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29/2017 금요일
눈에 아른거리는 것
체스터튼은 “이 세상은 놀라운 것들로 가득하다. 다만 감동하는 마음이 있는 사람에게만.”이라고 썼습니다. 벌새도 이런 놀라운 것들 중의 하나입니다. 이 작은 창조물이 그토록 매혹적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마도 그것은 작은 크기이거나 (평균 2-3인치, 5-7.5센티미터), 아니면 1초에 50-200번이나 퍼덕거리는 날개의 속도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시편 104편은 누가 썼는지 확실히 알 수 없지만 이 시편의 기자는 자연의 아름다움에 완전히 사로잡혔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레바논의 백향목과 들나귀와 같이 많은 놀라운 창조물들을 묘사한 후에, “여호와는 자신께서 행하시는 일들로 말미암아 즐거워하시리로다” (31절)라고 노래합니다. 그리고 “나의 기도를 기쁘게 여기시기를 바라나니” (34절)라고 기도합니다.
자연은 너무나 아름답고 완벽하여서 우리 눈에 아른거리게 하는 것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이것들을 묵상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의 작품들을 깊이 생각하며 그 신비로움을 새삼 발견할 때 그것들을 보면서, 기뻐하면서, 하나님께 감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4:24-35여호와여 주께서 하신 일이 어찌 그리 많은지요
시편 104:24
하나님 아버지, 자연의 신비를 생각하며 아버지께서 이루신 모든 것에 감사드리며 그것을 묵상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감탄이 깊어지면 감사하는 마음이 된다.
Daily Article
12/29/2017 Friday
What Remains in the Eye
G. K. Chesterton wrote, “The world will never starve for want of wonders, but only for want of wonder.” The hummingbird is one of those wonders. What is so fascinating about these tiny creatures? Maybe it is their small size (averaging two to three inches) or the speed of their wings that can flap from 50 to 200 times per second.
We aren’t sure who wrote Psalm 104, but the psalmist was certainly captivated by nature’s beauty. After describing many of creation’s wonders, like the cedars of Lebanon and the wild donkeys, he sings, “May the LORD rejoice in his works” (V 31). Then he prays, “May my meditation be pleasing to him” (V 34).
Nature has plenty of things that can remain in the eye because of their beauty and perfection. How can we meditate on them and please God? We can observe, rejoice, and thank God as we contemplate His works and recapture the wonder. - KEILA OCHOA
Today's Reading
Psalm 104:24–35How many are your works, LORD!
Psalm 104:24
Father, help me to reflect on the wonders of nature and meditate on them with thankfulness for all You have done!
Wonder leads to gratitude.
오늘의 말씀
12/28/2017 목요일
일상의 순간들
그 사람도 안도하는 모습을 보이며 입가에 감사의 미소를 지었습니다.
잠언 15장 13절은 “마음의 즐거움은 얼굴을 빛나게 하여도 마음의 근심은 심령을 상하게 하느니라”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우리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방해나 실망이나 불편함 속에서도 즐겁게 활짝 웃으라는 것일까요? 물론 아닙니다! 우리는 때로 불의 앞에서 진정으로 애통해하고 실망하고 분노하기까지 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일상의 순간들에는 미소가 우리에게 계속 필요한 안도와 희망과 은혜를 가져다줍니다.
아마도 잠언에서 미소는 우리 내면의 마음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 “마음의 즐거움”은 평화롭고 만족하며 하나님의 최선에 복종하는 자세를 말합니다. 우리에게 내면에서 밖으로 나오는 그런 즐거운 마음이 있다면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참된 미소로 응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도 하나님과 함께 하면서 경험할 수 있는 소망과 화평을 얻도록 인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5:13-15마음의 즐거움은 얼굴을 빛나게 하여도 마음의 근심은 심령을 상하게 하느니라
잠언 15:13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오늘 주위의 사람들을 만날 때 내 마음을 즐겁게 해주셔서 오직 아버지만이 주실 수 있는 소망을 그들과 나눌 수 있게 해주소서.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라. 데살로니가전서 5:11
Daily Article
12/28/2017 Thursday
Everyday Moments
Relief flickered across his face, raising the edges of his own lips in gratefulness.
