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16/2018 화요일
끔찍한 일, 아름다운 일
하나님의 은혜를 묘사한 프레드릭 부치너의 글이 나를 사로잡았습니다. 그것은 마치 친절한 음성처럼 내 귀에 들립니다. “이것이 세상이란다. 끔찍한 일도 아름다운 일도 생기겠지만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있다.”
‘끔찍한 일들이 생길 것입니다.’ 이 세상에서는 상처받은 사람들이 또 다른 사람들에게, 때로는 아주 심하게, 상처를 줍니다. 시편기자 다윗처럼 우리에게도 악한 사람들에게 둘러싸이거나 “탐욕스러운 야수” 같은 사람들에게 상처를 입은(시편 57:4) 경험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비탄에 젖어 부르짖습니다(1-2절).
하지만 하나님께서 우리와 함께하시기에 아름다운 일들도 생길 수 있습니다. 우리가 상처와 두려움을 안고 하나님께로 달려갈 때, 우리는 우리를 해하려는 그 어떤 힘보다 훨씬 더 큰 사랑(1-3절), 하늘만큼 깊은 사랑을(10절) 경험하게 됩니다. 비록 재앙이 닥친다해도 그분의 사랑은 우리 마음이 치유를 받는 확실한 피난처가 되어 주십니다 (1,7절). 언젠가 우리가 새로운 용기를 찾아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찬양하며 그날을 맞이하게 될 때까지 그렇게 해주십니다(8-10절).
오늘의 성구
시편 57내 영광아 깰지어다 비파야, 수금아, 깰지어다 내가 새벽을 깨우리로다 시편 57:8
치유자와 구원자가 되시는 주님, 주님의 영원한 사랑으로 우리를 붙들어주시고 치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의 사랑 안에서 용기를 가지고 주님을 따르고 주님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게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사랑과 아름다움으로 우리는 용감해진다.
Daily Article
10/16/2018 Tuesday
Terrible and Beautiful Things
unable to go back; too afraid to move forward. I just can’t do it. I’m not smart enough, strong enough, or brave enough to handle being hurt like that again.
I’m captivated by how author Frederick Buechner describes God’s grace: like a gentle voice that says, “Here is the world. Terrible and beautiful things will happen. Don’t be afraid. I am with you.”
Terrible things will happen. In our world, hurting people hurt other people, often terribly. Like the psalmist David, we carry our own stories of when evil surrounded us, when, like “ravenous beasts,” others wounded us (PSALM 57:4). And so we grieve; we cry out (VV. 1–2).
But because God is with us, beautiful things can happen too. As we run to Him with our hurts and fears, we find ourselves carried by a love far greater than anyone’s power to harm us (VV. 1–3), a love so deep it fills the skies (V. 10). Even when disaster rages around us, His love is a solid refuge where our hearts find healing (VV. 1, 7). Until one day we’ll find ourselves awakening to renewed courage, ready to greet the day with a song of His faithfulness (VV. 8–10). MONICA BRANDS
Today's Reading
Psalm 57Awake, my soul! Awake, harp and lyre! I will awaken the dawn. Psalm 57:8
Healer and Redeemer, thank You for holding us and healing us with Your endless love. Help us find in Your love the courage to follow You and share Your love with those around us.
God’s love and beauty make us brave.
오늘의 말씀
10/15/2018 월요일
주님을 먼저 신뢰하라
“안 놓을 거야. 아빠가 잡고 있잖아. 약속할께.”
나는 어릴 때 물을 무척 무서워했는데 아버지는 그런 내가 수영을 배우길 원했습니다. 아버지는 일부러 수영장에서 내 머리가 완전히 잠기는 깊은 곳으로 나를 끌고 들어가곤 했습니다. 거기서 내가 의지할 데라곤 아버지뿐이었습니다. 아버지는 그곳에서 내가 긴장을 풀고 물에 뜨는 법을 가르쳐주었습니다.
그것은 단지 수영 강습만이 아닌, 신뢰에 대한 교육이기도 했습니다. 나는 아버지가 나를 사랑하신다는 것도, 나를 절대로 일부러 위험에 처하게 할 분이 아니란 것도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겁이 났습니다. 아버지가 다 괜찮을 거라며 안심시킬 때까지 나는 그의 목덜미를 꼭 붙들고 놓지 않았지요. 마침내 아버지의 인내심과 친절의 결과로 나는 혼자 수영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나는 먼저 아버지를 신뢰해야 했습니다.
