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25/2018     화요일

성경읽기: 습 1-3; 계 16
찬송가: 109(통 109)

겨울 눈

겨울이면 나는 이른 아침에 일어나 종종 새벽에 내린 눈으로 덮인 평화롭고 고요한 세상의 아름다운 모습에 놀라곤 합니다. 밤에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요란한 봄의 뇌우와는 달리 눈은 소리 없이 부드럽게 내립니다.

“겨울 눈 노래”에서 오드리 아싸드는 예수님이 태풍처럼 강력하게 이 세상에 오실 수도 있었으나, 그보다는 겨울밤 창밖에 부드럽게 떨어지는 눈처럼 고요하고 천천히 오셨다고 노래합니다.

예수님이 이 세상에 오셨을 때 조용 하지만 놀라운 일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궁궐 대신 뜻밖에도 베들레헴 밖의 누추한 곳에서 태어나셨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유일한 잠자리였던 말구유에서 주무셨습니다(누가복음 2:7). 왕족과 관리들이 찾아온 것이 아니라 비천한 목동들이 예수님의 오심을 환영했습니다(15-16절). 또 부를 누리지 않으셨기에 예수님의 부모님은 주님을 성전에 데려갔을 때 값싼 새 두 마리로 희생제물을 드릴 수밖에 없었습니다(24절).

이사야 선지자는 예수님이 이 세상에 겸손한 모습으로 오실 거라고 예언했습니다. 그는 앞으로 오실 구세주는 “외치지 아니하며 목소리를 높이지 아니하며”(이사야 42:2) 힘을 가지고 상한 갈대를 꺾지 아니하며 꺼져가는 등불을 끄지 아니하실 거라고(3절) 말했습니다. 오히려 주님은 우리에게 하나님과의 화평을 주시려고 주님께 가까이 다가가도록 친근한 모습으로 오셨습니다. 하나님과의 화평은 구유에서 태어나신 구세주의 놀라운 이야기를 믿는 모든 사람들에게 다 주어집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2:1-4
그는 외치지 아니하며 목소리를 높이지 아니 하며 그 소리를 거리에 들리게 하지 아니하며 상한 갈대를 꺾지 아니하며 이사야 42:2-3

주 예수님, 평화를 주시려고 주님의 위엄을 기꺼이 버리시고 이 세상에 오시니 감사합니다.

얼마나 고요하게, 얼마나 고요하게 놀라운 선물을 주셨는지! - 오 베들레헴 작은 골

Daily Article

12/25/2018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ZEPHANIAH 1–3 and REVELATION 16
Hymn: 109(old 109)

Winter Snow

In winter, I often wake to the beautiful surprise of a world blanketed in the peace and quiet of an early morning snow. Not loudly like a spring thunderstorm that announces its presence in the night, snow comes softly.

In “Winter Snow Song,” Audrey Assad sings that Jesus could have come to earth in power like a hurricane, but instead He came quietly and slowly like the winter snow falling softly in the night outside my window. Jesus’s arrival took many by quiet surprise. Instead of being born in a palace, He was born in an unlikely place, a humble dwelling outside Bethlehem. And He slept in the only bed available, a manger (LUKE 2:7). Instead of being attended by royalty and government officials, Jesus was welcomed by lowly shepherds (VV 15–16). Instead of having wealth, Jesus’s parents could only afford the inexpensive sacrifice of two birds when they presented Him at the temple (V 24).

The unassuming way Jesus entered the world was foreshadowed by the prophet Isaiah, who prophesied the coming Savior would “not shout or cry out” (ISAIAH 42:2) nor would He come in power that might break a damaged reed or extinguish a struggling flame (V 3). Instead He came gently in order to draw us to Himself with His offer of peace with God—a peace still available to anyone who believes the unexpected story of a Savior born in a manger. LISA SAMRA

Today's Reading

Isaiah 42:1–4
He will not shout or cry out, or raise his voice in the streets. A bruised reed he will not break. Isaiah 42:2-3

Lord Jesus, thank You for willingly giving up Your majesty and coming to earth in order to offer peace.

How silently, how silently the wondrous gift is given! —O LITTLE TOWN OF BETHLEHEM

오늘의 말씀

12/24/2018     월요일

성경읽기: 합 1-3; 계 15
찬송가: 430(통 456)

묵상하기

오스왈드 챔버스는 런던 성경훈련학교 시절(1911-1915)에 강의 중에 했던 말로 종종 학생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한 여학생에 따르면, 토론은 강의 후 함께 하는 식사시간에만 할 수 있었는데, 그때 질문과 반대의견이 쏟아져 나왔다고 합니다. 그러면 챔버스는 종종 그냥 웃으며 “그 부분은 그냥 놔두세요. 시간이 지나면 알게 될 겁니다.”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는 학생들에게 쟁점들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라고 권면하면서, 하나님께서 그 분의 진리를 밝히 보여주시는 것을 기다리라고 했습니다.

