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31/2017 화요일
룻의 이야기
하지만 그녀가 우리에게 자주 들려주는 그녀의 구원에 관한 이야기는 하나님의 은혜의 놀라운 예를 보여줍니다. 그녀가 30 대였을 때 친구의 초대로 어느 날 밤 어떤 모임에 가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설교말씀을 듣게 될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습니다. “만일 그런 모임인줄 알았다면 가지 않았을 거예요.”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그녀에게는 이미 “종교”가 있었는데, 그것이 별로 소용에 닿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그곳에 참석하게 되었고 그 밤에 예수님에 관한 복음을 듣게 되었습니다.
오십 년도 더 지난 지금, 예수님이 그녀의 삶을 어떻게 바꾸셨는지 이야기할 때면 그녀는 지금도 기쁨의 눈물을 흘립니다. 그날 밤 그녀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새롭습니다.
우리 이야기가 룻과 비슷하건 아니건 그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예수님과 그분의 죽음, 그리고 부활을 믿는 믿음으로 우리의 발걸음을 내딛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는 “네가 만일 네 입으로 예수를 주로 시인하며 또 하나님께서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것을 네 마음에 믿으면 구원을 받으리라”(로마서 10:9)라고 말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룻이 한 일입니다. 그리고 당신도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구원하시고, 변화시키시고, 우리에게 새로운 삶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0:1-13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받으리라
로마서 10:13
.
예수님께 속하게 되는 것은 재활이 아니다. 그것은 재창조이다.
Daily Article
10/31/2017 Tuesday
Ruth’s Story
But when she tells us her story of salvation—as she does often—Ruth stands out as a remarkable example of God’s grace. Back when she was in her thirties, a friend invited her to go to a meeting one night. Ruth didn’t know she was going to hear a preacher. “I wouldn’t have gone if I knew,” she says. She already had “religion,” and it wasn’t doing her any good. But go she did. And she heard the good news about Jesus that night.
Now, more than fifty years later, she cries tears of joy when she talks of how Jesus transformed her life. That evening, she became a child of God. Her story never grows old.
It doesn’t matter if our story is similar to Ruth’s or not. What does matter is that we take the simple step of putting our faith in Jesus and His death and resurrection. The apostle Paul said, “If you declare with your mouth, ‘Jesus is Lord,’ and believe in your heart that God raised him from the dead, you will be saved” (ROM. 10:9).
That’s what Ruth did. You can do that too. Jesus redeems, transforms, and gives us new life. - DAVE BRANON
Today's Reading
Romans 10:1–13Everyone who calls on the name of the Lord will be saved.
Romans 10:13
.
Belonging to Christ is not rehabilitation; it’s re-creation.
오늘의 말씀
10/30/2017 월요일
감춰진 비밀 풀기
시편 119편에는 매일 하나님 말씀의 능력을 이해하고 경험하려는 저자의 갈망이 넘쳐흐르고 있습니다. “내가 주의 법을 어찌 그리 사랑하는지요 내가 그것을 종일 작은 소리로 읊조리나이다”(97절). 이런 열정적인 자세가 주님을 향한 지혜와 명철, 그리고 순종심을 성장하게 해줍니다(98-100절).
성경의 각 페이지들에는 “감춰진 비밀을 푸는” 마법의 공식이 들어있지 않습니다. 성경을 읽는 과정에서 우리는 관념적인 것을 넘어서 우리가 읽은 것에 대한 반응도 요구합니다. 어떤 구절들은 우리에게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을 수도 있지만,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성경의 진리들을 우리가 받아들이고 이렇게 주님께 말할 수 있습니다.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 주의 법도들로 말미암아 내가 명철하게 되었으므로 모든 거짓 행위를 미워하나이다”(103-104절).
새로운 것을 찾아나가는 놀라운 여정이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9:97-104주의 법도들로 말미암아 내가 명철하게 되었으므로 모든 거짓 행위를 미워하나이다
시편 119:104
주님, 오늘 주님의 생명의 길을 따르도록 우리에게 지혜와 명철을 주는 성경을 허락하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의 사랑과 능력을 발견하는 매일의 여정은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따르려는 헌신으로 시작된다.
Daily Article
10/30/2017 Monday
Unraveling the Mysteries
Psalm 119 overflows with the writer’s hunger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power of God’s Word each day. “Oh, how I love your law! I meditate on it all day long” (V. 97). This eager pursuit leads to growing wisdom, understanding, and obedience to the Lord (VV. 98–100).
