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09/2018     월요일

성경읽기: 삼상 13-14; 눅 10:1-24
찬송가: 483(통 532)

유산 남기기

몇 년 전 나는 아들들과 함께 아이다호 주에 있는 “돌아오지 않는 강”이라 불리는 새몬 강가에 있는 어느 외딴 시골의 버려진 목장에서 일주일을 보냈습니다.

하루는 목장을 돌아다니다가 나무 묘비가 세워진 오래된 무덤을 발견했습니다. 무척 오래 전에 새겨진 듯한 비문은 낡아 지워져버렸습니다. 누군가가 삶을 살다가 죽었으며 이제 잊힌 것입니다. 그 묘지가 왠지 슬프게 느껴졌습니다. 집으로 돌아온 후 나는 몇 시간 동안 그 오래된 목장과 그 지역의 역사를 읽어봤지만 거기에 묻힌 사람에 관한 정보는 아무것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우리 중 가장 뛰어난 사람의 경우 약 100년가량 기억된다고 사람들은 말합니다. 그 외의 사람들은 금방 잊힙니다. 이전 세대에 대한 기억은 묘비와도 같이 금방 희미해져 갑니다. 그러나 우리의 유산은 하나님의 가족들을 통해서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동안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계속 이어집니다. 말라기 3:16-17은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와 그 이름을 존중히 여기는 자를 위하여 여호와 앞에 있는 기념책에 기록하셨느니라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나는 내가 정한 날에 그들을 나의 특별한 소유로 삼을 것이요” 라고 우리에게 말씀합니다.

바울은 다윗에 대해 “하나님의 뜻을 따라 섬기다가 잠들어 그 조상들과 함께 묻혔다”(사도행전 13:36)고 말했습니다. 다윗처럼 우리도 우리 세대에서 주님을 사랑하고 섬기며 주님께 기억되기를 바랍니다. 주님은 “그들을 나의 소유로 삼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9:14-16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와 그 이름을 존중히 여기는 자를 위하여 여호와 앞에 있는 기념 책에 기록하셨느니라 말라기 3:16

주님, 오늘 주님께 충실하게 하셔서 주님의 사랑으로 이웃을 사랑하는데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하소서. 내가 남기는 신앙의 유산을 주님께 맡길 수 있게 해주소서.

주님을 위해 사는 삶은 오래 지속되는 유산을 남긴다.

Daily Article

04/09/2018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3–14 and LUKE 10:1–24
Hymn: 483(old 532)

Leaving a Legacy

Some years ago our sons and I spent a week on an abandoned backcountry ranch on the Salmon River, Idaho’s “River of No Return.”

One day, exploring the ranch, I came across an ancient grave with a wooden marker. Whatever inscription the marker may have borne had long since been weathered away. Someone lived and died—now was forgotten. The gravesite seemed tragic to me. After we got home I spent several hours reading about the history of the old ranch and that area, but could find no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buried there.

They say that the best among us is remembered for 100 years or so. The rest of us are soon forgotten. The memory of past generations, like our markers, soon fades away. Yet our legacy has been passed on through the family of God. How we’ve loved God and others in our lifetime lives on. Malachi 3:16–17 tells us, “a book of remembrance was written before Him for those who fear the LORD and who esteem His name. ‘They will be Mine,’ says the LORD of hosts, ‘on the day that I prepare My own possession’ ” (NASB).

Paul said of David that he “served God’s purpose in his own generation” and departed (ACTS 13:36). Like him, may we love the Lord and serve Him in our generation and leave the remembering to Him. “They will be Mine,” says the Lord.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Isaiah 49:14–16
A scroll of remembrance was written in his presence concerning those who feared the Lord and honored his name. Malachi 3:16

May I be faithful to You today, Lord, as I spend my time loving others with Your love. Help me to trust You with the legacy I’m leaving behind.

Living for the Lord leaves a lasting legacy.

오늘의 말씀

04/08/2018     주일

성경읽기: 삼상 10-12; 눅 9:37-62
찬송가: 498(통 275)

고난 속의 능력

열여덟 살의 새미가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하자 가족들은 그것이 가족의 전통과 다른 신앙이라는 이유로 새미를 버렸습니다. 하지만 기독교 공동체에서는 그를 맞이하여 격려하고 학비도
지원해 주었습니다. 훗날 그의 간증이 잡지에 실렸을 때 그에 대한 박해는 더욱 심해졌습니다.