무엇을 묵상한다는 것은 집중하여 깊이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베들레헴에서 예수님이 탄생한 후 천사들이 나타나고 메시아를 보러 목자들이 찾아오는 사건들을 보면서 “마리아는 이 모든 말을 마음에 새기어 생각”했습니다(누가복음 2:19). 신약학자 W. E. 바인은 ‘묵상’이란 “마음을 내려놓다, 마음속으로 의논하다, 상황을 고려하여 마음속으로 비교하다”(‘신약성경 단어 해설사전’)는 뜻을 지닌다고 했습니다.

우리 삶 가운데 일어난 일들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한다면, 우리는 마리아처럼 하나님과 그분의 지혜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도 마리아처럼 우리 삶을 인도하시는 하나님을 받아들인다면, 하나님이 사랑으로 안내하는 많은 새로운 지침을 우리 마음에 새기고 묵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8-20
마리아는 이 모든 말을 마음에 새기어 생각하니라 누가복음 2:19

하나님 아버지, 우리를 성령으로 인도하셔서 하나님의 크신 사랑을 생각하고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계획을 받아들이게 하소서.

바쁘더라도 잠시 조용히 하나님이 하시려는 말씀에 귀 기울여 보라.

Daily Article

12/24/2018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HABAKKUK 1–3 and REVELATION 15
Hymn: 430(old 456)

Ponder It

During Oswald Chambers’ years at the Bible Training College in London (1911–15), he often startled the students with things he said during his lectures. One young woman explained that because discussion was reserved for the following mealtime together, Chambers would frequently be bombarded with questions and objections. She recalled that Oswald would often simply smile and say, “Just leave it for now; it will come to you later.” He encouraged them to ponder the issues and allow God to reveal His truth to them.

To ponder something is to concentrate and think deeply about it. After the events leading to the birth of Jesus in Bethlehem, followed by the appearance of angels and the shepherds who came to see the Messiah, “Mary treasured up all these things and pondered them in her heart” (LUKE 2:19). New Testament scholar W. E. Vine said that ponder means “. . . to throw together, confer, to put one thing with another in considering circumstances” ( Expository Dictionary of New Testament Words ).

When we strugg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hat’s happening in our lives, we have Mary’s wonderful example of what it means to seek God and His wisdom.

When we, like her, accept God’s leading in our lives, we have many new things about His loving guidance to treasure and ponder in our hearts. DAVID C. MCCASLAND

Today's Reading

Luke 2:8–20
Mary treasured up all these things and pondered the in her heart. Luke 2:19

Father, guide us by Your Holy Spirit as we consider Your great love and embrace Your plan for our lives.

Allow yourself a few minutes of quiet during this busy season to sit and listen for what God might be saying to you.

오늘의 말씀

12/23/2018     주일

성경읽기: 나 1-3; 계 14
찬송가: 408(통 466)

부요하거나 고난 중에 있거나

앤 보스캠프의 책 ‘일천 가지 선물’은 일상생활 속에서 주님이 우리를 위해 하신 일들을 찾아보라고 독자들에게 권면합니다. 책을 보면, 작가는 싱크대 속에서 반짝이는 거품의 소박한 아름다움에서부터 자신(그리고 우리 모두!) 같은 죄인을 구원해주신 비할 데 없이 큰 은혜까지, 크고 작은 선물을 통해 자신에게 보여주신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에 대해 매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감사하는 마음이야말로 우리 인생의 가장 힘든 순간에도 하나님을 바라보게 해주는 비결이라고 앤은 자신 있게 말합니다.

욥은 인생의 그런 “힘든” 시간을 보냈던 사람으로 유명합니다. 정말 그는 여러 면에서 많은 것을 잃었습니다. 모든 가축을 잃은 직후, 열 명의 자식들이 모두 한꺼번에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일어나 겉옷을 찢고 머리털을 밀었다”(1:20)고 할 정도로 욥의 슬픔은 깊었습니다. 하지만 그 고통스러운 순간에 그가 한 말을 보면, 욥은 감사의 훈련을 했던 사람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가 잃은 모든 것이 사실 하나님이 주셨던 것임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21절).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그런 감당할 수 없는 슬픔 속에도 하나님을 경배할 수 있겠습니까?

매일 감사하는 훈련이 모든 것을 잃어버리는 힘든 때에 우리가 느끼는 고통의 크기를 줄여주지는 못합니다. 이어지는 욥기에는 욥이 슬픔 가운데 질문하고 고민하는 부분이 많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삶의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도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알게 되면, 세상 삶의 가장 어두운 때에도 전능하신 하나님 앞에 무릎 꿇고 경배할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1:13-22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 욥기 1:21

모든 선한 것을 베풀어주시는 하나님,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임하시는 하나님의 너그러움을 깨닫고, 상실과 고난의 시간에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감사 목록을 만들어보라. 규칙적인 감사 훈련이 매일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지켜보라.