내가 어떤 어려움 속에 빠져 “완전히 잠겨 버렸다”고 느껴질 때면, 가끔 그때 순간들을 되살려봅니다. 그 순간들을 생각하면 주님께서 그의 백성들에게 주신 확신을 기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너희가 노년에 이르기까지......내가 너희를 품을 것이라 내가 지었은즉 내가 업을 것이요”(이사야 46:4).
우리를 받쳐주시는 하나님의 팔을 항상 느끼지는 못하더라도 주님은 우리를 절대로 떠나지 않으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히브리서 13:5). 우리가 주님의 돌보심과 약속 안에 거할 때, 우리는 그분의 도움을 받아 신실하신 주님을 신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주님은 근심걱정으로부터 우리를 꺼내서 주 안에서 새로운 평안을 찾게 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6:3-13날마다 우리 짐을 지시는 주 곧 우리의 구원이신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 시편 68:19
아바 아버지, 저를 평생토록 인도해주셔서 찬양드립니다. 주님께서 늘 저와 함께 하심을 신뢰하는 믿음을 허락하소서.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을 신뢰할 때 우리를 새로운 은혜의 장소로 인도해주신다.
Daily Article
10/15/2018 Monday
Trust Him First
“I won’t. I’ve got you. I promise.”
I was a little boy terrified of the water, but my dad wanted me to learn to swim. He would purposefully take me away from the side of the pool into a depth that was over my head, where he was my only support. Then he would teach me to relax and float.
It wasn’t just a swimming lesson; it was a lesson in trust. I knew my father loved me and would never let me be harmed intentionally, but I was also afraid. I would cling tightly to his neck until he reassured me all would be well. Eventually his patience and kindness won out, and I began to swim. But I had to trust him first.
When I feel “over my head” in a difficulty, I sometimes think back on those moments. They help me call to mind the Lord’s reassurance to His people: “Even to your old age . . . I am he who will sustain you. I have made you and I will carry you” (ISAIAH 46:4).
We may not always be able to feel God’s arms beneath us, but the Lord has promised that He will never leave us (HEBREWS 13:5). As we rest in His care and promises, He helps us learn to trust in His faithfulness. He lifts us above our worries to discover new peace in Him.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h 46:3–13Praise the Lord; praise God our savior! For each day he carries us in his arms. Psalm 68:19 NLT
Abba, Father, I praise You for carrying me through life. Please give me faith to trust that You are always with me.
God carries us to new places of grace as we trust in Him.
오늘의 말씀
10/14/2018 주일
짐승들에게 물어보라
않는다는 사실에 많이 놀랐습니다.
이 새를 보면서 호수 위를 높이 날다가 갑자기 덮쳐 발톱으로 먹이를 낚아채려는 커다란 독수리가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호숫가에서 가는 다리로 미동도 없이 서 있는 모습을 몰래 지켜보았던 다른 큰 새, 왜가리의 모습도 그려보았습니다. 그 새는 긴 부리를 물속으로 내리 찌르기 위한 태세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이 새들은 우리가 곧바로 창조주 하나님을 생각나게 해주는 거의 1만 종류의 새들 중 단지 두 종류에 지나지 않습니다.
욥기에서 욥의 친구들은 욥이 고난 받는 이유를 논쟁하며 “하나님의 오묘하심을 헤아릴 수 있는가?”고 묻습니다(11:5-9 참조). 욥은 그에 대해 “이제 모든 짐승에게 물어보라 그것들이 네게 가르치리라 공중의 새에게 물어보라 그것들이 또한 네게 말하리라”(욥기 12:7)고 대답합니다. 짐승들은 하나님이 그 피조물들을 설계하셨고, 보호하시며 주관하신다는 진리를 증언합니다. “모든 생물의 생명과 모든 사람의 육신의 목숨이 다 그의 손에 있느니라”(10절).
새들도 보호하시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에(마태복음 6:26; 10:29), 우리가 처한 상황이 이해가 되지 않을 때라도 하나님이 당신과 나를 사랑하시고 돌보시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주위를 둘러보고 하나님에 대해 알아가십시오.
