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19/2017 화요일
특단의 대책
자기 아이를 찾기 위해 무엇이든 하려 했던 내 친구를 생각하며, 나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정말 놀라운 일을 행하셨다는 것이 새롭게 느껴졌습니다.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첫 존재들인 아담과 하와가 죄를 지어 방황하게 되었을 때 하나님은 자기 백성과 교제할 수 없게 된 것을 슬퍼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려” (누가복음 19:10) 그분의 하나뿐인 아들을 보내면서까지 그 관계를 회복시키기 위해 무엇이든 하셨습니다. 예수님의 탄생과 우리의 죄 값을 치르고 우리를 하나님께로 이끄시기 위해 기꺼이 돌아가신 주님의 희생이 없었다면 우리에게 크리스마스 절기에 기념할 것은 아무것도 없었을 것입니다.
이번 크리스마스에는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를 회복시키기 위해 특단의 대책으로 예수님을 보내신 하나님께 감사합시다. 비록 전에는 우리가 잃어버린 자들이었지만 예수님으로 인해 우리는 다시 찾은 자들이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9:1-10인자가 온 것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려 함이니라
누가복음 19:10
하늘에 계신 아버지, 크리스마스의 모든 기쁨 속에서 이 기간의 진정한 의미가 하나님의 깊은 사랑에 있음을 상기시켜주소서! 저와 같이 자격없는 사람들을 다시 찾으시기 위해 예수님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크리스마스는 잃어버린 자들을 다시 찾으시려고 특별한 조치를 취하신 하나님을 기념하는 날이다.
Daily Article
12/19/2017 Tuesday
Extreme Measures
Thinking of my friend who would have done anything to find her child fills me with a renewed sense of gratitude for the amazing work God did to save us. From the time God’s first image-bearers—Adam and Eve—wandered off in sin, He lamented the loss of fellowship with His people. He went to great length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y sending His one and only Son “to seek and to save the lost” (LUKE 19:10). Without the birth of Jesus, and without His willingness to die to pay the price for our sin and to bring us to God, we would have nothing to celebrate at Christmastime.
So this Christmas, let’s be thankful that God took extreme measures by sending Jesus to reclaim our fellowship with Him. Although we once were lost, because of Jesus we have been found! - J OE STOWELL
Today's Reading
Luke 19:1–10The Son of Man came to seek and to save the lost.
Luke 19:10
Heavenly Father, in the midst of all the joy of Christmas, remind me that the true meaning of this season lies in the depth of Your love. Thank You for sending Jesus to reclaim undeserving people like me!Christmas is about God taking extreme measures to reclaim those who were lost.
Christmas is about God taking extreme measures to reclaim those who were lost.
오늘의 말씀
12/18/2017 월요일
영원한 소망
화려한 전등이 깜박이는 동안 하나님은 부드럽게 나를 어두움에서 이끌어내셨습니다. 상황이 아무리 힘들었어도 나의 소망은 하나님의 변치 않는 성품을 항상 드러내는 그분의 진리의 빛 안에서 안전하게 지켜지고 있었습니다.
시편 146편은 그 힘들었던 아침에 하나님께서 내게 생각나게 해주셨던 것들을 확인시켜 줍니다. 그것은 바로 나의 영원한 소망이 나를 도우시는 권능과 자비의 하나님께 있으며(5절), 만물을 지으신 하나님은 영원히 진실하시며(6절), 우리를 보호하시고 공급해주시면서 억눌린 자들을 위해 정의로 심판하신다는 것입니다(7절). 그리고 하나님은 낮은 곳에 있는 자들을 일으켜 세우시고(8절), 우리를 보호하시고 붙드시며 영원히 다스릴 것이라는 것입니다(9-10절).
