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29/2018 주일
예수님을 다시 바라보라!
저스티스 형제는 여러 해 전에 주님 곁으로 돌아갔지만, 그의 신실함의 유산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히브리서 3장을 보면 한 사람의 신실한 종과 신실하신 주님이 우리의 주의를 끕니다. 모세가 하나님의 “종”으로서 신실한 사람이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우리 신자들이 바라봐야 할 분은 예수님입니다. “그러므로 거룩한 형제들아......예수를 깊이 생각하라”(1절). 그 말씀은 시험을 겪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격려가 되는 말씀이었습니다 (2:18). 그들의 믿음의 유산은 신실하신 예수님을 따를 때에만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사방에서 유혹이 휘몰아칠 때 당신은 어떻게 합니까? 언제 힘들고 지쳐서 포기하고 싶습니까? 쉽게 풀어 쓴 그 성경구절이 말하고 있듯이 그 구절은 우리에게 “예수님을 자세히 바라보라”(3:1, 메시지 성경)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주님을 다시 바라보십시오. 그리고 다시, 또 다시 보십시오. 예수님을 다시 바라볼 때, 우리는 하나님의 가족으로 살 용기를 주시는 신실하신 하나님의 아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3:1-6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집을 맡은 아들로서 그와 같이 하셨으니 우리가 소망의 확신과 자랑을 끝까지 굳게 잡고 있으면 우리는 그의 집이라
히브리서 3:6
하나님 아버지, 주님의 성령을 통하여 우리가 담대히 주 예수 그리스도를 사랑하고 영화롭게 하고 따를 수 있도록 힘을 더해주소서.
예수님을 바라봄으로써 우리는 삶의 어려움들을 직면할 용기가 생긴다.
Daily Article
04/29/2018 Sunday
Take Another Look at Jesus!
Hebrews 3 brings a faithful servant and a faithful Son to the readers’ attention. Though the faithfulness of Moses as God’s “servant” is undeniable, Jesus is the one believers are taught to focus on. “Therefore, holy brothers and sisters . . . fix your thoughts on Jesus” (V 1). Such was the encouragement to all who face temptation (2:18). Their legacy could come only from following Jesus, the faithful One.
What do you do when the winds of temptation are swirling all around you? When you are weary and worn and want to quit? The text invites us to, as one paraphrase renders it, “Take a good hard look at Jesus” (3:1 THE MESSAGE). Look at Him again—and again and again. As we reexamine Jesus, we find the trustworthy Son of God who gives us courage to live in His family.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Hebrews 3:1–6But Christ is faithful as the Son over God's house. And we are his house, if indeed we hold firmly to our confidence and the hope in which we glory.
Hebrews 3:6
Father, through Your Spirit, empower us to courageously love, honor, and follow the Lord Jesus Christ.
Looking to Jesus can give us courage to face the challenges in our lives.
오늘의 말씀
04/28/2018 토요일
현장실습
마음과 삶을 바꾸실 수 있는 완전하신 유일한 하나님께서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를 변화시키신다는 것을 나는 아직도 때때로 깨닫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성령님께서 나에게 바울 사도가 어떻게 디모데에게 그의 현장에서 배운 것들을 받아들이고, 믿음으로 인내하며, 하나님이 주신 은사를 사용하라고 격려했는지 상기시켜 주십니다(디모데후서 1:6). 디모데가 담대할 수 있었던 것은 디모데가 자신의 영향력 아래 있는 사람들을 자라가게 하고 섬기기를 계속할 때 그의 능력의 근원 되시는 하나님께서 사랑하고 절제하도록 도우실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7절).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구원하시고 우리의 삶으로 그분께 영광 돌리도록 힘을 주시는데, 그것은 우리가 특별한 자격이 있어서가 아니라 우리가 그분의 소중한 가족의 구성원이기 때문입니다(9절).
