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22/2025 수요일
하나님을 알아보는 방법
우리는 종종 헷갈려서 알아보아야 할 사람이나 장소를 놓칠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자신을 알아볼 수 있는 명확한 방법을 알려주십니다. 그분은 “하나님의 영광의 광채시요 그 본체의 형상”(히브리서 1:3)이신 예수님으로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야 말로 하나님의 정확한 모습입니다. 예수님을 만나면, 우리는 하나님을 보고 있다는 완전한 확신을 갖게 됩니다.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 무엇을 말씀하시고 어떻게 사랑하시는지를 알고 싶다면, 우리는 단지 예수님을 바라보고 예수님의 말씀을 듣기만 하면 됩니다. 우리는 진정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이] 말씀하신”(2절) 것을 듣고 있습니까? 우리는 실제로 그분의 진리를 따르고 있습니까? 하나님을 알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우리의 시선을 아들이신 예수님께 고정하고 예수님에게서 배우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1-4아들은... 그 [하나님] 본체의 형상이시라
[히브리서 1:3]
하나님의 음성을 알아차리기 힘들 때가 있습니까?
그럴 때 예수님께 초점을 맞추는 것이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주님의 음성을 알고 따르고 싶습니다.
예수님 안에서 주님을 알아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Daily Article
01/22/2025 Wednesday
RECOGNIZING GOD
We regularly get confused and fail to recognize people or places we should know. God provides an unmistakable way of recognizing Him, however. He arrived in our world as Jesus, who “is the radiance of God’s glory and the exact representation of his being” (HEBREWS 1:3). Christ is God’s exact representation. When we see Him, we have complete confidence that we’re seeing God.
If we want to know what God is like—what He would say, how He would love—then we need only look and listen to Jesus. Are we truly hearing what “[God] has spoken” (V. 2) through Him? Are we actually following His truth? To be sure that we know how to recognize God, we fix our gaze on the Son and learn from Him.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HEBREWS 1:1-4The Son is the . . . exact representation of [God’s] being.
[ HEBREWS 1:3 ]
When do you have trouble recognizing God’s voice?
How does fixing your focus on Jesus help?
Dear God, I want to know Your voice and follow You.
Please help me recognize You in Jesus.
오늘의 말씀
01/21/2025 화요일
시련의 선물
베드로 사도는 초대 교회에서 박해 받는 이들에게 비슷한 영적 원리를 가르쳤습니다. 베드로 사도는 “너희를 연단하려고 오는 불 시험을 이상한 일 당하는 것 같이 이상히 여기지 말라”(베드로전서 4:12)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고난의 아픔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베드로는 그리스도 안의 소망이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성장시킨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다는 이유로 고난 받을 때 이 말은 더욱 사실로 다가옵니다. 베드로는 이렇게 썼습니다.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하는 것으로 즐거워하라 이는 그의 영광을 나타내실 때에 너희로 즐거워하고 기뻐하게 하려 함이라”(13절). 또, “너희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치욕을 당하면 복 있는 자로다 영광의 영 곧 하나님의 영이 너희 위에 계심이라”(14절).
전기 작가가 라이트 형제의 성품을 찬탄했던 것처럼, 다른 사람들이 우리 안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스러운 성품을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주님은 우리의 믿음을 크게 성장시키시려고 역경을 사용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4:12-19영광의 영 곧 하나님의 영이 너희 위에 계심이라
[베드로전서 4:14]
당신은 그리스도를 위해 어떤 고난을 겪었습니까?
그래서 어떻게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셨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고난이 저를 시험합니다.
주님의 영광을 위해 소망을 주시옵소서.
Daily Article
01/21/2025 Tuesday
THE GIFT OF TRIALS
The apostle Peter taught a similar spiritual principle to the persecuted early church. He told them, “Do not be surprised at the fiery ordeal that has come on you to test you” (1 PETER 4:12). This wasn’t a denial of suffering’s pain. Peter knew that hope in Christ grows our trust in God.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we suffer for being a believer in Jesus, as those early Christians did. Peter wrote to them, “Rejoice inasmuch as you participate in the sufferings of Christ, so that you may be overjoyed when his glory is revealed” (V. 13). He went on, “If you are insulted because of the name of Christ, you are blessed, for the Spirit of glory and of God rests on you” (V. 14).
As the Wright brothers’ character was hailed by their biographer, may others see God’s loving character at work in us. He uses our adversity to raise us to new heights.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1 PETER 4:12-19The Spirit of glory and of God rests on you.
