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10/2018     토요일

성경읽기: 신 11-13; 막 12:1-27
찬송가: 300(통 406)

반석으로 이끌어줌

가습기를 사려고 하는데, 한 중년 부인이 통로에서 왔다 갔다 하고 있었습니다. 그녀도 가습기를 사려는가 하여 나는 그녀가 가까이 다가올 수 있도록 옆으로 비켜섰습니다. 곧 우리는 유행 중인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 대화를 나누게 되었는데, 그녀도 독감의 후유증으로 기침과 두통이 끊이지 않고 있었습니다.

몇 분 후 그녀는 그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한 자기 생각을 장황하게 비난하며 늘어놓았는데, 나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그냥 듣고만 있었습니다. 그녀는 여전히 화나고 짜증난 채로 곧 상점을 떠났습니다. 나는 그녀가 그렇게 좌절감을 드러내는데도 그 고통을 없애주기 위해 아무것도 해줄 수 없었습니다.

이스라엘의 두 번째 왕인 다윗은 하나님께 자기의 분노와 좌절감을 나타내는 시편을 썼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하나님께서 들으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고통을 위해 무엇인가 하실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시편 61편에서 그는 “내 마음이 약해질 때에...... 부르짖으오리니 나보다 높은 바위에 나를 인도하소서”(2절)라고 쓰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피난처”이셨으며(3절), 다윗이 달려갈 “반석” 이셨습니다.

우리가 고통 가운데 있거나 고통 가운데 있는 누군가를 만날 때, 다윗의 이야기는 본받아야 할 좋은 예입니다. 우리는 “높은 곳의 그 바위”로 가던지, 아니면 다른 사람을 그곳으로 인도할 수 있습니다. 나는 상점에서 만난 그 부인에게 하나님에 관해 이야기하지 못한 것을 후회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고통을 다 없애지는 않으시더라도 우리는 그분이 주시는 평안과 우리의 부르짖음을 들으신다는 확신 가운데 안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1
내 마음이 약해질 때에 ......부르짖으오리니 나보다 높은 바위에 나를 인도하소서
시편 61:2

Father God, make me mindful of those in need of a listening ear and the hope of Your presence.

반석이신 주님 안에서 안식하라.

Daily Article

03/10/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1–13 and MARK 12:1–27
Hymn: 300(old 406)

Lead Me to the Rock

While shopping for a humidifier, I noticed an older woman walking back and forth down the aisle. Wondering if she was shopping for humidifiers also, I moved aside to allow her to draw near. Soon we chatted about a flu virus in our area, one that left her with a lingering cough and headache.

A few minutes later, she launched into a bitter tirade, expressing her theory about the origin of the virus. I listened, unsure what to do. She soon left the store, still angry and frustrated. Though she had expressed her frustration, I couldn’t do anything to take away that pain.

David, Israel’s second king, wrote psalms to express his anger and frustration to God. But David knew that God not only listened, He could also do something about his pain. In Psalm 61, he writes, “I call as my heart grows faint; lead me to the rock that is higher than I” (v. 2). God was his “refuge” (v. 3)—the “rock” to which David ran.

When we’re in pain, or come in contact with someone in pain, David’s example is a good one to follow. We can head to “the rock that is higher” or lead someone there. I wish I had mentioned God to the woman at the store. While God may not take away all our pain, we can rest in the peace He provides and the assurance that He hears our cry. -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Psalm 61
I call as my heart grows faint; lead me to the rock that is higher than I.
Psalm 61:2

하나님 아버지, 자신의 말을 들어줄 사람이 필요한 사람들과 하나님이 함께 계시다는 소망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게 하소서.

Rest on the Rock.

오늘의 말씀

03/09/2018     금요일

성경읽기: 신 8-10; 막 11:19-33
찬송가: 540(통 219)

직접적인 지시

둘째 아이는 언니 방에 있는 “큰 침대”에서 몹시 자고 싶어 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매일 밤 브리타를 그 침대에 가지런히 눕히고 이불을 덮어주면서, 침대에 그대로 있으라고 하면서 만일 내려오면 아기 침대로 다시 보내겠다고 단단히 주의를 주었습니다. 그런데 나는 밤마다 복도에서 아이를 발견하고 실망한 딸아이를 아기 침대로 돌려보내야 했습니다. 몇 년 뒤에 안 일이지만, 습관적으로 상냥해 보였던 언니가 자기 침대에서 누구와 같이 자는 것이 싫어서 브리타에게 내가 부르는 소리가 들린다고 계속해서 말했고, 아이는 언니의 말을 곧이듣고 나를 보러 오다가 결국엔 자신의 아기 침대로 돌아가게 된 것이었습니다.