Proverbs 15:13 says, “A happy heart makes the face cheerful, but heartache crushes the spirit.” Is the writer directing us to cheery grins in the face of every interruption, disappointment, and inconvenience life brings? Surely not! There are times for genuine mourning, despair, and even anger at injustice. But in our everyday moments, a smile can offer relief, hope, and the grace needed to continue.
Perhaps the point of the proverb is that a smile naturally results from the condition of our inner beings. A “happy heart” is at peace, content, and yielded to God’s best. With such a heart, happy from the inside out, we can respond to surprising circumstances with a genuine smile, inviting others to embrace the hope and peace they too can experience with God.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Proverbs 15:13–15A happy heart makes the face cheerful, but heartache crushes the spirit.
Proverbs 15:13
Dear Father, today as I cross paths with others around me, make my heart happy that I may share with them the hope only You can offer.
Encourage one another and build each other up. 1 THESSALONIANS 5:11
오늘의 말씀
12/27/2017 수요일
감사 일기
찬양할 일들을 적는 것은 좋은 습관입니다. 나는 이것을 내 삶에서 다시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그러면 하나님의 임재를 깨닫고 그분의 베푸심과 보살피심에 더 감사하게 될 것입니다.
가장 짧은 시편인 117편에서 기자는 “우리에게 향하신 여호와의 인자하심이 크시므로”(2절) 모든 사람이 하나님을 찬양하라고 권면합니다.
한번 생각해보십시오. 주님께서 오늘, 이번 주, 이번 달 그리고 올해에 당신을 향해 그분의 사랑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특별한 것들을 찾지 마십시오. 하나님의 사랑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삶 속에 나타납니다. 그 다음 주님께서 당신의 가족이나 교회,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그의 사랑을 어떻게 보여주셨는지 생각해보십시오. 우리 모두를 향한 주님의 사랑을 마음껏 받아들이십시오.
시편기자는 이어서 “여호와의 진실하심이 영원함이로다”(2절)라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해 하나님은 계속해서 우리를 사랑하실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하나님을 찬양할 많은 것들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큰 사랑을 받는 하나님의 자녀로서 그분을 찬양하고 감사하는 것이 우리 삶의 진정한 모습이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7너희 모든 나라들아 여호와를 찬양하며 너희 모든 백성들아 그를 찬송할지어다
시편 117:1
하나님 아버지, 우리에게 주시는 모든 복을 기록하려면 평생을 해도 못 다할 것입니다. 그러나 잠깐이지만 아버지의 신실하심과 선하심에 “감사합니다” 한 마디는 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것뿐만 아니라 평범한 것에도 하나님께 감사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Daily Article
12/27/2017 Wednesday
Thanks Journal
Taking note of praise items is a good habit—one I’m considering re-establishing in my life. It would help me to be mindful of God’s presence and grateful for His provision and care.
In the shortest of all the psalms, Psalm 117, the writer encourages everyone to praise the Lord because “great is his love toward us” (V 2).
Think about it: How has the Lord shown His love toward you today, this week, this month, and this year? Don’t just look for the spectacular. His love is seen in the ordinary, everyday circumstances of life. Then consider how He has shown His love toward your family, your church, and to others. Let your mind soak up the extent of His love for all of us.
The psalmist added that “the faithfulness of the LORD endures forever” (V 2 EMPHASIS ADDED). In other words, He will continue to love us! So we will continue to have many things to praise God for in the coming days. As His dearly loved children, may praising and thanking God characterize our lives!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Psalm 117Praise the LORD, all you nations; extol him, all you peoples.
Psalm 117:1
Father, if we were to record all of Your blessings, we could not complete the task in a lifetime. But we can pause this moment to say a simple “Thank You” for Your faithfulness and goodness.
