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06/2018     목요일

성경읽기: 시 148-150; 고전 15:29-58
찬송가: 585(통 384)

헤치고 나아가기

보디빌딩 대회에 나가는 사람들은 엄격한 훈련과정을 거칩니다. 처음 몇 달은 근육과 힘을 키우는데 집중합니다. 그러다 시합 날짜가 가까워지면 근육을 가리는 지방을 없애는데 집중합니다. 대회 전 며칠 동안은 근육 조직이 잘 보이게 하기 위해 평상시보다 물을 적게 마십니다. 대회 출전자들은 영양 섭취를 줄였기 때문에 시합 날 힘이 넘쳐 보여도 사실은 그날이 가장 약한 때입니다
.
역대하 20장에서 우리는 이와는 정반대의 현실을 봅니다. 하나님의 힘을 경험하기 위해서 자신의 약함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큰 무리가 왕을 치러 오고 있습니다.”라고 백성들이 여호사밧 왕에게 말했습니다. 그러자 “그는 온 유다 사람에게 금식할 것을 공포하고”(3절) 그를 비롯해서 모든 백성들이 금식하도록 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하나님께 도움을 간구했습니다. 마침내 군대를 소집한 여호사밧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사람들을 군대의 앞에 세웠습니다(21절). 그들이 찬송하기 시작하자 “여호와께서 복병을 두어......유다를 치러온 그들을 치게 하시므로 그들이 패하였습니다” (22절).

여호사밧의 결정은 하나님에 대한 깊은 믿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의도적으로 자신의 인간적인 힘이나 군대의 용맹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님께 의지했습니다. 우리도 당면한 어려움을 우리 힘으로 헤쳐나아가기보다는 하나님께 의지하여 하나님이 우리의 힘이 되시도록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하 20:2-3,14-22
여호사밧이 두려워하 여 여호와께로 낯을 향 하여 간구하고 온 유다 백성들에게 금식하라 공포하매 역대하 20:3

.

하나님의 힘을 경험하려면 우리의 약함을 인정해야 한다.

Daily Article

09/06/2018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8–150 and 1 COR. 15:29–58
Hymn: 585(old 384)

Muscling Through

Competitive bodybuilders put themselves through a rigorous training cycle. During the initial months, they emphasize gaining size and strength. As the competition nears, the focus shifts to losing any fat that hides the muscle. In the final days before the competition, they consume less water than normal so their muscle tissue is easily visible. Because of the reduced consumption of nourishment, the competitors are actually at their weakest on the day of competition, despite appearing strong.

In 2 Chronicles 20, we read of the opposite reality: acknowledging weakness in order to experience God’s strength. “A vast army is coming against you,” people told King Jehoshaphat. So “he proclaimed a fast for all Judah” (V. 3), depriving himself and all his people of nourishment. Then they asked God for help. When he finally mustered his military, Jehoshaphat placed singers who praised God at the front of his army (V. 21). As they began to sing, the Lord “set ambushes against the men . . . who were invading Judah, and they were defeated” (V. 22).

Jehoshaphat’s decision demonstrated deep faith in God. He purposefully chose not to depend on his own human and military prowess but instead to lean on God. Rather than trying to muscle our way through the trials we face, may we turn to Him and allow Him to be our strength.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2 Chron. 20:2–3, 14–22
Alarmed, Jehoshaphat resolved to inquire of the LORD, and he proclaimed a fast for all Judah. 2 Chronicles 20:3

.

We must recognize our weakness to experience God’s strength.

오늘의 말씀

09/05/2018     수요일

성경읽기: 시 146-147; 고전 15:1-28
찬송가: 508(통 270)

다리 놓기

우리 동네에는 집집마다 높은 콘크리트 벽이 둘려 있습니다. 담벼락 위에는 전기가 흐르는 철조망을 설치한 곳도 많습니다. 물론 도둑이 들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자주 정전이 되는 것도 우리 동네의 문제입니다. 정전이 되면 정문에 있는 초인종이 소용없게 됩니다. 정전 중에는 높은 담 때문에 찾아오는 사람들이 뜨거운 햇빛이나 쏟아지는 비를 피하지 못하게 됩니다. 하지만 초인종이 작동되더라도 찾아온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들어갈 수도 있고 못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담을 세운 뜻은 좋지만 사람을 차별하는 담벼락이 되기도 합니다. 분명히 도둑이 아닌데도 말입니다.