The Bible doesn’t contain a magic formula for “unraveling the mysteries” in its pages. The process is more than mental and requires a response to what we read. While some passages may remain puzzling to us, we can embrace those truths we clearly understand, and say to the Lord, “How sweet are your words to my taste, sweeter than honey to my mouth! I gain understanding from your precepts;
therefore I hate every wrong path” (VV. 103–104).
A wonderful journey of discovery awaits us in God’s Word.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Psalm 119:97–104I gain understanding from your precepts;therefore I hate every wrong path.
Psalm 119:104
Lord, thank You for the Bible, which gives us wisdom and understanding to follow Your pathway of life today.
A commitment to read and follow God’s Word begins a daily journey of discovering His love and power.
오늘의 말씀
10/29/2017 주일
신뢰 항목
비록 우리가 결혼 25주년을 바라보고 있지만, 나는 가끔씩 하나님께서 우리의 시련 속에서 행하신 모든 일을 잊어버립니다. 때로는 하나님이 하신 일들에 의존하는 대신 필요없는 걱정을 하며 알지 못하는 것들에 대한 깊은 두려움과 씨름합니다.
신명기 1장에서 모세는 신뢰할 수 있는 하나님에 대해 단호히 이야기하며,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믿음으로 앞으로 나아가 땅을 차지하라고 격려했습니다(21절). 하지만 하나님의 백성들은 미래를 주님께 맡기고 의지하기 이전에 그들이 어떤 난관에 부딪치게 될지, 그리고 그들이 무엇을 받게 될 것인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줄 것을 요구했습니다(22-33절).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도 두려움이나 염려에 굴복하는 일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마주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어려움들을 걱정하는 것은 우리로 믿음에 의지하는 것을 막아버리고, 더 나아가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령님은 과거에 보여주셨던 주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신뢰 항목을 만드는 것을 도와주실 수 있습니다. 그분은 어제, 오늘 그리고 영원토록 신뢰할 수 있는 하나님에 대한 용기 있는 확신을 우리에게 부여해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1:21-33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땅을 너희 앞에 두셨은즉......두려워하지 말라 주저하지 말라
신명기 1:21
주님, 우리가 주님을 알면 앞날에 무엇이 놓여있는지 모두 알지 않아도 된다고 단언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우리는 주님이 영원히 변하지 않으신다는 것을 압니다.
지난날 신실하셨던 하나님의 모습은 그분이 영원히 신뢰할 수 있는 분임을 증명해준다.
Daily Article
10/29/2017 Sunday
Trust Tally
Yet, even as we head toward celebrating our twenty-fifth anniversary, I occasionally forget everything God has done in and through our trials. Sometimes, I struggle with a deep-seated fear of the unknown—experiencing unnecessary anxiety instead of relying on God’s track record.
In Deuteronomy 1, Moses affirmed the Lord’s reliability. He encouraged the Israelites to move forward in faith so they could enjoy their inheritance (V. 21). But God’s people demanded details about what they’d be up against and what they’d receive before committing to trust Him with their future (VV. 22–33).
Followers of Christ are not immune to succumbing to fear or anxiety. Worrying about what difficulties we may or may not encounter can keep us from depending on faith, and may even damage our relationships with God and others. But the Holy Spirit can help us create a trust tally of the Lord’s past faithfulness. He can empower us with courageous confidence in God’s trustworthiness yesterday, today, and forever.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Deut. 1:21–33See, the LORD your God has given you the land....Do not be afraid;do not be discouraged.
Deuteronomy 1:21
Lord, thank You for affirming that we don’t need to know everything that lies ahead when we know You. We know You never change.
God’s past faithfulness proves His everlasting dependability.
오늘의 말씀
10/28/2017 토요일
하나님 안에 뿌리내림
예레미야 선지자가 하나님의 백성들이 그분을 신뢰할 때나 그분의 길을 무시할 때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했던 예에서도 우리는 잘 자라는 나무와 죽어가는 나무의 상징을 봅니다. 하나님을 따르는 자들은 물가의 땅에 뿌리를 내려 열매를 맺고 (예레미야 17:8), 자신의 뜻대로 하는 자는 사막의 떨기나무와 같이 됩니다 (5-6절). 선지자는 하나님의 사람들이 참되고 살아계신 하나님을 의지하여 “물가에 심어진 나무”(8절)와 같이 되기를 갈망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농부이시며(요한복음 15:1), 그분을 신뢰하며 확신을 가질 수 있음을(예레미야 17:7)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온 마음으로 주님을 따름으로 열매를 계속 맺게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7:5-8그는 물가에 심어진 나무가......그 잎이 청청하여
예레미야 17:8
사랑하는 주님, 어려울 때나 풍성할 때나 온전히 주님을 따르기를 원합니다. 도움과 희망을 구하기 위해 주님께 향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가 하나님을 따를 때 하나님은 우리를 번성케 해주신다.
