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05/2018 월요일
지혜의 근원
옛 이스라엘의 재판관인 솔로몬도 비슷한 문제를 해결해야 했습니다. 한 아기를 놓고 두 여인이 각각 자기가 엄마라고 주장했습니다. 두 사람의 말을 들은 솔로몬은 칼로 아이를 둘로 나누라고 명령했습니다. 진짜 엄마는 아이를 돌려받지 못하더라도 아들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아기를 다른 여인에게 주라고 솔로몬에게 간청했습니다(열왕기상 3:26). 솔로몬은 그 아기를 진짜 엄마에게 주었습니다.
지혜는 어떤 것이 정당하고 도덕적인지,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합니다. 진정으로 지혜의 가치를 인정한다면 솔로몬처럼 하나님께 분별하는 마음을 달라고 구하면 됩니다(9절). 하나님은 우리의 필요와 욕구를 다른 사람들의 유익과 조화를 이루도록 우리의 기도에 응답하시기도 합니다. 하나님은 또한 우리의 눈앞의 이익과 장기적 (때로는 영원한) 유익을 가늠할 수 있게 도우셔서 우리의 삶에서 그분의 이름을 높이게도 하십니다.
우리 하나님은 온전히 지혜로우신 재판관이실 뿐 아니라 신령한 지혜를 후하게 주시는 조언자이시기도 합니다(야고보서 1:5).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3:16-28듣는 마음을 종에게 주사
열왕기상 3:9
하나님, 지혜의 진정한 근원이신 주님을 경배합니다.
저의 선택을 도우셔서 주님의 이름을 높이게 하소서.
지혜가 필요하면 지혜의 근본이 되시는 한 분, 하나님에게서 찾으라
Daily Article
11/05/2018 Monday
Wisdom’s Source
Solomon, a judge in ancient Israel needed to settle a somewhat similar issue. Two women each claimed to be the mother of the same baby boy. After considering both arguments, he requested a sword to divide the infant in half. The real mother begged Solomon to give the baby to the other woman, choosing to save her son’s life even if she could not have him (1 KINGS 3:26). Solomon gave the baby to her .
Wisdom is necessary as we decide what’s fair and moral, right and wrong. If we truly value wisdom, we can ask God for a discerning heart, like Solomon did (V. 9). God may answer our request by helping us balance our needs and desires with the interests of others. He may also help us weigh short-term benefits against long-term (sometimes eternal) gains so we can honor Him in how we live.
Our God is not only a perfectly wise judge, but He is also a personal counselor who is willing to give us godly wisdom in great amounts (JAMES 1:5).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1 Kings 3:16–28Give your servant a discerning heart.
1 Kings 3:9
I worship You God, as the true source of wisdom.
Please show me how to make choices that bring honor to Your name.
Need wisdom? Seek it from the Source who alone can provide it—God.
오늘의 말씀
11/04/2018 주일
여전히 왕이신
아삽은 예루살렘 대부분의 사람들이 포로로 끌려가거나 학살을 당했을 때 시편 74편을 썼습니다. 그는 가슴 속의 고통을 쏟아내며 잔인한 침략자들의 손에 성전이 파괴되는 것을 기록했습니다. 아삽은 말합니다. “주의 대적이 주의 회중 가운데에서 떠들며...... 주의 성소를 불사르며 주의 이름이 계신 곳을 더럽혀 땅에 엎었나이다”(4,7절).
그런데 시편 기자는 이 무서운 현실 속에서도 일어설 곳을 찾았습니다. 이것이 우리도 그렇게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줍니다. 아삽은 다짐했습니다. “하나님은 예로부터 나의 왕이시라 사람에게 구원을 베푸셨나이다”(12절). 그는 이 진리 때문에 하나님의 구원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그 순간에도 주님의 권능을 찬양할 수 있었습니다. 아삽은 기도했습니다. “그 언약을 눈여겨보소서......학대받은 자가 부끄러이 돌아가게 하지 마시고 가난한 자와 궁핍한 자가 주의 이름을 찬송하게 하소서”(20-21절).
공의와 자비가 사라진 것 같은 때에도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은 결코 사라지지 않습니다. 우리도 아삽처럼 “하나님은 나의 왕이시라” 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74:4-8, 12-23하나님이여 일어나 주의 원통함을 푸시고
시편 74:22
주님, 시편 기자처럼 우리도 주님의 이름을 높이길 간구합니다.
주님의 강함과 자비를 보여주시고, 일어나 주의 원통함을 푸소서.