단순히 하나님과 다른 이들을 사랑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임을 알고 있을 때 우리는 확신을 가지고 인내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역할은 우리를 구원하시고 세상에 대한 우리의 좁은 시야를 넘어서는 목적을 주시는 것입니다. 우리가 매일 예수님을 따를 때, 주님은 우리를 어디로 보내시든지 우리를 사용하셔서 그분의 사랑과 진리를 나누며 다른 이들을 격려하도록 변화시키십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6-14내가 이 복음을 위하여 선포자와 사도와 교사 로 세우심을 입었노라
디모데후서 1:11
주님, 우리가 기쁨과 확신을 가지고 담대하게 주님을 전할 때, 주님을 전적으로 의지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시니 감사합니다.
우리 힘의 근원을 몸소 알게 되면 왕을 섬기는 자로서의 우리의 역할에 확신을 가질 수 있다.
Daily Article
04/28/2018 Saturday
On-the-Job Training
Sometimes I still fail to recognize that God—the only perfect One, the only One who can change hearts and lives—transforms us over time. Then the Holy Spirit reminds me how Paul encouraged Timothy to embrace his on-the-job training, persevere in faith, and use the gifts God had given him (2 TIMOTHY 1:6). Timothy could be courageous because God, his power source, would help him love and be disciplined as he continued to grow and serve those within his sphere of influence (V 7).
Christ saves and empowers us to honor Him with our lives, not because we have special qualifications but because we’re each valuable members of His family (V 9).
We can persevere with confidence when we know our role is to simply love God and others. Christ’s role is to save us and give us a purpose that extends beyond our small vision of the world. As we follow Jesus daily, He transforms us while using us to encourage others as we share His love and truth wherever He sends us.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2 Timothy 1:6–14Of this gospel I was appointed a herald and an apostle and a teacher.
2 Timothy 1:11
Lord, thanks for affirming we can depend on You completely as we share You cheerfully, confidently, and courageously.
Knowing our power-source personally gives us confidence in our role as servants to the King.
오늘의 말씀
04/27/2018 금요일
지혜가 부르는 소리
우리들 중 대다수의 사람들은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하면서도, 안정을 위해서 조금 더 소유하기를 원합니다.
솔로몬 왕의 순 자산은 미화로 계산해서 2조 달러보다 더 많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록 그는 아주 부유했지만, 재물이 가지고 있는 큰 한계를 알고 있었습니다. 잠언 8장은 그의 체험을 기반으로 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지혜가 부르는 소리” 를 제공해줍니다. “사람들아 내가 너희를 부르며......내 입은 진리를 말하며”(4-7절). “너희가 은을 받지 말고 나의 훈계를 받으며 정금보다 지식을 얻으라 대저 지혜는 진주보다 나으므로 원하는 모든 것을 이에 비교할 수 없음이니라”(10-11절).
지혜가 말합니다. “내 열매는 금이나 정금보다 나으며 내 소득은 순은보다 나으니라 나는 정의로운 길로 행하며 공의로운 길 가운데로 다니나니 이는 나를 사랑하는 자가 재물을 얻어서 그 곳간에 채우게 하려 함이니라”(19-20절).
이것들이 참으로 진정한 부유함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8:10- 21대저 지혜는 진주보다 나으므로 원하는 모든 것을 이에 비교할 수 없음이니라
잠언 8:11
주님, 오늘 우리의 발걸음을 인도해주시는 주님의 풍성한 지혜에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은 그를 찾고 따르는 모든 자에게 지혜를 진정 풍성하게 주신다.
Daily Article
04/27/2018 Friday
Wisdom’s Call
Most of us would agree that money can’t make us happy, but we might like to have more so we can be sure.
King Solomon’s net worth has been estimated at more than two trillion US dollars. Although he was very wealthy, he knew that money had great limitations. Proverbs 8 is based on his experience and offers “Wisdom’s Call” to all people. “I raise my voice to all mankind. . . . My mouth speaks what is true” (VV 4–7). “Choose my instruction instead of silver, knowledge rather than choice gold, for wisdom is more precious than rubies, and nothing you desire can compare with her” (VV 10–11).
Wisdom says, “My fruit is better than fine gold; what I yield surpasses choice silver. I walk in the way of righteousness, along the paths of justice, bestowing a rich inheritance on those who love me and making their treasuries full” (VV 19–20).
