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06/2018     토요일

성경읽기: 사 26-27; 빌 2
찬송가: 84(통 96)

반짝반짝

“반짝반짝 작은 별”이라는 노래는 영국의 자장가입니다. 그 가사는 원래 제인 테일러의 시로, “세상 위 아주 높은 곳”에 별들이 달려있는 경이로운 하나님의 우주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시의 뒷부분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는데, 거기에 보면 별이 길 안내자 역할을 합니다. “밝고 작은 반짝임이 어둠 속의 나그네를 비춰주네.”

빌립보서에서 바울은 빌립보 신자들 에게 복음의 좋은 소식을 주위 사람들에게 전해서 “하늘의 별처럼 빛”나면서 흠 없이 깨끗하고 순수하게 살아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2 : 1 5 - 1 6 , 현대인의 성경). 우리는 어떻게 하면 별처럼 빛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종종 스스로 부족하다고 느끼고, 우리의 “빛”이 과연 변화를 줄 수 있을 만큼 밝은지 고심합니다. 그러나 별은 굳이 별이 되려고 ‘애쓰지’ 않습니다. 그냥 별일 뿐입니다. 빛이 세상을 변화시키고 또 우리를 변화시킵니다. 하나님은 이 세상에 물리적인 빛을 주셨습니다 (창세기 1:3) 그리고 하나님은 예수님을 통해 우리 삶 속에 영적인 빛을 가져다주십니다(요한복음 1:1-4).

마음속에 하나님의 빛을 지니고 있는 우리는 주변 사람들이 빛을 보고 그 빛의 근원으로 이끌릴 수 있을 만큼 밝게 비추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별이 밤하늘에 별 노력 없이 쉽게 달려 있는 것처럼, 우리의 빛도 그것이 주님이 발하시는 빛이기 때문에 변화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우리가 단순히 빛을 발할 때, 우리는 칠흑같이 어두운 세상에서 “생명의 말씀을 굳게 잡으라”는 바울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다른 사람들을 우리 소망의 근원이신 예수님께로 인도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14-16
그들 가운데 빛들로 나타내며 생명의 말씀을 밝혀 빌립보서 2:15-16

사랑하는 하나님, 우리가 생명의 말씀을 사람들에게 드러낼 때 주님의 빛이 우리 인생의 깨어진 틈으로 새어나가 빛을 비추게 해주소서.

예수님은 우리 삶에 빛을 주신다.

Daily Article

10/06/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26–27 and PHILIPPIANS 2
Hymn: 84(old 96)

Twinkle

“Twinkle, Twinkle, Little Star” is an English lullaby. Its lyrics, originally a poem by Jane Taylor, capture the wonder of God’s universe where stars hang “up above the world so high.” In the rarely published later stanzas, the star acts as a guide: “As your bright and tiny spark lights the traveler in the dark.”

In Philippians, Paul challenges believers in Philippi to be blameless and pure as they “shine . . . like stars in the sky” while offering the good news of the gospel to all around them (2:15–16). We wonder how we can shine like stars. We often feel inadequate and struggle to think our “light” is bright enough to make a difference. But stars don’t try to be stars. They just are. Light changes our world. And it changes us. God brought physical light into our world (GENESIS 1:3); and through Jesus, God brings spiritual light into our lives (JOHN 1:1–4).

We who have God’s light in us are to shine in such a way that those around us see light and are drawn to its source. As effortlessly as a star hanging in the night sky, our light makes a difference because of what it is: Light! When we simply shine, we follow Paul’s directive to “hold firmly to the word of life” in a world in deep darkness, and we draw others to the source of our hope: Jesus. ELISA MORGAN

Today's Reading

Philippians 2:14–16
Shine among them like stars in the sky as you hold firmly to the word of life. Philippians 2:15

Dear God, may Your light shine out of the very cracks of our beings as we hold out the Word of life to others.

Jesus brings light into our life.

오늘의 말씀

10/05/2018     금요일

성경읽기: 사 23-25; 빌 1
찬송가: 286(통 218)

전보다 더 낫게

스코틀랜드 어느 주막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그날도 연어 낚시꾼들이 하루 종일 낚시를 하고 난 후 그 주막에 모여 있었습니다. 한 친구가 자신이 낚아 올린 연어를 묘사하다가 팔이 탁자를 쓸며 유리잔을 벽으로 날려, 그 잔이 산산조각나면서 흰색 석고 벽면에 얼룩을 남기고 말았습니다. 그는 주막 주인에게 사과하면서 훼손된 벽을 변상하겠다고 했지만 이미 망가진 벽은 어쩔 수가 없었습니다. 그때 근처에 앉아있던 한 손님이 “걱정 마십시오.” 라고 하면서 일어나 주머니에서 그림 도구를 꺼내더니 더러워진 얼룩의 주변에 스케치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윽고 거기에 아주 멋진 수사슴의 머리가 나타났습니다. 그 사람은 바로 스코틀랜드 최고의 동물 화가인 E. H. 랜시어 경이었습니다.

