시고 사랑할 수 있도록 제 눈을 열어주소서.

우리는 우리의 어려움을 통해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도를 할 수 있다.

Daily Article

09/01/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5–136 and 1 CORINTHIANS 12
Hymn: 393(old 447)

God’s Doing Something New

“Is God doing something new in your life?” was the question the leader asked in a group I was in recently. My friend Mindy, who is dealing with some difficult situations, responded. She told of needing patience with aging parents, stamina for her husband’s health issues, and understanding of her children and grandchildren who have not yet chosen to follow Jesus. Then she made an insightful comment that runs contrary to what we might normally think: “I believe the new thing God is doing is He’s expanding my capacity and opportunities to love.”

That fits nicely with the apostle Paul’s prayer for new believers in Thessalonica: “May the Lord make your love increase and overflow for each other and for everyone else” (1 THESS. 3:12). He had taught them about Jesus but had to leave abruptly because of rioting (ACTS 17:1–9). Now in his letter he encouraged them to continue to stand firm in their faith (1 THESS. 3:7–8). And he prayed that the Lord would increase their love for all.

During difficulties we often choose to complain and ask, Why ? Or wonder, Why me ? Another way to handle those times could be to ask the Lord to expand His love in our hearts and to help us take the new opportunities that come to love others. - ANNE CETAS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3:6–13
May the Lord make your love increase and overflow for each other and for everyone else, just as ours does for you.
1 Thessalonians 3:12

I’ve got my own list of things I could worry about, Lord. Change my thinking. Open my eyes to love.

Our troubles can fill our prayers with love and empathy for others.

오늘의 말씀

08/31/2017     목요일

성경읽기: 시 132-134; 고전 11:17-34
찬송가: 79(통 40)

하나님의 찬란한 아름다움

로드호우 섬은 호주의 동쪽 연안에 있는 섬인데, 백사장과 수정 같이 맑은 물이 있는 작은 지상낙원 입니다. 몇 년 전 그곳을 방문했을 때 나는 그 아름다움에 완전히 반했습니다. 거기서는 거북이들과, 또 반짝거리는 전강이 같은 물고기들과 함께 헤엄칠 수 있고, 바로 옆에는 광고판처럼 네온색을 반짝이는 달 놀래기들이 떠 다녔습니다. 석호에 있는 산호초들에는 밝은 오렌지색의 흰동가리와 노란 줄무늬의 나비고기들이 가득하여 마치 내 손에 입 맞추려는 듯 달려들었습니다. 그 놀라운 장관에 감격하여 나는 하나님께 경배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내가 그렇게 반응하게 된 이유를 바울 사도가 설명해줍니다. 창조는 그것이 가장 최고조일 때 하나님 속성의 어떤 것을 드러냅니다(로마서 1:20). 로드호우 섬의 경이로운 모습은 하나님 그분의 능력과 아름다움을 살짝 보여주었습니다.

에스겔 선지자가 하나님을 뵈었을 때, 영광스러운 광채에 둘러싸여 푸른 보좌에 앉아 계신 사방으로 광채가 나는 존재를 보았습니다(에스겔 1:25-28). 요한 사도도 그와 비슷하게 녹보석 무지개에 둘러싸여 벽옥과 홍보석 같이 빛나는 하나님을 보았습니다(요한계시록 4:2-3). 하나님이 자신을 드러내실 때, 우리는 그분의 선하고 능력 있는 모습뿐 아니라, 아름다운 모습도 함께 보게 됩니다. 예술품이 그 작가를 반영해 보여주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창조물은 이러한 아름다움을 반영해 보여줍니다.

종종 자연이 하나님 대신 경배를 받기도 합니다(로마서 1:25). 얼마나 슬픈 일인지요. 그 대신, 지구상의 수정 같은 맑은 물과 반짝이는 생명체들이 우리에게 그것들 뒤에 계시는 한 분, 이 세상 어떤 것보다도 더 능력 있고 아름다운 분을 가리켜주길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18-25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 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가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려졌나니
로마서 1:20

.

창조 세계의 아름다움은 우리의 창조주의 아름다움을 반영해 보여준다.

Daily Article

08/31/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2–134 and 1 COR. 11:17–34
Hymn: 79(old 40)

God’s Radiant Beauty

Lord Howe Island is a small paradise of white sands and crystal waters off Australia’s east coast. When I visited some years ago, I was struck by its beauty. Here, one could swim with turtles and with fish like the shimmering trevally, while moon wrasses drifted nearby, flashing their neon colors like a billboard. In its lagoon I found coral reefs full of bright orange clownfish and yellow-striped butterfly fish that rushed to kiss my hand. Overwhelmed by such splendor, I couldn’t help but worship God.

