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24/2019 목요일
대단한 일
그는 다음과 같은 고맙다는 말로 가득한 감사카드를 친척들에게 건네주었습니다. “또 해주셨군요......좋은 일을 하시면서 아마도 별로 대단한 일이 아닌 것처럼 해주시는군요.”
하지만 남을 돕는 일은 하나님께는 대단한 일입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이스라엘 민족에게 이 점을 분명하게 강조했습니다. 당시 백성들은 금식을 하면서도 여전히 서로 싸우고 다투고 있었습니다. 그에 대해 이사야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흉악의 결박을 풀어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주며......또 주린 자에게 네 양식을 나누어 주며 유리하는 빈민을 집에 들이며 헐벗은 자를 보면 입히며 네 골육을 피하여 스스로 숨지 말라”(이사야 58:6-7).
이사야는 이같이 남을 돕는 희생은 하나님의 빛을 나누어줄 뿐 아니라 우리 자신의 상처도 치유해준다고 말했습니다(8절). 앞서 말한 친척을 도운 가족들도 그렇게 하면서 자신들의 재정 상태를 냉정하고 꼼꼼하게 검토하게 되어 한 해 동안의 가계를 잘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남을 너그럽게 도울 때 하나님은 이렇게 약속하십니다. “네 공의가 네 앞에 행하고 여호와의 영광이 네 뒤에 호위하리니”(8절). 그 친척에게 베풀어줌으로써 결과적으로 그들은 더 큰 축복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럼, 하나님은요? 하나님은 사랑으로 이미 자신의 모든 것을 주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8:6-9내가 기뻐하는 금식은......압제 당하는 자를 자유하게 하며 모든 멍에를 꺾는 것이 아니겠느냐
이사야 58:6
주님, 우리도 주님처럼 너그럽게 베푸는 길을 걸을 수 있도록 빛을 밝혀주소서.
하나님은 자신의 모든 것을 주셨다. 우리도 하나님의 본을 받아 따르자.
Daily Article
01/24/2019 Thursday
A Big Deal
He handed them a thank-you card filled with grateful words. “There you go again . . . doing nice things, probably passing it off as no big deal.”
Helping others is a big deal, however, to God. The prophet Isaiah made that point to the nation of Israel. The people were fasting but still quarreling and fighting. Instead, said Isaiah: “Free those who are wrongly imprisoned; lighten the burden of those who work for you. . . . Share your food with the hungry, and give shelter to the homeless. Give clothes to those who need them, and do not hide from relatives who need your help” (ISAIAH 58:6–7 NLT ).
Such a sacrifice, said Isaiah, shares God’s light but also heals our own brokenness (V 8). As the family helped their relative, they looked hard at their own finances, seeing ways they could manage better all year. This was God’s promise for being generous: “Your godliness will lead you forward, and the glory of the LORD will protect you from behind” (V 8 NLT ). In the end, giving to their kin blessed them more. And God? He already gave His all—with love.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Isaiah 58:6–9This is the kind of fasting I want:...Let the oppressed fo free, and remove the chains that bind people.
Isaiah 58:6 NLT
Lord, light the path of generosity, helping us to give like You.
God gave His all. Let’s follow as He leads.
오늘의 말씀
01/23/2019 수요일
좋은 인상을 주려는 노력
사람의 됨됨이를 결정하는 것은 외모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마음입니다. 예수님은 외식하는 꾸밈의 달인이자 최고로 종교적인 “바리새인들과 율법사들”에게 강한 어투로 말씀하셨습니다. 그들이 왜 주님의 제자들은 종교적인 전통에 따라 식사 전에 손을 씻지 않느냐고 묻자(마태복음 15:1-2), 예수님은 “너희는 어찌하여 너희의 전통으로 하나님의 계명을 범하느냐”(3절) 고 되물으셨습니다. 그러시고는 부모를 돌보는 대신 자신들의 부를 축적하기 위해 법적으로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었다고 지적하시면서(4-6절), 주님은 그들에게 수치를 느끼게 하고 부모를 공경하라는 제5계명을 범했다고 책망하셨습니다(출애굽기 20:12).
