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29/2018 화요일
수평선을 바라보기
수평선을 지으신 분(욥기 26:10)은 우리가 살면서 때때로 두려움과 불안감에 휩싸인다는 것을 아십니다. 그러나 우리가 저 멀리에 있는 흔들리지 않는 우리 목표에 집중할 때, 우리는 균형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히브리서 저자도 이런 사실을 이해 했습니다. 그는 독자들의 낙담을 느꼈습니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박해를 받아 집을 떠나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그들에게 극심한 시련을 겪고 집을 잃은 다른 믿음의 사람들에 대해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 사람들은 더 나은 어떤 것을 바랐기 때문에 모든 것을 견뎌냈습니다.
유랑자들로서 이 독자들은 하나님이 계획하시고 지으신 도성, 곧 천국 본향이요, 하나님이 그들을 위해 예비하신 도성을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히브리서 11:10,14,16). 그래서 히브리서 저자는 그의 마지막 권고에서 독자들에게 하나님의 약속에 집중하라고 당부합니다. “우리가 여기에는 영구한 도성이 없으므로 장차 올 것을 찾나니”(13:14).
우리가 현재 당하는 고난은 일시적입니다. 우리는 “땅에서는 외국인과 나그네”(11:13)이지만, 하나님의 약속의 수평선을 바라보면 우리에게 필요한 기준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1:8-16우리가 여기에는 영구한 도성이 없으므로 장차 올 것을 찾나니
히브리서 13:14
하나님 아버지, 환난 때에 주님의 약속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하나님께 집중하여 삶의 균형을 회복하라.
Daily Article
05/29/2018 Tuesday
Gazing at the Horizon
The Maker of the horizon (JOB 26:10) knows that sometimes in life we may become fearful and restless. We can regain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distant but steady point of our destiny.
The writer of Hebrews understood this. He sensed discouragement in his readers. Persecution had driven many of them from their homes. So he reminded them that other people of faith had endured extreme trials and had been left homeless. They endured it all because they anticipated something better.
As exiles, these readers could look forward to the city whose architect is God, the heavenly country, the city God prepared for them (HEBREWS 11:10, 14, 16). So in his final exhortations, the writer asked his readers to focus on God’s promises. “For here we do not have an enduring city, but we are looking for the city that is to come” (13:14).
Our present troubles are temporary. We are “foreigners and strangers on earth” (11:13), but gazing at the horizon of God’s promises provides the point of reference we need. - KEILA OCHOA
Today's Reading
Hebrews 11:8–16We are looking for the city that is to come.
Hebrews 13:14
Father, in the midst of troubles, help me to focus on Your promises.
Focus on God and regain perspective.
오늘의 말씀
05/28/2018 월요일
마지막 지시
이제 그와 작별인사를 할 시간이 왔습니다. 친구와 가족, 그리고 제복을 입은 동료들이 장례를 위해 묘지에 서 있을 때, 한 동료가 무전기로 마지막 임무를 지시 했습니다. 잠시 후, 바람을 가르는 독특한
날개 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헬리콥터가 나타나 묘지공원 주위를 돌더니 잠깐 동안 그 자리를 맴돌며 조의를 표하고는 병원으로 다시 날아갔습니다. 그곳에 있던 군 관계자들조차도 눈물을 참지 못했습니다.
사울왕과 그의 아들 요나단이 전쟁에서 전사한 후, 다윗은 “활의 노래”(사무엘하 1:17)라는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만한 애가를 썼습니다. 그는 “네 영광이 산 위에서 죽임을 당하였도다 오호라 두 용사가 엎드러졌도다”(19절)라고 노래했습니다. 요나단은 다윗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전우였습니다. 다윗과 사울은 원수였지만 다윗은 그 둘 모두를 공경했습니다. 다윗은 이렇게 썼습니다. “사울을 위해 슬피 울어라.” “내 형제 요나단이여, 내가 그대를 위해 슬퍼하노라”(24,26절, 현대인의 성경).