The apostle Paul gives the reason for my response. Creation at its best reveals something of God’s nature (ROM 1:20). The wonders of Lord Howe Island were giving me a glimpse of His own power and beauty.

When the prophet Ezekiel encountered God, he was shown a radiant Being seated on a blue throne surrounded by glorious colors (EZEK 1:25–28). The apostle John saw something similar: God sparkling like precious stones, encircled by an emerald rainbow (REV 4:2–3). When God reveals Himself, He is found to be not only good and powerful but beautiful too. Creation reflects this beauty the way a piece of art reflects its artist.

Nature often gets worshiped instead of God (ROM 1:25). What a tragedy. Instead, may earth’s crystal waters and shimmering creatures point us to the One standing behind them who is more powerful and beautiful than anything in this world.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Romans 1:18–25
For since the creation of the world God's invisible qualities - his eternal power and divine nature - have been clearly seen, being understood from what has been made.
Romans 1:20

.

The beauty of creation reflects the beauty of our Creator.

오늘의 말씀

08/30/2017     수요일

성경읽기: 시 129-131; 고전 11:1-16
찬송가: 525(통 315)

깨끗하게 됨

우리 집 식기 세척기를 열었을 때 무엇이 잘못 되었나 싶었습니다. 반짝이는 깨끗한 그릇들을 보는 대신, 나는 흰색의 먼지 가루들로 뒤덮인 접시와 유리잔들을 치웠습니다. 우리 지역의 센물이 문제를 일으킨 것인지, 아니면 식기 세척기가 고장난 것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이렇게 불완전한 식기 세척기와는 달리, 하나님의 깨끗이 하심은 우리의 모든 불순물들을 다 씻어냅니다. 우리는 에스겔서에서, 에스겔이 하나님의 사랑과 용서의 메시지를 전할 때,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을 그분께로 다시 부르시고 있는 것을 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다른 신들과 다른 나라들을 섬기겠다고 맹세했을 때 이미 죄를 범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자비로 그들을 다시 그분께로 부르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모든 더러운 것에서와 모든 우상 숭배에서”(36:25) 그들을 청결하게 하겠다고 약속해주셨습니다. 하나님이 그분의 영을 그들 속에 두어서(27절) 기근이 아닌, 풍성한 소산이 있는 곳으로 그들을 이끄실 것이었습니다(30절).

에스겔 선지자 때처럼, 오늘도 주님은 우리가 잘못된 길로 가더라도 주님께로 돌아올 것을 기다리십니다. 주님의 뜻과 방법들에 우리가 복종할 때, 주님은 우리의 죄를 깨끗이 씻어주심으로 우리를 변화시켜주십니다. 우리 안에 거하시는 주님의 성령과 함께, 주님은 우리가 날마다 주님을 따를 수 있게 도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겔 36:24-32
맑은 물을 너희에게 뿌려서 너희로 정결하게 하되
에스겔 36:25

주 하나님, 깨끗하게 되고 용서 받았다는 느낌은 다른 어느 것과도 같지 않습니다. 저를 새 사람으로 변화시켜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께 매일 순종하도록 가르쳐주셔서 제가 더욱 더 예수님을 닮은 모습으로 자라가게 해주소서.

주님은 우리를 깨끗하게 해주신다.

Daily Article

08/30/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9–131 and 1 COR. 11:1–16
Hymn: 525(old 315)

Made Clean

When I opened our dishwasher, I wondered what went wrong. Instead of seeing sparkling clean dishes, I removed plates and glasses that were covered in a chalky dust. I wondered if the hard water in our area was wreaking havoc, or if the machine was broken.

God’s cleansing, unlike that faulty dishwasher, washes away all of our impurities. We see in the book of Ezekiel that God is calling His people back to Himself as Ezekiel shared God’s message of love and forgiveness. The Israelites had sinned as they proclaimed their allegiance to other gods and other nations. The Lord, however, was merciful in welcoming them back to Himself. He promised to cleanse them “from all [their] impurities and all [their] idols” (36:25). As He put His Spirit in them (V 27), He would bring them to a place of fruitfulness, not famine (V 30).