These are true riches indeed! DAVID C. MCCASLAND
Today's Reading
Proverbs 8:10–21Wisdom is more precious than rubies, and nothing you desire can compare with her.
Proverbs 8:11
Lord, thank You for the riches of Your wisdom that guide our steps today.
God offers the true riches of wisdom to all who seek and follow Him.
오늘의 말씀
04/26/2018 목요일
과부의 믿음
아피의 아버지, 남편, 그리고 하나 뿐인 아들마저 다 죽었습니다. 그녀와 그녀의 며느리가 나이 많은 어머니와 두 어린 손자를 돌보고 있습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하나님을 신뢰했던 성경에 나오는 한 과부를 연상시켜 줍니다.
과부의 남편은 죽고 많은 빚을 남겼 습니다(열왕기하 4:1). 그녀는 고통 중에 하나님의 종 엘리사를 찾아가 하나님께 도움을 구했습니다. 그녀는 하나님이 그녀를 돌아보셔서 그 상황을 해결해주시리라고 믿었습니다. 하나님은 실제로 그렇게 하셨습니다. 주님은 그 과부의 절실한 필요를 기적적으로 공급해주셨습니다(5-6절). 동일하신 하나님께서 비록 작은
기적이긴 하지만 아피의 손을 통한 수고로, 땅이 제공하는 산물로, 그리고 하나님의 백성들로부터의 선물로 그녀에게도 공급해주셨습니다.
비록 삶이 여러 방면에서 우리를 힘들게 하여도, 우리는 항상 하나님으로부터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의 걱정거리를 주님께 맡기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다 하면, 하나님은 우리의 상황 속에서 놀라운 일을 행하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4:1-7이는 다 이방인들이 구하는 것이라 너희 천부께서 이 모든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줄 을 아시느니라
마태복음 6:32
하나님 아버지, 제 자신의 힘을 믿고 있다가 마지막 순간에야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저를 참고 기다려주시니 감사합니다. 제가 무엇을 하든지 먼저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도록 가르쳐주소서.
우리는 우리의 한계를 넘는 상황에 직면할지 모르지만, 하나님에게는 결코 한계가 없으시다.
Daily Article
04/26/2018 Thursday
The Widow’s Faith
Ah-pi’s father, husband, and only son have passed away, and she—with her daughter-in-law—is providing for an elderly mother and two young grandsons. Her story reminds me of another widow in the Bible who trusted God.
The widow’s husband had died and left her in debt (2 KINGS 4:1). In her distress, she looked to God for help by turning to His servant Elisha. She believed that God cared and that He could do something about her situation. And God did. He provided miraculously for the dire needs of this widow (VV 5–6). This same God also provided for Ah-pi—though less miraculously—through the toil of her hands, the produce from the ground, and gifts from His people.
Though life can make various demands on us, we can always draw strength from God. We can entrust our cares to Him, do all we can, and let Him amaze us with what He can do
with our situation.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2 Kings 4:1–7The pagans run after all these things, and your heavenly Father knows that you need them.
Matthew 6:32
Father, thank You for Your patience when I trust in my own resources and turn to You only as a last resort. Teach me to seek Your help before I do anything at all.
We may face situations beyond our reserves, but never beyond God’s resources.
오늘의 말씀
04/25/2018 수요일
기억 상실
없었기 때문에 그녀의 이름도, 어디에서 왔는지도 알 수 없었습니다. 의사들과 국제 언론의 도움으로 그녀는 건강을 회복하고 그녀의 이야기가 알려져 가족들과 다시 만날 수 있었습니다.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도 그가 누구이며 어디로부터 왔는지를 잊어버렸습니다. 그러나 그의 “기억 상실”은 영적인 것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물려받은 왕국에 대하여 자랑할때, 하나님이 왕 중의 왕이시라는 것과 그가 가진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왔다는 사실을 잊었습니다(다니엘 4:17,28-30).
