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03/2019     주일

성경읽기: 출 31-33; 마 22:1-22
찬송가: 539(통 483)

들으라고 만든 귀

여배우 다이앤 크루거는 그녀를 아주 유명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배역을 제의받았습니다. 그것은 남편과 자녀를 잃는 젊은 아내이자 어머니 역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녀는 개인적으로
그런 상실을 겪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그 배역을 실감나게 해낼 수 있을지 잘 몰랐습니다. 하지만 제의를 받아들인 그녀는 연기를 준비하기 위해 극심한 슬픔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 모임에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모임에서 사람들이 자신들의 얘기를 나눌 때 처음에는 그녀도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말하곤 했습니다. 우리 대부분처럼 그녀도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점점 말을 하지 않고 단지 듣기만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비로소 진정으로 그들의 입장이 되어 살아가는 것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귀를 사용함으로써 알게 된 것입니다.

예레미야는 백성들이 “귀”로 주님의 음성을 들으려 하지 않는 것을 책망했습니다. 선지자는 주저 없이 그들을 “어리석고 지각이 없는 백성” (예레미야 5:21)이라고 불렀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삶 속에 끊임없이 역사하시면서 우리에게 사랑과 교훈, 격려, 경고의 말씀을 해주십니다.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가 모두 배우고 성숙해지기를 바라시고,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그렇게 되라고 귀와 같은 도구들을 주셨습니다. 이제 문제는 우리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듣기 위해 그것들을 사용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5:18-23
어리석고 지각이 없으 며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며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는 백성이여 이를 들을지어다
예레미야 5:21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은 우리에게 항상 말씀하고 계시다는 것을 믿습니다. 모든 답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저의 고집을 용서하시고,
제 귀를 열어 듣게 하소서.

듣고자 하는 마음만 있으면 우리의 귀가 믿음의 성숙을 돕는다.

Daily Article

02/03/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31–33 and MATTHEW 22:1–22
Hymn: 539(old 483)

Ears Were Made for Listening

Actress Diane Kruger was offered a role that would make her a household name. But it required her to play a young wife and mother experiencing the loss of her husband and child, and she had never personally suffered loss to such a degree. She didn’t know if she could be believable. But she accepted, and in order to prepare, she began attending support meetings for people walking through the valley of extreme grief.

Initially she offered suggestions and thoughts when those in the group shared their stories. She, like most of us, wanted to be helpful. But gradually she stopped talking, and simply started listening. It was only then she began truly learning to walk a mile in their shoes. And her realization came by using her ears.

Jeremiah’s indictment against the people was that they refused to use their “ears” to hear the Lord’s voice. The prophet did not mince words, calling them “foolish and senseless people” (JEREMIAH 5:21). God is constantly at work in our lives communicating words of love, instruction, encouragement, and caution. The Father’s desire is that you and I learn and mature, and we have each been given the tools, such as ears, to do so. The question then is, will we use them to hear the heart of our Father? - JOHN BLASE

Today's Reading

Jeremiah 5:18–23
Hear this, you foolish and senseless people, who have eyes but do not see, who have ears but do not hear.
Jeremiah 5:21

Father, I believe You are always speaking. Forgive my stubborn tendency to think I have all the answers. Open my ears that I may hear.

Our ears can help us mature in our faith, if we’ll listen.

오늘의 말씀

02/02/2019     토요일

성경읽기: 출 29-30; 마 21:23-46
찬송가: 423(통 213)

회복됨

2003년에 모르몬 귀뚜라미가 만연해 2천 5백만 달러가 넘는 작물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그 수가 얼마나 많았던지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귀뚜라미가 밟혔습니다. 1848년에 유타주의 모르몬 개척자들의 작물에 타격을 준데서 이름 붙여진 이 메뚜기같이 생긴 곤충은 몸길이가 불과 2-3인치(5-7.5센티미터) 정도인데도 평생 먹어치우는 식물의 양은 놀랍게도 38 파운드(약 17킬로그램)나 됩니다. 그것들이 만연해서 농부들의 생계와 해당 주나 나라의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게 파괴적일 수 있습니다.

구약성경의 요엘 선지자는 온 유다 민족이 불순종한 결과로 유사한 곤충 떼가 유다 나라 전체를 파괴하는 모습을 기록했습니다. 그는 이전 세대에서 본 것과는 전혀 다른 메뚜기 떼가(일부 성경학자들은 외국군대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봄) 침범할 것이라고 예언했습니다(요엘 1:2). 메뚜기들은 가는 곳마다 모든 것을 훼손하고 사람들을 기근과 빈곤으로 몰아넣었습니다. 그러나 백성들이 죄의 길에서 돌아서고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면, 주님께서 “메뚜기가 먹은 햇수대로 [그들에게] 갚아 주리니”(2:25)라고 요엘은 말하고 있습니다.

