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14/2019     월요일

성경읽기: 창 33-35; 마 10:1-20
찬송가: 545(통 344)

소망은 믿을 수 있는 반석

믿음에 관한 교훈은 생각지도 않은 데서 얻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곰”이라고 불리는 나의 110 파운드(50킬로그램) 나가는 래브라도 리트리버 개가 교훈을 줄 때가 있습니다. 부엌 한 구석에 “곰”이 쓰는 큼직한 금속제 물그릇이 있습니다. 그릇이 비어 있을 때마다 그 녀석은 그것을 보고 짖거나 발길질을 하지 않고 그릇 옆에 조용히 엎드려 기다리곤 합니다. 어떤 때는 몇 분을 기다려야 할 때도 있지만, “곰” 은 언젠가 내가 부엌으로 걸어가 자기가 거기 있는 것을 보고 필요한 것을 채워줄 줄 믿고 있었습니다. 나에 대한 개의 단순한 믿음을 보고 나는 내가 하나님을 더 많이 신뢰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성경은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히브리서 11:1)라고 말합니다. 그 실상과 증거의 기초는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 주시는 이”(6절)이신 하나님 자신입니다. 하나님은 신실하셔서 예수님을 믿고 그에게로 나아오는 자들에게 그분의 약속을 지켜주십니다.

“보이지 않는 것들”을 믿는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지혜는 모든 일에 있어, 심지어 우리가 기다려야만 할 때에도 완벽하시다는 것을 믿으면, 우리는 하나님의 선하심과 그분의 사랑의 성품 안에서 안식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신실하셔서 그분이 말씀하시는 것을 이루어주십니다. 불멸의 우리 영혼을 구원해 주신다는 것과, 지금도 앞으로도 우리의 가장 본질적인 필요를 채워주신다는 말씀 말입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1:1-6
나의 하나님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광 가운데 그 풍성한 대로 너희 모든 쓸 것을 채우시리라
빌립보서 4:19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신실하심으로 언제나 나를 돌보아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도 하나님을 신뢰하고 하나님의 완전하신 사랑 안에서 안식하도록 도와주소서.

내일 일을 염려하지 말라. 하나님은 이미 그곳에 계신다.

Daily Article

01/14/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3–35 and MATTHEW 10:1–20
Hymn: 545(old 344)

Hope’s Sure Foundation

Lessons on faith can come from unexpected places—like the one I learned from my 110-pound, black Labrador retriever, “Bear.” Bear’s large metal water bowl was located in a corner of the kitchen. Whenever it was empty, he wouldn’t bark or paw at it. Instead, he would lie down quietly beside it and wait. Sometimes he would have to wait several minutes, but Bear had learned to trust that I would eventually walk into the room, see him there, and provide what he needed. His simple faith in me reminded me of my need to place more trust in God.

The Bible tells us that “faith is confidence in what we hope for and assurance about what we do not see” (HEBREWS 11:1). The foundation of this confidence and assurance is God Himself, who “rewards those who earnestly seek him” (V 6). God is faithful to keep His promises to all who believe and come to Him through Jesus.

Sometimes having faith in “what we do not see” isn’t easy. But we can rest in God’s goodness and His loving character, trusting that His wisdom is perfect in all things—even when we have to wait. He is always faithful to do what He says: to save our eternal souls and meet our deepest needs, now and forever. - JAMES BANKS

Today's Reading

Hebrews 11:1–6
My God will meet all your needs according to the riches of his glory in Christ Jesus.
Philippians 4:19

Almighty Father, thank You for Your faithfulness to always take care of me. Help me to trust You and to rest in Your perfect love today.

Don’t worry about tomorrow—God is already there.

오늘의 말씀

01/13/2019     주일

성경읽기: 창 31-32; 마 9:18-38
찬송가: 214(통 349)

가재들이 처한 곤경

사촌형이 같이 가재 잡으러가자고 했을 때 나는 정말 신이 나서, 플라스틱 통을 건네줄 때는 미소가 떠나지 않았습니다. “뚜껑은 없어?”

그는 “필요 없을 거야.”라고 하면서 낚싯대와 미끼로 쓸 닭고기 덩어리가 든 작은 봉지를 집어 들었습니다.

나중에 나는 작은 갑각류들이 서로 올라타고서 거의 꽉 찬 통 바깥으로 빠져나오려 헛수고하고 있는 것을 보면서 왜 뚜껑이 필요 없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가재 하나가 통의 테두리에 다다를 때마다 다른 녀석들이 그 놈을 아래로 끌어당겨 떨어뜨리는 것이었습니다.

