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27/2018     월요일

성경읽기: 시 120-122; 고전 9
찬송가: 435(통 492)

계속해서 섬기라

교육심리학자인 벤자민 블룸은 젊은 사람들의 재능 개발에 대해 연구하면서 운동선수, 예술가, 학자들 가운데 성적이 매우 우수한 120명의 어린 시절을 조사한 결과 그들 모두에게서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하였습니다. 그것은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강도 높은 훈련을 했다는 것입니다.

블룸의 연구는 우리 삶의 어느 영역에서나 성장하는 데에는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에서도 주님을 믿는 믿음 가운데 자라갈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그와 정기적으로 시간을 보내는 영적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다니엘은 훈련받은 대로 하나님과 동행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했던 좋은 예입니다. 다니엘은 어려서부터 신중하고 현명한 결정을 내리기 시작했습니다(1:8). 그는 또한 작정하여 정기적으로 기도하며 “하나님께 감사드렸습니다”(6:10). 이렇게 하나님을 수시로 구하며 사는 그를 보며 사람들은 그의 믿음을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다리오 왕은 다니엘을 “살아계시는 하나님의 종”(20절)이라고 했고, 두 번이나 다니엘을 “항상” 하나님을 섬기는
사람이라 언급했습니다(16,20절).

우리도 다니엘처럼 하나님이 절대로 필요합니다. 하나님이 우리 안에 역사하셔서 하나님과 함께 하는 시간을 갖기를 원하게 하신다니 얼마나 좋은지요(빌립보서 2:13). 그러므로 하나님과 함께 시간을 보낼 때 사랑이 더욱 넘쳐흐르고 우리 구주를 아는 지식과 명철이 자라는 것을 믿으며(1:9-11) 매일 매일 하나님 앞으로 나아갑시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6:10-22
네가 항상 섬기는 네 하나님이 사자들에게 서 능히 너를 구원하셨느냐
다니엘 6:20

하나님 아버지, 주님을 섬길 수 있는 특권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을 아는 지식이 자랄 수 있도록 주님과 정기적으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도와주소서.

하나님과 함께 시간을 보냄으로써 우리는 변화된다.

Daily Article

08/27/2018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0–122 and 1 CORINTHIANS 9
Hymn: 435(old 492)

Serve Continually

When educational psychologist Benjamin Bloom, researching how to develop talent in young people, examined the childhoods of 120 elite performers—athletes, artists, scholars—he found that all of them had one thing in common: they had practiced intensively for long periods of time.

Bloom’s research suggests that growing in any area of our lives requires discipline. In our walk with God, too, cultivating the spiritual discipline of regularly spending time with Him is one way we can grow in our trust in Him.

Daniel is a good example of someone who prioritized a disciplined walk with God. As a young person, Daniel started making careful and wise decisions (1:8). He also was committed to praying regularly, “giving thanks to God” (6:10). His frequent seeking of God resulted in a life in which his faith was easily recognized by those around him. In fact, King Darius described Daniel as a “servant of the living God” (V 20) and twice described him as a person who served God “continually” (VV 16, 20).

Like Daniel, we desperately need God. How good to know that God works in us so that we long to spend time with Him! (PHILIPPIANS 2:13). So let us come every day before God, trusting that our time with Him will result in a love that will overflow more and more and in a grow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our Savior (1:9–11).
KEILA OCHOA

Today's Reading

Daniel 6:10–22
Has your God, whom you serve continually, been able to rescue you?
Daniel 6:20

Father, I thank You for the privilege of serving You. Help me to spend regular time with You in order to grow in my knowledge of You.

Time with God transforms us.

오늘의 말씀

08/26/2018     주일

성경읽기: 시 119:89-176; 고전 8
찬송가: 219(통 279)

언 것을 녹이다

화해라는 주제의 원탁 토론에서 한 참석자의 말이 지혜로웠습니다. “사람을 어떤 시간에 묶어 얼려놓지 마십시오.” 그는 사람들의 실수를 오래 기억하고 만회할 수 있는 기회는 주지 않는 우리의 성향을 이야기한 것입니다.

베드로의 삶에서도 하나님이 그를 “얼려놓을” 수 있었던 많은 순간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한 번도 그러시지 않았습니다. 충동적인 성격의 제자 베드로는 예수님에게 “훈계” 까지 하다가 무서운 책망을 받았습니다 (마태복음 16:21-23). 그가 그리스도를 부인한 것은 유명한 일이고(요한복음 18:15-27) 나중에 가서야 회복이 되었습니다(21:15-19). 그리고 한 번은 교회 안에서 인종차별 문제도 만들었습니다.