누구나 그릇된 음성에 귀를 기울이면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맞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말을 전하기 위해 벧엘로 사람을 보내실 때, 그가 거기에 있는 동안 먹지도 마시지도 말고 왔던 길로 되돌아가지도 말라고 분명히 지시하셨습니다(열왕기상 13:9). 그래서 그 선지자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여로보암 왕의 식사 초대를 거절했습니다. 그러나 나이든 한 선지자가 그를 식사에 다시 초대했을 때, 처음에는 거절하였으나 천사가 괜찮다고 말했다는 그의 거짓말에 넘어가 식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내가 브리타가 “큰 침대”에서 잘 자기를 바랐던 것처럼, 하나님도 그 선지자가 하나님의 지시에 귀 기울이지 않은 것 때문에 슬퍼하셨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습니다. 그분의 말씀은 우리의 생명의 길입니다. 주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는 것이 지혜입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3:11-22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이르시기를
열왕기상 13:17

주님, 성경으로 저에게 말씀하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의 음성에 귀를 기울이고 순종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말씀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Daily Article

03/09/2018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8–10 and MARK 11:19–33
Hymn: 540(old 219)

Direct Instructions

My second child was eager to sleep in a “big-girl bed” in her sister’s room. Each night I tucked Britta under the covers, issuing strict instructions to stay in bed, warning her I’d return her to the crib if she didn’t. Night after night, I found her in the hallway and had to escort my discouraged darling back to her crib. Years later I learned her customarily-sweet older sister wasn’t excited about having a roommate and repeatedly told Britta that she’d heard me calling for her. Britta heeded her sister’s words, went to look for me, and thus landed herself back in the crib.

Listening to the wrong voice can have consequences for us all. When God sent a man to Bethel to speak on His behalf, He gave explicit instructions for him to not eat or drink while there, nor return home by the same route (1 Kings 13:9). When King Jeroboam invited him to share a meal, the prophet declined, following God’s command. When an older prophet extended an invitation to dine, the man initially declined, but relented and ate when his elder deceived him, saying an angel told him it was okay. Just as I wanted Britta to enjoy her “big-girl bed,” I imagine God was saddened the man didn’t heed His instructions.

We can trust God completely. His words are our path to life; we are wise to listen and obey.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1 Kings 13:11–22
“I have been told by the word of the Lord.”
1 Kings 13:17

Thank You, Lord, for speaking to me through Your Word. Help me to tune my ears to Your voice and obey.

God’s words are the ones that matter most.

오늘의 말씀

03/08/2018     목요일

성경읽기: 신 5-7; 막 11:1-18
찬송가: 204(통 379)

연륜의 지혜

2010년 싱가포르의 한 신문은 여덟 명의 노인에게서 얻은 삶의 교훈들을 특별 기사로 실었습니다. 그 기사는 이렇게 시작합니다. “나이가 들면 몸과 마음에 어려움이 생기지만 한편으로 더 좋아지는 점들이 있다. 사람의 감성이나 사회성에 대한 풍성한 지식이 그것인데, 이것이 요즘 과학자들이 지혜라고 말하기 시작하는 자질, 곧 연륜의 지혜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혜로운 노인들은 우리에게 삶에 대해 많은 것을 가르쳐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우리는 이것을 깨닫지 못했던, 새로 즉위한 한 왕의 이야기를 봅니다.

솔로몬 왕이 죽자, 열왕기상 12장 3절을 보면 “이스라엘의 온 회중이 와서 르호보암에게 탄원하였습니다.” 그들은 새 왕에게 부왕 솔로몬이 그들에게 부과했던 과중한 부역과 무거운 세금을 줄여달라고 요청하면서, 그러면 그들은 르호보암을 충성으로 섬기겠다고 말합니다.

처음에 이 젊은 왕은 노인들과 의논하였습니다(6절). 그러나 그는 노인들의 충고를 거절하고 그와 함께 자라온 젊은 사람들의 우매한 조언을 받아들였습니다(8절). 그는 백성들의 멍에를 더욱 무겁게 하였습니다! 결국 그는 자신의 무모함으로 그의 왕국의 대부분을 잃어버렸습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오랜 경험을 가진 사람들, 특히 하나님과 동행하면서 그분의 조언에 귀 기울였던 사람들의 자문이 필요합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축적된 지혜를 생각해보십시오. 그들은 주님에 대해서 우리와 나눌 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그들을 찾아서 그들의 지혜에 귀를 기울입시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2:1-7,12-17
늙은 자에게는 지혜가 있고 장수하는 자에게 는 명철이 있느니라
욥기 12:12

.