Remember to thank God for the ordinary as well as the extraordinary.
오늘의 말씀
12/26/2017 화요일
어떻게 이런 일이?
인생은 신기한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우리는 성경에서 그런 이야기들을 적지 않게 발견합니다. 어느 날 세리들이 베드로에게 와서 “여러분의 선생은 성전세를 바치지 않습니까?”(마태복음 17:24, 새번역) 라고 물었습니다. 예수님은 이 상황을 사람들에게 가르칠 기회로 삼으셨습니다. 주님은 베드로가 주님께서 왕으로 오신것을 이해하길 바라시며, 왕의 자녀에게는 납세의무가 없기에 주님이나 그의 자녀들도 성전세를 낼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셨습니다(25-26절).
그러나 예수님은 “실족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27절) 베드로에게 낚시를 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이 그 이야기의 신기한 부분입니다.) 베드로는 첫 번째로 잡은 물고기 입에서 동전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예수님은 여기서 과연 무슨 일을 하고 계신 건가요? 좀 더 적절한 질문을 하자면, “예수님은 하나님의 나라에서 무슨 일을 하고 계신 건가요?” 예수님은 당연히 왕이십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그렇게 알지 못해도 그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그분을 우리 삶 속에 주님으로 받아들일 때 그의 자녀가 됩니다.
인생은 여전히 우리에게 많은 것을 요구하겠지만 예수님이 우리에게 주실 것입니다. 목사였던 데이빗 폼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 아버지를 위해 낚시를 하면 하나님이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주신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7:24-27나의 하나님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광 가운데 그 풍성한 대로 너희 모든 쓸 것을 채우시리라
빌립보서 4:19
주님,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주님이 주신다는 놀라운 사실을 깨닫도록 가르쳐주소서.
우리는 왕의 자녀이다!
Daily Article
12/26/2017 Tuesday
What on Earth?
Life is full of odd stories, and we find more than a few of them in the Bible. One day tax collectors came to Peter demanding to know, “Doesn’t your teacher pay the temple tax?” (MATT 17:24). Jesus turned the situation into a teaching moment. He wanted Peter to understand His role as king. Taxes weren’t collected from the children of the king, and the Lord made it clear that neither He nor His children owed any temple tax (VV 25–26).
Yet Jesus wanted to be careful not to “cause offense” (V 27), so He told Peter to go fishing. (This is the odd part of the story.) Peter found a coin in the mouth of the first fish he caught.
What on earth is Jesus doing here? A better question is, “What in God’s kingdom is Jesus doing?” He is the rightful King—even when many do not recognize Him as such. When we accept His role as Lord in our lives, we become His children.
Life will still throw its various demands at us, but Jesus will provide for us. As former pastor David Pompo put it, “When we’re fishing for our Father, we can depend on Him for all we need.”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tthew 17:24–27My God will meet all your needs according to the riches of his glory in Christ Jesus.
Philippians 4:19
Lord, teach us to bask in the wonderful realization that You provide everything we need.
We are children of the King!
오늘의 말씀
12/25/2017 월요일
전통과 크리스마스
그러나 온 세계 관습들이 다 모여 만들어진 크리스마스의 전통과 축제를 즐기면서 우리의 선하고 자비로우신 사랑의 하나님께 가장 진심 어린 마음의 “감사합니다”라 는 말 을 준비합시다. 하나님께서 크리스마스를 축하해야 할 이유를 주셨습니다. 2천년도 더 된 그 때에 유대 지방의 한 구유에서 아기가 태어난 것입니다. 인간에게 이 선물이 찾아온 것을 한 천사가 이렇게 알려주었습니다.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오늘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누가복음 2:10-11).