만일 우리가 외식하는 일에 집착하면서 하나님의 명백한 계명에서 빠져나갈 구멍을 찾고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율법정신을 위반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마음에서 나오는 것은 악한 생각과 살인과 간음과 음란”과 같은 것들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마태복음 15:19). 오직 하나님만이 그분의 아들 예수님의 의로움을 통해 우리에게 깨끗한 마음을 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5:1-11,16-20마음에서 나오는 것은 악한 생각...... 이런 것 들이 사람을 더럽게 하는 것이요
마태복음 15:19-20
주님, 우리는 주님과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우리 자신의 노력에 의지하는 일이 많습니다. 모든 인간관계에서 순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주님의 용서하심으로 얻은 회복된 마음을 즐길 수 있게 해주소서.
우리의 동기가 겉으로 남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한 것이라면, 우리는 하나님께 좋은 인상을 드리지 못한다.
Daily Article
01/23/2019 Wednesday
Trying to Impress
Our physical appearance doesn’t define who we are; it’s our heart that matters. Jesus had strong words for those masters of appearances—the super-religious “Pharisees and teachers of the law.” They asked Jesus why His disciples didn’t wash their hands before eating, as their religious traditions dictated (MATTHEW 15:1–2). Jesus asked, “Why do you break the command of God for the sake of your tradition?” (V 3). Then He pointed out how they had invented a legal loophole to keep their wealth instead of caring for their parents (VV 4–6), thus dishonoring them and violating the fifth commandment (EXODUS 20:12).
If we obsess over appearances while looking for loopholes in God’s clear commands, we’re violating the spirit of His law. Jesus said that “out of the heart come evil thoughts—murder, adultery, sexual immorality,” and the like (MATTHEW 15:19). Only God, through the righteousness of His Son Jesus, can give us a clean heart.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tt. 15:1–11, 16–20Out of the heart come evil thoughts....These are what defile a person.
Matthew 15:19-20
Lord, we are so prone to rely on our own efforts to impress You and others. Help us to be authentic in all our relationships, and to enjoy the restored heart we can have through Your forgiveness.
When our motive is to impress others,we’re not impressing God.
오늘의 말씀
01/22/2019 화요일
언제나 하나님의 자녀
바울 사도는 로마 교회의 성도들이 하나님의 가족으로 입양되었다는 사실에 자신들의 존재감이 있다는 것을 알기 원했습니다(로마서 8:15). 그들은 성령으로 거듭났기에(14절) 더 이상 진정 중요치 않은 일에 얽매어 노예로 살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들은 이제 성령의 은사를 힘입어 당당히 “하나님의 상속자요 그리스도와 함께 한 상속자”(17절)였던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에게 이것이 무슨 영향을 미칠까요? 한마디로, 모든 면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나님의 자녀라는 우리의 정체성은 우리자신과 세계를 보는 바탕과 관점을 형성해줍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하나님의 가족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주님을 따르면서 이전부터 익숙했던 편안함을 버리기 쉬워집니다. 뿐만 아니라 남에게 인정받기를 원하는 마음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오늘,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깊이 생각해보시지 않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로마서 8:9-17무릇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사람은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
로마서 8:14
주 하나님, 하나님의 자녀라는 가장 중요한 정체성을 지니고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성령의 힘으로 나를 속박으로부터 풀어주셔서 주님의 사랑과 소망을 나눌 수 있게 하소서.
하나님을 따르는 자들이 하나님의 자녀들이다.
Daily Article
01/22/2019 Tuesday
Always a Child of God
The apostle Paul wanted the people in the church at Rome to understand that their identity was based on being adopted members of God’s family (ROMANS 8:15). Because they had been born of the Spirit (V 14), no longer did they need to be enslaved to things that didn’t really matter. Rather, through the gift of the Spirit, they were “heirs of God and co-heirs with Christ” (V 17).