젊었을 때에 실수하지 않으려면 연륜의 지혜를 구하라.

Daily Article

03/08/2018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5–7 and MARK 11:1–18
Hymn: 204(old 379)

Age-Old Wisdom

In 2010, a newspaper in Singapore published a special report that contained life lessons gleaned from eight senior citizens. It opened with these words: “While aging brings challenges to mind and body, it can also lead to an expansion in other realms. There is an abundance of emotional and social knowledge; qualities which scientists are beginning to define as wisdom . . . the wisdom of elders.”

Indeed, wise older people have much to teach us about life. But in the Bible, we meet a newly crowned king who failed to recognize this.

King Solomon had just died, and in 1 Kings 12:3, we read that “the whole assembly of Israel went to Rehoboam” with a petition. They asked the new king to lighten the harsh labor and heavy taxes his father Solomon had demanded of them. In return, they would loyally serve Rehoboam.

At first the young king consulted the elders (v. 6). But he rejected their advice and accepted the foolish counsel of the young men who had grown up with him (v. 8). He made the burden on the people even greater! His rashness cost him most of his kingdom.

All of us need the counsel that comes with years of experience, especially from those who have walked with God and listened well to His counsel. Think of the accumulated wisdom God has given them! They have much to share with us about the Lord. Let’s seek them out and give a listening ear to their wisdom.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1 Kings 12:1–7, 12–17
Is not wisdom found among the aged? Does not long life bring understanding?
Job 12:12

.

To avoid the mistakes of youth, draw from the wisdom of age.

오늘의 말씀

03/07/2018     수요일

성경읽기: 신 3-4; 막 10:32-52
찬송가: 235(통 222)

지금은 안녕

나는 손녀 앨리사와 헤어질 때 항상 하는 순서가 있습니다. 먼저 서로 끌어안고 한 20초 동안 과장된 큰 소리로 웁니다. 그러고는 뒤로 물러서서 “또 봐”라고 보통처럼 인사하고 뒤돌아섭니다. 이 우스꽝스러운 행동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언제나 곧 다시 만날 것을 기대합니다.

그러나 사랑하는 사람들과 헤어지는 아픔은 가끔은 견디기가 힘듭니다. 바울 사도가 에베소의 장로들에게 작별을 고하자 “다 크게 울며 바울의 목을 안고......다시 그 얼굴을 보지 못하리라 한 말로 말미암아 더욱
근심했습니다”(사도행전 20:37-38).

그러나 가장 슬플 때는 죽음을 앞두고 생애 마지막으로 작별인사를 할 때입니다. 그렇게 헤어지는 것은 참으로 생각하고 싶지 않습니다. 우리는 아주 슬피 울며 눈물을 흘립니다. 사랑했던 사람을 다시는 안을 수 없다는 그 아픈 마음을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그렇지만......우리는 희망 없는 사람들처럼 슬퍼하지 않습니다.’ 바울은 그의 서신에서 “예수님이 죽으시고 부활하신 것을 믿는” (데살로니가전서 4:13-18) 사람들은 후에 다시 만나게 될 거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는 “주께서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로 친히 하늘로부터 강림하시리니”, 그러면 죽은 자들이 아직 살아 있는 자들과 같이 우리 주님과 연합하게 될 것이라고 선언합니다. 얼마나 놀라운 재회인지요!

그리고 무엇보다 좋은 것은 우리가 예수님과 ‘영원히’ 함께 있게 될 거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영원한 소망입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4:13-18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데살로니가전서 4:13

주님, 이 세상이 우리의 전부가 아니라 주님을 믿는 모든 사람에게 복된 영생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죽을 때 “안녕”이라고 말하지 않고 “나중에 다시 봐요”라고 말한다.

Daily Article

03/07/2018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3–4 and MARK 10:32–52
Hymn: 235(old 222)

Goodbye for Now

My granddaughter Allyssa and I have a regular routine we go through when we say goodbye. We wrap our arms around each other and begin to loudly wail with dramatic sobs for about twenty seconds. Then we step back and casually say, “See ya,” and turn away. Despite our silly practice, we always expect that we will see each other again—soon.