오늘의 성구
욥기 12:7-10이제 모든 짐승에게 물어 보라 그것들이 네게 가르치리라 공중의 새 에게 물어보라 그것들이 또한 네게 말하리라 욥기 12:7
.
하나님이 만드신 이 세상이 우리에게 하나님에 대해 가르쳐준다.
Daily Article
10/14/2018 Sunday
Ask the Animals
This reminded me of the majestic eagle I had seen soaring above a lake, ready to swoop down and snatch its prey in its talons. And I pictured in my mind another big bird—the spindly legged blue heron I had spied standing motionless on the edge of a pond. It was poised to dart its long beak into the water. They’re just two among the nearly 10,000 species of birds that can direct our thoughts to our Creator.
In the book of Job, Job’s friends are debating the reasons for his suffering and ask, “Can you fathom the mysteries of God?” (SEE 11:5–9). In response Job declares, “Ask the animals, and they will teach you, or the birds in the sky, and they will tell you” (JOB 12:7). Animals testify to the truth that God designed, cares for, and controls His creation: “In his hand is the life of every creature and the breath of all mankind” (V. 10).
Since God cares for birds (MATTHEW 6:26; 10:29), we can be assured He loves and cares for you and me, even when we don’t understand our circumstances. Look around and learn of Him. ALYSON KIEDA
Today's Reading
Job 12:7–10Ask the animals, and they will teach you, or the birds in the sky, and they will tell you. Job 12:7
.
God’s world teaches us about Him.
오늘의 말씀
10/13/2018 토요일
그가 우리 짐을 담당하셨다
1억불의 빚은 감당하기 힘든 짐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감당해야 할 측량할 수 없는 죄의 짐에 비하면 이 빚은 아주 미약합니다. 우리 자신의 죄의 무게와 그 대가를 스스로 짊어지려 할 때 우리는 매우 힘들어지고 죄책감과 부끄러움으로 갈등하게 됩니다. 솔직히 말해 우리는 이 짐을 전혀 감당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결코 그 짐을 감당해야할 이유가 없습니다. 베드로가 믿는 자들에게 상기시켜 주었듯이 죄 없으신 하나님의 아들, 오직 예수님만이 우리 죄의 무거운 짐과 그로 말미암은 힘든 결과를 감당하실 수 있습니다(베드로전서 2:24). 주님은 십자가의 죽음으로 우리의 모든 죄를 담당하고 우리에게 용서를 베풀어주셨습니다. 주님이 우리의 짐을 대신 지심으로 우리가 마땅히 받아야 할 벌을 받지 않게 된 것입니다.
두려움이나 죄책감 속에 살거나 우리에게 “물려준 헛된 행실에서” (1:18) 사는 대신, 우리는 사랑과 자유의 새로운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 (22-23절).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18-25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 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너희는 나음을 얻었나니 베드로전서 2:24
주님, 가끔은 저희의 죄와 부끄러움이 너무나 무겁게 느껴집니다. 주님께서 그 모든 것을 담당하셔서 우리를 자유케 하셨다는 것을 깨달아서, 우리의 과거와 그 고통을 주님께 맡기고 주님의 평안을 누리게 도와주소서.
예수님이 우리 죄의 짐을 담당하셨기에 우리는 축복의 삶을 살 수 있다.
Daily Article
10/13/2018 Saturday
He Carried Our Burden
Owing a 100-million-dollar debt would be an overwhelming burden, but that pales in comparison to the real—and immeasurable—burden sin causes us to carry. Attempting to carry the burden and consequences of our own sins ultimately leaves us feeling tired and riddled with guilt and shame. The truth is we are incapable of carrying this load.
And we were never meant to. As Peter reminded believers, only Jesus, the sinless Son of God, could carry the heavy burden of our sin and its weighty consequences (1 PETER 2:24). In His death on the cross, Jesus took all our wrongdoing on Himself and offered us His forgiveness. Because He carried our burden, we don’t have to suffer the punishment we deserve.
Instead of living in fear or guilt, the “empty way of life handed down to” us (1:18), we can enjoy a new life of love and freedom (VV. 22–23).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1 Peter 1:18–25"He himself bore our sins" in his body on the cross, so that we might die to sins and live for righteousness; "by his wounds you have been healed." 1 Peter 2:24
Lord, sometimes our guilt and shame can feel so heavy. Help us to release our past and its pain to You and experience Your peace, knowing You have carried it all and have set us free.