크리스마스가 오면 때로는 우리의 날들이 기쁨의 순간들로 넘치기도 하지만, 때로는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맞이하며 아픔을 겪거나 외로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 모든 순간에도 어둠 속에서 우리의 빛이 되어주시겠다고 약속하시며 실제적인 도움과 영원한 소망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6야곱의 하나님을 자기의 도움으로 삼으며 여호와 자기 하나님에게 자기의 소망을 두는 자는 복이 있도다
시편 146:5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변치 않는 성품이 우리의 영원한 희망의 원천으로 의지할 수 있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변치 않는 성품으로 우리의 소망을 지켜주신다.
Daily Article
12/18/2017 Monday
Everlasting Hope
As the colorful bulbs blinked, God gently drew me out of my darkness. No matter how painful the circumstances, my hope remained secure in the light of God’s truth, which always reveals His unchanging character.
Psalm 146 affirms what God reminded me on that difficult morning: My endless “hope is in the LORD ,” my helper, my mighty and merciful God (V 5). As Creator of all, He “remains faithful forever” (V 6). He “upholds the cause of the oppressed,” protecting us and providing for us (V 7). “The LORD lifts up those who are bowed down” (V 8). He “watches over” us, “sustains” us, and will always be King (VV 9–10).
Sometimes, when Christmas rolls around, our days will overflow with joyful moments. Sometimes, we’ll face loss, experience hurt, or feel alone. But at all times, God promises to be our light in the darkness, offering us tangible help and everlasting hope. - X 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146Blessed are those whose help is the God of Jacob, whose hope is in the LORD their God.
Psalm 146:5
Father God, thanks for inviting us to know and rely on Your unchanging character as the source of our eternal hope.
God secures our hope in His unchanging character.
오늘의 말씀
12/17/2017 주일
온유
신약성경에는 우리의 불만에 찬 모습을 고쳐줄 덕목에 대한 말이 있습니다. 그것은 다정하고 은혜가 있는 마음을 나타내는 ‘온유’라는 단어입니다. 에베소서 4장 2절은 “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라”고 우리를 일깨워줍니다.
‘온유’는 다른 사람들에게 짜증내지 않으면서 어떤 제약이나 불편도 감수하겠다는 의지입니다. 온유는 아주 작은 섬김을 받아도 감사히 여기며, 섬기지 않는 사람들이라도 참아주는 것입니다. 온유는 성가신 사람들, 특히 소란스럽고 잠시도 가만있지 못하는 어린 아이들을 참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아이들에게 친절한 것이 선하고 온유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최고의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온유는 화내는 사람 앞에서 부드럽게 말하는 것입니다. 온유는 침묵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차분하고 침착한 침묵이 종종 불손한 말을 대하는 가장 좋은 답변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십니다”(마태복음 11:29). 우리가 주님께 구하면 주님은 때가 되면 그의 형상대로 우리를 다시 창조하실 것입니다. 스코틀랜드 작가 조지 맥도날드는 말합니다. “[하나님은] 타인의 마음에 거슬리는 말, 곧 그 마음을 병들게 하는 [우리의] 말은 듣지 않으신다......예수님은 모든 다른 죄 뿐 아니라 바로 그것으로부터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태어나셨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6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에베소서 4:2
사랑하는 주님, 온유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과 자비를 베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께 겸손하면 사람들에게 온유해질 수 있다.
Daily Article
12/17/2017 Sunday
Gentleness
The New Testament has a word for the virtue that corrects our unpleasantness— gentleness , a term that suggests a kind and gracious soul. Ephesians 4:2 reminds us, “Be completely humble and gentle.”
Gentleness is a willingness to accept limitations and ailments without taking out our aggravation on others. It shows gratitude for the smallest service rendered and tolerance for those who do not serve us well. It puts up with bothersome people—especially noisy, boisterous little people; for kindness to children is a crowning mark of a good and gentle person. It speaks softly in the face of provocation. It can be silent; for calm, unruffled silence is often the most eloquent response to unkind words.