우물가에서 예수님을 만난 사마리아 여인도 이와 비슷하게 차별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들과 전혀 상종하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이 사마리아 여인에게 물을 좀 달라 하시자 여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은 유대인으로서 어찌하여 사마리아 여자인 나에게 물을 달라 하나이까”(요한복음 4:9). 그러나 이 여인은 예수님께 마음을 열기 시작하면서 인생이 바뀌는 경험을 하게 되고 자신은 물론 이웃에게까지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39-42절). 예수님이 적개심과 편애의 벽을 무너뜨리는 다리가 되신 것입니다.

차별하려는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는 것이기에 우리는 그것을 염두에 두고 살아야 합니다. 예수님이 보여주신 것처럼 우리도 국적이나 사회적 신분, 평판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다가가야 합니다. 예수님은 다리를 놓으려고 오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4:7-14,39-42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 유인이나 남자나 여자 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 갈라디아서 3:28

주님, 사람들을 차별하지 말라고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의 눈을 통해 사람들을 바라봄으로 주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예수님은 차별의 벽을 무너뜨리신다.

Daily Article

09/05/2018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6–147 and 1 COR. 15:1–28
Hymn: 508(old 270)

Building Bridges

In our neighborhood, high concrete walls surround our homes. Many of these walls are enhanced with electric barbed wires lining the top. The purpose? To ward off robbers.

Frequent power outages are also a problem in our community. These outages render the front gate-bell useless. Because of the wall, a visitor may be kept out in the scorching sun or torrential rain during these outages. Yet even when the gate-bell works, to admit the visitor might depend on who they are. Our fence-walls serve a good purpose, but they can become walls of discrimination—even when the visitor is obviously not an intruder.

The Samaritan woman whom Jesus met at the well had a similar difficulty with discrimination. The Jews had nothing to do with Samaritans. When Jesus asked her for a drink, she said, “You are a Jew and I am a Samaritan woman. How can you ask me for a drink?” (JOHN 4:9). As she began to open up to Jesus, she had a life-changing experience that positively affected her and her neighbors (VV. 39–42). Jesus became the bridge that broke the wall of hostility and favoritism.

The lure to discriminate is real, and we need to identify it in our lives. As Jesus showed us, we can reach out to all people regardless of nationality, social status, or reputation. He came to build bridges. LAWRENCE DARMANI

Today's Reading

John 4:7–14, 39–42
There is neither Jew nor Gentile, neither slave nor free, nor is there male and female, for you are all one in Christ Jesus. Galatians 3:28

Lord, thank You for teaching me not to discriminate among people. Help me to see people through Your eyes so that I may honor You.

Jesus breaks down the walls of discrimination.

오늘의 말씀

09/04/2018     화요일

성경읽기: 시 143-145; 고전 14:21-40
찬송가: 304(통 404)

별을 너머

2011년 미항공우주국이 우주탐사를 시작한지 3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그 30년 동안 355명이 넘는 사람들이 우주왕복선을 타고 우주에 다녀왔고, 또 국제 우주정거장 설립에 참여했습니다. 미항공우주국은 그동안 사용했던 다섯 개의 우주왕복선을 퇴역시키고, 이제 우주의 아주 깊숙한 곳을 탐사하기로 목표를 바꾸었습니다.

인류는 이처럼 광대한 우주를 연구하기 위해 엄청난 시간과 자원을 투자해왔으며 때로는 우주인들의 귀한 목숨을 희생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장엄하심을 증명하는 이 우주는 우리가 측량할 수 없을 만큼 뻗어 있습니다.

별들의 수효대로 이름을 아시는(이사야 40:26), 온 우주의 창조주이자 그 우주를 운행하시는 주님을 생각해볼 때 시편을 쓴 다윗이 왜 그토록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찬양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시편 8:1). “주께서 베풀어 두신 달과 별들”(3절)에는 주님의 손자국이 남아 있습니다. 하늘과 땅을 창조하신 하나님은 위에서 모든 것들을 다스리시지만, 또한 그분의 귀한 자녀들 곁에 가까이 계시며 일일이 친밀하게 돌보십니다 (4절). 하나님은 사랑으로 우리에게 하나님이 맡겨주신 이 세상을 돌보고 탐구할 수 있는 큰 능력과 책임과 특권을 주셨습니다(5-8절).

창조주 하나님은 우리가 밤하늘을 수놓는 무수한 별들을 탐구하면서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하나님을 찾으라고 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입술에서 나오는 모든 기도와 찬양을 들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8:1-9
주의 영광이 하늘을 덮었나이다 시편 8:1

우주의 창조자이신 사랑의 하나님, 우리를 생각해주시니 감사를 드립니다.