To those who follow Christ, what difference does this make? Quite simply, everything! Our identity as children of God provides our foundation and shapes how we see ourselves and the world. For instance, knowing that we are part of God’s family helps us to step out of our comfort zone as we follow Him. We can also be free from seeking the approval of others.
Today, why not ponder what it means to be God’s child?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Romans 8:9–17For those who are led by the Spirit of God are the children of God.
Romans 8:14
Lord God, help me to live out of my central identity as Your child. Release me to live by Your Spirit, that I might share Your love and hope.
Those who follow God are His children.
오늘의 말씀
01/21/2019 월요일
창조물의 노래
시편 19:1-4은 이렇게 말합니다.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도다 날은 날에게 말하고 밤은 밤에게 지식을 전하니 언어도 없고 말씀도 없으며 들리는 소리도 없으나 그의 소리가 온 땅에 통하고 그의 말씀이 세상 끝까지 이르도다.”
신약 성경에서 바울 사도는 예수님 안에서 “만물이 그에게서 창조되되 하늘과 땅에서 보이는 것들과 보이지 않는 것들과......다 그로 말미암고 그를 위하여 창조되었다”(골로새서 1:16)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에 상응하여 자연 세계의 높은 산이나 깊은 바다도 창조주를 향하여 노래하고 있습니다. 창조물들과 함께 우리도 “뼘으로 [방대한] 하늘을 재신”(이사야 40:12)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소리 높여 노래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9:1-6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도다
시편 19:1
오 하나님! 하나님은 얼마나 위대하신 분이신지요!
내 눈을 열어 창조의 존엄 가운데 계신 하나님을 보게 하시고, 내 마음을 열어 마땅히 드릴 찬양을 드리게 하소서.
[우리가] 여호와의 이름을 찬양함은 그가 명령하시므로 [우리가] 지음을 받았음이로다. 시편 148:5
Daily Article
01/21/2019 Monday
Creation’s Song
Psalm 19:1–4 says, “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 the skies proclaim the work of his hands. Day after day they pour forth speech; night after night they reveal knowledge. They have no speech, they use no words; no sound is heard from them. Yet their voice goes out into all the earth, their words to the ends of the world.”
In the New Testament, the apostle Paul reveals that in Jesus “all things were created: things in heaven and on earth, visible and invisible . . . all things have been created through him and for him” (COLOSSIANS 1:16). In response, the natural world’s heights and depths sing to its Maker. May we join creation and sing out the greatness of the One who “with the breadth of his hand marked off the [vast] heavens” (ISAIAH 40:12). - REMI OYEDELE
Today's Reading
Psalm 19:1–6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 the skies proclaim the work of his hands.
Psalm 19:1
How great You are, O God! Open my eyes to see You in creation’s majesty and open my heart to offer the praise You deserve.
Let [us] praise the name of the LORD , for at His command [we] were created. PSALM 148:5
오늘의 말씀
01/20/2019 주일
어디를 향하고 있나요?
강사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러분은 언젠가 갑자기 장애물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만일 그 장애물을 계속 응시하면, 즉 그것을 목표물로 고정시켜 놓으면 그 목표물로 돌진하게 됩니다. 그렇지 않고 그 장애물에서 시선을 옮겨 위쪽을 쳐다보고 가야할 곳으로 향한다면, 대개는 그 장애물을 피할 수 있습니다.” 그는 이어서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바라보는 곳이 바로 가려고 하는 방향이지요.”
단순하면서도 심오한 이 원칙은 우리의 영적인 삶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만난 어려운 문제나 힘든 일에 집착하여 그것들을 “목표물로 고정”시켜 놓으면, 우리의 삶은 십중팔구 자동적으로 그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에게 닥친 문제들을 뛰어넘어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주님을 바라보라고 권유하고 있습니다. 시편 121편 1절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내가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 나의 도움이 어디서 올까” 그리고 나서 저자는 이렇게 답합니다. “나의 도움은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에게서로다......여호와께서 너의 출입을 지금부터 영원까지 지키시리로다”(2,8절).