유다의 경우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있습니다. 곤충들처럼 우리의 죄악들도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예정해 두신 풍성하고 향기로운 삶을 조금씩 갉아먹는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주님께로 향하여 과거에 잘못 선택했던 것들에서 돌아설 때, 주님은 우리의 수치를 제거해주시고 주님 안에서의 풍성한 삶을 다시 회복시키시겠다고 약속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엘 2:18-27
먹은 햇수대로 너희에 게 갚아 주리니
요엘 2:25

오늘 하나님께 어떤 용서를 구하시겠습니까?

하나님의 사랑이 회복시킨다.

Daily Article

02/02/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9–30 and MATTHEW 21:23–46
Hymn: 423(old 213)

Restored

A 2003 infestation of Mormon crickets caused more than $25 million in lost crops. The crickets came in such numbers that people couldn’t so much as take a step without finding one underfoot. The grasshopper-like insect, named for attacking the crops of the Utah pioneers in 1848, can eat an astounding thirty-eight pounds of plant material in their lifetimes, despite being merely two to three inches long. The impact of infestations on famers’ livelihoods—and the overall economy of a state or country—can be devastating.

The Old Testament prophet Joel described a horde of similar insects ravaging the entire nation of Judah as a consequence for their collective disobedience. He foretold an invasion of locusts (a metaphor for a foreign army, in the minds of some Bible scholars) like nothing previous generations had seen (JOEL 1:2). The locusts would lay waste to everything in their path, driving the people into famine and poverty. If, however, the people would turn from their sinful ways and ask God for forgiveness, Joel says the Lord would “repay [them] for the years the locusts have eaten” (2:25).

We too can learn from Judah’s lesson: like insects, our wrongdoings eat away at the fruitful, fragrant life God intended for us. When we turn toward Him, and away from our past choices, He promises to remove our shame and restore us to an abundant life in Him.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Joel 2:18–27
I will repay you for the years the locusts have eaten.
Joel 2:25

What can you ask God’s forgiveness for today?

God’s love restores.

오늘의 말씀

02/01/2019     금요일

성경읽기: 출 27-28; 마 21:1-22
찬송가: 538(통 327)

더 깊은 사랑

에드윈 스탠튼은 아브라함 링컨 미국 대통령을 처음 만났을 때 그를 “팔이 긴 생물”이라고 부르기까지 하며 개인적으로, 또 공적으로 모욕감을 주었습니다. 그럼에도 스탠튼의 능력을
인정하고 그를 용서하기로 한 링컨은 나중에 그를 남북전쟁 때 중요한 정부각료로 임명했습니다. 시간이 지나며 스탠튼은 점차 링컨을 친구로서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대통령이
포드 극장에서 저격당했을 때 링컨의 침상 옆에 앉아 밤을 새우고, 운명했을 때 눈물을 흘리며 “이제 그는 역사 속의 인물이 되었다”라고 나지막이 속삭였던 사람이 바로 스탠튼이었습니다.

화해는 아름다운 것입니다. 베드로 사도는 예수님을 따르는 자들에게 그 점에 대해 이렇게 썼습니다. “무엇보다도 뜨겁게 서로 사랑할지니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느니라”(베드로전서 4:8). 베드로는 이 말을 자신이 예수님을 부인했던 일과(누가복음 22:54-62), 예수님이 십자가를 통해 그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베푸신 용서를 생각하며 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의 죽음을 통해 보여주셨던 깊은 사랑으로 우리는 죄의 빚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하나님과 화목하는 길로 나아가게 되었습니다(골로새서 1:19-20). 우리 자신의 힘으로는 다른 사람을 용서할 수 없음을 알고 주님께 도움을 청할 때, 비로소 우리는 주님의 용서에 힘입어 다른 사람들을 용서할 수 있습니다. 우리 구주께서 그들을 사랑하시기에 우리도 그들을 사랑하고 그분이 우리를 용서하셨기에 우리도 용서할 때, 하나님은 우리에게 지난 일들은 다 잊어버리고 그분과 함께 아름답고 새로운 은혜의 자리로 나아갈 힘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4:7-11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 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 으로 하나님께서 우리 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
로마서 5:8

.