Jesus is “gentle and humble in heart” (MATT 11:29). If we ask Him, He will, in time, recreate us in His image. Scottish author George MacDonald says, “[God] would not hear from [us] a tone to jar the heart of another, a word to make it ache . . . . From such, as from all other sins, Jesus was born to deliver us.” -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Ephesians 4:1–6Be completely humble and gentle.
Ephesians 4:2
Dear Lord, I want to be a gentle person.
Please help me to be kind and gracious to others today.
Humility toward God will make us gentle toward others.
오늘의 말씀
12/16/2017 토요일
큰 세상, 더 큰 하나님
우리의 세상이 크고 우주가 그보다 엄청나게 더 광대하다면 온 우주를 능력으로 창조하신 분은 얼마나 크신 분일까요? 성경은 말합니다. “만물이 [예수님]에게서 창조되되 하늘과 땅에서 보이는 것들과 보이지 않는 것들과 혹은 왕권들이나 주권들이나 통치자들이나 권세들이나 만물이 다 그로 말미암아 그를 위하여 창조되었고” (골로새서 1:16).
이것은 좋은 소식입니다. 왜냐하면 우주를 창조하신 예수님이 바로 우리의 죄로부터 우리를 매일, 그리고 영원히 구원하시기 위해 세상에 오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돌아가시기 전날 밤 “이것을 너희에게 이르는 것은 너희로 내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하려 함이라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 (요한복음 16:33)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인생의 크고 작은 문제들 앞에서 우리는 우주를 만드셨고, 죽었다가 부활하셨고, 깨어진 이 세상을 이기신 그분을 찾아야 합니다. 우리가 힘들어할 때 주님은 능력으로 우리에게 주님의 평화를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1:12-17만물이 [예수님]에게서 창조되되
골로새서 1:16
주님, 제가 이해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크신 주님께 감사합니다.
오늘 주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은혜는 측량할 수 없고, 그분의 자비는 무궁무진하며, 그분의 평화는 말로 다 할 수 없다.
Daily Article
12/16/2017 Saturday
Big World, Bigger God
If our world is great, and the universe is vastly greater, how big is the One who powerfully created it? The Bible tells us, “For by [Jesus] all things were created, both in the heavens and on earth, visible and invisible, whether thrones or dominions or rulers or authorities—all things have been created through Him and for Him” (COL 1:16 NASB ).
This is good news because this same Jesus who created the universe is the One who has come to rescue us from our sin for every day and forever. The night before He died, Jesus said, “These things I have spoken to you, so that in Me you may have peace. In the world you have tribulation, but take courage; I have overcome the world” (JOHN 16:33 NASB ).
When facing the large and small challenges of life, we call on the One who made the universe, died and rose again, and won victory over this world’s brokenness. In our times of struggle, He powerfully offers us His peace. - B ILL CROWDER
Today's Reading
Colossians 1:12–17For by [Jesus] all things were created.
Colossians 1:16 NASB
Lord, I’m grateful that You are greater than my mind could ever comprehend.
Help me to trust You today.
God’s grace is immeasurable, His mercy inexhaustible, His peace inexpressible.
오늘의 말씀
12/15/2017 금요일
영웅 그 이상
예수님 탄생즈음 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압제 속에서 오래 전부터 약속된 구세주를 갈망하고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로마의 폭정으로부터 해방시켜 줄 영웅을 고대하였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정치적이나 군사적인 영웅으로 오시지 않고, 대신 베들레헴 마을에 한 아기로 태어나셨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그가 주님임을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요한 사도는 “자기 땅에 오매 자기 백성이 영접하지 아니하였다”(요한복음 1:11)라고 기록하였습니다.
예수님은 영웅 그 이상의, 우리의 구주로 오셨습니다. 주님은 하나님의 빛을 어둠 속에 비추기 위해, 그리고 자신을 희생하여 그를 영접하는 사람은 누구나 용서 받고 죄의 권세로부터 자유롭게 하기 위해 이 땅에 태어나셨습니다. 요한은 주님을 가리켜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14절)라고 하였습니다.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12절). 참으로 예수님은 세상이 필요로 하는 유일한 참 소망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5,9-14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요한복음 1:14
주 예수님, 주님은 우리의 구원자이십니다. 우리를 살리시려고 오셔서 죽으신 주님을 찬양합니다.