As in the days of the prophet Ezekiel, today the Lord welcomes us back to Him if we go astray. When we submit ourselves to His will and His ways, He transforms us as He washes
us clean from our sins. With His Holy Spirit dwelling within us, He helps us to follow Him day by day.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zekiel 36:24–32
I will sprinkle clean water on you, and you will be clean.
Ezekiel 36:25

Lord God, the feeling of being cleansed and forgiven is like no other. Thank You for transforming me into a new person. Teach me to submit to You daily that I might grow more and more closely into the likeness of Jesus.

The Lord makes us clean.

오늘의 말씀

08/29/2017     화요일

성경읽기: 시 126-128; 고전 10:19-33
찬송가: 197(통 178)

차고 넘치는 열매

봄과 여름 동안 나는 이웃집 뜰에서 자라는 과일들을 보며 감탄해마지 않습니다. 이웃이 심은 포도넝쿨은 두 집 사이의 담장을 타고 올라 커다란 포도송이들을 맺습니다. 자주색의 자두와 토실한 오렌지가 열린 가지들이 바로 손에 잡힐 듯 가까이 매달려 있습니다.

우리는 땅을 갈지도 않 고 , 씨를 뿌리거나, 물을 주거나, 정원의 잡초를 제거하지도 않지만, 이웃집 부부는 우리에게 그들이 수확한 것들을 나누어줍니다. 그들은 경작물을 재배하는 일에 책임을 지면서도 수확한 것의 일부를 나누어줌으로써 우리에게 기쁨을 나눠줍니다.

우리 담장 너머의 나무와 포도넝쿨에서 수확되는 과일들은 나에게, 그리고 하나님이 내 인생에 두신 사람들에게 유익을 주는 또 다른 수확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그것은 성령의 열매를 거두는 수확입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은 성령의 능력으로 사는 유익을 누리라고 하셨습니다(갈라디아서 5:16-21). 하나님의 진리의 씨앗들이 우리 마음속에서 자라갈 때, 성령님은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22-23 절)를 표현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을 더 크게 만들어주십니다.

한번 우리 삶을 예수님께 복종시키고 나면, 우리는 더 이상 우리 자신의 정욕에 이끌려 지내지 않아도 됩니다(24절). 시간이 지날수록 성령께서 우리의 생각과 태도, 행동을 바꾸어 주십니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고 성숙해갈 때, 하나님의 자비로운 수확의 유익들을 이웃들과 함께 나눔으로써 그들을 사랑하는 기쁨도 함께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5:16-25
내가 너희를 택하여 세웠나니 이는 너희로 가서 열매를 맺게 하고 또 너희 열매가 항상 있게 하여
요한복음 15:16

주님, 우리 마음과 생각 속에 성령의 열매들을 경작하셔서 우리 이웃들이 우리의 삶 속에서, 그리고 우리의 삶을 통해 주님의 감미로운 향기를 누릴 수 있게 해주소서.

성령의 열매는 우리를 변화시켜서 우리 주변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끼치게 해준다.

Daily Article

08/29/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6–128 and 1 COR. 10:19–33
Hymn: 197(old 178)

Overflowing Fruit

During the spring and summer, I admire the fruit growing in our neighbor’s yard. Their cultivated vines climb a shared fence to produce large bunches of grapes. Branches dotted with purple plums and plump oranges dangle just within our reach.

Although we don’t till the soil, plant the seeds, or water and weed the garden, the couple next door shares their bounty with us. They take responsibility for nurturing their crops and allow us to delight in a portion of their harvest.

The produce from the trees and vines on the other side of our fence reminds me of another harvest that benefits me and the people God places in my life. That harvest is the fruit of the Spirit.

Christ-followers are commissioned to claim the benefits of living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GAL 5:16–21). As God’s seeds of truth flourish in our hearts, the Spirit produces an increase in our ability to express “love, joy, peace,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VV 22–23).

Once we surrender our lives to Jesus, we no longer have to be controlled by our self-centered inclinations (V 24). Over time, the Holy Spirit can change our thinking, our attitudes, and our actions. As we grow and mature in Christ, we can have the added joy of loving our neighbors by sharing the benefits of His generous harvest.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Galatians 5:16–25
I chose you and appointed you so that you might go and bear fruit--fruit that will last
John 15:16

Lord, please cultivate the fruit of the Spirit in our hearts and minds so our neighbors can enjoy Your sweet fragrance in and through our lives.

The fruit of the Spirit changes us so we can impact the lives of those around us.