Jesus carried the burden of our sin so He could give us the blessing of life.
오늘의 말씀
10/12/2018 금요일
주님 품에서 안전함
이사야 선지자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불순종으로 말미암은 심판 이후에 더 밝은 날들이 다가올 것을 예언합니다(이사야 40:1-8). 높은 산에서 전해진 이 아름다운 하늘의 소식은(9절)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능하신 하나님의 임재와 온화한 돌보심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그때나 지금이나 하나님이 권능으로 다스리시므로 우리 마음이 불안하여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지요(9-10절). 주님의 보호하심에 관한 그 소식은 마치 목자가 하듯이(11절) 연약한 어린 양을 그 팔로 안전하게 품에 안으며 젖 먹이는 암양들을 온순히 인도하는 것과 같음을 알려줍니다.
상황들이 항상 쉽지만은 않은 이 세상 속에서 이런 모습의 안전과 보살핌은 우리로 하여금 담대히 주님을 바라볼 수 있게 합니다. 전심으로 주님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주님 안에서 안전과 새 힘을 얻게 됩니다(31절).
오늘의 성구
이사야 40:9-11그는 목자같이 양 떼를 먹이시며 어린 양을 그 팔로 모아 품에 안으시며 이사야 40:11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이 위협적인 세상에서 살지만,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그분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를 은혜로 보살펴주시니 우리가 평안을 누립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보살피신다니 얼마나 좋은 소식인가!
Daily Article
10/12/2018 Friday
Safe in His Arms
hood as parents and others gathered to pick up children at the school bus drop-off point. By the time the bus arrived, it had started to rain. That’s when I observed a woman exit her car and retrieve an umbrella from the trunk. She walked towards a little girl and made sure the child was shielded from the rain until they returned to the vehicle. What a beautiful “real time” picture of parental, protective care that reminded me of the care of our heavenly Father.
The prophet Isaiah forecast punishment for disobedience followed by brighter days for God’s people (ISAIAH 40:1–8). The heavenly dispatch from the mountain (V. 9)
assured the Israelites of God’s mighty presence and tender care. The good news, then and now, is that because of God’s power and ruling authority, anxious hearts need not fear (VV. 9–10). Included in the announcement was news about the Lord’s protection, the kind of protection shepherds provide (V. 11): vulnerable young sheep would find safety in the Shepherd’s arms; nursing ewes would be led gently.
In a world where circumstances aren’t always easy, such images of safety and care compel us to look confidently to the Lord. Those who trust wholeheartedly in the Lord find security and renewed strength in Him (V. 31).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Isaiah 40:9–11He tends his flock like a shepherd: He gathers the lambs in his arms and carries them close to his heart. Isaiah 40:11
Father, in a world where we are sometimes threatened, we are comforted because of Your gracious care for us—in and through the Lord Jesus Christ.
The good news is that God cares for us!
오늘의 말씀
10/11/2018 목요일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
너무도 많았습니다.
새로운 책들이 계속해서 더 많은 책장을 메워 갑니다. 만일 요한 사도가 오늘날 얼마나 많은 책이 출판되고 있는지 알게 된다면 아마 많이 놀랄 것입니다. 그가 쓴 신약성경의 요한복음, 요한1, 2, 3서, 그리고 요한계시록, 이 다섯 권은 두루마리 양피지에 직접 손으로 쓴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요한 사도는 성령님의 강권하심으로 그리스도인들에게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을 목도한 것을 전해주려고 그 책들을 썼습니다(요한1서 1:1-4). 그러나 요한이 쓴 것들은 예수님의 공생애 동안 행하시고 가르치신 것들의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습니다. 실제로 요한도 예수님이 행하신 모든 것을 기록한다면 “이 세상이라도 기록된 책을 두기에 부족할 것이라”(요한복음 21:25)고 말했으니까요.
요한 사도가 한 말은 지금도 맞습니다. 예수님에 관해 쓴 수많은 책들이 있지만 온 세상의 도서관에 있는 책들로도 그분의 사랑과 은혜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다 담을 수 없을 것입니다. 또한 우리에게도 함께 나눌 우리 자신들의 이야기가 있고 또 그것을 대대로 알릴 수 있음을 기뻐하며 찬양합니다(시편 89:1).