게바라고도 하는 베드로가 이방인과 자기를 구별하면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갈라디아서 2:11-12). 그가 이방인들과 자유롭게 어울린 것이 얼마 안 된 때였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도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몇몇 유대인들이 오자 베드로는 할례 받지 않은 이방인들을 피하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은 모세의 율법으로 돌아가는 위험한 일이었습니다. 바울은 베드로의 행동을 “위선”이라고 했습니다(13절). 바울이 담대하게 지적했기 때문에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베드로는 하나님의 뜻대로 우리를 하나 되게 하시는 영으로 계속 하나님을 섬겼습니다.

아무도 자기의 가장 나빴던 순간에 계속 얼어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우리는 서로를 안아주고, 서로에게서 배우고, 필요하면 서로를 지적하며 하나님 사랑 안에서 함께 자라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2:11-16
게바가 안디옥에 이르렀을 때에......내가 그를 대면하여 책망하였노라
갈라디아서 2:11

주님, 오늘 우리를 주님께 가까이 부르시고 우리도 서로 더 가까워지게 하소서. 주님의 교회를 하나 되게 하시고, 불신의 자리에 이해심이 있게 하시고, 분열이 있는 곳을 치유해주소서.

만일 누군가를 지적하려면 그 마음에 수치가 아닌 회복을 바라는 한 가지 목표만 있어야 한다.
척 스윈돌

Daily Article

08/26/2018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 119:89–176 and 1 CORINTHIANS 8
Hymn: 219(old 279)

Unfrozen

At a roundtable discussion about reconciliation, one participant wisely said, “Don’t freeze people in time.” He observed how we tend to remember mistakes people make and never grant them the opportunity to change.

There are so many moments in Peter’s life when God could have “frozen” him in time. But He never did. Peter—the impulsive disciple—“corrected” Jesus, earning a sharp rebuke from the Lord (MATTHEW 16:21–23). He famously denied Christ (JOHN 18:15–27), only to be restored later (21:15–19). And he once contributed to racial divisions within the church.

The issue arose when Peter (also called Cephas) had separated himself from the Gentiles (GALATIANS 2:11–12). Only recently he associated freely with them. But some Jews arrived who insisted that circumcision was required for believers in Christ, so Peter began avoiding the uncircumcised Gentiles. This marked a dangerous return to the law of Moses. Paul called Peter’s behavior “hypocrisy” (V 13). Because of Paul’s bold confrontation, the issue was resolved. Peter went on to serve God in the beautiful spirit of unity He intends for us.

No one needs to remain frozen in their worst moments. In God’s grace we can embrace each other, learn from each other, confront each other when it’s necessary, and grow together in His love.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Galatians 2:11–16
When Cephas came to Antioch, I opposed him to his face.
Galatians 2:11

Lord, draw us close to You today, so that we may also be closer to each other. Protect Your church’s unity. Give us understanding where there is distrust. Heal us where we are divided.

If we confront someone, we should have one goal in mind: restoration, not embarrassment.
CHUCK SWINDOLL

오늘의 말씀

08/25/2018     토요일

성경읽기: 시 119:1-88; 고전 7:20-40
찬송가: 215(통 354)

넉넉히 베푸는 사람들

교회 지도자들은 하나님께서 우리 교회가 세워진 이래 이루신 일들을 모두 회고한 후에, 우리 커뮤니티를 더 잘 섬기는데 도움이 될 새 체육관 건립 계획을 교인들에게 설명했습니다. 그들은 건축기금을 위한 약정서에 제일 먼저 서명하겠다고 했습니다. 나는 처음에는 이기적인 마음으로 기도하면서, 우리가 이미 작정한 헌금 외에는 더 헌금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남편과 나는 진행되는 건축 사업을 위해 기도는 계속 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다 하나님께서 계속해서 우리의 모든 필요를 채워주시는 것을 생각하게 되면서 마침내 매달 새로 헌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우리 교회 식구들의 헌금이 다 합쳐져 건축비 모두가 지불되었습니다.

개관식을 하고 사역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하나님은 감사하게도 다양한 방법으로 커뮤니티 행사에 이 체육관을 사용하셨습니다. 나는 넉넉히 베푼 다른 한 사람 다윗 왕이 생각났습니다. 주님은 그의 성전을 짓는 데 다윗 왕을 선택하지는 않으셨지만 다윗은 그 과업에 자신의 모든 자원을 투자했습니다(열왕기상 29:1-5). 왕 아래의 지도자들과 그들이 섬겼던 백성들도 모두 넉넉하게 바쳤습니다(6-9절). 왕은 그들이 바친 모든 것이 창조주이시고 운영하시는 분이시며 모든 것의 주인이신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먼저 주셨던 것임을 인정했습니다(10-16절).