사랑은 주는 것임을 베들레헴에서 하나님이 보여주셨다.
Daily Article
12/15/2017 Friday
More Than a Hero
At the time of Jesus’s birth, the people of Israel were oppressed and longing for their long-promised Messiah. Many anticipated a hero to deliver them from Roman tyranny, but Jesus did not come as a political or military hero. Instead, He came as a baby to the town of Bethlehem. As a result, many missed who He was. The apostle John wrote, “He came to that which was his own, but his own did not receive him” (JOHN 1:11).
More than a hero, Jesus came as our Savior. He was born to bring God’s light into the darkness and to give His life so that everyone who receives Him could be forgiven and freed from the power of sin. John called Him “the one and only Son, who came from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 (V 14).
“To all who did receive him, to those who believed in his name, he gave the right to become children of God” (V 12). Indeed, Jesus is the one true hope the world needs. - DAVID C. MCCASLAND
Today's Reading
John 1:1–5, 9–14We have seen his glory, the glory of the one and only Son, who came from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
John 1:14
Lord Jesus, You are our Savior, and we praise You for coming to die that we might live.
At Bethlehem, God demonstrated that to love is to give.
오늘의 말씀
12/14/2017 목요일
하나님의 도움으로
그래서 나의 영웅은 나이가 많았던 갈렙이라는 노인입니다. 그는 일찍이 모세가 약속의 땅 가나안에 파견했던 정탐꾼이었습니다(신명기 13-14). 다른 정탐꾼들은 돌아와서 비관적인 보고를 하였지만 결국에는 열 두 지파의 정탐꾼 중 갈렙과 여호수아만이 하나님의 은총을 받아 가나안에 들어갑니다. 여호수아 14장을 보면 갈렙이 자기에게 할당된 땅을 받을 차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곳에는 아직도 몰아내야 할 적이 있었습니다. 은퇴해서 젊은이들에게 전쟁을 넘겨주는 것을 원치 않았던 갈렙은 이렇게 선언했습니다. “당신도 그 날에 들으셨거니와 그곳에는 아낙 사람이 있고 그 성읍들은 크고 견고할지라도 여호와께서 나와 함께 하시면 내가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그들을 쫓아내리이다”(여호수아 14:12).
“여호와께서 나와 함께 하시면.” 이 사고방식으로 갈렙은 언제나 싸울 준비가 되어있었습니다. 갈렙은 자신의 힘이나 경륜보다는 하나님의 능력에 초점을 두었고 하나님도 그를 도와 무엇이든 이룰 수 있게 해주셨습니다.
우리 대부분은 어느 정도의 나이가 되면 큰일을 감당하려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나이에 상관없이 여전히 하나님을 위하여 큰일을 할 수 있습니다. 갈렙처럼 큰 기회가 우리에게 올 때 주저하며 피할 필요가 없습니다. 주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면 정복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여호수아 14:7-15오늘 내가 팔십 오세로되......내 힘이 그 때나 지금이나 같아서 싸움에나 출입에 감당할 수 있으니
여호수아 14:10-11
하늘에 계신 아버지, 매일 감당할 수 있는 힘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의 뜻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빌립보서 4:13
Daily Article
12/14/2017 Thursday
With God's Help
That’s why my hero is an older man named Caleb—the former spy sent by Moses to scout out Canaan, the Promised Land (NUM 13–14). After the other spies gave an unfavorable report, Caleb and Joshua were the only spies out of the twelve whom God favored to enter Canaan. Now, in Joshua 14, the time for Caleb to receive his portion of land had come. But there were enemies still to drive out. Not content to retire and leave the battle to the younger generation, Caleb declared, “You yourself heard then that the Anakites were there and their cities were large and fortified, but, the LORD helping me, I will drive them out just as he said” (JOSH 14:12).