이번 크리스마스에 반짝이는 크리스마스트리의 불빛이 있고 금방 열어본 선물들이 널려 있는 가운데서도, 참된 기쁨은 우리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하기 위하여”(마태복음 1:21) 오신 아기 예수께 집중할 때 찾아옵니다. 그의 탄생은 전통을 초월합니다. 말로 다 할 수 없는 크리스마스 선물을 주신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 우리는 주님께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1-10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구주가 나셨으니
누가복음 2:10-11
주님, 우리와 함께 하시려고 첫 번째 크리스마스에 오신 것을 감사합니다. 전통적인 것들로 가득한 이 기간에 주님을 최고의 자리에 모실 수 있게 하소서.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로마서 15:13
Daily Article
12/25/2017 Monday
Traditions and Christmas
But as we enjoy our traditions and festivities of the Christmas season—customs that have been collected from around the world—let’s save our most sincere and heartfelt “thank you” for our good, merciful, and loving God. From Him came the reason for our Christmas celebration: the baby born in that Judean manger more than 2,000 years ago. An angel announced the arrival of this gift to mankind by saying, “I bring you good news that will cause great joy . . . a Savior has been born to you” (LUKE 2:10–11).
This Christmas, even in the light of the sparkling Christmas tree and surrounded by newly opened presents, the true excitement comes when we turn our attention to the baby named Jesus, who came to “save his people from their sins” (MATT 1:21). His birth transcends tradition: It is our central focus as we send praises to God for this indescribable Christmas gift. - DAVE BRANON
Today's Reading
Luke 2:1–10I bring you good news that will cause great joy...a Savior has been born to you.
Luke 2:10-11
Lord, we thank You for coming to join us on that first Christmas. During a time of the year filled with many traditions, help us to keep You first.
May the God of hope fill you with all joy and peace as you trust in him. ROMANS 15:13
오늘의 말씀
12/24/2017 주일
황홀한 소망
페센든은 한 청과회사와 계약을 맺어 바나나를 수확하고 판매하는 것을 서로 교신할 수 있도록 약 열두 척의 배 위에 무선 장비를 설치했습니다. 성탄절 전날 밤 페센든은 모든 배 위에 있던 무선 통신원들에게 주의하고 있으라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9시가 되자 그들은 페센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는 오페라 아리아 레코드를 틀어주고 이어서 자기의 바이올린을 꺼내어 “오 거룩한 밤”을 연주하며 마지막 소절까지 노래로 불렀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그는 성탄절 인사말을 건네며 누가복음 2장에서 천사들이 베들레헴 목자들에게 구주가 나셨다고 선포하는 부분을 읽었습니다.
2천 년 전의 베들레헴 목자들과 1906년 유나이티드 청과회사의 배 위에 있던 선원들은 모두 깊은 밤중에 예상치 못한 놀라운 소망의 메시지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오늘도 여전히 우리에게 같은 소망의 메시지를 전해주십니다. 우리를 위해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이신 주님이십니다!(누가복음 2:11). 우리는 천사들과 여러 세대를 이어온 믿는 자들의 찬양대에 동참하여 이렇게 화답할 수 있습니다.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이요 땅에서는 하나님이 기뻐하신 사람들 중에 평화로다”(14절).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11-20오늘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
누가복음 2:11
하나님,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롤 보내어 우리의 구주가 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그리스도 없이는 소망도 없다. 찰스 스펄전
Daily Article
12/24/2017 Sunday
A Thrill of Hope
Fessenden held a contract with a fruit company which had installed wireless systems on roughly a dozen boats to communicate about the harvesting and marketing of bananas. That Christmas Eve, Fessenden said that he told the wireless operators on board all ships to pay attention. At 9 o'clock they heard his voice.
He reportedly played a record of an operatic aria, and then he pulled out his violin, playing “O Holy Night” and singing the words to the last verse as he played. Finally, he offered Christmas greetings and read from Luke 2 the story of angels announcing the birth of a Savior to shepherds in Bethlehem.