하나님은 드라마처럼 왕의 마음을 움직여서 들짐승과 함께 거하며 소처럼 풀을 뜯게 하셨습니다(32-33절). 마침내 느부갓네살은 7년 후에 하늘을 바라보고 그가 누구이며 누가 그에게 왕국을 주었는지를 기억하였습니다. 기억이 돌아오고 난 뒤 그는 “이제 나 느부갓네살은 하늘의 왕을 찬양하고 높이며, 그분에게 영광을 돌리는 바이다”(37절, 새번역)라고 선언하였습니다.
우리는 어떻습니까? 우리는 우리가 누구라고 생각합니까? 우리는 어디에서 왔습니까? 우리는 잊기를 잘 하기 때문에, 왕 중의 왕이신 주님외에 어느 누가 우리가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요?
오늘의 성구
다니엘 4:28-37내 총명이 다시 내게로 돌아온지라 이에 내가 지극히 높으신 자에게 감사하며
다니엘 4:34
하나님 아버지, 우리는 우리가 누구이며 어디서 왔는지를, 또 우리가 주님께 속한 존재라는 사실을 너무 쉽게 잊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지금, 그리고 영원히 주님이 아시고 사랑하시고 은사를 베푸시고 돌보시는 하나님의 자녀라는 것을 기억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우리가 누구인지를 잊었을 때에도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를 돌보아주신다.
Daily Article
04/25/2018 Wednesday
Amnesia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also lost sight of who he was and where he had come from. His “amnesia,” though, was spiritual. In taking credit for the kingdom he’d been given, he forgot that God is the King of Kings, and everything he had was from Him (DANIEL 4:17, 28–30).
God dramatized the king’s state of mind by driving him into the fields to live with wild animals and graze like a cow (VV 32–33). Finally, after seven years Nebuchadnezzar looked up to the skies, and his memory of who he was and who had given him his kingdom returned. With his senses restored, he declared, “I, Nebuchadnezzar, praise and exalt and glorify the King of heaven” (V 37).
What about us? Who do we think we are? Where did we come from? Since we are inclined to forget, who can we count on to help us remember but the King of Kings? MART DEHAAN
Today's Reading
Daniel 4:28–37My understanding returned to me; and I blessed the Most High.
Daniel 4:34 NKJV
Father, we are so inclined to forget who we are, where we’ve come from, and that we belong to You. Help us to remember that in Christ we are Your children—known, loved, gifted, and cared for—now and forever.
When we forget who we are, our Father cares.
오늘의 말씀
04/24/2018 화요일
대기 장소
책을 많이 쓴 작가 닥터 수스는 말합니다.
인생의 아주 많은 부분이 기다리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하나님은 절대로 서두르지 않으십니다. 아니, 어쩌면 그러신 것처럼 보입니다. “하나님께는 그분의 때가 있으며 시간을
늦추기도 하신다.”라는 믿을 만한 오래된 격언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기다립니다.
기다림은 어려운 일입니다. 우리는 손을 깍지 낀 채 두 엄지손가락을 빙빙 돌리기도 하고, 발을 이리저리 움직이거나, 하품을 꾹 참거나, 긴 한숨을 쉬고, 좌절감으로 남몰래 초조해하기도 합니다. 왜 나는 이런 이상한 사람과 살아야만 하며, 이런 지루한 직업이나 이런 당황스런 행동, 사라지지 않는 이 같은 건강문제를 갖고 살아가야만 합니까? 왜 하나님은 해결해주지 않으실까요?
하나님의 대답은 이것입니다. “잠시 동안 기다리면서 내가 하는 일을 보아라.”
기다림은 인생의 가장 좋은 선생님 중의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기다림을 통해서, 즉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우리 안에서 일하시는 동안에 기다리면서......바로 그 기다림의 미덕을 배우게 되기 때문입니다. 비록 모든 일이 우리 뜻대로 되지 않을 때에도 우리는 기다림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랑과 선하심을 믿는 능력인 인내를 키우게 됩니다(시편 70:5).