그러나 새미는 가족들과 계속 만나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형제들이 그를 가족 행사에 오지 못하도록 무자비하게 막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할 수 있을 때마다 가족을 방문했고 아버지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아버지가 병들었을 때 새미는 가족들의 조롱에 신경 쓰지 않고 아버지를 찾아가 회복되기를 기도했습니다. 하나님이 아버지를 고쳐주시자 가족들은 새미를 향해
따뜻한 마음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사랑이 넘치는 그의 모습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를 대하는 가족의 태도를 누그러뜨렸고, 가족 중 몇 명은 예수님에 대해 알고 싶어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스도를 따르겠다는 결정을 하게 되면 우리에게 어려움이 닥칠 수도 있습니다. 베드로는 “억울하게 고난을 당하더라도 하나님을 생각하면서 괴로움을 참으면, 그것은 아름다운 일입니다”(베드로전서 2:19, 새번역)라고 기록했습니다. 우리가 우리의 믿음 때문에 불편함이나 고난을 겪으면, 그것은 “그리스도도 [우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우리]에게 본을 끼쳐 [우리로]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기 때문”(21절)입니다.

사람들이 예수님께 모욕을 퍼부었을 때에도 주님은 “모욕으로 갚지 않으시고, 고난을 당하셨으나 위협하지 않으시고, 정의롭게 심판하시는 이에게 다 맡기셨습니다”(23절, 새번역). 예수님은 우리가 고난을 당할 때 본보기가 되십니다. 우리는 주님을 바라보며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11-23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느니라 베드로전서 2:21

주 예수님, 나의 행실에서, 그리고 주님을 위해 고난을 당할 때 주님의 본을 따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예수님을 위해 고난을 겪을 때 주님은 그 고난 속에서 우리와 동행하신다.

Daily Article

04/08/2018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0–12 and LUKE 9:37–62
Hymn: 498(old 275)

Strength in Suffering

When eighteen-year-old Sammy received Jesus as Savior, his family rejected him because their tradition was of a different faith. But the Christian community welcomed him, offering encouragement and financial resources for his education. Later, when his testimony was published in a magazine, his persecution intensified.

But Sammy did not stop seeing his family. He visited whenever he could and talked with his father, even though his siblings cruelly prevented him from participating in family affairs. When his father fell ill, Sammy overlooked his family’s slighting and attended to him, praying his father would get well. When God healed him, the family began to warm up toward Sammy. Over time, his loving witness softened their attitude toward him—and some of his family members became willing to hear about Jesus.

Our decision to follow Christ may cause us difficulties. Peter wrote, “It is commendable if someone bears up under the pain of unjust suffering because they are conscious of God” (1 PETER 2:19). When we undergo discomfort or suffering because of our faith, we do so because “Christ suffered for [us], leaving [us] an example, that [we] should follow in his steps” (V 21).

Even when others hurled insults at Jesus, “he did not retaliate; when he suffered, he made no threats. Instead, he entrusted himself to him who judges justly” (V 23). Jesus is our example in suffering. We can turn to Him for strength. LAWRENCE DARMANI

Today's Reading

1 Peter 2:11–23
Christ suffered for you, leaving you an example, that you should follow in his steps. 1 Peter 2:21

Dear Lord Jesus, help me to follow Your example in my conduct and in suffering for You.

When we suffer for Jesus, He comes to walk us through it.

오늘의 말씀

04/07/2018     토요일

성경읽기: 삼상 7-9; 눅 9:18-36
찬송가: 516(통 265)

공정한 경기

싱가포르 육상선수 애쉴리 리우는 동남아시안 게임의 마라톤 경기 도중에 자신이 선두로 달리고 있다는 것을 알고서는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감지했습니다. 그는 즉시 선두 그룹의 선수들이 반환점을 잘못 돌아서 뒤로 처진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애쉴리는 그들의 실수를 이용할 수도 있었지만 그것은 진정한 승리가 아니라는 스포츠맨십 정신을 중히 여겼습니다. 그는 앞선 사람들의
실수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실력으로 이기고 싶었습니다. 그런 신념으로 그는 일부러 속도를 늦추어 그들이 따라오도록 허용했습니다.

결국 애쉴리는 경주에서 졌고 메달을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자국민들의 마음을 얻었고 그의 공정한 경기로 인해 국제적인 상도 받았습니다. 이런 행동은 그리스도인으로서 그의 믿음을
잘 나타냈으며, 일부의 사람들에게는 “그가 왜 그렇게 했을까?”라는 의문을 갖게 만들었습니다.

애쉴리의 행동은 나에게 행동을 통해 나의 믿음을 보여주라는 도전을 줍니다. 사람들을 배려하거나 친절하게 대하거나 용서하는 작은 행동들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이것을 간략하게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범사에 네 자신이 선한 일의 본을 보이며 교훈에 부패하지 아니함과 단정함과 책망할 것이 없는 바른 말을 하게 하라” (디도서 2:7-8).