오늘의 말씀

08/28/2017     월요일

성경읽기: 시 123-125; 고전 10:1-18
찬송가: 212(통 347)

주의를 기울여라

존 뉴턴은 “내가 집에 가는데, 어떤 아이가 반 페니 동전을 떨어뜨렸다면, 그래서 다른 동전을 줘서 그의 울음을 멈추었다면, 나는 뭔가를 한 것 같은 느낌이 들 것입니다. 아주 즐거이 더 대단한 일들을 하겠지만, 나는 이것도 소홀히 하지 않겠습니다.”라고 썼습니다.

요즘은 편안함이 필요한 사람을 찾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적자를 면하기 위해 두 가지 일을 하며 근심에 시달리는 식료품점 점원. 살 집을 간절히 바라는 난민. 걱정의 홍수로 희망마저 씻겨나간 혼자서 아이를 키우는 미혼모. 너무 오래 살아 이제 필요 없어졌다고 불안해하는 외로운 노인.

그러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다윗은 “가난한 자를 보살피는 자에게 복이 있음이여”(시편 41:1)라고 썼습니다. 비록 우리가 도처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가난을 덜어줄 수는 없다 하더라도, 우리는 그들을 배려할 수는 있습니다. 배려한다는 말은 “주의를 기울인다”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돌본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습니다. 그들이 짜증나거나 성가실지라도 우리는 예의와 존중으로 그들을 대할 수 있습니다. 그들의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들을 수 있고, 그들을 위해서 혹은 그들과 같이 기도할 수 있습니다. 기도는 무엇보다도 가장 도움이 되고 치유가 되는 행동입니다.

예수님이 우리에게 주신 오래된 역설적인 문구인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이 있다”(사도행전 20:35)라는 말씀을 기억하십시오. 우리 자신을 내어줄 때 우리가 무엇보다도 행복하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주는 것은 이미 그 자체로 충분합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배려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시편 41:1-3
가난한 자를 보살피는 자에게 복이 있음이여
시편 41:1

하나님 아버지, 살아가는 동안 우리가 주의를 기울여야 할 사람들을 매일 보여주소서. 하나님께서 그렇게 인내하며 우리를 사랑하신 것처럼, 사랑과 인내로 그들을 진정으로 배려할 수 있게 해주소서.

사랑을 위해서 거저 내어준 삶만이 살 가치가 있다.

Daily Article

08/28/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3–125 and 1 COR. 10:1–18
Hymn: 212(old 347)

Paying Attention

John Newton wrote, “If, as I go home, a child has dropped a halfpenny, and if, by giving it another, I can wipe away its tears, I feel I have done something. I should be glad to do greater things; but I will not neglect this.

” These days, it’s not hard to find someone in need of comfort: A care-worn cashier in a grocery store working a second job to make ends meet; a refugee longing for home; a single mother whose flood of worries has washed away her hope; a lonely old man who fears he has outlived his usefulness.

But what are we to do? “Blessed is he who considers the poor,” wrote David (PS 41:1 NKJV ). Even if we can’t alleviate the poverty of those we meet along the way we can consider them—a verb that means “to pay attention.”

We can let people know we care. We can treat them with courtesy and respect, though they may be testy or tiresome. We can listen with interest to their stories. And we can pray for them or with them—the most helpful and healing act of all.

Remember the old paradox Jesus gave us when He said, “It is more blessed to give than to receive” (ACTS 20:35). Paying attention pays off, for we’re happiest when we give ourselves away. Consider the poor. - DAVID ROPER

Today's Reading

Psalm 41:1–3
Blessed is he who considers the poor.
Psalm 41:1 NKJV

Father, as we go through our day, show us the everyday folks who need our attention. Grant us the love and the patience to truly consider them, as You have so patiently loved us.

Only a life given away for love’s sake is worth living. - FREDERICK BUECHNER

오늘의 말씀

08/27/2017     주일

성경읽기: 시 120-122; 고전 9
찬송가: 535(통 325)

열심히 찾음

매주 토요일 우리 가족은 고등학교 크로스컨트리 팀에서 달리기를 하는 우리 딸을 응원하려고 경주 코스 옆에 줄을 섭니다. 결승선을 통과한 선수들은 자신들의 팀원, 코치, 부모들과 합류하기 위해 빠져나갑니다. 300명이 넘는 관중들이 결승선을 지난 선수들을 에워싸고 있어서, 그 많은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을 찾기란 정말 힘이 듭니다. 우리는 군중들을 열심히 훑어보고 나서 마침내 딸을 찾아낸 후, 우리가 보러온 ‘한 명의’ 운동선수, 우리가 아주 많이 사랑하는 우리 딸을 품에 꼭 안습니다.