[ 1 PETER 4:14 ]
How have you suffered for Christ?
How was He glorified?
Suffering tests me, dear God.
Please grant me hope for Your glory.
오늘의 말씀
01/20/2025 월요일
내 백성을 가게 하라
그림은 불타는 떨기나무 속에서 모세 앞에 나타나 이스라엘 백성의 고통을 보았다고 말씀하시는 하나님을 보여 줍니다. 화가는 빛살을 하나님과 하나님의 메시지를 상징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이제 내가 너를 바로에게 보내어 너에게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게 하리라” (출애굽기 3:10).
‘내 백성을 가게 하라’ 그림에서 모세는 하나님의 지시에 순순히 복종 한다는 의미로 무릎을 꿇었지만, 그의 눈은 그를 둘러싼 어두운 물결과 병마들에게 향해 있습니다. 이는 보는 이로 하여금 애굽을 탈출하며 겪게 될 이스라엘 백성들의 고난을 상기시켜 줍니다. 그러면서 그 빛 줄기는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하시리라는 점을 선명히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그림은 세상의 불의에 맞선 투쟁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언제나 감정의 공명을 일으킵니다. 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힘을 이용해 세상의 남자, 여자, 아이들을 억압합니다. 고통받는 사람들이 “압제를 당하는 자의 요새이시요 환난 때의 요새이신”(시편 9:9) 하나님을 향해 부르짖을 때, 우리는 하나님이 그들의 도움 요청에 응답하시도록 간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세처럼, 우리도 억압받는 자들을 대신하여 나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1-10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내가 애굽에 있는 내 백성의 고통을 분명히 보고
[출애굽기 3:7]
억압받는 자들을 위해 어떻게 기도할 수 있습니까?
불의로 고통받는 자들을 돌보는 방법을 어떻게 더 배울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부당하게 고통받는 모든 사람에게 당신의 임재를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20/2025 Monday
LET MY PEOPLE GO
The painting portrays God’s appearance to Moses in a burning bush when He revealed that He’d seen the plight of the Israelites in Egypt. The artist uses a beam of light to symbolize God and His message, “So now, go. I am sending you to Pharaoh to bring my people the Israelites out of Egypt” (EXODUS 3:10).
In Let My People Go, Moses kneels in obedient submission to God’s instructions, but the eye is drawn to the dark waves and horses trained for war surrounding him—reminding viewers of the struggles the Israelites would face as they left Egypt. But the beam of light shines brightly as a reminder that God would be with the Israelites.
The emotions evoked by the painting resonate because the struggle against injustice continues; many use their power to oppress men, women, and children around the world. As those who are suffering cry out for God to be “a refuge for the oppressed, a stronghold in times of trouble” (PSALM 9:9), we can plead with God to respond to their cries for help. And, like Moses, we can be willing to act on behalf of the oppressed.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EXODUS 3:1-10The Lord said, “I have indeed seen the misery of my people in Egypt.”
[ EXODUS 3:7 ]
How might you pray for oppressed people?
How might you learn more about caring for those suffering from injustice?
Heavenly Father, please make Your presence known to all those who suffer unjustly.
오늘의 말씀
01/19/2025 주일
하나님을 위해 결실 맺음
우리는 젊고 강하며 흠 없고 능률적인 젊음이에게 열망하고 보상하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경은 낡고 쇠약해진 사람들, 아마도 갈라지고 물 새는 사람들에게서 나오는 의로운 아름다움에 대해 분명히 말합니다. 나이 든 시인은 말합니다. “의인은 종려나무 같이 번성하며 레바논의 백향목 같이 성장하리로다”(시편 92:12).
그렇다고 해서 ‘오래된 것’이 항상 ‘현명하다’는 뜻은 아닙니다. 노인들은 젊은이가 할 수 없는 방법으로 우리 삶에 기여합니다. 그들이 좀 더 살았고 좀 더 경험했으며 좀 더 견고히 서서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신뢰의 꽃을 피웠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늙어도 여전히 결실하며 진액이 풍족하고 빛이 청청할 것입니다”(14절).
우리 삶에서 노인들은 여전히 아름다운 결실을 맺고 있습니다. 시간을 내서 그 열매를 보고 그들을 돌봅시다.
오늘의 성구
시편 92:12-15그는 늙어도 여전히 결실하며
[시편 92:14]
당신 곁에 계시는 어르신들을 어떻게 섬길 수 있을까요?