다른 이들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함으로써 우리는 성령께서 우리 안에 역사하셔서 우리가 구별된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을 세상에 보여줄 수 있습니다. 성령님은 우리가 경건치 못한 것과 그릇된 열정을 거부하고,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는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도록 은혜를 주실 것입니다(11-12절).

오늘의 성구

디도서 2:7-8,11-14
범사에 네 자신이 선한 일의 본을 보이며 디도서 2:7

하나님 아버지, 오늘 다른 이들이 우리의 행동을 보며 왜 우리가 그들과 다른지 의문을 갖게 되기를 원합니다. 우리 안에 있는 희망을 그들에게 설명할 때 우리가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따를 수 있기를 간구합니다.

사람들이 예수님을 알고 싶어 하도록 그렇게 살라.

Daily Article

04/07/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7–9 and LUKE 9:18–36
Hymn: 516(old 265)

Fair Play

When Singaporean runner Ashley Liew found himself at the head of the pack during a marathon at the Southeast Asian Games, he knew something was wrong. He quickly realized that the lead runners had taken a wrong turn and were now behind. Ashley could have taken advantage of their mistake, but a strong sense of sportsmanship told him it would not be a genuine victory. He wanted to win because he was faster—not because those ahead of him had made a mistake. Acting on his convictions, he slowed down to let them catch up.

In the end, Ashley lost the race and missed out on a medal. But he won the hearts of his countrymen—and an international award for his act of fair play. It spoke well of his faith as a Christian, and must have prompted some to ask, “What made him do that?”

Ashley’s act challenges me to share my faith through my actions. Little acts of thoughtfulness, kindness, or forgiveness can glorify God. As Paul put it simply, “Show integrity, seriousness and soundness of speech that cannot be condemned” (TITUS 2:7–8).

Our positive actions toward others can show the world that we are able to live differently because of the Holy Spirit’s work in us. He will give us the grace to reject ungodliness and wrong passions, and to live upright lives that point people to God (VV 11–12). LESLIE KOH

Today's Reading

Titus 2:7–8, 11–14
In everything set them an example by doing what is good. Titus 2:7

Heavenly Father, may our behavior today cause others to ask us why we are different. We ask that we follow Your Holy Spirit’s leading as we explain to them the hope that is in us.

Live so that others will want to know Jesus.

오늘의 말씀

04/06/2018     금요일

성경읽기: 삼상 4-6; 눅 9:1-17
찬송가: 543(통 342)

함께 나누는 위로

“하나님께서 오늘밤 당신을 나에게 보내주셨네요!” 이것은 시카고에 가는 비행기에서 내릴 때 앞에 서 있던 여인이 내게 남긴 말이었습니다. 그녀는 내 좌석의 통로 건너편에 앉아 있었는데, 그날 왕복으로 몇 번의 비행을 거쳐 그녀의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나는 “실례가 안된다면 왜 그렇게 서둘러 다니시는지 여쭈어 봐도 될까요?” 하고 물어보았습니다.
그녀는 고개를 숙이며 “바로 오늘 우리 딸을 약물중독 재활병원에 입원시키고 오는 길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그 얘기를 듣자마자 나는 우리 아들이 헤로인 중독으로 고생했던 일과 예수님께서 그 아이를 어떻게 중독에서 자유롭게 하셨는지를 조심스럽게 나누었습니다. 그녀는 이야기를 들으며 눈물을 흘리면서 미소를 지었습니다. 비행기가 착륙하고 헤어지기 전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 딸의 사슬을 끊어 주시도록 함께 기도했습니다.

나는 그날 밤 바울이 기록한 고린도후서 1:3-4 말씀을 생각했습니다. “찬송하리로다 그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이시요 자비의 아버지시요 모든 위로의 하나님이시며 우리의 모든 환난 중에서 우리를 위로하사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받는 위로로써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시는 이시로다.”

우리 주변에는 하나님만이 주실 수 있는 위로로 힘을 얻어야 할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마음에서 우러난 따뜻한 연민으로 그들에게 다가가 하나님이 우리에게 나누어주신 사랑을 그들과 함께 나누기를 원하십니다. 하나님, 오늘 우리를 주님의 위로가 필요한 이들에게 보내주소서!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1-10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 지어다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 같이 나도 너희를 보내노라 요한복음 20:21

주님, 십자가에서 보여주신 우리를 향한 주님의 긍휼을 인하여 찬양 드립니다. 오늘 내가 주님의 친절과 사랑으로 다른 이들을 위로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친절한 마음은 우리의 가장 깊은 필요를 충족시켜 준다.