But sometimes the pain of separation from those we care about can be difficult. When the apostle Paul said farewell to the elders from Ephesus, “They all wept as they embraced him . . . . What grieved them most was [Paul’s] statement that they would never see his face again” (Acts 20:37–38).

The deepest sorrow, however, comes when we are parted by death and say goodbye for the last time in this life. That separation seems unthinkable. We mourn. We weep. How can we face the heartbreak of never again embracing the ones we have loved?

Still . . . we do not grieve like those who have no hope. Paul writes of a future reunion for those who “believe that Jesus died and rose again” (1 Thessalonians 4:13–18). He declares: “The Lord himself will come down from heaven, with a loud command, with the voice of the archangel,” and those who have died, along with those who are still alive, will be united with our Lord. What a reunion!

And—best of all—we will be forever with Jesus. That’s an eternal hope.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4:13–18
You do not grieve like the rest of mankind, who have no hope.
1 Thessalonians 4:13

Thank You, Lord, for the assurance that this world is not all we have but that a blessed eternity awaits all who trust in You.

At death, God’s people don’t say “goodbye,” but “we’ll see you later.”

오늘의 말씀

03/06/2018     화요일

성경읽기: 신 1-2; 막 10:1-31
찬송가: 449(통 377)

어린 아이 같이

어린 여자아이가 찬양에 맞추어 즐겁고 우아하게 몸을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그 아이 혼자만 통로에 나와 있었는데, 이에 개의치 않고 음악에 맞춰 빙빙 돌고 팔을 흔들며 다리를 들어 올렸습니다. 아이의 엄마는 입가에 미소를 지으며 아이가 하는 것을 그대로 두었습니다.

그 아이를 보면서 내 마음도 움직여 따라 하고 싶었지만 그러질 못했습니다. 나는 남을 의식하지 않고 기쁨과 경이감을 표현하던 동심을 오래전에 잃어버렸던 것입니다. 우리는 자라고 성숙해지면서 아이 같은 유치한 행동은 멈춰야 하지만, 기쁨과 경이감마저 잃어버려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예수님은 세상에 계실 때 어린 아이들을 반기셨고 가르치실 때도 아이들을 자주 인용하셨습니다(마태복음 11:25; 18:3; 21:16). 한 번은 아이들의 축복을 위해 부모들이 아이들을 예수님께 데려오는 것을 금지시킨 제자들을 나무라시며, 주님은 “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 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마가복음 10:14)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신 ‘어린 아이 같다’는 것은 그리스도를 쉽게 받아들이는 것, 즉 기쁨과 경이감 뿐만 아니라 단순하고 의지하고 맡기는 겸손한 마음을 말합니다.

어린 아이 같은 경이감과 기쁨(그리고 더 많은 다른 것들)은 우리 마음의 문을 열어 예수님을 더욱 잘 받아들이게 해줍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그분의 품으로 달려오기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0:13-16
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
마가복음 10:14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우리가 좀 더 어린아이 같이 되게 해주소서. 하나님이 하신 모든 일을 보며 우리 마음이 경이감으로 가득 채워지기를 갈망합니다.

믿음은 어린 아이 같은 마음 안에서 가장 빛난다.

Daily Article

03/06/2018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2 and MARK 10:1–31
Hymn: 449(old 377)

Like a Little Child

The little girl moved joyfully and gracefully to the music of praise. She was the only one in the aisle but that didn’t keep her from spinning and waving her arms and lifting her feet to the music. Her mother, a smile on her lips, didn’t try to stop her.

My heart lifted as I watched, and I longed to join her—but didn’t. I’d long ago lost the unselfconscious expression of joy and wonder of my childhood. Even though we are meant to grow and mature and put childish ways behind us, we were never meant to lose the joy and wonder, especially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When Jesus lived on Earth, He welcomed little children to Him and often referred to them in His teaching (Matthew 11:25; 18:3; 21:16). On one occasion, He rebuked His disciples for attempting to keep parents from bringing their children to Him for a blessing, saying, “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and do not hinder them, for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such as these” (Mark 10:14). Jesus was referring to the childlike characteristics that ready us to receive Christ—joy and wonder, but also simplicity, dependence, trust, and humility. - ALYSON KIEDA

Childlike wonder and joy (and more) open our hearts to be more receptive to Him. He is waiting for us to run into His arms.

Today's Reading

Mark 10:13–16
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and do not hinder them.
Mark 10:14

Abba (Daddy), Father, help us to be more childlike in our relationship with You. We long to be filled with wonder at all You have done.