바벨론에서의 70년간의 포로생활 후, 하나님은 유대인들을 예루살렘과 유다로 다시 돌아오게 하셨습니다. 이사야는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기쁨과, 다시 본향으로 돌아오는 길과 또 그들을 맞이할 문들을 준비하시는 하나님의 사역에 대해 묘사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그분의 거룩한 백성으로 다시 확인하여 부르시며, “찾은 바 된 자요 버림 받지 아니한 성읍” (이사야 62:12)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그들의 명예를 회복시켜주십니다. 하나님은 바벨론의 흩어진 곳곳에서 그들 모두를 찾아내시고 하나님 그분께로 돌아오게 하셨습니다.

이스라엘 자녀들처럼 우리도 하나님께서 열심히 찾으신, 하나님의 사랑스런 자녀들입니다. 우리의 죄가 한때 우리를 하나님과 단절되게 만들었지만, 예수님의 희생이 하나님께 돌아가는 길을 열어 놓았습니다. 하나님은 진심어린 포옹으로 우리를 안아주시려고 기대에 차 기다리시면서, 모든 이들 가운데서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열심히 찾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2:1-12
너를 일컬어 찾은 바된 자요 버림 받지 아니한 성읍이라 하리라
이사야 62:12

하나님, 제가 길을 잃었을 때 저를 찾으시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 집으로 돌아오게 해주심을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사랑하는 자녀들을 찾고 계신다.

Daily Article

08/27/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0–122 and 1 CORINTHIANS 9
Hymn: 535(old 325)

Earnestly Searching

Every Saturday our family lines the edges of the racecourse to cheer on my daughter as she runs with her high school cross-country team. After crossing the finish line, the athletes stream out to rejoin their teammates, coaches, and parents. Crowds engulf the finishers—often more than 300 of them—making it difficult to find one person among so many. We scan the crowd excitedly until we find her, eager to put our arms around the one athlete we came to watch: our much-loved daughter.

After seventy years of captivity in Babylon, God returned the Jews to Jerusalem and Judah. Isaiah describes the delight God has in them, and the work of preparing the highways for their pilgrimage home and the gates to receive them back. God reaffirms His calling of them as His holy people and restores their honor with a new name, “Sought After, the City No Longer Deserted” (ISA 62:12). He sought them all from the scattered reaches of Babylon to bring them back to Himself.

Like the children of Israel, we too are God’s beloved children, earnestly sought after by Him. Though our sin once caused us isolation from Him, Jesus’s sacrifice paves our way back to Him. He searches for each of us intently among all the others, waiting expectantly to fold us into a heartfelt embrace.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Isaiah 62:1–12
You will be called Sought After, the City No Longer Deserted.
Isaiah 62:12

Thank You, Lord, for seeking me while I was lost and returning me home to You through Jesus Christ.

God seeks His beloved children.

오늘의 말씀

08/26/2017     토요일

성경읽기: 시 119:89-176; 고전 8
찬송가: 135(통 133)

뱀과 세발자전거

가나에서 나와 형이 아주 어렸을 때 있었던, 여러 해 동안 여러 번 말했던 이야기입니다. 내 기억으로는, 형이 우리의 낡은 철제 세발자전거를 작은 코브라 위에 세워놓았습니다. 그 자전거의 무게가 뱀에게는 너무 무거워서 뱀은 앞바퀴 아래 깔려서 꼼짝달싹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모와 어머니 두 분 다 돌아가신후에, 어머니가 이 사건을 기억하며 쓰신 편지를 오랫동안 잃어버렸다 찾았습니다. 사실은 ‘내가’ 세발자전거를 뱀 위에 세웠고, 형이 엄마한테 달려가 알렸다는 것입니다. 실제 사건을 가까이서 보고 쓴 목격자인 어머니의 이야기가 진실을 말해주었습니다.