Daily Article

04/06/2018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4–6 and LUKE 9:1–17
Hymn: 543(old 342)

Comfort Shared

“God sent you to me tonight!” Those were the parting words from the woman standing in front of me as we exited our flight to Chicago. She had sat across the aisle from me, where I learned she was headed home after several flights in a round-trip that day. “Do you mind if I ask why you had such a quick turnaround?” I inquired. She glanced downward: “I just put my daughter in rehab for drug abuse today.”

In the moments that followed I gently shared the story of my son’s struggle with heroin addiction and how Jesus had set him free. As she listened, a smile broke through her tears. After the plane landed we prayed together before parting, asking God to break her daughter’s chains.

Later that evening I thought of Paul’s words in 2 Corinthians 1:3–4: “Praise be to the God and Father of our Lord Jesus Christ, the Father of compassion and the God of all comfort, who com-
forts us in all our troubles, so that we can comfort those in any trouble with the comfort we ourselves receive from God.”

All around us are people who need to be encouraged with the comfort only God can give. He wants us to reach out to them with tenderhearted compassion, to share the love He has
shared with us. May God send us to those who need His comfort today! JAMES BANKS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1–10
Peace be with you! As the Father has sent me, I am sending you. John 20:21

I praise You for Your compassion for us at the cross, Lord! Help me to comfort others with Your kindness and love today.

God’s kindness meets our deepest need.

오늘의 말씀

04/05/2018     목요일

성경읽기: 삼상 1-3; 눅 8:26-56
찬송가: 540(통 219)

듣고 싶은 것

본능적으로 우리는 우리가 지지하는 의견을 뒷받침해주는 정보를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구에 의하면 우리는 실제로 자신의 입장을 지지하는 정보를 ‘두 배’나 더 찾는다고 합니다. 이처럼
자신의 사고방식에 깊이 갇혀 있으면 반대 입장의 생각은 회피하게 됩니다.

이스라엘을 통치했던 아합왕의 경우가 그랬습니다. 그와 유다 왕 여호사밧이 길르앗 라못을 공격할지 여부를 논의했을 때 아합왕은 자기가 듣고 싶은 말만 하는 선지자 400명을 직접 뽑아서 그들이 결정하도록 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이 그 성읍을 왕의 손에 붙이시리이다”(역대하 18:5)라고 말하며 싸우러 가야 한다고 대답했습니다. 여호사밧은 이들 외에 하나님의 뜻을 구할
하나님께서 택하신 다른 선지자가 있는지 물었습니다. 아합은 마지못해 하나님의 선지자 미가는 “[그]에 대하여 좋은 일로는 예언하지 아니하고 항상 나쁜 일로만 예언”(7절)한다고 대답했습니다. 역시나 미가는 그들이 승리하지 못할 것이며, 백성들이 “이산 저산에 흩어질” 것이라고 예언했습니다(16절).

이 이야기를 읽으며, 나 역시 내가 듣고 싶은 것이 아니면 현명한 충고라도 피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게 됩니다. 자신의 말에 무조건 “네”라고 대답하는 선지자 400 명의 의견을 들은 아합의 최후는 실로 비참했습니다(34절). 우리는 자신이 원하는 것에 반대되더라도 진리의 음성인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기꺼이 구하고 경청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하 18:5-27
그는 내게 대하여 좋은 일로는 예언하지 아니 하고 항상 나쁜 일로만 예언하기로 내가 그를 미워하나이다 . 역대하 18:7

주님, 내 바람이나 상식에 맞지 않더라도 주님의 권고를 찾고 따를 수 있게 나를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권고는 신뢰할 만하며 현명하다.

Daily Article

04/05/2018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3 and LUKE 8:26–56
Hymn: 540(old 219)

What We Want to Hear

As human beings, we are prone to seek out information that supports the opinions we hold. Research shows that we’re actually twice as likely to look for information that sup- ports our position. When we’re deeply committed to our own way of thinking, we avoid having that thinking challenged by opposing positions.

Such was the case in King Ahab’s rule over Israel. When he and Jehoshaphat, the king of Judah, discussed whether to go to war against Ramoth Gilead, Ahab gathered 400 prophets—men he’d appointed to that role himself and would therefore tell him what he wanted to hear—to help them decide. Each replied he should go, saying “God will give it into the king’s hand” (2 CHRONICLES 18:5). Jehoshaphat asked whether there was a prophet who had been chosen by God through whom they could inquire of the Lord. Ahab responded reluctantly because God’s prophet, Micaiah, “never prophesies anything good about [him], but always bad” (V 7). Indeed, Micaiah indicated they wouldn’t be victorious, and the people would be “scattered on the hills” (V 16).