Daily Article

12/23/2018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AHUM 1–3 and REVELATION 14
Hymn: 408(old 466)

In Abundance or Affliction

Ann Voskamp’s book One Thousand Gifts encourages readers to search their lives each day for what the Lord has done for them. In it, she daily notes God’s abundant generosity to her in gifts both large and small, ranging from the simple beauty of iridescent bubbles in the dish sink to the incomparable salvation of sinners like herself (and the rest of us!). Ann contends that gratitude is the key to seeing God in even the most troubling of life’s moments.

Job is famous for a life of such “troubling” moments. Indeed, his losses were deep and many. Just moments after losing all his livestock, he learns of the simultaneous death of all his ten children. Job’s profound grief was evidenced in his response: he “tore his robe and shaved his head” (1:20). His words in that painful hour make me think Job knew the practice of gratitude, for he acknowledges that God had given him everything he’d lost (V 21). How else could he worship in the midst of such incapacitating grief?

The practice of daily gratitude can’t erase the magnitude of pain we feel in seasons of loss. Job questioned and grappled through his grief as the rest of the book describes. But recognizing God’s goodness to us—in even the smallest of ways—c an prepare us to kneel in worship before our all-powerful God in the darkest hours of our earthly lives.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Job 1:13–22
The Lord gave and the Lord has taken away; may the name of the Lord be praised. Job 1:21

O God, You are the Giver of all good things. Help me to recognize Your generosity in even the smallest ways and to trust You in seasons of loss and hardship.

Why not start a gratitude list? Watch how the regular practice of thankfulness changes your daily life.

오늘의 말씀

12/22/2018     토요일

성경읽기: 미 6-7; 계 13
찬송가: 95(통 82)

소망이 우리의 전략이다

이 글을 쓰고 있을 즈음, 내가 응원하는 미식축구팀이 8연패를 당했습니다. 경기마다 지니까, 이번 시즌 동안 만회할 희망이 없어 보입니다. 감독은 매주 변화를 시도했지만 계속 이기지 못했습니다. 나는 단순히 어떤 결과를 바란다고 해서 그것을 얻게 되는 것은 아니라고 직장 동료와 농담하면서, “희망이 전략은 아니지.”라고 한마디 했습니다.

미 식 축 구 의 경 우 에 는 나 의 그 말이 맞지만, 우리의 영적 생활에서는 정반대입니다. 하나님 안에서 소망을 품는 것이 전략일 뿐만 아니라, 믿음과 신뢰로 그분께 의지하는 것이 ‘유일한’ 전략입니다. 이 세상은 우리를 자주 실망시키지만, 소망을 가지면 힘든 시기에 우리가 하나님의 진리와 능력 안에 닻을 내릴 수 있게 해줍니다.

미가는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이스라엘이 하나님으로부터 등을 돌린 것을 보며 가슴이 찢어졌습니다. “재앙이로다 나여......경건한 자가 세상에서 끊어졌고, 정직한 자가 사람들 가운데 없도다”(미가 7:1-2). 그러고 나서 미가는 다시 참된 소망에 집중했습니다. “오직 나는 여호와를 우러러보며 나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나니 나의 하나님이 나에게 귀를 기울이시리로다”(7절).

어떻게 하면 혹독한 때에 소망을 잃지 않고 살아갈 수 있을까요? 미가의 대답은 바라보고 기다리고 기도하고 기억하라는 것입니다. 상황이 우리가 감당할 수 없을 때라도 하나님은 우리의 울부짖음을 들으십니다. 그런 순간에, 하나님을 믿는 소망에 매어달려 행동하는 것이 우리의 전략입니다. 그것은 인생의 폭풍을 견딜 수 있도록 우리를
도와주는 유일한 전략입니다.

오늘의 성구

미가 7:1-7
오직 나는 여호와를 우러러보며 나를 구원 하시는 하나님을 바라 보나니 나의 하나님이 나에게 귀를 기울이시리로다 미가 7:7

상황이 절망적으로 보일 때, 우리 마음의 닻이 되어주시겠다고 약속하신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이 우리 마음의 울부짖음을 들으신다는 것을 믿고, 믿음과 소망을 가지고 하나님께 외칠 수 있게 도와주소서.

어떻게 해야 혹독한 시대에 소망을 간직하며 살 수 있을까? 바라보기, 기다리기, 기도하기, 기억하기.

Daily Article

12/22/2018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MICAH 6–7 and REVELATION 13
Hymn: 95(old 82)

Hope Is Our Strategy

My favorite football team has lost eight consecutive games as I write this. With each loss, it’s harder to hope this season can be redeemed for them. The coach has made changes weekly, but they haven’t resulted in wins. Talking with my coworkers, I’ve joked that merely wanting a different outcome can’t guarantee it. “Hope is not a strategy,” I’ve quipped.