가재들이 처한 곤경을 보면서 공동체 전체의 유익보다는 우리 자신의 이익에 이기적으로 관심을 갖는 것이 얼마나 파괴적인가를 다시 생각해보았습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편지를 쓸 때 서로를 북돋워주는 상호 의존적 인간관계의 필요성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이렇게 강하게 권고했습니다. “게으른 자들을 권계하며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고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주며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데살로니가전서 5:14).

바울은 공동체를 돌보는 그들을 칭찬하면서(11절), 서로 더욱 사랑하고 화평한 인간관계를 향해 나아가라고 그들을 더욱 독려했습니다 (13-15절). 용서와 친절과 연민의 문화를 이루어나가는 노력이야말로 하나님과 사람들과의 관계를 더 튼튼하게 할 것입니다(15,23절).

교회는 그런 사랑의 화합으로 성장하고 그리스도를 증거할 수 있습니다. 믿는 자들이 다른 사람들을 말로나 행동으로 끌어내리기보다 일으켜 세워주는 일에 헌신하면서 하나님을 높일 때, 우리와 우리의 공동체는 번창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5:11-18
서로 대하든지 모든 사람을 대하든지 항상 선을 따르라
데살로니가전서 5:15

.

어떻게 공동체의 다른 사람들을 세워줄 것인가?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서 어떤 보살핌과 동정심을 받아보았는가?

Daily Article

01/13/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1–32 and MATTHEW 9:18–38
Hymn: 214(old 349)

Plight of the Crawdads

When my cousin invited me to join him to fish for crawdads (crayfish), I couldn’t help but be excited. I grinned when he handed me a plastic pail. “No lid?”

“You won’t need one,” he said, picking up the fishing rods and the small bag of chicken chunks we’d use for bait.

Later, as I watched the small crustaceans climbing over one another in a futile attempt to escape the almost-full bucket, I realized why we wouldn’t need a lid. Whenever one crawdad reached the rim, the others would pull it back down.

The plight of the crawdads reminds me how destructive it is to be selfishly concerned about our own gain instead of the benefit of a whole community. Paul understood the need for uplifting,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when he wrote to the believers in Thessalonica. He urged them to “warn those who are idle and disruptive, encourage the disheartened, help the weak,” and “be patient with everyone” (1 THESSALONIANS 5:14).

Commending their caring community (V 11), Paul spurred them toward even more loving and peaceful relationships (VV 13–15). By striving to create a culture of forgiveness, kindness, and compassion, their relationships with God and others would be strengthened (VV 15, 23).

The church can grow and witness for Christ through this kind of loving unity. When believers honor God, committing to lift others up instead of pulling them down with words or actions, we and our communities thriv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Thess. 5:11–18
Always strive to do what is good for each other and for everyone else.
1 Thessalonians 5:15

.

How will you build up others in your community? What care and compassion have you received from believers in Jesus?

오늘의 말씀

01/12/2019     토요일

성경읽기: 창 29-30; 마 9:1-17
찬송가: 218(통 369)

바로 우리 뒤에 계시는 예수님

평소보다 좀 일찍 학교에 갈 준비를 마친 딸이 가는 길에 커피숍에 잠깐 들릴 수 있는지 묻기에 좋다고 했습니다. 주문하는 차선에 다가갔을 때 내가 말했습니다. “오늘 아침 우리 다른 사람과 기쁨을 좀 나눠볼까?” 딸이 좋다고 했습니다.

주문을 마치고 종업원이 말해 준 창구에 차를 세워 돈을 내면서 “우리 뒤에 있는 젊은 여자 분 것도 같이 낼게요.”라고 말하자 딸의 얼굴에 환한 웃음꽃이 피어올랐습니다.

크게 보면, 커피 한잔은 대단한 것 같이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아니, 대단한 건가요? 어쩌면 이것이 예수님이 말씀하신 “지극히 작은 자”(마태복음 25:40)들을 우리가 돌보기를 바라는 주님의 소원을 우리가 실행하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한 가지 아이디어로, 단순히 우리 뒤에 있거나 다음 차례인 사람을 우리가 돌보아야 할 사람으로 여기는 것은 어떨까요? 그러고 나서 커피 한 잔이든, 그보다 더한 것이든 덜한 것이든 “무엇이라도” 하십시오. “네가 한 무엇이든” (40절) 이라고 예수님이 말씀하신 것은 우리가 아주 자유롭게 남을 섬기면서 주님을 섬길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우리가 차를 몰고 떠나갈 때 우리 뒤에 있던 그 젊은 여자 분과 커피를 건네주는 종업원의 얼굴을 잠깐 보았습니다. 두 사람 다 입이 찢어지도록 웃고 있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5:37-40
이들 중 지극히 작은 자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라
마태복음 25:40

주님, 다른 이들을 섬기는 일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게 도와주소서.
작고 단순한 일이 때로는 평소 생각보다 훨씬 더 의미 있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다른 이들을 위해 무엇을 하든 주님을 위해 하고 있음을 기억하도록 도와주소서.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것은 주님을 섬기는 것이다.