Both the shepherds in Bethlehem over two thousand years ago and the sailors on board the United Fruit Company ships in 1906 heard an unexpected, surprising message of hope on a dark night. And God still speaks that same message of hope to us today. A Savior has been born for us—Christ the Lord! (LUKE 2:11). We can join the choir of angels and believers through the ages who respond with “Glory to God in the highest heaven, and on earth peace to those on whom his favor rests” (V 14).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Luke 2:11–20Today in the town of David a Savior has been born to you; he is the Messiah, the Lord.
Luke 2:11
God, we give You glory and thank You for sending Your Son Jesus Christ to be our Savior!
Without Christ there is no hope. CHARLES SPURGEON
오늘의 말씀
12/23/2017 토요일
우리와 함께 계시는 하나님
마태복음은 하나님이 그의 백성들과 함께 거하시는 것이 성탄절의 본질이라고 말합니다. 마태는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이사야 7:14)라는 뜻으로 임마누엘이라고 불릴 아기가 탄생할 것이라고 하였던 이사야의 예언을 인용하며 하나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기 위해 성령님의 능력으로 예수님이 태어나심으로 이 예언이 궁극적으로 성취되었음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이 진리는 너무나 중요한 것이어서 마태는 그의 복음서를 이 진리로 시작하고 마지막에도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하신 “볼지어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마태복음 28:20)라는 말씀으로 끝을 맺습니다.
성 패트릭의 가사는 그리스도께서 믿는 자들 안에 거하시는 성령님을 통해 그들과 항상 함께 계신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불안하거나 두려울 때 나는 주님이 나를 결코 떠나지 않으신다는 약속을 굳게 붙들 수 있고, 잠이 오지 않을 때면 주님의 평화를 달라고 간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축하할 일이 생기고 기쁨이 가득할 때면 내 삶 가운데 행하시는 그분의 은혜의 일들에 대해 감사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임마누엘, 곧 우리와 함께 계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18-23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마태복음 1:23
하나님 아버지, 당신의 아들을 보내어 우리와 함께 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오늘도 경험하게 해주소서.
하나님의 사랑이 베들레헴에 인간의 몸으로 나타났다.
Daily Article
12/23/2017 Saturday
God with Us
Matthew’s account tells us that God dwelling with His people is at the heart of Christmas. Quoting Isaiah’s prophecy of a child who would be called Immanuel, meaning “God with us” (ISA 7:14), Matthew points to the ultimate fulfillment of that prophecy—Jesus, the One born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o be God with us. This truth is so central that Matthew begins and ends his gospel with it, concluding with Jesus’s words to His disciples: “And surely I am with you always, to the very end of the age” (MATT 28:20).
St. Patrick’s lyrics remind me that Christ is with believers always through His Spirit living within. When I’m nervous or afraid, I can hold fast to His promises that He will never leave me. When I can’t fall asleep, I can ask Him to give me His peace. When I’m celebrating and filled with joy, I can thank Him for His gracious work in my life.
Jesus, Immanuel—God with u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Matthew 1:18–23The virgin will conceive and give birth to a son, and they will call him Immanel.
Matthew 1:23
Father God, thank You for sending Your Son to be God with us. May we experience Your presence this day.
God’s love became Incarnate at Bethlehem.
오늘의 말씀
12/22/2017 금요일
영혼의 고요한 밤
보라! 고요한 밤, 하나님의 아기 나신다
상실과 절망에 빠진 모든 영혼 다시 회복되네
오 인자여, 당신의 영혼이 고요한 밤이 될 수 있다면
하나님이 당신에게 오사 모든 것을 바로잡아주시련만
폴란드의 수도사 실레시우스는 1657 년에 ‘천사 같은 순례자’라는 시집에서 위의 시를 발표했습니다. 매년 성탄전야 예배 때 우리 교회 성가대는 “당신의 영혼이 고요한 밤이 될 수만 있다면”이라는 제목의 아름다운 노래를 불렀습니다.