시편 51편을 쓴 걸출한 이스라엘왕 다윗은 그가 지은 죄로 말미암아 자신과 나라에 큰 수치를 불러왔습니다. 다윗 왕은 친구의 아내와 간음을 했고, 또 간계를 꾸며 그 친구를 죽게 했습니다. 둘 다 죽음을 받아 마땅한 죄였지요. 그가 삶을 다 망쳐버린 듯 보였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하나님께 매달리며 간절히 기도했습니다.
“주의 구원의 즐거움을 내게 회복시켜 주시고 자원하는 심령을 주사 나를 붙드소서”(12절).

우리도 다윗처럼 과거의 부끄러운 행동들과 그 기억들, 그리고 밤에 자다가도 떠올라 우리를 괴롭히는 생각들이 있습니다. 그때 하지 않았더라면 또는 다시 할 수 있다면 하는 일들이 우리에게 너무나 많습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죄를 용서할 뿐 아니라 죄를 통해 우리를 전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게 해주는 은혜가 있습니다. 하나님은 아무것도 헛되이 버리지 않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51:9-13
주의 구원의 즐거움을 내게 회복시켜주시고 자원하는 심령을 주사 나를 붙드소서 시편 51:12

주님, 제가 주님을 또 실망시켰습니다. 다시 한 번 저를 용서해주소서. 변화시키시고 회복시켜 주소서. 주님의 길을 따를 수 있도록 가르쳐주소서.

하나님은 모든 것을 꿰뚫어 보는 눈과 모든 것을 용서하는 마음을 함께 가지고 계신다.

Daily Article

10/05/2018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23–25 and PHILIPPIANS 1
Hymn: 286(old 218)

Better Than Ever

The story is told of a group of salmon fishermen who gathered in a Scottish inn after a long day of fishing. As one was describing a catch to his friends, his arm swept across the table and knocked a glass against the wall, shattering it and leaving a stain on the white plaster surface. The man apologized to the innkeeper and offered to pay for the damage, but there was nothing he could do; the wall was ruined. A man seated nearby said, “Don't worry.” Rising, he took a painting implement from his pocket and began to sketch around the ugly stain. Slowly there emerged the head of a magnificent stag. The man was Sir E. H. Landseer, Scotland’s foremost animal artist.

David, Israel’s illustrious king who penned Psalm 51, brought shame on himself and his nation by his sins. He committed adultery with the wife of one of his friends and engineered the death of that friend—both deeds worthy of death. It would seem his life was ruined. But he pled with God: “Restore to me the joy of your salvation and grant me a willing spirit, to sustain me” (V. 12).

Like David we have shameful acts in our past and the memories that accompany them, recollections that taunt us in the middle of the night. There’s so much we wish we could undo or redo.

There is a grace that not only forgives sin but also uses it to make us better than before. God wastes nothing.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Psalm 51:9-13
Restore to me the joy of your salvation and grant me a willing spirit, to sustain me. Psalm 51:12

Lord, I’ve failed You again. Please forgive me again. Change me. Turn me around. Teach me to follow Your ways.

God has both an all-seeing eye and all-forgiving heart.

오늘의 말씀

10/04/2018     목요일

성경읽기: 사 20-22; 엡 6
찬송가: 356(통 396)

용감하게 맞서다

테레사 프리케로바는 제2차 세계대전 초기 나치가 조국 폴란드를 침공할 당시 십대 소녀였습니다. 그리고 이웃에 살던 유태인들이 나치에게 체포되어 사라지기 시작하면서 유태인 대학살 홀로코스트가 시작되었습니다. 테레사는 다른 폴란드 사람들과 함께 목숨을 걸고 유태인 이웃들을 바르샤바 게토(주: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독일이 유태인들을 각 수용소로 보내기 전에 강제로 입주시켰던 바르샤바의 구역)로부터, 그리고 나치의 숙청으로부터 구했습니다. 테레사는 나중에
전쟁과 홀로코스트의 역사에 관한 최고의 학자가 되었지만, 그녀가 예루살렘의 야드 바솀 홀로코스트 기념관에 ‘세계의 정의로운 인물’로 등재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악의 물결에 맞섰던 용기 때문이었습니다.