Daily Article
10/28/2017 Saturday
Rooted in God
We see the image of trees flourishing and perishing when the prophet Jeremiah relates them to God’s people who either trust in the Lord or ignore His ways. Those who follow God will send their roots into soil near water and will bear fruit (JER. 17:8), but those who follow their own hearts will be like a bush in the desert (VV. 5–6). The prophet yearns that God’s people would rely on the true and living God, that they would be “a tree planted by the water” (V. 8).
We know the “Father is the gardener” (JOHN 15:1) and that in Him we can trust and have confidence (JER. 17:7). May we follow Him with our whole heart as we bear fruit that last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eremiah 17:5–8They will be like a tree planted by the water...its leaves are always green.
Jeremiah 17:8
Loving Lord, I want to follow You completely, whether in times of drought or abundance. Help me turn to You for help and hope.
When we follow God, He makes us to flourish.
오늘의 말씀
10/27/2017 금요일
하나님이 공급하신다
이 두 동물은 다른 면에서도 차이점을 보여줍니다. 사슴은 겨울 준비를 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눈이 올 때면 길을 따라 보이는 대로 찾아 먹습니다(우리 뒤뜰의 관상용 관목을 포함해서). 그러나 다람쥐들이 만약 그와 같이 한다면 굶어 죽을 것입니다. 그들은 적절한 양식을 찾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사슴과 다람쥐는 어떻게 보면 하나님께서 우리를 돌보시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주님은 우리로 하여금 일할 수 있게 하시고 미래를 위해 저축하도록 하십니다. 그리고 우리의 자원이 부족할 때 우리의 필요를 채워주십니다. 지혜의 문헌이 가르쳐주듯이 하나님은 풍성한 계절을 주셔서 부족한 계절을 준비하게 하십니다(잠언 12:11). 시편 23편이 말하는 것처럼, 주님은 우리를 위험한 곳을 지나 쉴만한 초장으로 인도하십니다.
하나님은 많이 가진 자들에게 그들이 가진 것을 어려운 자들에게 나누어주도록 하심으로써 공급해주시기도 합니다(신명기 24:19). 공급에 관해 성경이 말해주는 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할 수 있을 때 일하고, 할 수 있을 때 저축하고, 할 수 있을 때 나누고, 우리의 필요를 채워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하라.’
오늘의 성구
신명기 24:19-22자기의 토지를 경작하는 자는 먹을 것이 많거니와
잠언 12:11
주님, 우리의 필요를 채워주시겠다는 약속해주시니 감사합니다.
두려워하거나 의심하지 않게 도와주소서. 주님께서 우리를 감찰하시고, 도와달라는 우리의 절규를 들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다함 없이 우리의 필요를 공급해주신다.
Daily Article
10/27/2017 Friday
God Provides
The two creatures are different in another way as well. Deer do not prepare for winter. When the snow comes they eat whatever they can find along the way(including ornamental shrubs in our yard). But squirrels would starve if they followed that example. They would be unable to find suitable food.
The deer and the squirrel represent ways that God cares for us. He enables us to work and save for the future, and He meets our need when resources are scarce. As the wisdom literature teaches, God gives us seasons of plenty so that we can prepare for seasons of need (PROV. 12:11). And as Psalm 23 says, the Lord leads us through perilous places to pleasant pastures.
Another way that God provides is by instructing those with plenty to share with those in need (DEUT. 24:19). So when it comes to provision, the message of the Bible is this: Work while we can, save what we can, share what we can, and trust God to meet our needs. - JULIE ACKERMAN LINK
Today's Reading
Deut. 24:19–22Those who work their land will have abundant food.
Proverbs 12:11
Thank You, Lord, for the promise that You will meet our needs. Help us not to fear or doubt.
We’re grateful that You’re watching over us and that our cries for help reach Your ear.
Our needs will never exhaust God’s supply.