우리는 모든 것이 하나님의 소유라는 것을 깨달을 때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위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넉넉하고 신실한 기부를 약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궁핍할 때 주님이 베푸시며, 나아가 다른 이들의 관대함까지 사용하셔서 우리를 도우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상 29:1-14
모든 것이 주께로 말미암았사오니 우리가 주의 손에서 받은 것으로 주께 드렸을 뿐이니이다
역대상 29:14

주님, 우리의 모든 것을 기꺼이 아낌없이 주께 드릴 때 모든 것이 주님 것임을 기억하게 하소서.

하나님은 먼저 주신다. 그리고 세상의 어느 고액헌금자보다 더 많이 베푸신다.

Daily Article

08/25/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 119:1–88 and 1 COR. 7:20–40
Hymn: 215(old 354)

Generous Givers

After reviewing all God had already done throughout our church’s history, leaders presented the congregation with a proposal for a new gym to help us better serve our community. The leadership team announced they’d be the first to sign pledge notes to fund the construction. I initially prayed with a heart soured by selfishness, not wanting to offer more money than we had already committed to give. Still, my husband and I agreed to pray for the ongoing project. While considering all God continued providing for us, we eventually decided on a monthly offering. The combined gifts of our church family paid for the entire building.

Grateful for the many ways God’s used that gym for community events since we celebrated opening its doors for ministry, I’m reminded of another generous giver—King David. Though the Lord didn’t choose him to build His temple, David invested all his resources to the project (1 CHRONICLES 29:1–5). The leaders under him and the people they served gave generously too (VV 6–9). The king acknowledged all they’d contributed had first been given to them by God—the Creator, Sustainer, and Owner of everything (VV 10–16).

When we recognize God owns it all, we can commit to grateful, generous, and faithful giving for the benefit of others. And we can trust the Lord will provide—and may even use the generosity of others to help us when we’re in need.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Chronicles 29:1–14
Everything comes from you, and we have given you only what comes from your hand.
1 Chronicles 29:14

Lord, please help us remember You own it all as we commit to giving You our all, willingly and selflessly.

God gives first, and He always outgives His most generous givers.

오늘의 말씀

08/24/2018     금요일

성경읽기: 시 116-118; 고전 7:1-19
찬송가: 438(통 495)

우리가 예수를 뵙고자 하나이다

장례식에서 기도를 한 후 강대상 아래를 내려다보니 “선생이여 우리가 예수를 뵙고자 하나이다”라는 요한복음 12장 21절 말씀이 새겨진 놋쇠 명판이 눈에 띄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가 눈물과 미소로 떠나보낸 그 여인에게서 어떻게 예수님을 보았는지를 생각해보니 아주 적절한 말씀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녀는 살면서 많은 험한 일과 절망에 부딪히면서도 예수님을 믿는 믿음을 포기한 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영이 그녀 안에 살아계셨기 때문에 우리는 예수님을 볼 수 있었습니다.

요한복음은 예수님이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뒤(요한복음 12:12-16 참조) 몇몇 헬라 사람들이 제자 중의 하나인 빌립에게 다가와 “선생이여 우리가 예수를 뵙고자 하나이다”(21절)라고 간청하는 것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아마도 예수님의 병 고침과 기적에 대해 관심이 많았겠지만 유대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성전 안마당에 들어갈 수가 없었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요청을 전달받고서 인자가 영광을 얻을 때가 왔도다(23절)라고 선언하셨습니다. 그것은 예수님이 많은 사람들의 죄를 대신해 죽을 것을 의미한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유대인들 뿐 아니라 이방인들(20절의 “헬라인”) 에게까지 다가가 그의 사명을 완수하려고 하시는데, 이제 그들이 예수님을 보게 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돌아가신 후 성령님을 보내셔서 제자들 안에 거하게 하셨습니다(14:16-17). 그래서 우리가 예수님을 사랑하고 섬길 때 주님이 우리의 삶 속에서 활동하시는 것을 봅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우리 주위의 사람들도 예수님을 보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2:20-26
그들이 빌립에게 가서 ......청하여 이르되 선생이여 우리가 예수를 뵙고자 하나이다 하니
요한복음 12:21

주 예수님, 주님이 오셔서 제 안에 사신다니 너무나 과분하고 놀랍습니다. 오늘 만나는 사람들과 이 놀라운 선물을 나눌 수 있게 도와주소서.

우리는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의 삶 속에서 예수님을 볼 수 있다.

Daily Article

08/24/2018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6–118 and 1 COR. 7:1–19
Hymn: 438(old 495)

We Would See Jesus

As I looked down at the pulpit where I was sharing prayers at a funeral, I glimpsed a brass plaque bearing words from John 12:21: “Sir, we would see Jesus” ( KJV ). Yes, I thought, how fitting to consider how we saw Jesus in the woman we were celebrating with tears and smiles. Although she faced challenges and disappointments in her life, she never gave up her faith in Christ. And because God’s Spirit lived in her, we could see Jesus.