아무리 최고의 이별이라 할지라도 이별은 아주 힘듭니다. 하지만 주님을 믿는 사람들은 이별이 영원하지 않음을 알기에 그 기억은 비통하기보다는 훨씬 감미롭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섬겼던 분들을 기릴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기쁜 일인지요!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1:17-27오호라 두 용사가 엎드러졌으며
사무엘하 1:27
주님, 응급요원으로 지역사회를 섬기는 분들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들의 안전을 지켜주시기를 주님께 겸손히 간구합니다.
창조주의 피조물을 기억하고 기릴 때 우리는 그 창조주를 경배하는 것이다.
Daily Article
05/28/2018 Monday
The Last Call
Now it was time to say goodbye to him. As friends, family, and uniformed co-workers stood vigil at the cemetery, a colleague called in one last mission over the radio. Soon the distinctive sound of rotors beating the air could be heard. A helicopter circled over the memorial garden, hovered briefly to pay its respects, then headed back to the hospital. Not even the military personnel who were present could hold back the tears.
When King Saul and his son Jonathan were killed in battle, David wrote an elegy for the ages called “the lament of the bow” (2 SAMUEL 1:17). “A gazelle lies slain on your heights,” he sang. “How the mighty have fallen!” (V 19). Jonathan was David’s closest friend and brother-in-arms. And although David and Saul had been enemies, David honored them both. “Weep for Saul,” he wrote. “I grieve for you, Jonathan my brother” (VV 24, 26).
Even the best goodbyes are oh-so-difficult. But for those who trust in the Lord, the memory is much more sweet than bitter, for it is never forever. How good it is when we can honor those who have served other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2 Samuel 1:17–27How the mighty have fallen!
2 Samuel 1:27
Lord, we thank You for those who serve their communities as First Responders. We humbly ask You for their safety.
We honor the Creator when we honor the memory of His creatures.
오늘의 말씀
05/27/2018 주일
만질 수 있는 하나님
그러나 나는 곧 나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교회 친구들이 와서 도와주었던 것입니다. 조쉬가 와서 잔디 깎는 기계를 고쳐주었고, 존이 점심을 가져다주었으며, 캐시디는 빨래를 도와주었습니다. 애비는 우리 아이들을 데리고 가서 자기 아이들과 같이 놀게 해서 내 일을 끝낼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하나님은 이 친구들 한 명 한 명을 통해 나의 필요를 공급해주셨습니다. 그들은 바울이 로마서 12장에서 묘사한 일종의 공동체의 생생한 그림이었습니다. 그들은 거짓이 없이 사랑했고(9절), 자신의 필요보다 다른 이들의 필요에 관심을 가졌으며(10절), 내가 필요할 때 도와주었고, 환대를 베풀어주었습니다(13절).
내 친구들이 내게 보여준 사랑 때문에, 비록 한 달 동안 혼자 아이들을 돌봐야 하는 비교적 가벼운 괴로움 속에서도 “소망 중에 즐거워하며 환난 중에 참을”(12절) 수 있었습니다. 어느 친구가 말한 것처럼 그리스도 안에서의 형제자매들이 나에게 “만질 수 있는 하나님”이 되어 주었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모든 사람들에게, 특히 믿음의 공동체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보여주어야 할 신실한 사랑을 내게 보여주었습니다(갈라디아서 6:10). 나도 그들과 같이 될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18성도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
로마서 12:13
하나님, 우리를 공동체 안에 묶어주심을 감사드립니다. 다른 이들의 필요를 돌아보고 그들에게 환대를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오늘 나는 누구에게 “만질 수 있는 하나님”이 되어야 할까?
Daily Article
05/27/2018 Sunday
God with Skin On
I soon realized I wasn’t on my own. Friends from church showed up to help. Josh came over to fix my lawn mower. John brought me lunch. Cassidy helped with the laundry. Abi invited my kids over to play with hers so I could get my work done. God worked through each of these friends to provide for me. They were a living picture of the kind of community Paul describes in Romans 12. They loved sincerely (V 9), considered the needs of others rather than just their own (V 10), shared with me when I was in need, and showed hospitality (V 13).