Daily Article

01/12/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9–30 and MATTHEW 9:1–17
Hymn: 218(old 369)

Jesus Is Right Behind You

My daughter was ready for school a little earlier than usual, so she asked if we could stop by the coffee shop on our way. I agreed. As we approached the drive-thru lane, I said, “Do you feel like spreading some joy this morning?” She said, “Sure.”

We placed our order, then pulled up to the window where the barista told us what we owed. I said, “We’d like to pay for the young woman’s order behind us too.” My daughter had a huge smile on her face.

In the grand scheme of things, a cup of coffee may not seem like a big deal. Or is it? I wonder, could this be one way we carry out Jesus’s desire for us to care for those He called “the least of these”? (MATTHEW 25:40). Here’s a thought: How about simply considering the person behind us or next in line a worthy candidate? And then do “whatever”—maybe it’s a cup of coffee, maybe it’s something more, maybe something less. But when Jesus said “whatever you did” (V 40) that gives us a great deal of freedom in serving Him while serving others.

As we drove away we caught the faces of the young woman behind us and the barista as she handed over the coffee. They were both grinning from ear to ear. - JOHN BLASE

Today's Reading

Matthew 25:37–40
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you did for me.
Matthew 25:40

Lord, help me not to overthink serving others.
Sometimes the small, simple things mean more than I’ll ever know. And help me to remember that whatever I do for others, I’m doing for You.

We serve Christ when we serve people.

오늘의 말씀

01/11/2019     금요일

성경읽기: 창 27-28; 마 8:18-34
찬송가: 304(통 404)

무한 차원

윙윙거리며 딸깍거리는 기계소리를 들으면서 나는 비닐에 덮인 매트에 가만히 누워 지시에 따라 숨을 멈추고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MRI 검사를 잘 받았겠지만, 폐쇄공포증이 있는 나는 그 검사를 받을 때마다 반드시 나 자신보다 훨씬 더 큰 무엇, 더 큰 누군가에게 마음을 모아 집중해야만 했습니다.

내 마음속에서 “헤아릴 수 없는 그리스도의 사랑의 폭과 길이와 높이와 깊이”(에베소서 3:18, 현대인의 성경)라는 성경구절이 기계의 윙윙거리는 소리의 리듬을 따라 떠올랐습니다. 바울은 에베소 교회를 위해 기도하면서 하나님의 무한하신 사랑과 어디에나 임재하고 계심을 강조하기 위해 하나님의 사랑의 네 가지 척도를 기술했습니다.

MRI 검사를 받으면서 누워있는 나의 자세는 하나님의 사랑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를 제공해주었습니다. 폭: 튜브 안에서 양팔을 몸에 딱 붙일 경우 몸과 벽 사이의 각각 6인치(약 15센티미터)의 간격, 길이: 머리와 발의 연장선에 있는 튜브의 뚫려있는 두 입구 사이의 거리, 높이: 코에서 튜브의 ‘천장’ 까지의 6인치 간격, 깊이: 내 몸 밑에서 나를 떠받치면서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튜브 지지대. 이 네 방향의 치수에 관한 설명은 MRI 튜브 안에서 뿐만 아니라 삶의 모든 상황에서 나를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임재를 잘 예시해 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를 사방에서 에워싸고 있습니다. 폭: 모든 곳의 모든 사람들에게까지 팔을 뻗어 안으시고, 길이: 그분의 사랑은 결코 끝이 없을 정도로 길며, 높이: 위로 우리를 들어 올리시고, 깊이: 그 몸을 낮추시어 그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를 받쳐주십니다. 그 어떤 것도 우리를 하나님에게서 떼어낼 수 없습니다!(로마서 8:38-39).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3:16-21
그리스도의 사랑과 폭과 길이와 높이와 깊이 를 깨달아 알기를......기도합니다
에베소서 3:17-18
(현대인의 성경)

사랑하는 하나님, 잠시 멈추어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다차원적인 사랑을 묵상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어떤 일이 하나님의 사랑을 의심하게 하는가?
어떻게 그분을 신뢰할 것인가?

Daily Article

01/11/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7–28 and MATTHEW 8:18–34
Hymn: 304(old 404)

Infinite Dimensions

I lay still on the vinyl-covered mat and held my breath on command as the machine whirred and clicked. I knew lots of folks had endured MRIs, but for claustrophobic me, the experience required focused concentration on something—Someone—much bigger than myself.

In my mind, a phrase from Scripture—“how wide and long and high and deep is the love of Christ” (EPHESIANS 3:18)—moved in rhythm with the machine’s hum. In Paul’s prayer for the Ephesian church, he described four dimensions to God’s love in order to stress the unending parameters of His love and presence.