악에 맞서려면 용기가 필요합니다. 바울은 에베소 교회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요 통치자들과 권세들과 이 어둠의 세상 주관자들과 악의 영들을 상대함이라”(에베소서 6:12). 보이지 않는 이 세력은 분명 누구도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마귀의 간계에 대적”(11절)할 수 있도록 우리에게 필요한 영적 자원(“하나님의 전신갑주”)을 주셨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그렇게 용감하게 맞설 수 있을까요? 불의에 맞서 싸울 수도 있고, 주위의 연약하거나 억울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위해 대신 나설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형태의 싸움에서도 용기를 낼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가 그분 편에 서서 악과 맞서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이미 주셨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6:10-18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요 통치자들과 권세들과 이 어둠의 세상 주관자들을 상대함이라 에베소서 6:12

.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을 위해 굳게 서게 하신다.

Daily Article

10/04/2018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20–22 and EPHESIANS 6
Hymn: 356(old 396)

Courageous Stand

Teresa Prekerowa was just a teenager when the Nazis invaded her native Poland at the dawn of World War II. This was in the beginnings of the Holocaust when her Jewish neighbors began to disappear—arrested by the Nazis. So Teresa and other Polish countrymen risked their lives to rescue those neighbors from the Warsaw ghetto and the Nazi purge. Teresa would become one of the premier historians of the war and the Holocaust, but it was her courage to stand against the tide of evil that would list her with the Righteous Among the Nations at the Yad Vashem Holocaust Memorial in Jerusalem.

Courage is needed to stand against evil. Paul told the church at Ephesus, “For our struggle is not against flesh and blood, but against the rulers, against the
authorities, against the powers of this dark world and against the spiritual forces of evil” (EPHESIANS 6:12). Clearly this unseen opposition is more than any of us can face alone, so God has given us the necessary spiritual resources (the “full armor of God”) to enable us to “stand against the devil’s schemes” (V. 11).

What might that courageous stand involve? It may be working against injustice or intervening on behalf of someone you know who is vulnerable or victimized. Whatever form the conflict may take, we can have courage—our God has already provided what we need to stand for Him and against evil. BILL CROWDER

Today's Reading

Ephesians 6:10–18
Our struggle is not against flesh and blood, but against the rulers, against the authorities, against the powers of this dark world. Ephesians 6:12

.

God enables us to stand for Him.

오늘의 말씀

10/03/2018     수요일

성경읽기: 사 17-19; 엡 5:17-33
찬송가: 363(통 479)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하루 종일 바빴던 어느 날 늦은 시간에 친구에게서 이메일이 왔지만 열어보지 않았습니다. 그 시간에 늦게까지 중병에 걸린 가족을 돌보아주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게 신경 쓸 겨를이 없었던 것입니다.

다음 날 아침 친구가 보낸 메시지를 열어보니 뜻밖에도 이렇게 묻고 있었습니다. “내가 뭐라도 도와줄 일이 없을까?” 왠지 부끄러운 마음에 즉시 괜찮다고 답하려고 하다가 잠시 숨을 돌리고 생각해보았습니다. 이 친구의 물음이 하나님의 음성과도 흡사하게 귀에 익은 말로 들렸습니다.

바로 예수님이 그렇게 물으셨으니까요. 여리고로 가는 길에서 예수님은 눈 먼 거지가 주님께 부르짖는 소리를 듣고 잠시 멈추시어 바디매오라는 그 맹인에게 도움을 원하느냐고 물으신 것입니다. 예수님은 그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네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원하느냐”(마가복음 10:51).

정말 놀라운 물음입니다. 이는 치유자이신 예수님께서 진정 우리를 돕고 싶어 하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우리가 먼저 주님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절박한 현실을 인정하는 겸손한 자세를 취해야합니다. 거지가 “직업”인 바디매오는 가난하고 외롭고, 아마도 배도 고프고 낙심에 차있어 정말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그렇지만 그는 새로운 삶을 갈망하며 예수님께 그저 단순히 가장 근본적인 도움을 청했습니다. “선생님, 제가 보기를 원합니다.”

맹인에게 그것은 솔직한 간구였습니다. 예수님은 그를 즉시 고쳐주셨습니다. 내 친구 역시 내게 그런 솔직함을 바랐을 것입니다. 그래서 친구에게 이렇게 답장했습니다. 내게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놓고 기도해보고, 꼭 겸손한 마음으로 부탁하겠노라고 말해주십시오. 오늘 당신에게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만일 친구가 물어오면 바로 그걸 말해주십시오. 그리고 그 간구를 더 높은 곳에, 하나님께 직접 말씀드리십시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0:46-52
예수께서 말씀하여 이르시되 네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원하느냐 마가복음 10:51

주님, 나는 궁핍합니다. 나의 마음을 주님과 지금 나누기 원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도움도 겸손히 받을 수 있게 하소서.

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대적하시되 겸손한 자들에게는 은혜를 주시느니라. 베드로전서 5:5

Daily Article

10/03/2018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17–19 and EPHESIANS 5:17–33
Hymn: 363(old 479)

Asking for Help

Her email arrived late in a long day. In truth, I didn’t open it. I was working overtime to help a family member manage his serious illness. I didn’t have time, therefore, for social distractions.