In reading their story, I see how I too tend to avoid wise advice if it isn’t what I want to hear. In Ahab’s case, the result of listening to his “yes men”—400 prophets—was disastrous (V 34). May we be willing to seek and listen to the voice of truth, God’s words in the Bible, even when it contradicts our personal preferences.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2 Chronicles 18:5–27
I hate him because he never prophesies anything good about me, but always bad. 2 Chronicles 18:7

Lord, help me to seek and heed Your counsel even when it’s against my desires or popular thought.

God’s counsel is trustworthy and wise.

오늘의 말씀

04/04/2018     수요일

성경읽기: 룻 1-4; 눅 8:1-25
찬송가: 310(통 410)

현관 앞 구호품

유난히 더웠던 어느 날 여덟 살짜리 소년 카마인 맥다니엘은 동네 우편배달부가 시원하게 그리고 충분히 물을 마시면서 다니게 해주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스포츠음료와 물병이 든 아이스박스를 집 앞 계단에 놓아두었습니다. 집에 설치된 보안용 카메라에 우편배달부의 반응이 녹화되었습니다. “이럴수가! 물과 게토레이라니...... 하나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카마인의 어머니가 말합니다. “카마인은 집에 사람이 없을 때라도 우편배달부에게 시원한 음료수를 제공하는 것이 자신의 ‘의무’라고 생각해요.”

이 이야기는 우리의 마음을 감동시킬 뿐 아니라, 바울 사도가 표현한 대로 “우리의 모든 필요를 채우시는” 분이 있음을 떠올려줍니다. 바울은 감옥에서 쇠약해지고 미래도 불확실했지만, 하나님께서 빌립보 교인들의 재정지원을 통해 그의 필요를 채워주시자 그들로 인해
기뻐했습니다. 빌립보 교회는 부요하지는 않았지만 가난한 중에도 바울 및 다른 이들에게 관대히 베풀었습니다(고린도후서 8:1-4 참조). 빌립보 교인들이 바울의 필요를 채워주었기에, 하나님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광 가운데 그 풍성한 대로”(빌립보서 4:19)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셨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종종 수평적인 방법을 통해서 수직적인 도움을 주십니다. 달리 표현하자면, 하나님은 다른 사람들의 손길을 통해 우리의 필요를 공급하십니다. 우리의 필요 때문에 주님을 신뢰할 때, 바울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진정한 만족의 비밀을 알게 됩니다(12-13절)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10-20
나는......그 어떤 경우 에도 스스로 만족하게 생각하는 비결을 배웠습니다 빌립보서 4:12

다른 이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하나님이 당신을 어떻게 인도하고 계십니까? 하나님은 어떤 방법으로, 또 누구를 통해 당신의 필요를 채워주셨습니까? 공급해주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는 시간을 가지십시오.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의 문제보다 더 넉넉하게 공급해주신다.

Daily Article

04/04/2018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RUTH 1–4 and LUKE 8:1–25
Hymn: 310(old 410)

Front-Porch Relief

On a particularly hot day, eight-year-old Carmine McDaniel wanted to make sure his neighborhood mail carrier stayed cool and hydrated. So he left a cooler filled with a sports drink and water bottles on their front step. The family security camera recorded the mail carrier’s reaction: “Oh man, water and Gatorade. Thank God; thank you!”

Carmine’s mom says, “Carmine feels that it’s his ‘duty’ to supply the mailman with a cool beverage even if they’re not home.”

This story warms our hearts, but it also reminds us that there is One who will “meet all your needs,” as the apostle Paul phrased it. Though Paul was languishing in jail and uncertain about his future, he expressed joy for the Christians in Philippi because God had met his needs through their financial gift to him. The Philippian church was not wealthy, but they were generous, giving to Paul and others out of their poverty (SEE 2 CORINTHIANS 8:1–4). As the Philippians had met Paul’s needs, so God would meet theirs, “according to the riches of his glory in Christ Jesus” (PHILIPPIANS 4:19).

God often sends vertical help through horizontal means. Put another way, He sends us what we need through the help of others. When we trust Him for what we need, we learn, as Paul did, the secret of true contentment (VV 12–13).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hilippians 4:10–20
I have learned the secret of being content in any and every situation. Philippians 4:12

How might God be prompting you to meet the needs of others? In what ways and through whom has God met your needs? Spend time thanking God for His provision.

God’s provisions are always greater than our problems.

오늘의 말씀

04/03/2018     화요일

성경읽기: 삿 19-21; 눅 7:31-50
찬송가: 390(통 444)

달콤함과 쌉쌀함

쌉쌀한 맛의 초콜릿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달콤한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중미 지역의 고대 마야인들은 초콜릿을 음료로 즐겼고 고추를 넣어 먹기도 했습니다. 그들은 초콜릿을 “쌉쌀한 물”이라고 부르며 좋아했습니다. 오랜 후에 초콜릿이 스페인에 전해졌는데, 스페인 사람들은 달콤한 초콜릿을 선호해서 본래의 그 쓴 맛을 중화하려고 설탕과 꿀을 첨가했습니다.