My position while lying down for the MRI provided a new image for my understanding. Wide: the six inches on either side of where my arms were tightly pinned to my body within the tube. Long: the distance between the cylinder’s two openings, extending out from my head and feet. High: the six inches from my nose up to the “ceiling” of the tube. Deep: the support of the tube anchored to the floor beneath me, holding me up. Four dimensions illustrating God’s presence surrounding and holding me in the MRI tube—and in every circumstance of life.

God’s love is ALL around us. Wide: He extends His arms to reach all people everywhere. Long: His love never ends. High: He lifts us up. Deep: He dips down, holding us in all situations. Nothing can separate us from Him! (ROMANS 8:38–39).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Ephesians 3:16–21
I pray that you...[will] grasp how wide and long and high and deep is the love of Christ.
Ephesians 3:17-18

Dear God, help us pause to ponder Your multidimensional love for us!

What situations cause you to question God’s love? How will you choose to trust Him?

오늘의 말씀

01/10/2019     목요일

성경읽기: 창 25-26; 마 8:1-17
찬송가: 292(통 415)

따뜻하게 맞이하시는 하나님

우리 교회는 한 오래된 초등학교를 예배당으로 쓰고 있습니다. 이 학교는 1958년 미국 법원의 통합 명령(이전에 백인 생들만 다니던 학교에 흑인 학생들도 받아들이라는 법령) 에 따르느니 그대로 문을 닫아버렸습니다. 이듬해 그 학교가 다시 문을 열었을 때 백인 사회로 밀려들어간 흑인 학생들 중 하나가 바로 지금 우리 교회 교인인 엘바입니다. 엘바는 그 때 일을 이렇게 회상합니다. “늘 우리와 함께했던 선생님들이 있는 안전한 공동체를 떠나 다른 흑인 학생이라곤 단 한 명밖에 없는 교실, 그런 무서운 환경 속에 배치되었어요.” 엘바는 단지 다르다는 이유로 힘든 시간을 보냈지만, 용기와 믿음과 용서를 지닌 여성으로 변해갔습니다.

그녀의 간증은 의미심장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인종이나 타고난 자질에 상관없이 모든 인간들을 사랑하신다는 진리를 거부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저질렀던 온갖 악행들을 견뎌냈기 때문입니다. 초대교회의 일부 교인들도 똑같은 문제로 힘들어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어떤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사랑하고 다른 사람들은 사랑하지 않는다고 잘못 믿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하나님이 보여주시는 환상을 본 다음 아래와 같은 놀라운 계시로 듣는 이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습니다. “내가 참으로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보지 아니하시고 각 나라 중 하나님을 경외하며 의를 행하는 사람은 다 받으시는 줄 깨달았도다”(사도행전 10:34-35).

하나님은 팔을 넓게 벌리시고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을 베푸십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능력으로 그렇게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0:34-38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보지 아니하시고
사도행전 10:34

이웃, 가족, 그리고 사회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해보십시오. 어떤 사람들을 배제하고 싶은 유혹을 받습니까? 왜 그렇습니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밀어내려는 유혹에 이끌리지만, 하나님의 팔은 넓게 열려 있다.

Daily Article

01/10/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5–26 and MATTHEW 8:1–17
Hymn: 292(old 415)

Our Welcoming God

Our church meets in an old elementary school, one that closed in 1958 rather than obey a US court order to integrate (the act of having African-American students attend schools previously attended by only Caucasian students). The following year, the school reopened and Elva, now a member of our church, was one of those black students who were thrust into a white world. “I was taken out of my safe community, with teachers who were part of our life,” Elva recalls, “and placed in a scary environment in a class with only one other black student.” Elva suffered because she was different, but she became a woman of courage, faith, and forgiveness.

Her witness is profound because of how much evil she endured at the hands of some members of a society that denied the truth that every human being, regardless of race or heritage, is loved by God. Some members of the early church struggled with this same truth, believing that certain people were, by birth, loved by God while others were rejected. After receiving a divine vision, however, Peter stunned everyone who would listen with this astounding revelation: “I now realize how true it is that God does not show favoritism but accepts from every nation the one who fears him and does what is right” (ACTS 10:34–35).

God opens His arms wide to extend love to everyone. May we do the same in His power.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Acts 10:34–38
God does not show favoritism.
Acts 10:34

Consider your neighborhood, your family, and your social sphere. Where do you find a temptation to exclude others? Why?

We’re tempted to push others away, but God’s arms are open wide.