하나님은 그분의 이름을 지키신다.
Daily Article
11/04/2018 Sunday
Still the King
Most of the people of Jerusalem were in exile or had been slain when Asaph wrote Psalm 74. Pouring out his heart’s anguish, he described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at the hands of ruthless invaders. “Your foes roared in the place where you met with us,” Asaph said (V. 4). “They burned your sanctuary to the ground; they defiled the dwelling place of your Name” (V. 7).
Yet the psalmist found a place to stand despite the awful reality—providing encouragement that we can do so too. “But God is my King from long ago,” Asaph resolved. “He brings salvation on the earth” (V. 12). This truth enabled Asaph to praise God’s mighty power even though His salvation seemed absent in the moment. “Have regard for your covenant,” Asaph prayed. “Do not let the oppressed retreat in disgrace; may the poor and needy praise your name” (VV. 20–21).
When justice and mercy seem absent, God’s love and power are in no way diminished. With Asaph, we can confidently say, “But God is my King.”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Psalm 74:4–8, 12–23Rise up, O God, and defend your cause.
Psalm 74:22
Lord, with the psalmist we pray for the honor of Your Name. Show Yourself strong and compassionate.
Rise up and defend Your cause.
God will defend His Name.
오늘의 말씀
11/03/2018 토요일
우리 도시를 보라
예수님 당시의 사람들도 미래를 향한 비전에 못 보았던 부분이 있었습니다. 아브라함의 자손인 그들은 유대인들의 미래에 대해서만 우선적으로 관심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혈육, 랍비, 성전 예식과는 관련 없는 사마리아인, 로마 군인, 그리고 그 외의 다른 모든 사람들을 향한 예수님의 관심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나도 디트로이트와 예루살렘 사람들처럼 못 보는 부분이 있습니다.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인생 경험을 가진 사람들만 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의 다양함 가운데에도 하나가 되게 하십니다. 우리에게는 비슷한 점이 생각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우리 하나님은 아브람이라고 하는 사막의 유목민을 택하셔서 땅의 모든 사람들이 복을 얻게 하셨습니다(창세기 12:1-3). 예수님은 우리가 아직 알지도 사랑하지도 못하는 사람들을 다 아시고 사랑하십니다. 우리에게 하나님의 눈으로 이웃과 도시와 하나님 나라를 바라보게 하시는 주님의 은혜와 자비로 우리는 함께 살아갑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2:1-3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라
창세기 12:3
하늘에 계신 아버지,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더 비슷한 이 세상 사람들과 그 심령을 열린 눈으로 바라보게 하소서.
주님을 필요로 하는 우리 자신을 보게 하소서.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우리와 다른 점보다 비슷한 점이 더 많다.
Daily Article
11/03/2018 Saturday
See Your City
The countrymen of Jesus also had a blind spot in their vision for the future. As children of Abraham, they were primarily concerned about the future of Jewish people. They couldn’t understand Jesus’s concern for Samaritans, Roman soldiers, or anyone else who didn’t share their family roots, rabbis, or temple worship.
I relate to the blind spots of Detroit and Jerusalem. I too tend to see only people whose life experience I understand. Yet God has a way of bringing about His unity amid our diversity. We’re more alike than we realize.
Our God chose a desert nomad by the name of Abram to bring blessing to all the people of the world (GENESIS 12:1–3). Jesus knows and loves everyone we don’t yet know or love. Together we live by the grace and mercy of One who can help us see one another, our cities, and His kingdom—as He does. - MART DEHAAN
Today's Reading
Genesis 12:1–3All peoples on earth will be blessed through you.
Genesis 12:3
Father in heaven, please open our eyes to people and hearts who are more like us than we are inclined to believe.
Help us see our own need of You.
Everyone everywhere is more like us than less like us.
오늘의 말씀
11/02/2018 금요일
여우 사냥
여우는 아가서의 사랑의 시에 등장 합니다. 구약의 이 성경은 부부 사이의 사랑을 보여주고 있는데 어떤 주석가들은 그것이 하나님과 그의 백성간의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신부는 작은 여우를 조심하라면서 신랑에게 여우를 잡아달라고 부탁합니다(2:15). 여우는 포도원의 포도를 먹으면서 부드러운 포도나무 가지에 상처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부는 신랑과의 행복한 결혼생활을 기대하면서 해로운 야생 동물이 사랑의 언약을 방해하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
어떻게 “여우”가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를 방해할 수 있을까요? 나의 경우를 보면 너무 많은 요구를 다 승낙하다보니 감당하기 힘들어지고 일이 즐겁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또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마찰이 생기는 것을 보게 되면 절망이나 분노를 느끼게 됩니다. 내가 문을 열어 들어오게 한 여우이든 아니면 몰래 들어온 여우이든, 이 “여우”의 영향을 막아달라고 주님께 간구할 때 하나님의 사랑의 임재와 인도하심을 느끼면서 주님에 대한 신뢰와 사랑을 회복하게 됩니다.