우리의 날들도 초콜릿과 같아서 때론 쓰고 때론 달기도 합니다. 17세기 프랑스의 수도사 로렌스 형제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안다면, 우리는 언제나 그분의 손으로부터 단 것이든 쓴 것이든 똑같이 받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라고 썼습니다. 단 것과 쓴 것을 똑같이 받아들인다고요? 그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로렌스 형제는 무엇을 말하려 했을까요? 그 답은 하나님의 성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에 대해 “주는 선하사 선을 행하시오니”(시편 119:68)라고 말했습니다.

마야인들은 또한 쌉쌀한 초콜릿이 가진 치유력과 약용 성분을 가치 있게 여겼습니다. 마찬가지로 씁쓸한 날들도 가치가 있습니다. 그런 날들은 우리의 연약함을 깨닫게 해주고 하나님을 더 의지하게 해줍니다. 시편 기자는 “고난당한 것이 내게 유익이라 이로 말미암아 내가 주의 율례들을 배우게 되었나이다”(71절)라고 기록했습니다. 하나님이 선하시다는 것을 확신하고, 오늘 여러 다른 맛으로 다가오는 삶을 받아들입시다. 우리 모두 “여호와여 주의 말씀대로 주의 종을 선대하셨나이다”(65절)라고 고백합시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9:65-72
주는 선하사 선을 행하시오니 시편 119:68

하나님 아버지,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선하심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은 선하시다.

Daily Article

04/03/2018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9–21 and LUKE 7:31–50
Hymn: 390(old 444)

Sweet and Bitter

Some people like bitter chocolate and some prefer sweet. Ancient Mayans in Central America enjoyed chocolate as a beverage and seasoned it with chili peppers. They liked this “bitter water,” as they called it. Many years later it was introduced in Spain, but the Spaniards preferred chocolate sweet, so they added sugar and honey to counteract its natural bitterness.

Like chocolate, days can be bitter or sweet as well. A seventeenth-century French monk named Brother Lawrence wrote, “If we knew how much [God] loves us, we would always be ready to receive equally . . . from His hand the sweet and the bitter.” Accept the sweet and the bitter equally? This is difficult! What is Brother Lawrence talking about? The key lies in God’s character. The psalmist said of God, “You are good, and what you do is good” (PSALM 119:68).

Mayans also valued bitter chocolate for its healing and medicinal properties. Bitter days have value too. They make us aware of our weaknesses and they help us depend more on God. The psalmist wrote, “It was good for me to be afflicted so that I might learn your decrees” (V 71). Let us embrace life today, with its different flavors—reassured of God’s goodness. Let us say, “You have done many good things for me, LORD, just as you promised” (V 65 NLT). KEILA OCHOA

Today's Reading

Psalm 119:65–72
You are good, and what you do is good. Psalm 119:68

Father, help me to see Your goodness even in times of trouble.

God is good.

오늘의 말씀

04/02/2018     월요일

성경읽기: 삿 16-18; 눅 7:1-30
찬송가: 218(통 369)

익명으로 베푼 친절

대학을 막 졸업했을 때 나는 식비로 일주일에 정확히 25달러 밖에 쓸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어느 날 식료품 가게 계산대에 줄을 서서 생각해 보니 내게 남아 있는 돈보다 내가 골라 담은 식료품 값이 조금 더 나올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나는 직원에게 “총액이 20달러가 되면 멈춰 주세요.”라고 말했는데, 피망 한 봉지만 빼고는 다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집으로 막 운전해서 가려고 할 때 어떤 남자가 내 차로 다가왔습니다.
그는 나에게 “아가씨, 여기 당신이 사려던 피망이요.”라고 말하며 봉지를 건네 주었습니다. 내가 고맙다는 말을 할 틈도 없이 그는 발길을 돌려 가버렸습니다.

그분이 베푼 소박한 선행을 생각하면 내 마음이 아직도 따뜻해지면서 마태복음 6장에서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이 떠오릅니다.
예수님은 보란 듯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베푸는 사람들을 비판하시면서 (2절) 제자들에게 다른 방식을 가르쳐주셨습니다. 베풀면서 그들 자신이나 그들의 관대함을 드러내지 말고, 오른손이 하는 것을 왼손이
모르도록 은밀하게 베풀라고 주님은 권고하셨습니다(3절)!