The next morning, however, when I clicked on my friend’s message, I saw this question: “Can I help you in any way?” Feeling embarrassed, I started to answer no. Then I took a deep breath to pause. I noticed then that her question sounded familiar—if not divine.

That’s because Jesus asked it. Hearing a blind beggar call out to Him on the Jericho Road, Jesus stopped to ask this man, named Bartimaeus, a similar question. Can I help? Or as Jesus said: “What do you want me to do for you?” (MARK 10:51).

The question is stunning. It shows the Healer, Jesus, longs to help us. But first, we’re invited to admit needing Him—a humbling step. The “professional” beggar Bartimaeus was needy, indeed—poor, alone, and possibly hungry and down-cast. But wanting a new life, he simply told Jesus his most
basic need. “Rabbi,” he said, “I want to see.”

For a blind man, it was an honest plea. Jesus healed him immediately. My friend sought such honesty from me too. So I promised her I’d pray to understand my basic need and, more important, I’d humbly tell her. Do you know your basic need today? When a friend asks, tell it. Then take your plea even higher. Tell God.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Mark 10:46–52
"What do you want me to do for you?" Jesus asked him. Mark 10:51

Lord, I am needy. I want to share my heart with You now. Help me to humbly receive the help of others also.

God opposes the proud but shows favor to the humble. 1 PETER 5:5

오늘의 말씀

10/02/2018     화요일

성경읽기: 사 14-16; 엡 5:1-16
찬송가: 289(통 208)

불에서 꺼낸 하나님의 그슬린 나무

불이 난 집에서 놀란 가정부는 제일 어린 아이들부터 끌어안고 정신없이 뛰쳐나왔습니다. 나오면서 큰 소리로 다섯 살 난 재키를 불렀습니다.

그러나 재키는 따라 나오지 못했습니다. 그때 밖에서 이 광경을 보던 한 사람이 재빨리 친구의 어깨를 타고 올라서더니 위층 창문 안으로 팔을 뻗어, 지붕이 무너져 내리기 직전에 재키를 무사히 끌어내었습니다. 아이의 엄마 수잔나는 어린 재키를 “불에서 꺼낸 그슬린 나무”와 같았다고 했습니다. 이 “그슬린 나무”가 바로 위대한 순회 목사 존 웨슬리(1703-1791)였습니다.

수잔나 웨슬리는 하나님의 성품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준 선지자 스가랴를 인용했던 것입니다. 스가랴는 그가 본 환상을 이야기하면서 사탄이 대제사장 여호수아 옆에 서 있는 법정의 장면으로 우리를 이끌어갑니다(3:1). 사탄은 여호수아를 고발하지만 주님은 사탄을 꾸짖으며 “이는 불에서 꺼낸 그슬린 나무가 아니냐”(2절)고 하십니다. 그리고 주님은 여호수아에게 “내가 네 죄악을 제거하여 버렸으니 네게 아름다운 옷을 입히리라”(4절)고 말씀하십니다.

그러고 나서 주님은 여호수아에게 “네가 만일 내 도를 행하며 내 규례를 지키면 네가 내 집을 다스릴 것”(7절)이라는 도전이자 기회를 주셨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 믿음을 통해 하나님으로부터 받는 선물을 보여주는 참으로 굉장한 묘사이지요! 하나님은 우리가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따를 때 우리를 불 속에서 건지시고, 깨끗하게 하시며, 우리 안에서 역사하십니다. 우리 자신이 바로 그 불 속에서 꺼낸 하나님의 그슬린 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스가랴 3:1-7
내가 네 죄악을 제거하여 버렸으니 네게 아름다운 옷을 입히리라

하나님 아버지, 우리를 구원하시고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오늘 하나님을 섬길 때 겸손히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간구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시기에 우리를 구원하신다. 그리고 그 사랑을 다른 이들과 나누도록 우리를 준비시키신다.

Daily Article

10/02/2018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14–16 and EPHESIANS 5:1–16
Hymn: 289(old 208)

God’s Brand

Scooping up the smallest children, a frantic maid raced out of the flaming house. As she ran, she called loudly to five-year-old Jacky.

But Jacky didn’t follow. Outside, a bystander reacted quickly, standing on the shoulders of a friend. Reaching into the upstairs window, he pulled Jacky to safety—just before the roof caved in. Little Jacky, said his mother Susanna, was “a brand [stick] plucked from the burning.” You might know that “brand” as the great traveling minister John Wesley (1703–1791).