“The LORD helping me.” That’s the kind of mindset that kept Caleb battle-ready. He focused on God’s power, not his own, nor on his advanced age. God would help him do whatever needed to be done.
Most of us don’t think of taking on anything monumental when we reach a certain age. But we can still do great things for God, no matter how old we are. When Caleb-sized opportunities come our way, we don’t have to shy away from them. With the Lord helping us, we can conquer! -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Joshua 14:7–15So here I am today, eighty-five years old!...I'm just as vigorous to go out to battle now as I was then.
Joshua 14:10-11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giving me the strength to get through each day. Help me to do Your will.
I can do all this through him who gives me strength.
PHILIPPIANS 4:13
오늘의 말씀
01/31/2018 수요일
눈처럼 희게
세 살짜리 딸이 진홍색이 무엇을 뜻하는지 물은 후 “빨간색은 나쁜 것이에요?” 라고 물었습니다. 딸은 하나님이 죄를 싫어하신다는 것을 알지만 이 구절은 색깔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여기서 조그마한 곤충의 알에서 뽑아낸 밝은 빨간색의 염색제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염색제로 옷을 두 번 물들이면 색이 고착됩니다. 비가 오거나 세탁을 해도 색이 빠지지 않습니다. 죄도 그와 같습니다. 죄는 마음속에 깊이 뿌리 박혀 있어서 인간의 어떤 노력으로도 없앨 수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우리 마음속의 죄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산을 보며 진홍색으로 물들여진 옷을 아무리 문지르고 표백하여도 볼 수 없는 순백의 색에 감탄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너희가 회개하고 돌이켜 너희 죄 없이 함을 받으라”(사도행전 3:19)라고 한 베드로의 가르침을 우리가 따를 때, 하나님은 우리를 용서하시고 우리에게 새로운 삶을 주십니다. 오직 예수님의 희생으로 우리는 어느 누구도 줄 수 없는 순결한 마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얼마나 멋진 선물입니까!
오늘의 성구
이사야 1:16-20너희의 죄가 주홍 같을 지라도 눈과 같이 희어 질 것이요
이사야 1:18
하나님 아버지, 우리 죄를 용서하시고 죄를 깨끗케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용서하실 때 동시에 우리를 정결케 해주신다.
Daily Article
01/31/2018 WEDNESDAY
White as Snow
After asking about the meaning of scarlet, our three-year-old daughter asked, “Is the color red bad?” She knows sins are things God dislikes, but this verse is not talking about colors. The prophet was describing the bright red dye obtained from the eggs of a small insect. Clothes would be double-dyed in this bright red so the color became fixed. Neither rain nor washing would remove it. Sin is like that. No human effort can take it away. It’s rooted in the heart.
Only God can cleanse a heart from sin. And as we looked at the mountains, we admired the pure whiteness that scrubbing and bleaching a piece of cloth dyed in scarlet red can’t achieve. When we follow Peter’s teaching, “Repent, then, and turn to God, so that your sins may be wiped out” (ACTS 3:19), God forgives us and gives us a new life. Only through Jesus’s sacrifice can we receive what no one else can give—a pure heart. What a wonderful gift! KEILA OCHOA
Today's Reading
Isaiah 1:16–20Though your sins are like scarlet, they shall be as white as snow.
Isaiah 1:18
Father, thank You for forgiving our sins and wiping them clean.
When God forgives, He purifies us too.