성탄절의 두 가지 미스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들 중 하나가 되신 것과, 그로 인해 우리가 하나님과 하나가 될 수 있게 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모든 죄악을 감당하셔서 우리가 바르게 될수 있게 하셨습니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서 났으며 그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고” (고린도후서 5:17-18).
성탄절에 가족이나 친구가 많든지, 아니면 바라던 것이 하나도 없든지, 우리는 예수님이 우리 가운데 태어나기 위해 오셨다는 것을 압니다.
아, 당신의 마음이 구유가 되어 탄생을 준비할 수 있다면
하나님께서 한 번 더 세상에 아기로 나실 수 있을 텐데.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14-21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고린도후서 5:17
주 예수님, 이 어두운 세상에 태어나셔서 우리가 주님의 생명과 빛 가운데로 다시 태어날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들 중 하나가 되심으로 우리가 하나님과 하나가 될 수 있다.
Daily Article
12/22/2017 Friday
Silent Night of the Soul
Lo! in the silent night a child to God is born,
And all is brought again that ere was lost or lorn.
Could but thy soul, O man, become a silent night
God would be born in thee and set all things aright.
Silesius, a Polish monk, published the poem in 1657 in The Cherubic Pilgrim. During our church’s annual Christmas Eve service, the choir sang a beautiful rendition of the song titled “Could but Thy Soul Become a Silent Night.”
The twofold mystery of Christmas is that God became one of us so that we might become one with Him. Jesus suffered everything that was wrong so that we could be made right. That’s why the apostle Paul could write, “If anyone is in Christ, the new creation has come: The old has gone; the new is here! All this is from God who reconciled us to himself through Christ” (2 COR 5:17–18).
Whether our Christmas is filled with family and friends or empty of all we long for, we know that Jesus came to be born in us.
Ah, would thy heart but be a manger for the birth,
God would once more become a child on earth.
- DAVID C. MCCASLAND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5:14–21If anyone is in Christ, the new creation has come: The old has gone; the new is here!
2 Corinthians 5:17
Lord Jesus, thank You for being born into this dark world so that we might be born again into Your life and light.
God became one of us so that we might become one with Him.
오늘의 말씀
12/21/2017 목요일
크리스마스를 위한 집
숙소에 도착하여 문을 열자 마법의 순간이 나를 맞이했습니다. 예술적 감각이 있던 룸메이트가 최근에 끝낸 프로젝트인 도자기로 만든 50센티미터 크기의 크리스마스트리가 색색의 반짝이는 점들로 어두운 방을 비추고 있었던 것입니다. 잠깐 동안이었지만 집으로 돌아온 것 같았습니다!
야곱이 그의 형 에서로부터 도망쳤을 때 그도 역시 낯설고 외로운 곳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야곱은 딱딱한 땅 위에서 잠들었을 때 꿈속에서 하나님을 만났는데, 하나님은 그에게 집을 주시겠다고 약속 하셨습니다. “네가 누워 있는 땅을 내가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니......땅의 모든 족속이 너와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복을 받으리라”(창세기 28:13-14).
물론, 야곱으로부터 약속된 메시아, 곧 우리를 하나님께로 인도하기 위해 하나님의 집을 떠난 메시아가 오실 것입니다. “내가 다시 와서 너희를 내게로 영접하여 나 있는 곳에 너희도 있게 하리라”(요한복음 14:3)고 예수님은 그의 제자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 12월 밤에 나는 어두운 방에 앉아서 그 크리스마스트리를 바라보며 우리에게 본향으로 가는 길을 비춰 주려 세상에 오신 빛이신 예수님을 생각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28:10-17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가 어디로 가든지 너를 지키며 너를 이끌어 이 땅으로 돌아오게 할지라
창세기 28:15
주님, 오늘 우리가 어디에 있더라도 주님과 함께할 곳을 마련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오늘 성령님께서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본향은 우리가 속해야 할 곳이지 지도상에 있는 어떤 장소가 아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그곳을 주신다.