하나님의 위대하심은 놀랍도록 광대하면서도 또한 바로 옆에서 우리를 돌보신다는 데에 분명히 드러난다.

Daily Article

09/04/2018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3–145 and 1 COR. 14:21–40
Hymn: 304(old 404)

Beyond the Stars

In 2011,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ssociation celebrated thirty years of space research. In those three decades, shuttles carried more than 355 people into space and helped construct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After retiring five shuttles, NASA has now shifted its focus to deep space exploration.

The human race has invested massive amounts of time and money, with some astronauts even sacrificing their lives, to study the immensity of the universe. Yet the evidence of God’s majesty stretches far beyond what we can measure.

When we consider the Sculptor and Sustainer of the universe who knows each star by name (ISAIAH 40:26), we can understand why the psalmist David praises His greatness (PSALM 8:1). The Lord’s fingerprints are on “the moon and the stars, which [He] set in place” (V. 3). The Maker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reigns above all, yet He remains near all His beloved children, caring for each intimately and personally (V. 4). In love, God gives us great power, responsibility, and the privilege to care for and explore the world He’s entrusted to us (VV. 5–8).

As we study our star-spattered night skies, our Creator invites us to seek Him with passion and persistence. He hears every prayer and song of praise flowing from our lips.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8:1–9
You have set your glory in the heavens. Psalm 8:1

Loving Creator of the universe, thank You for being mindful of us.

The greatness of God is evident in His awesome vastness and intimate nearness.

오늘의 말씀

09/03/2018     월요일

성경읽기: 시 140-142; 고전 14:1-20
찬송가: 543(통 342)

본향 길을 찾아서

때로는 사는 것이 너무 힘들어 그저 막막하고 한없이 캄캄하게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우리 가족이 그런 처지에 있던 어느 날 아침, 아내가 경건의 시간을 가지면서 얻은 교훈을 이렇게 말했습니다. “제 생각에 하나님은 ‘우리가 어려울 때 배운 것들을 편안해진 후에 잊지 말라’고 하시는 것 같아요.”

바울은 동역자들과 함께 아시아에서 겪은 고난들을 이야기하면서 고린도의 신자들에게 이와 똑같은 생각을 전하고 있습니다(고린도후서 1장). 바울은 하나님이 어떻게 우리를 가장 힘든 순간에서 건져내실 수 있는지 고린도의 신자들이 이해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위로를 받았으니 우리도 이제 다른 사람들을 위로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4절). 바울과 그의 동역자들은 고난 가운데 배웠던 것들을 가지고 비슷한 어려움에 처한 고린도의 신자들을 위로하고 충고하는데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듣고자 하면 하나님은 우리에게도 가르쳐 주십니다. 주님은 우리를 고난에서 구하셔서 우리가 고난 중에 배운 것들을 다른 사람들을 보살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십니다.

지금 고난 중에 있습니까? 바울의 말과 경험에서 힘을 얻으십시오. 하나님이 지금 당신의 발걸음을 인도하시며, 또 당신과 비슷한 상황에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나눌 수 있게 고난의 진정한 의미를 당신 마음에 새기고 계시다는 것을 믿으십시오. 한번 경험해본 당신은 이제 본향으로 향하는 길도 알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3-11
[하나님은] 우리의 모 든 환난 중에서 우리 를 위로하사 우리로 하 여금 하나님께 받는 위 로로써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 하게 하시는 이시로다 고린도후서 1:4

하나님 아버지, 오늘 고통 중에 있는 자들이 그 극심한 고난 가운데에서 하나님의 사랑의 임재를 보고 알 수 있게 하소서.

어려울 때 배운 것들을 편안해진 후에 결코 잊지 말라.

Daily Article

09/03/2018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0–142 and 1 COR. 14:1–20
Hymn: 543(old 342)

Finding the Way Home

Sometimes this journey through life can be so difficult that we’re simply overwhelmed, and it seems there’s no end to the darkness. During such a time in our own family’s life, my wife emerged one morning from her quiet time with a new lesson learned. “I think God wants us not to forget in the light what we’re learning in this darkness. ”

Paul writes this same thought to the Corinthians (2 CORINTHIANS 1), after describing the terrible difficulties he and his team endured in Asia. Paul wants the Corinthians to understand how God can redeem even our darkest moments. We’re comforted, he says, so we may learn how to comfort others (V. 4). Paul and his team were learning things from God during their trials that they could use to comfort and advise the Corinthians when they faced similar difficulties. And God does that for us as well, if we’re willing to listen. He will redeem our trials by teaching us how to use what we’ve learned in them to minister to others.