오늘의 말씀

01/09/2019     수요일

성경읽기: 창 23-24; 마 7
찬송가: 433(통 490)

구주 되신 예수님

작년에 친구들과 함께 암으로 투병 중인 여성 세 분의 치유를 위해 기도했었습니다. 치유의 능력을 지니신 하나님이심을 알고 우리는 치유를 위해 하나님께 매일 기도했습니다. 과거에 하나님이 그렇게 역사하시는 것을 보았기에 다시 그렇게 해주실 것을 믿었습니다. 그들이 투병 중에 치유가 일어나는 것 같이 보였던 때가 있어 우리는 기뻐했지만, 작년 가을에 그들 모두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그 죽음이 “궁극적인 치유”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어떤 면에서는 맞는 말이었습니다. 그래도 그들의 죽음은 우리에게 큰 상처를 남겼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바로 이 땅에서 그들 모두를 고쳐주시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그 이유를 알 수 없지만 아무런 기적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은 예수님이 행하시는 기적 때문에, 그리고 그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예수님을 따랐습니다 (요한복음 6:2,26). 어떤 사람들은 예수님을 그저 목수의 아들로만 생각했고 (마태복음 13:55-58), 어떤 사람들은 예수님이 그들의 정치적 지도자가 되기를 바랐습니다(누가복음 19:37-38). 또한 예수님을 위대한 선생으로 생각한 사람들이 있었는가 하면(마태복음 7:28-29), 예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기 힘들어 떠난 사람들도 있었습니다(요한복음 6:66).

예수님은 우리가 주님께 기대하는 것들을 언제나 충족시켜 주시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주님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크신 분이십니다. 우리에게 영생을 주시는 분이시며(47-48절), 선하시고 지혜로우시며, 우리를 사랑하시고 용서하시고 가까이 계시며 평안을 주십니다. 그런 예수님 안에서 우리 모두 쉼을 얻고 그분을 계속 따를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6:47-51,60-66
그때부터 그의 제자 중에서 많은 사람이 떠나가고 다시 그와 함께 다니지 아니하더라
요한복음 6:66

예수님, 우리에게 필요한 구주가 되심을 감사합니다.
사랑으로 우리를 감싸주시고 주님 안에서 참 안식을 누리게 하소서.

나는 주께 의지하고 말하기를 주는 내 하나님이시라 하였나이다.
시편 31:14

Daily Article

01/09/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3–24 and MATTHEW 7
Hymn: 433(old 490)

What Kind of Savior Is He?

Last year, friends and I prayed for healing for three women battling cancer. We knew God had the power to do this, and we asked Him to do so every day. We’d seen Him work in the past and believed He could do it again. There were days in each one’s battle where healing looked like it was a reality, and we rejoiced. But they all died that fall. Some said that was “the ultimate healing,” and in a way it was. Still the loss hurt us deeply. We wanted Him to heal them all—here and now—but for reasons we couldn’t understand, no miracle came.

Some people followed Jesus for the miracles He performed and to get their needs met (JOHN 6:2, 26). Some simply saw Him as the carpenter’s son (MATTHEW 13:55–58), and others expected Him to be their political leader (LUKE 19:37–38). Some thought of Him as a great teacher (MATTHEW 7:28–29), while others quit following Him because His teaching was hard to understand (JOHN 6:66).

Jesus still doesn’t always meet our expectations of Him. Yet He is so much more than we can imagine. He’s the provider of eternal life (VV 47–48). He is good and wise; and He loves, forgives, stays close, and brings us comfort. May we find rest in Jesus as He is and keep following Him. - ANNE CETAS

Today's Reading

John 6:47–51, 60–66
From this time many of his disciples turned back and no longer followed him.
John 6:66

Thank You, Jesus, that You are the kind of Savior we need.
Wrap us in Your love and bring us confident rest in You.

I trust in you, LORD ; I say, “You are my God.”
PSALM 31:14

오늘의 말씀

01/08/2019     화요일

성경읽기: 창 20-22; 마 6:19-34
찬송가: 369(통 487)

염려의 대안

법도 잘 지키고 정직하기도 한 사람이 다음과 같은 음성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여기는 경찰서에 근무하는 아무개 경찰관입니다. 이 번호로 저에게 전화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자 바로 그 사람은 자신이 무슨 잘못을 했나 두려워하며 염려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경찰에 전화하기가 겁이 났으며, 심지어 자신이 어떤 곤경에 빠져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걱정이 앞서 여러 가지 상상으로 밤잠을 설치기까지 했습니다. 더 이상 경찰로부터 전화는 없었지만 걱정이
사라지는 데에는 몇 주가 지나야 했습니다.

예수님은 염려에 대해 흥미로운 질문을 하셨습니다.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라도 더할 수 있겠느냐”(마태복음 6:27). 이 질문은 우리의 걱정하는 성향을 다시 생각해보는데 도움이 되는데, 그것은 염려가 우리가 닥친 상황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일깨워주기 때문입니다.