John’s gospel recounts how after Jesus rode into Jerusalem (SEE JOHN 12:12–16), some Greeks approached Philip, one of the disciples, asking, “Sir, . . . we would like to see Jesus” (V 21). They were probably curious about Jesus’s healings and miracles, but as they weren’t Jewish, they weren’t allowed into the inner courts of the temple. When their request was passed along to Jesus, He announced that His hour had come to be glorified (V 23). And by that, He meant that He would die for the sins of many. He would fulfill His mission to reach not only the Jews but the Gentiles (the “Greeks” in verse 20), and now they would see Jesus.

After Jesus died, He sent the Holy Spirit to dwell in His followers (14:16–17). Thus as we love and serve Jesus, we see Him active in our lives. And, amazingly, those around us too can see Jesus!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ohn 12:20–26
They came to Philip...with a request. "Sir," they said, "we would like to see Jesus."
John 12:21

Lord Jesus Christ, I am humbled and amazed that You would come and live in me. Help me to share this amazing gift with those I meet today.

We can see Jesus in the lives of His followers.

오늘의 말씀

08/23/2018     목요일

성경읽기: 시 113-115; 고전 6
찬송가: 449(통 377)

오래 가는 행복

행복은 자기 방식대로 사는데서 온다고 하는 말을 종종 듣습니다. 그러나 이 말은 사실이 아닙니다. 그런 생각은 다만 공허와 염려와 마음의 고통에 이르게 할 뿐입니다.

W. H. 오든이라는 시인은 쾌락에서 도피처를 찾는 사람들을 관찰하였는데, 그들은 “귀신 나오는 숲에서 길 잃은 사람들 / 밤을 무서워하는 아이들 / 행복하거나 좋았던 기억이 없는 사람들”이라고 하였습니다.

시편 기자 다윗은 우리의 두려움과 불행을 치유하는 노래를 합니다. “내가 여호와께 간구하매 내게 응답하시고 내 모든 두려움에서 나를 건지셨도다”(시편 34:4). 행복이란 하나님의 방법대로 하는 것이고 이것은 매일 매일 증명되는 사실입니다. 다윗도 “그들이 주를 앙망하고 광채를 내었으니”(5절)라고 기록합니다. 이것은 해보면 알게 됩니다. 그래서 다윗이 “너희는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지어다”(8절)라고 한 것입니다.

우리는 “보면 믿게 된다.”라고 말합니다. 그것이 우리가 이 세상에서 사물을 알아가는 방식입니다. 증거를 보여주면 믿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믿으면 보게 된다.’라고 다르게 표현하십니다. “맛보아라 그러면 알게 될 것이다.”

주님의 말씀을 그대로 믿으십시오. 주님이 하라고 하시는 바로 그 일을 하면 알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은혜를 주셔서 올바른 일과 그 이상의 일을 하게 하실 것입니다. 그리고 유일한 선의 근원이신 주님 자신을 주셔서 그 선과 함께 영원한 행복을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4:1-14
생명을 사모하고 연수를 사랑하여 복 받기를 원하는 사람이 누구뇨......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며
시편 34:12,14

주님, 때로는 “내가 믿습니다. 나의 믿음 없음을 도와주소서.”라는 짧은 기도를 할 수밖에 없을 때가 있습니다. 주님을 믿고 오늘 우리에게 주신 일들을 행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옳은 일을 하는 것이 행복이다.

Daily Article

08/23/2018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3–115 and 1 CORINTHIANS 6
Hymn: 449(old 377)

An Enduring Happiness

Often we hear that happiness comes from doing things our own way. That, however, is not true. That philosophy leads only to emptiness, anxiety, and heartache.

Poet W. H. Auden observed people as they attempted to find an escape in pleasures. He wrote of such people: “Lost in a haunted wood, / Children afraid of the night / Who have never been happy or good.”

The psalmist David sings of the remedy for our fears and unhappiness. “I sought the LORD , and he answered me; he delivered me from all my fears” (PSALM 34:4). Happiness is doing things God’s way, a fact that can be verified every day. “Those who look to him are radiant,” writes David (V 5). Just try it and you’ll see. That’s what he means when he says,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V 8).

We say, “Seeing is believing.” That’s how we know things in this world. Show me proof and I’ll believe it. God puts it the other way around. Believing is seeing. “Taste and then you will see.”

Take the Lord at His word. Do the very next thing He is asking you to do and you will see. He will give you grace to do the right thing and more: He will give you Himself—the only source of goodness—and with it, enduring happiness.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Psalm 34:1–14
Whoever of you loves life and desires to see many good days....Turn from evil and do good.
Psalm 34:12,14

Lord, sometimes we must simply pray: “I believe. Help my unbelief.” Help us trust You by doing what You have given us to do today.