오늘의 말씀
10/26/2017 목요일
훨씬 더 좋은 것
어머니께 선물을 드리고 싶은 내 바람은 다윗이 하나님의 집을 짓기를 원했던 일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그의 궁전과 하나님께서 자신을 나타내신 성막이 너무 차이가 나는 것에 충격을 받은 다윗은 하나님의 성전을 짓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하나님은 드리고 싶어 하는 다윗의 소원을 받아주시는 대신, 다윗에게 훨씬 더 좋은 선물을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다윗의 아들 중 한 명(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할 것과(역대상 17:11) 다윗의 집, 즉 왕조를 일으키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두 번째 약속은 솔로몬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왕관이 “영원토록 튼튼하게 서게” (12절) 되었던 예수님에게서 궁극적으로 성취되었습니다. 다윗은 그가 가진 유한한 자원에서 드리기를 원했지만, 하나님은 무한한 것으로 약속해주셨습니다.
다윗과 같이 우리도 감사와 사랑으로 항상 하나님께 드릴 수 있도록 마음이 움직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예수님 안에서 우리에게 얼마나 풍성히 베푸셨는지를 우리가 항상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상 17:1-15그는 나를 위하여 집을 건축할 것이요 나는 그 왕위를 영원히 견고하게 하리라
역대상 17:12
하나님 아버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제게 주신 놀라운 선물에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제게는 너무나 엄청납니다.
예수님 안에서 우리에게 주신 하나님의 선물은 모든 선물을 훨씬 능가한다.
Daily Article
10/26/2017 Thursday
Exceedingly Better
My desire to give to my mother reminds me of David’s wish to build a home for God. Struck by the contrast between his palace and the tent where God revealed Himself, David longed to build God a temple. Instead of granting David’s wish to give, God responded by giving David an exceedingly better gift. God promised that not only would one of David’s children (Solomon) build the temple (1 CHRON. 17:11), but that He would build David a house, a dynasty. That promise began with Solomon but found its ultimate fulfillment in Jesus, whose throne was indeed “established forever” (V. 12). David wanted to give from his finite resources, but God promised something infinite.
Like David, may we always be moved to give to God out of gratitude and love. And may we always see how much more abundantly He has given to us in Jesu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1 Chronicles 17:1–15He is the one who will build a house for me, and I will establish his throne forever.
1 Chronicles 17:12
Father God, I thank You for Your astounding gift to me in Jesus Christ. Your love overwhelms me.
God’s gift to us in Jesus Christ exceeds all gifts.
오늘의 말씀
10/25/2017 수요일
광야에서 살아남음
카우보이는 물을 마시고 싶은 충동을 억제하고 그 메모가 하라는 대로 합니다. 그 지시를 따르기 때문에 그는 시원하고 흡족한 물을 충분히 마실 수 있게 됩니다. 그가 믿고 그대로 따르지 않았다면 아마도 겨우 목을 축일 정도의 미지근한 물만 마실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광야를 지나가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그들의 갈증이 극도에 달했을 때(출애굽기 17:1-7), 모세가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하나님이 그에게 지팡이로 호렙산 반석을 치라 하시자, 모세는 믿고 복종했으며 그 반석에서 물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슬프게도 이스라엘 백성들은 일관되게 모세의 믿음의 표본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결국 “들은 그 말씀이 그들에게는 아무런 유익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그들은 그 말씀을 듣고서도, 그것을 믿음과 결합시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히브리서 4:2, 새번역).
때로는 삶이 매우 건조한 사막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전혀 생각지도 않은 상황에서 우리의 영적인 갈증을 해소시켜 주십니다. 우리가 믿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의 약속들을 신뢰할 때, 우리는 생명수의 강과 매일의 필요를 채워주시는 은혜를 체험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7:1-7들은 바 그 말씀이 그들에게 유익하지 못한것은 듣는 자가 믿음과 결부시키지 아니함이라
히브리서 4:2
주님, 우리의 믿음을 주님께 맡길 수 있게 도와주소서. 오직 주님만을 갈급히 찾나이다.
생명수 되시는 예수님만이 하나님을 향한 갈증을 해소시켜주실 수 있다.
Daily Article
10/25/2017 Wednesday
Surviving the Wilderness
The cowboy resists the temptation to drink and uses the water as the note instructs. In reward for his obedience, he receives an abundance of cold, satisfying water. Had he not acted in faith, he would have had only a jar of unsatisfying, warm water to drink.
This reminds me of Israel’s journey through the wilderness. When their thirst became overwhelming (EX. 17:1–7), Moses sought the Lord. He was told to strike the rock of Horeb with his staff. Moses believed and obeyed, and water gushed from the stone.
Sadly, Israel would not consistently follow Moses’s example of faith. Ultimately, “the message they heard was of no value to them, because they did not share the faith of those who obeyed” (HEB. 4:2).