오늘의 성구
요1 1:1-4; 요 21:24-25예수께서 행하신 일이 이 외에도 많으니 요한복음 21:25
하나님의 크신 사랑 그 어찌 다 쓸까 저 하늘 높이 쌓아도 채우지 못하리 F.M. 레만
당신의 삶으로 주님의 사랑과 은혜의 이야기를 전하라.
Daily Article
10/11/2018 Thursday
Stories of Jesus
New books continue to fill more and more bookshelves. The apostle John likely would be amazed with the availability of books today since his five New Testament books, the Gospel of John; 1, 2, and 3 John; and Revelation, were handwritten on parchment scrolls.
John wrote those books because he felt compelled by the Holy Spirit to give Christians an eyewitness account of Jesus’s life and ministry (1 JOHN 1:1–4). But John’s writings contained only a small fraction of all that Jesus did and taught during His ministry. In fact, John said if everything Jesus did were written down “the whole could not contain the books that would be written” (JOHN 21:25 NLT ).
John’s claim remains true today. Despite all the books that have been written about Jesus, the libraries of the world still cannot contain every story of His love and grace. We can also celebrate that we have our own personal stories to share and rejoice that we will be proclaiming them forever! (PSALM 89:1). LISA SAMRA
Today's Reading
1 Jn. 1:1–4; Jn. 21:24–25Jesus did many other things as well. John 21:25
To write the love of God above would drain the ocean dry. Nor could the scroll contain the whole, though stretched from sky to sky. F.M. LEHMAN
Let your life tell the story of Christ’s love and grace.
오늘의 말씀
10/10/2018 수요일
사형장에서 부른 찬송
그 사형수들은 구주 되신 예수님이 보여주신 믿음의 본을 따랐습니다. 예수님은 죽음이 임박했음을 아시고 제자들과 함께 찬송하며 저녁 시간을 보내셨습니다. 죽음을 앞둔 상황에서 예수님이 노래할 수 있었다는 사실도 매우 놀라운 일이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그분이 부르신 노래였습니다. 그날 저녁 예수님과 제자들은 유월절 만찬을 가지면서 언제나처럼 ‘할렐’이라고 하는 시편 113-118편으로 끝을 맺는 긴 찬송을 함께 했습니다. 죽음을 앞두고 그날 밤 예수님은 그를 두르는 “사망의 줄”을 노래했습니다(시편 116:3). 또한 진실하신 하나님의 사랑(117:2)을 찬양하고, 구원이 되시는 하나님께 감사했습니다 (118:14). 십자가에서 고난당하시기 전 마지막 밤, 그 시편 노래들은 분명 예수님께 위로가 되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을 향한 예수님의 신뢰는 너무나 컸습니다. 그렇기에 그럴 이유가 전혀 없는데도 죽으셔야 했던 그 순간에도 주님은 하나님의 사랑을 노래하는 시간을 가지셨습니다. 그런 예수님을 보면서 우리 역시 무슨 일을 만나도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4:16-26내가 크게 고통을 당하 였다고 말할 때에도 나는 믿었도다 시편 116:10
하나님, 우리의 믿음을 강하게 하셔서 우리가 시련을 만나거나 죽게 될 때 하나님의 사랑을 담대히 노래할 수 있게 해주소서.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를 노래하는 소리는 얼마나 감미로운가!
Daily Article
10/10/2018 Wednesday
Singing to the Firing Squad
They followed the example of faith set by their Savior, Jesus. When Jesus knew that His death was imminent, He spent part of the evening singing with friends. It’s remarkable that He could sing under such circumstances, but what’s even more remarkable is what He sang. On that night, Jesus and his friends had a Passover meal, which always ends with a series of Psalms known as the Hallel, Psalms 113–118. Facing death, that night Jesus sang about the “cords of death” entangling Him (PSALM 116:3). Yet He praised God’s faithful love (117:2) and thanked Him for salvation (118:14). Surely these Psalms comforted Jesus on the night before His crucifixion.