Happiness is doing the right thing.

오늘의 말씀

08/22/2018     수요일

성경읽기: 시 110-112; 고전 5
찬송가: 304(통 404)

하나님의 돌보심

나의 어린 손자들은 혼자 옷 입는 것을 좋아합니다. 셔츠를 거꾸로 입을 때가 있는가 하면 더 어린 손자는 신발을 오른쪽 왼쪽 바꾸어 신기도 합니다. 대체로 나는 아이들에게 이래라 저래라 할 생각이 없습니다. 오히려 아이들의 순진한 모습들이 사랑스럽기만 합니다.

나는 손자들의 눈을 통해 세상을 보기를 아주 좋아합니다. 아이들에게는 모든 것이 모험입니다. 넘어져 있는 나무 위를 끝까지 걸어가 보거나, 통나무 위에서 거북이가 햇볕을 쬐고 있는 것을 숨어서 바라보거나, 요란한 소리를 내며 지나가는 소방차를 신이 나서 바라보는 것들 말입니다. 그러나 나는 어린 손자들도 완전히 순진하지는 않다는 것을 압니다. 아이들은 왜 밤에 침대에 가만히 있지 못하는지에 대해 열 개도 넘는 변명을 지어낼 수 있고, 자기가 갖고 싶은 장난감을 망설이지도 않고 다른 아이에게서 빼앗기도 합니다. 그래도 나는 이 아이들을 너무나 사랑합니다.

나는 하나님이 지으신 첫 사람 아담과 하와도 어떤 면에서 나의 손주들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들이 하나님과 같이 동산을 거닐면서 본 것들은 분명 모두 다 경이로웠을 것입니다. 그러나 어느 날 자기들 마음대로 하나님께 불순종하여 먹지 말라고 한 나무의 과일을 먹었습니다(창세기 2:15-17; 3:6). 그리고 그 불순종은 곧 거짓말과 책임전가로 이어졌습니다(3:8-13).

그래도 하나님은 그들을 사랑으로 돌보셨습니다. 하나님은 동물들을 잡아 그들에게 옷을 만들어 입히시고(21절), 나중에는 자기 아들을 희생하여 모든 죄인에게 구원의 길을 마련해주셨습니다 (요한복음 3:16). 하나님은 그만큼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1-13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창세기 3:21

사랑하는 주님, 우리의 죄에도 불구하고 우리를 사랑하시고 주님과 영원히 함께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너무나 사랑하셔서 우리 죄를 위해 자신을 내어주셨다.

Daily Article

08/22/2018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0–112 and 1 CORINTHIANS 5
Hymn: 304(old 404)

God’s Care for Us

My young grandsons enjoy dressing themselves. Sometimes they pull their shirts on backwards and often the younger one puts his shoes on the wrong feet. I usually don’t have the heart to tell them; besides, I find their innocence endearing.

I love seeing the world through their eyes. To them, everything is an adventure, whether walking the length of a fallen tree, spying a turtle sunning itself on a log, or excitedly watching a fire truck roar by. But I know that even my little grandsons are not truly innocent. They can make up a dozen excuses about why they can’t stay in their beds at night and are quick to yank a wanted toy from the other. Yet I love them dearly.

I picture Adam and Eve, God’s first people, as being in some ways like my grandchildren. Everything they saw in the garden must have been a marvel as they walked with God. But one day they willfully disobeyed. They ate of the one tree they were forbidden to eat (GENESIS 2:15–17; 3:6). And that disobedience immediately led to lies and blame-shifting (3:8–13).

Still, God loved and cared for them. He sacrificed animals in order to clothe them (V 21)—and later He provided a way of salvation for all sinners through the sacrifice of His Son (JOHN 3:16). He loves us that much!
ALYSON KIEDA

Today's Reading

Genesis 3:1–13
The Lord God made garments of skin for Adam and his wife and clothed them.
Genesis 3:21

Dear Lord, thank You for loving us, despite our sin, and for making a way for us to be with You forever!

Jesus loves us so much He sacrificed Himself for our sins.

오늘의 말씀

08/21/2018     화요일

성경읽기: 시 107-109; 고전 4
찬송가: 484(통 533)

본향으로 향하게 하는 기도

어렸을 때 내가 처음으로 배운 기도 중 하나는 “저 이제 자려고 누웠습니다. 주님께서 제 영혼을 지켜주시길 기도합니다......”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기도는 부모님에게서 배운 것인데 다시 내 어린 아들 딸에게도 가르쳐주었습니다. 어렸을 때 나는 잠들기 전에 그 기도와 함께 나를 하나님 손에 맡기면서 큰 평안을 얻었습니다.