Because of the love my friends showed to me, I remained “joyful in hope” and “patient in affliction” (V 12), even the mild affliction of solo parenting for a month. My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 became what one friend calls “God with skin on” for me. They showed me the kind of sincere love we ought to show to everyone, especially those in our community of faith (GALATIANS 6:10). I hope to be more like them.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Romans 12:9-18Share with the Lord's people who are in need. Practice hospitality.
Romans 12:13
God, thank You for placing us in communities. Help me to look out for others’ needs and to show hospitality.
To whom do I need to be “God with skin on” today?
오늘의 말씀
05/26/2018 토요일
아무도 날 좋아하지 않아
자신을 돌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하는 다윗의 고백을 읽을 때, 그 동요가 내 귀에 울립니다. 하지만 다윗의 고통은 절대 과장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나는 내 나이 또래의 전형적인 외로움을 느낀 것이지만, 다윗은 자신이 버림받았다고 느낄만한 충분한 이유가 실제로 있었습니다. 그는 그를 죽이려고 쫓아오는 사울을 피해 숨은 어둡고 깊은 동굴에서 이것을 썼습니다 (사무엘상 22:1; 24:3-10). 다윗은 이스라엘의 미래의 왕으로 기름 부음을 받았고(16:13), 사울왕을 여러 해 섬겼으나 지금은 생명의 위협을 늘 느끼면서 “이리저리 옮겨 다니며” 살고 있었습니다. 다윗은 외로움을 느끼는 가운데 그의 “피난처” 되시고 “살아 있는 사람들의 땅에서 분깃” 이 되시는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시편 142:5).
외로움을 느낄 때 우리도 다윗처럼 안전한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우리의 감정을 토로하며 하나님께 부르짖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외로움을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으십니다. 주님은 우리 인생의
어두운 동굴에서 우리의 동반자가 되기를 원하십니다. 아무도 우리 삶을 돌보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그때조차도, 하나님은 돌보고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2나를 아는 이도 없고 나의 피난처도 없고 내 영혼을 돌보는 이도 없나이다
시편 142:4
주님, 내가 외롭다고 느낄 때 주님은 나의 친구가 되어주십니다.
삶의 어두운 동굴에서 나와 함께 계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외로운 시절에 우리의 친구가 되어주신다.
Daily Article
05/26/2018 Saturday
Nobody Likes Me
When I read that David felt no one cared for him, that ditty rings in my ears. Yet David’s pain wasn’t at all exaggerated. Where I had feelings of loneliness typical for my age, David actually had good reason to feel abandoned. He wrote these words in the dark depths of a cave where he hid from Saul, who pursued him with murderous plans (1 Samuel 22:1; 24:3–10). David had been anointed as Israel’s future king (16:13), had spent years in Saul’s service, but now he lived “on the move,” always fearing for his life. In the midst of the loneliness David felt, he cried out to God as his “refuge” and “portion in the land of the living” (PSALM 142:5).
Like David, we can cry out to God when we feel alone, giving voice to our feelings in the safety of His love. God never minimizes our loneliness. He wants to be our companion in the dark caves of our lives. Even when we think no one cares for our life, God care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salm 142No one is concerned for me. I have no refuge; no one cares for my life.
Psalm 142:4
Lord, You are my friend when I feel alone.
Thank You for being with me in the dark caves of life.
God is our friend in seasons of loneliness.