Susanna Wesley was quoting Zechariah, a prophet who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God’s character. Relating a vision he had, the prophet takes us into a courtroom scene where Satan is standing next to Joshua the high priest (3:1). Satan accuses Joshua, but the Lord rebukes the devil and says, “Is this not a brand [burning stick] plucked from the fire?” (V. 2 NKJV ). The Lord tells Joshua, “I have taken away your sin, and I will put fine garments on you” (V. 4).

Then the Lord gave Joshua this challenge—and an opportunity: “If you will walk in obedience to me and keep my requirements, then you will govern my house” (V. 7).

What a picture of the gift we receive from God through our faith in Jesus! He snatches us from the fire, cleans us up, and works in us as we follow His Spirit’s leading. You might call us God’s brands plucked from the fire.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Zechariah 3:1–7
I have taken away your sin, and I will put fine garments on you.

Father, we give You our thanks for rescuing us and making us right with You. We humbly ask for Your Spirit’s guidance as we serve You today.

God rescues us because He loves us; then He equips us to share His love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10/01/2018     월요일

성경읽기: 사 11-13; 엡 4
찬송가: 220(통 278)

우리 친구들을 위하여

에밀리 브론테의 소설 ‘폭풍의 언덕’에는 종종 성경 말씀을 인용해서 남을 비판하는 성미 고약한 남자가 등장합니다. 이 인물은 “성경을 샅샅이 뒤져서 약속의 말씀들은 자신에게 적용하고 저주하는 말씀들은 이웃에게 퍼붓는 아주 진저리날 정도로 독선적인 바리새인”으로 기억에 남도록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재미있는 그 구절을 읽으면서 여러분 주위의 어떤 인물이 떠오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남의 잘못은 잘 정죄하면서도 자신의 실수는 쉽게 변명하는 우리도 다 조금씩은 그와 같지 않을까요?

그러나 성경을 보면 어떤 사람들은 놀랍게도 그와 정반대로 행동했습니다. 그들은 다른 이들을 살리는 일이라면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약속도 포기했고,
심지어 저주도 기꺼이 받으려 했습니다. 모세를 생각해보십시오. 이스라엘 백성들이 용서받지 못하는 것을 지켜보느니 차라리 자신의 이름을 하나님의 책에서 지워달라고 했습니다(출애굽기 32:32). 바울도 그랬습니다. 자신이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짐”으로써 자기 백성이 주님을 만날 수만 있다면 그렇게 하겠다고
했습니다(로마서 9:3).

인간은 천성적으로 독선적이기는 하지만, 성경에서는 자신들보다 남을 더 사랑했던 사람들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그와 같은 사랑이 궁극적으로 예수님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다”(요한복음 15:13)고 가르치셨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알기도 전에 그분은 우리에게 생명을 주시려고 죽으심으로 우리를 “끝까지”(13:1) 사랑하셨습니다.

이제 우리는 이처럼 사랑하고 사랑받기 위해 하나님의 가족으로 초대받았습니다(15:9-12). 그리고 우리가 상상을 초월하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 때, 이 세상은 주님의 모습을 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5-17
내 계명은 곧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하는 이것이니라

주님, 우리에게 사랑의 본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도 주님처럼 사랑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그리스도를 사랑하면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게 된다.

Daily Article

10/01/2018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11–13 and EPHESIANS 4
Hymn: 220(old 278)

For Our Friends

In Emily Bronte’s novel Wuthering Heights, a cantankerous man who often quotes the Bible to criticize others is memorably described as “the wearisomest self-righteous Pharisee that ever ransacked a Bible to rake [apply] the promises to himself and fling the curses to his neighbours.”

It’s a funny line; and it may even bring particular people to mind. But aren’t we all a bit like this—prone to condemn others’ failures while excusing our own?

In Scripture some people amazingly did the exact opposite; they were willing to give up God’s promises for them and even be cursed if it would save others. Consider Moses, who said he’d rather be blotted out of God’s book than see the Israelites unforgiven (EXODUS 32:32). Or Paul, who said he’d choose to be “cut off from Christ” if it meant his people would find Him (ROMANS 9:3).

As self-righteous as we naturally are, Scripture highlights those who love others more than themselves.

Because ultimately such love points to Jesus. “Greater love has no one than this,” Jesus taught, than “to lay down one’s life for one’s friends” (JOHN 15:13). Even before we knew Him, Jesus loved us “to the end” (13:1)—choosing death to give us life.

Now we are invited into the family of God, to love and be loved like this (15:9–12). And as we pour into others Christ’s unimaginable love, the world will catch a glimpse of Him. MONICA BRANDS

Today's Reading

John 15:5–17
My command is this: Love each other as I have loved you.

Lord, thank You for showing us what it means to love. Help us to love like You.

When we love Christ, we love others.