Are you in the darkness now? Be encouraged by Paul’s words and experience. Trust that God is right now directing your steps and that He’s also stamping His truths on your heart so you can share them with others who are in similar circumstances. You’ve been there before, and you know the way home. RANDY KILGORE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3–11
[God] comforts us in all our troubles, so that we can comfort those in any trouble with the comfort we ourselves receive from God. 2 Corinthians 1:4

Father, help those who are hurting today so they may see and know Your loving presence in their darkest hours.

Never forget in the light what you learn in the darkness.

오늘의 말씀

09/02/2018     주일

성경읽기: 시 137-139; 고전 13
찬송가: 336(통 383)

여정을 걸어갈 힘

그리스도인의 삶을 우화적으로 그린 고전 작품, ‘높은데서 사슴처럼’이라는 책은 하박국 3장 19절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두려움’이라는 이름의 여인은 ‘목자’ 와 함께 여정을 떠납니다. 그러나 ‘두려움’은 너무나 무서워 ‘목자’에게 자기를 안고 걸어가 달라고 부탁합니다.

‘목자’는 부드럽게 대답합니다. “네가 걸어 올라가지 않고 내가 너를 저 ‘높은 곳’ 까지 안고 갈 수도 있어. 하지만 그러면 넌 사슴같이 튼튼한 발을 갖지 못하게 될 것이고 내가 가는 곳에 늘 동행할 수가 없게 된단다.”

‘두려움’은 구약의 하박국 선지자가 물었던 것과 똑같은 질문을 합니다 (그리고 솔직히 나의 질문이기도 합니다). “왜 내가 고통을 당해야 합니까?” “내 인생은 왜 이렇게 고달픕니까?”

하박국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배 당하기 전, 기원전 7세기 말에 유다왕국에 살았습니다. 선지자는 사회적 불의가 만연하고 임박한 바벨론의 침공 앞에서 두려움에 꼼짝 못하고 있는 세상을 보았습니다(하박국 1:2-11). 그는 주님께 친히 간섭하셔서 고통을 제거해달라고 간구했습니다(1:13). 하나님은 주님의 때에 공의로 다스리시겠다고 대답하셨습니다(2:3).

하박국은 믿음으로 주님을 신뢰하기로 했습니다. 비록 고통은 끝나지 않았지만 선지자는 하나님께서 계속 그의 힘이 되어주실 것을 믿었습니다.

우리도 이처럼 하나님이 우리의 힘이 되어 고통을 인내하게 하시고, 또 우리 삶의 여정에서 가장 힘든 때에 그리스도와 더욱 깊은 교제를 갖게 하시는 위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하박국 3:16-19
주 여호와는 나의 힘이 시라 나의 발을 사슴과 같게 하사 나를 나의 높은 곳으로 다니게 하시리로다 하박국 3:19

하나님, 때로는 저의 고통이 너무 심해 견디기가 어렵습니다. 주님을 신뢰하며 주님과 함께 이 여정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몹시 힘든 때에도 주님께서 우리의 힘이 되어주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다.

Daily Article

09/02/2018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7–139 and 1 CORINTHIANS 13
Hymn: 336(old 383)

Strength for Your Journey

Hinds Feet on High Places, a classic allegory of the Christian life, is based on Habakkuk 3:19. The story follows the character Much-Afraid as she goes on a journey with the Shepherd. But, Much-Afraid is scared so she asks the Shepherd to carry her.

The Shepherd kindly replies, “I could carry you all the way up to the High Places myself, instead of leaving you to climb there. But if I did, you would never be able to develop hinds’ feet, and become my companion and go where I go.”

Much-Afraid echoes the questions of the Old Testament prophet Habakkuk (and if I’m honest, my questions too): “Why must I experience suffering?” “Why is my journey difficult?”

Habakkuk lived in Judah in the late seventh century bc before the Israelites were taken into exile. The prophet found himself in a society that overlooked social injustice and was immobilized by the fear of imminent invasion by the Babylonians (HABAKKUK 1:2–11). He asked the Lord to intervene and remove suffering (1:13). God replied that He would act justly but in His timing (2:3).

In faith, Habakkuk chose to trust the Lord. Even if the suffering did not end, the prophet believed that God would continue to be his strength.

We too can take comfort that the Lord is our strength to help us endure suffering and will also use the most challenging of life’s journeys to deepen our fellowship with Christ. LISA SAMRA

Today's Reading

Habakkuk 3:16–19
The Sovereign LORD is my strength; he makes my feet like the feet of a deer, he enables me to tread on the heights. Habakkuk 3:19

God, sometimes my suffering seems too much to bear. Help me to trust You and continue to walk with You on this journey.