하나님처럼 용서하는 것이 우리 자신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오스왈드 챔버스

Daily Article

02/01/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7–28 and MATTHEW 21:1–22
Hymn: 538(old 327)

Deeper Love

When they first met, Edwin Stanton snubbed US president Abraham Lincoln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even referring to him as a “long-armed creature.” But Lincoln appreciated Stanton’s abilities and chose to forgive him, eventually appointing Stanton to a vital cabinet position during the Civil War. Stanton later grew to love Lincoln as a friend. It was Stanton who sat by Lincoln’s bed throughout the night after the president was shot at Ford’s Theater and whispered through tears on his passing, “Now he belongs to the ages.”

Reconciliation is a beautiful thing. The apostle Peter pointed followers of Jesus there when he wrote, “Above all, love each other deeply, because love covers over a multitude of sins” (1 PETER 4:8). Peter’s words cause me to wonder if he was thinking of his own denial of Jesus (LUKE 22:54–62) and the forgiveness Jesus offered him (and us) through the cross.

The deep love Jesus demonstrated through His death on the cross frees us from the debt for our sins and opens the way for our reconciliation with God (COLOSSIANS 1:19–20). His forgiveness empowers us to forgive others as we realize we can’t forgive in our own strength and ask Him to help us. When we love others because our Savior loves them and forgive because He has forgiven us, God gives us strength to let go of the past and walk forward with Him into beautiful new places of grace. - JAMES BANKS

Today's Reading

1 Peter 4:7–11
God demonstrates his own love for us in this: 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Romans 5:8

.

The forgiveness of God is the test by which I myself am judged.
OSWALD CHAMBERS

오늘의 말씀

01/31/2019     목요일

성경읽기: 출 25-26; 마 20:17-34
찬송가: 94(통 102)

양자됨

자선가가 집 없는 아이들을 위하여 고아원을 지어준다고 하면 참 기쁩니다. 게다가 그분이 더 나아가 그 고아들 중 하나를 입양할 때면 설렐 정도로 기쁩니다. 대부분의 고아들은 후원자가 생기는 것만으로도 반가운 일입니다. 그런데 그 후원자가 단지 나를 도와주는 데 만족하지 않고 ‘나를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럴 때 어떤 기분일까요?

만약 당신이 하나님의 자녀라면 이미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미 경험했을 테니까요. 하나님이 단순히 자기 아들을 보내어 우리가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요한복음 3:16) 하실 정도로만 우리를 사랑하셨다 해도 우리는 불평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그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에게는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속량하시기 위해 그의 아들을 보내셨”는데, 그것은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게 아니라,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갈라디아서 4:4-5)는데 있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우리를 “아들”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그 당시에는 아들이 아버지의 유산을 물려받는 것이 흔한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그가 말하고자 한 요점은 지금 예수님을 믿는 사람은 누구나 남자든 여자든 상관없이 똑같이 유산을 이어받을 권리를 가진 ‘아들’이 된다는 것입니다(7절).

하나님은 단순히 우리를 ‘구원하는’ 것만 바라시지 않고 바로 우리 자신을 ‘원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양자 삼아서 하나님의 가족으로 맞아들이시고 우리에게 그분의 이름을 주시며(요한계시록 3:12), 우리를 그분의 자녀로 보란 듯이 불러주십니다. 당신은 이보다 더 권위 있는 사람에게, 이보다 더 큰 사랑을 받아 본 적이 없을 것입니다. 당신은 단지 하나님의 축복만 받은 사람이 아니라, 이제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4:1-7
하나님이 그의 아들을 보내사......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갈라디아서 4:4-5

하나님 아버지, 제가 이렇게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특권을 누리다니요! 저를 구원하시고 저를 원하시니 감사합니다.

우리는 구원 받았을 뿐 아니라 사랑 받고 있다.

Daily Article

01/31/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5–26 and MATTHEW 20:17–34
Hymn: 94(old 102)

Adopted

I’m glad when a philanthropist builds an orphanage for homeless children. I’m thrilled when that person gives even more and adopts one of them. Most orphans would be delighted merely to have a patron. But then to learn the sponsor isn’t content merely to help me but also wants me. How must that feel?

If you’re a child of God you already know, because it’s happened to you. We couldn’t complain if God had merely loved us enough to send His Son that we might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JOHN 3:16). It would be enough for us. But not for God. He “sent his Son . . . to redeem” us, not as an end in itself, but “that we might receive adoption to sonship” (GALATIANS 4:4–5).

The apostle Paul refers to us as “sons” because in his day it was common for sons to inherit their father’s wealth. His point is that now everyone who puts their faith in Jesus, whether man or woman, becomes a “son” of God with equal and full rights of inheritance (V 7).