오늘의 말씀
01/30/2018 화요일
능하시고 항상 계신
남편이 집에 오고 친구와 가족들로부터 위로의 말을 들으면서 나는 주님께 감사 하였습니다. 그렇지만, 혼자 슬퍼하던 그 몇 시간 동안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고 계신다는 것을 평온함 가운데 깨닫게 되면서, 하나님은 내가 도움이 필요할 때 어디서나 언제든지 즉시, 그리고 신실하게 도와주신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시편 46편에서 저자는 하나님이 우리의 피난처시고 힘이시며 환난 때에 언제나 돕는 분이시라고 고백합니다(1절). 우리가 혼란 가운데 둘러싸여 있는 것 같고, 견고하리라 생각했던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리는 것 같이 느껴질 때 우리는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2-3절). 하나님은 흔들리는 분이 아니십니다 (4-7절). 하나님의 능력은 분명하고 유효합니다(8-9절). 우리의 영원한 지지자이신 주님은 그분의 변하지 않는 성품을 우리가 확신할 수 있게 해주십니다(10절). 우리의 안전한 피난처이신 주님은 우리와 영원히 함께 계십니다(11절).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을 기도로 서로 지원하고 격려하게 만드셨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하나님은 언제나 전능하시며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확증해주십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구할 때,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공급해주신다는 약속을 지키시는 분임을 믿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친히 찾아오실 뿐 아니라 그분의 백성을 통해 우리를 위로해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6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요 힘이시니 환난중에 만날 큰 도움 이시라
시편 46:1
주님, 항상 우리와 함께 계시기에 언제나 주님께 다가갈 수 있음을 확인시켜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하셔서 우리를 도와주신다.
Daily Article
01/30/2018 TUESDAY
Able and Available
I thanked the Lord when my husband came home and support from friends and family trickled in. Still, the calming awareness of God’s presence I sensed in those first few hours of lonely grieving affirmed that God is readily and faithfully available wherever and whenever I need help.
In Psalm 46, the psalmist proclaims God is our sanctuary, strength, and steadfast supporter (V 1). When it feels as if we’re surrounded by chaos or everything we thought was stable crashes down around us, we don’t have to fear (VV 2–3). God doesn’t falter (VV 4–7). His power is evident and effective (VV 8–9). Our eternal Sustainer gives us confidence in His unchanging character (V 10). The Lord, our secure stronghold, remains with us forever (V 11).
God created His followers to prayerfully support and encourage one another. But He also affirms He is always able and available. When we call on God, we can trust Him to keep His promises to provide for us. He will comfort us through His people as well as through His personal presence.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46God is our refuge and strength, an ever-present help in trouble.
Psalm 46:1
Lord, thank You for assuring us You’re always accessible because You’re always with us.
God is always able and available to help us.
오늘의 말씀
01/29/2018 월요일
어린아이처럼
아내는 대답했습니다. “예수님은 하늘에 계시고 또 모든 곳에 계시지. 여기 우리와도 함께 계셔. 그리고 예수님은 만약 네가 들어오시기를 부탁하면 네 마음속에도 계실 수 있단다.”
“난 예수님이 내 마음에 계시기를 원해요.”
“언제든 그분에게 요청해 보렴.”
“난 ‘지금 당장’ 예수님이 내 마음에 들어오시라고 할래요.”
그래서 우리 어린 딸은 “예수님, 내 마음 속에 들어오시고 나와 함께 해주세요.” 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주님과 함께 하는 딸아이의 믿음의 여정은 시작되었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주님에게 천국에서 가장 큰 자가 누구냐고 물었을 때, 주님은 한 어린아이를 불러 그들 가운데 세우시고 말씀하셨습니다(마태복음 18:1-2). “너희가 돌이켜 어린아이들과 같이 되지 아니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또 누구든지 내 이름으로 이런 어린아이 하나를 영접하면 곧 나를 영접함이니”(3-5절).
예수님의 관점을 통해 우리는 믿는 한 아이를 우리 믿음의 본보기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주님께 마음을 여는 모든 사람들을 받아들이라는 말씀을 듣습니다. “어린아이들을 용납하고 내게 오는 것을 금하지 말라 천국이 이런 사람의 것이니라”(19:14)라고 예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 18:1-5; 19:13-14너희가 돌이켜 어린 아 이들과 같이 되지 아니 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마태복음 18:3
주 예수님, 어린아이 같은 확실한 믿음을 가지고 주님을 따를 수 있도록 불러주시니 감사합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의 믿음은 주님을 믿는 어린아이의 믿음 같아야 한다.