오늘 그들을 보고 감사하기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요?
하나님 아버지, 노년에도 여전히 결실을 맺고 있는 사람들을 알아 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9/2025 Sunday
STILL FRUITFUL FOR GOD
We live in a world that worships and rewards youth—the young and solid, unscarred and efficient. Yet the Bible clearly tells us of a righteous beauty that comes from the older and weaker, maybe even the cracked and leaky. “The righteous will flourish like a palm tree,” said the old songwriter, “they will grow like a cedar of Lebanon” (PSALM 92:12).
Granted, old is not always synonymous with wise, but the old contribute to our lives in ways the young can’t because they’ve lived a little longer, experienced a little more, and stand a little more rooted, flourishing in faith and trust in God. Such people “will still bear fruit in old age, they will stay fresh and green” (V. 14).
Older adults in our lives continue to bear beautiful fruit. Let’s take the time to see it and care for them.
- JOHN BLASE
Today's Reading
PSALM 92:12-15They will still bear fruit in old age.
[ PSALM 92:14 ]
How can you serve the older adults on your path?
What will you do today to see and appreciate them?
Father, please give me eyes to see those still bearing fruit in old age.
오늘의 말씀
01/18/2025 토요일
예수님을 만나 의롭게 됨
우리 일행은 나 없이 비행기에 탑승했고, 나는 여권을 새로 만들기 위해 나흘 동안 미친 듯이 다녔습니다. 수백 통의 전화, 워싱턴 DC로의 헛걸음,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로 돌아오는 장거리 운전, 근처 도시에서 이틀 간 체류 하고, 그리고 지역 하원의원의 도움을 받아 마침내 새 여권을 발급받았고, 자메이카에 있는 일행들과 합류할 수 있었습니다.
여권, 이 간단하고 작은 책자가 내가 원하는 목적지에 이르게 할 유일한 보증서였습니다. 새 여권을 받으려고 그렇게 고생했지만, 그것의 가치는 우리의 영원한 목적지를 결정하는 일, 즉 죄에서 구원받고 주님 안에서 새 생명을 보장받을 수 있는 오직 한 길인 예수님에 대한 믿음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고린도후서 6:2). 바울은 구원의 날이 그리스도를 통해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믿음으로 하나님의 사랑과 구속을 경험할 수 있고, 만물은 회복될 것입니다. 오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시려는 것”(5:21, 새번역)의 의미를 진정으로 깨달아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21-6:2지금은 은혜 받을 만한 때요 보라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
[고린도후서 6:2]
예수님은 어떻게 당신이 구원받는 길을 마련해 주셨습니까?
당신이 예수님을 구주로 믿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죄와 죽음으로부터 구원받는 길을 마련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18/2025 Saturday
MADE RIGHT WITH JESUS
Our group boarded the plane without me, and I faced four days of frantic efforts trying to get a new passport. After hundreds of phone calls, a fruitless trip to Washington DC, a long drive back to Grand Rapids, Michigan, two days in a nearby city, and the help of our local congresswoman’s office—I finally got a new passport and could join my group in Jamaica.
A passport. A simple little book—but my only guarantee to where I wanted to go. As hard as I worked to get that new document, its value pales in comparison to something that will determine our eternal destination: faith in Jesus, which is the only guarantee of receiving salvation from our sins and new life in Him.
Scripture says, “Now is the day of salvation” (2 CORINTHIANS 6:2). Paul was describing the reality that the dawn of salvation arrived in Christ. By believing in Him, we can experience God’s love and His redemptive, restoring work in all creation. Today, let’s make sure that we truly know what it means to “be made right with God through Christ” (5:21 NLT).
- DAVE BRAN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5:21-6:2Now is the time of God’s favor, now is the day of salvation.
[ 2 CORINTHIANS 6:2 ]
How has Jesus provided the way for you to receive salvation?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trust Him as your Savior?
Dear Jesus, thank You for providing the way for me to receive salvation from sin and death.
오늘의 말씀
01/17/2025 금요일
결코 낙심하지 마세요
어쩌면 당신도 사티야처럼 지금 지치고 피곤할지 모릅니다. 당신은 선한 일을 해야 하는 줄 알지만, 그저 정신과 육체가 너무 지쳐 있어서 할 수 없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힘을 내십시오. 바울 사도는 우리를 이렇게 격려 합니다.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갈라디아서 6:9). 그는 농부의 비유를 사용합니다. 농부라면 다 알고 있듯이, 씨 뿌리는 일은 힘든 일입니다.