Sometimes life can seem like an arid desert. But God can quench our spiritual thirst in the most unlikely circumstances. When by faith we believe the promises of God’s Word, we can experience rivers of living water and grace for our daily needs. - DENNIS FISHER
Today's Reading
Exodus 17:1–7The message they heard was of no value to them, because they did not share the faith of those who obeyed.
Hebrews 4:2
Help us to place our trust in You, Lord. You are what our heart thirsts after.
Only Jesus, the Living Water, can satisfy our thirst for God.
오늘의 말씀
10/24/2017 화요일
변장하고 계신 예수님
그러나 어느 날 투덜거리는 그녀의 태도가 순식간에 변해버렸습니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녀는 대야와 수건을 가져와 시어머니의 발아래 무릎을 꿇었는데, “내가 올려다보는데 갑자기 내가 예수님의 발을 씻기고 있는 것 같았어. 시어머니는 변장하고 계신 예수님이셨어!” 그 일 이후 그녀에게는 시어머니의 발을 씻기는 것이 영광으로 느껴졌습니다.
이 감동적인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감람산 기슭에서 세상의 마지막에 관하여 하신 예수님의 이야기를 생각했습니다. 왕이신 하나님은 그분의 자녀들이 병든 자를 방문하고 주린 자에게 먹을 것을 주었을 때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마태복음 25:40)라고 말씀하시면서 그분의 자녀들을 천국으로 맞아들이십니다. 우리가 옥에 갇힌 자들을 찾아가고 가난한
자들에게 옷을 줄 때 우리 역시 주님을 섬기는 것입니다.
이제는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마다 “변장하고 계신 예수님이세요?” 라고 스스로 질문해보는 내 친구처럼, 당신도 오늘 그러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5:31-40너희가 여기 내 형제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마태복음 25:40
주 예수님, 주님은 가장 일상적인 일도 변화시킬 수 있으십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다른 이들을 사랑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것은 예수님을 섬기는 것이다.
Daily Article
10/24/2017 Tuesday
Jesus in Disguise
But one day her grumbling attitude changed in a flash. As she got out the bowl and towel and knelt at her mother-in-law’s feet, she said, “I looked up, and for a moment I felt like I was washing the feet of Jesus Himself. She was Jesus in disguise!” After that, she felt honored to wash her mother-in-law’s feet.
When I heard this moving account, I thought of Jesus’s story about the end of time that He taught on the slopes of the Mount of Olives. The King welcomes into His kingdom His sons and daughters, saying that when they visited the sick or fed the hungry, “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 brothers and sisters of mine, you did for me” (MATT. 25:40). We too serve Jesus Himself when we visit those in prison or give clothes to the needy.
Today, might you echo my friend, who now wonders when she meets someone new, “Are you Jesus in disguise?”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Matthew 25:31–40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you did for me.
Matthew 25:40
Lord Jesus Christ, You can transform the most mundane of tasks.
Help me to love others in Your name.
When we serve others, we serve Jesus.
오늘의 말씀
10/23/2017 월요일
형제간
이런 우리 이야기는 ‘형제간의 대립에 관한 짧은 역사’라고 부제가 붙을만한 창세기에 아주 어울릴 수 있을 것입니다. 가인과 아벨(창세기 4장), 이삭과 이스마엘(21:8-10), 요셉과 베냐민을 제외한 그의 형제들(37장). 그러나 형제간의 원한으로 치면 야곱과 에서의 이야기를 능가할 수 없습니다.
에서의 쌍둥이 동생 야곱이 두 번이나 그를 속였기 때문에 에서는 야곱을 죽이고 싶어 했습니다(27:41). 몇 십 년이 지난 후 야곱과 에서가 화해를 하지만(33장), 그들의 경쟁 관계는 에돔과 이스라엘 나라가 된 그들의 후손들에게서도 계속되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려고 했을 때 에돔은 군대를 보내어 그들을 위협했습니다(민수기 20:14-21). 오랜 후에 예루살렘 주민들이 침략자들을 피해 에돔으로 도망갔을 때, 그들은 그 피난민들을 살육하였습니다(오바댜 1:10-14).
다행히 성경에는 형제간의 대립 같은 통탄할 이야기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도 함께 들어있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요한복음 13:34)고 말씀하시며 모든 것을 바꾸셨습니다. 그리고는 우리를 위해 죽으심으로 그 말씀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보여주셨습니다.