That’s true in football. But in our spiritual lives, it’s just the opposite. Not only is cultivating hope in God a strategy, but clinging to Him in faith and trust is the only strategy. This world often disappoints us, but hope can anchor us in God’s truth and power during the turbulent times.

Micah understood this reality. He was heartbroken by how Israel had turned away from God. “What misery is mine! . . . The faithful have been swept from the land; not one upright person remains” (7:1–2). But then he refocused on his true hope: “But as for me, I watch in hope for the LORD , I wait for God my Savior; my God will hear me” (V 7).

What does it take to maintain hope in harsh times? Micah shows us: Watching. Waiting. Praying. Remembering. God hears our cries even when our circumstances are overwhelming. In these moments, clinging to and acting in response to our hope in God is our strategy, the only strategy that will help us weather life’s storms. ADAM HOLZ

Today's Reading

Micah 7:1–7
But as for me, I watch in hope for the Lord, I wait for God my Savior; my God will hear me. Micah 7:7

Father, You’ve promised to be an anchor for our hearts when circumstances look discouraging. Help us call out to You in faith and hope, believing that You hear our hearts’ cries.

What does it take to maintain hope in harsh times? Watching. Waiting. Praying. Remembering.

오늘의 말씀

12/21/2018     금요일

성경읽기: 미 4-5; 계 12
찬송가: 140(통 130)

두려워하지 말라!

성경을 보면 천사가 나타나 하는 첫마디 말은 대개 “두려워하지 말라!”입니다. 별로 놀랄 일도 아닙니다. 초자연적인 존재가 지구상에 나타난 것을 본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누가복음에 나오는 하나님은 무섭지 않은 모습으로 나타나셨습니다. 동물들과 함께 태어나 구유에 누우신 예수님의 모습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이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 모습으로 오신 것을 봅니다. 갓난아기보다 무섭지 않은 것이 어디 있을까요?

세상에 오신 예수님은 하나님이시며 동시에 인간이십니다. 하나님이신 예수님은 기적을 행하고 죄를 용서하시며, 죽음을 이기시고 미래를 예언하실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눈부신 구름이나 불기둥으로 나타나신 하나님의 이미지만 보아 온 유대인들은 사람으로 오신 예수님의 모습을 보면서 매우 혼란스러워했습니다.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한 아기가, 목수의 아들이, 나사렛 출신의 남자가 어떻게 하나님이 보내신 메시아가 될 수 있단 말입니까?

왜 하나님은 인간의 모습을 취하신 것일까요? 성전의 랍비들과 토론하는 열두 살 소년의 예수님 모습에서 한 가지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듣는 자가 다 그 지혜와 대답을 놀랍게 여기더라”(2:47)고 누가는 기록합니다. 처음으로 보통 사람들이 눈에 보이는 하나님과 대화를 나눌 수 있었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그의 부모, 랍비, 가난한 과부 등, 누구와도 이야기하실 수 있습니다. “두려워하지 말라!”고 미리 말씀하실 필요도 없이 말입니다. 그런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은 우리에게 가까이 다가오십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42-52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마가복음 1:15

하늘에 계신 아버지, 이 성탄절에 잠시 하나님의 아들이 어떻게 연약한 아기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오셨는지 생각해봅니다......그리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가까이 오셨다는 놀랍고 경이로운 사실에 우리는 경배합니다.

하나님과 사람이 다시 함께 행복해지도록 예수님이 하나님인 동시에 사람이신 한 인격체로 오셨다. 조지 휫필드

Daily Article

12/21/2018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MICAH 4–5 and REVELATION 12
Hymn: 140(old 130)

Don’t Be Afraid!

Nearly every time an angel appears in the Bible, the first words he says are “Don’t be afraid!” Little wonder. When the supernatural makes contact with planet Earth, it usually leaves the human observers flat on their faces in fear. But Luke tells of God making an appearance in a form that doesn’t frighten. In Jesus, born with the animals and laid in a feeding trough, God takes an approach that we need not fear. What could be less scary than a newborn baby?

On Earth Jesus is both God and man. As God, He can work miracles, forgive sins, conquer death, and predict the future. But for Jews accustomed to images of God as a bright cloud or pillar of fire, Jesus also causes much confusion. How could a baby in Bethlehem, a carpenter’s son, a man from Nazareth, be the Messiah from God?

Why does God take on human form? The scene of twelve-year-old Jesus debating rabbis in the temple gives one clue. “Everyone who heard him was amazed at his understanding and his answers,” Luke tells us (2:47). For the first time, ordinary people could hold a conversation with God in visible form.