“성령을 위하여” 심는 일(8절)도 힘든 일입니다. 성령의 인도를 따라 하나님께 영광 돌린 삶을 사신 예수님을 믿는 성도들도 약해지고 낙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주님의 약속을 붙들면 거둘 때가 올 것입니다. 우리는 예수님이 다시 오실 때 하나님 축복의 풍작인 “영생을 거둘 것”입니다 (8절; 요한복음 17:3 참조). 그리고 이 세상에 사는 동안 주님을 알아가면서 자신감과 기쁨을 얻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계절이나 날씨에 따르지 않고 완전하신 하나님의 뜻에 따라 정해지는 적절한 때에 거둘 것입니다. 추수할 때까지 하나님의 힘을 입어 씨 뿌리기를 멈추지 마십시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6:7-10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갈라디아서 6:9]
무엇이 당신을 낙심하게 합니까? 어떻게 “때가 되면 추수를 하리라”는 약속을 붙들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아버지, 낙심하지 않고 선한 일을 끝까지 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7/2025 Friday
DON’T LOSE HEART
Perhaps, like Satya, you’re feeling tired. You know the good that you ought to do but simply feel too emotionally and physically drained to carry on. Take heart. The apostle Paul encourages us with these words: “Let us not become weary in doing good, for at the proper time we will reap a harvest if we do not give up” (GALATIANS 6:9). He uses the metaphor of a farmer. And, as any farmer knows, sowing is hard work.
Sowing to “please the Spirit” (V. 8) is hard work too. Believers in Jesus who seek to follow the Spirit’s lead and live a life that honors Him can grow faint and lose heart. But as we hang on to His promise, the harvest will come. We’ll “reap eternal life” (V. 8; SEE JOHN 17:3)—a bumper crop of God’s blessing when Christ returns, and in this life, we’ll have the confidence and joy that come from knowing Him. We’ll reap at the proper time, a time determined not by seasons or the weather but by the will of a perfect God. Until the harvest comes, let’s keep sowing in God’s strength.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GALATIANS 6:7-10Let us not become weary in doing good, for at the proper time we will reap a harvest if we do not give up.
[ GALATIANS 6:9 ]
What’s causing you to lose heart? How can you hang on to the promise that “at the proper time we will reap a harvest”?
Dear Father, please help me to not lose heart and to persevere in doing good.
오늘의 말씀
01/16/2025 목요일
쉬운 길과 어려운 길
한편으로는, 그것이 간단한 일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이스라엘의 출애굽기를 살펴보면 우리는 하나님의 방법이 복잡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민족을 쉬운 길로 인도하셨습니다. “이 백성이 전쟁을 하게 되면 마음을 돌이켜 애굽으로 돌아갈까 하셨음이라”(출애굽기 13:17). 그런데 몇 절 후에, 하나님은 모세에게 되돌아 가라고 말씀하시며 바로가 그의 군대를 규합해 싸우러 오게 하셨습니다(14:1-4). 바로는 그 하나님의 속임수에 넘어갔습니다. 이스라엘 자손은 “심히 두려워하여 여호와께 부르 짖었습니다”(10절). 모세는 그들을 향해 “여호와께서 너희를 위하여 싸우시리니 너희는 가만히 있을지니라”(14절)고 꾸짖었습니다.
하나님은 쉬운 길과 어려운 길을 모두 사용하여 자기 백성들을 성장 시키고 주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십니다. 주님은 “바로와 그의 온 군대로 말미암아 영광을 얻어 애굽 사람들이 나를 여호와인 줄 알게 하리라”(4절) 고 약속하셨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 말씀대로 그렇게 했습니다. 우리도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쉬운 일이든 어려운 일이든 여러가지 시험을 통하여 우리의 믿음을 굳게 세우십니다. 삶이 평안할 때 주님 안에서 안식하십시오. 삶이 어려울 때는 주님께 맡기십시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4:5-14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 이 백성이 전쟁을 하게 되면 마음을 돌이켜 애굽으로 돌아갈까 하셨음이라
[출애굽기 13:17]
고난이 당신을 어떻게 성장시켰나요? 왜 하나님은 쉬운 시험과 어려운 시험을 둘 다 사용하신다고 생각하나요?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은 모든 시험을 통과하신 분입니다.