오늘의 말씀
05/25/2018 금요일
우연한 지혜
어른으로서 우리는 아이들보다는 뉴스를 더 잘 받아들이고 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럴지라도 이 부부의 딸이 조금 전의 엄마의 지시를 흉내낸 것은 재미있기도 하면서 지혜로운 것이었습니다. 정서적으로 안정된 어른일지라도 삶의 어두운 면에 꾸준히 접하게 되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빌립보서 4장 8절에서 바울이 언급한 것들을 묵상하면, 우리가 세상의 세태를 볼 때 때때로 우리에게 정착하는 어두움들에 대한 강력한 해독제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마음을 무엇으로 채울 것인가를 신중히 결정하는 것은 우리 마음을 지킬 뿐 아니라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4-9무엇에든지 참되며 무엇에든지 경건하며 무엇에든지 옳으며 무엇에든지 정결하며 무엇에든지 사랑 받을 만하며 무엇에든지 칭찬 받을 만하며......이것들을 생각하라
빌립보서 4:8
하나님 아버지, 오늘 아름다운 것들에 우리의 눈을 열어 보게 하소서.
주님을 묵상하도록 가르쳐주소서.
우리가 우리 마음속에 들인 것이 우리 영혼의 상태를 빚어간다.
Daily Article
05/25/2018 Friday
Accidental Wisdom
As adults, we can better absorb and process the news than our children. Still, the couple’s daughter was both amusing and wise when she echoed her mother’s earlier instructions. Even well-adjusted adults can be affected by a steady diet of the darker side of life. Meditating on the kind of things Paul lists in Philippians 4:8 is a powerful antidote to the gloom that sometimes settles on us as we see the condition of our world.
Making careful decisions about what fills our minds is an excellent way to honor God and guard our hearts as well. - RANDY KILGORE
Today's Reading
Philippians 4:4–9Whatever is true, whatever is noble, whatever is right, whatever is pure, whatever is lovely, whatever is admirable...think about such things.
Philippians 4:8
Father, open our eyes today to what’s beautiful.
Teach us to meditate on You.
What we let into our minds shapes the state of our souls.
오늘의 말씀
05/24/2018 목요일
밤잠을 설침
익숙하게 들립니까? 문제가 있는 인간 관계나 불확실한 미래,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우리는 예외 없이 언젠가는 걱정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다윗왕은 시편 4편을 쓸 때 분명히 고난 중에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근거 없는 비난으로 그의 명예를 더럽히고 있었고(2절) 그의 통치권에 의문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6절). 다윗은 아마도 그렇게 불공평하게 취급되는 것에 대하여 화가 났을 것입니다. 분명히 그는 그것을 생각하며 밤을 지새웠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에서 “내가 평안히 눕고 자기도 하리니”(8절)라는 놀라운 구절을 봅니다.
찰스 스펄전은 8절을 이렇게 아름답게 설명합니다. “그렇게 누워서......[다윗은] 자신을 다른 손길에 맡겼습니다. 그는 완벽하게 그렇게 했습니다. 아무런 보살핌이 없는 가운데서도 그는 잠들었습니다.
완전한 신뢰가 여기에 있었습니다.” 무엇이 이런 신뢰를 갖도록 고무해주었을까요? 다윗은 하나님께서 그의 기도에 응답해주실 것을 처음부터 확신하고 있었고(3절), 하나님께서 그를 택하셔서 사랑하셨기 때문에 하나님이 성실히 그의 필요를 채워주실 것을 확신하였습니다.
걱정거리들이 우리를 위협할 때에 하나님의 능력과 임재 안에서 우리가 안식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도와주시기를 소원합니다. 하나님의 주권과 사랑의 팔 안에서 우리는 “누워 잘”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내가 평안히 눕고 자기도 하리니 나를 안전히 살게 하시는 이는 오직 여호와이시니이다
시편 4:8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부를 때 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나의 두려움을 모두 하나님께 드리고 하나님의 권능과 임재 안에서 쉼을 얻습니다.
우리는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하나님께 우리의 염려들을 맡길 수 있다.
Daily Article
05/24/2018 Thursday
Tossing and Turning
Sound familiar? Troubled relationships, an uncertain future, whatever it is—we all give in to worry at one point or another.