역사가 누가는 정확한 기록의 중요성을 이해하였습니다. 그는 예수님의 이야기가 어떻게 “처음부터 말씀의 목격자들이 전하여 준 그대로”(누가복음 1:2) 인지를 설명했습니다. 누가는 데오빌로에게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나도 데오빌로 각하에게 차례대로 써 보내는 것이 좋은 줄 알았노니 이는 각하가 알고 있는 바를 더 확실하게 하려 함이로라”(3-4절). 그것의 결과가 바로 누가복음입니다. 그리고 사도행전의 도입부에서도 누가는 예수님에 대해 “그가 고난 받으신 후에 또한 그들에게 확실한 많은 증거로 친히 살아 계심을 나타내셨다”(사도행전 1:3)고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믿음은 어떤 소문이나 부질없는 기대에 근거하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의 믿음은 우리에게 하나님과의 평화를 주기 위해 오셨던 잘 기록된 예수님의 삶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이야기는 분명한 사실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1-4
그 모든 일을 근원부터 자세히 미루어 살핀 나도
누가복음 1:3

하나님 아버지, 우리의 소망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께 있습니다. 우리를 위해 성경 곳곳에 주님의 이야기를 보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진정한 믿음은 이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Daily Article

08/26/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 119:89–176 and 1 CORINTHIANS 8
Hymn: 135(old 133)

The Snake and the Tricycle

For years, I had retold a story from a time in Ghana when my brother and I were toddlers. As I recalled it, he had parked our old iron tricycle on a small cobra. The trike was too heavy for the snake, which remained trapped under the front wheel.

But after my aunt and my mother had both passed away, we discovered a long-lost letter from Mom recounting the incident. In reality, I had parked the tricycle on the snake, and my brother had run to tell Mom. Her eyewitness account, written close to the actual event, revealed the reality.

The historian Luke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accurate records. He explained how the story of Jesus was “handed down to us by those who from the first were eyewitnesses” (LUKE 1:2). “I too decided to write an orderly account for you,” he wrote to Theophilus, “so that you may know the certainty of the things you have been taught” (VV 3–4). The result was the gospel of Luke. Then, in his introduction to the book of Acts, Luke said of Jesus, “After his suffering, he presented himself to them and gave many convincing proofs that he was alive” (ACTS 1:3).

Our faith is not based on hearsay or wishful thinking. It is rooted in the well-documented life of Jesus, who came to give us peace with God. His Story stand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uke 1:1–4
I myself have carefully investigated everything from the beginning.
Luke 1:3

Father, our hope is in Your Son. Thank You for preserving His story for us in the pages of the Bible.

Genuine faith is rooted in reason.

오늘의 말씀

08/25/2017     금요일

성경읽기: 시 119:1-88; 고전 7:20-40
찬송가: 342(통 395)

유혹에 끌려 빠짐

2016년 여름에 우리 조카딸이 나를 부추겨 스마트폰의 사진기를 이용하는 포켓몬고 게임을 했습니다. 게임의 목적은 포켓몬이라는 작은 동물을 찾는 것입니다. 포켓몬이 게임에 등장하면, 전화기 화면에 빨갛고 하얀 공도 함께 나타납니다. 포켓몬을 잡기 위해 게임하는 사람은 손가락을 움직여 공을 포켓몬 쪽으로 튕겨줘야 합니다. 하지만, 포켓몬을 유혹하기 위해 미끼를 쓰면 더 쉽게 잡힙니다.

유혹에 끌려 빠지는 것은 포켓몬만이 아닙니다. 예수님의 형제인 야고보는 신자들에게 보낸 그의 신약성경 서신에서, 우리가 “시험을 받는 것은 [우리] ‘자신’의 욕심에 끌려 미혹됨”(1:14 강조 추가)이라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즉, 우리의 욕심이 유혹과 함께 작용하여 우리를 미혹시켜 잘못된 길로 빠뜨립니다. 우리의 문제 때문에 하나님이나 혹은 심지어 사탄을 탓하고 싶어질지도 모르지만, 우리의 진정한 위험은 내부에 존재합니다.

그러나 여기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우리를 유혹하는 것들에 대해 하나님께 말씀드림으로써 시험에 빠지게 하는 유혹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야고보서 1장 13절에서 설명하고 있는 대로 “하나님은 악에게 시험을 받지도 아니하시고 친히 아무도 시험하지 아니하시”지만, 하나님은 잘못된 것을 하려고 하는 우리 인간의 욕구를 이해하십니다. 우리는 단지 하나님이 공급해주시겠다고 약속하신 지혜(1:1-6)를 구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5-6,12-15
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됨이니
야고보서 1:14

주님, 제가 시험을 당할 때에 빠져나갈 문을 제게 보여주소서.