그러나 기다림이란 지루하거나 이를 악무는 체념이 아닙니다. 기다리는 동안 우리는 하나님 안에서 “기뻐하고 즐거워할 수 있습니다” (4절). 우리는 하나님께서 지금이든지 혹은 다음이든지 정하신 때에 우리를 구원하실 것을 아는 소망 가운데 기다립니다. 하나님은 결코 서두르시지 않으며 언제나 제 시간에 역사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70여호와 앞에 잠잠하고 참고 기다리라
시편 37:7
사랑하는 주님, 사랑으로 임재하시는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주님을 신뢰하고 섬기면서 우리가 기다리는 시간들을 최대한 가치 있게 사용하도록 도와주소서.
우리가 기다리는 동안에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
Daily Article
04/24/2018 Tuesday
The Waiting Place
So much of life is about waiting, but God is never in a hurry—or so it seems. “God has His hour and delay,” suggests an old, reliable saying. Thus we wait.
Waiting is hard. We twiddle our thumbs, shuffle our feet, stifle our yawns, heave long sighs, and fret inwardly in frustration. Why must I live with this awkward person, this tedious job, this embarrassing behavior, this health issue that will not go away? Why doesn’t God come through?
God’s answer: “Wait awhile and see what I will do.”
Waiting is one of life’s best teachers for in it we learn the virtue of . . . well, waiting—waiting while God works in us and for us. It’s in waiting that we develop endurance, the ability to trust God’s love and goodness, even when things aren’t going our way (PSALM 70:5).
But waiting is not dreary, teeth-clenched resignation. We can “rejoice and be glad in [Him]” while we wait (V 4). We wait in hope, knowing that God will deliver us in due time—in this world or in the next. God is never in a hurry, but He’s always on time.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Psalm 70Be still before the Lord and wait patiently for him.
Psalm 37:7
Dear Lord, thank You for Your loving presence. Help us to make the most of our waiting through trust in and service for You.
God is with us in our waiting.
오늘의 말씀
04/23/2018 월요일
평강의 비결
그녀의 남편이 희귀병으로 진단을 받아 입원하는 동안에도 거의 변함이 없었습니다.
내가 그레이스에게 그녀의 평강에 관한 비결이 무엇인지 물어보자 그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그건 비결이 아니고요, 어느 분 때문입니다. 제 안에 계시는 예수님 때문이지요. 이런 역경 속에서 제가 느끼는 고요함을 어떻게 달리 설명할 수가 없습니다.”
평강의 비결은 우리의 평강이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와 우리의 관계에 있습니다. 예수님이 우리의 구주와 주님이 되시고 우리가 그분을 점점 닮아갈수록 평강은 현실이 됩니다.
질병이나 금전적 어려움, 위험한 일 등이 있다고 해도, 평강이 있음으로 하나님께서 그분의 손으로 우리의 삶을 붙들고 계시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고(다니엘 5:23), 모든 일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된다는 것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논리와 이해력을 뛰어넘는 이런 평강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하나님께서 주관하신다는 내적 확신이 우리에게 있습니까? “평강의 주께서 너희에게 평강을 주시기를 원하노라”라는 바울 사도의 말이 오늘 우리 모두를 향한 나의 간절한 바람입니다. 우리가 이 평강을 “친히 때마다 일마다”(데살로니가후서 3:16) 느낄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후서 3:16-18평강의 주께서 너희에 게 평강을 주시고
데살로니가후서 3:16
사랑하는 주님, 언제나 어떤 상황에도 주님의 평강을 베풀어주소서.
예수님을 신뢰하는 것이 평강이다.
Daily Article
04/23/2018 Monday
The Secret of Peace
When I asked Grace the secret of her peace, she said, “It’s not a secret, it’s a person. It’s Jesus in me. There is no other way I can explain the quietness I feel in the midst of this storm.”
The secret of peace is our relationship to Jesus Christ. He is our peace. When Jesus is our Savior and Lord, and as we become more like Him, peace becomes real. Things like sickness, financial difficulties, or danger may be present, but peace reassures us that God holds our lives in His hands (DANIEL 5:23), and we can trust that things will work together for good.
Have we experienced this peace that goes beyond logic and understanding? Do we have the inner confidence that God is in control? My wish for all of us today echoes the words of
the apostle Paul: “May the Lord of peace himself give you peace.” And may we feel this peace “at all times and in every way” (2 THESSALONIANS 3:16). KEILA OCHOA
Today's Reading
2 Thessalonians 3:16–18The Lord of peace himself give you peace.
2 Thessalonians 3:16
Dear Lord, please give us Your peace at all times and in every situation.