때로는 우리의 장애물이 넘기 어려워 보일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의 시야가 문제에 사로잡히지 않고 그 문제들을 초월하여 볼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주님을 바라보라고 권유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21나의 도움이 어디서 올까 나의 도움은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에게서로다
시편 121:1-2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따라 인생길을 걸어가려 할 때, 두려운 장애물을 만날 때마다 장애물을 “목표물로 고정”시키지 않고 하나님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의 도움은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의 이름에 있도다. 시편 124:8
Daily Article
01/20/2019 Sunday
Where Are You Headed?
“Eventually,” our instructor said, “you’re going to face an unexpected obstacle. If you stare at it—if you target fixate—you’ll steer right into it. But if you look above and past it to where you need to go, you can usually avoid it.” Then he added, “Where you’re looking is the direction you’re going to go.”
That simple-but-profound principle applies to our spiritual lives too. When we “target fixate”—focusing on our problems or struggles—we almost automatically orient our lives around them.
However, Scripture encourages us to look past our problems to the One who can help us with them. In Psalm 121:1, we read, “I lift up my eyes to the mountains—where does my help come from?” The psalm then answers: “My help comes from the LORD ,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 . . The LORD will watch over your coming and going both now and forevermore” (VV 2, 8).
Sometimes our obstacles can seem insurmountable. But God invites us to look to Him to help us see beyond our troubles instead of letting them dominate our perspective. - ADAM HOLZ
Today's Reading
Psalm 121Where does my help come from? My help comes from the LORD.
Psalm 121:1-2
Father, help me not to “target fixate,” but to look to You whenever I face fearful obstacles as I seek to follow You along life’s road.
Ourhelpis in the name of the LORD ,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PSALM 124:8
오늘의 말씀
01/19/2019 토요일
사랑의 아름다움
이 춤을 보면 결혼생활에서 부부의 정절이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하게 됩니다. 잠언 5장은 부도덕한 행위에 따르는 값비싼 대가를 언급한 후, 결혼 생활은 혼외 관계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너는 네 우물에서 물을 마시며 네 샘에서 흐르는 물을 마시라”(15절). 열 쌍이 무대에서 하라베 춤을 추고 있어도 각 사람은 자기 파트너에게만 집중합니다. 우리는 깊고 한결같은 헌신으로 배우자를 대할 때 사랑의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18절).
우리의 사랑 또한 누군가 보고 있습니다. 춤추는 사람들은 파트너와 즐겁게 춤을 추면서도 누군가가 자기들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성경에도 이렇게 쓰여 있습니다. “대저 사람의 길은 여호와의 눈앞에 있나니 그가 그 사람의 모든 길을 평탄하게 하시느니라” (21절). 하나님은 우리의 결혼생활을 지켜주려고 우리를 언제나 살피고 계십니다. 우리가 부부생활의 정절을 보여줌으로써 주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바로 그 하라베 춤에서와 같이 인생에도 따라야 할 리듬이 있습니다. 우리가 결혼을 했든 하지 않았든 우리 창조주에게 충성하면서 그분의 리듬을 따라 살아갈 때, 우리는 삶의 축복과 기쁨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5네 샘으로 복되게 하라
잠언 5:18
사랑하는 주님, 주님은 나의 모든 갈 길을 아십니다. 다른 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주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충성스러운 삶은 기쁨을 가져온다.
Daily Article
01/19/2019 Saturday
The Beauty of Love
This dance reminds me of the importance of faithfulness in marriage. In Proverbs 5, after talking about the high cost of immorality, we read that marriage is exclusive. “Drink water from your own cistern, running water from your own well” (V 15). Even with ten couples dancing the Jarabe on stage, each person focuses on his or her partner. We can rejoice in a deep and undivided commitment to our spouse (V 18).