We can trust the Lord to be our strength in tough times.

오늘의 말씀

09/01/2018     토요일

성경읽기: 시 135-136; 고전 12
찬송가: 565(통 300)

경찰관 미이오의 마음

경찰서로 돌아온 미이오 순경은 너무나 지쳐 벽에 기대섰습니다. 그는 가정폭력 신고를 받고 나가 한 나절을 시달리고 돌아왔습니다. 그 사건으로 여인과 동거하던 남자는 구류되고 어린 딸은 응급실로 실려갔습니다. 엄마는 어쩌다 이렇게 되었는지 어쩔 줄 몰라 했습니다. 이 사건 때문에 그 젊은 경찰관은 오래도록 힘들어 했습니다.

그의 상사가 “빅, 자네도 어쩔 수 없었던 일이잖나.”라며 위로의 말을 해 주었지만 그 말은 공허하게만 들렸습니다. 어떤 경찰관들은 퇴근과 동시에 직장에서 있었던 일을 다 잊는 것 같지만, 빅 미이오는 그러질 못합니다. 이번처럼 힘든 경우는 더욱 그렇습니다.

경찰관 미이오의 마음은 남의 고통을 함께 아파하시는 예수님의 마음을 보여 줍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주님께 와서 “천국에서는 누가 크니이까”(마태복음 18:1) 라고 물었습니다. 예수님은 한 어린아이를 데려오라 하시고는 제자들에게 “너희가 돌이켜 어린아이들과 같이 되지 아니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3절)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누구든지 어린아이에게 해를 가하는 자들에게 준엄한 경고를 하셨습니다 (6절). 사실 어린아이들은 예수님께 아주 특별했습니다. 주님은 “저희 천사들이 하늘에서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얼굴을 항상 뵈옵느니라” (10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어린아이들을 향한 예수님의 사랑이 우리 모두를 향한 그의 사랑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 모릅니다! 그래서 예수님이 우리를 어린아이 같은 믿음으로 주님의 아들과 딸이 되라고 부르시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8:1-10
삼가 이 소자 중에 하나도 업신여기지 말라 너희에게 말하노 니 저희 천사들이 하늘에서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얼굴을 항상 뵈옵느니라 마태복음 18:10

주님, 우리가 어린아이와 같은 믿음으로 주님께 나아갈 때 주님이 아이들을 사랑하시는 것처럼 우리도 아이들을 사랑할 수 있도록 늘 일깨워주소서.

이 땅의 가족은 우리를 실망시킬지라도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결코 그러지 않으신다.

Daily Article

09/01/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5–136 and 1 CORINTHIANS 12
Hymn: 565(old 300)

Officer Miglio’s Heart

Back at the police station, Officer Miglio slumped wearily against a wall. A domestic violence call had just consumed half his shift. Its aftermath left a boyfriend in custody, a young daughter in the emergency room, and a shaken mother wondering how it had come to this. This call would wear on the young officer for a long time.

“Nothing you could do, Vic,” said his sergeant sympathetically. But the words rang hollow. Some police officers seem able to leave their work at work. Not Vic Miglio. Not the tough cases like this one.

Officer Miglio’s heart reflects the compassion of Jesus. Christ’s disciples had just come to Him with a question: “Who, then, is the greatest in the kingdom of heaven?” (MATTHEW 18:1). Calling a small child to Him, He told His disciples, “Unless you change and become like little children, you will never enter the kingdom of heaven” (V. 3). Then He gave a stern
warning to anyone who would harm a child (V. 6). In fact, children are so special to Him that Jesus told us, “Their angels in heaven always see the face of my Father in heaven” (V. 10).

How comforting, then, that Jesus’s love for children is connected to His love for us all! That’s why He invites us, through childlike faith, to become His sons and daughters.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tthew 18:1–10
See that you do not despise one of these little ones. For I tell you that their angels in heaven always see the face of my Father in heaven. Matthew 18:10

Remind us always, Lord, to love children as You love them, even as we come to You with the trusting faith of a small child.

Our earthly families may fail us, but our heavenly Father never will.