한 사람의 드러내지 않는 친절이 나에게 깨우쳐주었던 것처럼, 우리는 베풀면서 결코 우리 자신을 드러내면 안 됩니다. 아낌없이 주시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아주 풍성히 베푸셨기 때문에 우리도 그저 베푸는 것입니다(고린도후서 9:6-11). 우리가 은밀히 관대하게 베풀 때, 우리는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를 보여주고, 하나님은 그분만이 받으셔야 할 감사를 받으십니다(11절).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1-4
너는 구제할 때에 오른손이 하는 것을 왼손이 모르게 하여 마태복음 6:3

.

은밀히 관대하게 베푸는 모습은 하나님의 관대하심을 반영해 보여준다.

Daily Article

04/02/2018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6–18 and LUKE 7:1–30
Hymn: 218(old 369)

Anonymous Kindness

When I first graduated from college, I found myself needing to adopt a strict grocery budget—twenty-five dollars a week, to be exact. One day, while enter-ing the checkout line, I suspected the groceries I’d selected cost slightly more than my remaining money. “Just stop when we reach twenty dollars,” I told the cashier, and I was able to purchase every-thing I’d selected but a bag of peppers.

As I was about to drive home, a man stopped by my car. “Here’s your peppers, ma’am,” he said, handing the bag to me. Before I had time to thank him, he was already walking away.

Remembering the simple goodness of this act of kindness still warms my heart and brings to mind Jesus’s words in Matthew 6. Criticizing those who made a show of giving to the needy (V 2), Jesus taught His disciples a different way. Instead of making giving all about them and their generosity, He urged that giving should be done so secretly it’s like their left hand isn’t even aware their right is giving (V 3)!

As one person’s anonymous kindness reminded me, giving should never be about us. We give only because of what our generous God has so lavishly given us (2 CORINTHIANS 9:6–11). As we give quietly and generously, we reflect who He is—and God receives the thanksgiving only He deserves (V 11). MONICA BRANDS

Today's Reading

Matthew 6:1–4
When you give to the needy, do not let your left hand know that your right hand is doing. Matthew 6:3

.

Giving quietly and generously reflects God’s generosity.

오늘의 말씀

04/01/2018     주일

성경읽기: 삿 13-15; 눅 6:27-49
찬송가: 164(통 154)

오직 이것을 위해 받은 멸시

수잔나 시버는 18세기에 성악가로서의 재능으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그 명성에 못지않은 불미스러운 결혼 문제로도 유명했습니다. 1742년 4월 더블린에서 헨델의 ‘메시아’가 초연되었을 때 청중들 중 많은 사람들이 그 이유 때문에 그녀가 주연 독창자로서의 역할을 맡은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습니다.

첫 공연 중 시버가 “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버림받았으며 간고를 많이 겪었으며 질고를 아는 자라”(이사야 53:3)
라는 메시아의 노래를 부르고 있을 때 패트릭 델라니 목사는 그 가사에 너무 감동을 받아 벌떡 일어나서 “여인이여, 네 죄가 사함을 받았느니라!”라고 말했습니다.

수잔나 시버와 헨델의 ‘메시아’의 주제 사이에는 아주 분명한 연관성이 있습니다. “간고의 사람”인 메시아 예수는 ‘죄’ 때문에 “멸시 받고 버림받았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나의 의로운 종이 많은 사람을 의롭게 하며 또 그들의 죄악을 친히 담당하리로다”(11절)라고 했습니다.

메시아와 우리의 관계 역시 아주 분명합니다. 우리가 비판적인 관객들의 입장이든, 수잔나 시버와 같은 위치에 있든, 아니면 그 중간 어느 지점에 있든, 우리는 모두 회개하고 하나님께 용서를 받아야 합니다.
예수님은 그분의 삶과 죽음, 그리고 부활을 통해서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우리의 관계를 회복시켜 주셨습니다.

오직 예수님이 행하신 일, 이것으로 말미암아 우리의 모든 죄가 용서를 받았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3:3-12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담당하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하였느니라 이사야 53:12

하늘에 계신 아버지, 우리는 모두 하나님의 용서가 필요합니다. 우리의 죄로 인해 멸시 받고 버림받으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을 높이 경외합니다. 2천 년 전에 예수님의 모습으로 오셔서 지금 우리가 하나님을 알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할렐루야 주 우리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가 통치하시도다. 요한계시록 19:6

Daily Article

04/01/2018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3–15 and LUKE 6:27–49
Hymn: 164(old 154)

Despised for All of This

Susannah Cibber gained fame in the eighteenth century for her talent as a singer. However, she was equally well known for her scandalous marital problems. That’s why when Handel’s Messiah was first performed in Dublin in April 1742, many in the audience did not approve of her role as a featured soloist.