우리에게 문제가 닥쳤을 때, 다음 두 단계 조치를 취해볼 수 있습니다. 먼저는 행동을 취하는 것이고, 다음은 하나님께 맡기는 것입니다. 문제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일단 그렇게 하십시오. 우리는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을 때, 하나님은 결코 우리와 같은 곤경에 빠지지 않는 분이라는 것을 알면 위로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 편이기에, 언제든 우리의 상황을 하나님께 믿고 맡길 수 있습니다.

걱정해야 할 것 같이 느껴질 때 다윗 왕이 주는 격려의 말을 의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는 자신이 실제로 체험한 어려움과 염려에 직면했을 때 결론적으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네 짐을 여호와께 맡기라 그가 너를 붙드시라”(시편 55:22). 염려의 대안으로 정말 놀랍지 않은지요!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25-34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라도 더할 수 있겠느냐
마태복음 6:27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은 제가 오늘 무슨 일을 만날지 아십니다. 저의 염려를 주님께 맡겨드리니, 힘든 일을 만날 때 저를 강하게 해주시고 주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오늘 하나님께 어떤 염려를 맡겨야 할 것인가?

Daily Article

01/08/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0–22 and MATTHEW 6:19–34
Hymn: 369(old 487)

An Alternative to Worry

A law-abiding, honest man received a voicemail that said, “This is officer _________ from the police department. Please call me at this number.” Immediately the man began to worry—afraid that somehow he had done something wrong. He was afraid to return the call, and he even spent sleepless nights running through possible scenarios—worried that he was in some kind of trouble. The officer never called back, but it took weeks for the worry to go away.

Jesus asked an interesting question about worry: “Can any one of you by worrying add a single hour to your life?” (MATTHEW 6:27). Perhaps this can help us rethink our tendency to worry, because it suggests that it doesn’t help the situation we’re concerned about.

When problems are on the horizon for us, maybe we can try the following two-step approach: Take action and trust in God. If we can do something to avoid the problem, let’s try that route. We can pray for God to guide us to an action we should take. But if there’s nothing we can do, we can take comfort in knowing that God never finds Himself in such a predicament. He can always act on our behalf. We can always turn our situation over to Him in trust and confidence.

When it feels like time to worry, may we turn to the inspired words of King David, who faced his own share of difficulties and worries, but concluded: “Cast your cares on the LORD and he will sustain you” (PSALM 55:22). What a great alternative to worry! - DAVE BRANON

Today's Reading

Matthew 6:25–34
Can any one of you by worrying add a single hour to your life?
Matthew 6:27

Father, You know what faces me today. I am turning my cares over to You. Please strengthen me and help me to trust You with the struggles I face.

What worries do you need to give to God today?

오늘의 말씀

01/07/2019     월요일

성경읽기: 창 18-19; 마 6:1-18
찬송가: 286(통 218)

보통 사람

윌리엄 캐리는 영국 노샘프턴 근교의 한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난 허약한 소년이었습니다. 그의 장래도 그리 밝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를 위한 계획을 따로 가지고 계셨습니다. 그는 온갖 악조건을 극복하고 인도로 가서 놀라운 사회개혁을 일으켰으며 성경을 여러 인도 방언으로 번역했습니다. 또한 그는 하나님과 사람들을 사랑했으며 하나님을 위해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이새의 아들 다윗은 식구 중에서 가장 어린 보통 소년이었습니다. 겉보기에 베들레헴 언덕에서 양을 치는 한 아이에 지나지 않았지만(사무엘상 1 6 : 1 1 - 12), 하나님은 그의 마음을 보시고 그를 위한 계획을 세우셨습니다. 그 무렵 사울 왕은 불순종으로 하나님에게 버림받은 상태에 있었습니다. 사울의 행동에 대해 사무엘 선지자가 애석해 하고 있을 때, 하나님은 사무엘을 부르셔서 이새의 아들 중 하나에게 기름 부어 새 왕으로 세우라고 하셨습니다.

용모가 빼어나고 키가 큰 엘리압을 보자 사무엘은 바로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호와의 기름 부으실 자가 과연 주님 앞에 있도다” (6절). 그러나 왕을 선택하는 하나님의 전략은 사무엘의 생각과 아주 달랐습니다. 사실, 하나님은 이새의 다른 아들을 다 안 된다 하시고 막내아들을 택하신 것입니다. 다윗을 왕으로 택하신 것은 하나님의 입장에서도 분명히 전략적인 조치가 아니었습니다. 아니, 언뜻 보아 그래 보였습니다. 도대체 어린 목동이 나라는 고사하고, 그의 마을을 위해 무슨 일을 할 수 있다는 말입니까? 주님께서 우리 마음을 아시고 우리에 대한 계획을 갖고 계신다는 것을 알게 될 때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16:1-7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
사무엘상 16:7

사랑하는 주님, 우리의 외모나 소유물, 업적보다도 하나님을 향한 나의 마음의 태도에 더 관심을 가지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이 우선시 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이다.