Our romance is also being observed. The dancers, while they are enjoying their partner, know someone is watching. In the same way, we read, “For your ways are in full view of the LORD , and he examines all your paths” (V 21). God wants to protect our marriages, so He’s constantly watching us. May we please Him through the loyalty we show to each other.
Just like in the Jarabe there is a rhythm to follow in life. When we keep the beat of our Creator by being faithful to Him—whether we are married or unmarried—we find blessings and joy. - KEILA OCHOA
Today's Reading
Proverbs 5May your fountain be blessed.
Proverbs 5:18
Dear Lord, You know all my ways. Help me to honor You in my relationships with others.
Faithfulness brings joy.
오늘의 말씀
01/18/2019 금요일
의문을 갖고 예배드리기
시편 13편의 다윗의 경우가 바로 그렇습니다. 다윗은 잊히고 버림받고 패배한 것 같은 느낌이 들어 두 개의 절에서 네 번이나(1-2절) “어느 때까지니이까” 라고 부르짖습니다. 2절에서는 “마음에 근심하기를 어느 때까지 하오며”라고 묻고 있습니다. 이런 비통한 심정이 표현되어 있는 시편들은 우리도 우리 자신의 의문들을 가지고 예배하며 주님께로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해줍니다. 결국, 스트레스와 긴장상태가 오래 갈 때, 우리가 털어놓고 이야기할 사람 중에 하나님보다 더 나은 분이 따로 있을까요? 우리는 질병이나 슬픔, 사랑하는 사람의 방탕, 그리고 여러 가지 인간관계의 어려움에서 오는 고민거리들을 하나님께 가지고 나올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의문이 있다고 해서 예배가 중단될 필요는 없습니다. 하늘의 주권자이신 하나님은 걱정으로 가득한 의문들을 가지고 나오는 우리를 환영하십니다. 다윗의 경우처럼, 아마도 때가 되면 우리의 의문들도 간청과 주님을 신뢰하고 찬양하는 표현으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3-6절).
오늘의 성구
시편 13나는 오직 주의 사랑을 의지하였사오니 나의 마음은 주의 구원을 기뻐하리이다
시편 13:5
주님, 제게 의문이 있다고 해서 예배하는 것을 멈추지 않고, 의문을 지닌 채로 주님을 예배할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의문들을 하나님께로 가져오라.
Daily Article
01/18/2019 Friday
Worshiping with Questions
Such was the case with David in Psalm 13. Four times in two verses (VV 1–2), David—who felt forgotten, forsaken, and defeated—lamented “How long?” In verse two, he asks, “How long must I wrestle with my thoughts?” Psalms that include lament, like this one, implicitly give us permission to worshipfully come to the Lord with questions of our own. After all, what better person to talk to during prolonged times of stress and strain than God? We can bring our struggles with illness, grief, the waywardness of a loved one, and relational difficulties to Him.
Worship need not stop when we have questions. The sovereign God of heaven welcomes us to bring our worry-filled questions to Him. And perhaps, like David, in due time our questions will be transformed into petitions and expressions of trust and praise to the Lord (VV 3–6).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13I trust in your unfailing love; my heart rejoices in your salvation.
Psalms 13:5
Lord, thank You that I don’t have to stop worshiping when I have questions; I can worship You with my questions.
Bring your questions to God.
오늘의 말씀
01/17/2019 목요일
무엇을 포기할 수 없습니까?
호세아서에서 하나님은 자신이 택하신 소중한 백성 이스라엘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말씀하십니다. 이스라엘의 사랑하는 남편으로서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필요한 모든 것, 즉 땅과 먹을 것, 마실 것, 의복, 그리고 안전한 삶을 제공해주셨습니다. 그럼에도 이스라엘은 부정한 아내처럼 하나님을 거부하고 그들의 행복과 안전한 삶을 다른 곳에서 찾았습니다. 하나님이 뒤따라가면 갈수록 이스라엘은 점점 더 멀리 달아났습니다(호세아 11:2). 그처럼 하나님께 깊은 상처를 입혔어도,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버리지 않으셨습니다(8절). 대신 이스라엘을 구원하기 위해 그 백성들을 훈육하시며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다시 회복하기를 간절히 바라셨습니다(11절).