Faith shines brightest in a childlike heart.

오늘의 말씀

03/05/2018     월요일

성경읽기: 민 34-36; 막 9:30-50
찬송가: 212(통 347)

잔디와 은혜

내 친구 아치는 휴가에서 돌아오자 이웃이 자신의 마당 5피트 (1.5미터) 안쪽으로 나무 울타리를 쳐 놓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울타리를 치워달라고 이웃과 실랑이를 하는데 몇 주가 지나갔습니다. 심지어 치우는 비용의 반을 내면서 돕겠다고 제안해도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 친구는 법에 호소할 수도 있었지만 그 권리는 접어두고 울타리를 그냥 두기로 했습니다. 이웃에게 조금이나마 하나님 은혜를 보여주고 싶었던 것입니다.

“그 친구 겁쟁이네!”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아닙니다. 그는 힘이 아주 센 남자였지만 잔디 대신 은혜를 선택한 것입니다.

아브라함과 롯이 땅에 그들의 가축이 넘쳐나자 이것 때문에 서로 갈등하였던 일이 생각납니다. “그러므로 아브람의 가축의 목자와 롯의 가축의 목자가 서로 다투고 또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도 그 땅에 거주하였는지라”(창세기 13:7). 가장 좋은 땅을 선택한 롯은 나중에 모든 것을 잃었고, 남은 땅을 가졌던 아브라함은 약속의 땅을 얻었습니다(12-17절).

우리에게는 권리가 있으며 그것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다른 사람의 권리가 관련되어 있을 때에는 더 그렇습니다. 그리고 이 권리를 강하게 주장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바울이 불법을 행하는 공회 앞에서
그렇게 했습니다(사도행전 23:1-3 참조). 그러나 우리는 세상에 더 좋은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권리를 내려놓는 선택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성경에서 말하는 “온유함”입니다. 그것은 유약함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통치 아래에서의 강함입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3:1-18
그러므로 롯이 요단 온 지역을 택하고 동으로 옮기니 그들이 서로 떠난지라
창세기 13:11

사랑하는 주님, 저는 제 자신만을 잘 생각합니다. 저에게 지혜를 주셔서 언제 제 권리를 포기하면 사람들에게 주님의 사랑과 은혜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지 알게 해주소서.

내 삶으로 이웃이 하나님을 알도록 도울 수 있다.

Daily Article

03/05/2018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4–36; Mark 9:30–50
Hymn: 212(old 347)

Grass or Grace

My friend Archie came home from vacation to find his neighbor had erected a wooden fence five feet inside his property line. Several weeks went by during which Archie tried to work with his neighbor to remove the fence. He offered to help and to split the cost of the work, but to no avail. Archie could have appealed to civil authorities, but he chose to forgo that right in this instance and allow the fence to stand—to show his neighbor something of the grace of God.
“Archie is a wimp!” you say. No, he was man of towering strength, but he chose grace over a patch of grass.
I think of Abraham and Lot, who fell into conflict because their flocks and herds overwhelmed the land. “Quarreling arose between Abram’s herders and Lot’s. The Canaanites and the Perizzites [the unbelieving community] were also living in the land at that time” (Genesis 13:7). Lot chose the best of the land and lost everything in the end. Abraham took what was left over and gained the promised land (vv. 12–17).
We do have rights and we can claim them, especially when other’s rights are involved. And sometimes we should insist on them. Paul did when the Sanhedrin acted unlawfully (see Acts 23:1–3). But we can choose to set them aside to show the world a better way. This is what the Bible calls “meekness”—not weakness. Strength under God’s control. -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Genesis 13:1–18
Lot chose for himself the whole plain of the Jordan.
Genesis 13:11

Dear Lord, I am prone to look out for myself. Give me wisdom to know when giving up my rights would best demonstrate Your love and grace to others.

My life helps paint my neighbor’s picture of God.

오늘의 말씀

03/04/2018     주일

성경읽기: 민 31-33; 막 9:1-29
찬송가: 368(통 486)

우리를 채워주시는 하나님

“내가 뭘 한 거지?” 인생에서 가장 신나는 순간이어야 할 때인데도 나는 극심한 외로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대학 졸업 후 내가 자란 곳에서 수백 마일 떨어진 도시에 바라던 첫 직장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대단했던 출발의 설렘은 곧 사라졌습니다. 좁은 아파트에 가구는 하나도 없고 도시는 낯설었습니다. 아는 사람도 없었습니다. 일은 재미있었지만 외로움이 몰려왔습니다.