King David was clearly in distress when he penned Psalm 4. People were ruining his reputation with groundless accusations (V 2). And some were questioning his competency to rule (V 6). David probably felt angry for being treated so unfairly. Surely he could have spent nights stewing about it. Yet we read these remarkable words: “In peace I will lie down and sleep” (V 8).
Charles Spurgeon explains verse 8 beautifully: “In thus lying down, . . . [David] resigned himself into the hands of another; he did so completely, for in the absence of all care, he slept; there was here a perfect trust.” What inspired this trust? From the start, David was confident that God would answer his prayers (V 3). And he was sure that since God had chosen to love him, He would lovingly meet his needs.
May God help us to rest in His power and presence when worries threaten. In His sovereign and loving arms, we can “lie down and sleep.”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Psalm 4In peace I will lie down and sleep, for you alone, LORD, make me dwell in safety.
Psalm 4:8
Dear Father, thank You for hearing me when I call.
I surrender my worries to You and rest in Your power and presence.
We can entrust our cares to a wholly trustworthy God.
오늘의 말씀
05/23/2018 수요일
바부쉬카 여인
하지만 예수님의 제자들이 왜 숨었는지 이해하기 위해 추측할 필요는 없습니다. 제자들은 스승을 죽인 관리들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비겁하게도 앞으로 나와 자신들의 경험을 당당히 드러내기를 꺼려했습니다 (요한복음 20:19). 그러나 그럴 때에 예수님이 무덤에서 다시 살아나시고 성령님이 곧 오셔서, 한때 겁이 많았던 예수님의 제자들은 더 이상 계속 침묵하지 않았습니다! 오순절 날에 성령의 능력을 입은 시몬 베드로는 “그런즉 이스라엘 온 집은 확실히 알지니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사도행전 2:36)라고 선포하였습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담대하게 말할 수 있는 기회는 담대한 인격의 소유자나 목회 훈련을 받은 사람들에게만 제한되어 있지 않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복음을 전할 수 있게 해주시는 분은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님이십니다. 성령님의 능력으로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우리의 구주를 전할 수 있는 용기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22-36그런즉 이스라엘 온 집은 확실히 알지니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
사도행전 2:36
주님, 주님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게 말할 수 있도록 능력과 담대함을 주소서.
들어야 할 사람들에게 비할 데 없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말해주라.
Daily Article
05/23/2018 Wednesday
The Babushka Lady
No speculation is needed to understand why Jesus’s disciples hid. They cowered in fear because of the authorities who had killed their Master (JOHN 20:19)— reluctant to come forward and declare their experience. But then Jesus rose from the grave. The Holy Spirit soon arrived and you couldn’t keep those once-timid followers of Christ quiet! On the day of Pentecost, a Spirit-empowered Simon Peter declared, “Let all Israel be assured of this: God has made this Jesus, whom you crucified, both Lord and Messiah” (ACTS 2:36).
The opportunity to boldly speak in Jesus’s name is not limited to those with daring personalities or career ministry training. It is the indwelling Spirit who enables us to tell the
good news of Jesus. By His strength, we can experience the courage to share our Savior with other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Acts 2:22–36Let all Israel be assured of this: God has made this Jesus, whom you crucified, both Lord and Messiah.
Acts 2:36
Lord, please give me the strength and boldness to talk to others about You.
Speak of the matchless love of Christ to those who need to hear.
오늘의 말씀
05/22/2018 화요일
진퇴 양난
자기가 한 짓 때문에 어머니가 화난 것을 피해 달아난 벨벳은 더 위태로운 곤경에 빠져버렸습니다. 잘못을 피해 도망가다가 우리 자신을 위험에 빠뜨리는 것 같은 이와 비슷한 일이 우리에게도 가끔씩 일어나지 않습니까? 그럴 때에도 하나님은 우리를 구하러 오십니다.