During that inaugural performance, Cibber sang of the Messiah: “He is despised and rejected of men; a man of sorrows, and acquainted with grief” (ISAIAH 53:3 KJV). Those words so moved Rev. Patrick Delany that he jumped to his feet and said, “Woman, for this be all thy sins forgiven thee!”

The connection between Susannah Cibber and the theme of Handel’s Messiah is evident. The “man of sorrows”—Jesus the Messiah—was “despised and rejected” because of sin. The prophet Isaiah said, “My righteous servant will justify many, and he will bear their iniquities” (V 11).

The connection between Messiah and us is no less apparent. Whether we stand with the judgmental audience members, with Susannah Cibber, or somewhere in between, we all need to repent and receive God’s forgiveness.
Jesus, by His life, death, and resurrection, restored our relationship with God our Father.

For this—for all Jesus did—be all our sins forgiven.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Isaiah 53:3–12
He bore the sin of many, and made intercession for the transgressors. Isaiah 53:12

Father in heaven, we all stand in need of Your forgiveness. We stand too in awe of Your Son Jesus, who was despised and rejected for our sins. Thank You for coming to us in Jesus 2,000 years ago so that we might know You now.

Alleluia: for the Lord God omnipotent reigneth. REVELATION 19:6 KJV

오늘의 말씀

03/31/2018     토요일

성경읽기: 삿 11-12; 눅 6:1-26
찬송가: 151(통 138)

왕관

우리는 식탁에 둘러앉아 앞에 놓여있는 둥근 스티로폼에다 이쑤시개를 꽂았습니다. 부활절이 다가오는 몇 주간 동안 저녁식사 자리에서 우리는 가시관을 만들었습니다. 한 개 한 개의 이쑤시개는 그날그날 우리가 잘못을 저질러 그리스도가 그 값을 지불하셔야만 했던 죄를 상징하였습니다. 우리는 매일 저녁 그 일을 하면서 어떻게 우리가 잘못하여 죄인이 되었는지, 어떻게 우리에게 구주가 필요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려 죽으심으로 우리를 자유롭게 하셨는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에게 씌우기 위해 만들었던 가시 면류관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시기 전에 로마 군인들이 가졌던 잔혹한 놀이의 일부였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에게 왕의 옷을 입히고, 갈대를 왕의 홀처럼 들려주었다가 그것으로 예수님을 쳤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조롱했고 자신들의 행동이 수천 년 후에도 기억될 것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한 채 예수님을 “유대인의 왕”(마태복음 27:29)이라고 불렀습니다. 하지만 그는 평범한 왕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우리에게 영생을 주시는 왕 중의 왕이셨습니다.

부활절 아침에 우리는 이쑤시개를 꽃으로 바꾸어놓고 죄의 용서와 새 생명의 선물을 기념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죄를 깨끗이
지우시고 그분 안에 있는 자유와 생명을 영원히 주셨다는 것을 알게 되니 얼마나 기쁜지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7:27-31
가시관을 엮어 그 머리에 씌우고
마태복음 27:29

주 예수님, 주님이 당하신 아픔과 고통을 생각할 때 제 마음이 찢어집니다. 저를 자유롭게 하신 사랑의 선물에 감사를 드립니다.

가시관이 생명의 왕관으로 바뀌었다.

Daily Article

03/31/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1–12 and LUKE 6:1–26
Hymn: 151(old 138)

The King’s Crown

We sat around the table, each person adding a toothpick to the foam disc before us. At our evening meal in the weeks leading up to Easter, we created a crown of thorns—with each toothpick signifying something we had done that day for which we were sorry and for which Christ had paid the penalty. The exercise brought home to us, night after night, how through our wrongdoing we were guilty and how we needed a Savior. And how Jesus freed us through His death on the cross.

The crown of thorns that Jesus was made to wear was part of a cruel game the Roman soldiers played before He was crucified. They also dressed Him in a royal robe and gave Him a staff as a king’s scepter, which they then used to beat Him. They mocked Him, calling Him “king of the Jews” (Matthew 27:29), not realizing that their actions would be remembered thousands of years later. This was no ordinary king. He was the King of Kings whose death, followed by His resurrection, gives us eternal life.

On Easter morning, we celebrated the gift of forgiveness and new life by replacing the toothpicks with flowers. What joy we felt, knowing that God had erased our sins and given us freedom and life forever in Him!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Matthew 27:27–31
They . . . twisted together a crown of thorns and set it on his head.
Matthew 27:28–29

Lord Jesus Christ, my heart hurts to think of all of the pain and suffering You endured for me. Thank You for Your gift of love that sets me free.

The crown of thorns has become a crown of lif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