Jesus can talk to anyone—His parents, a rabbi, a poor widow—without first having to announce, “Don’t be afraid!” In Jesus, God draws near. PHILIP YANCEY

Today's Reading

Luke 2:42–52
The kingdom of God has come near. Mark 1:15

Heavenly Father, we pause at Christmas to remember how Your Son came to us in the form of a helpless baby . . . and we worship in amazement and wonder that God came near to us.

Jesus was God and man in one person, that God and man might be happy together again. GEORGE WHITEFIELD

오늘의 말씀

12/20/2018     목요일

성경읽기: 미 1-3; 계 11
찬송가: 516(통 265)

지도자를 따라가기

우리 집 위로 전투기 세 대가 굉음을 내며 하늘을 가로질러 날아갑니다. 서로 아주 가깝게 편대비행을 하고 있어서 마치 한 대가 날아가는 것 같이 보입니다. 내가 “우와” 하고 감탄하자 남편 댄도 “정말 멋지다”고 말합니다. 우리 집 근처에 공군기지가 있어서 그런 광경을 드물지 않게 봅니다.

그러나 전투기들이 그렇게 날아가는 광경을 볼 때마다 생각해봅니다. ‘어떻게 저렇게 가까이 붙어서 날면서 통제력을 잃지 않을 수 있을까?’ 내가 알게 된 한 가지 분명한 이유는 겸손입니다. 양쪽의 조종사들은 선두 조종사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한 속도와 궤적을 유지하며 날고 있다는 것을 믿고, 방향을 바꾸거나 진로에 대한 어떠한 결정도 선두 조종사에게 의심 없이 맡긴 채 대형을 이루어 바짝 붙어 따라갑니다. 그 결과, 더욱 강력한 팀을 이루게 되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주님은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누가복음 9:23) 고 말씀하십니다.

주님이 가신 길은 따르기엔 힘든 자기 부인의 길이요 고난의 길입니다. 그러므로 주님의 참 제자가 되기 위해서는 이기적인 욕구를 버리고 매일 영적인 부담을 짊어지면서 주님을 가까이 따라야 합니다. 예를 들면, 우리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을 먼저 섬겨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겸손하게 하나님과 가까이 동행하는 것은 아주 멋진 광경입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가며 아주 가까이 머물러 있으면 우리도 예수님과 하나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에게 우리는 보이지 않고 주님의 모습이 보일 것입니다. 그 광경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우와!” 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9:21-24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누가복음 9:23

하나님, 우리를 하나님께로 가까이 이끌어주시고, 사랑과 기쁨과 평화의 성령으로 채워주소서. 이 세상에서 반짝이는 빛이 될 수 있도록 능력을 입혀주소서.

우리 삶의 모습은 다른 사람들이 예수님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창이다.

Daily Article

12/20/2018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MICAH 1–3 and REVELATION 11
Hymn: 516(old 265)

Following the Leader

In the sky over our house, three fighter jets scream through the sky—flying in formation so close together they appear to be one. “Wow,” I say to my husband, Dan. “Impressive,” he agrees. We live near an Air Force base and it’s not unusual to see such sights.

Every time these jets fly over, however, I have the same question: how can they fly so close together and not lose control? One obvious reason, I learned, is humility. Trusting that the lead pilot is traveling at precisely the correct speed and trajectory, the wing pilots surrender any desire to switch directions or question their leader’s path. Instead, they get in formation and closely follow. The result? A more powerful team.

It’s no different for followers of Jesus. He says, “Whoever wants to be my disciple must deny themselves and take up their cross daily and follow me” (LUKE 9:23).

His path was one of self-denial and suffering, which can be hard to follow. But to be His effective disciples, we too are invited to put aside selfish desires and pick up spiritual burdens daily—serving others first instead of ourselves, for example—as we closely follow Him.

It’s quite a sight, this humbling, close walk with God. Following His lead, and staying so close, we can appear with Christ as one. Then others won’t see us, they’ll see Him. There’s a simple word for what that looks like: “Wow!”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Luke 9:21–24
Whoever wants to be my disciple must deny themselves and take up their cross daily and follow me. Luke 9:23

Please, God, draw us close to You. Fill us with Your Spirit of love and joy and peace. Enable us to be a shining light in our world.

Our lives are a window through which others can see Jesus.

오늘의 말씀

12/19/2018     수요일

성경읽기: 욘 1-4; 계 10
찬송가: 520(통 257)

어떤 크리스마스 편지

크리스마스 때마다 지난 일 년을 되돌아보고 미래의 꿈을 그리며 아내에게 긴 편지를 쓰는 친구가 있습니다. 그 편지에서 그는 언제나 자기가 아내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그리고 왜 그렇게 사랑하는지를 말합니다. 그 친구는 또 자기 딸들에게도 따로따로 편지를 씁니다. 그가 쓰는 사랑의 말들은 잊지 못할 크리스마스 선물이 됩니다.