To trust in Jesus is peace.
오늘의 말씀
04/22/2018 주일
세밀하신 하나님
나는 웃음이 터지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하나님께서 피조물을 향해 품으시는 깊고 친밀한 관심에 대한 의미심장한 점을 짚어냈습니다.
예수님은 마태복음 10장 30절에서 “너희에게는 머리털까지 다 세신 바 되었다” 라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은 너무 위대 하셔서 우리 삶의 가장 세밀한 부분에 이르기 까지 무한한 관심을 쏟으실 수 있습니다. 주님의 눈길을 피할 만큼 작은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주님 앞에 내어놓지 못할 만큼 사소한 문제도 없습니다. 주님은 그 정도로 우리를 돌보십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창조하셨을 뿐만 아니라, 매 순간 우리를 지탱하시고 지켜주십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사소한 곳에 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나 훨씬 더 좋은 생각은 그 사소한 것 속에 하나님이 계셔서 우리가 미처 눈치 채지 못하는 부분까지 주목하고 계시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완벽한 지혜로 우리를 돌보시는 하나님 아버지께서 그분의 사랑의 능한 손길로 모든 피조물과 함께 우리를 붙들고 계시다는 사실을 깨달으니 얼마나 위로가 되는지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0:29-31여호와께서는 모든 것 을 선대하시며 그 지으신 모든 것에 긍휼을 베푸시는도다
시편 145:9
사랑하는 주님, 주님의 놀라운 창조물들을 보며 주님을 찬양합니다. 제가 주께서 만드신 것들을 잘 돌보아서 주님의 긍휼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필요를 잘 알고 계신다.
Daily Article
04/22/2018 Sunday
God in the Details
I couldn’t help but laugh. But she had unintentionally made a meaningful point about the deep and personal interest God takes in His creation.
Jesus tells us in Matthew 10:30 that “even the very hairs of your head are all numbered.” God is so great that He is able to take infinite interest in the most intimate details of our
lives. There is nothing so small that it escapes His notice, and there is no concern too trivial to bring before Him. He simply cares that much.
God not only created us; He sustains and keeps us through every moment. It’s sometimes said that “the devil is in the details.” But it’s better by far to understand that God is in them, watching over even the things that escape our notice. How comforting it is to know that our perfectly wise and caring heavenly Father holds us—along with all of creation—in His strong and loving hands. JAMES BANKS
Today's Reading
Matthew 10:29–31The Lord is good to all; he has compassion on all he has made.
Psalm 145:9
Loving Lord, I praise You for the wonder of Your creation. Help me to reflect Your compassion by taking care of what You have made.
God attends to our every need.
오늘의 말씀
04/21/2018 토요일
어디든지
거의 사십 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의 결혼은 좋은 때나 힘든 때나 우리를 지켜준 사랑과 헌신으로 단단히 결속되어 있습니다. 한 해 한 해를 보내며 나는 그와 함께라면 ‘어디든지’ 가겠다는 헌신의 마음을 매번 다시 다짐하였습니다.
예레미야 2장 2절에서 하나님은 그가 사랑하는, 하지만 방황하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그리워하면서 “내가 너를 위하여 네 청년 때의 인애와 네 신혼 때의 사랑을 기억하노니......나를 따랐음이니라”라고 말씀하십니다. 히브리어로 ‘인애’는 할 수 있는 한 가장 고귀한 충성과 헌신을 의미합니다. 처음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향한 확고한 헌신을
다짐했지만, 점차 등을 돌렸습니다.
처음 헌신할 때는 부인할 수 없을 만큼 강한 느낌을 갖게 되더라도 삶에 안주하게 되면서 사랑의 날카로운 날은 무디어지고 열정은 식어버려 서로에게 신실하지 못하게 되기도 합니다. 우리는 우리 결혼 생활의 그런 나태함과 싸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습니다. 하나님과의 사랑의 관계 속에서 갖게 된 열정은 어떻습니까? 우리는 처음 믿었을 때만큼 지금 주님께 헌신하고 있습니까?