Daily Article
01/16/2025 Thursday
EASY AND HARD
Then again, perhaps it’s not that simple. We learn about the complexity of God’s ways by observing the exodus of Israel. God led the young nation out of Egypt on an easy road, saying of Israel, “If they face war, they might change their minds and return to Egypt” (EXODUS 13:17). Yet a few verses later, God told Moses to double back so Pharaoh would rally his army and come out to fight (14:1-4). Pharaoh took the bait. The Israelites “were terrified and cried out to the Lord” (V. 10). Moses chided them, “The Lord will fight for you; you need only to be still” (V. 14).
God uses both easy and hard paths to grow His people and bring Him glory. He promised, “I will gain glory for myself through Pharaoh and all his army, and the Egyptians will know that I am the Lord” (V. 4). So did Israel. So can we. God is building our faith through every test, whether easy or hard. When life is easy, rest in Him. When life is hard, let Him carry you.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XODUS 14:5-14God said, “If they face war, they might change their minds and return to Egypt.”
[ EXODUS 13:17 ]
How has pain contributed to your growth? Why do you think God uses both easy and hard tests?
Dear Jesus, You’re enough for every test.
오늘의 말씀
01/15/2025 수요일
하나님과 새로운 시작
하지만 또 다른 사람도 눈에 띕니다. 그는 말을 타고 있으며, 그림 바깥 쪽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것을 렘브란트의 또 다른 자화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찰하는 모든 이들을 사로잡는 그의 꿰뚫어 보는 듯한 눈빛은 “당신도 여기에 있지 않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 같습니다.
바울은 자신을 그곳에서 보았고, 우리도 그럴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고통 당하시며 돌아가셨기 때문입니다. 로마서 5장 10절에서 바울은 자신과 우리를 “하나님의 원수”라고 부릅니다. 우리들의 죄로 말미암아 예수님께서 돌아가셨으나, 그분의 죽음으로 인해 우리는 하나님과 화해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습니다”(8절).
우리는 렘브란트와 바울과 함께 서 있습니다. 그들은 우리처럼 용서가 필요한 죄인들입니다. 주님의 십자가를 통해 예수님은 우리가 스스로는 결코 할 수 없는 것을 제공하시며, 우리의 가장 깊은 필요를 충족시켜 주십니다. 즉, 하나님과의 새로운 시작을 하도록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5:6-11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셨느니라
[로마서 5:8]
당신은 한때 어떻게 하나님의 원수였나요?
오늘날 주님의 친구로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를 위해 당신 자신을 내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주님의 사랑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Daily Article
01/15/2025 Wednesday
A NEW BEGINNING WITH GOD
But there’s another who also stands out. He’s on horseback, looking directly out of the painting. Some see this as a second self-portrait by Rembrandt, engaging all who observe with a knowing glance that seems to ask, “Aren’t you here too?”
Paul saw himself there, and we may also, because Jesus suffered and died for us as well. In Romans 5:10, he refers to himself and us as “God’s enemies.” But even though our sins caused Jesus’ death, His death reconciles us to God: “God demonstrates his own love for us in this: 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V. 8).
We stand with both Rembrandt and Paul: sinners in need of forgiveness. Through His cross, Jesus offers us what we could never do for ourselves and meets our deepest need: a new beginning with God.
- JAMES BANKS
Today's Reading
ROMANS 5:6-11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 ROMANS 5:8 ]
How were you once God’s enemy?
In what ways can you live as His friend today?
Dear Jesus, thank You for giving Yourself for me.
Please help me to live in Your love today.
오늘의 말씀
01/14/2025 화요일
하나님과 동행
성경 이야기 속에서 걷기는 하나님과의 교제를 상징하는 비유로 사용됩니다. 창세기 3장에는 하나님께서 “날이 서늘할 때에”(8절. 현대인의 성경) 아담과 하와와 함께 동행하며 걸으셨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창세기 5장은 “300년 동안 하나님과 함께 신실하게 걸은”(22절) 에녹의 이야기도 들려줍니다. 어느 날 에녹은 창조주와 늘 함께 시간을 보내다가 끌어 올림을 받는 즉시 하나님과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23절). 창세기 17장에서 하나님은 아브람과의 언약을 갱신하시면서 아브람에게 하나님 “앞에서 걷도록” 초대하셨습니다 (1절). 그리고 야곱은 생애 말년에 하나님을 그의 목자로 묘사하고 “신실하게 걸어 온” 그의 조상들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48:15). 또 신약에서 바울은 우리에게 “성령을 따라 행하라”(갈라디아서 5:16)고 가르쳤습니다.