God does not merely want to save you. He wants you. He has adopted you into His family, given you His name (REVELATION 3:12), and proudly calls you His child. You could not possibly be loved more, or by anyone more important. You aren’t merely blessed by God. You are the child of God. Your Father loves you.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Galatians 4:1–7
God sent his Son...that we might receive adoption to sonship.
Galatians 4:4-5

Father, what a privilege to call You this! Thank You for saving me, and for wanting me.

You are more than saved. You are loved.

오늘의 말씀

01/30/2019     수요일

성경읽기: 출 23-24; 마 20:1-16
찬송가: 393(통 447)

조류와 규조류

“규조류가 뭐지?” 나는 친구의 어깨너머로 그녀의 휴대폰에 있는 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을 보면서 물었습니다. 그녀가 설명해주었습니다. “응, 그건 해조류 같은 건데 육안으로 보기가 힘들어. 가끔은 오일 한 방울을 렌즈에 떨어뜨려야 하는데, 그러지 않으면 죽어야만 보여.” 앉아서 친구가 넘기는 사진들을 보며 정말 놀랐습니다. 현미경으로나 겨우 볼 수 있을 정도로 복잡하고 미세한 것에도 하나님이 생명을 주셨다는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의 창조와 사역은 끝날 줄을 모릅니다. 욥기를 보면 욥의 친구 엘리후가 모두를 잃어버린 욥이 몸부림치고 있을 때 이 점을 지적합니다. 엘리후는 친구에게 이렇게 도전합니다. “욥이여 이것을 듣고 가만히 서서 하나님의 오묘한 일을 깨달으라 하나님이 이런 것들에게 명령하셔서 그 구름의 번개로 번쩍거리게 하시는 것을 그대가 아느냐 그대는 겹겹이 쌓인 구름과 완전한 지식의 경이로움을 아느냐”(욥기 37:14-16). 인간으로서 우리는 하나님과 그분이 지으신 창조물의 복잡성을 다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보지 못하는 피조물들까지도 하나님의 영광과 능력을 드러냅니다. 그분의 영광이 우리를 에워싸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어떤 일을 겪고 있든지, 비록 우리가 보지 못하고 깨닫지 못할 때라도 하나님은 역사하고 계십니다. 우리 모두 “헤아릴 수 없이 큰일을 행하시며 기이한 일을 셀 수없이 행하시는”(욥기 5:9) 하나님을 지금 찬양합시다.

오늘의 성구

욥기 37:14-24
가만히 서서 하나님의 오묘한 일을 깨달으라
욥기 37:14

주님, 피조물들을 세밀하게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우리가 보지 못할 때조차도 하나님께서 역사하고 계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역사하고 계신다.

Daily Article

01/30/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3–24 and MATTHEW 20:1–16
Hymn: 393(old 447)

Algae and Diatoms

“What’s a diatom?” I asked my friend. I was leaning over her shoulder looking at pictures on her cell phone she had taken through a microscope. “Oh, it’s like algae, but it’s harder to see. Sometimes you need a drop of oil on the lens or they have to be dead to see them,” she explained. I sat amazed as she scrolled through the pictures. I couldn’t stop thinking about the intricate detail God put into life that we can only see with a microscope!

God’s creation and works are endless. In the book of Job, one of Job’s friends, Elihu, points this out to Job as he struggles through his loss. Elihu challenges his friend, “Listen to this, Job; stop
and consider God’s wonders. Do you know how God controls the clouds and makes his lightning flash? Do you know how the clouds hang poised, those wonders of him who has perfect knowledge?” (JOB 37:14–16). We, as humans, can’t begin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God and His creation.

Even the parts of creation we can’t see reflect God’s glory and power. His glory surrounds us. No matter what we’re going through, God is working, even when we can’t see it and don’t understand. Let’s praise Him today, for “He performs wonders that cannot be fathomed, miracles that cannot be counted” (JOB 5:9). - JULIE SCHWAB

Today's Reading

READING Job 37:14–24
Stop and consider God's wonders.
Job 37:14

Lord, thank You for the detail You put into creation and for being at work even when we can’t see it.

God is always working.