신실하신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다시 돌아오라고 하십니다 (3:14-15). 오늘 우리는 어느 곳이든 주님을 따라가겠다고 다시 서약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렘 2:1-8; 3:14-15내가 너를 위하여 네 청년 때의 인애와 네 신혼 때의 사랑을 기억 하노니......그 광야에서 나를 따랐음이니라
예레미야 2:2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주님과 한 약속들을 지킬 수 있게 도와주소서. 어디든지 주님을 따르겠습니다.
하나님이 이끄시고 계시다는 것을 안다면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 필요가 없다.
Daily Article
04/21/2018 Saturday
Anywhere
Nearly four decades later, our marriage is tightly threaded with love and a commitment that has carried us through both hard and good times. Year after year, I’ve recommitted my dedication to go anywhere with him.
In Jeremiah 2:2, God yearns for His beloved but wayward Israel, “I remember the devotion of your youth, how as a bride you loved me and followed me.” The Hebrew word for devotion conveys the highest loyalty and commitment possible. At first, Israel expressed this unwavering devotion to God, but gradually she turned away.
Despite the undeniably powerful feelings in the early stages of commitment, complacency can dull the sharp edge of love and a lack of zeal can lead to unfaithfulness. We know the importance of fighting against such a lag in our marriages. What about the fervor of our love relationship with God? Are we as devoted to Him now as we were when we first came to faith?
God faithfully allows His people to return (3:14–15). Today we can renew our vows to follow Him—anywhere. ELISA MORGAN
Today's Reading
Jeremiah 2:1–8; 3:14–15I remember the devotion of your youth, how as a bride you loved me and followed me through the wilderness.
Jeremiah 2:2
Dear God, help me to keep the promises I’ve made to You. I will follow You anywhere.
You don’t need to know where you’re going if you know God is leading.
오늘의 말씀
04/20/2018 금요일
용서의 미학
있습니다. 죽음의 땅을 뒤로 하고, 그는 이미 그를 향해 달려오고 있는 아버지가 있는 길로 발걸음을 내딛고 있습니다. 그 그림의 아래쪽에는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20절)라는 예수님의 말씀이 적혀 있습니다.
나는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이 나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다시 한 번 깨닫고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내가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하나님은 등을 돌리지 않고 계속 바라보고 지켜보며 기다려주셨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는 우리에게 변함없이 주시고, 혹시 우리가 묵살한다고 해도 결코 그 사랑을 거두어들이지 않으십니다.
우리는 모두 죄를 지었지만,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마치 이 예화의 아버지가 그의 비뚤어진 아들을 감싸 안듯이 팔을 벌려 우리를 환영하십니다. 아버지가 하인들에게 말했습니다. “우리가 먹고 즐기자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23-24절).
주님은 오늘 그분께로 돌아오는 자들을 여전히 기뻐하십니다. 그리고 그것은 축하할 가치가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5:11-24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누가복음 15:20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아버지의 사랑과 용서를 받는 것처럼 그것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다른 사람들에게도 베풀게 하소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가 받을 자격이 없지만 변함이 없다.
Daily Article
04/20/2018 Friday
The Art of Forgiveness
I was deeply moved by realizing once more how God’s unchanging love has altered my life. When I walked away from Him, He didn’t turn His back, but kept looking, watching, and waiting. His love is undeserved yet unchanging; often ignored yet never withdrawn.
We all are guilty, yet our heavenly Father reaches out to welcome us, just as the father in this story embraced his wayward son. “Let’s have a feast and celebrate,” the father told the servants. “For this son of mine was dead and is alive again; he was lost and is found” (VV 23–24).
The Lord still rejoices over those who return to Him today—and that is worth celebrating! DAVID C. MCCASLAND
Today's Reading
Luke 15:11–24While he was still a long way off, his father saw him and was filled with compassion for him; he ran to his son, threw his arms around him and kissed him.
Luke 15:20
Father, as we receive Your love and forgiveness, may we also extend it to others in Your name.
God’s love for us is undeserved yet unchan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