어느 날 밤, 집의 벽에 기대어 앉아 성경을 펴자 하나님이 우리를 충만케 하신다는 약속의 시편 16편 11절 말씀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나는 기도했습니다. “주님, 저는 이 직장에 잘 들어왔다고 생각하는데 지금 너무 외롭습니다. 주님이 가까이 계시다는 생각으로 저를 채워주소서.” 나는 몇 주 동안 이 단순한 기도를 여러
가지로 다르게 표현하며 계속 했습니다. 어떤 밤에는 외로움이 누그러지며 하나님의 임재를 깊이 느끼기도 했지만, 어떤 밤에는 홀로 있다는 것을 여전히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그러나 밤마다 그 말씀을 다시 보며 그 말씀에 마음의 닻을 내리니 하나님께서 내 믿음을 점점 깊어지게 해주셨습니다. 나는 전에는 한 번도 느껴보지 못했던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경험했습니다. 그리고 내가 할 일은 단지 내 마음을 주님께 온전히 쏟아 붓고......성령으로 우리를 채워주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으면서 주님의 신실하신 응답을 겸손한 마음으로 기다리는 것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6:5-11
주께서 생명의 길을 내게 보이시리니 주의 앞에는 충만한 기쁨이 있고 주의 오른쪽에는 영원한 즐거움이 있나이다
시편 16:11

주님, 때로 우리는 아주 공허함을 느낍니다. 하지만 주님은 생명의 길을 보여주시고 우리가 주님을 신뢰하기를 진실로 원하십니다. 우리의 절망의 순간에도 우리를 채워주시겠다는 주님의 약속을 꼭 붙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마음의 닻을 하나님께 내려놓아라.

Daily Article

03/04/2018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1–33 and MARK 9:1–29
Hymn: 368(old 486)

When God Fills Us

“What had I done?” It should have been one of the most exciting times of my life. Instead, it was one of the loneliest. I’d just gotten my first “real” job after college, in a city hundreds of miles from where I grew up. But the thrill of that big step quickly faded. I had a tiny apartment. No furniture. I didn’t know the city. I didn’t know anyone. The job was interesting, but the loneliness felt crushing.

One night, I sat at home with my back against the wall. I opened my Bible and stumbled onto Psalm 16, where verse 11 promises God will fill us. “Lord,” I prayed, “I thought this job was the right thing, but I feel so alone. Please fill me with a sense of Your nearness.” I offered variants of that plaintive plea for weeks. Some nights, my sense of loneliness eased, and I had a deep experience of God’s presence. Other nights, I still felt achingly isolated.

But as I returned to that verse, anchoring my heart in it night by night, God gradually deepened my faith. I experienced His faithfulness in a way I never had before. And I learned that my job was simply to pour out my heart to Him . . . and humbly await His faithful response, trusting His promise to fill us with His Spirit. - ADAM HOLZ

Today's Reading

Psalm 16:5–11
You make known to me the path of life; you will fill me with joy in your presence, with eternal pleasures at your right hand.
Psalm 16:11

Lord, we can feel so empty at times. But You’ve made known the path of life. You long for us to trust You. Help us to cling to Your promise to fill us in our desperate moments.

Anchor your heart in God.

오늘의 말씀

03/03/2018     토요일

성경읽기: 민 28-30; 막 8:22-38
찬송가: 294(통 416)

하나님 보시기에 소중한

데이비드라는 이름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를 “거리의 바이올린 연주자”라 불렀습니다. 데이비드는 남루한 차림새의 노인이었는데 우리 도시에서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장소에 자리를 잡고 지나가는 사람들을 위해 뛰어난 바이올린 솜씨로 세레나데를 연주했습니다. 거리에서 그의 연주를 듣는 사람들은 이따금
그들 앞에 놓인 바이올린 가방에 1달러를 놓아주곤 했습니다. 그러면 데이비드는 연주를 계속하면서 미소와 함께 머리를 끄덕이며 감사를 표했습니다.