Daily Article

01/07/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8–19 and MATTHEW 6:1–18
Hymn: 286(old 218)

An Ordinary Man

William Carey was a sickly boy, born to a humble family near Northampton, England. His future didn’t look too bright. But God had plans for him. Against all odds, he moved to India, where he brought incredible social reforms and translated the Bible into several Indian languages. He loved God and people, and accomplished many things for God.

David, son of Jesse, was an ordinary young man, the youngest in his family. He was seemingly an insignificant shepherd on the hills of Bethlehem (1 SAMUEL 16:11–12). Yet God saw David’s heart and had a plan for him. King Saul had been rejected by God for disobedience. While the prophet Samuel mourned Saul’s choices, God called Samuel to anoint a different king, one of Jesse’s sons.

When Samuel saw the handsome, tall Eliab, he naturally thought, “surely the LORD ’s anointed stands here before the Lord ” (V 6). However, God’s strategy to select a king was much different than Samuel’s. In fact, God said no to each of Jesse’s sons, except the youngest one. Selecting David as king was definitely not a strategic move from God’s part, or so it seemed at first glance. What would a young shepherd have to offer his community, let alone his country?

How comforting to know that the Lord knows our hearts and has His plans for us. -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1 Samuel 16:1–7
People look at the outward appearance, but the LORD looks at the heart.
1 Samuel 16:7

Dear Lord, thank You that You care more about my heart’s attitude toward You than my outward beauty, possessions, or achievements.

God’s priority is your heart.

오늘의 말씀

01/06/2019     주일

성경읽기: 창 16-17; 마 5:27-48
찬송가: 80(통 101)

더 위대한 영광

시저 아우구스투스는 로마제국의 최초의 황제이자 가장 위대한 황제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정치적 수완과 군사력으로 그의 정적들을 물리치고 제국을 확장하였으며, 이곳저곳 잡동사니로 뒤덮여 허물어진 로마를 대리석 동상과 신전들로 이루어진 도시로 일으켜 세웠습니다. 로마 시민들은 아우구스투스를 숭배하여 그를 신적인 아버지요 인류의 구원자로 칭송했습니다. 40년의 통치기간이 끝날 무렵 그가 공식적으로 한 마지막 말은 “내가 처음 봤을 때 로마는 진흙의 도시였지만, 이제 대리석의 도시가 되었다.”였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내에 따르면 실제 그의 마지막 말은 “인생이라는 연극에서 내 역할을 잘 수행한 것 같지 않소? 그렇다면 내가 퇴장할 때 박수나 쳐주시오.”였다고 합니다.

아우구스투스가 알지 못했던 사실이 하나 있었는데, 그것은 그에게 더 큰 이야기에서 조연 역할이 주어져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의 통치하에서 한 목수의 아들이 태어나 로마군대의 그 어떤 승리나 신전, 경기장, 궁전보다 훨씬 더 위대한 무엇을 드러내 보여주었습니다(누가복음 2:1).

예수님의 동족들이 로마의 사형집행관들이 주님을 십자가에 못 박게 하라고 요구하던 그날 밤, 예수님이 기도했던 그 영광을 어느 누가 알 수 있었을까요?(요한복음 17:4-5). 하늘과 땅에서 세세토록 박수 받으실 보이지 않는 그 놀라운 희생을 그 누가 예견할 수 있었을까요?

이것은 굉장한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헛된 꿈을 좇으며 서로 싸우는 모습을 보였지만, 하나님은 우리가 함께 오래된 험한 십자가를 찬양하게 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7:1-5,20-24
그 때에 가이사 아우구스투스가 영을 내려 천하로 다 호적하라 하였으니
누가복음 2:1

하늘에 계신 아버지, 우리가 사라져가는 모든 것의 영광을 꿰뚫고 그 너머에 있는 주님의 사랑만 볼 수 있게 도와주소서.

우리에게 필요한 영광은 십자가의 영광이다.

Daily Article

01/06/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6–17 and MATTHEW 5:27–48
Hymn: 80(old 101)

The Greater Glory

Caesar Augustus is remembered as the first and greatest of the Roman emperors. By political skill and military power he eliminated his enemies, expanded the empire, and lifted Rome from the clutter of rundown neighbor-hoods into a city of marble statues and temples. Adoring Roman citizens referred to Augustus as the divine father and savior of the human race. As his forty-year reign came to an end, his official last words were, “I found Rome a city of clay but left it a city of marble.” According to his wife, however, his last words were actually, “Have I played the part well? Then applaud as I exit.”