오늘의 말씀

09/30/2018     주일

성경읽기: 사 9-10; 엡 3
찬송가: 292(통 415)

미스터리 풀기

어느 날 퇴근길에 우리 집 진입로 옆에 있는 굽 높은 여자 구두 한 켤레가 눈에 띄었습니다. 그것이 누구 것인지 짐작이 간 나는 딸 리사가 아이들을 데리러 집에 오면 주려고 차고 안에 가져다 놓았습니다. 그런데 딸에게 물어보니 자기 것이 아니라는 것이었습니다. 우리 가족의 신발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구두를 있던 자리에 도로 갖다 놓았더니 다음 날 신발이 사라졌습니다. 미스터리였습니다.

바울 사도도 그의 서신에서 미스터리에 대해 쓴 것을 아십니까? 그가 말한 미스터리는 “추리소설” 같은 것이 아니라 그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에베소서 3장에서 바울은 “다른 세대의 사람들이 알지 못하던” 미스터리에 대해 썼습니다(5절). 이 미스터리라는 것은 과거에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통해 자신을 나타내셨지만 지금은 예수님을 통해 이방인들, 즉 이스라엘 밖에 있는 자들도 “이스라엘과 함께 상속자”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6절).

이것이 무슨 의미인지 생각해보십시오. 그것은 누구든지 예수님을 구주로 믿으면 함께 하나님을 사랑하고 섬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동등하게 “담대함과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갈” (12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교회가 하나됨으로써 세상이 하나님의 지혜와 선하심을 보게 될 것입니다(10절).

우리를 구원하신 하나님을 찬양합시다. 사람들이 어떤 배경을 가지고 있든 예수님 안에서 하나 될 때에 하나 됨의 미스터리가 풀립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3:1-12
그 비밀의 내용인즉 이방 사람들이 복음을 통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유대 사람들과 공동 상속자가 되고 에베소서 3:6 (새번역)

예수님, 주님 안에서 믿는 자 모두가 하나 되어 즐거워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같은 주님의 지체로서 함께 섬기게 도와주소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될 때 장벽이 무너지고 교회가 세워진다.

Daily Article

09/30/2018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9–10 and EPHESIANS 3
Hymn: 292(old 415)

Unlocking a Mystery

When I came home from work one day and saw a pair of lady’s high-heel shoes next to the driveway, I was sure I knew whose they were. So I put them in the garage to give to my daughter Lisa when she returned to the house to pick up her children. But when I checked with Lisa, I found they didn’t belong to her. In fact, no one in our family claimed them, so I put them back where I’d found them. The next day, they were gone. Mysterious.

Did you know that the apostle Paul wrote of a mystery in his letters? But the mystery he described was so much more than some kind of “whodunit.” In Ephesians 3, for example, Paul spoke of a mystery that “was not made known to people in other generations” (v. 5). This mystery is that, while in the past God revealed Himself through Israel, now, through Jesus, Gentiles—those outside of Israel—could be “heirs together with Israel” (v. 6).

Think about what this means: all who trust Jesus as Savior can love and serve God together. We can all equally “approach [Him] with freedom and confidence” (v. 12). And through the church’s unity the world will see God’s wisdom and goodness (v. 10).

Praise God for our salvation. It unlocks for us the mystery of unity as people of any and all backgrounds become one in Jesus. DAVE BRANON

Today's Reading

Ephesians 3:1–12
This mystery is that through the gospel the Gentiles are heirs together with Israel. Ephesians 3:6

Thank You, Jesus, for the unity all believers can enjoy in You. Help us to serve together as equal members of Your body.

Unity in Christ breaks down barriers and builds the church.

오늘의 말씀

09/29/2018     토요일

성경읽기: 사 7-8; 엡 2
찬송가: 301(통 460)

이삭줍기

한 탄자니아 친구가 수도 도도마에 있는 황량한 땅 일부를 개간하려는 꿈을 갖고 있습니다. 룻은 그 지역의 몇몇 과부들의 어려움을 알고는 먼지가 날리는 땅을 바꾸어 그곳에 닭을 키우고 작물도 재배하려고 합니다. 가난한 사람을 돕고 싶어 하는 그녀의 꿈은 하나님을 향한 사랑에서 비롯되었고 성경에 나오는 같은 이름의 사람 룻에게서 영향을 받았습니다.

하나님의 율법은 가난한 사람이나 이방인들이 밭 가장자리에서 이삭을 주울 수 있게 허락하고 있습니다(레위기 19:9-10). (성경에 나오는) 룻은 이방인이었으므로 들에서 일을 하면서 자신과 시어머니의 식량을 모을 수 있었습니다. 친족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을 줍게 되면서 룻과 나오미는 보호 받고 살 수 있는 집을 마침내 찾게 됩니다. 룻은 하루 종일 일하며 자신의 재능과 노력을 다해 밭 가장자리에서 식량을 모았고, 하나님은 그런 그녀를 축복하셨습니다.