오늘의 말씀

08/31/2018     금요일

성경읽기: 시 132-134; 고전 11:17-34
찬송가: 263(통 197)

구조 요청

2016년 한 해 동안 뉴욕시에서 엘리베이터 사고로 5명이 목숨을 잃고 51명이 부상을 당하자, 시 당국은 침착하고 안전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광고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캠페인은 가장 나쁜 경우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람들이 스스로 자신을 구하려고 애를 쓰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당국이 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냥 “벨을 누르고, 진정하고, 기다리라.”는 것입니다. 뉴욕의 빌딩 관리 당국은 사람들을 다치지 않게 보호하고 위기에서 구조할 수 있는 신속한 대응체제를 갖추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사 도 행 전 에 서 베 드 로 는 우리가 스스로를 구원하려고 하는 잘못에 대해 설교를 하였습니다. 사도행전을 쓴 누가는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이 자기들도 모르는 언어로 말하는 놀라운 사건들을 기록합니다(사도행전 2:1-12). 베드로는 일어나 자신의 유대인 형제자매들에게 그들이 목격한 것은 성령의 부으심과 구원의 날에 대한 구약의 예언(요엘 2:28-32)이 성취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죄와 죄의 결과로부터 구원 받기 위해 예수님을 찾는 사람들 속에 이제 성령님이 축복하시는 것을 눈으로 본 것입니다. 그리고 베드로는 이 구원은 누구에게나 가능하다는 것을 그들에게 말해주었습니다(21절). 우리는 율법을 지켜서가 아니라 예수님을 주님과 메시아로 믿음으로써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죄에 갇혀 있는 사람은 스스로를 구원할 수 없습니다. 구원 받는 유일한 소망은 예수님을 주님과 메시아로 인정하고 믿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14-21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받으리라
사도행전 2:21

당신을 죄에서 구해달라고 예수님께 간구했습니까?

구원은 예수님께 도와달라고 간구하는 사람들에게 찾아온다.

Daily Article

08/31/2018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2–134 and 1 COR. 11:17–34
Hymn: 263(old 197)

Call for Help

After five deaths and fifty-one injuries in elevator accidents in 2016, New York City launched an ad campaign to educate people on how to stay calm and be safe. The worst cases were people who tried to save themselves when something went wrong. The best plan of action, authorities say, is simply, “Ring, relax, and wait.” New York building authorities made a commitment to respond promptly to protect people from injury and extract them from their predicament.

In the book of Acts, Peter preached a sermon that addressed the error of trying to save ourselves. Luke, who wrote the book, records some remarkable events in which believers in Christ were speaking in languages they did not know (ACTS 2:1–12). Peter got up to explain to his Jewish brothers and sisters that what they were witnessing was the fulfillment of an ancient prophecy (JOEL 2:28–32)—the outpouring of the Spirit and a day of salvation. The blessing of the Holy Spirit was now visibly seen in those who called on Jesus for rescue from sin and its effects. Then Peter told them how this salvation is available for anyone (V 21). Our access to God comes not through keeping the Law but through trusting Jesus as Lord and Messiah.

If we are trapped in sin, we cannot save ourselves. Our only hope for being rescued is acknowledging and trusting Jesus as Lord and Messiah.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Acts 2:14–21
Everyone who calls on the name of the Lord will be saved.
Acts 2:21

Have you called on Jesus to rescue you from your sin?

Rescue comes to those who call on Jesus for help.

오늘의 말씀

08/30/2018     목요일

성경읽기: 시 129-131; 고전 11:1-16
찬송가: 204(통 379)

반석 위의 집

친구들이 몇 년 동안 자기들 집에서 생활하다가 집의 거실이 점점 내려앉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벽에 균열이 생기고 창문이 이전처럼 열리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이 거실이 기초공사 없이 추가로 지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부실 공사를 바로 잡으려면 건축업자를 불러 몇 달에 걸쳐 기초공사를 새로 해야 했습니다.

공사가 끝난 후 나중에 내가 찾아가 보니 (갈라졌던 틈이 사라지고 창문은 열리게 되었지만)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튼튼한 기초가 중요하다는 것을 나는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우리 삶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수님은 그의 말씀에 귀 기울이지 않는 어리석음을 설명하시기 위해 지혜로운 건축자와 어리석은 건축자를 비유로 들어 말씀하셨습니다(누가복음 6:46-49). 주님의 말씀을 듣고 순종하는 사람들은 말씀을 듣고도 무시하는 사람들과는 달리 견고한 기반 위에 집을 짓는 사람과 같습니다. 예수님은 폭풍우가 와도 그들의 집은 든든히 서 있을 것이라고 확실히 말씀하셨습니다. 그들의 믿음은 흔들리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순종하면 주님이 우리 삶의 기초를 견고히 마련하시기 때문에 평안을 누릴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성경을 읽고 기도하고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서 배우면서 주님을 향한 사랑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습니다. 배신이나 고통이나 절망 같이 우리를 때리는 폭우를 만나도 우리의 기반은 견고하다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우리의 구세주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으로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6:46-49
큰 물이 나서 탁류가 그 집에 부딪치되 잘 지었기 때문에 능히 요동하지 못하게 하였거니와
누가복음 6:48

주 하나님, 반석 위에 집을 짓고 싶습니다. 나의 든든한 기초는 주님 안에 있으며 주의 말씀이 제게 지혜와 힘이 된다는 것을 알게 하소서.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순종하면 우리 삶에 든든한 기초를 갖추게 된다.