당신의 경우는 어떻습니까? 하나님과 멀어지게 하는 것으로부터 어떻게 하나님의 도움을 찾을 수 있습니까?
오늘의 성구
아가 2:14-17우리를 위하여 여우 곧 포도원을 허는 작은 여우를 잡으라
아가 2:15
주 하나님, 하나님은 강하고 선하신 분입니다. 저와 주님과의 관계를 보호하시고 주님을 향한 제 시선을 빼앗는 어떤 것도 다 멀리하게 해주소서.
하나님은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지켜주신다.
Daily Article
11/02/2018 Friday
Catching Foxes
Foxes appear in the love poetry of the Song of Solomon, an Old Testament book that reveals the love between a husband and wife and, some commentators believe, between God and His people. The bride warns about little foxes, asking her bridegroom to catch them (2:15). For foxes, hungry for the vineyard’s grapes, could tear the tender plants apart. As the bride looks forward to their married life together, she doesn’t want vermin disturbing their covenant of love.
How can “foxes” disturb our relationship with God? For me, when I say “yes” to too many requests, I can become overwhelmed and unpleasant. Or when I witness relational conflict, I can be tempted to despair or anger. As I ask the Lord to limit the effect of these “foxes”—those I’ve let in through an open gate or those that have snuck in—I gain in trust of and love for God as I sense His loving presence and direction.
How about you? How can you seek God’s help from anything keeping you from Him?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Song 2:14–17Catch for us the foxes, the little foxes that ruin the vineyards.
Song of Solomon 2:15
Lord God, You are powerful and You are good. Please protect my relationship with You, keeping out anything that would take my eyes off You.
God can guard our relationship with Him.
오늘의 말씀
11/01/2018 목요일
식어지는 동정심
너무나 험한 세상에 살다 보면 동정하는 마음이 식을 수 있습니다. 아무리 선한 의도를 가진 사람이라 할지라도 인간의 크나큰 고난 앞에서 동정심이 무뎌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동정심은 식지 않았습니다. 마태복음 9:35-36은 이렇게 말합니다. “예수께서 모든 도시와 마을에 두루 다니사 그들의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라 무리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시니 이는 그들이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기진함이라.”
우리는 이 세상에서 물질이나 신체적인 어려움 뿐 아니라 영적인 문제로 고통을 받습니다. 그런 부족함을 채우러 오신 예수님은 이 일에 제자들도 동참할 것을 요구하셨습니다(37-38절). 예수님은 우리 주위에 고독이나 죄, 병으로 고생하는 모든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일꾼들을 세워달라고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하셨습니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그분의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을 볼 수 있는 마음을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성령님께서 힘주시면 우리도 고난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주님의 긍휼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9:35-38무리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시니 이는 그들이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기진함이라 마태복음 9:36
.
고통 많은 이 세상에서 우리는 예수님의 긍휼을 본보일 수 있다.
Daily Article
11/01/2018 Thursday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fatigue can be one of the results of living in a badly broken world. The sheer volume of human suffering can numb even the best intentioned among us. Compassion fatigue, however, was not in Jesus’s makeup. Matthew 9:35–36 says, “Jesus went through all the towns and villages, teaching in their synagogues, proclaiming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and healing every disease and sickness. When he saw the crowds, he had compassion on them, because they were harassed and helpless, like sheep without a shepherd.”
Our world suffers not only from physical needs but also from spiritual brokenness. Jesus came to meet that need and challenged His followers to join Him in this work (VV. 37–38). He prayed that the Father would raise up workers to respond to the needs all around us—people who struggle with loneliness, sin, and illness. May the Father give us a heart for others that mirrors His heart. In the strength of His Spirit, we can express His compassionate concern to those who are suffering. BILL CROWDER
Today's Reading
Matthew 9:35–38When he saw the crowds, he had compassion on them, because they were harassed and helpless, like sheep without a shepherd. Matthew 9:36
.