Jesus’s trust in God was so great that even as He approached His own death—a death He had done nothing to deserve!—He chose to sing of God’s love. Because of Jesus, we too can have confidence that whatever we face, God is with us. AMY PETERSON
Today's Reading
Mark 14:16–26I trusted in the Lord when I said, "I am greatly afflicted." Psalm 116:10
God, strengthen our faith in You so that when we face trials, or even approach death, we can sing with confidence about Your love.
How sweet is the sound of God’s amazing grace!
오늘의 말씀
10/09/2018 화요일
말, 그 이상
우리가 어떤 언어를 써도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께서는 다 알아들으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우리의 가장 속깊은 소망을 그분께 잘 표현하지 못한다고 느낄 때가 많습니다. 바울 사도는 그런 느낌이 들더라도 상관없이 기도하라고 권면합니다. 바울은 고난의 세상과 우리 자신의 고통에 대해 말하면서 “모든 피조물이 이제까지 함께 신음하며, 함께 해산의 고통을 겪고 있다” (로마서 8:22, 새번역)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그것을 우리를 위해 일하시는 성령님의 사역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26절).
하나님의 성령은 우리를 매우 잘 아십니다. 우리의 소망과 마음속의 언어, 무언의 말까지도 다 아시는 성령님은 하나님과 대화할 때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그분은 우리가 하나님 아들의 형상으로 변화되도록 이끌어주십니다(29절).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는 우리의 언어를 이해하시며 그분의 말씀을 통해 우리와 소통하십니다. 우리 기도가 너무 연약하고 짧다고 생각될 때, 성령님은 우리를 도와 우리를 대신하여 하나님께 간구해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기도로 그분께 얘기하기를 진실로 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8:22-30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로마서 8:26
주님, 나의 말과 마음속 깊은 소원을 다 아시니 감사합니다. 나의 기도가 연약하고 메마를 때 성령님의 힘으로 이겨내게 하소서.
우리 기도가 연약하다고 느껴질 때 성령님은 상상할 수 없는 방법으로 우리를 도와주신다.
Daily Article
10/09/2018 Tuesday
Much More Than Words
No matter our language, our heavenly Father understands it. But often we feel unable to express our deepest longings to Him. The apostle Paul encourages us to pray regardless of how we feel. Paul speaks of our suffering world and our own pain: “The whole creation has been groaning as in the pains of childbirth” (ROMANS 8:22), and he compares that to the Holy Spirit’s work on our behalf.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he writes. “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through wordless groans” (V. 26).
God’s Holy Spirit knows us intimately. He knows our longings, our heart-language, and our unspoken words, and He helps us in our communication with God. His Spirit draws us to be transformed into the image of God the Son (V. 29).
Our heavenly Father understands our language and speaks to us through His Word. When we think our prayers are weak or too short, His Holy Spirit helps us by speaking through us to the Father. He yearns for us to talk with Him in prayer. LAWRENCE DARMANI
Today's Reading
Romans 8:22–30In the same way,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Romans 8:26
Thank You, Lord, for understanding my language and innermost longings. When my prayers are weak and dry, bear me up through Your Spirit.
When we feel weak in our prayers, God’s Spirit helps us in ways we can’t imagine.
오늘의 말씀
10/08/2018 월요일
노래 부르시는 우리 하나님 아버지
성경 말씀에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도 그의 자녀들에게 노래하는 대목이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내가 노래로 아이들을 달래려 했던 것처럼 스바냐도 백성들에게 노래를 불러주시는 하늘에 계시는 우리 아버지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3:17).
스바냐의 예언서 대부분은 하나님을 거부한 사람들에게 임하는 심판의 때를 경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스바냐서는 그렇게 끝나지 않습니다. 스바냐는 심판으로 결론을 맺지 않고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을 고통에서 건지실(19-20절) 뿐 아니라 잠잠히 사랑하시며 그들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신다(17절)는 설명으로 끝을 맺고 있습니다.
우리 하나님은 “구원을 베푸실 전능자”(17절)이실 뿐 아니라 우리를 위해 부드러운 사랑의 노래를 부르시는 사랑의 아버지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스바냐 3:14-20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너의 가운데 계시니 그는 구원을 베푸실 전능자이시라 그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 스바냐 3:17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따뜻한 사랑을 받아들이고 하나님의 노래를 “들을 수 있게” 우리를 도와주소서.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갓난아이에게 노래하는 부모처럼 그분의 자녀를 기뻐하신다.