이와 비슷한 기도가 성경의 “기도의 책”이라 불리는 시편 곳곳에 있습니다. 어떤 성경학자들은 “내가 나의 영을 주의 손에 부탁하나이다”(시편 31:5)라는 구절은 예수님 당시 어린아이들에게 가르쳤던 “잠자리” 기도였을 것이라고 합니다.

이 기도는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하신 마지막 외침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 기도에 “아버지여”라는 말을 하나 더 덧붙이셨습니다(누가복음 23:46). 예수님은 돌아가시기 직전에 그런 기도를 드림으로써 하나님 아버지와의 친밀한 관계를 보이셨고, 믿는 사람들에게 주님과 함께 있을 그들의 본향을 바라보게 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4:3).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우리는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과의 놀라운 관계 속에 살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를 위해 희생하신 예수님의 사랑 때문에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로 그분의 보살핌 아래 편히 쉴 수 있다는 것을 알 때 큰 위로가 됩니다!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를 지켜보시고 우리를 깨워 주님과 함께 살게 하겠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이제 아무 두려움 없이 눈을 감을 수 있습니다(데살로니가전서 4:14).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44-48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요한복음 1:12

주 예수님, 십자가를 통해 주님이 주시는 용서의 선물을 받습니다. 본향에 이르기까지 늘 죄에서 돌이켜 주님을 따를 수 있게 도와주소서.

예수님 안에서 밝은 새 아침이 우리를 기다린다.

Daily Article

08/21/2018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7–109 and 1 CORINTHIANS 4
Hymn: 484(old 533)

A Prayer to Point Us Home

One of the first prayers I learned as a little boy was “Now I lay me down to sleep, I pray the Lord my soul to keep . . .” It was a prayer I learned from my parents, and I taught it to my son and daughter when they were little. As a child, I found great comfort in placing myself in God’s hands with those words before I fell asleep.

There’s a similar prayer neatly tucked away in the “prayer book” of the Bible, the Psalms. Some biblical scholars suggest that the phrase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PSALM 31:5) was a “bedtime” prayer taught to children in Jesus’s day.

You may recognize that prayer as Jesus’s final cry from the cross. But Jesus added one more word to it: Father (LUKE 23:46). By praying that word in the moments before His death, Jesus demonstrated His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and pointed believers toward their home with Him (JOHN 14:3).

Jesus died on the cross so we could live in the wonder of a relationship with God as our heavenly Father. How comforting it is to know that because of Jesus’s sacrificial love for us, we can rest in God’s care as His children! We can close our eyes without fear because our Father watches over us and has promised to wake us up to life with Him (1 THESSALONIANS 4:14).
JAMES BANKS

Today's Reading

Luke 23:44–48
Yet to all who did receive him, to those who believed in his name, he gave the right to become children of God.
John 1:12

Lord Jesus, I receive the gift of forgiveness You offer me through the cross. Help me to turn from my sins and follow You, all the way home.

A bright new morning awaits us in Jesus.

오늘의 말씀

08/20/2018     월요일

성경읽기: 시 105-106; 고전 3
찬송가: 171(통 157)

진행 중 아니면 완료?

일을 잘 끝내고나면 만족감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내가 매달 하는 일 가운데 하나쯤은 한 단계 발전하여 “진행 중”에서 “완료”로 바뀌는데 “완료” 버튼을 누를 때에는 기분이 참 좋습니다. 그런데 지난 달 그 “완료” 버튼을 누르며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내 믿음 생활에서도 힘든 부분을 이렇게 쉽게 이겨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리스도인의 삶은 완료가 없고 언제나 진행 중인 것 같군.’

그때 히브리서 10장 14절 말씀이 떠올랐습니다. 이 구절은 그리스도의 희생이 어떻게 우리를 온전히 구원하시는가를 설명합니다. 거기엔 우리를 위해 그 “완료 버튼”이 눌러졌다는 중요한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예수님의 죽음은 우리 힘으로 할 수 없는 것을 우리에게 이루어주었습니다. 예수님은 그를 믿는 사람들을 하나님 앞에 합당한 존재가 되게 하셨습니다. 다 이루었다 하신 예수님 말씀 그대로입니다(요한복음 19:30). 그러나 역설적인 것은 예수님의 완전하고 전적인 희생이 있었음에도 우리는 히브리서 저자의 말처럼 실제로 “거룩하게 되는” 영적 과정을 남은 일생 동안 살아내야 합니다.