In a world filled with heartache, we can model the compassion of Jesus.
오늘의 말씀
10/31/2018 수요일
어둠 속의 소망
굴원의 삶은 몇 가지 면에서 예레미야 선지자와 닮았습니다. 예레미야 역시 그의 경고를 무시했던 왕들을 섬겼고, 나라는 유린되었습니다. 그러나 굴원이 절망에 굴복했던 것과는 달리 예레미야는 진정한 희망을 찾았습니다. 왜 그런 차이가 생긴 것일까요?
예레미야는 유일한 참 소망을 주시는 분은 주님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나님은 그가 택한 선지자에게 이렇게 확신시켜 주셨습니다. “너의 장래에 소망이 있을 것이라 너의 자녀가 자기들의 지경으로 돌아오리라”(예레미야 31:17). 비록 예루살렘이 기원전 586년에 멸망당하기는 했지만 나중에 다시 건축되었습니다 (느헤미야 6:15 참조).
어느 순간 우리 모두는 절망적인 상황에 처할 때가 있습니다. 의료검진 결과가 나쁠 수도 있고 갑자기 직장을 잃는다거나 가정이 깨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살면서 우리가 완전히 엎어질 때라도 하나님이 천국의 권좌에 앉아 계시기 때문에 우리는 여전히 위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살아가는 날들을 손으로 붙드시고 그분의 가슴에 우리를 품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31:16-26나는 지친 사람들에게 새 힘을 주고, 굶주려 서 허약해진 사람들을 배불리 먹이겠다 예레미야 31:25 (새번역)
주님, 제 마음을 소망으로 채워주시고, 오늘 모든 일들이 주님의 때에 주님의 방법대로 올바로 된다는 것을 분명히 기억하게 해주소서.
세상은 최선을 바랄 뿐이지만 주님은 최고의 소망을 주신다. 존 웨슬리
Daily Article
10/31/2018 Wednesday
Hope in the Darkness
Qu Yuan was exiled. When he learned about the fall of his beloved country to the foe he had warned about, he ended his life. Qu Yuan’s life resembles some aspects of the life of the prophet Jeremiah. He too served kings who scorned his warnings, and his country was ravaged. However, while Qu Yuan gave in to his despair, Jeremiah found genuine hope. Why the difference?
Jeremiah knew the Lord who offers the only true hope. “There is hope for your descendants,” God had assured His prophet. “Your children will return to their own land” (JEREMIAH 31:17). Although Jerusalem was destroyed in 586 bc , it was later rebuilt (SEE NEHEMIAH 6:15).
At some point, we all find ourselves in situations that can cause us to despair. It could be a bad medical report, a sudden job loss, a shattered family. But when life knocks us down, we can still look up—for God is on the throne! He holds our days in His hands, and He holds us close to His heart.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Jeremiah 31:16–26I will refresh the weary and satisfy the faint. Jeremiah 31:25
Lord, fill me up with hope and give me a tangible reminder today that things will turn out right in Your way, in Your time.
The world hopes for the best, but the Lord offers the best hope. JOHN WESLEY
오늘의 말씀
10/30/2018 화요일
서로 다른 의견을 인정하기
그러나 정말 많은 이해관계가 걸려 있는데도 서로 타협할 수 없는 이견 논쟁을 밀어두는 것이 가능할까요? 이 질문에 대하여 바울 사도가 로마서에서 답을 내 놓았습니다.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갈등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편지하면서, 바울은 극단적인 분열 상황에서도 합의점에 이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14:5-6).
바울에 따르면 이견을 인정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우리 자신의 의견뿐만 아니라 의견이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대했는가에 대해서도 우리 모두가 나중에 주님 앞에서 대답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하는 것입니다(10절).
갈등이 있는 상황은 실제로 우리 자신의 의견은 물론 우리 자신의 성경 해석보다 더 중요한 어떤 의견이나 해석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게 되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언젠가 우리 모두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사랑하셨듯이 과연 우리가 서로 사랑했는지, 원수까지도 사랑했는지 답을 해야 합니다.
지금 그 점을 다시 생각하면, 나는 지난 날 아버지께서 단지 이견을 인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서로 사랑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가지고 남의 의견을 인정하는 것이 얼마나 좋은 일인지에 대해 자주 하시던 말씀을 기억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4:1-13그러므로 우리가 화평 의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을 힘쓰나니 로마서 14:19
하나님 아버지, 어떤 일이든 우리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에게 인내하고 친절할 수 있게 해주소서.