오늘의 말씀

01/29/2019     화요일

성경읽기: 출 21-22; 마 19
찬송가: 363(통 479)

하늘을 가르시고

최근에 믿음을 버린 한 친구와 대화를 나누면서, ‘아무것도 안 하는 것 같은 하나님을 어떻게 믿겠어?’라는 귀에 익은 불평을 들었습니다. 누구나 뉴스에서 폭력 기사를 읽거나 우리 자신이 큰 슬픔을 겪을 때 이처럼 괴로운 질문을 한번쯤은 하게 됩니다. 우리 모두가 느끼는 간절함처럼, 내 친구의 괴로움은 자기를 위해 행하시는 하나님을 찾는 간절한 바람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스라엘도 이런 상황을 뼈저리게 겪었습니다. 바벨론 제국은 이스라엘을 함락하여 철권으로 그들을 쳐부수고 예루살렘을 연기 자욱한 잔해의 도시로 바꾸어버렸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백성들의 암울한 의심의 마음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우리를 구원하실 하나님은 어디에 계시는가?’(이사야 63:11-15) 그리고 나서 정확히 바로 이 지점에서 이사야는 담대히 하나님이 “하늘을 가르고 강림하시기를”(64:1) 기도했습니다. 고통과 슬픔에 쌓인 이사야는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오히려 하나님께 더 가까이 다가가려고 노력했습니다.

우리의 의심이나 어려움은 뜻밖의 선물을 가져다주기도 합니다. 우리가 어떻게 길을 잃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하나님이 우리에게 얼마나 필요한 존재인지 알게 해줍니다. 우리는 지금 놀랍고도 있을 것 같지 않은 이야기를 읽고 있습니다. 예수님을 통해서 하나님은 하늘을 ‘확실히’ 가르시고 우리에게 오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찢기고 부서진 몸을 내어주시면서 그분의 사랑으로 우리를 덮으셨습니다.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은 우리와 매우 가까이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4:1-8
원하건대 주는 하늘을 가르고 강림하시고
이사야 64:1

하나님, 제 삶을 제가 관리하여 답을 얻을 수 있는 척 하지만, 솔직히 저는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저는 주님이 필요합니다. 주님께서 하늘을 가르시고 내려오시기를 기도합니다.

하나님께 말해야 할 어떤 질문이나 의심이 있습니까?

Daily Article

01/29/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1–22 and MATHEW 19
Hymn: 363(old 479)

Rip the Heavens

In a recent conversation, where a friend shared with me that she’d abandoned her faith, I heard a familiar complaint: How can I believe in a God who doesn’t ever seem to do anything? This gut-wrenching question appears for most of us at one point or another, as we read of violence in the news and as we carry our own heartbreak. My friend’s distress revealed her intense need for God to act on her behalf, a longing we’ve all likely felt.

Israel knew this terrain well. The Babylonian Empire overwhelmed Israel, crushing them with an iron fist and turning Jerusalem into smoldering rubble. The prophet Isaiah put words to the people’s dark doubt: Where is the God who’s supposed to rescue us? (ISAIAH 63:11–15). And yet from precisely this place, Isaiah offered a bold prayer: God, “rend the heavens and come down” (64:1). Isaiah’s pain and sorrow drove him not to pull away from God, but to seek to draw closer to Him.

Our doubts and troubles offer a strange gift: they reveal how lost we are and how much we need God to move toward us. We see now the remarkable, improbable story. In Jesus, God did rip the heavens and come to us. Christ surrendered His own ripped and broken body so that He could overwhelm us with His love. In Jesus, God is very near.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saiah 64:1–8
Oh, that you would rend the heavens and come down.
Isaiah 64:1

God, I like to pretend I can manage my life, that I can arrive at the answer. But I can’t. I need You. Would You rip the heavens and come down?

What questions or doubts do you have to talk with God about?

오늘의 말씀

01/28/2019     월요일

성경읽기: 출 19-20; 마 18:21-35
찬송가: 412(통 469)

기분을 바꾸어주는 것

매주 한 번씩 가는 출근길에 역에서 기차를 기다리고 있는데, 여러 가지 부정적인 생각들이 마치 기차를 타려고 길게 줄서있는 통근자들처럼 내 마음 가득히 몰려왔습니다. 부채로 인한 스트레스, 나에 관한 좋지 않은 말들, 그리고 최근 가족이 당한 부당한 일에 대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 기차가 도착했을 때, 기분이 정말 최악이었습니다.