사실 말씀이 육신이 되신 예수님이야말로 최초의 크리스마스 사랑의 편지를 쓰신 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한은 그의 복음서에서 이 사실을 강조합니다.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요한복음 1:1). 고대 철학에서 말씀을 뜻하는 그리스어 ‘로고스’는 현실을 통합하는 신성한 마음이나 질서를 의미했습니다. 그러나 요한은 그 정의를 확대해서 말씀을 한 ‘인격체’, 곧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계셨던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임을 밝혔습니다(2절). 이 말씀, 곧 하나님 아버지의 “독생자”가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셨습니다”(14절). 말씀이신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은 그분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십니다.

신학자들은 수세기 동안 이 아름다운 신비를 풀려고 노력해왔습니다. 우리가 많은 부분을 이해하지 못한다 해도, 말씀이신 예수님이 이 어두운 세상에 빛을 가져다주신다는 사실은 확신할 수 있습니다(9절). 우리가 그분을 믿으면 하나님의 사랑하는 자녀가 되는 선물을 받을 수 있습니다(12절).

하나님이 쓰신 사랑의 편지인 예수님이 오셔서 우리 가운데 거하십니다. 그야말로 놀라운 크리스마스 선물이 아닌가요!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14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요한복음 1:14

주 예수님, 주님은 하나님의 말씀이며 제 삶에 빛을 가져다주시는 분이십니다. 제가 주님의 선하심과 은혜를 빛나게 하여 주님께 영광을 드리게 해주소서.

오늘 예수님이라는 놀라운 선물을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나누시겠습니까?

Daily Article

12/19/2018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NAH 1–4 and REVELATION 10
Hymn: 520(old 257)

A Christmas Letter

Every Christmas, a friend of mine writes a long letter to his wife, reviewing the events of the year and dreaming about the future. He always tells her how much he loves her, and why. He also writes a letter to each of his daughters. His words of love make an unforgettable Christmas present.

We could say that the original Christmas love letter was Jesus, the Word made flesh. John highlights this truth in his gospel: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JOHN 1:1). In ancient philosophy, the Greek for Word, logos , suggested a divine mind or order that unites reality, but John expands the definition to reveal the Word as a person : Jesus, the Son of God who was “with God in the beginning” (V 2). This Word, the Father’s “one and only Son,” “became flesh and made his dwelling among us” (V 14). Through Jesus the Word, God reveals Himself perfectly.

Theologians have grappled with this beautiful mystery for centuries. However much we may not understand, we can be certain that Jesus as the Word gives light to our dark world (V 9). If we believe in Him, we can experience the gift of being God’s beloved children (V 12).

Jesus, God’s love letter to us, has come and made His home among us. Now that’s an amazing Christmas gift!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ohn 1:1–14
The Word became flesh and made his dwelling among us. We have seen his glory, the glory of the one and only Son, who came from the Father. John 1:14

Lord Jesus Christ, You are the Word of God, and You bring light into my life. May I shine forth Your goodness and grace and bring You honor.

How can you share the amazing gift of Jesus with others today?

오늘의 말씀

12/18/2018     화요일

성경읽기: 옵; 계 9
찬송가: 370(통 455)

죽음에서 깨어남

우리 아들들이 어렸을 때 친구 가족들과 함께 모여 시간을 보냈던 소중한 추억이 있습니다. 어른들은 밤늦게까지 이야기를 나누고, 아이들은 놀다 지쳐 소파나 의자에서 그냥 잠이 들곤 했습니다.

떠날 때에는, 나는 잠든 아이들을 팔에 안아 차로 옮기고, 뒷좌석에 눕혀서 집으로 데려옵니다. 집에 도착하면 아이들을 다시 안아 침대에 눕혀 다독이고, 잘 자라는 입맞춤을 하고는 불을 끕니다. 아침에 아이들이 깨어나면 집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것은 우리가 “예수 안에서 자는” (데살로니가전서 4:14) 밤이 어떤 것인지 나에게 알게 해준 훌륭한 은유였습니다. 우리는 잠이 들었다가......우리의 영원한 집에서 다시 깨어납니다. 그 집에서는 우리 인생에서 겪은 모든 피로가 말끔히 씻길 것입니다.

어느 날 구약성경을 읽다가 신명기 마지막 부분에 “모세가 여호와의 말씀대로 모압 땅에서 죽었다”(34:5)는 글을 보고 놀랐습니다. 그 히브리말을 직역하면 “모세가 ‘여호와의 입에 대인 채’ 죽었다”인데, 고대 랍비들은 이 구절을 “여호와의 입맞춤과 함께”라고 번역하였습니다.

우리가 지상에서 마지막 밤을 보낼 때 하나님께서 이불을 덮어주며 몸을 숙여 잘 자라는 입맞춤을 해주시는 모습을 그려보는 것은 지나친 상상일까요? 존 던은 그것을 아주 멋지게 표현했습니다. “짧은 잠이 끝나면 영원히 깨어 있으리.”