예수님이 다 이루신 것이 우리의 삶 속에서 아직도 이루어져가고 있다는 사실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 세상에서 그렇게 살아가는 것은 아직 “진행 중”이긴 하지만, 영적으로 힘들 때에 나와 모두를 위해 예수님의 희생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힘이 됩니다. 우리를 예수님 닮는데 까지 변화시키시려는 그분의 최종 목적은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이루어질 것입니다(고린도후서 3:18 참조).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0:5-14
그가 거룩하게 된 자들을 한 번의 제사로 영원히 온전하게 하셨느니라
히브리서 10:14

예수님, 우리를 위해 돌아가신 것 감사드립니다. 주님을 신뢰하며 주님이 우리를 완전하게 하시는 분임을 알고 주님을 닮아가는 제자로 자라가게 하소서.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이 바라시는 모습으로 만드시려고 역사하고 계신다.

Daily Article

08/20/2018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5–106 and 1 CORINTHIANS 3
Hymn: 171(old 157)

In Progress or Completed?

It’s satisfying to finish a job. Each month, for instance, one of my job responsibilities gets moved from one category to another, from “In Progress” to “Completed.” I love clicking that “Completed” button. But last month when I clicked it, I thought, If only I could overcome rough spots in my faith so easily! It can seem like the Christian life is always in progress, never completed.

Then I remembered Hebrews 10:14. It describes how Christ’s sacrifice redeems us totally. So in one important sense, that “completed button” has been pressed for us. Jesus’s death did for us what we couldn’t do for ourselves: He made us acceptable in God’s eyes when we place our faith in Him. It is finished, as Jesus Himself said (JOHN 19:30). Paradoxically, even though His sacrifice is complete and total, we spend the rest of our lives living into that spiritual reality—“being made holy,” as Hebrews' author writes.

The fact that Jesus has finished something that’s still being worked out in our lives is hard to understand. When I’m struggling spiritually, it’s encouraging to remember that Jesus’s sacrifice for me—and for you—is complete . . . even if our living it out in this life is still a work in progress . Nothing can stop His intended end from being achieved eventually: being transformed into His likeness (SEE 2 CORINTHIANS 3:18).
ADAM HOLZ

Today's Reading

Hebrews 10:5–14
For by one sacrifice he has made perfect forever those who are being made holy.
Hebrews 10:14

Jesus, thank You for giving Your life for us. Help us trust You as we grow into followers whose lives look more and more like Yours, knowing that You are the one who makes us complete.

God is at work to make us who He intends us to be.

오늘의 말씀

08/19/2018     주일

성경읽기: 시 103-104; 고전 2
찬송가: 79(통 40)

경이로운 창조주

나는 아마추어 사진작가로서 창조의 하나님의 면면을 카메라에 즐겨 담습니다. 섬세한 꽃잎들과 일출 일몰의 장관과 창공을 수놓는 구름과 총총히 빛나는 별들에서 나는 하나님의 손길을 봅니다.

또한 카메라의 강력한 확대 기능을 사용해서 주님이 창조하신 것들을 찍기도 합니다. 벚꽃나무에서 재잘거리는 다람쥐 들과 꽃들 사이를 날아다니는 형형색색의 나비들과 검은 바위가 널린 해변에서 햇볕을 쬐는 바다거북들의 스냅 사진을 찍습니다. 나는 이렇게 자기만의 독특한 모습들을 보면서 경이로운 창조주를 경배하게 됩니다.

하나님의 독특한 창조물들을 보고 감탄하며 찬양하는 하나님의 백성은 내가 처음이 아닙니다. 시편 104편의 기자는 자연 속에 있는 주님의 많은 예술품을 노래합니다(24절). 그는 “무수한 크고 작은 생명체들로 넘쳐나는 크고 넓은 바다”(25절)를 바라보면서 하나님이 자신의 걸작들을 항상 온전하게 돌보시는 것을 기뻐하고 있습니다 (27-31절). 그는 또 주위에 하나님이 주신 생명체들의 장엄함을 생각하면서 경배와 감사를 크게 노래합니다. “내가 평생토록 노래하며
내가 살아 있는 동안 내 하나님을 찬양하리로다”(33절).

참으로 아름답고 위대한 주님의 창조물을 자세히 보면 그분은 계획을 갖고 창조하시고 세밀한 것까지 관심을 기울이신 것을 보게 됩니다. 그래서 시편 기자처럼 우리도 창조주의 영원히 변함없는 권능과 장엄과 사랑에 감사와 찬송을 드리게 됩니다. 할렐루야!

오늘의 성구

시편 104:24-34
여호와여 주께서 하신 일이 어찌 그리 많은지 요 주께서 지혜로 그들을 다 지으셨으니 주께서 지으신 것들이 땅에 가득하니이다
시편 104:24

.

하나님의 작품들은 경이롭다. 하나님 또한 그러하시다.

Daily Article

08/19/2018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3–104 and 1 CORINTHIANS 2
Hymn: 79(old 40)

Marvelous Maker

As an amateur photographer, I enjoy capturing glimpses of God’s creativity with my camera. I see His fingerprints on each delicate flower petal, each vibrant sunrise and sunset, and each cloud-painted and star-speckled sky canvas.