그러나 기차를 타고 가면서 다른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나님께 글로 적어서 나의 슬픔을 드리자는 생각이었습니다. 수첩에 나의 불평들을 모두 빠짐없이 적고 나서 바로 휴대폰을 꺼내 저장되어 있는 찬양을 들었습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최악이었던 나의 기분이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나도 모르게 나는 시편 94편 기자의 패턴을 따라 하고 있었습니다. 시편 기자도 먼저 자신의 불평을 쏟아냈습니다. “세계를 심판하시는 주여 일어나사 교만한 자들에게 마땅한 벌을 주소서......누가 나를 위하여 일어나서 행악자들을 치며 누가 나를 위하여 일어나서 악행하는 자들을 칠까” (시편 94:2,16). 이 시편 기자는 과부와 고아들에게 행해지는 부당한 일들을 하나님께 거침 없이 고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일단 하나님께 한탄을 쏟아낸 후, 시편 내용은 주를 향한 찬양으로 옮겨갑니다. “여호와는 나의 요새이시요 나의 하나님은 내가 피할 반석이시라”(22절).

하나님은 우리의 아픔을 그분께 가져오라고 하십니다. 그러면 하나님은 우리의 두려움과 슬픔, 무력감을 찬양으로 변화시키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94:2, 16-23
내 속에 근심이 많을 때에 주의 위안이 내 영혼을 즐겁게 하시나이다
시편 94:19

주님, 제 마음을 주님께 쏟아놓습니다. 제 아픔과 분노를 취하시고, 주님의 평안을 제게 내려주소서.

찬양에는 우리의 가장 무거운 짐을 가볍게 하는 능력이 있다.

Daily Article

01/28/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9–20 and MATTHEW 18:21–35
Hymn: 412(old 469)

The Mood Mender

As I waited at the train station for my weekly commute, negative thoughts crowded my mind like commuters lining up to board a train—stress over debt, unkind remarks said to me, helplessness in the face of a recent injustice done to a family member. By the time the train arrived, I was in a terrible mood.

On the train, another thought came to mind: write a note to God, giving Him my lament. Soon after I finished pouring out my complaints in my journal, I pulled out my phone and listened to the praise songs in my library. Before I knew it, my bad mood had completely changed.

Little did I know that I was following a pattern set by the writer of Psalm 94. The psalmist first poured out his complaints: “Rise up, Judge of the earth; pay back to the proud what they deserve. . . . Who will rise up for me against the wicked? Who will take a stand for me against evildoers?” (PSALM 94:2, 16 ) He didn’t hold anything back as he talked to God about injustice done to widows and orphans. Once he’d made his lament to God, the psalm transitioned into praise: “But the LORD has become my fortress, and my God the rock in whom I take refuge” (V 22).

God invites us to take our laments to Him. He can turn our fear, sadness, and helplessness into praise.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Psalm 94:2, 16–23
When anxiety was great within me, your consolation brought me joy.
Psalm 94:19

Lord, I pour out my heart to You. Take my hurts and my anger, and grant me Your peace.

Praise has the power to lighten our heaviest burden.

오늘의 말씀

01/27/2019     주일

성경읽기: 출 16-18; 마 18:1-20
찬송가: 515(통 256)

여러 나라의 의로운 사람들

이스라엘에 있는 홀로코스트 박물관 야드 바셈에서, 남편과 나는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목숨을 걸고 유대인들을 구했던 사람들을 기리는 ‘여러 나라의 의로운 사람들’ 동산을 찾았습니다. 그 기념관을 관람하던 중 우리는 네덜란드에서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 중 한 여자는 큰 명판에 새겨진 조부모님의 이름을 보기 위해 왔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궁금증이 생겨 그녀의 가족사를 물어보았습니다.

나치에 저항하는 레지스탕스 조직의 일원이었던 그녀의 조부모 피터 뮬러와 아드리아나 뮬러 목사 부부는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두 살 난 유대인 남자 아이를 자신들의 여덟 자녀 중 막내라고 하며 키웠다고 합니다.

우리는 그 이야기에 감동하여 물었습니다. “그 아이는 살아남았나요?” 그러자 일행 중 나이가 든 남자 하나가 앞으로 나오면서 자신을 밝혔습니다. “내가 바로 그 아이입니다!”