Daily Article
12/21/2017 Thursday
Home for Christmas
When I arrived at my room, I opened the door to a magical moment. My artistic roommate had completed his latest project—a nineteen-inch ceramic Christmas tree that now illuminated our darkened room with sparkling dots of color. If only for a moment, I was home again!
As Jacob fled from his brother Esau, he found himself in a strange and lonely place too. Asleep on the hard ground, he met God in a dream. And God promised Jacob a home. “I will give you and your descendants the land on which you are lying,” He told him. “All peoples on earth will be blessed through you and your offspring” (GEN 28:13–14).
From Jacob, of course, would come the promised Messiah, the One who left His home to draw us to Himself. “I will come back and take you to be with me that you also may be where I am,” Jesus told His disciples (JOHN 14:3).
That December night I sat in the darkness of my room and gazed at that Christmas tree. Perhaps inevitably I thought of the Light that entered the world to show us the way hom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Genesis 28:10–17I am with you and will watch over you wherever you go, and I will bring you back to this land.
Genesis 28:15
Lord, no matter where we are today, we can thank You for preparing a place for us to be with You. And we have the presence of Your Spirit today!
Home is not so much a place on a map, as it is a place to belong.
God gives us that place.
오늘의 말씀
12/20/2017 수요일
침묵을 깸
누가복음에 나오는 사람들의 반응을 읽기만 해도 그때의 흥분된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의 탄생을 둘러싼 사건들은 환희로 가득 찬 뮤지컬을 보는 듯합니다. 그 무대에는 백발의 종조부(누가복음 1:5-25), 깜짝 놀라는 처녀(1:26-38), 늙은 여선지자 안나(2:36) 등 여러 인물이 등장합니다. 마리아 자신은 아름다운 찬송을 맘껏 부르고(1:46-55), 예수님의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친척아이도 그 어머니의 배 안에서 기쁨으로 뛰어놉니다(1:41).
누가복음은 메시아에 대한 약속을 구약 성경과 직접 연관시키는데, 가브리엘 천사는 세례 요한을 주님의 길을 준비하기 위해 보낸 “엘리야” 라고까지 부릅니다(1:17). 분명히 지구라는 행성에서 무엇인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로마 제국의 한 외딴곳에 있는 암울하고 패배의식에 젖은 마을 주민들에게 무언가 좋은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11-17그가 또 엘리야의 심령과 능력으로 주 앞에 먼저 와서......주를 위하여 세운 백성을 준비하리라
누가복음 1:17
주님이 우리에게 오셨고 우리는 기뻐합니다! 예수님, 주님은 우리에게 구원과 소망의 선물입니다. 감사합니다.
이 세상의 한 시점에, 한 마구간 안에 우리 온 세상보다 더 큰 어떤 것이 있었다.
씨 에스 루이스 (‘마지막 전투’에서)
Daily Article
12/20/2017 Wednesday
Breaking the Silence
You can catch the excitement just by reading the reactions of people in Luke. Events surrounding Jesus’s birth resemble a joy-filled musical. Characters crowd into the scene: a white-haired great uncle (LUKE 1:5–25), an astonished virgin (1:26–38), the old prophetess Anna (2:36). Mary herself lets loose with a beautiful hymn (1:46–55). Even Jesus’s unborn cousin kicks for joy inside his mother’s womb (1:41).
Luke takes care to make direct connections to Old Testament promises of a Messiah. The angel Gabriel even calls John the Baptist an “Elijah” sent to prepare the way for the Lord (1:17). Clearly, something is brewing on planet Earth. Among the dreary, defeated villagers in a remote corner of the Roman Empire, something good is breaking out. - PHILIP YANCEY
Today's Reading
Luke 1:11–17He will go on before the Lord, in the spirit and power of Elijah...to make ready a people prepared for the Lord.
Luke 1:17
You have come to us, and we rejoice! Jesus, You are the gift of redemption and hope for us. Thank You.
Once in our world, a stable had something in it that was bigger than our whole world.
C. S. LEWIS (from The Last Batt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