Daily Article
10/08/2018 Monday
Our Singing Father
of love and delight for them in ways I had never dreamed.
Did you know Scripture describes our heavenly Father singing over His children too? Just as I sought to soothe my children with song, so Zephaniah concludes with a portrait of our heavenly Father singing over His people: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in his love he will . . .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3:17).
Much of Zephaniah’s prophetic book warns of a coming time of judgment for those who’d rejected God. Yet that’s not where it ends. Zephaniah concludes not with judgment but with a description of God not only rescuing His people from all their suffering (VV. 19–20) but also tenderly loving and rejoicing over them with song (V. 17).
Our God is not only a “Mighty Warrior who saves” and restores (V. 17) but a loving Father who tenderly sings songs of love over us. ADAM HOLZ
Today's Reading
Zephaniah 3:14–20The Lord your God is with you, the Mighty Warrior who saves.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in his love he will...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Zephaniah 3:17
Father, help us to embrace Your tender love and “hear” the songs You sing.
Our heavenly Father delights in His children like a parent singing to a newborn baby.
오늘의 말씀
10/07/2018 주일
누구에게나 베푸는 따뜻한 환영
말했습니다. 갑자기 우리가 침입자라는 생각이 들어 마음이 불편해졌습니다.
그 휴가 중에 우리는 한 교회도 방문 했습니다. 여기도 문이 모두 열려 있어서 걸어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어찌 이렇게 다를 수가 있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우리를 따뜻하게 맞아주어 마치 집에 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예배를 마치고 나오면서 우리는 진정 환영 받고 교우로서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안타까운 사실은 외부인들이 어떤 교회를 방문하면 “여기는 당신이 올 곳이 아닙니다”라는 무언의 메시지를 받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에게 모든 사람들을 따뜻하게 맞으라고 말합니다. 예수님은 우리 이웃을 우리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셨는데 이것은 분명 그들을 우리 삶 속에, 그리고 교회 안으로 따뜻하게 맞아들이라는 의미입니다 (마태복음 22:39). 히브리서는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13:2)고 우리를 일깨워줍니다. 누가와 바울도 교제나 물질이 필요한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사랑하라고 가르칩니다(누가복음 14:13-14; 로마서 12:13). 우리에게는 믿음의 지체들을 사랑해야 할 특별한 책임이 있습니다 (갈라디아서 6:10).
우리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마음을 열어 모든 사람들을 따뜻하게 맞이할 때 우리는 우리 구주의 사랑과 긍휼하심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3:1-3그러므로 우리는 기회있는 대로 모든 이에게 착한 일을 하되 더욱 믿음의 가정들에게 할지니라 갈라디아서 6:10
주님, 우리 삶에서 만나는 모든 이들에게 마음을 열어 그리스도의 사랑과 거룩한 환대를 보여주게 하소서. 우리를 도우셔서 우리가 만나는 모든 이들이 예수님의 사랑으로 따뜻하게 환영받는 느낌을 갖게 해주소서.
우리가 환대를 베풀 때 하나님의 선하심을 함께 나누게 된다.
Daily Article
10/07/2018 Sunday
A Warm Welcome for All
On that vacation we also visited a church. Again, the doors were open, so we walked in. What a difference! Many people greeted us warmly and made us feel right at home. We walked out of that church service knowing we were welcomed and accepted.
Sadly, it isn’t uncommon for outsiders to receive the unspoken message “you’re not supposed to be here” when they visit a church. But Scripture calls us to be hospitable to all. Jesus said we are to love our neighbors as ourselves, which surely means welcoming them into our lives and our churches (MATTHEW 22:39). In Hebrews, we’re reminded to “show hospitality to strangers” (13:2). Both Luke and Paul instruct us to show active love to people with social and physical needs (LUKE 14:13–14; ROMANS 12:13). And among the body of believers, we have a special responsibility to show love (GALATIANS 6:10).
When we welcome all people openly and with Christlike love, we reflect our Savior’s love and compassion. DAVE BRANON
Today's Reading
Hebrews 13:1–3Let us do good to all people, especially to those who belong to the family of believers. Galatians 6:10
Lord, open our hearts to all people who enter our lives—showing them Christlike love and godly hospitality. Help us to make everyone we meet feel the warm welcome of Jesus’s love.
When we practice hospitality, we share God’s good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