오늘의 성구

신명기 34:1-8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 데살로니가전서 4:14

하나님 아버지, 주님의 팔이 우리를 안으시니 우리가 평화롭게 잠들 수 있습니다.

죽음은 우리를 한시적인 시간에서 영원으로 돌아가게 할 뿐이다. 윌리엄 펜

Daily Article

12/18/2018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OBADIAH and REVELATION 9
Hymn: 370(old 455)

The Great Awakening

I have a treasured memory of gatherings with family friends when our boys were small. The adults would talk into the night; our children, weary with play would curl up on a couch or chair and fall asleep.

When it was time to leave, I would gather our boys into my arms, carry them to the car, lay them in the back seat, and take them home. When we arrived, I would pick them up again, tuck them into their beds, kiss them goodnight, and turn out the light. In the morning they would awaken—at home.

This has become a rich metaphor for me of the night on which we “sleep in Jesus” (1 THESSALONIANS 4:14 KJV ). We slumber . . . and awaken in our eternal home, the home that will heal the weariness that has marked our days.

I came across an Old Testament text the other day that surprised me—a closing comment in Deuteronomy: “Moses . . . died there in Moab, as the LORD had said” (34:5). The Hebrew means literally, “Moses died . . . with the mouth of the LORD , ” a phrase ancient rabbis translated, “With the kiss of the LORD .”

Is it too much to envision God bending over us on our final night on earth, tucking us in and kissing us goodnight? Then, as John Donne so eloquently put it, “One short sleep past, we wake eternally.”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Deuteronomy 34:1–8
God will bring with Jesus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in him. 1 Thessalonians 4:14

Heavenly Father, because Your arms carry us, we can sleep in peace.

For death is no more than a turning of us over from time to eternity. WILLIAM PENN

오늘의 말씀

12/17/2018     월요일

성경읽기: 암 7-9; 계 8
찬송가: 450(통 376)

부끄러움이 명예로

온 가족이 다함께 모여 축하하는 명절이 또다시 다가옵니다. 하지만 우리들 중 아직 미혼이거나 아이가 없는 사람들은 쓸데없이 “관심을 갖고 걱정해주는” 친척들을 만나기 싫어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이 하는 질문들을 들으면 뭔가 자기가 잘못한 것 같은 기분이 들기 때문입니다.

엘리사벳이 겪고 있던 곤경을 생각해 보십시오. 그녀는 결혼한 지 오래 되었지만 아이가 없었습니다. 아이를 못 가진 것은 그 당시 문화에서 보면 하나님의 은총을 잃었다는 표시였으며( 사 무 엘 상 1 : 5 - 6 참조) 실제로 수치스러운 일로 여겨질 수 있었습니다. 엘리사벳은 의롭게 살아왔지만 (누가복음 1:6), 이웃과 친족들은 그렇지 않을 거라고 의심했을 지도 모릅니다.

그런 상황에서도 엘리사벳과 그의 남편은 주님을 성실히 섬겼습니다. 그러다가 두 사람이 나이가 꽤 들었을 때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하나님이 엘리사벳의 기도를 들어주신 것입니다(13절). 하나님은 자신이 베푸시는 은총을 보여주기를 기뻐하십니다(25절). 때로는 하나님이 늦게 응답하시는 것 같아도 항상 적절한 시간에 맞춰 주시고, 그분의 지혜는 언제나 완벽합니다. 하나님은 엘리사벳과 그의 남편에게 장차 메시아의 선구자가 될 아기를(이사야 40:3-5) 특별한 선물로 주신 것입니다.

대학 학위나 배우자, 자녀, 직업, 혹은 주택 같은 것이 없어 스스로 부족하다고 느끼십니까? 엘리사벳처럼 주님을 위해 계속 성실히 살아가면서 ‘그분의’ 계획을 참을성 있게 기다리십시오.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은 우리 안에서, 그리고 우리를 통해 일하고 계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마음을 아시고 우리의 기도를 들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18-25
주께서 나를 돌보시는 날에 사람들 앞에서 내 부끄러움을 없게 하시려고 이렇게 행하심이라 누가복음 1:25

언제나 신실하시고 선하신 하나님. 우리의 마음이 아플 때라도 하나님을 믿고 기다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주님을 성실히 섬기며 살고 그분의 계획을 참을성 있게 기다리라.

Daily Article

12/17/2018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AMOS 7–9 and REVELATION 8
Hymn: 450(old 376)

From Shame to Honor

It’s that time of the year again, when families gather to celebrate the festive season together. Some of us, however, dread meeting certain “concerned” relatives whose questions can make those who are still single or childless feel that there’s something wrong with them.

Imagine the plight of Elizabeth, who was childless despite being married for many years. In her culture, that was seen as a sign of God’s disfavor (SEE 1 SAMUEL 1:5–6) and could actually be considered shameful. So while Elizabeth had been living righteously (LUKE 1:6), her neighbors and relatives may have suspected otherwise.