당신의 길이 나쁜 일을 하려는 충동을 비껴갈 수 있도록 기도하라.

Daily Article

08/25/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 119:1–88 and 1 COR. 7:20–40
Hymn: 342(oid 395)

Lured Away

In the summer of 2016, my niece convinced me to play Pokémon Go—a game played on a smartphone, using the phone’s camera. The object of the game is to capture little creatures called Pokémon. When one appears in the game, a red and white ball also appears on the phone’s screen. To capture a Pokémon, the player has to flick the ball toward it with the movement of a finger. Pokémon are more easily caught, however, by using a lure to attract them.

Pokémon characters aren’t the only ones who can be lured away. In his New Testament letter to believers, James, the brother of Jesus, reminds us that we “are dragged away by [our] own evil desire” (1:14, EMPHASIS ADDED). In other words, our desires work with temptation to lure us down a wrong path. Though we may be tempted to blame God or even Satan for our problems, our real danger lies within.

But there is good news. We can escape the lure of temptation by talking to God about the things that tempt us. Though “God cannot be tempted by evil, nor does he tempt anyone,” as James explains in 1:13, He understands our human desire to do what’s wrong. We have only to ask for the wisdom God promised to provide (1:1–6). -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James 1:5–6, 12–15
Each person is tempted when they are dragged away by their own evil desire and enticed.
James 1:14

Lord, when I’m tempted, show me the door of escape.

Pray your way past the urge to do wrong.

오늘의 말씀

08/24/2017     목요일

성경읽기: 시 116-118; 고전 7:1-19
찬송가: 212(통 347)

다른 사람들에 대한 관심

내 친구 제이미는 거대한 국제기업에서 일합니다. 입사 초기에, 한 사람이 그의 자리로 와서 대화를 나누게 되었는데, 제이미에게 그곳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 물었습니다. 자기 업무에 대해 그 사람에게 말한 뒤 제이미가 그의 이름을 묻자, 그는 “내 이름은 리치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제이미는 “만나서 반갑습니다.”라고 말한 후 “그런데 여기서 무슨 일을 하십니까?” 라고 물었습니다.

“아, 나는 여기 사장입니다.”

제이미는 순간 이런 편하고 소박한 대화로 세계 최고 갑부 중의 한 사람에게 자기를 소개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자신을 찬양하고 “나를 높이 기리는 요즘 시대에, 이런 작은 이야기는 빌립보서에서 바울이 한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2:3)라는 중요한 말씀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돌리는 사람들은 바울이 언급한 특징을 지닌 사람들입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들]보다 남을 낫게 여길”(3절) 때 그리스도의 겸손을 보여주고,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고”(마가복음 10:45) 오신 예수님을 그대로 보여주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가 “종의 형체”(빌립보서 2:7)를 가질 때, 우리는 예수님의 마음을 품게 됩니다(5절).

오늘날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 우리 자신의 일만을 돌아보지 말고, 또한 “다른 사람들의 일”(4절)을 돌아보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1-11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각각 자기 일을 돌아볼 뿐더러
빌립보서 2:3-4

예수님, 주님께서 천국의 영광을 떠나 이 세상에서 겸손한 종이 되심으로 우리에게 겸손의 본을 보여주셨습니다. 우리가 하는 모든 일에서 주님과 같은 겸손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다른 사람들을 섬김으로써 하나님을 섬기라.

Daily Article

08/24/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6–118 and 1 COR. 7:1–19
Hymn: 212(old 347)

The Interests of Others

My friend Jaime works for a huge international corporation. In his early days with the company, a man came by his desk, struck up a conversation, and asked Jaime what he did there. After telling the man about his work, Jaime asked the man his name. “My name is Rich,” he replied.

“Nice to meet you,” Jaime answered. “And what do you do around here?”

“Oh, I am the owner.”

Jaime suddenly realized that this casual, humble conversation was his introduction to one of the richest men in the world.

In this day of self-glorification and the celebration of “me,” this little story can serve as a reminder of Paul’s important words in the book of Philippians: “Do nothing out of selfish ambition or vain
conceit” (2:3). People who turn their attention to others and not on themselves have the characteristics Paul mentions.

When we “value others above [ourselves],” we demonstrate Christlike humility (V 3). We mirror Jesus, who came not “to be served, but to serve” (MARK 10:45). When we take “the very nature of a servant” (PHIL 2:7), we have the mindset of Jesus (V 5).