Daily Article
01/29/2018 MONDAY
Like a Little Child
Luann replied, “Jesus is in heaven and He’s everywhere, right here with us. And He can be in your heart if you ask Him to come in.”
“I want Jesus to be in my heart.”
“One of these days you can ask Him.”
“I want to ask Him to be in my heart now .”
So our little girl said, “Jesus, please come into my heart and be with me.” And that started her faith journey with Him.
When Jesus’s disciples asked Him who was the greatest in the kingdom of heaven, He called a little child to come and join them (MATTHEW 18:1–2). “Unless you change and become like little children,” Jesus said, “you will never enter the kingdom of heaven. . . . And whoever welcomes one such child in my name welcomes me” (VV 3–5).
Through the eyes of Jesus we can see a trusting child as our example of faith. And we are told to welcome all who open their hearts to Him. “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Jesus said, “and do not hinder them, for the kingdom of heaven belongs to such as these” (19:14). DAVID C. MCCASLAND
Today's Reading
Matthew 18:1–5; 19:13–14Unless you change and become like little children, you will never enter the kingdom of heaven.
Matthew 18:3
Lord Jesus, thank You for calling us to follow You with the confident faith of a child.
Our faith in Jesus is to be like that of a trusting child.
오늘의 말씀
01/28/2018 주일
기쁨
비록 내 삶에도 힘든 일들이 있고 때로는 다른 이들의 고통과 어려움이 나를 짓누르기도 하지만, 하나님은 내 마음을 “[주께서] 행하신 일로 나를 기쁘게 하셨으니 내가 주의 일로 기뻐 [합니다]”(4절, 현대인의 성경)라고 한 시편기자와 같게 해주십니다. 가족이나 친구, 그리고 만족스러운 직업 같이 받은 축복으로 인한 기쁨. 하나님의 놀라운 창조와 그분의 영감의 말씀이 주는 기쁨. 우리를 너무 사랑하셔서 우리 죄를 위해 돌아가신 예수님으로 인한 기쁨. 그리고 주님이 우리에게 참 기쁨의 ‘근원’이신 성령님을 주신 것으로 인한 기쁨(로마서 15:13). 주님 때문에, 주님을 믿는 자들은 “종려나무 같이 번성하며......늙어도 여전히 결실하게”(시편 92:12-14) 될 것입니다.
그것이 어떤 열매일까요? 우리의 상황이나 인생의 계절과 무관하게, 우리는 삶과 말을 통해서 주님의 사랑의 본이 될 수 있습니다. 주님을 알고 주님을 위해 살면서 다른 이들에게 주님을 알릴 때 그 속에 기쁨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92주의 손이 행하신 일로 말미암아 내가 높이 외치리이다
시편 92:4
사랑하는 주님, 성령님을 통해 저희에게 주신 기쁨에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은 기쁨을 주시는 분이시다.
Daily Article
01/28/2018 SUNDAY
Joy
Even though my life has its struggles and the pain and difficulties of others sometimes overwhelms me, God enables me to join the psalmist in “[singing] for joy at what [His] hands have done” (V 4). Joy for blessings given: family, friends, and satisfying work. Joy because of God’s wondrous creation and His inspired Word. Joy because Jesus loved us so much He died for our sins. And joy because He gave us the Spirit, the source of true joy (ROMANS 15:13). Because of the Lord, believers in Him can “flourish like a palm tree . . . [and] still bear fruit in old age” (PSALM 92:12–14).
What fruit is that? No matter our circumstances or season of life, we can be examples of His love through the life we lead and the words we say. There is joy in knowing and living for the Lord and telling others about Him. ALYSON KIEDA
Today's Reading
Psalm 92I sing for joy at what your hands have done.
Psalm 92:4
Dear Lord, thank You for the joy that is ours through the Spirit.
God is the giver of j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