요나 선지자는 니느웨로 가서 전하라고 하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불순종하고 달아나다가 커다란 물고기가 그를 삼켰습니다. “요나가 물고기 뱃속에서 그의 하나님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르되 내가 받는 고난으로 말미암아 여호와께 불러 아뢰었더니 주께서 내게 대답하셨고”(요나 2:1-2). 하나님은 요나의 간구를 들으시고 “그 물고기에게 명하시니, 물고기가 요나를 뭍에다가 뱉어 냈습니다”(10절, 새번역). 그런 후 하나님은 요나에게 다시 한 번 기회를 주셨습니다(3:1).
벨벳을 내려오게 하려고 노력하다가 진이 빠진 우리는 지역 소방서에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가장 긴 사다리를 최대한으로 뻗친 후 친절한 소방대원이 올라가서 가지 끝에 앉아 있는 내 새끼고양이를 구해내어 내 팔에 안전하게 안겨주었습니다.
아무리 높고 깊어도, 하나님은 그분의 구원의 사랑으로 불순종하는 우리를 구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나 2:1-10고난으로 말미암아 여호와께 불러 아뢰었더니 주께서 내게 대답 하셨고
요나 2:2
사랑하는 하나님, 오늘도 우리에게 하나님의 구조의 도움이 얼마나 필요한지요!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우리를 죄에서 구해주셨다.
Daily Article
05/22/2018 Tuesday
Up a Tree
In her haste to flee my mother’s frustration over her behavior, Velvet chose a more precarious predicament. Is it possible that we sometimes do something similar—running from our errors and putting ourselves in danger? And even then God comes to our rescue.
The prophet Jonah fled in disobedience from God’s call to preach to Nineveh, and was swallowed up by a great fish. “From inside the fish Jonah prayed to the LORD his God. He said: ‘In my distress I called to the LORD , and he answered me’ ” (JONAH 2:1–2). God heard Jonah’s plea and, “commanded the fish, and it vomited Jonah onto dry land” (V 10). Then God gave Jonah another chance (3:1).
After exhausting our efforts to woo Velvet down, we summoned the local fire department. With the longest ladder fully extended, a kind man climbed high, plucked my kitten from her perch, and returned to place her safely in my arms.
Oh the heights—and in the depths—God goes to in rescuing us from our disobedience with His redeeming love!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Jonah 2:1–10In my distress I called to the LORD, and he answered me.
Jonah 2:2
Dear God, how we need Your rescue today!
Jesus’s death on the cross rescued us from our sins.
오늘의 말씀
05/21/2018 월요일
용서의 기도
유명한 소아정신과 의사 로버트 콜즈는 루비가 경험한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몇 달 동안 그녀를 만났습니다. 그는 루비가 매일 걸어서 학교를 오가는 동안 다음과 같이 기도한다는 말을 듣고 놀랐습니다. “하나님, 그들을 용서해주세요. 그들은 자기가 무엇을 하는지 알지 못합니다”(누가복음 23:34 참조).
십자가 위에서 하신 예수님의 말씀은 주님에게 퍼부어진 증오와 모욕보다 더 강력했습니다. 주님의 생애에서 가장 괴로웠던 그 시간에 우리 주님은 그의 제자들에게 가르쳐주셨던 근본적인 대응을 몸소 보여주셨습니다.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미워하는 자를 선대하며 너희를 저주하는 자를 위하여 축복하며 너희를 모욕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 너희 아버지의 자비로우심 같이 너희도 자비로운 자가 되라”(누가복음 6:27-28,36).
이런 놀라운 접근법은 우리가 예수님이 우리에게 주신 능력 있는 사랑, 곧 가장 깊은 증오보다도 더 강력한 사랑을 생각할 때에만 가능합니다.
루비 브리지스는 우리가 그 길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6:27-36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미워하는 자를 선대하며 너희를 저주하는 자를 위하여 축복하며 너희를 모욕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
누가복음 6:27-28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은 은혜로 우리를 용서해주셨습니다. 오늘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을 용서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당신을 저주하는 사람들을 축복하고, 당신을 학대하는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라.