As we interact with others today, let’s not look on our own interests alone but also “to the interests of the others” (V 4). - DAVE BRANON

Today's Reading

Philippians 2:1–11
In humility value others above yourselves, not looking to your own interests.
Philippians 2:3-4

Jesus, You gave us the model of humility when You left heaven’s splendors to become a humble servant on earth. Help us practice Christlike humility in everything we do.

Serve God by serving others.

오늘의 말씀

08/23/2017     수요일

성경읽기: 시 113-115; 고전 6
찬송가: 369(통 487)

우리 죄가 사라졌다

어린 소녀였을 때, 나는 친구를 불러 집 근처의 선물가게에서 같이 물건을 둘러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 친구가 갑자기 크레용 모양의 알록달록한 머리핀을 한 움큼 내 주머니에 쑤셔 넣고는 물건 값도 내지 않은 채 나를 가게 문 밖으로 획 잡아당겼습니다. 일주일 동안 죄책감에 시달리다가 어머니에게 다가가 고백했는데, 고백과 동시에 눈물이 쏟아져 내렸습니다.

친구를 막지 못했던 나의 잘못된 선택을 슬퍼하면서, 나는 훔친 물건을 돌려주고 사과하며, 다시 훔치지 않겠다는 맹세를 했습니다. 가게 주인은 다시는 오지 말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어머니가 나를 용서하시며 내가 그 일을 바로 잡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확신을 주셨기 때문에, 나는 그날 밤 평안히 잠을 잤습니다.

다윗 왕 또한 자백을 함으로써 용서받고 안식할 수 있었습니다(시편 32:1-2). 다윗은 그의 “진액이 마를 때까지” (시편 32:3-4), 밧세바와 우리아에게 저지른 죄를 숨겼습니다(사무엘하 11-12장). 그러나 다윗이 자기의 잘못을 “숨기기”를 거부하자, 주님은 다윗의 죄를 용서해주셨습니다(5절). 하나님은 다윗을 “환난으로부터” 보호하시고 “구원의 노래로” 그를 둘러쌌습니다(7절). “여호와를 신뢰하는 자에게는 인자하심이 두르기”(10절) 때문에 다윗은 기뻐하였습니다.

우리가 자백하고 용서를 구할 때 우리가 우리 죄의 결과를 선택하거나, 사람들의 반응을 조절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주님이 우리의 죄가 영원히 사라졌다고 확신시켜주시기 때문에, 주님의 권능을 부여받은 우리는 죄의 속박으로부터의 자유와 자백으로 얻어지는 평강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2:1-11
내가 이르기를 내 허물을 여호와께 자복하리라 하니 곧 주께서 내 죄악을 사하셨나이다
시편 32:5

주님, 우리가 죄를 자백하고 주님의 용서를 받을 때, 우리 죄가 완전히 그리고 영원히 지워졌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하나님께서 용서해주실 때 우리 죄는 사라진다.

Daily Article

08/23/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3–115 and 1 CORINTHIANS 6
Hymn: 369(old 487)

Our Guilt Is Gone

As a young girl, I invited a friend to browse with me through a gift shop near my home. She shocked me, though, by shoving a handful of colorful crayon-shaped barrettes into my pocket and yanking me out the door of the shop without paying for them. Guilt gnawed at me for a week before I approached my mom—my confession pouring out as quickly as my tears.

Grieved over my bad choice of not resisting my friend, I returned the stolen items, apologized, and vowed never to steal again. The owner told me never to come back. But because my mom forgave me and assured me that I had done my best to make things right, I slept peacefully that night.

King David also rested in forgiveness through confession (PS 32:1–2). He had hidden his sins against Bathsheba and Uriah (2 SAM 11–12) until his “strength was sapped” (PS 32:3–4). But once David refused to “cover up” his wrongs, the Lord erased his guilt (V 5). God protected him “from trouble” and wrapped him in “songs of deliverance” (V 7). David rejoiced because the “L ORD ’s unfailing love surrounds the one who trusts in him” (V 10).

We can’t choose the consequences of our sins or control people’s responses when we confess and seek forgiveness. But the Lord can empower us to enjoy freedom from the bondage of sin and peace through confession, as He confirms that our guilt is gone—forever.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32:1–11
I said, "I will confess my transgressions to the LORD." And you forgave the guilt of my sin.
Psalm 32:5

Lord, when we confess our sins and receive Your forgiveness, please help us believe our guilt is completely and forever wiped away.

When God forgives, our guilt is gon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