My camera’s powerful zoom option allows me to take photos of the Lord’s creatures too. I’ve snapped shots of a chattering squirrel in a cherry blossom tree, a colorful butterfly flitting from bloom to bloom, and sea turtles sunning on a rocky, black beach. Each one-of-a-kind image prompted me to worship my marvelous Maker.

I’m not the first of God’s people to praise Him while admiring His unique creations. The writer of Psalm 104 sings of the Lord’s many works of art in nature (V 24). He regards “the sea, vast and spacious, teeming with creatures beyond number” (V 25) and rejoices in God for providing constant and complete care for His masterpieces (VV 27–31). Considering the majesty of the God-given life around him, the psalmist bursts
with worshipful gratitude: “I will sing to the LORD all my life; I will sing praise to my God as long as I live” (V 33).

While reflecting on the Lord’s magnificent and immense creation, we can look closely at His intentional creativity and attention to detail. And like the psalmist, we can sing to our Creator with thankful praise for how powerful, majestic, and loving He is and always will be. Hallelujah!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104:24–34
How many are your works, Lord! In wisdom you made them all; the earth is full of your creatures.
Psalm 104:24

.

God’s works are marvelous, and so is He.

오늘의 말씀

08/18/2018     토요일

성경읽기: 시 100-102; 고전 1
찬송가: 94(통 102)

하늘 정원

런던에 있는 동안 한 친구가 나와 아내 말린을 위해 하늘 정원을 가 볼 수 있게 주선해주었습니다. 런던 상업 지역의 35층 건물 최상층에 위치한 하늘 정원은 유리로 덮은 플랫폼으로 식물과 나무와 꽃들로 가득했습니다. 그러나 정원보다는 하늘에서 보는 광경이 우리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우리는 500피트(150미터)가 넘는 높이에서 성바오로 대성당과 런던 타워와 다른 곳들을 내려다보며 감탄했습니다. 우리가 살펴본 수도 런던은 놀라움 그 자체였습니다. 그리고 전체를 보아 아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우리 하나님은 우리가 겪는 일들을 모두 완벽하게 보고 계십니다. 시편 기자는 “여호와께서 그의 높은 성소에서 굽어보시며 땅을 살펴보셨으니 이는 갇힌 자의 탄식을 들으시며 죽이기로 정한 자를 해방하사”(시편 102:19-20)라고 썼습니다.

시편 102편에 나오는 비참한 사람들처럼 우리도 절망 가운데 “신음하며” 괴로움을 안고 현재라는 시간에 갇혀 살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의 삶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보고 계십니다. 우리 주님은 우리처럼 갑자기 닥쳐오는 일에 무방비로 당하시는 일은 없습니다. 시편 기자가 내다본 것처럼 모든 것을 다 보고 계시는 하나님은 “죽음에 처한” 사람들까지도 자유롭게 하시는 온전한 구원으로 인도하실 것입니다 (20,27-28절).

힘들 때에는 기억하십시오. 우리는 앞날을 몰라도 주님은 아십니다. 우리 앞의 모든 순간에 주님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2:1-2,18-28
여호와께서 그의 높은 성소에서 굽어보시며
시편 102:19

.

그리스도께 시선을 모으면 다른 모든 것이 잘 보인다.

Daily Article

08/18/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0–102 and 1 CORINTHIANS 1
Hymn: 94(old 102)

Sky Garden

While in London, a friend arranged for my wife Marlene and me to visit the Sky Garden. On the top floor of a thirty-five-story building in London’s business district, the Sky Garden is a glass-encased platform filled with plants, trees, and flowers. But the sky part captured our attention. We gazed down from a height of over 500 feet, admiring St. Paul’s Cathedral, the Tower of London, and more. Our views of the capital city were breathtaking—providing a helpful lesson on perspective.

Our God has a perfect perspective of everything we experience. The psalmist wrote, “For He looked down from His holy height; from heaven the LORD gazed upon the earth, to hear the groaning of the prisoner, to set free those who were doomed to death” (PSALM 102:19–20 NASB ).

Like the hurting people pictured in Psalm 102, we are often locked into the present with its struggles, “groaning” with despair. But God sees our lives from beginning to end. Our Lord is never caught off guard by the things that can blindside us. As the psalmist anticipated, His perfect perspective will lead to an ultimate rescue that sets free even those “doomed to death” (vv. 20, 27–28).

In difficult moments, remember: We may not know what is coming next, but our Lord does. We can trust Him with every moment that stretches before us.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102:1–2, 18–28
He looked down from His holy height.
Psalm 102:19 NASB

.

Focusing on Christ puts everything else into perspectiv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