형과 나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친해졌습니다. 하나님이 바로 그렇게 하십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용서에 응답하여 받아들일 때, 하나님의 은혜가 형제간의 경쟁을 형제간의 우애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3:1-11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요한복음 13:34
주님, 주님의 치유의 사랑으로 우리들의 관계를 변화시켜주시기 원합니다.
형제간의 경쟁은 자연스러운 것이나 하나님의 사랑은 초자연적이다.
Daily Article
10/23/2017 Monday
Brother to Brother
Our story could have fit in the book of Genesis, which might well be subtitled A Brief History of Sibling Rivalry. Cain and Abel (GEN. 4); Isaac and Ishmael (21:8–10); Joseph and everyone not named Benjamin (CH. 37). But for brother-to-brother animosity, it’s hard to beat Jacob and Esau.
Esau’s twin brother had cheated him twice, so he wanted to kill Jacob (27:41). Decades later Jacob and Esau would reconcile (CH. 33). But the rivalry continued on in their descendants, who became the nations of Edom and Israel. When the people of Israel prepared to enter the Promised Land, Edom met them with threats and an army(NUM. 20:14–21). Much later, as Jerusalem’s citizens fled invading forces, Edom slaughtered the refugees (OBAD. 1:10–14).
Happily for us, the Bible contains not just the sad account of our brokenness but the story of God’s redemption as well. Jesus changed everything, telling His disciples, “A new command I give you: Love one another” (JOHN 13:34). Then He showed us what that means by dying for us.
As my brother and I got older, we became close. That’s the thing with God. When we respond to the forgiveness He offers, His grace can transform our sibling rivalries into brotherly lov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Genesis 33:1–11A new command I give you: Love one another.
John 13:34
Lord, we invite You to transform our relationships with Your healing love.
Sibling rivalry is natural. God’s love is supernatural.
오늘의 말씀
10/22/2017 주일
다른 종류의 사랑
하지만 때로 나는 교회가 용서받은 죄인들을 위한 피난처가 되기보다는 배타적인 모임이 된 것은 아닌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어떤 특정한 종류”의 모임에 끌려서 서로 편안한 사람들끼리만 뭉치게 될 때, 다른 이들은 자신들이 하찮은 존재 같은 느낌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그것은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요한복음 15:12)고 말씀하셨을 때주님이 원하셨던 것이 아닙니다. 주님의 교회는 서로가 모두에게 주님의 사랑을 나누는 연장선에 있어야 했습니다.
상처 받고 외면 받은 사람들이 예수님 안에서 사랑의 피난처와 평안과 용서를 찾을 수 있다면, 마땅히 교회에서도 그런 것들을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 특히 우리와 같지 않은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보여주도록 하십시다. 예수님은 우리를 통해 우리 주위의 모든 사람들을 사랑하기를 원하십니다. 사람들이 사랑 안에서 하나 되어 함께 예배할 때, 그 천국의 일부를 이 땅에서 즐길 수 있으니 그 얼마나 기쁜 일인가요!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9-17내 계명은 곧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하는 이것이니라
요한복음 15:12
주님, 제가 죄인이었을 때, 주님의 깊고 조건 없는 사랑으로 저를 품어주시고 주님의 은혜의 교제 안으로 인도해주신 것을 오늘도 기억하게 하소서. 주님이 저를 사랑했듯이 저도 누군가를 사랑하도록 인도해주소서.
그리스도의 사랑을 서로 함께 나누라.
Daily Article
10/22/2017 Sunday
Love of Another Kind
Sometimes, though, I wonder if church seems more like an exclusive club than a safe haven for forgiven sinners. As people naturally gravitate into groups of “a certain kind” and cluster around those they feel comfortable with, it leaves others feeling marginalized. But that’s not what Jesus had in mind when He told His disciples to “love each other as I have loved you” (JOHN 15:12). His church was to be an extension of His love mutually shared with all.
If hurting, rejected people can find loving refuge, comfort, and forgiveness in Jesus, they should expect no less from the church. So let’s exhibit the love of Jesus to everyone we encounter—especially those who are not like us. All around us are people Jesus wants to love through us. What a joy it is when people unite to worship together in love—a slice of heaven we can enjoy here on earth! - JOE STOWELL
Today's Reading
John 15:9–17My command is this: Love each other as I have loved you.
John 15:12
Lord, remind me today that while I was a sinner You embraced me with Your deep and unconditional love and brought me into the fellowship of Your grace. Lead me to someone I can love as You loved me.
Share Christ’s love with an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