우리는 사랑 가운데 서로의 다른 의견을 인정할 수 있다.
Daily Article
10/30/2018 Tuesday
Agreeing to Disagree
But is it really possible to set aside irreconcilable differences when so much seems to be at stake? That’s one of the questions the apostle Paul answers in his New Testament letter to the Romans. Writing to readers caught in social, political, and religious conflict, he suggests ways of finding common ground even under the most polarized conditions (14:5–6).
According to Paul, the way to agree to disagree is to recall that each of us will answer to the Lord not only for our opinions but also for how we treat one another in our differences (V. 10).
Conditions of conflict can actually become occasions to remember that there are some things more important than our own ideas—even more than our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All of us will answer for whether we have loved one another, and even our enemies, as Christ loved us.
Now that I think of it, I remember that my dad used to talk about how good it is not just to agree to disagree but to do so with mutual love and respect. MART DEHAAN
Today's Reading
Romans 14:1–13Let us therefore make every effort to do what leads to peace. Romans 14:19
Father, please enable us to be patient and kind with those who don’t agree with us about anything or everything.
We canagree to disagree—in love.
오늘의 말씀
10/29/2018 월요일
감사를 제대로 하려면
누구나 처한 상황이 변하기를 몹시 갈망하면 불평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심지어 인간관계도 파괴적인 자기중심주의로 바뀔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도 그 딜레마를 잘 보여주었습니다. 그들은 언제나 만족할 줄 몰랐던 것 같습니다. 하나님이 마련해주시는 양식 공급에 불평만 했으니까요(출애굽기 17:1-3). 광야에서 그의 백성들을 위하여 “하늘에서 양식을” 내려 보내면서 보살펴주셨지만(16:4) 백성들은 다른 음식이 먹고 싶어진 것입니다(민수기 11:4). 하나님이 신실하신 사랑의 보살핌을 날마다 기적으로 보여주셨지만 그들은 기뻐하기는커녕 더 많은 것, 더 좋은 것, 다른 것, 심지어 그들이 과거에 가졌던 것까지 바랐습니다(4-6절). 그들은 자기들의 좌절감을 온통 모세에게 쏟아냈습니다(10-14절).
하나님의 선하심과 신실하심을 신뢰하면 감사하는 일을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는 셀 수 없이 많은 방식으로 우리를 보살펴주시는 하나님께 감사드려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11:1-11그들을 위하여......바다의 모든 고기를 모은 들 족하오리이까 민수기 11:22
.
감사가 넘치는 찬양은 우리를 만족시키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다.
Daily Article
10/29/2018 Monday
Getting a Grip on Gratitude
Longing for different circumstances can lead to complaining, and even a form of relationship damaging self-centeredness. The Israelites were familiar with this dilemma. It seems they were never satisfied and always griping about God’s provision (EXODUS 17:1–3). Even though the Lord cared for His people in the wilderness by sending them “bread from heaven” (16:4), they began craving other food (NUMBERS 11:4). Instead of rejoicing over the daily miracles of God’s faithful and loving care, the Israelites wanted something more, something better, something different, or even something they used to have (VV. 4–6). They took out their frustrations on Moses (VV. 10–14).
Trusting God’s goodness and faithfulness can help us get a good grip on gratitude. Today we can thank Him for the countless ways He cares for us.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Numbers 11:1–11Would they have enough if all the fish in the sea were caught for them? Numbers 11:22
.
Grateful praise satisfies us and pleases God.
오늘의 말씀
10/28/2018 주일
내 뜻이 아닌 주님의 뜻
카밀과 조엘은 금식하고 기도하면서 기적이 일어나기를 바랐습니다. 카밀이 말했습니다. “기도할 때 우리는 무슨 일이 있어도 하나님을 믿어야 해. 그리고 내 뜻이 아닌 하나님 아버지의 뜻대로 되기를 기도했던 예수님처럼 기도해야 돼.” 조엘은 솔직하게 대답했습니다. “그런데 난 하나님이 딸을 고쳐주시길 너무너무 원해요.” 그러자 카밀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맞아! 우리는 간구해야 돼! 하지만 힘들 때조차도 우리 자신을 주님께 온전히 드리면 그것이 그분을 높여 드리는 거야. 예수님께서 그렇게 하셨으니까.”
예수님은 십자가를 지시기 전에 기도하셨습니다. “아버지여 만일 아버지의 뜻이거든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내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누가복음 22:42). “이 잔을 옮기시옵소서”라고 기도하시면서 예수님은 십자가로 나아가지 않게 되기를 간구했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나님 아버지께 순종하셨습니다.