Daily Article

08/30/2018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9–131 and 1 COR. 11:1–16
Hymn: 204(old 379)

The House on the Rock

After living in their house for several years, my friends realized that their living room was sinking—cracks appeared on the walls and a window would no longer open. They learned that this room had been added without a foundation. Rectifying the shoddy workmanship would mean months of work as builders laid a new foundation.

They had the work done, and when I visited them afterwards, I couldn’t see much difference (although the cracks were gone and now the window opened). But I understood that a solid foundation matters.

This is true in our lives as well.

Jesus shared a parable about wise and foolish builders to illustrate the folly of not listening to Him (LUKE 6:46–49). Those who hear and obey His words are like the person who builds a house on a firm foundation, unlike those who hear but ignore His words. Jesus assured His listeners that when the storms come, their house would stand. Their faith would not be shaken.

We can find peace knowing that as we listen to and obey Jesus, He forms a strong foundation for our lives. We can strengthen our love for Him through reading the Bible, praying, and learning from other Christians. Then when we face the torrents of rain lashing against us—whether betrayal, pain, or disappointment—we can trust that our foundation is solid. Our Savior will provide the support we need.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uke 6:46–49
When a flood came, the torrent struck that house but could not shake it, because it was well built.
Luke 6:48

Lord God, I want to build my house on a rock. Help me to know that my solid foundation rests in You, with Your Word giving me wisdom and strength.

Hearing and obeying Jesus gives our lives a strong foundation.

오늘의 말씀

08/29/2018     수요일

성경읽기: 시 126-128; 고전 10:19-33
찬송가: 304(통 404)

나를 사랑하신다고요?

나는 십대 때 어머니의 권위에 대항하는 전형적인 반항기를 거쳤습니다. 아버지는 내가 사춘기가 되기 전에 돌아가셔서 어머니가 아버지의 도움 없이 혼자서 힘들게 양육이라는 파도를 헤쳐 나가야 했습니다.

엄마가 나에게 안된다는 말을 자주하셨기 때문에, 엄마는 내가 즐거워하는 것도 원치 않고, 어쩌면 나를 사랑하지도 않는다고 생각했던 것을 기억합니다. 그러나 지금은 엄마가 나한테 해로운 것을 못하게 했던 이유는 바로 나를 사랑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압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바빌론에 잡혀 갔던 세월 때문에 하나님이 그들을 얼마나 사랑하시는지 의문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그 포로 생활은 하나님께 끊임없이 반항하는 그들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이제 하나님은 그들에게 말라기 선지자를 보내셨습니다. 그가 전한 하나님의 말씀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내가 너희를 사랑하였노라”(말라기 1:2). 그런데 이스라엘 백성들은 마치 “그게 정말입니까?”라고 하듯 하나님이 어떻게 그들을 사랑하였느냐고 회의적으로 반응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말라기를 통해서 그 사랑을 어떻게 보여주셨는지를 말씀해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에돔 사람들을 놔두고 그들을 선택하셨던 것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살면서 힘든 시기를 지나며 그때에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의심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이 한결같은 사랑으로 보여주신 수많은 일들을 회상해봅시다. 우리가 멈추어 하나님의 선하심을 깊이 생각해보면 그분은 진실로 사랑의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말라기 1:1-5
주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나이까
말라기 1:2

주님, 주님은 제 삶의 모든 과정을 언제나 다정하게 보살펴주시고 힘든 시절에는 제 곁에 계셔주셨습니다. 주님의 사랑을 언제나 잊지 않게 도와주소서.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는 우리를 바로 잡아주시고 위로해주신다.

Daily Article

08/29/2018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6–128 and 1 COR. 10:19–33
Hymn: 304(old 404)

You Love Me?

As a teenager, I went through the typical season of rebellion against my mother’s authority. My father died before I entered adolescence, so my mom had to navigate these turbulent parenting waters without his help.

I recall thinking that Mom didn’t want me to ever have any fun—and maybe didn’t even love me—because she frequently said no. I see now that she said no to activities that weren’t good for me precisely because she loves me.