얼마 전 데이비드의 사망 소식이 지역 신문에 나면서, 그가 여러 언어에 능통했고 유명 대학을 나왔으며 오래 전에는 주 상원의원에 출마한 적도 있었던 것이 알려졌습니다. 겉모습만 보고 그를 평가했던 사람들은 상당한 그의 이력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하나님이 자기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셨다” (창세기1:27)고 말합니다. 이것은 우리의 겉모습이나 이루어놓은 업적, 남들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와 상관없이 우리 각자에게는 타고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우리의 죄 때문에 스스로 하나님을 멀리 떠났을 때에도, 하나님은 우리를 너무나 귀하게 여기셔서 그분의 독생자를 보내어 우리가 구원받고 하나님과 영원히 사는 길을 보여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그리고 우리 주변의 모든 사람들은 하나님 보시기에 소중한 사람들입니다. 다른 사람들과 하나님의 사랑을 나눔으로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사랑을 나타내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26-31
사랑하는 자들아 하나 님이 이같이 우리를 사랑하셨은즉 우리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도다
요한1서 4:11

하나님 아버지, 저를 향한 놀라운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다른 사람들이 오늘 제 말과 행동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볼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나누어야 한다.

Daily Article

03/03/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8–30 and MARK 8:22–38
Hymn: 294(old 416)

Precious to God

His name was David, but most just called him “the street fiddler.” David was a disheveled, older man who was a regular fixture in popular places in our city, serenading passers-by with unusual skill at his violin. In exchange for his music, listeners would sometimes place a dollar in the open instrument case before them on the sidewalk. David would smile and nod his head in thanks as he continued to play.

When David died recently and his obituary appeared in a local paper, it was revealed that he spoke several languages, was the graduate of a prestigious university, and had even run for the state senate years ago. Some expressed surprise at the extent of his accomplishments, having assessed him on the basis of appearance alone.

Scripture tells us that “God created mankind in his own image” (GENESIS 1:27). This reveals an inherent worth within each of us, regardless of how we look, what we have achieved, or what others may think of us. Even when we chose to turn from God in our sinfulness, God valued us so much that He sent His only Son to show us the way to salvation and eternity with Him.

We are loved by God, and all around us are those who are precious to Him. May we express our love for Him in return by sharing His love with others. - JAMES BANKS

Today's Reading

Genesis 1:26–31
Dear friends, since God so loved us, we also ought to love one another.
1 John 4:11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Your wonderful love for me. I pray that others may see Your love in my words and actions today.

God’s love is meant to be shared.

오늘의 말씀

03/02/2018     금요일

성경읽기: 민 26-27; 막 8:1-21
찬송가: 361(통 480)

통화 가능 지역

휴대폰의 좋은 점 중 하나는 거의 아무런 제약 없이 남들과 통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로 많은 사람들이 운전 중에 통화하거나 문자를 보내다가 종종 끔찍한 자동차 사고를 내기도 합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그와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서 방심운전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운전자들이 차를
세우고 마음 놓고 안전하게 통화하거나 문자를 보낼 수 있는 장소를 알리는 표지판이 고속도로 곳곳에 세워지고 있습니다.

운전자의 휴대폰 통화를 제한하는 것은 좋은 생각입니다. 그런데 아무런 제약 없이 통화할 수 있는 또 다른 통화가 있습니다. 그것은 기도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오고 가거나 가만히 앉아있거나 언제든 하나님을 부르라고 하십니다. 신약성경에서 바울은 하나님과 통화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쉬지 말고 기도하라”(데살로니가전서 5:17)고 조언합니다. 바울은 이런 하나님의 문호개방 정책과 함께 우리에게 “항상 기뻐하고”(16절) “범사에 감사하라”(18절)고 권면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기뻐하고 감사하라고 하십니다. 그것은 지속적인 기도에 기반을 둔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을 믿는 믿음의 표현입니다.

우리는 급한 일이든 긴 대화든 상관없이 하나님께 다가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기쁨과 감사와 필요와 의문과 걱정들을 끊임없이 계속 들으시며(히브리서 4:15-16) 우리가 그분과 관계를 맺기를 원하십니다. 우리는 항상 기도 가능 지역에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5:16-24
쉬지 말고 기도하라
데살로니가전서 5:17

저와 대화하기를 원하시는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오늘 주님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언제나 하나님 보좌 앞에 나아갈 수 있다.

Daily Article

03/02/2018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6–27; Mark 8:1–21
Hymn: 361(old 480)

Phone Zone

One of the benefits of cell phones is that we now have virtually unlimited access to others. As a result, many people talk on the phone or text even while driving—sometimes resulting in terrible car crashes. To avoid such disasters, many areas of the world have made distracted driving illegal. In the United States, highway signs are popping up to remind drivers of special cell phone zones where they can pull off the road to safely talk and text to their heart’s delight.