오늘날 모든 하나님의 자녀들은 호세아 선지자가 전한 하나님 말씀을 그대로 믿어도 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를 결코 버리지 않는 사랑이라는 것입니다(로마서 8:37-39). 만일 우리가 하나님을 떠나 방황할지라도 그분은 우리가 돌아오기를 바라십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징계하실 때에도 우리를 버리시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부르시는 표시이기에 우리는 위로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귀한 존재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호세아 11:8-11[아무것도] 우리를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
로마서 8:39
하늘에 계신 아버지, 우리를 절대 포기하지 않으시는 하나님의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을 전심으로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자녀는 집에 돌아오면 언제나 환영 받는다.
Daily Article
01/17/2019 Thursday
What Can’t You Give Up?
In the book of Hosea, God tells us that He won’t give up on His chosen people Israel, His treasured possession. As Israel’s loving husband, God provided her with everything she needed: land, food, drink, clothing, and security. Yet like an adulterous spouse, Israel rejected God and sought her happiness and security elsewhere. The more God pursued her, the further she drifted away (HOSEA 11:2). However, though she had hurt Him deeply, He would not give her up (V 8). He would discipline Israel so as to redeem her; His desire was to re-establish His relationship with her (V 11).
Today, all God’s children can have the same assurance: His love for us is a love that will never let us go (ROMANS 8:37–39). If we’ve wandered from Him, He yearns for us to return. When God disciplines us, we can be comforted that it’s a sign of His pursuit, not of His rejection. We are His treasure; He won’t give up on us.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Hosea 11:8–11[Nothing] will be able to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God.
Romans 8:39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Your love that never gives up on me. Help me to love You wholeheartedly.
A child of God is always welcomed home.
오늘의 말씀
01/16/2019 수요일
물질 이상의 것을 나누기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우리의 삶까지도 서로 나누라고 부름 받았습니다. 룻은 시어머니인 나오미에게 바로 그렇게 했습니다. 가난한 과부였던 나오미는 룻에게 줄 수 있는 것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룻은 떠나지 않을 것이며 죽어서도 서로 헤어지지 않겠다고 맹세하며 시어머니와 함께 했습니다. 룻은 나오미에게 “어머니의 백성이 나의 백성이 되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 되시리니” (룻기 1:16)라고 말하면서, 사랑과 연민의 마음으로 연로한 시어머니를 너그럽고 후하게 대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우리의 삶을 나누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우리는 이같은 관용이 가져다주는 열매를 기억해야 합니다. 룻은 나오미와 삶을 함께 하면서 나중에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들이 다윗왕의 할아버지가 됩니다. 예수님은 그분의 생명을 우리와 나누시고, 들림 받아 지금은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오른편에서 다스리고 계십니다. 우리가 서로 아낌없이 나눌 때 훨씬 더 위대한 삶을 경험하리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1:11-18어머니의 백성이 나의 백성이 되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 되시리니
룻기 1:16
예수님, 우리의 삶을 다른 사람들과 나눌 때 주님의 사랑의 마음을 보여줄 수 있게 해주소서.
다른 사람들을 돌보는 것은 하나님의 사랑을 나누는 것이다.
Daily Article
01/16/2019 Wednesday
Sharing More Than Stuff
As believers in Jesus, we’re called to share our very lives with one another. Ruth did just that with her mother-in-law, Naomi. As a destitute widow, Naomi had little to offer Ruth. And yet Ruth con-
nected her own life to her mother-in-law’s, vowing that they would press on together and that not even death would separate them. She said to Naomi, “Your people will be my people and your God my God” (RUTH 1:16). She freely and generously gave to the older woman—showing love and compassion.