Nonetheless, Elizabeth and her husband continued to serve the Lord faithfully. Then, when both were well advanced in years, a miracle occurred. God heard her prayer (V 13). He loves to show us His favor (V 25). And though He may seem to delay, His timing is always right and His wisdom always perfect. For Elizabeth and her husband, God had a special gift: a child who would become the Messiah’s forerunner (ISAIAH 40:3–5).

Do you feel inadequate because you seem to lack something—a university degree, a spouse, a child, a job, a house? Keep living for Him faithfully and waiting patiently for Him and His plan, just as Elizabeth did. No matter our circumstances, God is working in and through us. He knows your heart. He hears your prayers.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Luke 1:18–25
[The Lord] has shown his favor and taken away my disgrace among the people. Luke 1:25

God, You are forever faithful and good. Help us to keep trusting in You, even when we experience heartache.

Keep living for Him faithfully and waiting patiently for His plan.

오늘의 말씀

12/16/2018     주일

성경읽기: 암 4-6; 계 7
찬송가: 286(통 218)

거울에 비춰보는 사람

우간다 캄팔라의 호텔에서, 나를 세미나 장소로 데려가려고 온 여인이 나를 보더니 재미있다는 듯이 웃었습니다. “무엇이 그렇게 재미있나요?”라고 물었더니 그녀가 웃으면서 “머리에 빗질은 하셨나요?”라고 되물었습니다. 이번에는 내가 웃고 말았습니다. 머리 빗는 것을 정말 깜빡 잊어버렸기 때문입니다. 호텔에서 거울을 보긴 보았는데 나는 도대체 무엇을 본 것일까요?

야고보는 현실적인 예를 사용하여 우리의 성경공부가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데 유용한 측면을 제시해줍니다. 우리는 거울을 보며 머리는 빗었는지, 얼굴은 씻었는지, 셔츠의 단추는 제대로 채워졌는지 등, 고칠 것이 없는지 살펴봅니다. 거울과 같이 성경도 우리의 성격, 태도, 생각과 행동을 점검하는 데 도움을 주고(야고보서 1:23-24), 그럼으로써 우리가 하나님이 보여주신 원칙에 따라 바르게 살 수 있게 해줍니다. 우리는 혀에 “재갈 물리고”(26절) “고아와 과부를 돌보아야”(27절) 하고, 우리 안에 있는 성령에 주의를 기울이며 “세속에 물들지 않게” 해야 합니다(27절).

“자유롭게 하는 온전한 율법”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우리 삶에 적용할 때, 우리가 하는 일에 복을 받을 수 있습니다(25절). 성경이라는 거울에 우리를 비춰볼 때 “[우리] 마음에 심어진 말씀을 온유함으로 받을”(21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16-27
자유롭게 하는 온전한 율법을 들여다보고 있는 자는......그 행하는 일에 복을 받으리라 야고보서 1:25

하나님 아버지, “내 눈을 열어서 주의 율법에서 놀라운 것을 보게 하소서”(시편 119:18). 하나님이 성경에서 내게 보여주신 대로 내 삶을 바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거울이 우리의 모습을 비추듯이 성경은 우리의 내면을 드러내 보여준다.

Daily Article

12/16/2018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AMOS 4–6 and REVELATION 7
Hymn: 286(old 218)

Mirrors and Hearers

When I emerged from my hotel in Kampala, Uganda, my hostess, who had come to pick me up for our seminar, looked at me with an amused grin. “What’s so funny?” I inquired. She laughed and asked, “Did you comb your hair?” It was my turn to laugh, for I had indeed forgotten to comb my hair. I’d looked at my reflection in the hotel mirror. How come I took no notice of what I saw?

In a practical analogy, James gives us a useful dimension to make our study of Scripture more beneficial. We look in the mirror to examine ourselves to see if anything needs correction—hair combed, face washed, shirt properly buttoned. Like a mirror, the Bible helps us to examine our character, attitude, thoughts, and behavior (JAMES 1:23–24). This enables us to align our live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what God has revealed. We will “keep a tight rein” on our tongues (V 26) and “look after orphans and widows” (V 27). We will pay heed to God’s Holy Spirit within us and keep ourselves “from being polluted by the world” (V 27).

When we look attentively into “the perfect law that gives freedom” and apply it to our lives, we will be blessed in what we do (V 25). As we look into the mirror of Scripture, we can “humbly accept the word planted in [us]” (V 21). LAWRENCE DARMANI

Today's Reading

James 1:16–27
Whoever looks intently into the perfect law that gives freedom, and continues in it... will be blessed in what they do. James 1:25

Heavenly Father, “open my eyes that I may see wonderful things in your law” (PSALM 119:18). Help me to order my life according to what You show me in Scripture.

As a mirror reflects our image, the Bible reveals our inner being.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