The Israelites questioned how much God loved them because of their time in captivity in Babylon. But that captivity was God’s correction for their continued rebellion against Him. So now, God sent the prophet Malachi to them. His opening words from the Lord were, “I have loved you” (MALACHI 1:2). Israel replied skeptically, inquiring as to how God has loved them, as if to say, “Really?” But God, through Malachi, reminded them of the way He had demonstrated that love: He had chosen them over the Edomites.

We all go through difficult seasons in life. We may be tempted to question God’s love for us during those times. Let’s recall the many ways He’s shown us His unfailing love. When we stop to consider His goodness, we find that He is indeed a loving Father.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Malachi 1:1–5
How have you loved us?
Malachi 1:2

Lord, You have shown tender care for me over the course of my life. You’ve been present with me in difficult seasons. Help me to always remember Your love.

Our heavenly Father corrects us and comforts us.

오늘의 말씀

08/28/2018     화요일

성경읽기: 시 123-125; 고전 10:1-18
찬송가: 588(통 307)

신뢰하기를 배움

나는 십대 때 어머니가 나에게 믿음을 가지라고 하면 종종 대들곤 했습니다. 어머니가 “하나님을 믿어야지. 그분이 너를 돌보실거야.”라고 말씀하시면 나는 소리를 높여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에요, 엄마! 하나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고 하잖아요!”라고 대꾸를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말은 성경 어디에도 없습니다. 성경은 그 대신 우리의 일용할 것을 얻기 위해 하나님께 의지하라고 가르칩니다. 예수님은 말씀하십니다. “공중의 새를 보아라. 씨를 뿌리지도 않고, 거두지도 않고, 곳간에 모아들이지도 않으나, 너희의 하늘 아버지께서 그것들을 먹이신다. 너희는 새보다 귀하지 아니하냐? 너희 가운데서 누가 걱정을 해서 자기 수명을 한 순간인들 늘일 수 있느냐?”(마태복음 6:26-27, 새번역).

우리가 누리는 모든 것, 곧 생계를 꾸려가는 능력과 “스스로를 돕는” 것까지도 측량할 수 없을 만큼 우리를 사랑하고 귀히 여기시는 하나님 아버지의 선물입니다.

삶의 마지막이 가까워오면서 치매가 어머니의 창의력과 기억을 가져갔지만, 하나님을 향한 어머니의 믿음은 그대로였습니다. 어머니가 한동안 우리 집에서 지내실 때 나는 “앞자리”에 앉아 하나님이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어머니의 필요를 채워주시는 모습을 모두 목도할 수 있었고, 그것은 어머니가 내내 옳으셨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습니다. 어머니는 걱정 대신에 자신을 돌보아주겠다고 약속하신 그분께 자신을 맡기셨습니다. 그리고 하나님도 그분의 신실하심을 다 보여주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25-34
온갖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 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부터 내려오나니 그는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시니라
야고보서 1:17

사랑의 주님, 주님께서 오늘도 내일도 또 영원히 나를 돌보아주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내일 일을 걱정하지 말라. 하나님이 이미 거기에 계신다.

Daily Article

08/28/2018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3–125 and 1 COR. 10:1–18
Hymn: 588(old 307)

Learning to Trust

When I was a teenager I sometimes challenged my mother when she tried to encourage me to have faith. “Trust God. He will take care of you,” she would tell me. “It’s not that simple, Mom!” I would bark back. “God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But those words, “God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are nowhere to be found in Scripture. Instead, God’s Word teaches us to depend on Him for our daily needs. Jesus tells us, “Look at the birds of the air; they do not sow or reap or store away in barns, and yet your heavenly Father feeds them. Are you not much more valuable than they? Can any one of you by worrying add a single hour to your life?” (MATTHEW 6:26–27).

Everything we enjoy—even the strength to earn a living and “help ourselves”—are gifts from a heavenly Father who loves us and values us beyond our ability to fathom.

As Mom neared the end of her life, Alzheimer’s disease robbed her of her creative mind and memories, but her trust in God remained. She lived in our home for a season, where I was given a “front-row seat” to observe God’s provision for her needs in unexpected ways—ways that helped me see she had been right all along. Instead of worrying, she entrusted herself to the One who promised to take care of her. And He showed Himself faithful.
JAMES BANKS

Today's Reading

Matthew 6:25–34
Every good and perfect gift is from above, coming down from the Father of the heavenly lights, who does not change like shifting shadows.
James 1:17

Loving Lord, please help me to trust You to take care of me today, tomorrow, and forever!

Don’t worry about tomorrow—God is already ther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