유대인들을 위해 행한 많은 사람들의 용기 있는 행동들을 보면 에스더 왕후가 떠오릅니다. 어쩌면 왕후는 자신의 혈통을 숨기고 있었기 때문에 주전 350년경에 있었던 아하수에로 왕의 유대인 말살 칙령을 피해갈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녀의 사촌이 그녀가 지금 왕후의 자리에 있는 것은 “이때를 위함이 아닌지”(에스더 4:14)라고 말하며 유대 자손임을 더 이상 침묵하지 말라고 간청했을 때, 에스더는 목숨을 위협받는 상황에서도 행동에 나서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렇게 극적인 결정을 내려야 할 일이 우리에게는 전혀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가 어떤 부당한 일에 대하여 목소리를 내야 할지 아니면 침묵할지, 또는 어려움에 처한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어야 할지 아니면 모른척하고 넘어가야 할지 선택해야 할 상황에 마주칠 수는 있습니다. 그럴 때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용기를 허락해 주시길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더 4:5-14
이때를 위함이 아닌지
에스더 4:14

하나님 아버지, 억눌리고 연약한 자들을 향하신 아버지의 마음에 감사드립니다. 우리가 언제 행동해야 할지 알기 위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민감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강하게 대변해주어야 할 그 누군가가 있습니까? 언제 그렇게 해야 할지 하나님께 물으십시오.

Daily Article

01/27/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6–18 and MATTHEW 18:1–20
Hymn: 515(old 256)

Righteous Among the Nations

At Yad Vashem, the Holocaust museum in Israel, my husband and I went to the Righteous Among the Nations garden that honors the men and women who risked their lives to save Jewish people during the Holocaust. While looking at the memorial, we met a group from the Netherlands. One woman was there to see her grandparents’ names listed on the large plaques. Intrigued, we asked about her family’s story.

Members of a resistance network, the woman’s grandparents Rev. Pieter and Adriana Müller took in a two-year-old Jewish boy and passed him off as the youngest of their eight children from 1943–1945.

Moved by the story, we asked, “Did the little boy survive?” An older gentleman in the group stepped forward and proclaimed, “I am that boy!”

The bravery of many to act on behalf of the Jewish people reminds me of Queen Esther. The queen may have thought she could escape King Xerxes’s decree to annihilate the Jews around 350 BC because she had concealed her ethnicity. However, she was convinced to act—even under the threat of death—when her cousin begged her to not remain silent about her Jewish heritage because she had been placed in her position “for such a time as this” (ESTHER 4:14).

We may never be asked to make such a dramatic decision. However, we will likely face the choice to speak out against an injustice or remain silent; to provide assistance to someone in trouble or turn away. May God grant us courage. - LISA SAMRA

Today's Reading

Esther 4:5–14
For such a time as this.
Esther 4:14

Father, thank You for Your heart for those who are oppressed and vulnerable. Help us to be sensitive to Your guidance to know when to act.

Are there those you need to speak up for? Ask God about the timing.

오늘의 말씀

01/26/2019     토요일

성경읽기: 출 14-15; 마 17
찬송가: 397(통 454)

동상에 안 걸림

어느 겨울 날, 아이들이 썰매 타러 가게 해달라고 졸랐습니다. 기온은 화씨로 0도(섭씨 영하 18도) 정도를 맴돌았고, 눈발이 창문 옆으로 휘날렸습니다. 한참 생각한 끝에 그러라고 했고, 대신 아이들에게 옷을 단단히 차려입고 반드시 함께 움직이며 15분만 놀다가 들어오라고 말했습니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런 규칙을 만들어주니 아이들은 동상에 걸릴 염려 없이 자유롭게 놀 수 있었습니다. 시편 119편 기자는 서로 모순되어 보이는 두 구절을 연이어 썼지만, 두 구절 모두에서 하나님 안에서의 같은 선한 목적을 인정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내가 주의 율법을 항상 지키리이다” “내가 주의 법도들을 구하였사오니 자유롭게 걸어갈 것이오며”(44-45절). 시편 기자는 어떻게 자유를 율법을 지키는 영적인 삶에 연관시키고 있는 걸까요?

하나님의 지혜로운 가르침을 잘 따르면 우리는 나중에 되돌리고 싶은 선택을 했을 때 겪게 될 결과를 피할 수 있습니다. 죄나 고통에 억눌리지 않고 삶을 더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해야 할 것,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을 정해놓고 우리를 통제하기를 원하지 않으십니다. 그보다는, 하나님의 지침은 그분이 우리를 사랑하심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썰매를 타다가 언덕 아래로 구르기도 했습니다.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빨개진 볼을 보면서 절로 웃음이 나왔습니다. 아이들은 정해준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잘 놀았습니다. 이 미묘한 역설은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에도 존재합니다. 그것은 우리로 다음과 같은 시편 기자의 말에 공감하게 해줍니다. “나로 하여금 주의 계명들의 길로 행하게 하소서 내가 이를 즐거워함이니이다”(35절).