While it is a good idea to restrict mobile phone communication for drivers, there is another kind of communication that has no restrictions: prayer. God invites us to call on Him whether we are coming, going, or sitting still. In the New Testament, Paul’s words advise each person who wants to communicate with God to “pray continually” (1 Thessalonians 5:17). Paul brackets this divine open-door policy by encouraging us to “rejoice always” (v. 16) and to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v. 18). God calls us to joy and thanksgiving—expressions of faith in God through Christ anchored in continual prayer.

God is available for our quick cry or for a lengthy conversation. He welcomes us into a relationship with Him, a constant and endless sharing of our joys and gratitude, needs, questions, and concerns (Hebrews 4:15–16). We are always in the prayer zone.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5:16–24
Pray continually.
1 Thessalonians 5:17

I’m grateful, Lord, that You want to hear from me. I need You today.

Access to God’s throne is always open.

오늘의 말씀

03/01/2018     목요일

성경읽기: 민 23-25; 막 7:14-37
찬송가: 382(통 432)

우리는 부러지지 않는다

캘리포니아 태생이며 화창한 것을 좋아하는 나는 차가운 것은 어떤 것이든 다 꺼립니다. 하지만 사진 속의 아름다운 눈 풍경만은 정말 좋아합니다. 그래서 일리노이 주에 있는 한 친구가 창문 너머에 있는 묘목의 겨울 사진을 보내주었을 때 미소 짓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주렁주렁 달린 반짝이는 고드름 때문에 앙상하고 마디진 나뭇가지들이 휘어진 모습을 보고는 감탄하던 마음이 서글퍼졌습니다. 고드름 때문에 휘어진 나뭇가지들이 부러지지 않고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그 무거움으로 곧 부러질 것 같은 나뭇가지들은
많은 걱정으로 움츠러든 내 어깨의 모습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수님은 가장 귀한 보화는 세상에 있지 않으며 사라지지도 않는다고 분명히 말씀하신 후 우리의 걱정을
내려놓으라고 권유하십니다. 우주를 창조하시고 운행하시는 분이 그의 자녀들을 사랑하고 부양하시기 때문에 우리의 소중한 시간을 걱정하는 데 낭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필요를 아시고 우리를
보살펴주십니다(마태복음 6:19-32).

하나님은 우리가 쉽게 걱정에 빠지려 한다는 것도 알고 계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먼저 그분께 나아와, 지금 하나님이 함께 계시고 공급해주신다는 것을 신뢰하고 하루하루를 믿음으로 살라고 말씀하십니다(33-34절).

우리가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감당하기 힘든 문제들이나 불확실한 상황들에 부딪혀 기운이 빠질 때가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걱정의 무게 때문에 잠시 휘어질 수는 있지만, 하나님을 믿을 때 우리는 부러지지
않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25-34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 으로 그 키를 한 자나 더 할 수 있느냐
마태복음 6:27

주님, 주께서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들을 반드시 주시기에 결코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확신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선한 모든 것을 주시는 주님을 믿을 때 우리는 걱정으로 부러지지 않는다.

Daily Article

03/01/2018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3–25; Mark 7:14–37
Hymn: 382(old 432)

We Won’t Break

As a native Californian and lover of all things sunny, I shy away from all things cold. I do, however, enjoy beautiful photos of snow. So I couldn’t help but smile when my friend from Illinois shared a winter picture of a sapling outside her window. Admiration turned to sadness when I noticed its bare, knotted branches bowing under the heavy fringe of sparkling icicles.

How long could those bending boughs endure before breaking under their icy burdens? The heaviness threatening to crack the tree’s limbs reminded me of my shoulders, hunched beneath the weight of worries.

After Jesus affirms that the greatest treasures are not earthly or temporary, He encourages us to release our anxious thoughts. The Creator and Sustainer of the universe loves and provides for His children, so we don’t have to waste our precious time worrying. God knows our needs and will care for us (Matthew 6:19–32).

He also knows we’ll be tempted to succumb to worry. He tells us to come to Him first, trust His presence and provision in the present, and live by faith one day at a time (vv. 33–34).

In this life, we’ll face overwhelming troubles and uncertainties that can make our shoulders droop. We may temporarily bend under the weight of worrying. But when we trust God, we won’t break.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Matthew 6:25–34
Can any one of you by worrying add a single hour to your life?
Matthew 6:27

Thanks for assuring us that we never have to worry, Lord, because You never fail to meet our deepest needs.

Worry won’t break us when we trust the Giver of all good thing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