친구 룻의 열정과 성경에 나오는 룻의 헌신을 보며 나는 가슴이 뭉클하며 가난하고 짓밟힌 이들을 돌보시는 하나님께 감사했습니다. 그 두 사람에 감동하여 나는 베푸시는 하나님께 감사하기 위해 우리 공동체 뿐 아니라 더 넓은 곳으로까지 다른 사람들을 도와줄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의 자비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여 하나님께 경배하시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룻기 2:1-12
모압 여인 룻이 나오미 에게 이르되 원하건대 내가 밭으로 가서 내가 누구에게 은혜를 입으 면 그를 따라서 이삭을 줍겠나이다 룻기 2:2

예수님, 주님은 아무도 굶주리는 것을 원치 않으십니다. 우리의 눈을 열어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길을 볼 수 있게 하소서. 주님의 영광을 위하여 주님의 사랑을 나누게 하소서.

하나님은 연약한 자를 돌보신다.

Daily Article

09/29/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7–8 and EPHESIANS 2
Hymn: 301(old 460)

Gleaning the Fields

A Tanzanian friend has a vision for redeeming a piece of desolate land in the capital city of Dodoma. Recognizing the needs of some local widows, Ruth wants to transform these dusty acres into a place to keep chickens and grow crops. Her vision to provide for those in need is rooted in her love for God, and was inspired by her biblical namesake, Ruth.

God’s laws allowed the poor or the foreigner to glean (harvest) from the edges of the fields (Leviticus 19:9–10). Ruth (in the Bible) was a foreigner, and was therefore allowed to work in the fields, gathering food for her and her mother-in-law. Gleaning in Boaz’s field, a close relative, led to Ruth and Naomi ultimately finding a home and protection. Ruth used her ingenuity and effort in the work of the day—gathering food from the edges of the field—and God blessed her.

The passion of my friend Ruth and the dedication of the biblical Ruth stir me to give thanks to God for how He cares for the poor and downtrodden. They inspire me to seek ways to help others in my community and more broadly as a means of expressing my thanks to our giving God. How might you worship God through extending His mercy to others?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Ruth 2:1–12
Ruth the Moabite said to Naomi, “Let me go to the fields and pick up the leftover grain behind anyone in whose eyes I find favor.” Ruth 2:2

Jesus, You desire that no one would go hungry. Open our eyes to the ways we can help those in need. May we share Your love, for Your glory.

God cares for the vulnerable.

오늘의 말씀

09/28/2018     금요일

성경읽기: 사 5-6; 엡 1
찬송가: 434(통 491)

하나님께 먼저 묻기

결혼 초기에 나는 아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무척 애를 썼습니다. ‘저녁식사를 조용히 집에서 하는 걸 좋아할까, 아니면 멋진 식당에 가서 하는 걸 좋아할까? 내가 친구들과 몰려다니는 것이 괜찮을까, 아니면 주말에 자기와 함께 있는 것을 기대하고 있을까?’ 그래서 한번은 내 마음대로 먼저 추측해서 결정하기보다는 “당신은 어느 것을 원해?” 라고 물어보았습니다.

“아무래도 좋아요. 당신이 그렇게 나를 생각해주는 것만으로도 행복해요.” 아내가 따뜻한 미소로 대답했습니다.

나는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처럼 때때로 하나님께서 내가 무엇을 하기를 원하시는지 ‘정확히’ 알기를 간절히 원했습니다. 그래서 인도해주시길 바라며 기도하고 성경을 읽었지만 아무런 구체적인 응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응답은 있었습니다. 그것은 주님을 의뢰하고, 주님을 기뻐하고, 내 길을 주님께 맡겨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시편 37:3-5).

만일 우리에게 자신의 방법보다 주님의 방법을 먼저 구하는 마음만 있다면 하나님은 대개 우리에게 선택의 자유를 주신다는 것을 그때 깨달았습니다. 그것은 누가 보아도 분명히 잘못된 것이거나 하나님이 기뻐하시지 않는 선택은 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부도덕하거나, 악한 것이거나, 하나님과의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들일 수도 있습니다. 만일 남은 다른 선택들이 다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라면 우리는 그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 아버지는 그분을 기뻐하는 우리 마음의 소원을 이루어주시기를 원하십니다(4절).

오늘의 성구

시편 37:3-7,23-24
여호와를 기뻐하라 그가 네 마음의 소원을 이루어 주시리로다 시편 37:4

하나님, 제가 하는 모든 일에 하나님을 우선 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소서. 하나님을 기뻐하는 길을 보여주셔서 제 마음이 하나님의 마음을 닮아가게 하소서.

당신의 결정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가?