오늘의 성구

시편 119:33-48
나로 하여금 주의 계명들의 길로 행하게 하소서 내가 이를 즐거워함이니이다
시편 119:35

사랑하는 하나님, 시편 기자가 가졌던 주님의 길을 사모하는 마음을 제게도 베풀어주소서. 매일 매일의 선택들로 하나님을 예배하게 하소서.

순종은 사랑하는 마음에서 자유롭게 나온다.

Daily Article

01/26/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4–15 and MATTHEW 17
Hymn: 397(old 454)

Free from Frostbite

On a winter day, my children begged to go sledding. The temperature hovered near zero degrees Fahrenheit. Snowflakes raced by our windows. I thought it over and said yes, but asked them to bundle up, stay together, and come inside after fifteen minutes.

Out of love, I created those rules so my children could play freely without suffering frostbite. I think the author of Psalm 119 recognized the same good intent in God as he penned two consecutive verses that might seem contradictory: “I will always obey your law” and “I will walk about in freedom, for I have sought out your precepts” (VV 44–45). How is it that the psalmist associated freedom with a spiritually law-abiding life?

Following God’s wise instruction allows us to escape the consequences that come from choices we later wish we could undo. Without the weight of guilt or pain we are freer to enjoy our lives. God doesn’t want to control us with dos and don’ts; rather, His guidelines show that He loves us.

While my kids were sledding, I watched them blast down the hill. I smiled at the sound of their laughter and the sight of their pink cheeks. They were free within the boundaries I’d given them. This compelling paradox is present in our relationship with God—it leads us to say with the psalmist, “Direct me in the path of your commands, for there I find delight” (V 35).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Psalm 119:33–48
Direct me in the path of your commands, for there I find delight.
Psalm 119:35

Dear God, give me a love for Your ways like the psalmist had. I want to worship You with the choices I make every day.

Obedience flows freely from a heart of love.

오늘의 말씀

01/25/2019     금요일

성경읽기: 출 12-13; 마 16
찬송가: 298(통 35)

와이드 샷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취임식이 텔레비전으로 방영되는 동안, 카메라는 이 역사적인 순간의 증인이 되기 위해 모여든 이백만이나 되는 엄청난 군중을 파노라마처럼 보여주었습니다. CBS 뉴스 담당자 밥 쉬퍼가 “오늘 방송의 스타는 와이드 샷” 이라고 말할 정도로, 그것 아닌 다른 무엇으로도 링컨 기념관부터 국회 의사당까지 이어진 수많은 군중들을 한 번에 담아내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으로 뭉쳐진 더 많은 군중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베드로전서 2:9).

이것은 소수 특권층의 모습이 아니라,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서” (요한계시록 5:9) 속량 받은 수많은 무리의 모습입니다. 지금 우리는 예수님을 따른다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고립되고 고난을 받고 있는 지구 상에 흩어져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렌즈를 통해 우리는 우리를 구원하시고 자녀로 삼아주신 주님께 영광 돌리기 위해 믿음 안에서 함께 서있는 형제자매들을 와이드 샷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를 어두움에서 빛으로 나오게 하신 그분께 다 같이 찬양을 올려드립시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1-10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베드로전서 2:9

주여, 주님은 모든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분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입니다! 주님의 백성인 우리가 주님을 경외합니다.

당신은 하나님께 어떤 찬양을 드리시겠습니까?

Daily Article

01/25/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2–13 and MATTHEW 16
Hymn: 298(통 35)

The Wide Shot

During the television coverage of the inauguration of the first African-American president of the US, the camera showed a panoramic view of the enormous crowd of the nearly two million people who had gathered to witness the historic event. CBS News correspondent Bob Schieffer remarked, “The star of this show is the wide shot.” Nothing else could capture the multitude stretching from the Lincoln Memorial to the Capitol.

Scripture gives us a glimpse of an even larger throng, united by their faith in Jesus Christ: “You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 . . that you may declare the praises of him
who called you out of darkness into his wonderful light” (1 PETER 2:9).

This is not an image of the privileged few, but of the ransomed many from “every tribe and language and people and nation” (REVELATION 5:9). Today we are scattered across the globe, where many feel isolated and suffer for their allegiance to Jesus. But through the lens of God’s Word we see the wide shot of our brothers and sisters in faith standing together to honor the One who redeemed us and made us His own.

Let’s join together in praise to the One who brought us out of the darkness and into the light! - DAVID C. MCCASLAND

Today's Reading

1 Peter 2:1–10
You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that you may declare the praises of him who called you out of darkness into his wonderful light.
1 Peter 2:9

We are in agreement, Lord, that You are worthy of all praise! We, Your people, are in awe of You.

What praises do you have to give to God?

Pages