우리가 바라는 것을 하나님께 맡긴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리고 시련의 순간마다 하나님의 지혜를 이해한다는 것도 힘든 일입니다. 그러나 카밀과 조엘의 기도는 놀라운 방법으로 응답받았습니다. 리마는 지금 건강한 15세 소녀입니다.
예수님은 모든 어려움을 이해하십니다. 주님의 간구가 우리를 위해 응답되지 않았을 때에도, 주님은 모든 어려운 일에 우리 하나님을 어떻게 신뢰해야 하는지 보여주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2:39-46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신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 잠언 3:5
하나님 아버지, 온 맘 다해 당신께 속하고 싶습니다.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을 믿으며 오늘도 당신의 종으로 나 자신을 맡겨드립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의 헌신과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한 분이시다.
Daily Article
10/28/2018 Sunday
Your Way, Not Mine
Kamil and Joelle fasted and prayed for a miracle. “As we pray,” Kamil said, “we need to trust God no matter what. And pray like Jesus—not my way, Father, but Yours.” “But I want so much for God to heal her!” Joelle answered honestly. “Yes! And we should ask!” Kamil responded. “But it honors God when we give ourselves to Him even when it’s hard, because that’s what Jesus did.”
Before Jesus went to the cross, He prayed: “Father, if you are willing, take this cup from me; yet not my will, but yours be done” (LUKE 22:42). By praying “take this cup,” Jesus asked not to go to the cross; but He submitted to the Father out of love.
Surrendering our desires to God isn’t easy, and His wisdom can be difficult to understand in challenging moments. Kamil and Joelle’s prayers were answered in a remarkable way—Rima is a healthy fifteen year old today.
Jesus understands every struggle. Even when, for our sake, His request was not answered, He showed us how to trust our God in every need. JAMES BANKS
Today's Reading
Luke 22:39–46Trust in the Lord with all your heart and lean not on your own understanding. Proverbs 3:5
I want to be “all in” for You, Father. I trust in Your unfailing love and give myself to You as Your servant today.
God always deserves our commitment and praise.
오늘의 말씀
10/27/2018 토요일
뜻밖의 친절
베풂이라는 주제는 바울 사도가 에베소의 이방인 기독교인들에게 쓴 서신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바울은 그들에게 옛 삶을 버리고 새로운 삶을 받아들이라고 권 유 하 면 서 당 신 들 은 이 미 은혜로 구원받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는 이 구원의 은혜로부터 “선한 일을 하고자하는” 의욕이 우러나오는데, 이는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고 그분이 “손으로 만드신 작품”이기 때문이라고(2:10) 설명합니다. 수퍼마켓의 남자처럼 우리도 일상적인 행동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하나님의 은혜를 나눌 때 반드시 물질적인 것을 베풀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다른 행동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시간을 내어 남의 말을 들어줄 수도 있고, 우리를 위해 봉사하는 사람에게 안부 인사를 물을 수도 있으며, 하던 일을 멈추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울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베풀면 그만큼 기쁨을 돌려 받게 됩니다(사도행전 20:35).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10우리는 그가 만드신 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 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에베소서 2:10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우리를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해주셔서 하나님의 사랑과 삶을 나눌 수 있어서 기쁩니다. 오늘도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 수 있는 기회를 찾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우리는 하나님의 선물을 베풂으로 그분의 사랑을 전하도록 창조되었다.
Daily Article
10/27/2018 Saturday
Unexpected Kindness
The theme of giving was one the apostle Paul wrote about in his letter to gentile Christians in Ephesus. He called them to leave their old lives behind and embrace the new, saying that they were saved by grace. Out of this saving grace, he explained, flows our desire to “do good works,” for we have been created in God’s image and are His “handiwork” (2:10). We, like the man at the supermarket, can spread God’s love through our everyday actions.
Of course, we don’t have to give material things to share God’s grace; we can show His love through many other actions. We can take the time to listen to someone when they speak to us. We can ask someone who is serving us how they are. We can stop to help someone in need. As we give to others, we’ll receive joy in return (ACTS 20:35).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phesians 2:1–10For we are God's handiwork, created in Christ Jesus to do good works. Ephesians 2:10
Dear Father, You created us in Your image, and we rejoice that we can share Your love and life. Help us to see the opportunities to give to others today.
We’ve been created to share God’s love through giving His gif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