While sharing our lives in this way can be difficult, we should remember the fruit of such generosity. Ruth shared her life with Naomi, but later she bore a son, the grandfather of King David. Jesus shared His very life with us, but was then exalted and now reigns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in heaven. As we generously share with one another, we can be confident that we will experience greater life still! - PETER CHIN
Today's Reading
Ruth 1:11–18Your people will be my people and your God my God.
Ruth 1:16
Jesus, as we share our lives with others, may we reflect Your loving heart.
Sharing God’s love = caring for others.
오늘의 말씀
01/15/2019 화요일
밤에 들리는 노래
아버지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시편 42 편 말씀을 읽으시면서 덜 외로워하셨습니다. 시편 기자도 아버지처럼 절실한 바람, 곧 치유를 향한 꺼지지 않는 갈급함을 알고 있었습니다(1-2절). 또 아버지처럼 시편 기자도 진정으로 기뻤던 순간들은 단지 아련한 추억으로만 남겨진 채(6절)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 같은 슬픔을 알고 있었습니다(3절). 나아가 아버지처럼 혼란한 상태와 통증이 무서운 파도처럼 덮쳐올 때에 (7절), 시편 기자도 아버지처럼 하나님께 버림받았다고 생각하고 “어찌하여”하고 물었습니다(9절).
그리고 아버지는 시편 말씀이 마음에 밀려들어오자, 자신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확신하면서 통증 속으로 잔잔한 평화가 스며들기 시작하는 것을 느꼈습니다. 아버지는 주위에서 나는 어떤 부드러운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비록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하고 또 파도가 여전히 세차게 몰아쳐도, 아버지가 무척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는 목소리였습니다(8절).
그리고 왠지 모르게 밤에 그렇게도 고요한 사랑의 노래를 듣는 것으로 충분했습니다. 아버지는 그것만으로도 희미하게 비치는 희망과 사랑, 기쁨의 빛을 조용히 붙잡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것만으로도 아버지는 그가 갈망하는 모든 것이 결국 이루어질 날을 인내하며 기다리실 수 있었습니다(5,11절).
오늘의 성구
시편 42:1-11만일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을 바라면 참음으로 기다릴지니라
로마서 8:25
주님, 우리는 주님께서 우리의 모든 고통을 다 짊어지셨고 언젠가는 그것들을 부활 생명으로 바꾸어주실 것을 압니다. 그러나 아직 우리에게는 기다리면서 간절히 바라는 치유가 무척 많이 있습니다. 우리가 그날 아침을 기다릴 때에, 밤에 주님의 사랑의 노래 안에서 쉴 수 있게 도와주소서.
우리가 아침을 기다리는 동안, 밤에 하나님의 사랑의 노래 안에서 안식할 수 있다.
Daily Article
01/15/2019 Tuesday
A Song in the Night
He found himself less alone when he read the words of Psalm 42, his favorite psalm. Like him, the psalmist knew a desperate longing, an unquenched thirst for healing (VV 1–2). Like him, the psalmist knew a sadness that felt like it never went away (V 3), leaving times of pure joy merely a distant memory (V 6). Like my dad, as consuming waves of chaos and pain swept over him (V 7), the psalmist felt abandoned by God and asked, “Why?” (V 9).
And as the words of the psalm washed over him, assuring him he was not alone, my father felt the beginnings of a quiet peace enter in alongside his pain. He heard a tender voice surrounding him, a voice assuring him that even though he had no answers, even though the waves still crashed over him, still he was dearly loved (V 8).
And somehow hearing that quiet song of love in the night was enough. Enough for my dad to quietly cling to glimmers of hope, love, and joy. And enough for him to wait patiently for the day when all his longings would finally be satisfied (VV 5, 11). - MONICA BRANDS
Today's Reading
Psalm 42:1–11If we hope for what we do not yet have, we wait for it patiently.
Romans 8:25
Lord, we know that You have carried all our suffering and will one day turn it around into resurrection life. Still, there is so much healing that we wait and long for. As we wait for that morning, help us to rest in Your song of love in the night.
While we wait for the morning, we can rest in God’s song of love in the n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