창세기에 나오는 에녹과 족장들처럼 우리도 매일 하나님과 동행하며 걸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삶을 예수님께 내어드리고 성령님의 인도를 받음으로써 그렇게 합니다. 그것이 참된 건강의 길입니다. 당신의 걷기는 어떻습니까?
오늘의 성구
창세기 5:21-24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창세기 5:24]
“하나님과 동행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오늘 당신은 성경을 묵상하면서 어떻게 그 말씀을 따르고 순종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주님과 함께 동행하지 않고 제 자신의 계획을 추구한 것을 용서해 주소서. 주님과 보조를 맞추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4/2025 Tuesday
WALKING WITH GOD
Throughout the story of the Bible, walking is used as a metaphor for communing with God. In Genesis 3, we’re told how God walked with Adam and Eve “in the cool of the day” (V. 8). Genesis 5 shares the story of Enoch, who “walked faithfully with God 300 years” (V. 22). One day Enoch’s regular time spent with his Creator led to him being taken directly to be with God (V. 24). In Genesis 17, God invited Abram to “walk before” Him as He renewed His covenant with him (V. 1). And Jacob, near the end of his life, described God as his shepherd and spoke of his ancestors who had “walked faithfully” (48:15). In the New Testament, Paul instructed us to “walk by the Spirit” (GALATIANS 5:16).
Like Enoch and the patriarchs in Genesis, we can walk with God daily. We do so by surrendering our lives to Jesus and being guided by the Holy Spirit. That’s the path to true health. How’s your walk?
- MATT LUCAS
Today's Reading
GENE SIS 5:21-24Enoch walked faithfully with God.
[ GENESIS 5:24 ]
How would you describe “walking with God”? Today, as you reflect on Scripture, how will you follow and obey it?
Father, please forgive me when I’ve chosen not to walk with You but pursued my own agenda. Help me keep in step with You.
오늘의 말씀
01/13/2025 월요일
진실을 찾는 탐색
갈레프의 통찰은 믿는 사람들이 가져야 할 비슷한 사고방식, 곧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 하라”(야고보서 1:19)는 야고보의 격려를 생각나게 합니다. 야고보는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에게 다른 사람들에게 생각 없이 반사적으로 반응하지 말고, 사람이 화를 내는 것이 하나님의 의를 이루지 못한다(20절)는 것을 잊지 말라고 강력히 권고합니다. 지혜의 성장은 하나님의 은혜에 겸손히 복종함으로써만 가능합니다(21절; 디도서 2:11-14 참조).
우리 삶의 매 순간이 우리 손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에 달려 있다는 점을 기억할 때 우리는 항상 옳아야 한다는 욕구를 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자신이 어떻게 살며 다른 사람을 어떻게 돌볼 것인지에 대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의지할 수 있습니다(야고보서 1:25-27).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19-27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 하라
[야고보서 1:19]
겸손하게 배우고 변화하려는 의지를 보인 사람들의 모습을 어떤 곳에서 보셨나요?
다른 사람에게서 배우려는 의지를 어떻게 키울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항상 옳아야 한다는 필요를 포기하고 주님과 동행하면서 끝없는 배움의 선물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3/2025 Monday
SCOUTING FOR TRUTH
Galef argues a more helpful mindset is that of a scout—someone focused not primarily on eliminating threats but on seeking the complete truth: comprehending “what’s really there as honestly and accurately as you can, even if it’s not pretty or convenient or pleasant.” People with this outlook have the humility to continually grow in understanding. Galef’s insights bring to mind James’ encouragement that believers adopt a similar mindset—one where they’re “quick to listen, slow to speak and slow to become angry” (JAMES 1:19). Instead of being driven by knee-jerk reactions to others, James urges believers in Jesus to remember that human anger doesn’t lead to God’s righteousness (V. 20). Growth in wisdom is only possible through humble submission to His grace (V. 21; SEE TITUS 2:11-14).
When we remember that each moment of our lives is dependent on God’s grace—not on us—we can let go of a need to always be right. And we can rely on His leading for how to live and care well for others (JAMES 1:25-27).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JAME S 1:19-27Everyone should be quick to listen, slow to speak and slow to become angry.
[ JAMES 1:19 ]
What examples have you seen of a spirit of humble willingness to learn and change?
How can you cultivate a willingness to learn from others?
Dear God, please help me to surrender the need to always be right in exchange for the gift of unending learning as I journey with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