Daily Article
05/21/2018 Monday
A Prayer of Forgiveness
Noted child psychologist Robert Coles met with Ruby for several months to help her cope with the fear and stress she experienced. He was amazed by the prayer Ruby said every day as she walked to school and back home. “Please, God, forgive them because they don’t know what they’re doing” (SEE LUKE 23:34).
The words of Jesus spoken from the cross were stronger than the hatred and insults hurled at Him. In the most agonizing hours of His life, our Lord demonstrated the radical response He taught His followers: “Love your enemies, do good to those who hate you, bless those who curse you, pray for those who mistreat you . . . . Be merciful, just as your Father is merciful” (LUKE 6:27–28, 36).
This remarkable approach is possible only as we consider the powerful love Jesus has given us—love stronger than even the deepest hatred.
Ruby Bridges helped show us the way. - DAVID C. MCCASLAND
Today's Reading
Luke 6:27–36Love your enemies, do good to those who hate you, bless those who curse you, pray for those who mistreat you.
Luke 6:27-28
Father, You have so graciously forgiven us. Help us today to forgive others who have wronged us.
Bless those who curse you and pray for those who mistreat you.
오늘의 말씀
05/20/2018 주일
새로운 공동체
마야의 창의력은 나에게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을 상기시켜 줍니다. 오순절 날 누가는 우리에게 “그때에 경건한 유대인들이 천하 각국으로부터 와서 예루살렘에 머물러 있더니”(사도행전 2:5)라고 말합니다. 이 사람들은 문화와 언어가 서로 다른 곳으로부터 왔지만, 성령께서 오셔서 그들을 교회라는 새로운 공동체로 만드셨습니다. 그때부터 그들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로 말미암아 하나가 된 한 몸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이 새 몸의 지도자들은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계시는 동안 함께 이끌어오신 일련의 사람들, 곧 주님의 제자들이었습니다. 만약 예수님께서 그들을 하나로 묶지 않으셨다면, 그들이 하나가 되는 일은 결코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제 더 많은 사람들, “약 삼천”(2:41) 명이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이 되었습니다. 성령님의 도움으로, 한때 나뉘어졌던 그들이 “모든 물건을 통용”하게 되었습니다(44절). 그들은 가진 것들을 기꺼이 서로 나누려고 했습니다.
성령님은 계속해서 사람들 무리 간의 간격을 줄이고 있습니다. 우리가 늘 사이좋게 지내거나 또 서로를 잘 이해하거나 하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로서 우리는 서로 하나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1-12,42-47믿는 사람이 다 함께 있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사도행전 2:44
예수님, 우리를 위해 죽으시고, 우리를 교회 안에서 하나로 묶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성령님은 “우리”와 “그들”을 하나의 “우리”로 바꿔주신다.
Daily Article
05/20/2018 Sunday
A New Community
Her creativity reminds me of God’s purpose for the church. On the day of Pentecost, Luke tells us, “Now there were staying in Jerusalem God-fearing Jews from every nation under heaven” (ACTS 2:5). Though these people were from different cultures and spoke different languages, the Holy Spirit’s arrival made them a new community: the church. From then on, they would be considered one body, unified by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The leaders of this new body were a group of men Jesus brought together during His time on earth—His disciples. If Jesus hadn’t united them, more than likely they would never have come together. And now more people—“about three thousand” (2:41)—had become Christ-followers. Thanks to the Holy Spirit, this once divided group “had everything in common” (V 44). They were willing to share what they had with each other.
The Holy Spirit continues to bridge the gaps between people groups. We might not always get along, nor readily understand one another. But as believers in Christ, we belong
together. -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Acts 2:1–12, 42–47All the believers were together and had everything in common.
Acts 2:44
Jesus, thank You for dying for us and uniting us as one people in the church.
The Holy Spirit turns “us” and “them” into “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