Daily Article

09/28/2018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5–6 and EPHESIANS 1
Hymn: 434(old 491)

Asking God First

Early in our marriage, I struggled to figure out my wife’s preferences. Did she want a quiet dinner at home or a meal at a fancy restaurant? Was it okay for me to hang out with the guys, or did she expect me to keep the weekend free for her? Once, instead of guessing and deciding first, I asked her, “What do you want?”

“I’m fine with either,” she replied with a warm smile. “I’m just happy you thought of me.”

At times I’ve wanted desperately to know exactly what God wanted me to do—such as which job to take. Praying for guidance and reading the Bible didn’t reveal any specific answers. But one answer was clear: I was to trust in the Lord, take delight in Him, and commit my way to Him (Psalm 37:3–5).

That’s when I realized that God usually gives us the freedom of choice—if we first seek to put His ways before our own. That means dropping choices that are plainly wrong or would not please Him. It might be something immoral, ungodly, or unhelpful toward our relationship with Him. If the remaining options please God, then we’re free to choose from them. Our loving Father wants to give us the desires of our hearts—hearts that take delight in Him (v. 4). LESLIE KOH

Today's Reading

Psalm 37:3–7, 23–24
Take delight in the Lord, and he will give you the desires of your heart. Psalm 37:4

Teach me, O God, to put You first in everything I do. Show me how to take delight in You, that my heart will be transformed to be like Yours.

Do your decisions please God?

오늘의 말씀

09/27/2018     목요일

성경읽기: 갈라디아서 6:1-10
찬송가: 569(통 442)

낙심될 때

옳은 일을 하려다 보면 매우 힘들 때가 있습니다. ‘내 호의적인 말과 행동들이 도대체 무슨 효과가 있기는 한 걸까?’라는 궁금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얼마 전에 친구를 격려해주려고 기도하는 마음으로 이메일을 보냈는데 분노에 찬 답변만 받게 되었을 때 그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나는 바로 마음에 상처가 되고 화도 났습니다. ‘어떻게 그렇게 오해를 할 수 있지?’ 화를 내며 답장하려다가 한 가지 사실이 떠올랐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누군가에게 예수님이 그들을 사랑하신다고 말했을 때 언제나 우리가 원하던 결과를 얻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주님께로 이끌기를 바라며 그들에게 좋게 대하여도 그들은 우리를 퇴짜놓을 수 있습니다. 누군가를 올바른 행동으로 이끌려는 우리의 조심스러운 노력도 무시당할 때가 있습니다.

우리의 진심어린 노력에 상대방이 보이는 반응 때문에 낙심될 때 갈라디아서 6장이 좋은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바울 사도는 우리가 말하고 행동하는 동기를 생각해보라고 하며, “우리의 행동을 점검해보라”고 권면합니다(1-4절). 그리고는 인내심을 가지라고 격려합니다.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그러므로 우리는 기회 있는 대로 모든 이에게 착한 일을 하되 더욱 믿음의 가정들에게 할지니라”(9-10절).

하나님은 우리가 계속 그분을 위해 살아가기를 원하십니다. 거기에는 “선을 행하는” 일, 곧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과 그들에게 주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 결과를 지켜보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6:1-10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갈라디아서 6:9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말씀으로 격려하시니 감사합니다. 우리가 인내하며 선을 행하게 도와주소서.

우리는 삶의 결과를 하나님의 손에 맡겨야 한다.

Daily Article

09/27/2018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3–4 and GALATIANS 6
Hymn: 569(old 442)

When We’re Weary

Sometimes trying to do the right thing can be exhausting. We may wonder, Do my well-intentioned words and actions make any difference at all? I wondered this recently when I sent a prayerfully thought-out email meant to encourage a friend, only to have it met with an angry response. My immediate reaction was a mixture of hurt and anger. How could I be so misunderstood?

Before I responded out of anger, I remembered that we won’t always see the results (or the results we desire) when we tell someone about how Jesus loves them. When we do good things for others hoping to draw them to Him, they may spurn us. Our gentle efforts to prompt someone to right action may be ignored.

Galatians 6 is a good place to turn when we’re discouraged by someone’s response to our sincere efforts. Here the apostle Paul encourages us to consider our motives—to “test our actions”—for what we say and do (vv. 1–4). When we have done so, he encourages us to persevere: “Let us not become weary in doing good, for at the proper time we will reap a harvest if we do not give up. Therefore, as we have opportunity, let us do good to all people” (vv. 9–10).

God wants us to continue living for Him, which includes praying for and telling others about Him—“doing good.” He will see to the results. ALYSON KIEDA

Today's Reading

Galatians 6:1–10
Let us not become weary in doing good. Galatians 6:9

Dear God, thank You for the encouragement we receive from Your Word. Help us to persevere in doing good.

We can leave the results of our livesin God’s hand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