What Augustus didn’t know is that he’d been given a supporting role in a bigger story. In the shadow of his reign, the son of a carpenter was born to reveal something far greater than any Roman military victory, temple, stadium, or palace (LUKE 2:1).

But who could have understood the glory Jesus prayed for on the night His countrymen demanded His crucifixion by Roman executioners? (JOHN 17:4–5). Who could have foreseen the hidden wonder of a sacrifice that would be forever applauded in heaven and earth?

It’s quite a story. Our God found us chasing foolish dreams and fighting among ourselves. He left us singing together about an old rugged cross. - MART DEHAAN

Today's Reading

John 17:1–5, 20–24
In those days Caesar Augustus issued a decree that a census should be taken of the entire Roman world.
Luke 2:1

Father in heaven, please help us to see through and beyond the passing glory of everything but Your love.

The glory we need is the glory of the cross.

오늘의 말씀

01/05/2019     토요일

성경읽기: 창 13-15; 마 5:1-26
찬송가: 295(통 417)

변화 받고 변화시키기

나이지리아에서 자란 태니와 모두페는 1970년대에 영국으로 유학길에 올랐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인격적으로 변화된 그들은 자신들이 영국에서 가장 궁핍하고 격리된 지역인리버풀의 안필드를 변화시키는 일에 쓰임 받게 되리라고는 전혀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태니 오미데이와 모두페 오미데이 박사부부가 신실하게 하나님을 찾으며 그들의 공동체를 섬기자 하나님께서 많은 사람들에게 소망을 회복시켜주셨습니다. 그들은 섬기는 활기찬 교회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공동체 사업을 계속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을 변화시켰습니다.

므낫세는 그의 나라를 처음에는 악하게 만들었다가 나중에 선한 나라로 변화시켰습니다. 열두 살에 유다의 왕위에 오른 그가 백성들을 잘못 이끈 결과 백성들은 오랫동안 커다란 악을 저질렀습니다(역대하 33:1-9). 백성들이 전혀 하나님의 경고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자, 하나님은 므낫세를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게 하셨습니다(10-11절).

왕이 고통을 당하며 겸손히 하나님께 크게 부르짖자 하나님은 그의 간구를 들으시고 그를 다시 왕위에 회복시키셨습니다 (12-13절). 이제 변화된 왕은 성벽을 다시 쌓고 이방신들을 제거했습니다 (14-15절). “그는 여호와의 단을 다시 쌓고......모든 유다 백성들에게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섬기라고 명령하였습니다”(16절, 현대인의 성경). 백성들은 이렇게 철저히 변화된 므낫세를 목격하면서 그들 자신도 변화되었습니다(17절).

우리가 하나님을 찾을 때, 하나님께서 우리를 변화시키시고 변화된 우리를 통해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게 해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하 33:9-17
여호와의 제단을 보수하고......유다를 명령하여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섬기라 하매
역대하 33:16

하늘에 계신 아버지, 다른 사람들을 변화시키는 일에 하나님께 쓰임 받을 수 있도록 우리의 삶을 변화시켜주소서.

하나님에 의한 우리의 변화가 다른 사람들도 변화하게 만든다.

Daily Article

01/05/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3–15 and MATTHEW 5:1–26
Hymn: 295(old 417)

Transformed and Transforming

Tani and Modupe grew up in Nigeria and went to the UK to study in the 1970s. Having been personally transformed by God’s grace, they never imagined that they would be used to transform one of the most deprived and segregated communities in England—Anfield in Liverpool. As Drs. Tani and Modupe Omideyi faithfully sought God and served their community, God restored hope to many. They lead a vibrant church and continue to run numerous community projects that have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countless lives.

Manasseh changed his community, first for evil and then for good. Crowned king of Judah at the age of twelve, he led his people astray and they did great evil for many years (2 CHRONICLES 33:1–9). They paid no attention to God’s warnings and so He allowed Manasseh to be taken prisoner to Babylon (VV 10–11).

In his distress, the king humbly cried out to God who heard his plea and restored him to his kingdom (VV 12–13). The now- reformed king rebuilt the city walls and got rid of the foreign gods (VV 14–15). “He restored the altar of the LORD and . . . told Judah to serve the LORD , the God of Israel” (V 16). As the people observed the radical transformation of Manasseh, so too were they transformed (V 17).

As we seek God, may He transform us and so impact our communities through us. - RUTH O'REILLY-SMITH

Today's Reading

2 Chronicles 33:9–17
Then he restored the altar of the LORD...and told Judah to serve the LORD, the God of Israel.
2 Chronicles 33:16

Heavenly Father, transform our lives that we may be used by You to bring transformation to others.

Your transformation by God brings transformation to other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